KR101858748B1 -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 Google Patents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748B1
KR101858748B1 KR1020110131509A KR20110131509A KR101858748B1 KR 101858748 B1 KR101858748 B1 KR 101858748B1 KR 1020110131509 A KR1020110131509 A KR 1020110131509A KR 20110131509 A KR20110131509 A KR 20110131509A KR 101858748 B1 KR101858748 B1 KR 1018587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ing plate
plate
flexographic printing
printing
flexograph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15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8467A (ko
Inventor
마사노리 아마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무라테크
Publication of KR20130018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8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7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7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5/00Rotary letterpress machines
    • B41F5/24Rotary letterpress machines for flexographic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1/00Devices for conveying sheets through printing apparatus or mach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27/00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 B41F27/06Device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or formes to supports for attaching printing elements to forme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Metallic Protective Coatings For Printed Circuit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Supply, Installation And Extraction Of Printed Sheets Or Plates (AREA)

Abstract

유기용제계의 잉크의 사용 하에서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판 수명이 긴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제공한다.
플렉소 인쇄판(1)의 양단의 물림시작부(1d)에 압착 고정되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에 의해, 상기 플렉소 인쇄판(1)을 인쇄기의 판동 외주에 밀착시켜 지지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에서, 상기 각 바이스(3A, 3B)는 이들 바이스를 구성하는 이면측 판형상 부재(4b)로 상기 각 물림시작부(1d)의 이면측에 접착되는 기재(2)의 단부를 끼우고, 표면측 판형상 부재(4a)로 상기 물림시작부(1d)의 표면측에 배치된 수지필름(5) 등의 보강재 또는 상기 기재(2)의 표면을 끼운 상태로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플렉소 인쇄판(1)의 단부에 압착 고정되어 있다.

Description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FLEXO PRINTING DIE SUPPORT}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을 판동(版胴)에 부착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이다.
플렉소 인쇄는 표면에 인쇄용 볼록부(화상이나 문자 등)가 형성된 수지제나 고무제의 유연(플렉시블)한 플렉소 인쇄판(이하, 간단히 「인쇄판」이라고도 함)을 사용하여 상기 인쇄용 볼록부의 꼭대기면에 유지한 잉크를, 낮은 인쇄압(低印壓)으로 피인쇄체에 전사하는 인쇄방식이다. 상기 플렉소 인쇄는 상기 인쇄판의 인쇄용 볼록부가 비교적 부드럽고 여러 가지 형상의 피인쇄체 표면에 추종(追從) 가능한 점에서, 여러 재질이나 두께가 있는 피인쇄체 등으로의 인쇄에도 사용되고 있다.
도 7은 플렉소 인쇄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략 구성도이다. 상기 도면과 같이 플렉소 인쇄기(윤전식(輪轉式))는 인쇄판(1)과 물림시작측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및 물림끝단측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3B)로 이루어진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0)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0)를 감아 장착하는 판동(21)과, 상기 인쇄판(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아닐록스롤(22: anilox roll)과, 닥터(블레이드)(23)와, 잉크 보충수단(잉크탱크)(24) 등을 주체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인쇄되는 피인쇄체(P)(예를 들어, 롤지나 골판지 등)를 사이에 두고 상기 판동(21)(인쇄판(1))에 대향하는 위치에는, 상기 피인쇄체(P)를 판동(21)에 누르기 위한 압동(壓胴)(26)이 배치되어 있고, 이들 판동(21)과 압동(26) 사이의 위치에서 상기 인쇄판(1)의 인쇄용 볼록부(화상이나 문자 등) 상에 유지된 잉크가 피인쇄체(P)상에 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플렉소 인쇄기에 사용되는 인쇄판(1)은 도 8의 (a)에 평면도, 도 8의 (b)에 측면도를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로서 판동(21)에 감을 수 있는 대략 장방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인쇄 방향(이 예의 경우에는 길이방향: 도시에서 좌우 방향)의 단부에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굴곡부(1c)를 통하여 판동(21)으로의 부착에 사용되는 물림시작부(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림시작부(1d)에는 후술하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2점 쇄선)에 설치되는 위치결정핀(4c)(도 9 참조)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e)이 물림시작부(1d)의 길이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 형성되어 있다(후술하는 바이스 고정핀(21d) 삽입통과용 관통구멍은 도시 생략). 또한, 도면 중의 부호 "1a"는 인쇄용 볼록부, "1b"는 인쇄에 관여하지 않는 평판부(비인쇄부)이고, 도면 중의 부호 "2"는 상기 인쇄판(1)의 보강용으로 상기 인쇄판(1)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형상 기재(상기 예에서는 2층)이다.
도 9의 주요부 단면도〔도 8의 (a)의 Y-Y단면에 상당〕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인쇄판(1)의 인쇄방향의 단부에는 각 물림시작부(1d)를 상하로부터 끼우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3A)(물림시작측) 및 바이스(3B)(물림끝단측)이 설치되고, 이들 각 바이스(3A, 3B)를 구성하는 표면측(상측) 판형상 부재(4a)와 이면측(하측) 판형상 부재(4b)가 도시하지 않은 나사나 지그 등을 포함하는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체결되고(흰색 화살표), 상기 물림시작부(1d)에 압착·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인쇄판(1) 및 기재(2)와, 이들 인쇄 방향 단부에 압착된 각 바이스(3A, 3B)에 의해, 상기 인쇄판(1)을 인쇄방향(길이방향)의 양단에서 지지·지승(支承)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0)가 구성되어 있다(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을 참조).
상기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0)는 인쇄판(1)의 판동(21)으로의 장착이나 교환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인쇄판(1)의 핸들링 향상이나, 판동(21) 상에서의 판의 위치결정 등을 간단하게 실시하기 위해 구성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바이스(3A, 3B) 사이의 인쇄판(1)을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21)의 외주에 감고, 이들 각 바이스(3A, 3B)를 판동(21) 외주의 오목부(21a) 내에 설치된 걸어맞춤수단(바이스 고정핀(21d)) 등에 걸어맞추어 고정함으로써, 상기 인쇄판(1)을 판동(21) 외주에 밀착된 상태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통상 상기 각 바이스(3A, 3B)를 판동(21)의 오목부(21a) 내에서 배치·고정하는 기대(基臺)(21b, 21c)의 적어도 한쪽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판동(2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나 스프링 등의 장력조정수단에 의해 기대(21b)와 기대(21c) 사이 또는 각 바이스 고정핀(21d) 사이에, 판동(21) 둘레방향의 장력(인쇄판 길이 방향의 장력)을 가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때 상기 인쇄판(1)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된 필름 형상 기재(2)는 상기 인쇄판(1)에 가해지는, 판동(21) 외주를 따르는 방향의 장력을 주로 지지하는 「장력부재」로서 기능한다. 상기 필름 형상 기재(2)로서는, 예를 들어 다층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39779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평8-39780호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1-171082호
그런데, 플렉소 인쇄는 종래 수계(水系)의 잉크를 사용하여 골판지 등의 피인쇄체에 전사를 실시하는, 환경에 우수한 인쇄를 특색으로 하고 있었지만, 최근 평판 디스플레이나 태양전지 패널 등의 대형화(대면적화)에 따라 기판이나 배선 등을 손상시키지 않고, 균일한 박막을 재현성 좋게 고속으로 인쇄할 수 있다는 특징을 살려, 액정, 유기 EL, 유기 TFT 등의 기판 상에 설치되는 전극층이나 시일제, 마스킹제 등의 인쇄(전사 형성)에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구성의 플렉소 인쇄판 및 그 지지체는 수계에서의 사용을 염두에 두고 설계되어 있으므로, 상기 전극층이나 시일제, 마스킹제 등의 인쇄에 사용되는 유기용제계의 잉크(도공액)나 판 세정액 등을 사용할 때에는 그 유기용제의 영향에 의해 인쇄판(1)과 기재(2) 사이, 또는 다층 기재(2)의 층간에서 박리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도 8b 참조〕. 이와 같은 박리가 발생한 경우, 인쇄판의 수명이 짧아지거나 인쇄의 정밀도가 저하될 우려가 있다.
특히, 인쇄판(1)의 인쇄방향의 양단에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를 부착하여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0)로 하고, 인쇄판(1)을 판동(21) 외주에 감아 설치한 상태(도 9 참조)에서는 상기 장력조정수단(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해, 인쇄판(1)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에 장력을 가하여 인쇄판(1)을 판동(21) 외주에 밀착시키고 있으므로, 상기 인쇄판(1)에서의 물림시작부(1d)와 평판부(1b) 사이의 「굽힘부(1c)」나 바이스(3A, 3B)의 위치결정핀(4c)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e)」 주변 등에 집중적으로 응력이 가해지고, 이들 부위에 상기 박리가 발생하기 쉬워지므로 그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유기용제계의 잉크 등의 사용 하에서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판 수명이 긴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 형상의 기재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는 표면측 판형상 부재 및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이들 판형상 부재 사이를 조이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를 인쇄기의 판동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서,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이면에 상기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상태에서 상기 기재(基材)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표면에 메워 넣어진 상태로, 상기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시트형상의 보강재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단부에 하나의 면이 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스가 이들 보강재, 인쇄판, 기재를 집은 상태에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되는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상기 보강재와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로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제1 요지로 한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 형상의 기재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는 표면측 판형상 부재 및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이들 판 형상 부재 사이를 조이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를 인쇄기의 판동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서,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이면에 상기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기재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표면측에는 상기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에 플렉소 인쇄판에 매몰된 상태에서 직포 형상 또는 부직포 형상의 보강재가 배치되며, 상기 바이스가 이들 인쇄판, 보강재, 기재를 집은 상태에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되는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상기 보강재와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로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제2 요지로 한다.
또한, 동일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 형상의 기재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는 표면측 판형상 부재 및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이들 판형상 부재의 사이를 조이는 체결수단으로 이루어진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를 인쇄기의 판동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서, 상기 기재가 그 인쇄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쇄판의 이면측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기재의 돌출부를 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이스가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되는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상기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로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제3 요지로 한다.
본 발명자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를 거듭하던 중, 유기용제계의 잉크나 판 세정액 등을 사용한 경우에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 근방의 물림시작부나 굴곡부 등에서 발생하는 박리의 원인이, 양단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로 눌린 부위(인쇄판의 단부)의 탄성 변형 또는 압착의 느슨해짐에 기인하는, 인쇄판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이 아닐까 추론했다. 즉, 플렉소 인쇄판은 비교적 부드러운 수지나 고무 등을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으므로,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판동 둘레방향의 장력을, 그 하면(이면측)에 접착되는 필름형상 기재(장력부재)와, 상기 양단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눌려 조여진 부위(인쇄판의 단부)만으로 지지하고 있다. 그 때문에, 인쇄판 전체의 경도를 높이면 상기 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을 감소시킬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플렉소 인쇄판은 어느 정도의 부드러움(경도)도 필요로 되므로, 인쇄용 볼록부를 포함하는 인쇄판 전체의 경도를 함부로 높일 수는 없다. 그래서, 본 발명자는 상기 인쇄판의 단부를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확실하게 고정시킨다는 것에 착안하여 더욱 연구를 거듭했다. 그 결과,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 인쇄판의 재료(수지나 고무 등)보다 강성이 높은 보강재를 인쇄판의 단부(물림시작부)에 메워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상기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물리는 부위의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상기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의한 인쇄판 단부의 조임이 안정화되고, 상기 인쇄판의 박리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도달했다.
즉, 본 발명의 제1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로 지지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물림시작부)의 이면에 상기 바이스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기재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양단부의 표면에 바이스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시트 형상의 보강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는 이들 보강재, 인쇄판, 기재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이스에 의해 눌려 조여지고, 상기 부위의 강성이 종래의 구성보다 향상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1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유기 용제계의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도 플렉소 인쇄판이 판동의 외주에 확실히 밀착되어, 인쇄 정밀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의한 인쇄판 단부의 조임이 안정되고 인쇄판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이 억제되는 점에서, 인쇄판과 기재 사이 또는 기재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박리가 감소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유기용제계의 잉크의 사용 하에서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판 수명이 긴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상기 판동 장착용 바이스로 지지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물림시작부)의 이면에 상기 바이스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기재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양단부의 표면측에는 상기 바이스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에 플렉소 인쇄판에 매몰된 상태로 직포 형상 또는 부직포 형상의 보강재가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는 이들 인쇄판, 보강재, 기재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은 상태에서 상기 바이스에 의해 눌려 조여지고, 상기 제1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와 동일하게 상기 부위의 강성이 종래의 구성보다 향상되어, 상기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의한 조임이 안정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의 제2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유기용제계의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도 플렉소 인쇄판이 판동의 외주에 단단히 밀착되고 인쇄정밀도가 높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인쇄판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이 억제되며, 인쇄판과 기재 사이 또는 기재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박리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제2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도 유기용제계의 잉크의 사용 하에서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판 수명이 긴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는, 상기 기재가 그 인쇄방향의 양단부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단부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도록 인쇄판의 이면측에 위치 결정되고, 상기 기재의 각 돌출부(물림시작부)가 상기 바이스에 의해 집혀져 눌려 조여지고 있다. 즉, 상기 바이스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표면측 판형상 부재 사이에는 인쇄판 본체가 없고 상기 기재만이 집혀 있는 상태가 되어 있으며, 상기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에서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되었을 때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상기 제1 요지 및 제2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와 동일하게,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물리는 부위의 강성이 향상되고, 상기 판동 장착용 바이스에 의한 조임이 안정된다. 또한, 인쇄판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이 억제되고, 인쇄판과 기재 사이 또는 기재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박리가 감소된다. 따라서, 상기 제3 요지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도 유기용제계의 잉크의 사용 하에서 인쇄 정밀도의 저하가 적고, 판 수명이 긴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플렉소 인쇄기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평면도이다.
도 3의 (a), (b)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4의 (a), (b)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5의 (a), (b)는 제3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6의 (a) 내지 (f)는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 사용하는 인쇄판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플렉소 인쇄기의 일반적인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8은 플렉소 인쇄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인쇄판을 도시한 도면으로, (a)는 평면도, (b)는 측면도이다.
도 9는 종래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으로의 부착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플렉소 인쇄기의 개략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3의 (a)는 제1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의 단면도이고, 도 3의 (b)는 그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도 4, 도 5에서의 (a)는 각각,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2)의 단면도, 및 제3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3)의 단면도이고, (b)도 각각 부분 확대도이다. 또한, 이들 도면에서는 플렉소 인쇄판의 두께를 강조하여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플렉소 인쇄기(전사식)는, 액정, 유기 EL, 유기 TFT 등의 제조공정에서 평판형상의 기판(워크 W) 상에 전극층이나 시일제, 마스킹제 등의 유기용제계의 잉크(도공액)를 인쇄(전사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으로, 인쇄판(플렉소 인쇄판)(1)의 인쇄용 볼록부 상에 유지된 유기용제계의 잉크가 이동 스테이지(25) 상에 배치된 평판 형상의 워크(W)에 전사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 기본적인 구성은 종래 예와 동일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판(1) 및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를 포함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와,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를 감아 장착하는 판동(21)과, 상기 인쇄판(1)에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아닐록스롤(22)과, 닥터(블레이드)(23)와, 잉크보충수단(잉크탱크(2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21)의 외주에 부착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후술하는 제2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2), 제3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3)도 동일)는 외관상은 종래품(10)과 동일하고, 도 2의 평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략 장방형상의 인쇄판(1)과, 그 인쇄방향(상기 예의 경우에는 길이방향: 도시에서 좌우 방향) 양단부의 물림시작부(1d)를 상하에서 집도록 배치되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로 구성되어 있다.
각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는, 도 3, 도 4 및 도 5의 단면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에 대응하는 인쇄판(1)의 인쇄방향 양단부(물림시작부(1d))의 이면측에 필름 형상 기재(2)의 단부가 배치되고, 상기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에 대응하는 인쇄방향 양단부(물림시작부(1d))의 표면측에, 상기 인쇄판(1)의 각 물림시작부(1d)의 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보강재(도 3에서는 수지필름(5), 도 4에서는 유리크로스(6), 도 5에서는 수지필름(7))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물림시작부(1d)를 포함하는 인쇄판(1)의 양단부에, 상기 보강재(5, 6, 7)와 필름 형상 기재(2)를 집은 상태에서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와 이면측 판형상 부재(4b)가 배치되고, 이들 판형상 부재(4a, 4b) 사이를 체결수단으로 조이고,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21)에 장착 가능한 일체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이 구성되어 있다. 이것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특징이다.
상기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에 대해서, 도 3에 도시한 제1 실시형태를 예로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사용하는 인쇄판(1)은 종래 예(도 7 참조)와 동일하게 전체로서 대략 장방형상이고, 그 인쇄방향(도시에서 좌우 방향)의 중앙부에는 인쇄용 볼록부(1a)와, 평판부(1b)가 설치되어 있고 또한 그 인쇄방향 양단부에는 비교적 두께가 얇은 굴곡부(1c)를 통하여 판동(21)으로의 부착에 사용되는 물림시작부(1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물림시작부(1d)에는 상기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에 대응하는 표면측(도시에서 상측)에, 보강재로서 수지필름(5)이 메워져 있고, 상기 바이스(3A, 3B)의 위치 결정핀(4c)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e)이 이들 수지필름(5) 및 물림시작부(1d)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인쇄판(플렉소 인쇄판)(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수지나 고무 등, 판 성형후에도 일정한 탄성을 갖는 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인쇄판(1)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액정, 유기 EL, 유기 TFT 등의 제조공정에서 기판(워크(W)) 상에 전극층이나 시일제, 마스킹제 등의 유기용제계의 잉크를, 전사형성하는 데에 사용되는 것이므로, 상기 공정의 사용 잉크나 판 세정액 등에 포함되는 유기용제의 종류에 따라서 수지의 팽윤도 등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또한, 인쇄판(1)은 인쇄용 볼록부(1a)나 위치 결정용 얼라인먼트 마크 등의 형상의 정밀도가 요구되는 점에서, 상기 인쇄판(1)의 제작에는 이들을 정확한 형상·위치에 형성할 수 있는 포토리소그래피법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 경우, 상기 인쇄판(1)을 구성하는 재료로서 감광성 수지 조성물이 사용되고, 그 중에서도 우레탄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부타디엔계 등의 아크릴레이트를 주골격으로 한 프리폴리머,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광중합 금지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감광성 수지가 사용된다.
또한, 인쇄판(1)의 외형 크기는 피인쇄체가 되는 기판(워크(W))이나 판동(21)의 사이즈에 좌우되지만, 일반적으로는 인쇄방향(인쇄판(1)의 세로 방향)이 300 내지 2300㎜ 정도, 폭방향(인쇄판(1)의 가로 방향)이 500 내지 2800㎜ 정도이다. 그리고, 비교적 두께가 얇은 굴곡부(1c)의 인쇄방향(세로 방향) 길이가 0 내지 100㎜ 정도, 물림시작부(1d)의 인쇄방향(가로 방향) 길이가 15 내지 40㎜ 정도로 설정된다. 인쇄판(1)의 단부에 설치되는, 체결수단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관통구멍(1e)은 상기 물림시작부(1d)의 길이방향으로 통상 적어도 5개 정도, 많은 것에서는 30개 이상 설치된다(바이스 고정핀(21d) 삽입 통과용 관통구멍은 도시 생략).
또한, 상기 인쇄판(1)의 인쇄용 볼록부(1a)의 경도는 JIS 고무 쇼어 A 경도가 35 내지 70도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쇼어 A 경도가 35도 미만인 경우에는 인쇄용 볼록부(1a)가 기판(워크(W))에 대해서 너무 부드러워 인쇄시에 변형되어 고정밀한 인쇄를 유지할 수 없는 경향이 보인다. 또한, 반대로 플렉소 인쇄판의 쇼어 A 경도가 70도를 초과한 경우에는 상기 기판(워크(W))의 표면이나, 그 표면에 형성된 전극이나 배선 등을 손상시키는 경향이 보인다.
상기 인쇄판(1)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필름형상 기재(2)는 수지제의 필름(또는 시트)을 1층 또는 2층 이상 적층하여 형성된 것이고, 이 예(도 3)에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제의 2층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필름 형상 기재(2)를 형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염화비닐(PVC) 등, 그 밖의 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필름 형상 기재(2) 단일체의 전체 두께로서는 0.1 내지 0.5㎜ 정도의 두께의 필름이 사용되고, 인쇄판(1)의 단부를 포함하는 물림시작부(1d)의 전체 두께가 1.5 내지 3.0㎜ 정도가 되도록 조정된다.
상기 인쇄판(1)의 단부에 배치되는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는 금속제의 표면측(상측) 판형상 부재(4a) 및 이면측(하측) 판형상 부재(4b)로 이루어지고, 도 2와 같이 상기 판동(21)의 오목부(21a) 내의 바이스 고정핀(21d)(도 10 참조)을 삽입 통과시키기 위한 구멍(4d)이 복수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3의 (b)의 확대도와 같이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의 소정 위치에 설치되는 위치 결정핀(4c)에 상기 인쇄판(1)의 관통구멍(1e)을 삽입 통과시키고, 또한 표면측 판형상 부재(4a)를 배치하고 이들 사이를 나사나 클램프 등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으로 조임으로써 상기 각 바이스(3A, 3B)는 인쇄판(1)의 단부(물림시작부(1d))에 압착 고정되어 있다.
또한,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의 하측(인쇄판(1)측)의 인쇄판 압착면과,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의 상측(인쇄판(1)측)의 인쇄판 압착면에는 인쇄판(1)의 인쇄방향의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각 판형상 부재(4a, 4b)의 폭방향으로 파형이나 톱날 형상 등의 요철 구조, 또는 리브 형상 등의 슬립 방지 구조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다음에, 인쇄방향 양단부(물림시작부(1d))의 표면측에 보강재(수지필름(5))가 메워 넣어진, 제1 실시형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 사용하는 인쇄판(1)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해서 상기 포토리소그래피법으로 실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6의 (a) 내지 (f)는 상기 포토리소그래피법을 사용한 인쇄판(1)의 제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6(a) 내지 도 6(f)는 상기 도 3의 인쇄판(1)의 상하를 반전시킨 것에 상당한다. 또한, 다른 도면과 동일하게, 인쇄판(1)이나 필름 형상 기재(2) 등은 그 두께를 강조하여 도시하고 있다.
인쇄판(1)의 제작은 우선, 도 6(a)와 같이, 상기 인쇄판(1)의 인쇄용 볼록부(1a), 평판부(1b), 굴곡부(1c), 물림시작부(1d)의 형상에 대응하는 오목부(30a)와, 상기 관통구멍(1e)에 대응하는 볼록부(30b) 및 위치결정용 얼라인먼트 마크 등에 대응하는 오목부 등(도시 생략)이 소정 위치에 설치된 오목 형상의 성형틀(반전틀)(30)을 준비하고 안정된 수평판 등(도시 생략)의 위에 배치된다.
이어서, 상기 관통구멍(1e)에 상당하는 구멍이 소정 위치에 미리 형성된 띠형상의 보강재(이 예에서는 PET제의 수지필름(5):두께 0.1 내지 0.3㎜, 폭 15 내지 35㎜정도)를 준비하고, 도 6(b)와 같이, 그 구멍을 상기 성형틀(30)의 관통구멍용 볼록부(30b)에 끼워 넣어 위치 결정한다.
다음에, 폴리부타디엔계 아크릴레이트를 주골격으로 한 프리폴리머,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광중합 금지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 및 용제로 이루어진, 액상의 인쇄판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1’)을 준비하고, 바 코터 또는 롤 코터 등을 사용하여, 도 6(c)와 같이, 상기 성형틀(30)의 오목 형상 공간(성형 캐비티)를 채운다.
이어서, 도 6(d)와 같이, 상기 인쇄판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1’)(경화 전)의 표면(수평)으로 미리 준비한 필름 형상 기재(2)(2층 1체의 PET세 수지필름: 전체 두께 0.1 내지 0.5㎜)를 씌워 밀착시키고, 그 상태에서, 도 6(e)와 같이, 상기 필름형상 기재(2)를 투과시켜 자외선(L) 등의 경화용 조사선을 조사하고 감광성 수지조성물(1’)의 경화를 완료시켜, 상기 필름 형상 기재(2)와 일체가 된 인쇄판(1)을 형성한다. 또한, 경화를 완전히 완료시키기 위해 별도 가열 등을 실시해도 좋다.
다음에, 상기 경화 후의 인쇄판(1)을 필름 형상 기재(2)마다 성형틀(30)로부터 분리시키고 불필요한 부분을 절단·제거함으로써, 도 6(f)와 같이, 인쇄방향 양단부의 물림시작부(1d)의 표면에,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에 대응하는 보강재(수지필름(5))가 배치되고, 물림시작부(1d)의 이면에 바이스(3A, 3B)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에 대응하는 필름 형상 기재(2)(의 단부)가 배치된 인쇄판(1)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성형 후의 인쇄판(1)의 각부의 두께는 이면에 접착된 필름 형상 기재(2)의 두께(0.1 내지 0.5㎜)를 포함하고, 인쇄용 볼록부(1a) 및 물림시작부(1d)가 1.5 내지 3.0㎜ 정도, 평판부(1b)가 1.0 내지 2.6㎜ 정도, 굴곡부(1c)가 1.0 내지 2.0㎜ 정도가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부의 두께(전체 두께)는 인쇄판(1)의 외형 크기나 장착하는 판동(21)의 크기 등에 의해 결정되는 것으로 플렉소 인쇄기의 구성이나 인쇄 조건 등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된다.
또한, 상기 인쇄방향 양단부(물림시작부(1d))의 표면측에 보강재로서 도 4와 같은 유리크로스(6)가 메워 넣어진 제2 실시형태의 인쇄판(1)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도 6)와 같은 인쇄판(1)의 제법에서 제1 실시형태의 수지필름(5)을 사용하지 않고 볼록부(30b)가 없는 성형틀(30)을 사용하고, 상기 성형틀(30)의 오목형상 공간에 액상의 인쇄판 형성용 감광성 수지 조성물(1’)을 채운 상태〔도 6(c) 참조〕에서, 감광성 수지조성물(1’) 중의 소정 위치에 상기 유리크로스(6)를 담금(매몰시킴)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쇄방향 양단부(물림시작부(1d))의 표면측에 보강재로서 도 5와 같은 수지필름(7)이 배치되는, 제3 실시형태의 인쇄판(1)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도 6)와 같은 인쇄판(1)의 제법에서, 수지필름(5)을 사용하지 않고 볼록부(30b)나 물림시작부에 상당하는 부위가 아닌 성형틀(30)을 사용하여 오목 형상 공간에 액상의 인쇄판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1’)을 충전한 후, 필름 형상 기재(2)를 씌워 제작한 인쇄판(1)〔도 6(e) 참조〕의 인쇄방향 단부를 절제하지 않고, 상기 인쇄판(1)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된 필름 형상 기재(2)의 단부에 상기 수지필름(7)을 열압착 등에 의해 적층함으로써 동일한 방법으로 제작할 수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하여 제작된 각 인쇄판(1)은,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에 설치된 각 위치 결정핀(4c)에 인쇄판(1)의 위치 결정용 관통구멍(1e)을 각각 끼워 넣고, 이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에 인쇄판(1)의 인쇄방향 양단의 이면측(필름형상 기재(2)의 단부가 있는 부위)을 대응시킨다. 이어서, 상기와 같은 각 보강재(수지필름(5), 유리크로스(6), 수지필름(7))가 설치된 표면측에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를 대응시켜 배치하고, 도 2와 같이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측의 바이스 고정핀(21d) 삽입 통과용 관통구멍(4d)과, 이면측 판형상 부재(4b)측의 바이스 고정핀(21d) 삽입 통과용 관통구멍(4d)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상기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와 이면측 판형상 부재(4b) 사이를 나사나 지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체결함으로써, 물림시작측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3A)와, 물림끝단측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3B)가 각 인쇄판(1)의 단부에 일체로 고정 부착되는, 상기 각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가 얻어진다.
또한, 실용상의 문제로서 각 인쇄판(1)이 비교적 부드러운 배합의 수지나 고무 등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종래에는 인쇄판(1)의 물림시작부(1d) 표면에 약간의 점착성(끈끈함)이 있고, 상기 각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를 물림시작부(1d) 상에서 슬라이딩시킬 수 없어, 그 위치 맞춤(관통구멍(4d)끼리의 위치 맞춤)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인쇄방향 양단의 표면측 표면에 보강재로서, 수지필름(5)이나 수지필름(7)이 위치하는 제1 및 제3 실시형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3)에서는 물림시작부(1d) 상면에서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의 슬라이딩이 좋아 각 바이스(3A, 3B)의 부착 작업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음에, 상기 각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의 판동(21)으로의 부착은 종래 예와 동일하게 하여 실시된다. 즉, 상기 각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를 도 10과 같이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21)의 외주에 감고, 인쇄방향 양단부의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를, 판동(21) 외주의 오목부(21a) 내에 설치되는 기대(21b, 21c) 상에 각각 배치하며, 각 바이스(3A, 3B)의 걸어맞춤용 관통구멍(4d)를 기대(21b, 21c)의 바이스 고정핀(21d)에 삽입 통과시키고 걸어맞춘 후, 판동(21)의 회전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도시하지 않은 에어실린더나 스프링 등의 장력조정수단을 사용하여 인쇄판(1)에 판동 둘레방향의 소정의 장력(텐션)을 부여함으로써, 상기 각각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는 판동(21) 외주에 밀착된 상태에서 지지·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각 실시형태에 의하면 각 보강재(수지필름(5), 유리크로스(6), 수지필름(7))의 존재에 의해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로 끼워지는, 각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의 양단부위(물림시작부(1d))의 강성이, 종래품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된다. 그 때문에, 상기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1, 12, 13)는 통상의 수계 잉크를 사용한 경우는 물론 유기용제계의 잉크를 사용한 경우에도, 각 플렉소 인쇄판(11, 12, 13)이 판동(21)의 외주에 단단히 밀착되는, 인쇄 정밀도가 높은 상태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다. 또한, 각 판동 장착용 바이스(3A, 3B)에 의한 인쇄판 단부의 조임이 안정되어 인쇄판의 인쇄방향(판동 둘레방향)의 신축이 억제되는 점에서, 유기용제계의 잉크나 판 세정액 등을 사용한 경우에 많이 보이는, 인쇄판(1)과 기재(2) 사이 또는 기재(2)의 층간에서 발생하는 박리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형태에서의 플렉소 인쇄판(11, 12, 13)은 특수한 유기용제계의 잉크나 판 세정액 등의 사용하에서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그 판 수명 및 전사 가능 횟수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1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1) 단부의 보강재로서 물림시작부(1d)의 상면에 배치되는 수지필름(5)을 예시했지만, 이와 같이 인쇄판(1) 단부를 보강하는 시트 형상의 보강재로서는 이면에 접착되는 기재(2)와 동일한 PET제 필름이나, PP제 필름, PVC제 필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유연성과 인쇄판 수지로의 양호한 밀착성을 구비한 시트 또는 필름 형상 재료가 사용 가능하고, 예를 들어 알루미늄박이나 스테인리스박 등의 금속박을 사용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1) 단부의 보강재로서 물림시작부(1d)에 매몰시킨 유리크로스(6)를 예시했지만, 이와 같이 인쇄판(1)의 내부에서 그 단부를 보강하는 보강재로서는 인쇄판 재료를 투과시킬 수 있는 직포 형상 또는 부직포 형상의 보강재이면 좋고,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메시 등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인쇄판(1) 단부의 기재(2)의 보강재로서 상기 기재(2)와 동일한 수지필름(7)을 적층한 예를 나타냈지만, 이 수지필름(7)을 사용하지 않고 상기 기재(2)의 단부만을 바이스로 끼워도 좋다. 또한, 상기 수지필름(7)을 대신하여 기재(2)로의 밀착성이 좋은 시트 또는 필름형상 재료를 상기 기재(2)상에 적층해도 좋고, 예를 들어 상기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한 PET제 필름, PP제 필름, PVC제 필름이나 알루미늄박, 스테인리스박 등을 적층해도 좋다. 또한, 상기 제3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기재(2) 상에 인쇄판(1)의 단부와 동일한 두께의 수지필름(7)을 적층하고 있으므로, 상기 인쇄판(1)의 단부와 물림시작부(1d)의 표면(상면)이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제3 실시형태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13)는 상기 각 바이스(3A, 3B)의 표면측 판형상 부재(4a)와 물림시작부(1d)의 치수에 차이가 있는 경우 등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면측 판형상 부재(4a)를 물림시작부(1d) 상에서 용이하게 슬라이딩시키고, 이들의 위치 맞춤을 간단히 실시할 수 있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와 종래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사용하여 인장시험을 실시하고, 유기용제에 대한 내성을 비교·검증한 실험 결과에 대해서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의 실시예는 평판 디스플레이 등의 제조공정에서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사용하여, 플렉소 인쇄에 의해 기판 상에 시일제나 마스킹제 등의 유기용제계 도공액을 소요 패턴으로 전사(인쇄)하는 경우를 생각한 것이고, 이와 같은 공정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유기용제(도공액의 용매)인 N-메틸피롤리돈(이하, NMP)의 존재하에서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실시예 1」과 종래 구성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비교예 1」의 물성을 비교했다.
(실시예 1)
실시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 사용되는 인쇄판(플렉소 인쇄판)은 상기 실시 형태에 기재된 포토리소그래피법(도 6 참조)을 사용하여 형성했다. 또한, 인쇄판을 구성하는 감광성 수지조성물로서는 폴리부타디엔계 아크릴레이트를 주골격으로 한 프리폴리머, 아크릴레이트올리고머, 아크릴레이트모노머와, 광중합 개시제, 광중합 개시제 등의 혼합물 및 용제로 이루어진 액상의 인쇄판 형성용 감광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고, 경화 완료시에 인쇄용 볼록부(1a)의 경도가 JIS 고무 쇼어 A 경도가 55도가 되도록 배합을 조정했다(후술하는 비교예 1도 동일).
또한, 인쇄판의 이면에 접착되는 필름형상 기재(2)로서는 복층의 PET 필름(두께: 0.48 ㎜)을 사용하고, 물림시작부(1d)의 상면측에 메워 넣는 보강용 수지필름(5)으로는 단층의 PET 필름(두께: 0.2㎜)을 사용했다.
제작한 인쇄판(실시예 1용)은 횡폭이 200㎜, 인쇄판의 인쇄방향에 상당하는 세로 방향의 길이가 각각, 보강된 물림시작부(1d)가 30㎜, 두께가 얇은 굴곡부(1c)가 50㎜, 인쇄용 볼록부(1a)를 지지하는 평판부(1b)가 20㎜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부의 두께〔이면의 기재(2) 및 상면의 보강용 수지필름(5)을 포함〕는 물림시작부(1d)에서 2.5㎜, 굴곡부(1c)에서 1.0㎜, 평판부(1b)에서 1.8㎜, 인쇄용 볼록부(1a)에서 2.5㎜였다.
(비교예 1)
상기 물림시작부 보강용 수지필름(5)을 사용하지 않는 이외에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현행 종래품인 비교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제작했다. 또한, 각 부의 치수(폭, 길이 및 두께)는 상기 실시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와 동일하다.
<PET 필름의 박리촉진시험>
다음에, 상기 얻어진 실시예 1용의 인쇄판 및 비교예 1용의 인쇄판을 사용하여, 유기용제계 도공액을 전사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기재의 박리」를 재현하는 촉진시험을 실시했다. 우선, 각 인쇄판에서의, 핀(4c) 삽입통과용 관통구멍(1e) 및 바이스 고정핀 삽입통과용 관통구멍이 없는 부분을 이용하여, 인쇄판을 인쇄방향(세로 방향)으로 폭 20㎜의 단책(短冊)형상으로 슬릿하고, 상기 단책형상의 인쇄판의 단부((물림시작부(1d))에 시험용 바이스(인장 시험기의 척)를 조이고,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공시용(供試用) 샘플 A로 했다.
이어서, 시험 전처리로서 상기 각 샘플 A를 유기용제(NMP)에 실온하에서 30분간 침지한 후 액중으로부터 끌어올려 인장 시험기에 설치했다. 그리고, 상기 샘플 A의 인쇄방향(길이방향)으로 800N의 장력을 25분간 연속하여 가하고 하중제거 후 샘플 A를 척으로부터 분리하고,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의 박리(인쇄판과 기재 사이의 박리)의 유무와 그 길이를 조사했다. 또한, 상기 시험조건은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 있어서 통상의 전사식 플렉소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된 상태에서의 둘레방향의 장력(약 8N)에 비해, 과대하고 또한 가혹한 조건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인쇄판과 기재 사이의 박리는 실제의 윤전식 플렉소 인쇄기에서도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신축에 기인하여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단부의 물림시작부(1d) 근방의 두께가 얇은 굴곡부(1c) 부근〔도 8 참조〕에서 발생하기 쉬운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PET 필름의 박리촉진시험의 결과는 상기 두께가 얇은 굴곡부(1c) 부근에서 발생하는 「박리의 면적」(양단부의 층간 박리의 합계면적)으로 비교했다. 결과는 실시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의 박리면적이 0.25㎠, 비교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서의 박리면적이 4㎠가 되고, 실사용의 수십배 이상이라는 가혹한 조건에서도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층간 박리의 양(면적비)은 종래품의 1/20 이하로 억제할 수 있었다.
<나사 삽입통과용 구멍 부근의 플렉소 인쇄판의 강도 확인 시험>
다음에, 인쇄판의 핀 삽입통과용 관통구멍(1e) 근방에서의, 상기 보강재에 의한 물림시작부(1d)의 보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통상의 평형척을 사용하지 않고, 봉 형상의 특수한 척에 의해 상기 관통구멍(1e)을 통하여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인장하는 시험을 실시했다. 또한, 상기 시험은 실제의 윤전식 플렉소 인쇄기에서 판동 장착용 바이스의 조임이 느슨해지고, 판동 둘레방향의 장력(응력)이 인쇄판의 물림시작부(1d)의 관통구멍(1e)에 집중된 경우를 생각한 것이다.
우선, 상기 실시예 1용의 인쇄판 및 비교예 1용의 인쇄판에서 핀 삽입통과용 관통구멍(1e)을 포함하는 부위를 의도적으로 채취하고, 상기 관통구멍(10㎜φ)이 공시용 샘플 폭방향 중앙에 위치하도록 슬릿하여 샘플 A와 동일한 폭 20㎜의 단책상 샘플 B를 제작했다. 또한, 상기 샘플의 인쇄판의 이면에 점착되는 필름형상 기재(2)로서는 단층의 PET 필름(두께: 0.2㎜)이 사용되고 있다.
시험은 상기 샘플 B의 양단의 구멍(직경 10㎜φ)에 각각 봉형상(직경 9㎜φ)의 특수척을 삽입 통과시키고, 상기 특수척을 통하여 인장 시험기에 설치한 후, 상기 샘플 B를, 그 인쇄방향(길이방향)으로 정속(50㎜/min)으로 인장하고, 파단할(구멍이 파괴될) 때까지의 인장 강도를 측정했다. 또한, 샘플 B로는 상기 전처리(NMP로의 침지) 등을 실시하지 않았다.
결과는, 0.24kN(신장량: 8.5㎜)으로 파단된 비교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에 대하여, 실시예 1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의 파단 강도는 0.29kN(신장량: 11.5㎜)이 되고 약 20%정도의 파단강도의 향상이 보였다.
또한, 상기 제2 실시형태 및 제3 실시형태에 기재된 구성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를 사용하여 상기와 동일한 각 시험을 실시한 결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플렉소 인쇄판의 물림시작부(1d)의 강성의 향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는 유기용제계의 잉크를 사용해도 박리 등의 문제의 발생이 적고, 높은 인쇄정밀도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점에서 액정, 유기 EL, 유기 TFT 등의 기판상에 설치되는 전극층이나 시일제, 마스킹제 등의 인쇄(전사형성)에 바람직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플렉소 인쇄판 1d: 물림시작부
2: 기재 3A, 3B: 바이스
4a: 표면측 판형상 부재 4b: 이면측 판형상 부재
5: 수지필름 11: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Claims (3)

  1.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 형상의 기재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는 표면측 판형상 부재 및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이들 판형상 부재 사이를 조이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를 인쇄기의 판동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서,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이면에 상기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기재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표면에 메워 넣어진 상태로, 상기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시트형상의 보강재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단부에 하나의 면이 되는 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바이스가 이들 보강재, 인쇄판, 기재를 집은 상태에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고,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된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상기 보강재와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로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2. 플렉소 인쇄판과,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이면에 일체로 접착되는 필름 형상의 기재와,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의 단부를 표면과 이면에서 집는 표면측 판형상 부재 및 이면측 판형상 부재와 이들 판형상 부재 사이를 조이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바이스와, 상기 바이스를 인쇄기의 판동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구비하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로서,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이면에, 상기 이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상태로 상기 기재의 단부가 위치 결정되고, 상기 플렉소 인쇄판의 인쇄방향 양단부의 표면측에는 상기 표면측 판형상 부재에 대응하는 부위에 플렉소 인쇄판에 매몰된 상태로 직포 형상 또는 부직포 형상의 보강재가 배치되고, 상기 바이스가 이들 인쇄판, 보강재, 기재를 집은 상태에서 플렉소 인쇄판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며, 인쇄기의 판동에 장착되는 플렉소 인쇄판이 받는 응력에 상기 보강재와 각 바이스와 이들 사이에 위치하는 기재로서 대항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3. 삭제
KR1020110131509A 2011-08-01 2011-12-09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KR1018587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68120 2011-08-01
JP2011168120A JP4917693B1 (ja) 2011-08-01 2011-08-01 フレキソ印刷版支持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8467A KR20130018467A (ko) 2013-02-25
KR101858748B1 true KR101858748B1 (ko) 2018-05-16

Family

ID=46243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1509A KR101858748B1 (ko) 2011-08-01 2011-12-09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917693B1 (ko)
KR (1) KR101858748B1 (ko)
TW (1) TWI54502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18825B2 (ja) * 2012-07-18 2016-11-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版及びこれを具えたフレキソ印刷機
CN103029418A (zh) * 2012-12-12 2013-04-10 松德机械股份有限公司 水平走料机组式柔版印刷机
JP5702006B1 (ja) * 2014-02-17 2015-04-1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フレキソ印刷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6499841B2 (ja) * 2014-09-12 2019-04-10 株式会社コムラテック フレキソ印刷版
TWI574794B (zh) * 2015-01-22 2017-03-21 耐克創新有限合夥公司 雙重功能的鞋面印刷夾具
JP6922223B2 (ja) * 2017-01-06 2021-08-18 東洋製罐株式会社 印刷装置
JP6878935B2 (ja) * 2017-02-10 2021-06-02 東洋製罐株式会社 印刷版ユニット及びこれを用いた印刷装置
KR20190087963A (ko) * 2017-09-05 2019-07-25 나칸 테크노 가부시키가이샤 플렉소 인쇄판 및 판 바이스에 의한 플렉소 인쇄판의 협지 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924A (ja) * 1999-05-25 2000-12-05 Fuji Photo Film Co Ltd 可撓性印刷版材
JP2002086676A (ja) * 2000-09-13 2002-03-26 Sumita:Kk 円筒型印刷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786A (ja) * 2002-02-28 2003-09-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印刷機における刷版装着方法
JP2005212188A (ja) * 2004-01-28 2005-08-11 Hoshodo:Kk 刷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924A (ja) * 1999-05-25 2000-12-05 Fuji Photo Film Co Ltd 可撓性印刷版材
JP2002086676A (ja) * 2000-09-13 2002-03-26 Sumita:Kk 円筒型印刷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545023B (zh) 2016-08-11
KR20130018467A (ko) 2013-02-25
TW201307088A (zh) 2013-02-16
JP4917693B1 (ja) 2012-04-18
JP2013031934A (ja) 2013-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748B1 (ko) 플렉소 인쇄판 지지체
JP5264496B2 (ja) 様々な締めつけ機構に取り付けられることができる非延伸性裏当て層および逃げ区域を備える印刷用ブランケット
KR101811456B1 (ko) 인쇄용 수지 원판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131950A (ko) 플렉소 인쇄판과 그 제조 방법, 및 액정 표시 소자의 제조 방법
EP2591914A1 (en) A cylindrically-shaped element for use in printing
US20230191772A1 (en) Plate cylinder with reusable adhesion surface
JP5910836B2 (ja) オフセット印刷機のブランケットシリンダのブランケットのアンダーブランケット
JP7495237B2 (ja) フレキソ印刷版支持体
JP5702006B1 (ja) フレキソ印刷版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6306715B2 (ja) フレキソ印刷版の製造方法、および液晶表示素子の製造方法
JP2021123044A (ja) フレキソ印刷版支持体
JP2013031985A (ja) フレキソ印刷版およびフレキソ印刷機
JP6387607B2 (ja) 板状樹脂積層体の印刷版、板状樹脂積層体の印刷版を用いた印刷装置
JP727050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構築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養生シートユニット
TW201800255A (zh) 粗糙面化片材與使用其的印刷用樹脂原版的製造方法、柔版印刷版的製造方法、以及液晶顯示元件的製造方法
KR102337559B1 (ko) 플렉소 인쇄판
JP4523056B2 (ja) 転写体の製造法
TW201722710A (zh) 粗糙面化片材與其製造方法、印刷用樹脂原版的製造方法、柔版印刷版的製造方法、以及液晶顯示元件的製造方法
JP2019155655A (ja) 転写シート及び化粧板の製造方法
JP2003170300A (ja) プレス用緩衝シート
JP2015214059A (ja) 板状樹脂積層体及び印刷装置並びに印刷法
WO1999061252A1 (en) Flexible carrier for a printing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