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677B1 -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677B1
KR101858677B1 KR1020160110284A KR20160110284A KR101858677B1 KR 101858677 B1 KR101858677 B1 KR 101858677B1 KR 1020160110284 A KR1020160110284 A KR 1020160110284A KR 20160110284 A KR20160110284 A KR 20160110284A KR 101858677 B1 KR101858677 B1 KR 101858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fixing member
discharge passage
roller
cylindrical sh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319A (ko
Inventor
변영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니스테크
변영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니스테크, 변영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니스테크
Priority to KR1020160110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677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2Advancing webs by suction 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0Special constructions, e.g. surface features, of feed or guide rollers fo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2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aving an operating surface contacting only one face of the material, e.g. roller
    • B65H2301/44324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4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 B65H2301/44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4433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 B65H2301/44336Moving, forwarding, guiding material by acting on surface of handled material by means holding the material using suction 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3Rotary suction means, e.g. roller, cylinder or drum
    • B65H2406/332Details on suction ope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30Suction means
    • B65H2406/3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 B65H2406/366Means for producing, distributing or controlling suction producing vacuum
    • B65H2406/3663Pumps

Landscapes

  • Advancing Web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피딩롤은 고정 부재 및 외통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표면에 캐비티(cavity)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는 고정 부재를 둘러쌀 수 있고,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으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FEEDING ROLLS OF IMPROVED CONTACT INTENSITY AND TRANSFER SYSTEM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송대상물을 이송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착 강도가 향상된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딩롤은 필름이나 원단 등과 같은 이송대상물이 외주연에 접촉되어 회전함으로써 이송대상물을 목적지로 운반시키는 부재를 의미한다.
피딩롤의 일 회전에 의해 이송대상물이 일정하게 소정의 목표 위치로 이동하지 않을 경우, 해당 피딩롤이 사용되는 공정에서 생산되는 제품의 신뢰도가 감소될 수 있다. 특히 정밀한 공정에 사용되는 피딩롤은 이송대상물을 정확한 위치에 이동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피딩롤은 이송대상물이 피딩롤의 외주연에 밀착시키는 별도의 가압롤러를 필요로 한다. 그러나, 가압롤러를 이용할 경우 제품을 밀착시키기 위해 제품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서 제품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다. 특히, 제품의 길이(path)가 길어질 경우 제품 표면의 스트레스 및 외력에 의해 공정의 정밀도 제어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외력에 의한 스트레스를 줄임과 동시에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제품의 양 끝단을 클램프를 이용해 살짝 고정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 또한 제품 접촉면에 손상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고속 피딩을 구현하기 어렵게 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아래의 선행기술문헌1은 받침롤 뿐만 아니라 금속판재를 견고하게 가압시켜주는 핀치롤러로 이루어지는 도입롤러부를 포함함으로써 종래 가압롤러가 갖는 문제점을 그대로 포함한다.
또한, 아래의 선행기술문헌2는 다수의 흡착공이 천공형성되어 회전되는 외통 롤러와 내부에 내설된 내통 롤러를 갖는 구조를 갖고 있으나, 외통 롤러와 내통 롤러 외에도 흡입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복수개의 격벽부재를 필요로 하여 구현이 용이하지 않고, 메쉬 형태를 갖는다는 점에서 이송대상물에 손상을 가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한국 등록특허 10-0769292(공고일자 2007년 10월 23일) 한국 등록특허 10-1073850(공고일자 2011년 10월 17일)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송대상물에 눌림자국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이송대상물을 외주연에 밀착 또는 흡착시키는 피딩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피딩롤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목적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은 표면에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둘러싸고, 흡착공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상기 캐비티의 단면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채꼴의 호는 상기 외통 롤러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캐비티는 상기 원기둥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홈은 상기 외통 롤러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회전에 의해 외주연에 접촉하는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피딩롤, 상기 피딩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롤은 표면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상기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둘러싸고, 흡착공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 롤러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상기 캐비티의 단면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부채꼴의 호는 상기 외통 롤러가 상기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은 캐비티 상에 접하는 외통 롤러의 흡착공을 통해 이송대상물을 흡착하므로, 이송대상물에 눌림자국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이송대상물을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송 시스템은 구동부가 피딩롤을 회전시키고 펌프가 고정 부재의 배출통로를 통해 캐비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므로, 상기 피딩롤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피딩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피딩롤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피딩롤의 다른 실시예를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피딩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피딩롤을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피딩롤을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1의 피딩롤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피딩롤(100)은 고정 부재(120) 및 외통 롤러(1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표면에 캐비티(cavity, 12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통로(124)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일 방향(R)을 향해 회전하는 외통 롤러(140)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정 부재(12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표면에 캐비티(1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122)는 여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20)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캐비티(122)의 단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비티(122)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20)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일 수 있다.
캐비티(122)는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캐비티(122)가 갖는 형상인 부채꼴의 호는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홈의 위치는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캐비티(122)가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됨으로써, 추후에 외통 롤러(140)의 총 외주연 중 일부 면적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는 캐비티(1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124)를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출통로(1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통로(124)는 외통 롤러(1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배출통로(1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20)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부재(120)와 배출통로(124)는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재(120)는 캐비티(122)와 배출통로(1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통 롤러(140)는 고정 부재(120)를 둘러쌀 수 있고, 흡착공(H1, H2)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외통 롤러(140)는 고정 부재(1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140)는 고정 부재(120)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1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120)를 둘러싸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140)는 고정 부재(1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통 롤러(140)는 고정 부재(12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R)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통 롤러(140)가 회전함으로써 외통 롤러(140)의 외주연에 접하는 이송대상물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이송대상물은 외통 롤러(140)의 외주연 일부에만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140)는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외통 롤러(140)는 흡착공(H1, H2)이 천공될 수 있다. 배출통로(124)를 통해 캐비티(1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캐비티(122) 내부의 기압은 외부의 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공(H1, H2)을 통해 외부의 공기(a1, a2)가 캐비티(1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120)와 외통 롤러(14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작을 경우 공기가 고정 부재(120)와 외통 롤러(140) 사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122) 상에 위치하는 제1 흡착공(H1)을 통해 유입되는 제1 공기(a1)의 양은 캐비티(122) 상에 위치하지 않는 제2 흡착공(H2)을 통해 유입되는 제2 공기(a2)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다.
캐비티(122)는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된 흡착공(예를 들어, 제1 흡착공(H1))이 다른 흡착공(예를 들어, 제2 흡착공(H2))보다 공기 흡입량이 많을 수 있다. 그 결과, 외통 롤러(1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100)은 캐비티(122) 상에 접하는 외통 롤러(140)의 흡착공(H1, H2)을 통해 이송대상물을 흡착하므로, 이송대상물에 눌림자국을 발생시키지 않고도 이송대상물을 외주연에 밀착시킬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피딩롤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피딩롤을 A-A'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피딩롤(200)은 고정 부재(220) 및 외통 롤러(240)를 포함할 수 있고, 피딩롤(2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부재(260) 및 회전축(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표면에 캐비티(22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통로(224)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일 방향(R')을 향해 회전하는 외통 롤러(240)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정 부재(22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표면에 캐비티(2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220)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캐비티(222)의 단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티(222)는 외통 롤러(2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222)가 갖는 형상인 부채꼴의 호는 외통 롤러(2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에 대응될 수 있다. 캐비티(222)가 외통 롤러(2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에 대응됨으로써, 추후에 외통 롤러(240)의 총 외주연 중 일부 면적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는 캐비티(2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224)를 가질 수 있다. 배출통로(2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2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통로(224)는 외통 롤러(2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통로(2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220)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부재(220)와 배출통로(224)는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240)는 고정 부재(220)를 둘러쌀 수 있고,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외통 롤러(240)는 고정 부재(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240)는 고정 부재(220)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2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220)를 둘러싸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240)는 고정 부재(2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통 롤러(240)가 회전함으로써 외통 롤러(240)의 외주연에 접하는 이송대상물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은 외통 롤러(240)의 외주연 일부에만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240)는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외통 롤러(240)는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배출통로(224)를 통해 캐비티(2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캐비티(222) 내부의 기압은 외부의 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2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220)와 외통 롤러(24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작을 경우 공기가 고정 부재(220)와 외통 롤러(240) 사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222) 상에 위치하는 제1 흡착공을 통해 유입되는 제1 공기의 양은 캐비티(222) 상에 위치하지 않는 제2 흡착공을 통해 유입되는 제2 공기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다.
캐비티(222)는 외통 롤러(2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에 배치된 흡착공이 다른 흡착공보다 공기 흡입량이 많을 수 있다. 그 결과, 외통 롤러(2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S)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측면 부재(260)는 피딩롤(2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부재(260)는 피딩롤(200)의 양 측면에서 고정 부재(220) 및 외통 롤러(240)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부재(220) 및 외통 롤로(240)는 지속적으로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270)은 피딩롤(2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딩롤(2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는 회전축(270)을 통해 피딩롤(20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피딩롤(2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재(220)의 배출통로(224)가 회전축(27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222) 내부의 공기는 고정 부재(220) 및 회전축(270) 내의 배출통로(224)를 통해 이동될 수 있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피딩롤의 다른 실시예를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피딩롤(300)은 고정 부재(320) 및 외통 롤러(34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표면에 캐비티(32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통로(324)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일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외통 롤러(340)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표면에 캐비티(3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캐비티(322)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320)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일 수 있다.
캐비티(322)는 외통 롤러(3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홈의 위치는 외통 롤러(3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캐비티(322)가 외통 롤러(3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됨으로써, 추후에 외통 롤러(340)의 총 외주연 중 일부 면적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캐비티(3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324)를 가질 수 있다. 배출통로(3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3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통로(324)는 외통 롤러(3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통로(3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320)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부재(320)와 배출통로(324)는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320)는 캐비티(322)와 배출통로(3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통로(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통 롤러(340)는 고정 부재(320)를 둘러쌀 수 있고,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외통 롤러(340)는 고정 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340)는 고정 부재(320)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3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320)를 둘러싸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340)는 고정 부재(3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통 롤러(340)가 회전함으로써 외통 롤러(340)의 외주연에 접하는 이송대상물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은 외통 롤러(340)의 외주연 일부에만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340)는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외통 롤러(340)는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배출통로(324)를 통해 캐비티(3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캐비티(322) 내부의 기압은 외부의 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3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고정 부재(320)와 외통 롤러(340) 사이의 간격이 충분히 작을 경우 공기가 고정 부재(320)와 외통 롤러(340) 사이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상대적으로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캐비티(322) 상에 위치하는 제1 흡착공을 통해 유입되는 제1 공기의 양은 캐비티(322) 상에 위치하지 않는 제2 흡착공을 통해 유입되는 제2 공기의 양보다 상대적으로 더 많을 수 있다.
캐비티(322)는 외통 롤러(3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된 흡착공이 다른 흡착공보다 공기 흡입량이 많을 수 있다. 그 결과, 외통 롤러(3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피딩롤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피딩롤을 B-B'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피딩롤을 C-C' 방향으로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피딩롤(400)은 고정 부재(420) 및 외통 롤러(440)를 포함할 수 있고, 피딩롤(400)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측면 부재(460) 및 회전축(4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420)는 표면에 캐비티(422)가 형성될 수 있고, 배출통로(424)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420)는 일 방향을 향해 회전하는 외통 롤러(440)와는 달리 회전하지 않을 수 있다. 즉, 고정 부재(420)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부재(420)는 표면에 캐비티(422)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420)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캐비티(422)의 단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캐비티(422)는 외통 롤러(4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비티(422)가 갖는 형상인 부채꼴의 호는 외통 롤러(4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캐비티(422)가 외통 롤러(4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됨으로써, 추후에 외통 롤러(440)의 총 외주연 중 일부 면적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고정 부재(420)는 캐비티(4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424)를 가질 수 있다. 배출통로(4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420)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배출통로(424)는 외통 롤러(440)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배출통로(424)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420)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시 말해, 고정 부재(420)와 배출통로(424)는 동일한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440)는 고정 부재(420)를 둘러쌀 수 있고,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또한, 외통 롤러(440)는 고정 부재(4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440)는 고정 부재(420)를 둘러쌀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440)는 원기둥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420)를 둘러싸는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통 롤러(440)는 고정 부재(420)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외통 롤러(440)가 회전함으로써 외통 롤러(440)의 외주연에 접하는 이송대상물이 소정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대상물은 외통 롤러(440)의 외주연 일부에만 접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외통 롤러(440)는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외통 롤러(440)는 흡착공이 천공될 수 있다. 배출통로(424)를 통해 캐비티(422)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므로, 캐비티(422) 내부의 기압은 외부의 기압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흡착공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캐비티(422)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흡착공의 크기는 0.7mm 내외가 적당할 수 있다. 흡착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작을 경우 충분한 흡착력을 얻기 어려울 수 있고, 흡착공의 크기가 지나치게 클 경우 이송대상물에 손상을 줄 수 있다.
캐비티(422)는 외통 롤러(4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으므로,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배치된 흡착공이 다른 흡착공보다 공기 흡입량이 많을 수 있다. 그 결과, 외통 롤러(440)가 이송대상물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의 흡착력이 선택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
측면 부재(460)는 피딩롤(4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측면 부재(460)는 피딩롤(400)의 양 측면에서 고정 부재(420) 및 외통 롤러(440)를 고정할 수 있다. 그 결과, 고정 부재(420) 및 외통 롤로(440)는 지속적으로 정위치에서 회전할 수 있다.
회전축(470)은 피딩롤(400)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피딩롤(400)의 외부에 위치하는 구동부는 회전축(470)을 통해 피딩롤(400)에 회전력을 가할 수 있고, 피딩롤(40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고정 부재(420)의 배출통로(224)가 회전축(47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비티(422) 내부의 공기는 고정 부재(420) 및 회전축(470) 내의 배출통로(424)를 통해 이동될 수 있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송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이송 시스템(500)은 피딩롤(510), 구동부(530) 및 펌프(550)를 포함할 수 있다.
피딩롤(510)은 회전에 의해 외주연에 접촉하는 이송대상물(TO)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피딩롤(510)은 고정 부재 및 외통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부재는 표면에 캐비티가 형성될 수 있고, 캐비티 내부의 공기(AIR)가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를 가질 수 있으며,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기둥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캐비티의 단면은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 때, 부채꼴의 호는 외통 롤러가 이송대상물(TO)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캐비티는 원기둥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일 수 있다. 이 때, 홈은 외통 롤러가 이송대상물(TO)과 국부적으로 접촉하는 부위에 대응될 수 있다.
배출통로는 원기둥의 중심축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통로는 원기둥의 중심축을 공유하는 원기둥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동부(530)는 피딩롤(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530)는 피딩롤(510)의 회전축을 통해 회전력(RF)을 가할 수 있다.
펌프(550)는 캐비티 내부의 공기(AIR)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펌프(550)는 소정의 음압을 형성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피딩롤을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송 시스템(600)은 권출 롤러(610), 권취 롤러(620), 고정 더미(dummy) 롤러(631 내지 636), 상하 이동 롤러(641 내지 644), 흡착 피딩롤(651 내지 654) 및 검사기(660)를 포함할 수 있다.
권출 롤러(610) 및 권취 롤러(620)는 각각 이송대상물을 풀고 감는 롤러일 수 있다. 고정 더미 롤러(631 내지 636)는 소정에 위치에 고정된 롤러일 수 있다. 상하 이동 롤러(641 내지 644)는 고정 더미 롤러(631 내지 636)와는 달리 상하(up/down)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할 수 있다.
흡착 피딩롤(651 내지 654)은 회전에 의해 외주연에 접촉하는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서, 흡착 피딩롤(651 내지 654)은 고정 부재 및 외통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 피딩롤(651 내지 654)은 이송대상물을 흡착함으로써 피딩하므로, 이송대상물의 고정을 위해 별도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 있다.
검사기(660)는 이송대상물을 촬영하는 복수의 카메라들(661 내지 663)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들(661 내지 663)은 여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들(661 내지 663)은 이송대상물의 이동방향 또는 이동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이송대상물을 촬영할 수 있다. 그 결과, 검사기(660)는 이송대상물의 결함을 검사할 수 있다.
흡착 피딩롤(651 내지 654)이 카메라들(661 내지 663) 바로 앞 및/또는 뒤에서 이송대상물을 흡착하여 이동시키므로, 카메라들(661 내지 663)이 이송대상물을 정확히 촬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피딩롤 및 이송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상기 설명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에서는 캐비티가 부채꼴의 단면을 갖거나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캐비티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피딩롤을 구비한 제조 시스템에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원단 제조 시스템이나 회로 인쇄 시스템 등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510: 피딩롤
120, 220, 320, 420: 고정 부재
140, 240, 340, 440: 외통 롤러
500: 이송 시스템
530: 구동부
550: 펌프

Claims (10)

  1. 표면에 캐비티(cavity)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둘러싸고, 흡착공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상기 캐비티의 단면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원기둥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이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캐비티의 하단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공간을 최대화하고, 상기 배출통로 선단의 통로 방향은 상기 흡착공의 홀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딩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회전에 의해 외주연에 접촉하는 이송대상물을 이동시키는 피딩롤;
    상기 피딩롤을 회전시키는 구동부; 및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피딩롤은, 표면에 캐비티가 형성되고, 상기 캐비티 내부의 공기가 상기 펌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통로를 가지며, 원기둥의 형상을 갖는 고정 부재; 및 상기 고정 부재를 둘러싸고, 흡착공이 천공되며, 상기 고정 부재를 중심으로 회전하고, 속이 빈 원통 형상을 갖는 외통 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원기둥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한 상기 캐비티의 단면은 상기 중심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채꼴의 형상을 갖으며,
    상기 캐비티는 상기 원기둥의 표면으로부터 균일한 깊이를 갖는 홈이고,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고정 부재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고정 부재의 중심에 일직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통로는 상기 캐비티의 하단과 직접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공간을 최대화하고, 상기 배출통로 선단의 통로 방향은 상기 흡착공의 홀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160110284A 2016-08-29 2016-08-29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KR101858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84A KR101858677B1 (ko) 2016-08-29 2016-08-29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284A KR101858677B1 (ko) 2016-08-29 2016-08-29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19A KR20180024319A (ko) 2018-03-08
KR101858677B1 true KR101858677B1 (ko) 2018-05-18

Family

ID=61726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284A KR101858677B1 (ko) 2016-08-29 2016-08-29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6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7036A (zh) * 2019-07-26 2019-11-19 佛山市宝索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吸附辊及薄片状产品加工设备
CN113941523B (zh) * 2021-09-29 2024-05-24 广东利元亨智能装备股份有限公司 一种真空辊机构、片材剔除设备及剔除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67A (ja) * 2008-02-13 2009-09-24 Dy Tekku:Kk 帯状フレキシブル材の搬送装置
JP2010070383A (ja) * 2008-09-18 2010-04-02 Ind Technol Res Inst 吸着式ローラーとその輸送装置
KR101294017B1 (ko) * 2013-04-15 2013-08-16 대한동방 주식회사 흡입효율이 향상된 진공흡입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15067A (ja) * 2008-02-13 2009-09-24 Dy Tekku:Kk 帯状フレキシブル材の搬送装置
JP2010070383A (ja) * 2008-09-18 2010-04-02 Ind Technol Res Inst 吸着式ローラーとその輸送装置
KR101294017B1 (ko) * 2013-04-15 2013-08-16 대한동방 주식회사 흡입효율이 향상된 진공흡입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319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8677B1 (ko) 밀착 강도가 향상된 흡착 피딩롤 및 이를 포함하는 이송 시스템
CA2665810C (en) System and method for removing incorrect labels from a web of labels
JP2008230723A (ja) ウェブ巻替え装置及び方法
US3618935A (en) Transfer apparatus for a small piece of sheet material
JP2011051782A (ja) サクションローラユニット及び印刷機
KR101544507B1 (ko) 다공성 비접촉 진행 롤러를 가지는 웹가이드 장치
JP2009084642A (ja) 成膜装置および成膜方法
JP4742627B2 (ja) Icチップ実装体の製造装置
JP2008273723A (ja) サクションロール及びサクションロール装置
KR102535351B1 (ko) 라벨공급장치
KR20140112895A (ko) 롤러 장치
JP2007066985A (ja) 基板の検出装置及び処理装置
JP2008218889A (ja) 長尺状板体の送出装置および電子部品搭載用長尺基材の製造方法
JP2020183779A (ja) 蛇行補正装置のグリス供給方法
JPH07156294A (ja) タイヤ構成材料貼付装置
JPH08181498A (ja) スイッチ組立装置
JP6913882B1 (ja) サクションロール
JP6885567B1 (ja) テーピング装置
KR101544506B1 (ko) 다공성 비접촉 제어 롤러를 가지는 웹가이드 장치
JP2009220964A (ja) ウェブ搬送装置およびウェブ接続方法
JP4802851B2 (ja) 筒状ラベルの接続装置
JP2002338097A (ja) ペースターロール
JP2008260218A (ja) タイヤ部材の製造装置、及びタイヤ部材の製造方法
JPH11349196A (ja) 長尺物の張力付与装置
KR101933079B1 (ko) 정밀도가 향상된 필름 검사 장치, 이를 포함하는 패턴 형성 장치 및 필름 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