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478B1 -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 Google Patents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478B1
KR101858478B1 KR1020160163235A KR20160163235A KR101858478B1 KR 101858478 B1 KR101858478 B1 KR 101858478B1 KR 1020160163235 A KR1020160163235 A KR 1020160163235A KR 20160163235 A KR20160163235 A KR 20160163235A KR 101858478 B1 KR101858478 B1 KR 101858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tension
coil
feed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2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동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Priority to KR10201601632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4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for measuring tension in flexible members, e.g. ropes, cables, wires, threads, belts or ban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2Details
    • G01N3/04Chuc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08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by applying steady tensile or compressive fo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판 코일을 포장을 위한 결속기에 적용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배치되어 밴드를 이송하는 피딩부를 포함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결합하는 코일 포장용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밴드를 그립하는 제1조우체; 상기 제1조우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조우체에 그립된 밴드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1로드셀은 상기 밴드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BEND TENSION TEST DEVICE FOR HEAD MODULE FOR COIL PACKAGING}
본 발명은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강판 코일을 포장하기 위하여 밴드를 결속하는 결속기에 적용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에서는 강판코일과 같은 철강제품을 결속하여 포장하기 위해 결속기 설비를 사용하며, 상기와 같은 포장작업을 수행하려면 코일을 결속시키는데 필요한 밴드가 요구된다.
밴드는 코일 형상으로 감긴 밴드코일로부터 풀려서 결속설비의 결속기 헤드 모듈에 공급되고, 가이드부 등을 통하여 밴드를 코일 원주 방향 또는 코일의 내경부를 통해 원주의 직각 방향으로 권취한 후, 용접 또는 실링 후 밴드를 절단하는 형태로 작업이 진행된다.
이때 헤드 모듈은 결속기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것으로, 밴드의 공급, 장력의 제공, 용접(또는 실링) 및 절단 등과 같은 동작을 수행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상기와 같은 헤드 모듈은 결속기 구조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등록특허 제967445호에는 코일의 포장을 위해 공급되는 밴드의 선단을 상기 코일에 감는 로봇이 상기 밴드의 선단을 잡을 수 있는 위치로 이송하며, 상기 코일에 감긴 상기 밴드의 선단을 상기 로봇이 제공함에 따라 상기 밴드의 선단을 상기 밴드에 겹치도록 이송하는 밴드이송부; 및 상기 밴드의 선단을 상기 밴드에 체결하는 밴드체결부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94634호에는 코일의 포장에 사용되는 밴드를 잡는 그립유닛; 상기 그립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밴드를 잡은 상기 그립유닛을 상기 코일의 주변부에서 선회시켜 상기 코일에 상기 밴드가 감기도록 하고, 상기 밴드를 체결위치로 이동시키는 그립로봇; 상기 밴드를 상기 그립유닛으로 제공하며, 상기 밴드의 체결위치에서 상기 밴드를 체결하는 헤드유닛; 상기 헤드유닛을 지지하며, 상기 헤드유닛을 상기 밴드의 체결위치로 이동시키는 헤드로봇; 및 상기 헤드로봇 및 상기 그립로봇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지지하고, 지지되는 로봇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로봇이송기를 포함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12-0093171호에는 장력 조건에서 신장된 포장 밴드의 말단들을 연결하기 위한 인장 장치와, 전극 챔버의 내부에서 전진 이동 가능한 하나 이상의 상부 용접 전극을 구비한 용접 장치와, 상기 용접 전극과 일시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상대 전극을 포함하되,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패키지를 향하여 상기 용접 장치와 연계되는 자동 포장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에 발명들에 개시된 헤드 모듈들은 포장 밴드의 인장력을 측정할 수 없다. 즉, 종래의 헤드 모듈들은, 포장 밴드가 코일을 결속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 따라서 불량 포장 밴드가 공급되는 경우에도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그 결과, 포장 밴드가 코일의 복원력 또는 기타 외력 등에 의해 끊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들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포장 밴드의 인장력을 측정하여 불량 포장 밴드를 선별할 수 있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는, 강판 코일을 포장을 위한 결속기에 적용되며,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일측에 배치되어 밴드를 이송하는 피딩부를 포함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결합하는 코일 포장용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로서,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결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밴드를 그립하는 제1조우체; 상기 제1조우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로드셀;을 포함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조우체에 그립된 밴드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1로드셀은 상기 밴드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우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우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합면은, 상기 피딩부에서 밴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조우체에 그립된 밴드의 파단강도까지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로스셀이 감지한 장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는,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탈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은,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공급되는 밴드의 곡률을 제거하여 교정하는 교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교정베이스, 상기 교정베이스에 대하여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교정이동부, 상기 교정이동부를 이송하는 교정액추에이터, 및 상기 교정베이스와 교정이동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밴드가 이송하는 교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에서 교정된 밴드는 상기 피딩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딩부는 피딩모터에 의하여 동작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동롤러,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축을 이동하는 이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동롤러의 중심축은 피딩부와 기어 치합이 유지되는 양으로 편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피딩모터는 프레임 외면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베벨기어를 통하여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의하여 포장 밴드의 파단강도를 측정할 수 있어 불량 포장 밴드를 선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인장 시험 장치가 탈착되고, 가이드부가 결합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프레임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피딩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피딩모터의 결합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그립부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우체의 작동 상태도이며,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용접부의 구성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인장 시험 장치가 결합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인장 시험 장치의 구성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가이드부가 결합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을 설명한다. 즉,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이 코일 포장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이다. 참고로, 이 경우,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40b)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서 탈착된 상태이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장치를 지지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10)의 타측에 배치되어 밴드(1)를 평탄화하는 교정부(20), 상기 프레임(10)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교정부(20)를 통과한 밴드(1)를 이송하는 피딩부(30), 상기 피딩부(30)를 통과한 밴드(1)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40), 상기 가이드부(40)를 통과하여 코일 전체를 권취한 후 다시 이송된 밴드(1)를 그립 및 커팅하는 그립부(50), 코일을 귄취한 밴드(1) 중 서로 겹쳐진 영역의 밴드(1)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부는 밴드(1)를 용접에 의하여 결합하는 용접부(80) 또는 밴드(1)를 별도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실링부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플레이트가 전면, 배면 및 측면으로 분해 가능하게 구성되어 각 부품들의 유지보수가 편리하게 구성한다.
특히 피딩부(30)가 위치하는 영역은 분해 가능한 별도의 부재로 구성하여 피딩부(30) 유지 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상기 교정부(20)는 밴드(1)가 최초로 공급되는 부분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10)에 고정되는 교정베이스(21), 상기 교정베이스(21)에 이송 가능하게 고정되는 교정이동부(22), 상기 교정이동부(22)를 동작하는 교정 액추에이터(23), 상기 교정베이스(21) 및 교정이동부(22)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다수의 교정롤러(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교정롤러(24)는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며, 상기 교정롤러(24) 사이에 밴드(1)가 통과하므로, 초기 권취된 후 공급되어 밴드(1)에 형성된 곡률를 제거하여 평탄화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교정부(20)를 통과한 밴드(1)는 피딩부(30)에 의하여 피딩되어 이송 공급된다.
상기 피딩부(30)는 상기 교정부(20) 하단에 위치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롤러(31), 상기 구동롤러(31)에 형성된 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피동롤러(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피동롤러(32)는 중심축에 대하여 미세한 크기로 편심되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이때 구동롤러(31)와 피동롤러(32)는 기어에 의하여 치합되나, 축간 거리가 상기 편심량만큼 변경되므로, 적어도 상기 기어가 지속적으로 치합될 수 있을 정도의 값으로 편심량을 결정한다.
특히 상기 편심은 상기 피동롤러(32)와 구동롤러(31)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1)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므로, 특히 코일에 권취 완료 후, 역회전에 의하여 밴드(1)에 장력을 인가하는 단계에서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구동롤러(31)의 중심축은 프레임(10) 외부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중심축에 피딩모터(33)가 직결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중심축에 베벨기어를 부착하고, 상기 피딩모터(33)를 수직으로 장착한 후, 역시 피딩모터(33)에 장착된 베벨기어를 통하여 동력이 전달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은 종래 돌출 형성되는 피딩모터(33)를 프레임(10) 측면과 같은 방향으로 장착할 수 있어 공간 효율성을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피동롤러(32)는 별도의 이동 액추에이터(34)를 포함하고 있어, 초기 밴드(1) 삽입 시 구동롤러(31)와의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필요한 경우 상기 피동롤러(32)와 상기 구동롤러(31)의 위치는 도 4의 예와 반대 방향으로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가이드부(40a)는 상기 프레임(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그 결과, 밴드(1)의 인장 시험이 필요한 경우, 상기 가이드부(40a)를 제거하고, 본 발명에 따른, 인장 시험 장치(40b)를 결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a)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끝단에는 상기 프레임(10)에 힌지 결합하는 힌지부(41a)를 포함하며, 내부에는 밴드(1)가 안내되는 안내홈(42a)이 형성되며, 외면에는 다수의 롤러를 설치하여 밴드(1)의 측면이 안내되는 구조이다.
특히 상기 힌지부(41a)는 상기 피딩부(30a) 반대 위치에 있으며, 상기 밴드(1)는 상기 가이드부(40a)에 의하여 90도 방향으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40a)의 타 끝단에는 제2로드셀(43a)이 접촉하여 밴드(1)에 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장력을 감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밴드(1)가 코일을 전체 권취된 후, 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상기 밴드(1)를 피딩과 반대 방향으로 역이송하므로, 상기 가이드부(40a)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이때 회전에 관여되는 힘을 상기 제2로드셀(43a)이 감지하므로, 밴드(1)에 인가되는 장력을 산정할 수 있는 양호한 결속 여부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 제2로드셀(43a)은 인디케이터(indicato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감지한 장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다만, 제2로드셀(43a)은, 밴드(1)에 코일을 결속하기 위한 충분한 장력이 인가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제2로드셀(43a)만으로는 밴드(1)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없음을 주의하여야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a) 측면에는 그립부(50)가 위치하며, 상기 그립부(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 액추에이터(51), 배력부(60) 및 조우체(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그립 액추에이터(51)는 단일 실린더에 2개의 피스톤으로 구성되어, 초기 밴드(1)를 그립하는 경우와 밴드(1)를 커팅하는 경우 각각 다른 힘을 발생하는 형태로 구동한다. 물론 커팅 시 높은 힘을 발생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조우체(52)는 상기 밴드(1)를 그립한 후, 절단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통상의 결속기 헤드에 적용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형성된 로드를 가압하는 경우, 하단 측면에 형성된 2개의 조우가 밴드(1)를 그립하고, 이후 추가로 상기 로드를 가압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하는 나이프에 의하여 겹쳐진 밴드(1)를 절단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그리고 상기 배력부(60)는 입력 링크(61), 3개의 중간 링크(62), 하나의 출력 링크(63)로 구성되고, 상기 중간 링크(62)는 서로 힌지로 연결되고, 끝단은 프레임(10)에 힌지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입력 링크(61)의 일끝단은 상기 그립 액추에이터(51)의 작동부에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중간 링크(61)의 힌지에 결합한다.
상기 출력 링크(63)는 일단이 상기 조우체(52) 로드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중간 링크(62)의 다른 힌지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그립 액추에이터(51)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배력부(60)의 기하학적 특정에 의하여 높은 하중이 상기 조우체(52)이 인가되어 밴드(1)를 그립 및 커팅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그립부(50) 측면에는 결합부가 위치하며, 도 9에는 일예로 용접부(80)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용접부(80)는 전극에 의하여 스팟 용접이 수행되며, 이때 밴드(1)는 겹치진 상태이며, 하단에는 용접 시 밴드(1)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판이 삽입되며, 상기 지지판은 상기 프레임(10)에 설치된 액추에이터에 의하여 동작한다.
상기 용접부(80) 역시 통상의 스팟용접기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것으로 어떠한 구성을 적용하더라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결합부는 클램프를 이용하여 밴드를 결합하는 실링부로 구성 가능하며, 상기 실링부의 기능은 상기 용접부(80)와 동일하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 적용되는 모든 액추에이터는 전자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피딩모터(33)는 전기식 서보 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피딩모터(33)는 밴드(1)를 피딩하고, 역회전에 의하여 장력을 인가하는 정교한 동작이 필요하므로, 전기식으로 구현하는 경우 제어적인 측면에서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밴드(1) 피딩, 그립핑, 장력인가, 커팅 및 용접 등의 기능 수행을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의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구성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40b)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인장 시험 장치가 결합된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구성도이며,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밴드 인장 시험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40b)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한다. 따라서 밴드(1)의 인장 시험을 하는 경우, 상기 가이드부(40a)를 제거하고 인장 시험 장치(40b)를 결합할 수 있다. 또, 코일을 포장하는 경우, 인장 시험 장치(40b)를 제거하고, 상기 가이드부(40a)를 결합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부품의 탈부착에 의해,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은 범용적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40b)는 상기 프레임(10)과 결합하는 하우징(41b), 상기 하우징(41b)의 내부에 배치되며, 밴드(1)를 그립하는 제1조우체(43b), 상기 하우징(41b)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우체(43b)를 수용하는 케이스(42b), 상기 제1조우체(44b)의 아래에 배치되는 제1로드셀(44b) 및 상기 제1로드셀(44b)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로드셀(44b)에서 감지한 장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indicator)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41b)은 상기 인장 시험 장치(40b)의 외관을 형성하고, 상기 프레임(10)과 결합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아래에 배치된다. 상기 하우징(41b)은 중공으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41b)의 내부에는 상기 제1조우체(43b), 상기 케이스(42b) 및 상기 제1로드셀(44b)이 수용된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41b)의 내측면과 상기 케이스(42b)는 접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하우징(41b)은 상기 케이스(42b)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 10,11에서는 상기 하우징(41b)의 전방과 후방이 개구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술한 하우징(41b)의 가이드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하우징(41b)의 전방과 후방에 배치되는 플레이트가 추가될 수 있다.
상기 제1조우체(43b)에는 밴드(1)가 그립된다. 이를 위해, 상기 제1조우체(43b)의 그립면에는 복수 개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조우체(43b)에 밴드(1)가 그립된 후, 상술한 상기 피딩부(30)가 구동하여 밴드(1)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 결과, 밴드(1)에는 장력이 부가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교정부(20)의 교정롤러(24)는 지그재그형태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제1조우체(43b)에 그립되는 밴드(1)에 형성된 곡률을 제거하여 평탄화한다. 그 결과, 인장 실험의 정밀도를 담보할 수 있다.
또, 상기 피동롤러(32)의 편심은, 상기 피동롤러(32)와 상기 구동롤러(31) 사이에 위치하는 밴드(1)의 가압력을 변화시키므로, 역회전에 의하여 밴드(1)에 장력을 인가하는 경우, 유리한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42b)는 상기 하우징(41b)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부 중앙에 홀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42b)의 홀에는 상기 제1조우체(43b)가 수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케이스(42b)의 홀과 상기 제1조우체(43b)의 접합면은, 상기 피딩부(30)에서 밴드(1)가 이송되는 방향(아래)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역린 구조) 따라서 피딩부(30)가 밴드(1)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경우, 상기 케이스(42b)와 상기 제1조우체(43b)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1조우체(43b)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그 결과, 피딩부(30)에 의해 인가되는 인장력이 온전히 밴드(1)에 작용한다. 한편, 밴드(1)에 인가된 장력에 의해, 케이스(42b)는, 제1조우체(43b)와 일체로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케이스(42b)와 제1조우체(43b)의 이동은 하우징(41b)의 내부공간에 의해 가이드될 수 있다.
제1로드셀(44b)은 제1조우체(43b)의 아래에 배치된다. 좀 더 상세하게, 제1로드셀(44b)은, 하우징(41b)의 내부공간에 수용되어 케이스(42b)의 아래에 배치된다. 제1로드셀(44b)은 밴드(1)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한다. 좀 더 상세하게, 평상시에는, 제1로드셀(44b)에 제1조우체(43b)와 케이스(42b)의 하중만이 인가된다. 인장 시험시, 밴드(1)에 장력이 인가되면 이에 의해 제1조우체(43b)와 케이스(42b)에는 하중에 반대되는 힘이 작용한다. 그 결과, 제1로드셀(42b)은, 밴드(1)의 장력에 의해 제1조우체(43b)와 케이스(42b)의 경감된 하중을 감지하여 밴드(1)에 인가되는 장력을 출력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제1로드셀(44b)과 케이블 선 등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1로드셀(44b)에서 감지한 밴드(1)의 장력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는 범용성이 있으므로, 상술한 가이드부(40)의 제2로드셀(43a)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디케이터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는, 인장 시험시, 제1로드셀(44b)이 감지한 밴드(1)의 장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되고, 코일 포장시에는, 제2로드셀(43a)에서 감지한 밴드(1)의 장력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 결과,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서는 인디케이터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인장 시험시, 피딩부(30)는 제1조우체(43b)에 그립된 밴드(1)의 파단강도까지 장력을 인가한다. 따라서 밴드(1)의 파단강도를 통해 밴드(1)의 불량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술한 바를 종합하면,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는 가이드부(40a)와 인장 시험 장치(40b)가 컨버전되어, 코일 포장과 인장 시험 2가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코일 포장시, 가이드부(40a)의 제2로드셀(43a)을 통해 밴드(1)가 적절한 결속력을 확보하는지 감지할 수 있다. 나아가 인장 시험시, 인장 시험 장치(40b)의 제1로드셀(44b)를 통해 밴드(1)의 불량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인장 시험 장치(40b)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이 2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나아가 기존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100)의 교정부(200), 피딩부(300)를 활용하여 인장 시험의 정확성도 담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밴드 10: 프레임
20: 교정부 21: 교정베이스
22: 교정이동부 23: 교정액추에이터
24: 교정롤러 30: 피딩부
31: 구동롤러 32: 피딩롤러
33: 피딩모터 34: 이동 액추에이터
40b: 가이드부 41b: 힌지부
42b: 안내홈 43b: 제2로드셀
50: 그립부 51: 그립 액추에이터
52: 제2조우체
40a: 밴드 인장 시험 장치 41a: 하우징
42a: 케이스 43a: 제1조우체
44a: 제1로드셀 60: 배력부
61: 입력 링크 62: 중간 링크
63: 출력 링크 80: 용접부
100: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Claims (9)

  1. 강판 코일을 포장을 위한 결속기에 적용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결합하는 코일 포장용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에 있어서,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밴드를 그립하는 제1조우체; 및
    상기 제1조우체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로드셀;을 포함하고,
    피딩부는 상기 제1조우체에 그립된 밴드에 장력을 인가하고, 상기 제1로드셀은 상기 밴드에 인가되는 장력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어 공급되는 밴드의 곡률을 교정하는 교정부;
    상기 교정부를 통과한 밴드를 이송하며, 밴드가 코일을 권취한 후에는 장력을 인가하는 피딩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배치되고, 상기 피딩부에 의하여 이송되는 밴드를 이송 방향을 전환시키고, 밴드에 작용하는 장력을 감지하는 가이드부;
    상기 밴드의 끝단을 클램핑하고, 절단하는 그립부; 및
    겹쳐진 밴드를 체결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평상시에는 상기 인장 시험 장치가 해제되고 상기 가이드부가 장착되어 상기 그립부에 상기 밴드의 끝단이 클램핑되고, 인장시험 시에는 상기 가이드부가 해제되고 상기 인장 시험 장치가 상기 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1조우체에 상기 밴드의 끝단이 그립되고,
    상기 피딩부는 상기 제1조우체에 그립된 밴드의 파단강도까지 장력을 인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조우체를 수용하는 케이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조우체와 상기 케이스의 접합면은, 상기 피딩부에서 밴드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갈수록 외측 방향으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로드셀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로드셀이 감지한 장력을 디스플레이하는 인디케이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는, 상기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에 해제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교정부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는 교정베이스, 상기 교정베이스에 대하여 이송 가능하게 결합하는 교정이동부, 상기 교정이동부를 이송하는 교정액추에이터, 및 상기 교정베이스와 교정이동부에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되어 밴드가 이송하는 교정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교정부에서 교정된 밴드는 상기 피딩부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딩부는,
    피딩모터에 의하여 동작하는 구동롤러, 상기 구동롤러에 형성된 기어와 치합하여 회전하는 피동롤러, 상기 피동롤러의 회전축을 이동하는 이동 액추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피동롤러의 중심축은,
    피딩부와 기어 치합이 유지되는 양으로 편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구동롤러를 구동하는 피딩모터는,
    프레임 외면에 수평으로 배치되고, 상기 구동롤러와 베벨기어를 통하여 치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KR1020160163235A 2016-12-02 2016-12-02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KR101858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35A KR101858478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235A KR101858478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8478B1 true KR101858478B1 (ko) 2018-06-28

Family

ID=62780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235A KR101858478B1 (ko) 2016-12-02 2016-12-02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84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84A (ko)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밴드의 텐션 콘트롤 시스템
WO2021095931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철강 제품 포장을 위한 스트랩 결속 헤드 시스템
KR20220005765A (ko)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의 마찰 용접 콘트롤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8026A (ko) * 1998-03-19 1999-10-25 모리시타 요이찌 자기기록및재생장치
KR20000043937A (ko) * 1998-12-29 2000-07-15 강병호 피딩롤러의 누름압 조절장치
JP3266947B2 (ja) * 1992-11-05 2002-03-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引張試験機
JP2009298477A (ja) * 2008-06-11 2009-12-24 Samjung Packing & Aluminum Co Ltd コイル包装用ヘッドユニット{Headunitforcoilpackaging}
KR20170036153A (ko) * 2015-09-23 2017-04-03 (주)아비코 로드셀의 다축 검교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66947B2 (ja) * 1992-11-05 2002-03-18 株式会社島津製作所 引張試験機
KR19990078026A (ko) * 1998-03-19 1999-10-25 모리시타 요이찌 자기기록및재생장치
KR20000043937A (ko) * 1998-12-29 2000-07-15 강병호 피딩롤러의 누름압 조절장치
JP2009298477A (ja) * 2008-06-11 2009-12-24 Samjung Packing & Aluminum Co Ltd コイル包装用ヘッドユニット{Headunitforcoilpackaging}
KR20170036153A (ko) * 2015-09-23 2017-04-03 (주)아비코 로드셀의 다축 검교정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0584A (ko) 2018-10-10 2020-04-20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밴드의 텐션 콘트롤 시스템
WO2021095931A1 (ko) * 2019-11-15 2021-05-20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철강 제품 포장을 위한 스트랩 결속 헤드 시스템
CN114269650A (zh) * 2019-11-15 2022-04-01 Jps株式会社 用于包装钢铁产品的捆扎带捆扎头系统
CN114269650B (zh) * 2019-11-15 2024-01-09 Jps株式会社 用于包装钢铁产品的捆扎带捆扎头系统
KR20220005765A (ko) 2020-07-07 2022-01-14 주식회사 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플라스틱 밴드의 마찰 용접 콘트롤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1205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KR102027486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의 제어 방법
KR101858478B1 (ko)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용 밴드 인장 시험 장치
US10633130B2 (en) Modular strapping machine for steel strap
CA2949385C (en) Peeling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welded layers
KR101993923B1 (ko) 코일 포장용 밴드의 결속을 위한 용접 시스템
KR101504507B1 (ko) 개선된 응력, 밀봉 및 공급 장치를 갖는 스트래핑 기계
EP2841344B1 (en) Tension head for modular steel strapping machine
US20140216278A1 (en) Sealing head for modular steel strapping machine
KR100597245B1 (ko) 적층된 샌드위치패널의 결속포장기
JP5436932B2 (ja) ロール組立体のフィルム包装装置およびフィルム包装方法
CA2461193C (en) Method and device for strapping one or more packets with a band with label means
US3769485A (en) Steel strap welding apparatus for use in an automatic strapping machine
CN106252062A (zh) 一种适用于延展性绝缘材料全自动包扎装置及方法
CN102424144B (zh) 撑开单元的引导装置和引导至少一个材料幅端部的方法
JPH10245006A (ja) 結束装置
EP4230536A1 (en) System and method for sheet coil packaging
CN208898238U (zh) 自动接料机
KR200392130Y1 (ko) 적층된 샌드위치패널의 결속포장기
CN211641023U (zh) 热风熔接机用双轮组同轴加压机构
WO2022238968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tensioning of a strapping, method for measuring said tensioning and strapping machine using the aforesaid measuring device
JP3092861B2 (ja) バンドの締付け装置
JPH0443445Y2 (ko)
TW202319295A (zh) 自動捲管機的pp帶打包束緊裝置
JPH07137706A (ja) 荷札の取付け方法及び取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