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353B1 -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8353B1
KR101858353B1 KR1020160115907A KR20160115907A KR101858353B1 KR 101858353 B1 KR101858353 B1 KR 101858353B1 KR 1020160115907 A KR1020160115907 A KR 1020160115907A KR 20160115907 A KR20160115907 A KR 20160115907A KR 101858353 B1 KR101858353 B1 KR 101858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vent
fabric softener
tripropylene glycol
ester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5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342A (ko
Inventor
이성호
김상욱
김영기
Original Assignee
선진뷰티사이언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뷰티사이언스(주) filed Critical 선진뷰티사이언스(주)
Priority to KR1020160115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8353B1/ko
Priority to PCT/KR2016/013473 priority patent/WO2018048023A1/ko
Publication of KR20180028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8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83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11D7/3209Amines or imines with one to four nitrogen atoms; Quaternized 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1/00Special methods for preparing compositions containing mixtures of detergents ; Methods for using cleaning compositions
    • C11D11/0005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 C11D11/0011Special cleaning or washing method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 C11D11/0017"Soft" surfaces, e.g. text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22Organic compounds
    • C11D7/32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36Azeotropic mixtures containing halogenated solvents
    • C11D7/5068Mixtures of halogenated and non-halogenated solvents
    • C11D7/5077Mixtures of only oxygen-containing solvents
    • C11D7/5081Mixtures of only oxygen-containing solvents the oxygen-containing solvents being alcohols only
    • C11D2111/12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시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은 가연성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아,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FABRIC SOFTENER COMPRISING TRIPROPYLENE GLYCOL SOLVENT AND PREPARATION METHOD THEROF}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시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은 가연성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아,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섬유유연제는 세탁 후 섬유에 유연성을 부여하기 위한 마무리제로서, 통상 섬유에 대한 유연성 부여 효과와 함께 대전방지 효과를 제공한다.
종래에는 섬유유연제로서 다이메틸 다이알킬 암모늄 클로라이드 (dimethyl dialkyl ammonium chloride DDAC)가 널리 사용되었으나, 이후 아미도아민의 4급 암모늄염, 이미다졸린, 이미다졸린 에스터계의 섬유유연제를 거쳐, 현재는 지방산과 3급 아민으로부터 유도되는 에스터 화합물을 4급화하여 에스터쿼트 형태로 제조되는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가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에는 상기 4급화 과정에 용제로서 저급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주로 사용되었지만, 현재 이러한 가연성 용제는 위험물 용제로 분류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에스터쿼트를 수출시 해상 운송비, 내륙 운송비, 위험물 검사료 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고, 각국의 위험물 관리법에 의한 위치, 구조, 설비 등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위험물 용제 대신 비위험물 용제, 즉 비가연성 용제를 사용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 되고 있고, 종래에도 글리세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등 비가연성 용제를 사용한 예가 있지만, 이들은 점도가 지나치게 높아서 용제로서 이들만을 사용할 경우 최종 섬유유연제에 에스터쿼트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고, 펌핑공정이 어려워서 섬유유연제를 제조하는 것이 쉽지 않으므로, 유효성분의 함량이 낮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급 알코올을 추가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방법이 사용되었지만, 이러한 방법은 가연성 성분을 포함하게 되므로, 상술한 문제점들이 다시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은 에스터 교환반응 및 4급화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4급화 반응시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되고 가연성 용제를 전혀 포함하지 않아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한 섬유유연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용제 중에서 4급화제와 반응시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해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여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조할 경우,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위험물의 취급, 보관, 운송, 검사 등의 추가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활성성분의 함량을 최대 95 중량%까지 높일 수 있어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하며, 섬유유연제에 에스터쿼트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펌핑공정이 용이하여 높은 생산성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섬유유연제와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포함하는 비교예 1 내지 3의 섬유유연제의 색안정성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섬유유연제의 활성 성분인 에스터쿼트는 일반적으로 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 및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에 에스터 교환반응을 수행하여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용제 중에서 4급화제와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4급화제와의 반응에 사용되는 용제로는 저급알코올, 예를 들어, 에탄올 또는 이소프로필알코올이 주로 사용되어왔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스터쿼트는 하기 화학식 1과 같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이러한 가연성 용제는 위험물 용제로 분류되어 있고, 이를 사용하여 제조한 에스터쿼트를 수출시 해상 운송비, 내륙 운송비, 위험물 검사료 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되고, 각국의 위험물 관리법에 의한 위치, 구조, 설비 등의 보완이 필요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8800354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OH 또는 CH2CH2OCR2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 내지 C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및 이들의 조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이에 대해 본 발명은 에스터쿼트 제조를 위한 상기 4급화 반응시 용제로서 저급알코올과 같은 위험물 용제인 가연성 용제 대신에 비위험물 용제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함으로써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한 섬유유연제를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은, 4급화 반응의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에스터 교환반응 및 4급화 반응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본 기술분야에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74946호 및 제1020110025325호에 기재된 방법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제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며, 글리세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연성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기존의 가연성 용제, 예를 들어, 에탄올 및 이소프로판올은 인화점이 실온보다 낮아 위험물에 속하는 반면, 본 발명의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용제는 안전하며, 점도가 낮은 특성을 가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트라이프로필렌글리콜은 상기 용제 총중량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중량부의 양으로 포함될 수 있다. 나머지 용제는 글리세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제를 더욱 포함할 수 있으며, 가연성 용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이 경우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위험물의 취급, 보관, 운송, 검사 등의 추가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하며, 섬유유연제에 에스터쿼트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펌핑공정이 용이하여 높은 생산성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섬유유연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터쿼트를 2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고 용제로서 상기 비가연성 용제를 5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스터쿼트를 86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여 섬유유연제의 유효성분의 함량을 높일 수 있다.
이하, 일예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74946호 및 제1020110025325호의 제조 공정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단계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하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은 오일과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을 에스터 교환반응시켜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제조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50 mmHg 이하의 압력조건에서, 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 및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을 110 내지 130℃의 온도에서 1차 에스터 교환반응시키고, 승온시켜 130 내지 160℃ 온도에서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을 수행하여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제조한다.
바람직하게는 오일 내에 포함된 지방산이 많을수록 에스터쿼터 제조시 섬유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지방산 형태의 치환기를 많이 함유하는 트라이 글리세라이드, 예를 들면 팜오일, 팜스테아린오일, 팜올레인오일, 코코넛오일, 올리브오일 또는 대두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으로는 다이에탄올메틸아민, 1,2-다이하이드록시프로필 다이메틸아민, 트라이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을 포함하는 식물성 오일과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은, 식물성 오일의 지방산과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의 반응 몰비가 1.5:1 내지 2.5:1이 되도록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촉매로는, 소듐메톡사이드, 소듐에톡사이드, 소듐프로폭사이드 또는 소듐부톡사이드 등과 같은 소듐 알콕사이드계 촉매; 티타늄 옥사이드 등의 티타늄 옥사이드계 촉매; 징크 옥사이드 등의 징크 옥사이드계 촉매; 실리카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수산화칼슘, 무수탄산나트륨 등의 알칼리촉매; 또는 차인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중에서도 친환경적이고, 인체에 무독하며, 반응성이 우수하여 공기 중이나 용제 중에서 적은 수분만으로도 급속히 가수분해하여 수산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비교적 저온의 가열 건조에 의해 산화티탄 등의 고활성 광촉매를 형성하여, 이를 사용한 섬유유연제에 대해 항균기능, 악취제거 등의 광촉매가 가지는 기능을 부가할 수 있다는 점에서 티타늄 옥사이드계 촉매 또는 징크 옥사이드계 촉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촉매는 소듐 알콕사이드계 촉매, 티타늄 옥사이드계 촉매, 징크 옥사이드계 촉매, 실리카 및 알칼리촉매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1종 이상 선택된 주촉매와, 차인산 나트륨 부촉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과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의 총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시 우수한 색상 개선 효과를 위해서는 알칼리 촉매 및 차인산 나트륨을 각각 상기 지방산을 포함하는 오일과 3급 하이드록시알킬아민의 총 100중량부에 대하여 0.03 내지 0.1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은 1차 에스터 교환반응은 110 내지 130℃의 온도범위에서 3 내지 10시간 수행되고, 상기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은 130 내지 160℃ 온도에서 1 내지 13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을 무촉매로 진행할 경우에는, 1차 에스터 교환반응은 6 내지 10 시간,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은 5 내지 13 시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촉매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1차 교환반응은 3 내지 7 시간,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은 5 내지 13 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의 압력조건은 0 내지 50 mmHg이며, 바람직하게는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의 압력이 1차 에스터 교환반응의 압력보다 낮게 하는 것이 좋다.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의 반응압력이 1차 에스터 교환반응보다 더 낮을 경우 글리세린이 더 잘 회수될 수 있어 유리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1차 에스터 교환반응의 압력은 10 내지 50 mmHg,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mmHg이고, 2차 에스터 교환반응의 압력은 0 내지 10 mmHg, 더욱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 mmHg이다.
상기 1차 에스터 교환반응에서 반응온도를 증가시켜 2차 에스터 교환반응으로 전환하는 시점은 상기 오일의 40 내지 60%가 반응물로 전환된 시점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오일의 전환율은 생성된 글리세린의 함량으로 측정하여 수행할 수 있다.
상기 4급화 반응은, 상기 에스터 교환반응에서 수득된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용제 중에서 4급화제와 반응시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얻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4급화제로는 메틸클로라이드(methyl chloride) 등과 같은 알킬할라이드(alkyl halide); 다이메틸설페이트(dimethyl sulfate) 등과 같은 다이알킬설페이트(dialkyl phosphate); 다이메틸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다이에틸카보네이트(diethyl carbonate) 등과 같은 다이알킬카보네이트(dialkyl carbonate)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 중에서 1종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와 4급화제는 1:0.9 내지 1:1의 반응 몰비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범위 내인 경우 유화성, 인체안정성 및 제품안정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용제는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전체 용제 100 중량부 중 상기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50 내지 100 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 모노프로필렌글리콜, 다이프로필렌글리콜, 다이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1종 이상 선택되는 용제를 50 중량부 이하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100 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 중량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제조방법에 의해,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에스터쿼트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스터쿼트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88003549-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A 및 B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2OH 또는 CH2CH2OCR2이고,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C11 내지 C21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기, 알케닐기 및 이들의 조합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용제로 포함하는 제조방법에 의해 섬유유연제 제조시 가연성 용제를 사용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한 섬유유연제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섬유유연제는 활성 성분으로서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터쿼트를 20 내지 95 중량%로 포함하고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용제를 5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스터쿼트를 86 내지 90 중량%로 포함하여 섬유유연제의 유효성분을 최대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는 가연성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에 비해 위험물의 취급, 보관, 운송, 검사 등의 추가 절차가 필요하지 않아, 보관, 운반 등이 용이하고 이에 따른 비용이 절감되며, 활성성분의 함량을 최대 95 중량%까지 높일 수 있어 섬유유연 기능성 뿐 아니라 색상 안정성, 향 안정성 등이 우수하며, 섬유유연제에 에스터쿼트를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고, 펌핑공정이 용이하여 높은 생산성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하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94.3 중량%, 활성성분으로서 에스터쿼트 5.6 중량% 및 염료 0.1 중량%를 혼합하여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에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넣고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한 다음, 60℃의 에스터쿼트를 첨가하여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이하로 식힌 후, 염료를 첨가하고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10분 동안 혼합하여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섬유유연제의 제조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및 3>
비교예 1과는 제조사를 달리하여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섬유유연제 섬유유연제를 각각 비교예 2 및 비교예 3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색안정성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의 섬유유연제와 비교예 1 내지 3의 섬유유연제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색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섬유유연제 샘플을 25℃에서 일주일 동안 햇빛에 노출시킨 후, 노출 전 및 후의 색상 변화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제로서 비가연성 용제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는 용제로서 가연성 용제인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섬유유연제에 비해 색상 변화가 현저히 적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94.1 중량%, 활성성분으로서 에스터쿼트 5.6 중량% 및 향료 0.3 중량%를 혼합하여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반응기에 용제로서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넣고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60℃로 가열한 다음, 60℃의 에스터쿼트를 첨가하여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20분 동안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30℃ 이하로 식힌 후, 향료를 첨가하고 150 rpm으로 교반하면서 10분 동안 혼합하여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섬유유연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및 6>
비교예 1과는 제조사를 달리하여 용제로서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섬유유연제를 각각 비교예 5 및 비교예 6으로 사용하였다.
<시험예 2> 향안정성 비교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의 섬유유연제와 비교예 4 내지 6의 섬유유연제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향안정성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하기 표 1의 조건으로 섬유유연제를 섬유에 처리 후, 향 지속시간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구분 내용
처리 원단 면 100% 타올
헹굼 처리 조건 가정용 세탁기 1회 헹굼, 1회 탈수
시료 표준 사용량 시료 20 mL/물 30 L
수온 상온수
건조 조건 열풍 건조기, 45℃
구분 실시예 2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용제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이소프로필알코올
지속 시간 12 시간 8 시간 7 시간 8 시간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용제로서 비가연성 용제인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을 사용한 본 발명의 섬유유연제는 용제로서 가연성 용제인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한 비교예 4 내지 6의 섬유유연제에 비해 향 지속 시간이 현저히 우수함을 알 수 있다.

Claims (7)

  1. 지방산 하이드록시알킬아민 에스터를 용제 중에서 4급화제와 반응시켜 에스터쿼트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제가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인 섬유유연제이고,
    제조된 섬유유연제의 상기 에스터쿼트의 함량은 86 내지 95 중량%인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의 방법으로 제조되며,
    에스터쿼트 및 용제를 함유하며,
    상기 에스터쿼트의 함량은 86 내지 95 중량%이며,
    상기 용제가 트리프로필렌글리콜인 섬유유연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115907A 2016-09-08 2016-09-08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583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907A KR101858353B1 (ko) 2016-09-08 2016-09-08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CT/KR2016/013473 WO2018048023A1 (ko) 2016-09-08 2016-11-22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5907A KR101858353B1 (ko) 2016-09-08 2016-09-08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42A KR20180028342A (ko) 2018-03-16
KR101858353B1 true KR101858353B1 (ko) 2018-05-16

Family

ID=61562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5907A KR101858353B1 (ko) 2016-09-08 2016-09-08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8353B1 (ko)
WO (1) WO2018048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1094B1 (ko) 2020-11-27 2023-12-07 애경케미칼주식회사 인화점이 개선된 4급 암모늄계 양이온 계면활성제의 제조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1094A2 (en) * 2000-10-06 2002-04-1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lear softening formulations including alkoxylated additiv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1699B1 (ko) * 2007-02-05 2008-10-07 오성화학공업주식회사 알칼리 촉매를 이용한 개선된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KR101217737B1 (ko) * 2009-12-07 2013-01-02 주식회사 선진화학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70682A (ko) * 2012-11-05 2014-06-11 주식회사 선진화학 에스터쿼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9008B1 (ko) * 2013-04-30 2015-01-05 주식회사 선진화학 섬유유연제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31094A2 (en) * 2000-10-06 2002-04-18 Dow Global Technologies Inc. Clear softening formulations including alkoxylated addi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342A (ko) 2018-03-16
WO2018048023A1 (ko) 2018-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09758B9 (en) Fabric softener active composition
US4326965A (en) Liquid fabric-softening composition
US10011807B2 (en) Fabric softener compositions
KR20170095319A (ko) 투명한 직물 관리 조성물
JP2001512538A (ja) 織布用柔軟化活性物質及び其れを含有する織布用柔軟化組成物
US3992304A (en) Softening agent for a woven fabric
KR101858353B1 (ko) 트리프로필렌글리콜 용제를 포함하는 섬유유연제 및 이의 제조방법
JP5681003B2 (ja) 柔軟剤組成物
KR100757049B1 (ko) 섬유용 유제 또는 대전방지제로 유용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합성방법
KR20140070682A (ko) 에스터쿼트 및 이의 제조방법
US20230068208A1 (en) Concentrated liquid esterquat compositions
JP2014167190A (ja) 液体柔軟剤組成物
US20200157476A1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removing stains from fabrics
KR20140057835A (ko) 에스터쿼트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3211956A1 (en) Glycine betaine-guerbet alcohol esterqua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them
EP4239042A1 (en) Softener formulations for maintaining or improving moisture wicking
JP2013151662A (ja) 繊維製品用の液体洗浄剤
KR20160065875A (ko) 섬유 유연제 조성물 및 그의 용도
JP2002013072A (ja) 再汚染防止剤、及び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の再汚染防止方法
JPH06123082A (ja) 液体柔軟仕上剤
KR20010029301A (ko) 환경친화성 액체 섬유유연제 조성물
JP2002013073A (ja) 再汚染防止剤、及びセルロース系繊維製品の再汚染防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