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940B1 -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940B1
KR101857940B1 KR1020180019786A KR20180019786A KR101857940B1 KR 101857940 B1 KR101857940 B1 KR 101857940B1 KR 1020180019786 A KR1020180019786 A KR 1020180019786A KR 20180019786 A KR20180019786 A KR 20180019786A KR 101857940 B1 KR101857940 B1 KR 101857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conveyor
conveyor belt
rail
capa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9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성남
Original Assignee
안성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성남 filed Critical 안성남
Priority to KR10201800197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9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1/00Magnetic separation
    • B03C1/0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 B03C1/16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 B03C1/22Magnetic separation acting directly on the substance being separated with material carriers in the form of belts with non-movable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30B9/3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 B30B9/321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for consolidating scrap metal or for compacting used cars for consolidating empty containers, e.g. 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3/00Driving gear for endless conveyors; Belt- or chain-tensioning arrangements
    • B65G23/44Belt or chain tension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B65G39/08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the rollers bein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2C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체로 형성된 회전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를 통과하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RECYCLED ALUMINUM CAN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성체로 형성된 회전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를 통과하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속캔은 크게 철캔(스틸캔 이라고도 함)과 알루미늄캔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금속캔은 재활용이 용이한 포장용기로서 금속 폐캔을 효율적으로 재활용하는 것은 환경보존은 물론 자원재활용 관점에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특히, 알루미늄캔의 원소재 판재는 물론 알루미늄의 국내소요량을 대부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우리로서는 알루미늄 폐캔의 재활용율을 높여야 하는 것은 수입대체 효과면에서도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알루미늄 폐캔은 분리수거, 운반목적으로 캔부피 줄이기, 재생공장으로 운반, 철 등 불순물 제거, 도료와 락카제거 및 용해단계를 거쳐 재생지금(再生地金)으로 주조되고, 재생지금은 주조 및 가공공장으로 보내어 재활용하는 것이 일반적인 처리방법이다.
알루미늄 폐캔의 재활용은 미국에서부터 활발히 시작되었다. 1차 오일쇼크 이후 알루미늄 지금(地金) 생산 시 전력비가 많이 소요되므로 에너지 절감의 관점에서 알루미늄 스크랩의 재생지금 제조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후 환경론자들이 환경보호 측면에서 캔류 제조 반대운동(일명 anti-litter movement)을 일으키고 입법을 추진하자 알루미늄캔 제조업자들이 자구책의 일환으로 알루미늄 폐캔의 재활용 방안을 강구하여 식음료용 알루미늄 폐캔(UBC: used beverage can)의 재활용율을 50% 이상으로 끌어 올렸으며, 그 결과 알루미늄캔의 소비도 오히려 증가하였다. 이후 1990년 이래로 미국의 재활용율은 매년 60% 이상을 기록하였다.
알루미늄캔은 철캔에 비해서 가볍고, 모양이 아름다운 장점이 있는데 비해서 가격이 다소 비싼 점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그간 제강공업이 알루미늄공업보다 발달하였고, 제조원가가 철캔이 더 싸며, 과즙음료 포장기술 등의 이유로 아직까지 철캔이 주종을 이루고 있다. 알루미늄캔은 주로 맥주용기와 탄산음료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철캔은 내부에 주석이 코팅되어 있어서 주석캔이라고도 불리는데, 식음료용캔의 경우 몸체는 스틸이지만 마개는 알루미늄이다. 재활용 측면에서는 알루미늄이 유리하다. 왜냐하면 알루미늄은 광석으로부터 알루미늄을 제련하는 데는 전력이 많이 소모되나, 알루미늄금속 또는 스크랩을 용해하는 경우에는 제련시의 전력소모의 5-10% 밖에 소요되지 않고, 스틸의 용융점이 약 1500 ℃인데 비하여 알루미늄의 용융점은 약 650 ℃로서 스틸보다 훨씬 낮기 때문에 재활용 측면에서 유리하다고 볼 수 있다. 그래서 미국과 같이 식음료용으로 알루미늄캔을 많이 소비하는 나라에서는 1개의 알루미늄캔이 can-to-can 으로 재활용되는 횟수가 연간 6-7번이 된다고 한다.
재활용을 위해 수거된 금속캔은 철캔과 알루미늄캔으로 분리하여야 한다.
금속캔 폐기물을 선별하기 위한 선별기는 다양하게 알려져 있으며, 자력을 발생하는 장치에 의해 알루미늄캔과 철캔을 분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종래의 선별기는 알루미늄캔과 철캔이 분류되고, 분류된 알루미늄캔과 철캔은 각 압축기에 넣고 다시 압축하는 과정을 거쳐 부피를 줄임으로써 재활용되도록 마련된다. 이와 같이 캔 폐기물은 재활용 전에 여러 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재활용업자들이 기기를 구입하기 위한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기기의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71307]에서는 철 캔, 알루미늄캔 및 플라스틱 병용 자동 분류식 압착기가 개시되어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20-0271307](등록일자: 2002년03월28일)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자성체로 형성된 회전롤러가 구비된 컨베이어를 통과하면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자동으로 분류되도록 하는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일측에 올려진 금속캔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00);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에 상기 제1컨베이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일측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넘어온 알루미늄캔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200); 및 일측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과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타측으로 철캔이 이동되도록 경사진 철캔거름부(300);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제1이송레일(110); 상기 제1이송레일(1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롤러(1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130); 및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이송레일지지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2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제2이송레일(210); 상기 제2이송레일(2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 상기 제2이송레일(2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벨트(230); 및 상기 제2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2이송레일지지부(140);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롤러(120) 중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이송레일(110)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1가이드레일(111);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레일(210)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2가이드레일(21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텐션조절부(150);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200)는 상기 제2이송레일(210)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텐션조절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정 간격마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를 구획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특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특정 배열로 다수 배치된 제1적층방지돌기(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의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적층방지턱(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제2컨베이어(200) 끝단으로부터 떨어지는 알루미늄캔이 투입되는 투입구(401)가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알루미늄캔수거함(400);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에 수용된 물체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수용량감지센서(410); 및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상측에 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는 압축부(4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일측면에 일면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면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퇴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타측면에 상기 퇴출부(430)로부터 밀려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하는 배출구(402) 및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닫고, 상기 퇴출부가 상기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여는 개폐도어(4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상기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압축부(420)를 작동시켜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며, 이후 상기 퇴출부(430)를 작동시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한 후,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의하면, 제1컨베이어의 타측 제1회전롤러를 자성체로 형성하고, 제1컨베이어의 타측 제1회전롤러 하부에 순차적으로 철캔거름부 및 제2컨베이어의 일측을 배치함으로써, 철캔은 자력에 의해 철캔거름부로 이동되고 알루미늄캔은 제1컨베이어로 이동되어,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자동으로 분류함과 동시에 철캔의 적재 장소 부근에 철캔이 적재되도록 하고 알루미늄캔의 적재 장소 부근에 알루미늄캔이 적재되도록 하여, 작업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송레일에 가이드레일을 형성함으로써, 가이드레일이 컨베이어벨트를 잡아주는 역할을 함과 동시에 금속캔이 바깥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하여 철캔과 알루미늄캔의 분류작업을 보다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텐션조절부를 구비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장기 사용으로 컨베이어벨트가 늘어나 느슨해져도 텐션조절부로 텐션을 조절하여, 장력이 약해져 헛바퀴가 도는 등의 문제로 컨베이어벨트의 수명이 단축(마모 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컨베이어의 타측이 일측보다 높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금속캔을 골라 제1컨베이어에 던져 올리더라도 금속캔이 제1컨베이어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컨베이어벨트에 미끄럼방지슬릿을 형성함으로써, 금속캔이 일정부분 이상 뒤로 밀리지 않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미끄럼방지슬릿을 탄성재질로 형성함으로써, 금속캔이 적층되더라도 적층된 금속캔이 뒤로 넘어가기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컨베이어벨트에 적층방지돌기를 형성함으로써, 금속캔이 보다 넓게 펼쳐져 이동되는 효과가 있다.
또, 제1컨베이어에 적층방지턱을 구비함으로써, 금속캔이 적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알루미늄캔의 수거 및 자동 압축이 되도록 함으로써, 알루미늄캔의 압축까지의 과정을 자동화 시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압축된 알루미늄캔의 자동 퇴출이 가능함으로써, 압축된 알루미늄캔의 배출까지의 과정을 자동화 시켜 작업 능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압축부 및 퇴출부가 작동 시 컨베이어를 멈춤으로써, 컨베이어에 올려진 금속캔의 외부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가이드레일이 컨베이어벨트 측면을 가이드 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텐션조절부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 및 적층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 및 적층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알루미늄캔수거함, 수용량감지센서 및 압축부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퇴출부 및 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9는 도 8에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 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 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공정,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가지며,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가이드레일이 컨베이어벨트 측면을 가이드 하는 것을 보여주는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텐션조절부를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 및 적층방지돌기가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미끄럼방지슬릿 및 적층방지턱이 형성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에 알루미늄캔수거함, 수용량감지센서 및 압축부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 퇴출부 및 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며, 도 9는 도 8에 개폐도어가 구비된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제1컨베이어(100), 제2컨베이어(200) 및 철캔거름부(300)를 포함한다.
제1컨베이어(100)는 일측에 올려진 금속캔(철캔, 알루미늄캔)을 타측으로 이송한다.
컨베이어(100, 200)는 고무, 직물, 철망, 강판 등으로 만들어진 벨트를 순환시켜서 그 위에 물건을 올려놓고 연속으로 운반하는 장치이다.
대량의 금속캔을 분류하는 장소는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되는 장소,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 및 알루미늄캔만 적재되는 장소로 구분할 수 있고, 각각의 장소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각각의 장소로 금속캔을 이동시키는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된 장소에서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 인근까지 금속캔을 운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일측은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분류되지 않은 상태로 적재되는 장소에 구비되고,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은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 인근에 구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컨베이어(200)는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에 상기 제1컨베이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일측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넘어온 알루미늄캔을 타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와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 상부가 이격되는 거리는 상기 제1컨베이어(100)로부터 이송되는 가장 큰 금속캔 크기의 한 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철캔이 이동하는 통로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컨베이어(200)는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 인근에서 알루미늄캔만 적재되는 장소 인근까지 알루미늄캔을 운반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은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타측은 알루미늄캔만 적재되는 장소 인근에 구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철캔거름부(300)는 일측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과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타측으로 철캔이 이동되도록 경사지게 구비된다.
상기 철캔거름부(300)는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에 일측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일측으로 떨어진 철캔이 경사면을 따라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타측으로 이동하도록 가이드해준다.
이때,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타측은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까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제1컨베이어(100)로 이송된 금속캔(철캔, 알루미늄캔) 중 철캔은 상기 철캔거름부(300)를 따라 이동하고, 알루미늄캔은 상기 제2컨베이어(200)를 따라 이동한다. 여기서 철캔과 알루미늄캔이 분류되는 원리는 후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제1이송레일(110), 제1회전롤러(120), 제1컨베이어벨트(130) 및 제1이송레일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제1이송레일(110)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이송레일(110)은 철캔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1회전롤러(120)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제1회전롤러(120)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축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롤러(1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벨트를 엔들리스로 한 형상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를 상기 제1이송레일(110) 양 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에 걸어, 금속캔을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내측 면에 톱니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를 위해, 상기 제1회전롤러(120)도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톱니와 대응되도록 외주연에 톱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이송레일지지부(140)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이송레일지지부(140)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안정적으로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면 기울어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2컨베이어(200)는 제2이송레일(210), 제2회전롤러(220), 제2컨베이어벨트(230) 및 제2이송레일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제2이송레일(210)은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2이송레일(210)은 알루미늄캔을 이송시키고자 하는 방향 즉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제2회전롤러(220)는 상기 제2이송레일(2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다.
즉, 상기 제2회전롤러(220)는 축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되, 상기 축은 길이 방향에 수직한 수평 방향으로 고정될 수 있다.
제2컨베이어벨트(230)는 상기 제2이송레일(2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는 벨트를 엔들리스로 한 형상으로,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를 상기 제2이송레일(210) 양 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에 걸어, 알루미늄캔을 이송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때,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는 내측 면에 톱니가 형성된 타이밍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도 1 및 도 3 참조). 이를 위해, 상기 제2회전롤러(220)도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톱니와 대응되도록 외주연에 톱니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이송레일지지부(140)는 상기 제2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한다.
여기서 상기 제2이송레일지지부(140)는 도 1에서와 같이 지면과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제2이송레일지지부(140)을 안정적으로 지면과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면 기울어진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제1회전롤러(120) 중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철캔과 알루미늄캔을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도 1을 예로 설명하면,
철캔의 경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자력에 의해 도 1의 a 지점까지 제1컨베이어벨트(130)에 붙어 이동될 수 있으며, 도 1의 a 지점을 통과하면서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자력이 약해져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알루미늄캔의 경우,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도 1의 b 지점을 통과하면서 하부로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a 지점의 연직방향과 b 지점의 연직방향 사이에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일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 지점의 연직방향에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떨어지는 충격에 의해 튀어 오른 알루미늄캔이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일측으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일측이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제2회전롤러(220) 중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타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혹시라도 상기 철캔거름부(300)로 걸러지지 않은 철캔을 분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회전롤러(220)의 하부에도 상기 철캔거름부(300)와 유사한 형태의 2차철캔거름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이송레일(110)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1가이드레일(111)을 포함하고, 제2이송레일(210)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2가이드레일(2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레일(111, 211)은 컨베이어벨트(130, 230)가 이송레일(110, 210)을 벗어나지 않도록 양 측면에서 상기 컨베이어벨트(130, 230)를 잡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송레일(110, 210)은 가이드레일(111, 211)을 포함한 단면이 'H'자 형상인 H형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111, 211)의 돌출된 높이는 금속캔이 상기 가이드레일(111, 211) 바깥쪽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충분히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송레일(110, 210) 하부에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 또는 알루미늄캔만 적재되는 장소가 존재할 수 있으며, 철캔만 적재되는 장소에 알루미늄캔이 떨어지거나 알루미늄캔만 적재되는 장소에 철캔이 떨어지게 되면, 분류작업이 정확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가이드레일(111, 211)의 돌출된 높이가 충분히 높지 않을 경우에는 별도의 이탈방지 부재를 상기 가이드레일(111, 211)에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컨베이어(100)는 상기 제1이송레일(110)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1텐션조절부(150)를 포함하고, 제2컨베이어(200)는 상기 제2이송레일(210) 일측 또는 타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텐션을 조절하는 제2텐션조절부(2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는, 컨베이어(100, 200)의 장기간 사용 시 컨베이어벨트(130, 230)의 장력(텐션)이 약해질 수 있으며, 장력이 약해지게 되면 헛바퀴가 도는 등의 문제로 컨베이어벨트(130, 230)의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각각의 컨베이어벨트(130, 230)마다 적절한 텐션을 맞출 수 있도록 텐션조절부(150, 2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에 회전롤러(120, 220)의 회전축이 회동되도록 연결되며 길이방향으로 볼트 체결 홈이 형성된 축이동부재, 이송레일(110, 210)에 일측이 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축이동부재가 끼워져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슬라이드 홈이 형성된 축이동가이드부재, 및 상기 축이동가이드부재의 슬라이드 홈에 상기 축이동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축이동부재의 체결홈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볼트를 포함하여, 볼트를 조이거나 풀어, 회전롤러(120, 220)의 회전축을 이동시켜, 컨베이어벨트(130, 230)의 텐션을 조정하는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회전롤러(120, 220)의 길이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컨베이어벨트(130, 230)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하면 어떠한 구조라도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컨베이어(100)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금속캔을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것으로, 인력으로 작업 시, 금속캔을 골라 상기 제1컨베이어(100)에 던져 올리게 된다. 상기 제1컨베이어(100)가 수평이거나 타측이 일측보다 낮도록 형성되면, 금속캔을 너무 세게 던지게 될 때 금속캔이 상기 제1컨베이어를 넘어갈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타측이 일측보다 높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정 간격마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를 구획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의 돌출된 높이는 8 ~ 10 cm 정도로 하여 금속캔 하나의 높이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금속캔이 적층되어 이송되면 상부에 올려진 금속캔은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철캔과 알루미늄캔의 분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의 높이가 금속캔 둘 이상이 쌓이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은 혹시라도 적층된 금속캔이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기 용이하도록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이 일자 형상으로 돌출된 예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V'자, 'W'자, 'S'자 형상 등 금속캔이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금속캔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더 이상 미끄러지지 않도록 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적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아울러,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에도 제1미끄럼방지슬릿(131)과 동일한 제2미끄럼방지슬릿이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특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특정 배열로 다수 배치된 제1적층방지돌기(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적층방지돌기(132)는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 측에 금속캔이 다수 적층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금속캔이 걸리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적층방지돌기(132)는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외측 바닥 면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한 단면 형상으로 상측으로 돌출되다가 상측 일부가 하부 기둥보다 단면적이 커지는 구간을 형성하여, 버섯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는, 금속캔이 보다 용이하게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제1적층방지돌기(132)는 탄성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에 일체형으로 제작이 용이하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에도 제1적층방지돌기(132)과 동일한 제2적층방지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도 5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의 제1컨베이어(100)는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의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적층방지턱(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금속캔이 적층되어 이송되면 상부에 올려진 금속캔은 자력의 영향을 받지 않아, 철캔과 알루미늄캔의 분류 신뢰성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금속캔이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제1컨베이어(100)를 통과하지 않도록 금속캔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외측 바닥면에 고르게 깔려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상기 제1미끄럼방지슬릿(131)의 상부로 일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너비방향으로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를 가로지르도록 형성된 적층방지턱(16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방지턱(160)은 금속캔이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제1컨베이어(100)로 이송되더라도, 상부에 적층된 금속캔이 상기 적층방지턱(160)에 걸려 이송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넘어가도록 하여, 금속캔이 적층되지 않도록 도와준다.
이를 위해, 상기 적층방지턱(160)은 자성체로 형성된 제1회전롤러(120) 이전 구간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작업자의 작업공간 확보를 위해, 제1컨베이어(100) 후단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알루미늄캔수거함(400), 수용량감지센서(410) 및 압축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알루미늄캔수거함(400)는 상기 제2컨베이어(200) 끝단으로부터 떨어지는 알루미늄캔이 투입되는 투입구(401)가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알루미늄캔이 일정량 수용되면 압축부(420)에 의해 상부에서 하부로 알루미늄캔을 압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알루미늄캔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에 형성될 경우, 알루미늄캔을 압착시키기 전에 투입구를 막을 수 있는 구조로 투입구가 구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캔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측부에 형성될 경우, 알루미늄캔의 압축을 시작하는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투입구(401)는 호퍼 형태로 형성할 수 있으며, 호퍼가 연결되는 위치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의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될 수 있다.(도 7 참조)
수용량감지센서(410)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에 수용된 물체의 수용량을 감지한다.
상기수용량감지센서(410)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에 적재된 알루미늄캔의 수용량을 감지하기 위한 것으로, 초음파센서 또는 무게감지센서(로드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로 초음파센서를 사용할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의 상부에 초음파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로 무게감지센서(로드셀)를 사용할 경우,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이 올려지는 부분에 무게감지센서(로드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7에서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가 압축부(420)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의 측면에 설치되는 등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에 적재된 알루미늄캔의 수용량을 감지할 수 있다면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압축부(420)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상측에 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킨다.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알루미늄캔의 압축을 시작하는 높이부터 하측 방향으로 기둥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압축부(420)는 기둥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밑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알루미늄캔의 압축 시 알루미늄캔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알루미늄캔들의 압축된 형태를 일정한 형태로 만들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압축부(420)를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상측에 일부(밑판)가 구비되어 하부로 이동하면서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는 것도, 알루미늄캔들의 압축된 형태를 일정한 형태로 만들기 위함이다. 이는, 측면에서 압축을 시도하면, 하측 압축 밀도가 높아져 동일한 형상으로 압축되지 않을 여지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타측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철캔거름부(30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떨어지는 철캔이 투입되는 투입구가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철캔수거함을 포함하며, 상기 철캔수거함에 수용된 물체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센서, 상기 철캔수거함 내부 상측에 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센서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철캔을 압축시키는 압축기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조 및 작동관계는 상기 도 7의 예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 유사함으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일측면에 일면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면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퇴출부(430)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타측면에 상기 퇴출부(430)로부터 밀려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하는 배출구(402) 및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닫고, 상기 퇴출부가 상기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닫는 개폐도어(4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퇴출부(430)는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퇴출부(430)의 진행방향에 배출구(402)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루미늄캔을 압착시키기 전에 상기 배출구(402)를 막을 수 있도록 개폐도어(403)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상기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압축부(420)를 작동시켜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며, 이후 상기 퇴출부(430)를 작동시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한 후,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420) 및 퇴출부(43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알루미늄캔을 추가 수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압축부(420) 및 퇴출부(430)가 작동되는 동안 상기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동안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 역시 작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는, 전력소모를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의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제1컨베이어
110: 제1이송레일
111: 제1가이드레일
120: 제1회전롤러
130: 제1컨베이어벨트
131: 제1미끄럼방지슬릿 132: 제1적층방지돌기
140: 제1이송레일지지부
150: 제1텐션조절부
160: 적층방지턱
200: 제2컨베이어
210: 제2이송레일
211: 제2가이드레일
220: 제2회전롤러
230: 제2컨베이어벨트
240: 제2이송레일지지부
250: 제2텐션조절부
300: 철캔거름부
400: 알루미늄캔수거함
401: 투입구 402: 배출구
403: 개폐도어
410: 수용량감지센서
420: 압축부
430: 퇴출부

Claims (5)

  1. 타측이 일측보다 높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며, 일측에 올려진 금속캔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1컨베이어(100);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 하부에 상기 제1컨베이어(100)와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일측이 구비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서 넘어온 알루미늄캔을 타측으로 이송하는 제2컨베이어(200); 및
    일측이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과 제2컨베이어(200)의 일측 사이에 구비되고, 타측으로 철캔이 이동되도록 경사진 철캔거름부(30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1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제1이송레일(110);
    상기 제1이송레일(1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
    상기 제1이송레일(1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1회전롤러(1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제1컨베이어벨트(130); 및
    상기 제1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1이송레일지지부(14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컨베이어(200)는
    길이 방향으로 구비된 제2이송레일(210);
    상기 제2이송레일(210) 양 측에 각각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
    상기 제2이송레일(210)과 양 측에 구비된 제2회전롤러(220)를 감싸는 형태로 설치되며, 상기 제2회전롤러(220)의 회전에 따라 물건을 이송하도록 설치되는 제2컨베이어벨트(230); 및
    상기 제2이송레일(110)을 지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제2이송레일지지부(14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회전롤러(120) 중 상기 제1컨베이어(100)의 타측에 구비된 제1회전롤러(120)의 일부 또는 전체가 자성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되,
    상기 제1이송레일(110)은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1가이드레일(111);
    을 포함하고,
    상기 제2이송레일(210)은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을 가이드 하도록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측면에서 상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제2컨베이어벨트(230)의 위치를 가이드 해주는 제2가이드레일(211);
    을 포함하며,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1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길이 방향 일정 간격마다 상기 제1컨베이어벨트를 구획하도록 돌출 형성된 제1미끄럼방지슬릿(131); 및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특정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특정 배열로 다수 배치된 제1적층방지돌기(132);
    을 포함하고,
    상기 재활용 알루미늄 캔 처리장치는
    상기 제2컨베이어(200) 끝단으로부터 떨어지는 알루미늄캔이 투입되는 투입구(401)가 상부 또는 측부에 형성되며, 내부 수용공간이 형성된 알루미늄캔수거함(400);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에 수용된 물체의 수용량을 감지하는 수용량감지센서(410); 및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상측에 일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하부로 이동하여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는 압축부(420); 및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 내부 일측면에 일면이 구비되며,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면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퇴출부(430);
    를 포함하고,
    상기 알루미늄캔수거함(400)은
    타측면에 상기 퇴출부(430)로부터 밀려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하는 배출구(402) 및 상기 압축부(420)에 의해 상기 알루미늄캔이 압축되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닫고, 상기 퇴출부가 상기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타측면으로 밀어내는 동안 상기 배출구(402)를 여는 개폐도어(40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활용 알루미늄 캔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는
    상기 수용량감지센서(410)에 의해 감지된 수용량이 일정 수용량 이상이면 상기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의 작동을 정지시킨 후, 상기 압축부(420)를 작동시켜 상기 알루미늄캔을 압축시키며, 이후 상기 퇴출부(430)를 작동시켜 압축된 알루미늄캔을 배출한 후, 제1컨베이어(100) 및 상기 제2컨베이어(20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KR1020180019786A 2018-02-20 2018-02-20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KR101857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86A KR101857940B1 (ko) 2018-02-20 2018-02-20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9786A KR101857940B1 (ko) 2018-02-20 2018-02-20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940B1 true KR101857940B1 (ko) 2018-06-19

Family

ID=627901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9786A KR101857940B1 (ko) 2018-02-20 2018-02-20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94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4426B1 (ko) * 2019-02-27 2019-10-18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우드칩용 통합 자력선별장치
KR20200085448A (ko) * 2019-01-07 2020-07-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210000857U (ko) * 2019-01-07 2021-04-21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654702B1 (ko) * 2023-06-13 2024-04-09 주식회사 세정크린 재활용품 자동 분류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700A (ja) * 1992-03-06 1993-09-24 Toho Sheet & Frame Co Ltd 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缶体選別圧潰装置
KR960020723U (ko) * 1994-12-16 1996-07-18 이덕환 폐음료캔의 압축기
JPH091395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空缶圧潰装置における缶材質選別機構
JPH106088A (ja) * 1996-06-19 1998-01-13 Sugihara Kogyo:Kk 圧扁及び選別機能を有する空き缶処理装置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KR20100032483A (ko) *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캔 선별 및 압착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5700A (ja) * 1992-03-06 1993-09-24 Toho Sheet & Frame Co Ltd ゴミ処理装置における缶体選別圧潰装置
KR960020723U (ko) * 1994-12-16 1996-07-18 이덕환 폐음료캔의 압축기
JPH091395A (ja) * 1995-06-21 1997-01-07 Hitachi Ltd 空缶圧潰装置における缶材質選別機構
JPH106088A (ja) * 1996-06-19 1998-01-13 Sugihara Kogyo:Kk 圧扁及び選別機能を有する空き缶処理装置
KR100569582B1 (ko) * 2005-10-14 2006-04-10 (주)아이앤씨 수직형 폐캔 자동 압축기
KR20100032483A (ko) * 2008-09-18 2010-03-26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캔 선별 및 압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5448A (ko) * 2019-01-07 2020-07-1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223381B1 (ko) * 2019-01-07 2021-03-05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210000857U (ko) * 2019-01-07 2021-04-21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200495517Y1 (ko) * 2019-01-07 2022-06-13 엠엔테크(주) 재활용 폐기물 선별장치
KR102034426B1 (ko) * 2019-02-27 2019-10-18 해성마그네트 주식회사 우드칩용 통합 자력선별장치
KR102654702B1 (ko) * 2023-06-13 2024-04-09 주식회사 세정크린 재활용품 자동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7940B1 (ko) 재활용 알루미늄캔 처리장치
KR102162265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1019401B1 (ko) 과일 바구니 이송 및 덤핑장치
CN209715696U (zh) 一种矿石分级存储及加工装置
CN108636816A (zh) 一种仓储物流分拣系统
US10968046B2 (en) Cascade conveyor and method for sorting and conveying container closures
CN210235456U (zh) 一种数粒机
CN210526944U (zh) 一种用于核桃的分类包装装置
KR102142958B1 (ko) 플라스틱 폐기물의 라벨 분리장치 및 이를 갖는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KR101301587B1 (ko) 폐기물로부터 고철을 분리하는 시스템
CN107985693B (zh) 口含烟包装系统
CN104998830B (zh) 一种垃圾输送分拣装置
CN102119785A (zh) 烟草加工工业振动输送斗中的纸去除
KR20150004632A (ko) 재활용 쓰레기 처리장치
JP5874065B2 (ja) 飲料用容器の減容設備および資源回収システム
KR10231862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105540237B (zh) 一种易拉罐的自动收料装置
KR102393030B1 (ko) 재활용 폐기물 수거장치
CN106379709A (zh) 一种垃圾分类提升处理设备
CN213262982U (zh) 一种多品种物料混合包装生产线
CN211385848U (zh) 一种注塑件自动分拣收集系统
CN214269149U (zh) 一种螺旋弹簧负荷分选用高效下料装置
KR200437984Y1 (ko) 공용압축기를 구비한 재활용품 선별장치
JP3192447U (ja) 使用済みボトルの選別装置
CN220714931U (zh) 一种压滤机卸料输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