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498B1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498B1
KR101857498B1 KR1020157022107A KR20157022107A KR101857498B1 KR 101857498 B1 KR101857498 B1 KR 101857498B1 KR 1020157022107 A KR1020157022107 A KR 1020157022107A KR 20157022107 A KR20157022107 A KR 20157022107A KR 101857498 B1 KR101857498 B1 KR 10185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cell
information
terminal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21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1950A (ko
Inventor
히사시 후타키
히로아키 아미나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111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1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2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 H04W48/04Access restriction performed under specific conditions based on user or terminal location or mobility data, e.g. moving direction, spee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20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access 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2001/0092Error 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opology of the transmission link
    • H04L2001/0093Point-to-multi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8Allocation criteria
    • H04L5/0069Allocation based on distance or geographical 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단말(3)은, 제1 무선국(1)의 제1 셀(10) 및 제2 무선국(2)의 제2 셀(20)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할 수 있다. 제1 무선국(1)은, 당해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해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무선 단말(3)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 중 적어도 한쪽은,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0)과 무선 단말(30)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0)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예를 들면, RLF)가 발생한 것에 따른 패킷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RADIO COMMUNICATION SYSTEM, RADIO STATION, RADIO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EMPORARY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무선국과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트래픽의 급격한 증대에 의한 통신 품질의 저하의 개선, 및 가일층의 고속 통신의 실현을 위해,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무선 기지국(eNode B : eNB)과 무선 단말(User Equipment : UE)이 복수의 셀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 CA) 기능의 사양화가 행해지고 있다. 또, UE가 CA에서 사용 가능한 셀은 1개의 eNB의 복수 셀(즉, 하나의 eNB가 운용하는 복수 셀)로 한정된다.
CA에 있어서 UE가 사용하는 셀은, CA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서빙 셀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과, PCell에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 분류된다. SCell은 필요에 따라서 UE에 의해 사용되거나 사용이 중지되거나 할 수 있다. SCell의 사용을 개시하는 것을 활성화하는(activate), 또는 액티베이션(activation)이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SCell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을 비활성화하는(deactivate) 또는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이라 부른다. 무선 접속의 (재)확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Re-establishment) 시에, NAS 모빌리티 정보(Non Access Stratum mobility information)나 보안 정보(security input) 등이 PCell을 통해 송수신된다(비특허문헌 1 참조). PCell에 대응하는 DL(downlink) Carrier는 DL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리고, UL(uplink) Carrier는 UL PCC라 불린다. 마찬가지로, SCell에 대응하는 DL Carrier는 DL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리고, UL Carrier는 UL SCC라 불린다.
CA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데이터(DL data) 송수신 시에, PCell의 무선 링크에 있어서 무선 링크 절단(Radio Link Failure : RLF)이 발생했을 경우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절차에 대해서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비특허문헌 2). 여기에서는, UE가 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Cell1)을 PCell로서 사용하고, 제2 셀(Cell2)을 SCell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스텝 S1 및 S2에서는, eNB는 UE에 PCell(Cell1) 및 SCell(Cell2)을 사용하여 DL data를 송신한다. 스텝 S3에서는, PCell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품질이 저하되어 eNB로부터 UE에의 DL Data 송신에 실패한다. 스텝 S4에서는, UE가 PCell(Cell1)에 있어서 RLF를 검출한다. 스텝 S5에서는, UE는 PCell(Cell1)에 있어서 무선 링크의 재접속 요구를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Request). 스텝 S6에서는, UE는 SCell(Cell2)을 해방한다(SCell(Cell2) release). 스텝 S7에서는, eNB는 PCell(Cell1)에 있어서 재접속 요구에의 응답을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스텝 S8에서는, UE는 PCell(Cell1)을 통해 재접속 완료의 보고를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Complete). 이에 따라, UE는 다시 Cell1에서 DL data의 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스텝 S9에서는, eNB는 UE에 PCell(Cell1)을 사용하여 DL data를 송신한다.
도 10에서는 UE가 RLF를 검출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eNB에 있어서 UE보다 먼저 RLF를 검출할 수 있었을 경우에는, eNB가 재접속을 촉발시켜도 된다. 이상과 같이, 통상의 CA에서, PCell에 있어서 발생한 RLF를 UE 또는 eNB에 있어서 검출하여 무선 링크의 접속을 재확립할 수 있다. 따라서, eNB 및 UE는 데이터 송수신을 재개할 수 있어, PCell에서의 RLF에 기인하는 패킷 로스 등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 재접속 완료 후에 다시 SCell(Cell2)을 사용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eNB는, SCell의 설정 정보를 UE에 송신하고(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including SCell configuration), 또한 SCell의 사용 개시를 나타내는 메시지("Activation"이라 부름)를 UE에 송신한다.
3GPP TS 36.300 V11.3.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11)", Section 7.5, September 2012 3GPP TS 36.331 V11.2.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Radio Resource Control(RRC); Protocol specification(Release 11)", Section 5.3.7 and 5.3.11, December 2012 3GPP RWS-120046, Samsung Electronics, "Technologies for Rel-12 and Onwards",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3GPP RWS-120010, NTT DOCOMO, "Requirements, Candidate Solutions & Technology Roadmap for LTE Rel-12 Onward",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은, 무선 단말(UE)이 프라이머리 셀(PCell)에 있어서의 RLF를 검출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무선 링크의 재접속을 실행할 수 있다. 또, CA는 세컨더리 셀(SCell)에 있어서의 RLF를 검출하는 기능을 갖고 있지 않다. 이것은 SCell이 보조적인 셀이고 PCell의 무선 링크가 정상적으로 접속되면 통신을 행함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가 없기 때문이다.
한편, 서로 다른 무선 기지국(eNB)의 셀을 동시에 사용하는 기지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의 제안이 있다(비특허문헌 3 및 4). 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Macro eNB : MeNB)의 셀을 PCell로 하고, 저전력 기지국(Low Power Node : LPN)의 셀을 SCell로 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간(또는 inter-eNB)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PCell과 SCell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베어러가 설정되며, UE와 MeNB 및 UE와 LPN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통상의 CA의 아키텍처를 inter-eNB CA에 적용시켰을 경우, inter-eNB CA에 있어서도 MeNB가 PCell 및 SCell의 무선 파라미터 등의 설정을 제어하는 것이 상정된다. 이 경우, PCell에 있어서의 UE의 RLF 검출 및 무선 링크의 재접속은 통상의 CA와 마찬가지로 행할 수 있다. 그러나, SCell에 있어서의 RLF 검출 및 그에 수반하는 무선 링크의 재접속 등의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 때문에, MeNB가 SCell에 있어서의 RLF가 일어나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여 SCell에 있어서의 통신(예를 들면, 데이터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행해지지 않는 상태가 계속될 가능성이 있다. SCell에 있어서의 통신이 정상이 아닌 상태가 계속되면 패킷 로스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 문제(예를 들면, RLF)가 발생한 것에 따른 패킷 로스를 저감하는 것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태양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 및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무선국 및 상기 무선 단말 중 적어도 한쪽은,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2 태양에서는,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은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 또는 당해 무선 링크에 있어서 문제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무선국 및 상기 무선 단말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수신한다.
제3 태양에서는,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은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무선 단말에 의해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한다.
제4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은,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을 제1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제2 셀로서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제1 무선국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 및 당해 무선 링크에 있어서 문제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한다.
제5 태양에서는,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a)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한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것, 및
(b)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 및 당해 무선 링크에 있어서 문제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무선국 및 상기 무선 단말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수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제6 태양에서는,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a)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것, 및
(b)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제7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a)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제1 무선국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것, 및
(b)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 있어서의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 및 당해 무선 링크에 있어서 문제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것,
을 포함한다.
제8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5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제9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6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제10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7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전술한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세컨더리 셀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예를 들면, RLF)가 발생한 것에 따른 패킷 로스를 저감하는 것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1).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2).
도 7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3).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4).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5).
도 10은 LTE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종래기술).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국(1),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을 포함한다. 무선국(1 및 2)은 코어 네트워크(4)에 접속되며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각각 운용한다. 무선국(1 및 2) 각각은,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기지국 제어국, 또는 통상의 무선 기지국의 일부의 기능(프로토콜 레이어)만을 갖는 간이 무선 기지국이다. 무선 단말(3)은 1개의 무선국의 셀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무선국의 셀도 사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환언하면, 무선 단말(3)은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또는 셀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또, 서로 다른 무선국이란, 독립된 서로 다른 무선국이어도 되고, 어느 무선국과 그에 종속하는 다른 무선국이어도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무선국의 각각이 기능이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국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접속을 유지한 채로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확립"이란, 예를 들면 무선 단말(3)과 무선국(예를 들면, 무선국(1 또는 2))이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 또는 무선 단말(3)과 무선국(예를 들면, 무선국(1 또는 2))이 통신에 필요한 공통 정보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로 되는 것에 상당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3)은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하여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을 동시에 사용함"이란, 실제로 복수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은 되지 않는다. 즉, 복수의 셀의 양쪽에 있어서 무선 단말이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무선 단말이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 각각에서 종류가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혹은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는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셀의 동시 사용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듀얼 접속(Dual Connection)",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 "멀티 접속(Multi Connection)", "멀티 접속성(Multi Connectivity)" 등으로 부를 수도 있다.
무선 단말(3)은, 무선국(1 또는 2)에 대해서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능력을 갖는 것(즉,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능력 보고를 전송해도 된다. 이것 대신에, 무선 단말(3)은 무선 단말(3)의 카테고리 또는 장치 릴리스 번호에 의해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것을 우회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능력은 "듀얼 접속 능력", 또는 "멀티 접속 능력"이라 부를 수도 있다.
도 1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 HetNet)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에 나타난 제1 셀(10)은 제2 셀(20)에 비해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또한, 도 1은 제1 셀(10) 내에 제2 셀(20)이 배치된 계층화 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나타난 셀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셀(10 및 20)은 같은 정도의 커버리지를 가져도 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 환경에 적용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한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제어 및 관리 기능(예를 들면, RRC Laye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제1 무선국(1)은, 셀(10 및 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하여, 셀(10 및 20)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무선 단말(3)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제1 무선국(1)은,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을 제1 셀(10)에 있어서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되고, 제2 무선국(2)을 통해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단말(3)에 설정을 송신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제1 무선국(1)이 제2 무선국(2)에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지만, 제2 무선국(2)은 당해 메시지의 컨텐츠를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제2 무선국(2)이 메시지의 컨텐츠를 알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을 송신할 경우, 제2 무선국(2)은 당해 설정을 다른 다운링크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송신해도 된다.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 중 적어도 한쪽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adio link(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일례에 있어서,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당해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제1 무선국(1)에 의한 제어를 촉발시킨다. 제1 무선국(1)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는, 예를 들면 제2 셀(20)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제2 셀(20)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및 제2 셀(20)과는 다른 셀(예를 들면, 제1 셀(10) 또는 제3 셀)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제2 셀(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제2 셀(20)을 대신한 다른 셀(예를 들면, 제1 셀(10) 또는 제3 셀)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 또는 제2 셀(20)의 무선 링크를 해방하는 지시 등을, 제2 무선국(2) 혹은 무선 단말(3) 또는 이들 양쪽에 송신해도 된다.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예를 들면 무선 링크 절단 혹은 호출 절단(모두 RLF(Radio Link Failure)라고도 부름), 및 동기 어긋남(loss of synchroniz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제2 셀(20)에서 무선 단말(3)이 통신 불능인 바와 같은 심각한 문제에만 한하지 않는다. 무선 링크의 문제는,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의 저하 또는 스루풋의 저하여도 되고,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이 소정 품질을 하회한 것을 또는 스루풋이 소정값을 하회한 것을 나타내는 문턱값 초과 경보여도 된다.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은, 예를 들면 수신 전력, 또는 SINR(Signal to Interference plus Noise Ratio)이다.
제2 무선국(2) 또는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했을 경우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2 무선국(2) 또는 무선 단말(3)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 링크의 문제 등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경우 또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되었을 경우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환언하면,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도 된다.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은,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속도에 관한 지표가 소정의 값을 만족시키는 또는 초과하는 것(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이 고속 이동을 하고 있는 것)에 의거하여 판정되어도 된다.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제1 무선국(1)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에 따라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1 셀(10)을 통해 제1 무선국(1)에 보고해도 된다. 또는, 제1 무선국(1)이 무선 단말(3)로부터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무선 단말(3)이 요구에 응하여 당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제1 무선국(1)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단말(3)과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에 따라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우선 무선 단말(3)이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무선 단말(3)이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한 무선 링크의 문제를 제1 셀(10)을 통해 제1 무선국(1)에 보고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무선국(1)이 제2 무선국(2)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 있어서의 당해 무선 단말(3)과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더 다른 예에 있어서, 우선 제1 무선국(1)이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단말(3)과 제2 무선국(2)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 것을 검출한다(또는 어떠한 방법으로 알아낸다). 다음으로, 제1 무선국(1)이 제2 무선국(2)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며, 그리고 제2 무선국(2)이 당해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는,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되는 정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단말 위치 정보
제2 셀(20)에 있어서 검출된 무선 링크의 문제를 보고하기 위하여 제1 셀(10)에 있어서 무선 단말(3)로부터 제1 무선국(1)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전술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당해 메시지는, 제2 셀(20)의 해방의 요구 또는 제안을 포함해도 되고, 제1 셀(10) 및 제2 셀(20) 모두와 다른 제3 셀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의 확립의 요구 또는 제안을 포함해도 된다.
이상에 기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셀(10 및 20)의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하여, 셀(10 및 20)의 무선 링크 제어를 무선 단말(3)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한,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 중 적어도 한쪽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이에 따라,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는, 서로 다른 무선국(1 및 2)에 의하여 운용되는 셀(10 및 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중에,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가 발생한 것에 따른 패킷 로스를 저감할 수 있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1 및 2), 및 무선 단말(3)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무선국(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11)는 무선 단말(3)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복원한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4)의 데이터 중계 장치 혹은 모빌리티 관리 장치, 또는 다른 무선국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유저 데이터는 상위 네트워크의 데이터 중계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무선 단말(3)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 중 비액세스층(Non-Access Stratum(NAS))의 제어 데이터는 상위 네트워크의 모빌리티 관리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무선국(2)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이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무선국(2)에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3)에 보낼 유저 데이터를 통신부(14)로부터 취득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 레이트 매칭, 인터리빙 등을 행해서 트랜스포트 채널을 생성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데이터 계열에 제어 정보를 부가하여 송신 심볼열을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송신 심볼열에 의거한 반송파 변조, 주파수 변환, 신호 증폭 등을 행해서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3)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이 제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통신 제어부(15)는, 셀(10 및 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하여, 셀(10 및 20)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제1 셀(10)에 있어서 무선 단말(3)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5)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 중 적어도 한쪽으로부터 수신한다. 통신 제어부(15)는, 수신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당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 예를 들면 제2 셀(20)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제2 셀(20)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또는 제2 셀(20)과는 다른 셀에서의 무선 단말(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를 행해도 된다.
도 3은 제2 무선국(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무선 통신부(21), 송신 데이터 처리부(22), 수신 데이터 처리부(23), 및 통신부(2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나타난 무선국(1)의 대응하는 요소, 즉 무선 통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수신 데이터 처리부(13), 및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다.
무선국(2)의 통신 제어부(2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5)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도 4는 무선 단말(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31)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여,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서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31)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국(1) 혹은 무선국(2) 또는 이들 양쪽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32)는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데이터를 데이터 제어부(33)에 보낸다. 데이터 제어부(33)는 수신 데이터를 그 목적에 따라서 이용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34) 및 무선 통신부(31)는, 데이터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이용해서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신호를 무선국(1) 혹은 무선국(2) 또는 이들 양쪽을 향해서 송신한다.
무선 단말(3)의 통신 제어부(3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5)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1 및 2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차예 1)
절차예 1에서는, 무선 단말(3)이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도 5는 절차예 1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 S101 및 S102에서는, 무선 단말(3)은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행한다. 즉, 스텝 S101 및 S102에서는, 제1 무선국(1)이 제1 셀(10)에 있어서 무선 단말(3)과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송수신을 행하고,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 있어서 당해 무선 단말(3)과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스텝 S103에서는,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국(2)과의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행하는 문제를 검출한다. 또,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검출해도 된다. 스텝 S104에서는,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셀(10)을 통해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도 5의 절차에 따르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알 수 있어,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패킷 로스 등을 저감(또는 회피)할 수 있다. 도 5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제2 셀(20)을 대신한 다른 셀(예를 들면, 제1 셀(10) 또는 제3 셀)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 또는 제2 셀(20)의 무선 링크를 해방하는 지시를, 제2 무선국(2) 혹은 무선 단말(3) 또는 이들 양쪽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1의 변형)
도 5에 나타난 절차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무선 단말(3)로부터 제1 무선국(1)에 송신하는 케이스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절차예 1은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우선 제1 무선국(1)이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보고를 무선 단말(3)에 요구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3)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이때,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제2 셀(20)에 한하지 않으며, 무선 단말(3)이 사용하고 있는 제1 셀(10) 또는 다른 셀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링크의 문제가 발생해 있지 않을 경우, 또는 문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무선 단말(3)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문제가 발생해 있지 않은 것(또는 문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은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을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단말(3)은 당해 조건을 기초로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절차예 2)
절차예 2에서는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도 6은 절차예 2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 S201 및 S202의 처리는, 절차예 1에 관하여 설명한 도 5의 스텝 S101 및 S102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203에서는,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3)과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다. 제2 무선국(2)은, 무선 단말(3)과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검출해도 된다. 스텝 S204에서는,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도 6의 절차에 따르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알 수 있어, 그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패킷 로스 등을 저감(또는 회피)할 수 있다. 도 6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제2 셀(20)을 대신한 다른 셀(예를 들면, 제1 셀(10) 또는 제3 셀)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 또는 제2 셀(20)의 무선 링크를 해방하는 지시를, 제2 무선국(2) 혹은 무선 단말(3) 또는 이들 양쪽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2의 변형 1)
도 6에 나타난 절차는,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2 무선국(2)으로부터 제1 무선국(1)에 송신하는 케이스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절차예 2는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우선 제1 무선국(1)이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보고를 제2 무선국(2)에 요구한다. 그리고, 제2 무선국(2)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제2 셀(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제2 셀(20)에 한하지 않으며, 무선 단말(3)이 사용하고 있고 제2 무선국(2)이 운용하는 다른 셀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도 대상으로 해도 된다.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링크의 문제가 발생해 있지 않을 경우, 또는 문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무선국(2)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문제가 발생해 있지 않은 것(또는 문제가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은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조건을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제2 무선국(2)은 당해 조건을 기초로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해도 된다.
(절차예 2의 변형 2)
절차예 2는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우선 무선 단말(3)이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하고, 무선 단말(3)은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를 제1 무선국에 보고한다. 다음으로, 제1 무선국(1)은, 무선 링크 상태 정보의 송신원인 무선 단말(3)의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제2 무선국(2)에 요구한다. 그리고, 제2 무선국(2)은 제1 무선국(1)으로부터의 요구에 응답해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제1 무선국에 송신한다. 무선 단말(3)로부터 제1 무선국(1)에 송신되는 무선 링크 상태 정보는, 예를 들면 문제가 검출된 셀의 셀 식별자(Cell ID), 및 문제의 종류(즉, 어떠한 종류의 문제가 발생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를 3GPP LTE 시스템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단, 무선국(1 및 2)은 eNB에 상당하며, 무선 단말(3)은 UE에 상당하고, 코어 네트워크(4)는 EPC(Evolved Packet Core)에 상당한다. 무선국간(즉, eNB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직접 인터페이스인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EPC를 경유하는 인터페이스인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혹은 새로이 규정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X3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이하에서는, 무선국(1 및 2)을 eNB1 및 eNB2, 무선 단말(3)을 UE(3)로 하고, 코어 네트워크(4)를 EPC(4)로 하여 설명한다.
무선 단말(UE)(3)은, 제1 셀(10)(Cell(10))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접속을 유지한 채로 제2 셀(20)(Cell(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무선 접속의 확립"이란, 예를 들면 UE(3)와 eNB(예를 들면, eNB1 또는 eNB2)가 통신 가능한 상태로 되는 것(예를 들면, RRC Connection Setup 절차가 이미 완료되어 있음), 또는 UE(3)와 eNB(예를 들면, eNB1 또는 eNB2)가 통신에 필요한 공통 정보(예를 들면, UE context)를 공유하고 있는 상태로 되는 것에 상당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UE(3)는, 서로 다른 무선국(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 또는 "Inter-Site CA"라 부름)을 서포트한다. 또, 여기에서의 "Inter-eNB CA"란, 실제로 서로 다른 eNB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은 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Inter-eNB CA"는, UE(3)가 서로 다른 eNB의 셀의 양쪽에 있어서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UE(3)가 어느 하나의 eNB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에서 종류가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혹은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적용예로서, UE(3)가 eNB1의 Cell(10)을 프라이머리 셀(PCell)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UE(3)가 eNB2의 Cell(20)을 세컨더리 셀(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을 행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프라이머리 셀(PCell)은 CA를 개시하기 전에 이미 사용되고 있던 셀이다. 반면, 세컨더리 셀(SCell)은 UE(3)가 이미 프라이머리 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PCell에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되는(활성화되는) 셀이다. PCell에서는, 무선 접속의 확립(즉 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나 무선 접속의 재확립(즉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시에, NAS 모빌리티 정보(Non-Access Stratum mobility information) 및 보안 정보(security input) 등이 송수신된다. PCell에 대해 사용되는 DL Component Carrier가 DL PCC이고, PCell에 대해 사용되는 UL Component Carrier가 UL PCC이다. 마찬가지로, SCell에 대해 사용되는 DL Component Carrier가 DL SCC이고, SCell에 대해 사용되는 UL Component Carrier가 UL SCC이다.
무선 단말(UE)(3)은 제1 셀(10)(Cell(10), 예를 들면 PCell)에서 제1 무선 기지국(eNB)(1)과의 무선 접속(RRC Connection)을 확립하고, 제2 셀(20)(Cell(20), 예를 들면 SCell)에서 제2 무선 기지국(eNB)(2)과의 무선 접속을 확립한다. eNB1은 Cell(10) 및 Cell(20)에 있어서의 제어 및 관리 기능(예를 들면, RRC Layer)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eNB1은, Cell(10) 및 Cell(20)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기 위하여, Cell(10) 및 Cell(20)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UE(3)와의 사이에서 행한다. eNB1은,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예를 들면, Radio Resource Configuration)을 Cell(10)에 있어서 UE(3)에 송신해도 되고, eNB2를 통해 Cell(20)에 있어서 UE(3)에 설정을 송신해도 된다. 후자의 경우, eNB1이 eNB2에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을 포함하는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 또는 S1 인터페이스(혹은 신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지만, eNB2는 당해 메시지의 컨텐츠를 반드시 알아야 할 필요는 없다. 또는, eNB2가 메시지의 컨텐츠를 알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eNB2가 Cell(20)에서 무선 리소스 제어에 관한 설정을 송신할 경우, 당해 설정을 다른 데이터의 송신과 마찬가지로 Data Radio Bearer(DRB)에서 송신해도 된다.
eNB2 및 UE(3) 중 적어도 한쪽은, Cell(20)에 있어서의 eNB2와 UE(3)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를 eNB1에 송신한다. 일례에 있어서,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당해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eNB1에 의한 제어를 촉발한다. eNB1에 의해 행해지는 제어는, 예를 들면 Cell(20)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Radio Link Recovery), Cell(20)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Radio Link Release, RRC Connection Release), 및 Cell(20)과는 다른 셀(예를 들면, Cell(10) 또는 제3 셀)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RRC Connection Setu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eNB1은,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에 의거하여, Cell(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Cell(20)을 대신한 다른 셀(예를 들면, Cell(10) 또는 제3 셀)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 또는 Cell(20)의 무선 링크를 해방하는 지시 등을, eNB2 혹은 UE(3) 또는 이들 양쪽에 송신해도 된다.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예를 들면 무선 링크 절단 혹은 호출 절단(모두 RLF(Radio Link Failure)라고 부름), 및 동기 어긋남(loss of synchroniz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는, UE(3)가 Cell(20)에서 통신 불능인 바와 같은 심각한 문제에만 한하지 않는다. 무선 링크의 문제는,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의 저하 또는 스루풋의 저하여도 되고,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이 소정 품질을 하회한 것을 또는 스루풋이 소정값을 하회한 것을 나타내는 문턱값 초과 경보의 발생이어도 된다. 무선 링크의 수신 품질은, 예를 들면 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RSRP), 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RSRQ), 또는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RSSI)일 수 있다.
eNB2 또는 UE(3)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했을 경우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를 eNB1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eNB2 또는 UE(3)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무선 링크의 문제 등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경우 또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되었을 경우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1에 송신해도 된다. 환언하면,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도 된다. 무선 링크의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은, 예를 들면 UE(3)의 이동 속도 또는 이동 속도에 관한 지표(예를 들면, Mobility State)가 소정의 값을 만족시키는 또는 초과하는 것에 의해 판정되어도 된다(예를 들면, 이동 단말이 고속 이동 단말인지에 의거해).
UE(3)는,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eNB1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예를 들면, UE(3)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에 따라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Cell(10)을 통해 eNB1에 보고해도 된다. 또는, eNB1이 UE(3)에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UE(3)가 요구에 응해 당해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eNB2는,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송신해도 되고, 또는 eNB1의 요구에 따라서 송신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eNB2는, Cell(20)에 있어서 UE(3)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에 따라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자발적으로 eNB1에 송신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우선 UE(3)가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다. 다음으로, UE(3)가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Cell(10)을 통해 eNB1에 보고해도 된다. 그리고 eNB1이 eNB2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해도 된다. 마지막으로 eNB2가 Cell(20)에 있어서의 당해 UE(3)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1에 송신해도 된다. 또 다른 예에 있어서, 우선 eNB1이 Cell(20)에 있어서 UE(3)와 eNB2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 것을 검출해도 된다(또는 어떠한 방법으로 알아내도 된다). 다음으로, eNB1이 eNB2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을 요구하며, 그리고 eNB2가 당해 정보를 eNB1에 송신해도 된다.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RL problem related information)는, 예를 들면 이하에 열거되는 정보 요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 트리거 정보(Trigger information)
· 단말 식별자(UE identity)
· 셀 식별자(Cell identity)
· 베어러 식별자(bearer identity)
· 데이터 송수신 상황(data status)
·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measurement information)
· 단말 이동 속도 정보(UE speed information)
· 단말 위치 정보(UE location information)
트리거 정보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게 된 요인(Cause), 예를 들면 SCell에서 RL problem을 검출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SCell RL problem)여도 되고, 전술한 무선 링크의 문제 중 무엇에 상당하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이것 대신에, 트리거 정보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하는 것의 목적(또는 Intention), 예를 들면 당해 정보의 송신에 의해 무엇을 기대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예를 들면, 트리거 정보는 무선 링크의 회복, 무선 링크의 해방, 혹은 새로운 무선 링크의 확립 등을 나타내도 된다.
단말 식별자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에 있어서의 일시적인 단말 식별자여도 되고, 단말 고유 식별자여도 된다. 일시적인 단말 식별자는, 예를 들면 Cell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C-RNTI), 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TMSI), 또는 Short Message Authentication Code Identity(Short MAC-I)이다. 단말 고유 식별자는, 예를 들면 International Mobile Subscriber Identity(IMSI)이다.
셀 식별자는, 예를 들면 물리 셀 식별자(Physical Cell Identifier(PCI)), 논리 셀 식별자(E-UTRAN Cell Global Identifier(ECGI)), 고도화 셀 식별자(Enhanced Cell ID(E-CID)), 또는 의사 셀 식별자(Virtual Cell ID(V-CID)) 중 어느 하나이다.
베어러 식별자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에 있어서의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여도 되고, 네트워크 베어러의 식별자여도 된다. 무선 베어러의 식별자는, 예를 들면 Data Radio Bearer Identity(DRB-Identity)이다. 네트워크 베어러의 식별자는, 예를 들면 eps-BearerIdentity, 또는 EPS Radio Access Bearer Identity(E-RAB ID)이다.
데이터 송수신 상황은,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에 있어서의 데이터 송신 또는 수신에 관한 상황(예를 들면, Sequence Number(SN) Status, 또는 Radio Link Control(RLC) Status)이어도 되고, 송신 또는 수신이 완료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data flag)여도 된다.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이나 당해 셀의 주변 셀의 단말 측정 결과(measurement results)여도 된다.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는, 소정의 무선 품질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단말 이동 속도 정보는 무선 단말의 이동 속도(UE speed)를 나타내도 된다. 이것 대신에, 단말 이동 속도 정보는, 무선 단말의 이동 속도의 레벨을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High speed, Medium speed, Low speed, 또는 Normal speed, 혹은 Mobility State가 High, Medium, 또는 Normal 등)여도 되고, 무선 단말의 이동 속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시키는지의 여부의 정보(예를 들면, 고속 이동 단말인지의 여부의 정보)여도 된다.
단말 위치 정보는,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예를 들면, Global Positioning System(GPS) location information, 또는 positioning information)여도 되고, 대략의 무선 단말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예를 들면, 무선 품질과 셀 ID의 조합인 RF fingerprint)여도 된다. 또는, 단말 위치 정보는 무선 단말이 옥내인지 옥외인지를 나타내는 정보여도 된다.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보고하기 위하여 Cell(10)을 통해 UE(3)로부터 eNB1에 송신되는 메시지는, 전술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당해 메시지는, Cell(20)의 해방의 요구 또는 제안(SCell release request, 또는 SCell (re)configuration request-release)을 포함해도 되고, Cell(10) 및 Cell(20) 모두와 다른 제3 셀에 있어서의 무선 접속의 확립의 요구 또는 제안(SCell (re)configuration request-Cell3 addition)을 포함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3∼6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 UE(3)가, eNB1의 Cell(10)을 PCell로서 이미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eNB2의 Cell(20)을 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을 행하는 것을 상정한다. 여기에서, UE(3)가 Cell(20)(즉, SCell)에 있어서 RLF의 발생을 판정하기 위한 타이머는, Cell(10)(즉, PCell)에 있어서의 타이머 T310과 공통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타이머 T3XY(예를 들면, T312)를 규정해도 된다. 또한, 타이머 T3XY의 값은 T310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RLF의 발생의 판정에 이용하는 수신 품질의 문턱값(들)(Qin과 Qout)도 PCell에 대한 문턱값과 같아도 되고, 달라도 된다(예를 들면, Qin-SCell과 Qout-SCell, 또는 Qin2와 Qout2).
(절차예 3)
절차예 3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1에 대응한다. 즉, UE(3)가 Cell(20)(즉, SCell)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1에 송신한다. 도 7은 절차예 3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7에 있어서, Cell(10)(즉, PCell)은 "CELL1"로 표시되고, Cell(20)(즉, SCell)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1대의 UE(3)가 UE1로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301 및 S302에서는, UE(3)는 CELL1 및 CELL2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실행한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스텝 S301에서는, eNB1이 CELL1에 있어서 다운링크 제어 신호(DL signaling) 혹은 다운링크 데이터(DL data) 또는 이들 양쪽을 UE1에 송신한다. 스텝 S302에서는, eNB2가 CELL2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DL data)를 UE(3)에 송신한다.
스텝 S303 및 S304에서는, UE(3)는 CELL2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다(Radio link problem detection). 스텝 S305에서는, UE(3)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CELL1을 통해 eNB1에 송신한다(Radio link problem report(including Radio link problem related information of CELL2)).
스텝 S306∼S309에서는, eNB1은, CELL2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당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즉, 스텝 S306에서는, eNB1은, CELL2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UE(3)(도 7 중의 UE1)를 위하여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의 해방을 eNB2에 지시한다(CELL2 reconfiguration indication(including request of UE1's bearer release)). 스텝 S307에서는, eNB2는 UE(3)를 위한 베어러를 해방하고 eNB1에 베어러 해방 완료를 보고한다(CELL2 reconfiguration response(including completion of UE1's bearer release)). 스텝 S308에서는, eNB1은 UE(3)에 CELL2(즉, CELL2의 베어러)의 해방과 CELL1의 무선 리소스 설정(Radio Resource Configuration)의 재설정을 지시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including CELL2 release and CELL1 reconfiguration)).
도 7에 나타난 예에서는, UE(3)는 CELL2에 있어서 실행하고 있던 DL data의 수신을 CELL1에서 계속한다(즉, 인계함). 이 경우, CELL1의 무선 리소스 설정의 재설정의 지시는, 예를 들면 CELL2에 있어서 설정하고 있던(즉, CELL2에 있어서 사용하고 있던) 베어러를 CELL1의 베어러로서 설정하는 것, 또는 CELL2에 있어서 실행하고 있던 데이터 통신(도 7에서는 DL data 수신)을 CELL1에서 인계하는 것 등의 지시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스텝 S309에서는, eNB1은 UE(3)에 CELL1에 있어서 DL signaling 및 DL data의 송신을 행한다.
도 7의 절차에 따르면, eNB1은,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알 수 있어,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패킷 로스 등을 저감(또는 회피)할 수 있다.
(절차예 3의 변형)
도 7에 나타난 절차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UE(3)로부터 eNB1에 송신하는 케이스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절차예 3은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eNB1이 eNB2에 UE(3)의 베어러 해방의 지시를 행할 경우에, eNB1이 Cell(20)에 있어서의 UE(3)의 데이터 통신 상황(예를 들면, SN status)을 eNB2에 요구하고, eNB2가 eNB1에 당해 데이터 통신 상황을 보고해도 된다.
도 7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eNB1이 eNB2에 설정되는 Cell(20)에 있어서의 베어러의 설정을 Cell(10)에 있어서 인계하여 사용할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EPC)(4)의 재설정도 필요하다. 예를 들면, eNB1은, UE(3)의 베어러의 (재)설정을 EPC(4) 내의 Mobility Management Entity(MME)에 요구하고, 이어서 MME가 eNB1에 베어러 설정 지시를 보낸다. 또한, MME가 User Plane(Data)의 경로 전환(Path switch request)을 S-GW에 지시하고, S-GW가 경로 전환(Path switch)을 행한다.
도 7은 Cell(20)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의 문제에의 대처를 나타내고 있지만, Cell(20)에 있어서의 업링크 데이터(UL data)의 송수신의 문제에의 대처도 마찬가지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7은, Cell(20)에 있어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eNB1이 Cell(10)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eNB1은, Cell(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또는 Cell(10) 및 Cell(20) 모두와 다른 셀(예를 들면, 제3 셀(CELL3))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를, Cell(10)을 통해 UE(3)에 송신해도 된다.
UE(3)는, Cell(20)을 대신한 셀을 세컨더리 셀(SCell)로서 설정(즉, 추가)하는 요구, 또는 Cell(20)을 SCell(들)로부터 제외하는 요구를 eNB1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4)
절차예 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2에 대응한다. 즉, eNB2가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1에 송신한다. 도 8은 절차예 4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또, 도 8에 있어서, Cell(10)(즉, PCell)은 CELL1로 표시되고, Cell(20)(즉, SCell)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1대의 UE(3)가 "UE1"로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401 및 S402의 처리는 절차예 3에 관하여 설명한 도 7의 스텝 S301 및 S302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403 및 S404에서는, eNB2는, CELL2에 있어서 UE(3)(도 8 중의 UE1)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 것을 검출한다(Radio link problem detection for UE1). 스텝 S405에서는, eNB2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1에 송신한다(Radio link problem report(including Radio link problem related information of UE1 at CELL2)).
스텝 S406∼S409에서는, eNB1은, CELL2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한 것에 따라서, 당해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처리를 행한다. 스텝 S406∼S409의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스텝 S306∼S309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8의 절차에 따르면, eNB1은,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를 알 수 있어, 그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패킷 로스 등을 저감(또는 회피)할 수 있다.
(절차예 4의 변형)
도 8에 나타난 절차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2로부터 eNB1에 송신하는 케이스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절차예 4는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eNB2는, Cell(20)에 있어서 UE(3)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에 문제가 있는 것을 검출했을 경우, 우선 당해 검출을 보고하는 메시지를 송신하고, 후속의 메시지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상세한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후속의 메시지는, 예를 들면 eNB1로부터의 요구에 대한 응답 메시지로서 eNB2에 의하여 송신되어도 된다.
도 8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eNB1이 eNB2에 설정된 Cell(20)에 있어서의 베어러의 설정을 인계하여 Cell(10)에 있어서 사용할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EPC)(4)의 재설정도 필요하다. 코어 네트워크의 재설정은 절차예 3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서 행해져도 된다.
도 8은 Cell(20)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수신의 문제에의 대처를 나타내고 있지만, Cell(20)에 있어서의 업링크 데이터(UL data)의 송수신의 문제에의 대처도 마찬가지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8은,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eNB1이 Cell(10)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eNB1은, Cell(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또는 Cell(10) 및 Cell(20) 모두와 다른 셀(예를 들면, 제3 셀(CELL3))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를, Cell(10)을 통해 UE(3)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5)
절차예 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2의 변형에 대응한다. 절차예 5에서는, UE(3)가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을 무선 링크 상태 정보(Radio Link Status Information)로서 eNB1에 보고하며, eNB1이 eNB2에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요구하고, eNB2가 당해 요구에 따라서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송신한다.
예를 들면, 무선 링크 상태 정보는 Radio Link Failure(RLF) report를 포함해도 된다. 여기에서, LTE에 있어서의 RLF report는 통상은 PCell에 있어서의 RLF에 관한 정보이지만, SCell에 있어서의 RLF에 관한 정보로 확장하는 것을 상정한다. 즉, RLF report는 하기의 어느 것의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 RLF를 검출한 SCell의 식별자(failedSCellId)
· RLF를 검출한 SCell의 단말 측정 결과(measurementResultLastServSCell)
· SCell에서 RLF를 검출한 시점에서 인접 셀의 단말 측정 결과(measResultNeighCells)
· SCell에서 RLF를 검출한 시점에서 무선 단말의 위치 정보(locationInfo)
· SCell에서 RLF를 검출한 요인(rlf-Cause-SCell)
· SCell에서 RLF를 검출하고나서의 경과 시간(timeSinceFailure-SCell)
또, SCell에서 RLF를 검출한 요인을 나타내기 위해, PCell에서 RLF를 검출한 요인(즉, 현행 LTE의 규정)에 새로이 t3XY-Expiry(예를 들면, t312-Expiry)를 새롭게 추가해도 된다.
도 9는 절차예 5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9에 있어서, Cell(10)(즉, PCell)은 "CELL1"로 표시되고, Cell(20)(즉, SCell)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1대의 UE(3)가 "UE1"로서 표시되어 있다.
도 9의 스텝 S901∼S904의 처리는 절차예 3에 관하여 설명한 도 7의 스텝 S301∼S304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505에서는, UE(3)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것을 무선 링크 상태 정보로서 eNB1에 송신한다(Radio link problem report(including Radio link status information, e.g. RLF in CELL2)). 스텝 S506에서는, eNB1은, 무선 링크의 문제를 검출한 UE(3)(도 9 중의 UE1)와의 사이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의 송신과, 당해 UE(3)(도 9 중의 UE1)를 위하여 설정되어 있는 베어러의 해방을 지시한다(CELL2 reconfiguration indication(including request of Radio link problem related information and UE1's bearer release)). 스텝 S507에서는, eNB2는, UE(3)를 위한 베어러를 해방하여,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 및 베어러 해방 완료를 eNB1에 보고한다(CELL2 reconfiguration response(including Radio link problem related information and completion of UE1's bearer release)). 그 후의 스텝 S508 및 S509의 처리는 도 7에 나타낸 스텝 S308 및 S309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9의 절차에 따르면, eNB1은, Cell(20)에 있어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를 알 수 있어, 그 문제에 적절하게 대처함으로써 패킷 로스 등을 저감(또는 회피)할 수 있다.
(절차예 5의 변형)
도 9에 나타난 절차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eNB2로부터 eNB1에 송신하는 케이스의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절차예 5는 이하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도 9에는 나타나 있지 않지만, eNB1이 eNB2에 설정된 Cell(20)에 있어서의 베어러의 설정을 인계하여 Cell(10)에 있어서 사용할 경우에는, 코어 네트워크(EPC)(4)의 재설정도 필요하다. 코어 네트워크의 재설정은 절차예 3에 나타낸 절차에 따라서 행해져도 된다.
도 9는 Cell(20)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데이터의 송신의 문제에의 대처를 나타내고 있지만, Cell(20)에 있어서의 업링크 데이터(UL data)의 송신의 문제에의 대처도 마찬가지로 실현되어도 된다.
도 9는, Cell(20)에 있어서의 무선 링크의 문제에 대처하기 위하여, eNB1이 Cell(10)에서의 UE(3)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를 행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eNB1은, Cell(20)의 무선 링크의 회복을 위한 지시, 또는 Cell(10) 및 Cell(20) 모두와 다른 셀(예를 들면, 제3 셀(CELL3))에 있어서 무선 링크를 확립하는 지시를, Cell(10)을 통해 UE(3)에 송신해도 된다.
UE(3)는, Cell(20)을 대신한 셀을 세컨더리 셀(SCell)로서 설정하는 요구, 또는 Cell(20)을 SCell로부터 제외하는 요구 등을 eNB1에 송신해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 있어서, 제1 무선국(1)과 제2 무선국(2) 사이의 정보("메시지"라고도 부름)의 송수신은, 예를 들면 LTE X2 인터페이스 등의 직접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해져도 되고, 또는 LTE S1 인터페이스 등의 코어 네트워크(e.g. EPC)(4)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행해져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적용처로서는, 제1 무선국(1)(eNB1)이 비교적 커버리지가 큰 매크로 셀을 운용(관리)하는 매크로 무선 기지국(Macro eNB : MeNB)이고, 제2 무선국(2)(eNB2)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을 운용(관리)하는 저전력 무선 기지국(Low Power Node : LPN)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LPN으로서는, 예를 들면 MeNB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지니는 피코 무선 기지국(Pico eNB : PeNB)이나, MeNB에 비해 기능이 적은 새로운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New Node)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혹은, MeNB가 LPN 및 LPN 셀에 있어서의 제어 기능(예를 들면, RRC 레이어)을 관리하는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2 셀(20)은, 종래의 셀과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캐리어(New Carrier Type)를 구성 요소로 하는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셀(New Cell Type)이어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무선국(1)(통신 제어부(15)), 무선국(2)(통신 제어부(25)), 및 무선 단말(3)(통신 제어부(35))에 의해 행해지는 통신 제어 방법은, 모두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반도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한, 이들 처리는,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e.g. 마이크로프로세서,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현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차트 및 시퀀스도에 나타난 알고리즘을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하는 1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당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자기(磁氣)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한다. 또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하여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전선 및 광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LTE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LTE 시스템 이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1xRTT, HRPD(High Rate Packet Dat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및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건 발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 사상의 적용에 관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즉, 당해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13년 2월 28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3-038971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참조에 의해 여기에 도입한다.
1 : 제1 무선국
2 : 제2 무선국
3 : 무선 단말
10 : 제1 셀
20 : 제2 셀
15 : 통신 제어부
25 : 통신 제어부
35 : 통신 제어부

Claims (49)

  1.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과,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과,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듀얼 접속성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무선국은,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무선 링크의 절단, 호출 절단, 동기(同期) 어긋남, 수신 품질의 저하, 및 스루풋(throughput)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상기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는 무선 통신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국은,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을, 상기 무선 단말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이동 속도를 추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국은, 상기 문제를 검출하고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상기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국은,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
  10.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를 촉발(trigger)시키는 무선 통신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는,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또는 상기 제2 셀과는 다른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12.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으로서,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서포트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무선 단말과 상기 듀얼 접속성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상기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제1 무선국.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무선국.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무선 링크의 절단, 호출 절단, 동기 어긋남, 수신 품질의 저하, 및 스루풋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무선국.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상기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는 제1 무선국.
  16.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2 셀의 재설정의 요구를 상기 무선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제1 무선국.
  17.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무선 단말의 상기 제2 셀에서의 통신에 관한 제어를 행하는 제1 무선국.
  18.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를 촉발시키는 제1 무선국.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는,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또는 상기 제2 셀과는 다른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1 무선국.
  20.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서포트하는 통신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무선 단말에 의해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제2 무선국.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무선국.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무선 링크의 절단, 호출 절단, 동기 어긋남, 수신 품질의 저하, 및 스루풋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무선국.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상기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는 제2 무선국.
  24. 삭제
  25.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를 촉발시키는 제2 무선국.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는,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또는 상기 제2 셀과는 다른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제2 무선국.
  27.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제어 수단은,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을, 상기 무선 단말의 이동 속도 또는 상기 이동 속도를 추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판정하는, 제2 무선국.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7.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무선 링크의 절단, 호출 절단, 동기 어긋남, 수신 품질의 저하, 및 스루풋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38.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상기 문제가 일어날 것 같은 것, 또는 상기 문제가 일어났었지만 회복된 것을 나타내는 통신 제어 방법.
  39. 제35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통신 제어 방법.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에 대처하기 위한 상기 제1 무선국에 의한 제어는,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회복 제어, 상기 제2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해방 제어, 또는 상기 제2 셀과는 다른 셀에서의 상기 무선 단말의 무선 링크의 확립 제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41.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으로서,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으로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는, 트리거 정보, 단말 식별자, 셀 식별자, 베어러 식별자, 데이터 송수신 상황, 무선 품질의 측정 정보, 단말 이동 속도 정보, 및 단말 위치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43. 제41항 또는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문제는, 상기 무선 링크의 절단, 호출 절단, 동기 어긋남, 수신 품질의 저하, 및 스루풋의 저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통신 제어 방법.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기 위해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무선 리소스 제어를 무선 단말과의 사이에서 행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2 무선국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48.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에서의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로서,
    상기 통신 제어 방법은,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이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으로 무선 단말과 통신하는 단계, 및
    상기 듀얼 접속성이 행해지고 있을 때 상기 제2 셀에서 상기 제2 무선국과 상기 무선 단말 사이의 무선 링크에서 발생하는 무선 링크의 문제에 관한 정보를 상기 제1 무선국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49. 삭제
KR1020157022107A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1857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8971 2013-02-28
JP2013038971 2013-02-28
PCT/JP2014/000455 WO2014132560A1 (ja) 2013-02-28 2014-01-29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無線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1815A Division KR20170012580A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87012815A Division KR101898948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1950A KR20150111950A (ko) 2015-10-06
KR101857498B1 true KR101857498B1 (ko) 2018-05-14

Family

ID=51427840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390A KR102037862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97031271A KR102073680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57022107A KR101857498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87012815A KR101898948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77001815A KR20170012580A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4390A KR102037862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97031271A KR102073680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12815A KR101898948B1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77001815A KR20170012580A (ko) 2013-02-28 2014-01-29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7) US10206242B2 (ko)
EP (3) EP3059994B1 (ko)
JP (6) JP6443326B2 (ko)
KR (5) KR102037862B1 (ko)
CN (2) CN110535615A (ko)
ES (1) ES2700648T3 (ko)
WO (1) WO20141325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443326B2 (ja) 2013-02-28 2018-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WO2014206489A1 (en) * 2013-06-28 2014-12-31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Master base station-controlled response to detected failure of radio link between secondary base station and mobile station in dual connectivity wireless networks
CN104349361B (zh) * 2013-08-06 2019-05-17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资源控制连接的方法及装置
EP2836050B1 (en) * 2013-08-09 2017-07-19 HTC Corporation Method, device and network for 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allocation in dual connectivity
EP3072326B1 (en) * 2013-11-19 2019-08-21 Nokia Technologies Oy Apparatuse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handover failure modes
JP2015142363A (ja) * 2014-01-30 2015-08-03 株式会社Nttドコモ 移動局、再接続要求方法、基地局及び再接続要求処理方法
CN106465435A (zh) * 2014-03-21 2017-02-22 诺基亚通信公司 双连接重建
EP3120599B1 (en) 2014-03-21 2021-03-17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obility robustness optimization in a cellular network
CN111432495B (zh) * 2014-06-23 2023-10-13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以及进行移动性测量的方法
JP2016076748A (ja) * 2014-10-02 2016-05-12 富士通株式会社 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制御方法
US11102787B2 (en) * 2014-12-19 2021-08-24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Interference detection and remedy
US11089648B2 (en) * 2015-01-30 2021-08-10 Kyocera Corporation User terminal for executing dual connectivity
US10455460B2 (en) * 2015-03-18 2019-10-2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rocessing loss of acces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therefor
JP6614239B2 (ja) * 2015-08-11 2019-12-04 日本電気株式会社 デュアルコネクティビティに関連する装置及び方法
CN108141862B (zh) 2015-10-06 2022-01-28 日本电气株式会社 与双连接相关的设备
KR102460350B1 (ko) * 2015-11-06 2022-10-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12887000B (zh) * 2016-05-31 2022-07-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息反馈方法、装置及系统
CN108024288A (zh) 2016-11-04 2018-05-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信息处理方法及装置
CN109246173B (zh) * 2017-06-16 2023-02-17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会话操作的控制方法及装置
WO2018230982A1 (en) 2017-06-16 2018-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639615B1 (en) 2017-06-16 2021-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connec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13301596B (zh) * 2017-11-24 2023-06-06 北京禾怡管理咨询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方法及装置
CN110022613B (zh) * 2018-01-10 2019-12-1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波束接收失败的上报方法、用户设备及通信系统
US11553555B2 (en) * 2018-02-15 2023-01-1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s and apparatuses for faster radio frequency activation
CN112020897B (zh) * 2018-04-05 2024-02-13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网络中的用户设备、网络节点以及方法
WO2020061869A1 (zh) * 2018-09-27 2020-04-0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链路恢复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2889306B (zh) * 2018-10-09 2023-11-10 华为技术有限公司 用于网络接入管理的网络实体和基站
KR20200047401A (ko) * 2018-10-25 2020-05-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캐리어 환경에서 무선 링크 관리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N111432422A (zh) * 2019-01-10 2020-07-17 索尼公司 电子装置、无线通信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3917201B1 (en) 2019-03-29 2024-01-10 Honda Motor Co., Ltd.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MX2021014442A (es) * 2019-06-07 2021-12-15 Ntt Docomo Inc Terminal y estacion de base.
EP4007338A1 (en) * 2019-07-31 2022-06-01 Ntt Docomo, Inc. Terminal and communication node
JP6776427B1 (ja) * 2019-10-03 2020-10-28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コネクタ
WO2022029901A1 (ja) * 2020-08-04 2022-02-10 株式会社Nttドコモ 端末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878A2 (en) 2010-12-03 2012-06-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erform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carrier aggregation
US20120281548A1 (en) * 2011-05-03 2012-11-08 Mediatek, Inc. Scell radio link monitoring an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Family Cites Families (4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336813D1 (de) * 2003-09-23 2011-06-01 Panasonic Corp Protokolkontextübertragung in einem Mobilfunkkommunikationsystem
US20060153085A1 (en) * 2004-12-27 2006-07-13 Willins Bruce A Method and system for recovery from access point infrastructure link failures
DE602007014415D1 (de) * 2007-06-13 2011-06-16 Ericsson Telefon Ab L M Technik zum umgehen mit einem funkstreckenausfall in einem kommunikationsnetz
US8131253B2 (en) 2008-01-18 2012-03-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n emergency servi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9107133B2 (en) * 2009-01-06 2015-08-11 Qualcomm Incorporated Adaptation of handover parameters
KR101554456B1 (ko) 2009-01-30 2015-09-18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물리 전용 채널 확립 및 모니터링 절차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30153298A1 (en) 2009-02-19 2013-06-20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ing cell-edge user performance and signaling radio link failure conditions via downlink cooperative component carriers
US8711709B2 (en) * 2009-03-12 2014-04-29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for a radio link failure
KR101621102B1 (ko) * 2009-04-21 2016-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반송파 시스템에서 반송파의 설정장치 및 방법
CN101998466B (zh) * 2009-08-17 2014-04-09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期望的切换场景的判决方法和系统
CN102026165B (zh) 2009-09-14 2014-11-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识别终端的方法及系统
CN102036243B (zh) * 2009-09-29 2015-07-15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处理无线链路失败报告的方法
GB2475164B (en) * 2009-11-04 2012-05-16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handling radio link failure in multiple carrier system
US8559397B2 (en) * 2009-11-19 2013-10-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Handover-related radio link failure detection
KR101781853B1 (ko) * 2010-02-09 2017-09-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복수의 셀의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KR20190090089A (ko) 2010-02-12 2019-07-31 인터디지탈 패튼 홀딩스, 인크 셀-에지 사용자 성능을 향상시키고 하향링크 협력 컴포넌트 캐리어를 통해 무선 링크 실패 조건을 시그널링하는 방법 및 장치
US8620302B2 (en) * 2010-04-02 2013-12-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Configuring relay cell identities in cellular networks
EP2474183B1 (en) 2010-08-13 2016-10-12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in a cellular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071190A1 (en) * 2010-09-21 2012-03-22 Infineon Technologies Ag Base stations and radio devices
EP2648440A1 (en) 2010-11-30 2013-10-09 Fujitsu Limited Method, terminal device and base station for reporting radio link failure information
KR20120067937A (ko) * 2010-12-16 2012-06-26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연결 재설정 수행장치 및 방법
WO2012081923A2 (ko) 2010-12-16 2012-06-21 주식회사 팬택 다중 요소 반송파 시스템에서 무선연결 재설정 수행장치 및 방법
JP2012138657A (ja) * 2010-12-24 2012-07-19 Sharp Corp 通信システム、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送信制御方法および集積回路
WO2012111260A1 (ja) * 2011-02-15 2012-08-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通信端末、無線通信基地局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並びに、報告方法
CN102685785B (zh) * 2011-03-18 2016-08-03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资源控制rrc连接重建立的方法和设备
US9318402B2 (en) 2011-03-24 2016-04-19 Mitsubishi Gas Chemical Company, Inc. Resin composition, prepreg and resin sheet and metal foil-clad laminate
WO2012139798A1 (en) 2011-04-15 2012-10-1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s and devices for radio link monitoring
KR101796271B1 (ko) 2011-04-27 2017-11-10 주식회사 팬택 무선 링크 실패 보고 장치 및 방법
CN110519847B (zh) 2011-07-29 2023-11-2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用于多无线电接入技术无线系统中的无线电资源管理的方法和设备
RU2607241C2 (ru) * 2011-08-12 2017-01-10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 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оборудование, сетевой узел, второй сетевой узел и способы, осуществленные в них
US8670292B2 (en) 2011-08-12 2014-03-11 Pgs Geophysical As Electromagnetic linear actuators for marine acoustic vibratory sources
US9204316B2 (en) 2011-09-30 2015-12-01 Blackberry Limited Enhancement and improvement for hetnet deployments
WO2013091161A1 (en) * 2011-12-19 2013-06-27 Nokia Corporation A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ity robustness optimization
US9973990B2 (en) * 2012-01-30 2018-05-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handover report messag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2813125B1 (en) * 2012-02-10 2019-03-27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nd apparatus for enhanced connection control
EP2983427B1 (en) * 2012-03-23 2018-02-28 MediaTek Inc. Methods for physical layer multi-point carrier aggregation and multi-point feedback configuration
CN103379558B (zh) 2012-04-13 2017-03-08 华为技术有限公司 检测不同网络制式间的切换移动性问题的方法和装置
US9565668B2 (en) * 2012-10-02 2017-02-0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carrier aggregation group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712262B2 (en) 2013-01-09 2017-07-18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measurement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14109565A1 (en) 2013-01-11 2014-07-17 Lg Electronics Inc. Radio link failure reporting in a system using multiple cells
CN104904254B (zh) * 2013-01-11 2018-11-23 Lg 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息的方法和设备
US9144091B2 (en) * 2013-01-17 2015-09-22 Sharp Kabushiki Kaisha Devices for establishing multiple connections
JP6071571B2 (ja) 2013-01-17 2017-02-01 Kddi株式会社 基地局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DK2946596T3 (en) * 2013-01-18 2017-05-15 ERICSSON TELEFON AB L M (publ) Customizing a Mobile Network
WO2014110813A1 (en) * 2013-01-18 2014-07-24 Mediatek Inc. Mechanism of rlf handling in small cell networks
WO2014111557A1 (en) * 2013-01-18 2014-07-24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Handover signaling assistance
US9084264B2 (en) 2013-02-26 2015-07-14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small cell configuration in a heterogeneous network architecture
JP6443326B2 (ja) 2013-02-28 2018-12-26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74878A2 (en) 2010-12-03 2012-06-0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for performing multi-radio access technology carrier aggregation
US20120281548A1 (en) * 2011-05-03 2012-11-08 Mediatek, Inc. Scell radio link monitoring and radio link failure handling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R2-130488*
3GPP TS 36.331 V11.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1923A1 (en) 2023-03-16
EP3059994A1 (en) 2016-08-24
JP2023107882A (ja) 2023-08-03
JP6443326B2 (ja) 2018-12-26
KR20150111950A (ko) 2015-10-06
EP3059994B1 (en) 2018-09-05
KR20170012580A (ko) 2017-02-02
KR20190123799A (ko) 2019-11-01
JP2020078093A (ja) 2020-05-21
JP2018152891A (ja) 2018-09-27
ES2700648T3 (es) 2019-02-18
JP2019022241A (ja) 2019-02-07
JP6669233B2 (ja) 2020-03-18
US11812489B2 (en) 2023-11-07
KR102073680B1 (ko) 2020-02-06
CN110535615A (zh) 2019-12-03
US11102837B2 (en) 2021-08-24
US20200053813A1 (en) 2020-02-13
EP2963966A1 (en) 2016-01-06
CN105103594A (zh) 2015-11-25
US10492244B2 (en) 2019-11-26
WO2014132560A1 (ja) 2014-09-04
US10555361B2 (en) 2020-02-04
US10206242B2 (en) 2019-02-12
JP7302648B2 (ja) 2023-07-04
KR20180019766A (ko) 2018-02-26
JP7001113B2 (ja) 2022-01-19
JP6908280B2 (ja) 2021-07-21
EP2963966B1 (en) 2018-03-14
EP3410767A1 (en) 2018-12-05
KR102037862B1 (ko) 2019-10-29
US20240064843A1 (en) 2024-02-22
US11723102B2 (en) 2023-08-08
EP2963966A4 (en) 2016-11-23
US20160007403A1 (en) 2016-01-07
KR20180051668A (ko) 2018-05-16
JPWO2014132560A1 (ja) 2017-02-02
KR101898948B1 (ko) 2018-09-17
JP2022037152A (ja) 2022-03-08
US20210352752A1 (en) 2021-11-11
US20190132898A1 (en) 2019-05-02
US20170237531A1 (en) 2017-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02648B2 (ja) 無線端末及びその方法
CN109479230B (zh) 用于执行NB-IoT终端的移动性处理的方法及其装置
JP6652169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第1の無線局、及び第2の無線局
KR101947542B1 (ko) 무선국, 코어 네트워크, 모바일 통신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3940137A (zh) 辅小区组故障期间的切换
US11653280B2 (en) Device-to-device and device to network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process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