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395B1 -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 Google Patents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395B1
KR101857395B1 KR1020170121051A KR20170121051A KR101857395B1 KR 101857395 B1 KR101857395 B1 KR 101857395B1 KR 1020170121051 A KR1020170121051 A KR 1020170121051A KR 20170121051 A KR20170121051 A KR 20170121051A KR 101857395 B1 KR101857395 B1 KR 101857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defective
bolts
guider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0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연
Original Assignee
이용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연 filed Critical 이용연
Priority to KR10201701210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B07C5/342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using video scanning devices, e.g. TV-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지지되는 테이블(T)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검사대상인 다수의 볼트(B)가 수용되는 호퍼(10)와; 호퍼(10)에 수용된 볼트(B)를 한개씩 공급하는 피더(20)와; 외주면에 피더(2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홈(31)(31')(31")이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됨에 따라 거치홈(31)(31')(31")에 거치된 볼트(B)를 이송시키는 인덱스장치(30)와; 인덱스장치(30)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테두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일측단(40a) 및 타측단(40b)이 형성되고, 불량 볼트가 배출되는 배출홈(41)이 형성된 가이드판(40)과; 이송되는 볼트(B)를 촬영하여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검사부(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System for inspecting and selecting defective bolts}
본 발명은 볼트의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제조된 볼트의 불량 검사를 빠른 시간내에 검사하고, 불량 볼트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요소 중 부품 결합 및 고정에 사용되는 볼트(스크류)는 대형 기계에서부터 소형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조립이나 체결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원래 대상물을 조일 때 모재의 암나사에 직접 고정하는 것을 스크류(Screw)라 하고, 모재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여지는 것을 볼트(Bolt)로 분류하고 있으나, 산업 현장에선 구분없이 볼트로 불리우고 있다. 이러한 볼트는 조립 또는 결합 대상물에 따라 다양한 규격을 가지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와이어 소재를 인발가공하고, 이후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볼트단조기(헤딩머신)를 거치면서 헤드 및 나사산이 형성된 몸체로 구성된 볼트가 제조된다.
그런데 가공 기계의 노후화, 기계의 오작동 및 누적오차,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생산되는 볼트에 있어 불량이 불가피하게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볼트가 생산된 후, 불량 여부를 반드시 확인하여야 하였다.
그런데 현재 대부분의 볼트 불량검사는 작업자의 불량기준에 대한 주관적 인지 및 판단에 근거하여 수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방법은 단시간의 적은 양의 부품검사에는 적합하나 장시간 많은 양의 다품종 검사에는 한계가 있었다. 특히 볼트 불량은, 헤드 부분에서의 불량과, 몸체 부분에서의 불량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자가 헤드 부분과 몸체 부분을 모두 검사하는데 더더욱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주관적 판단에 근거하지 않고, 볼트의 불량 검사를 빠른 시간내에 수행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불량 볼트를 선별하여 자동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에 대한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이 특허등록번호 10-1341947호에 볼트 양품 선별장치란 명칭으로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볼트의 불량 검사를 빠른 시간내에 수행하고, 불량 볼트가 확인되었을 때 그 불량 볼트를 자동으로 선별할 수 있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양한 규격의 볼트의 불량 유무를 검사할 수 있어,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테이블(T)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검사대상인 다수의 볼트(B)가 수용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에 수용된 볼트(B)를 한 개씩 공급하는 피더(20)와; 외주면 에 상기 피더(2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홈(31)(31')(31")이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거치홈(31)(31')(31")에 거치된 볼트(B)를 이송시키는 인덱스장치(30)와; 상기 인덱스장치(30)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테두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일측단(40a) 및 타측단(40b)이 형성되고, 불량 볼트가 배출되는 배출홈(41)이 형성된 가이드판(40)과; 이송되는 상기 볼트(B)를 촬영하여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검사부(50);를 포함하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장치(30)의 내측에는 그 인덱스장치(30)가 회전되는 동안에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되는 원형형태의 브라켓테이블(6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불량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 볼트를 상기 배출홈(41)으로 밀어 배출시키는 불량볼트 배출부(70) 및 상기 인덱스장치(30)에 의하여 이송되는 양품 볼트를 상기 가이드판의 타측단(40b) 외측에서 해당 거치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검사부(50)는, 상기 인덱스장치(30)의 인덱스테이블(32) 상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어 특정 거치홈에 거치되는 검사대상 볼트의 헤드(B1)를 촬영하기 위한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와, 상기 인덱스테이블(32)의 하부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 볼트의 몸체(B2)를 정면 및 직각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53)와, 상기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에서 촬영된 볼트헤드 이미지와 기저장된 볼트헤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1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부(54)와, 상기 제1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와 제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3)에서 각각 촬영된 몸체의 외곽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볼트몸체(B2)에서 휘어짐에 따른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2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부(55)와, 상기 제1비교불일치 신호 및/또는 제2비교불일치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불량신호 발생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형태의 브라켓테이블(60)과 상기 가이드판(4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불량볼트 배출부(70)와 상기 배출홈(41) 사이를 경유하는 상기 거치홈(31)(31')(31")에 다양한 규격의 볼트를 거치할 수 있도록 그 거치홈(31)(31')(31")의 폭을 가변하는 폭가변부(90)가 설치되며; 상기 폭가변부(90)는, 상기 인덱스테이블(32)의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외측에 형성된 링가이더(91)와, 상기 링가이더(91)에 끼어져 소정 각도 정역회전되는 링부(92)와, 상기 링부(9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링부(9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거치홈(31)(31')(31") 각각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변거치단(93a)이 형성된 다수의 폭가변홈(93)과, 상기 각각의 폭가변홈(93) 내측의 상기 인덱스테이블(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거치홈의 일부를 포함하는 두께보완턱(94)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41)의 하부측에는 그 배출홈(41)으로 배출되는 불량볼트를 회수하는 제1가이드덕트(D1) 및 불량볼트 회수박스(C1)가 배치되며; 상기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 하부측에는 상기 거치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양품 볼트(B)를 회수하는 제2가이드덕트(D2) 및 양품볼트 회수박스(C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불량볼트 배출부(70)는, 상기 브라켓테이블(60)에 고정되는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로부터 출몰되어 불량볼트를 상기 가이드판의 배출홈(4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미는 밀대(72)를 포함하고; 상기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는,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고정되는 가이더몸체(81)와, 상기 가이더몸체(8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판 타측단(40b)을 곧바로 지나는 거치홈을 비스듬하게 지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날개(82)를 포함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헤드(B1) 및 볼트몸체(B2)를 독립적으로 촬영 및 검사하는 카메라검사부(50)를 채용함으로써, 볼트를 비접촉식으로 검사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한 볼트불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검사부에서 발생되는 불량신호에 연동되어 인덱스장치로 이송되어지는 볼트중 불량볼트를 자동으로 선별 및 취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불량볼트를 취출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인덱스장치 내측에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되는 브라켓테이블에 불량볼트 배출부 및 양품볼트 취출가이더가 설치됨으로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의 선별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폭가변부를 채용함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볼트의 불량 유무를 검사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범용적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의 정면도,
도 3은 도 1의 인덱스장치 및 브라켓테이블에 설치되는 불량볼트 배출실린더 및 양품볼트 취출가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인덱스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볼트의 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검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카메라검사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의 인덱스장치에 설치되는 폭가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
도 8은 도 6의 폭가변부에 의하여 거치홈의 폭이 커지게 가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인덱스장치 및 브라켓테이블에 설치되는 불량볼트 배출실린더 및 양품볼트 취출가이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 있어서, 인덱스장치에 의하여 이송되는 볼트의 불량을 검사하기 위한 카메라검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카메라검사부의 구성을 블록도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은,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테이블(T)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검사대상인 다수의 볼트(B)가 수용되는 호퍼(10)와; 호퍼(10)에 수용된 볼트(B)를 한개씩 공급하는 피더(20)와; 외주면에 피더(2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홈(31)(31')(31")이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거치홈(31)(31')(31")에 거치된 볼트(B)를 이송시키는 인덱스장치(30)와; 인덱스장치(30)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테두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일측단(40a) 및 타측단(40b)이 형성되고, 불량 볼트가 배출되는 배출홈(41)이 형성된 가이드판(40)과; 이송되는 볼트(B)를 촬영하여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검사부(50)와; 인덱스장치(3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그 인덱스장치(30)가 회전되는 동안에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되는 브라켓테이블(60)과; 브라켓테이블(6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불량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 볼트를 배출홈(41)으로 밀어 배출시키는 불량볼트 배출부(70)와; 브라켓테이블(60)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인덱스장치(30)에 의하여 이송되는 양품 볼트를 상기 가이드판의 타측단(40b) 외측에서 해당 거치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홈(41)의 하부측에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배출홈(41)으로 배출되는 불량볼트를 회수하는 제1가이드덕트(D1) 및 불량볼트 회수박스(C1)가 배치되고,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 하부측에는 거치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양품 볼트(B)를 회수하는 제2가이드덕트(D2) 및 양품볼트 회수박스(C2)가 배치된다.
또한 볼트(B)는 볼트헤드(B1)와 몸체(B2)로 구성되고, 볼트헤드(B1)가 거치홈(31)(31')(31")에 거치된 상태에서 볼트몸체(B2)는 인덱스장치(3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을 이루게 된다.
피더(20)는 호퍼(10)에 수용된 볼트를 한개씩 분류하여 인텍스장치(30)로 이송하는 것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B)를 한개씩 공급하는 볼피더(21)와, 볼피더(21)에서 공급된 볼트(B)를 인덱스장치(30)로 공급하는 인라인피더(22)로 구성되며, 인라인피더(22)는 인덱스장치(30) 측으로 기울어져 있어 볼트(B)를 중력에 의하여 인덱스장치(30) 측으로 이송시킨다. 이러한 피더(20)는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인덱스장치(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더(2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를 거치홈(31)(31')(31")에 거치한 상태에서 가이드판 일측단(40a)에서 타측단(40b) 측으로 이송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인덱스장치(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판 형태로 되며 가장자리측에 볼트(B)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홈(31)(31')(31")이 일정한 간격을 이루며 형성되는 인덱스테이블(32)과, 인덱스테이블(32)을 일정한 회전각도로 반복적으로 회전시키는 인덱스드라이버(33)를 포함한다.
여기서, 인덱스드라이버(33)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베이스테이블(T)에 고정되는 모터(31a)와, 모터(31a)의 회전축에 설치되는 제1기어(31b)와, 인덱스테이프(32)의 하부측 몸체 둘레에 설치되어 제2기어(31b)와 기어결합되는 제2기어(31c)로 구성될 수 있으며, 모터(31a)에 의하여 제1,2기어(31b)(31c)의 기어운동에 의하여 인덱스테이블(32)이 회전되는 것이다.
가이드판(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단(40a) 및 타측단(40b)으로 가짐으로써 인덱스장치(30)의 외주면 일부 감싸는 테두리 형태가 되고, 타측단(40b) 측에 근접된 위치에 후술할 불량 볼트가 배출되는 배출홈(41)이 형성된다.
상기 인덱스장치(30) 및 가이드판(40)에 의하여, 인덱스드라이버(33)가 인덱스테이블(32)을 반복적으로 회전 및 정지시킴에 따라, 인라인피더(22)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는 가이드판 일측단(40a) 측의 거치홈에 순차적으로 끼어진 후 가이드판 타측단(40b) 측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카메라검사부(50)는, 거치홈에 거치되어 이송되는 볼트(B)를 촬영하여 비접촉식으로 불량유무를 검사하기 위한 것이다.
참고적으로 볼트의 불량은, 헤드 부분에서 단조 불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볼트헤드의 불량과, 몸체 부분이 휘어지는 불량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볼트헤드 불량과 볼트몸체 불량을 독립적으로 검사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검사부(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테이블(32)의 상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어 특정 거치홈에 거치되는 검사대상 볼트의 헤드(B1)를 촬영하기 위한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와; 인덱스테이블(32)의 하부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 볼트의 몸체(B2)를 정면 및 직각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53)와;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에서 촬영된 볼트헤드 이미지와 메모리(미도시)에 기 저장된 볼트헤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1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부(54)와; 제1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와 제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3)에서 각각 촬영된 몸체의 외곽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볼트몸체(B2)에서 휘어짐에 따른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2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부(55)와; 제1비교불일치 신호 및/또는 제2비교불일치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불량신호 발생부(56);를 포함한다.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는 검사대상 볼트의 헤드(B)를 촬영하고, 제1비교부(54)는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가 촬영한 볼트헤드 이미지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볼트헤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1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한다.
예를 들면, 볼트헤드에 드라이버 팁이 삽입되는 예를 들면 일자홈 또는 십자홈이 뭉개졌을 때, 제1비교부(54)는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가 촬영된 영상 이미지와, 제1비교부 메모리에 기저장된 볼트헤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일자홈 또는 십자홈의 이미지에 차이가 발생되면 제1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것이다.
제1,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5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몸체(B2)를 중심으로 상호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볼트몸체(B2)의 정면 및 측면을 촬영할 수 있고, 볼트몸체(B2)가 어느 방향으로 휘어지더라도 휘어짐을 촬영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비교부(55)는 제1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와 제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3)에서 각각 촬영된 볼트몸체의 외곽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휘어짐에 따른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2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한다.
불량신호 발생부(56)는 제1비교불일치신호가 발생되거나, 제2비교불일치신호가 발생되거나 제1,2비교불일치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해당 볼트는 불량이라는 불량신호를 발생한다. 이러한 불량신호는 후술할 불량볼트 배출부(70)로 전송되어, 해당 불량볼트를 자동으로 선별 및 취출하게 한다.
브라켓테이블(6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덱스장치(30)의 내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그 인덱스장치(30)가 회전되는 동안에도 위치고정된다. 이를 위하여 브라켓테이블(60)은 인덱스장치(30)의 내측을 관통하여 지면을 지지하는 베이스테이블(T)에 고정된다.
불량볼트 배출부(70)는, 브라켓테이블(60)의 일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불량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 볼트를 배출홈(41)으로 밀어 배출시킨다. 이러한 불량볼트 배출부(7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테이블(60)에 고정되는 실린더(71)와, 실린더(71)로부터 출몰되어 불량볼트를 가이드판의 배출홈(4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미는 밀대(72)를 포함한다. 이러한 불량볼트 배출부(70)에 의하여, 배출홈(41)으로 배출된 불량볼트는 제1가이드덕트(D1)를 경유하여 불량볼트 회수박스(C1)로 회수된다.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는, 브라켓테이블(60)의 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불량볼트가 아닌 양품볼트를 자동으로 취출한다. 이러한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켓테이블(60)의 고정되는 가이더몸체(81)와, 가이더몸체(8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판 타측단(40b)을 곧바로 지나는 거치홈을 비스듬하게 지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날개(82)로 구성된다. 이러한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에 의하여, 가이드판 타측단(40b)을 지나는 양품 볼트는 가이드날개(82)에 의하여 해당 거치홈으로부터 이탈되어 제2가이드덕트(D2)를 경유하여 양품볼트 회수박스(C2)로 회수된다.
여기서, 불량볼트 배출부(70) 및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는 브라켓테이블(60)에 설치됨으로서, 인덱스장치(30)와 결합되는 콤팩트한 구조의 선별 시스템의 구현을 가능하게 한다.
도 6은 도 1의 인덱스장치에 설치되는 폭가변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6의 VII-V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의 폭가변부에 의하여 거치홈의 폭이 커지게 가변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IX-IX'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선별 시스템은, 상기 거치홈(31)(31')(31")에 다양한 규격의 볼트를 거치할 수 있도록 그 거치홈(31)(31')(31")의 폭을 가변하는 폭가변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폭가변부(90)는, 인덱스테이블(32)의 내측에 형성된 링가이더(91)와, 링가이더(91)에 끼어져 소정 각도 정역회전되는 링부(92)와, 링부(9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링부(9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거치홈(31)(31')(31") 각각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변거치단(93a)이 형성된 다수의 폭가변홈(93)을 포함한다.
각각의 폭가변홈(93) 내측의 인덱스테이블(32)에는 거치홈의 일부를 포함하는 두께보완턱(94)이 형성되며, 이러한 두께보완턱(94)의 상단면은 링부(92)의 표면과 일치된다. 이에 따라 볼트가 거치홈에 거치될 때 볼트헤드(B1)는 링부(92)와 두께보완턱(94)의 수평되게 거치되고, 볼트몸체(B2)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92)가 좌측으로 회전하면 거치홈의 폭(D1)은 작아져 상대적으로 작은 규격의 볼트가 거치된다. 그리고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부(92)가 우측으로 회전하면 거치홈의 폭(D2)은 커지게 되어 상대적으로 큰 규격의 볼트가 거치된다.
즉 링부(92)를 회전시킴에 따라 거치홈(31)(31')(31")의 폭을 가변시킬 수 있어 다양한 규격(두께)의 볼트를 범용적으로 거치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볼트헤드(B1) 및 볼트몸체(B2)를 독립적으로 촬영 및 검사하는 카메라검사부(50)를 채용함으로써, 볼트를 비접촉식으로 검사할 수 있어 빠르고 정확한 볼트불량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검사부(50)에서 발생되는 불량신호에 연동되어, 인덱스장치(30)로 이송되어지는 볼트중 불량볼트를 자동으로 선별 및 취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작업자가 불량볼트를 취출하기 위한 수고를 덜 수 있다.
또한 인덱스장치(30) 내측에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되는 브라켓테이블(60)에 불량볼트 배출부(70) 및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가 설치됨으로서, 전체적으로 콤팩트한 구조의 선별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폭가변부(90)를 채용함으로서, 다양한 규격의 볼트의 불량 유무를 검사할 수 있어, 이에 따라 범용적인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1 ... 불량볼트 회수박스 C2 ... 양품볼트 회수박스
D1 ... 제1가이드덕트 D2 ... 제2가이드덕트
10 ... 호퍼 20 ... 피더
21 ... 볼피더 22 ... 인라인피더
30 ... 인덱스장치 31, 31', 31" ... 거치홈
32 ... 인덱스테이블 33 ... 인덱스드라이버
40 ,... 가이드판 40a, 40b ... 일측단 및 타측단
41 ... 배출홈 50 ... 카메라검사부
51 ... 볼트헤드 촬영카메라 52, 53 ... 제1,2볼트몸체 촬영카메라
54 ... 제1비교부 55 ... 제2비교부
56 ... 불량신호 발생부 60 ... 브라켓테이블
70 ... 불량볼트 배출부 80 ... 양품볼트 취출가이더
81 ... 가이더몸체 82 ... 가이드날개
90 ... 폭가변부 91 ... 링가이더
92 ... 링부 93 ... 폭가변홈
94 ... 두께보완턱

Claims (8)

  1.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테이블(T)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검사대상인 다수의 볼트(B)가 수용되는 호퍼(10)와; 상기 호퍼(10)에 수용된 볼트(B)를 한 개씩 공급하는 피더(20)와; 외주면 에 상기 피더(20)로부터 공급되는 볼트(B)가 거치되는 다수의 거치홈(31)(31')(31")이 형성된 것으로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거치홈(31)(31')(31")에 거치된 볼트(B)를 이송시키는 인덱스장치(30)와; 상기 인덱스장치(30) 외주면을 일부 감싸는 테두리 형태로 된 것으로서, 일측단(40a) 및 타측단(40b)이 형성되고, 불량 볼트가 배출되는 배출홈(41)이 형성된 가이드판(40)과; 이송되는 상기 볼트(B)를 촬영하여 불량 유무를 검사하고, 불량이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카메라검사부(50);를 포함하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장치(30)의 내측에는 그 인덱스장치(30)가 회전되는 동안에 비회전되게 위치고정되는 원형형태의 브라켓테이블(60)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일측 및 타측에는, 상기 불량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대응되는 불량 볼트를 상기 배출홈(41)으로 밀어 배출시키는 불량볼트 배출부(70) 및 상기 인덱스장치(30)에 의하여 이송되는 양품 볼트를 상기 가이드판의 타측단(40b) 외측에서 해당 거치홈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검사부(50)는, 상기 인덱스장치(30)의 인덱스테이블(32) 상부측 프레임(F)에 설치되어 특정 거치홈에 거치되는 검사대상 볼트의 헤드(B1)를 촬영하기 위한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와, 상기 인덱스테이블(32)의 하부측 프레임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대상 볼트의 몸체(B2)를 정면 및 직각 방향에서 촬영하는 제1,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53)와, 상기 볼트헤드 촬영카메라(51)에서 촬영된 볼트헤드 이미지와 기저장된 볼트헤드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1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1비교부(54)와, 상기 제1볼트몸체 촬영카메라(52)와 제2볼트몸체 촬영카메라(53)에서 각각 촬영된 몸체의 외곽 이미지를 상호 비교하여 상기 볼트몸체(B2)에서 휘어짐에 따른 차이가 발생되었을 때 제2비교불일치 신호를 발생하는 제2비교부(55)와, 상기 제1비교불일치 신호 및/또는 제2비교불일치 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불량신호를 발생하는 불량신호 발생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원형형태의 브라켓테이블(60)과 상기 가이드판(40)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서, 상기 불량볼트 배출부(70)와 상기 배출홈(41) 사이를 경유하는 상기 거치홈(31)(31')(31")에 다양한 규격의 볼트를 거치할 수 있도록 그 거치홈(31)(31')(31")의 폭을 가변하는 폭가변부(90)가 설치되며;
    상기 폭가변부(90)는, 상기 인덱스테이블(32)의 내측에서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외측에 형성된 링가이더(91)와, 상기 링가이더(91)에 끼어져 소정 각도 정역회전되는 링부(92)와, 상기 링부(92)의 외주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그 링부(92)의 회전에 의하여 상기 거치홈(31)(31')(31") 각각의 내측으로 진입되는 가변거치단(93a)이 형성된 다수의 폭가변홈(93)과, 상기 각각의 폭가변홈(93) 내측의 상기 인덱스테이블(32)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거치홈의 일부를 포함하는 두께보완턱(94)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홈(41)의 하부측에는 그 배출홈(41)으로 배출되는 불량볼트를 회수하는 제1가이드덕트(D1) 및 불량볼트 회수박스(C1)가 배치되며;
    상기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 하부측에는 상기 거치홈으로부터 분리되는 양품 볼트(B)를 회수하는 제2가이드덕트(D2) 및 양품볼트 회수박스(C2)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량볼트 배출부(70)는, 상기 브라켓테이블(60)에 고정되는 실린더(71)와, 상기 실린더(71)로부터 출몰되어 불량볼트를 상기 가이드판의 배출홈(41)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미는 밀대(72)를 포함하고;
    상기 양품볼트 취출가이더(80)는, 상기 브라켓테이블(60)의 고정되는 가이더몸체(81)와, 상기 가이더몸체(81)에서 연장되어 상기 가이드판 타측단(40b)을 곧바로 지나는 거치홈을 비스듬하게 지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날개(8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70121051A 2017-09-20 2017-09-20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KR101857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1A KR101857395B1 (ko) 2017-09-20 2017-09-20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051A KR101857395B1 (ko) 2017-09-20 2017-09-20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395B1 true KR101857395B1 (ko) 2018-05-14

Family

ID=62188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051A KR101857395B1 (ko) 2017-09-20 2017-09-20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39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39B1 (ko) * 2018-08-30 2019-04-25 양희태 볼트 제조장치
KR102642341B1 (ko) * 2023-04-05 2024-02-28 (주)코리아파워 나사 및 볼트류 재생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893B2 (ja) * 2004-02-03 2006-05-17 恒廣 吉田 検査装置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KR101613444B1 (ko) * 2014-09-17 2016-04-20 (주)진합 불량 볼트 선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74893B2 (ja) * 2004-02-03 2006-05-17 恒廣 吉田 検査装置
KR101248141B1 (ko) * 2013-01-04 2013-03-27 김병석 휴대폰 부품 검사장치
KR101613444B1 (ko) * 2014-09-17 2016-04-20 (주)진합 불량 볼트 선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339B1 (ko) * 2018-08-30 2019-04-25 양희태 볼트 제조장치
KR102642341B1 (ko) * 2023-04-05 2024-02-28 (주)코리아파워 나사 및 볼트류 재생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7647B1 (ko) 정밀나사용 헤드 측면부의 크랙검사장치
DE102015013495B4 (de) Empfangseinrichtung für Bauteile und Verfahren zum Entnehmen fehlerhafter Bauteile aus dieser
KR101872812B1 (ko)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회전식 샤프트 선별장치
KR101613444B1 (ko) 불량 볼트 선별장치
KR101631841B1 (ko) 3d 비전 검사 시스템
KR101857395B1 (ko) 불량볼트 검사 및 선별 시스템
EP3832295A1 (en) Device and method for checking for surface defect, using image sensor
US10782250B2 (en) Hybrid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for dosage
KR101918192B1 (ko) 다종 볼트의 불량 일괄 검출 장치
US597849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pecting box blanks
CN108237401A (zh) 直流接触器自动装配装置
KR101399287B1 (ko) 부품 검사 장치
KR101038739B1 (ko) 나사 검사 장비
KR20220056094A (ko) 위치 정렬이 가능한 파이프 볼트의 검사장치
US20170184383A1 (en) Ammunition inspecting system
KR101613441B1 (ko) 불량 볼트 선별 장치의 원형 인덱스 장치
KR101011437B1 (ko) 비전을 이용한 정밀나사 자동검사 및 선별시스템
US20080152211A1 (en) Rotating prism component inspection system
US2008017478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specting a surface
KR20160045452A (ko) 약품 하이브리드 검사시스템
CN211696275U (zh) 一种基于机器视觉贯穿件同心度检测装置
KR101613443B1 (ko) 불량 볼트 자동 선별 장치의 볼트 나사부 전방향 동시 검사 장치
KR20160092738A (ko) 볼트 측면 비전 검사 수단을 이용하는 자유 낙하식 볼트 선별장치
KR101183537B1 (ko) 이미지 처리를 통해 불량 검사 기능을 갖는 스크류 선별장치
CN111076682A (zh) 一种基于机器视觉贯穿件同心度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