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7247B1 -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7247B1
KR101857247B1 KR1020170022935A KR20170022935A KR101857247B1 KR 101857247 B1 KR101857247 B1 KR 101857247B1 KR 1020170022935 A KR1020170022935 A KR 1020170022935A KR 20170022935 A KR20170022935 A KR 20170022935A KR 101857247 B1 KR101857247 B1 KR 101857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fixing member
tube
support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영관
이재우
강경인
서형석
이준혁
이동민
Original Assignee
(주)도성산업
(주)그리심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강경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도성산업, (주)그리심디자인그룹건축사사무소, 강경인 filed Critical (주)도성산업
Priority to KR1020170022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7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7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72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wedg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hich telescoping action effected by a le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외관에 설치한 나사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체결고정부재를 체결하여 그 내측의 관고정부재를 오무르는 형태로 와관에 관통된 내관를 요구하는 길이에서 간단하게 일차적으로 고정하고, 내관의 외측에 마련된 퀵 릴리즈 레버를 체결하여 체결고정부재에 근접되게 함으로써, 서포트의 내관 길이를 외관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서포트의 안정된 받침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기존의 서포트와 달리 불필요한 높이조절공 등의 가공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기존 고정핀을 이용한 고정 및 해체작업을 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신축 조정 및 고정, 해체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A fixing device for support}
본 발명은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설정된 범위에서 길이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서포트에 신축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요구하는 길이로 간단하게 서포트의 길이를 이중으로 고정하여 안정된 받침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높이조절공 등의 가공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기존 고정핀을 이용한 고정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서포트에 대한 신축 조정 및 고정, 해체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포트 파이프용 신축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축용으로 주로 사용되고 있는 서포트 파이프는 거푸집을 받쳐 고정하거나 거푸집과 거푸집 사이를 지지시키는 용도로 사용하고 있다.
서포트 파이프는 주파이프 및 주파이프 내에 안내되어 필요한 길이로 신축(伸縮)되는 보조파이프, 주파이프에 설치되어 주파이프로부터 신보조파이프를 고정하는 고정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주파이프와 보조파이프의 일단부에는 받침판이 용접되어 해당 거푸집의 일면을 받치고, 주파이프측의 받침판은 지면에 밀착되어 주파이프를 수직으로 받치는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서포트 파이프에 대한 선원기술을 살피면,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5-0115214호(명칭: 건축용 서포트, 공개일자: 2005년 12월 07일, 이하 이를 '특허문헌'이라 칭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건축용 서포트는 첨부된 도 1 및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에 조정너트(1)가 나사결합되는 장공(2)을 가진 나사부(3)가 형성되고, 하부에 받침판(4)이 고정설치된 외관(10)과; 상부에 받침판(4')이 고정설치되고, 외주면의 상하부로 장공(2)을 관통한 고정핀(5)이 삽입되는 다수개의 핀구멍(6)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내관(20)으로 구성되며, 상기 외관(10)과 내관(20)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 절곡된 다수개의 절곡부(7)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서포트는 높이조절 가능하게 상호 체결되는 외관과 내관의 외주면에 강도보강의 목적을 위해 길이방향으로 소정깊이 내측으로 절곡된 절곡부가 일정간격으로 형성됨에 따라, 거푸집을 지지할 때 더욱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외관에 마련된 나사부는 별도의 가공에 의해 외관에 용접 부착되며, 여기에 조정너트를 체결하며, 내관에 등간격지게 형성된 핀구멍에 고정핀을 관통시켜 조정너트에 받쳐지게 하여 상기 외관으로부터 신축된 내관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외관에 대한 내관의 길이를 고정하는 기존의 서포트는 다음과 같은 취약부분이 있다.
먼저, 나사부에 체결되는 조정너트에 대해 내관의 핀구멍의 간격 형성은 높이조정에는 유리한 이점이 있지만, 고 하중에 해당하는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슬라브층 형성시 거푸집 구조물의 하중을 받치는 서포트에 대해서는 내구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참고로 상기 서포트는 단일이 아닌 다수개를 지면으로부터 수직되게 세워 슬라브 형성에 따른 거푸집을 받침에 있어, 상기와 같은 내구성 문제로 어느 하나의 서포트가 좌굴될 시 주변 서포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되기 때문에 보다 서포트의 내구성유지는 매우 중요하다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나사부에 형성된 장공 또한, 외관에 용접 부착되는 나사부의 특성상 내구성 저하문제로 그 길이를 길게 형성할 수 없으며, 장공의 범위에서 고정핀을 받치는 조정너트의 상하 나사체결 유동범위는 좁고, 일일이 조정너트의 위치를 장공에 맞추어 가면서 외관에 대한 내관의 신장된 길이를 조정하는 작업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상기 나사부의 장공을 통해 내관의 핀구멍에 고정핀을 꽂아 조정너트의 체결된 위치를 고정함에 있어, 상기 고정핀의 꽂거나 향후 거푸집의 탈형을 위한 서포트의 해제시 고정핀을 일일이 해체하여야 하는 수고가 뒤따른다.
특히 지하층의 슬라브 형성시 슬라브의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는 드롭헌치, 혹은 기둥 상부로부터 뻗어나가 슬라브와 기둥을 측을 보강하는 콘보 부분과 같이 각각 높이가 다른 해당부위에 거푸집을 받치는 서포트의 수직 받침작업은 상기 외관의 나사부측 조정너트의 위치세팅에 대한 작업이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의 타설시 서포트를 통해 받는 하중이 고정핀에도 전달되어 고정핀의 변형사례가 종종 발생하기 때문에 서포트의 해체작업을 지연시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설정된 범위에서 길이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도록 한 서포트에 신축 고정장치를 구비하여 요구하는 길이로 간단하게 서포트의 길이를 이중으로 고정하여 안정된 받침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고, 불필요한 높이조절공 등의 가공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내구성을 높이고, 기존 고정핀을 이용한 고정 및 해체작업을 생략할 수 있어, 서포트에 대한 신축 조정 및 고정, 해체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형의 외관 내에 내관이 수용되며, 외관에 설치되어 외관으로부터 내관을 필요한 길이로 신축시켜 고정하도록 한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 고정장치는, 외관의 외부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내측에 경사 내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외축둘레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하부측 외축둘레에는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외관의 끝단에 안착되는 단턱이 형성되어 외관과 용접 부착되는 나사체결부재와; 상기 나사체결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내경에 형성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내경 상측에는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부재와; 상기 체결고정부재의 내경을 통해 요홈에 안내되어 체결고정부재의 나사사체결에 따라 상기 내관의 외측둘레를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고정부재의 요홈에 안내되는 호 형의 날개부와, 날개부로부터 직각되어 내관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호 형의 밀착부와, 밀착부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사체결부재의 경사 내면에 안내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관고정부재와; 상기 내관의 외측둘레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관의 외경을 밀착하여 체결고정부재의 상부로부터 내관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관고정부재의 간격유지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날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저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관고정부재는 2개 내지 4개로 이루어져 체결고정부재의 요홈에 안내되어 내관의 직경에 따라 체결고정부재의 나사체결시 나사체결부재의 내경을 기준으로 조여지거나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는, 외관에 설치한 나사체결부재를 기준으로 체결고정부재를 체결하여 그 내측의 관고정부재를 오무르는 형태로 와관에 관통된 내관를 요구하는 길이에서 간단하게 일차적으로 고정하고, 내관의 외측에 마련된 퀵 릴리즈 레버를 체결하여 체결고정부재에 근접되게 함으로써, 서포트의 내관 길이를 외관에 이중으로 고정하여 서포트의 안정된 받침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의 적용은 기존의 서포트와 달리 불필요한 높이조절공 등의 가공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고, 기존 고정핀을 이용한 고정 및 해체작업을 생략으로 서포트에 대한 신축 조정 및 고정, 해체작업이 신속히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기술의 건축용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의 건축용 서포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신축 고정장치가 적용된 서포트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를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의 조립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관고정부재를 체결고정부재에 안내 설치하는 상태를 예시한 종단면도,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를 이용한 내관의 고정상태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를 슬라브거푸집 지지용 서포터에 적용한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서 각기 다른 높이 조정되어 슬라브거푸집을 받치는 상태를 예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 3 내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중공형의 외관(10) 내에 내관(20)이 수용되며, 외관에 설치되어 외관으로부터 내관을 필요한 길이로 신축시켜 고정하도록 한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신축 고정장치(100)는, 외관의 외부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내측에 경사 내면(111)을 갖는 원통형으로 외축둘레에는 수나사(112)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하부측 외축둘레에는 상기 외관(10)에 삽입되어 외관의 끝단에 안착되는 단턱(113)이 형성되어 외관(10)과 용접 부착되는 나사체결부재와(110); 상기 나사체결부재(110)의 수나사(112)에 체결되는 암나사(121)가 내경에 형성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내경 상측에는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요홈(122)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손잡이부(123)가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부재(120)와;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내경을 통해 요홈(122)에 안내되어 체결고정부재의 나사사체결에 따라 상기 내관(20)의 외측둘레를 밀착 고정하기 위한 관고정부재(130)와; 상기 내관(20)의 외측둘레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고정부재(120)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관(20)의 외경을 밀착하여 체결고정부재(120)의 상부로부터 내관(20)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 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의 손잡이부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마찰홈을 형성시키거나 도면에서 미도시도었지만 다각부를 형성시켜 렌치를 이용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관고정부재(130)는, 첨부된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요홈(122)에 안내되는 호 형의 날개부(131)와, 날개부로부터 직각되어 내관(20)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호 형의 밀착부(132)와, 밀착부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사체결부재(110)의 경사 내면(111)에 안내되는 경사부(133)가 형성된다.
상기 관고정부재(130)는 2개 내지 4개로 이루어져 체결고정부재(120)의 요홈(122)에 안내되어 외관(10)에 수용되어 신축되는 내관(20)의 직경에 따라 체결고정부재(120)의 나사체결시 나사체결부재(110)의 내경을 기준으로 조여지거나 이격되게 설치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요홈(122)에는 관고정부재(130)의 간격유지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날개부(131)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22a)이 형성되고, 날개부(131)의 저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22a)에 안내되는 가이드돌기(131a)가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122a) 및 가이드돌기(131a)는 요홈(122)으로부터 관고정부재(130)들이 일정간격을 가지고 내관(20)의 중심을 향해 이동하여 내관을 밀착 고정하거나 이격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관고정부재(130)의 밀착부(132)에는 내관(20)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조면(粗面)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참고로 상기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 140)는 자전거의 안장축에 설치되어 안장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휠 포크축에 설치되어 휠을 탈착분리시 사용되는 것으로 공지된 부품으로 크게는 체결축을 갖는 고정레버, 체결축에 설치되어 고정레버를 지지하는 밀착링 및 조정너트와 슬릿부를 갖고, 상기 체결축을 관통하는 축공 및 절개된 슬릿부를 갖는 축바이스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축바이스는 서포트의 내관을 감싸는 형태로 해당위치에서 상기 고정레버에 의해 고정되기 위한 부분으로 각 구성부분에 대한 작용은 널리 공지 공용화된 부분으로 도면부호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200은 도 10의 슬라브거푸집용 서포터를 나타내고, 부호 300은 도 10 및 도 11에서의 잭 서포트를 나타내며, 부호 M은 거푸집을 나타내며, 부호 S는 슬라부층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신축 고정장치를 서포트에 적용 설치하여 사용상에 따른 작용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외관(10)에 용접 부착된 나사체결부재(110)의 수나사(112)에 체결되는 체결고정부재(120)의 내측 요홈(122)에는 첨부된 도 4에서와 같이 4개의 관고정부재(130)를 첨부된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시켜 준 상태에서 상기 나사체결부재(110)의 수나사(112)에 체결고정부재(120)의 암나사(121)를 일치시켜 체결한다.
첨부된 도 7은 상기 관고정부재(130)를 동일하게 상기 요홈(122)에 안내하되, 요홈(122)에 형성된 가이드홈(122a)에 관고정부재(130)의 날개부(131)측 가이드돌기(131a)를 안내시켜 쉽게 상기 요홈(122)으로부터 관고정부재(130)들이 이탈되지 않게 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홈(122a) 및 가이드돌기(131a)는 관고정부재(130)를 요홈(122)으로부터 쉽게 이탈을 방지하는 한편, 체결고정부재(120)의 손잡이부(123)를 돌려 나사체결시 외관(10) 내에 삽입된 내관(20)의 외측방향으로 상호 원호 간격을 유지하면서 밀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외관(10)에 수용되는 내관(20)에는 퀵 릴리즈 레버(140)를 끼운 상태에서 상기 외관에 내관의 단부를 수용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외관(10)으로부터 내관의 인출된 길이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내관(20)의 인출된 길이를 결정한 상태, 즉, 거푸집(M)을 받치는 높이로 설정한 경우라면,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손잡이부(123)를 나사체결방향으로 회전시켜 준다.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체결에 따라 그 내부측에 위치한 관고정부재(130)의 경사부(133)는 상기 나사체결부재(110)의 경사 내면(111)을 따라 하강하면서 내관측으로 모여지고, 이때 관고정부재(130)의 밀착부(132)는 해당위치의 내관(20)을 감싸듯 밀착하여 일차적으로 내관(20)을 고정한다.
상기와 같은 고정에 이어 체결고정부재(120)의 상부측을 관통하는 내관(20)에 위치한 퀵 릴리즈 레버(140)의 고정레버를 이용하여 그 반대 측에 위치한 너트에 체결한 다음, 첨부된 도 5에서와 같이 밀착링을 기준으로 고정레버를 젖혀주면, 내관에 퀵 릴리즈 레버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퀵 릴리즈 레버(140)의 고정위치는 첨부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체결고정부재(120)의 상부에 근접하는 내관에 위치된 것으로, 체결고정부재와 함께 2중으로 내관(20)을 고정함으로써, 내관을 안정되게 고정한다.
즉, 외관(10)에 대해 내관(20)의 고정하는 힘을 각각 체결고정부재(120)측과 상기 퀵 릴리즈 레버(140)가 밀착된 상태에서 내관의 고정범위를 기존의 단일 고정핀과 조정너트에 의한 고정에 비해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100)는 외관(10)에 대한 내관(20)의 길이조절 및 해체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더불어 내관에는 기존과 같이 핀구멍을 형성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중을 받는 서포트 적용시 내구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특히 지하 슬라부층 시공시 단일 서포트 및 첨부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은 슬라브거푸집용 서포터(200)의 외관으로부터 내관을 고정하는 부위에 적용하여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슬라브거푸집용 서포터(200)의 외관(10) 하단부에 300mm의 나사높낮이 조절범위를 갖는 잭 서포트(300)를 연결하여 지면으로부터 전반적인 슬라브거푸집용 서포터를 받침과 동시에 높이를 미세조정하여 받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른 신축 고정장치(100)는 외관(10)으로부터 내관(20)의 길이조정, 고정, 해체작업이 빠르고, 슬라브층(S) 형성에 따른 콘크리트 타설시 받는 하중에 의해 고정핀이 변형되는 기존 서포트의 해체 어려움 등을 해결할 수 있으며, 내구성 확보로 기존의 서포트에 비해 높이조절 범위를 크게 가질 수 있다는 장점이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외관 20: 내관
100: 신축 고정장치 110: 나사체결부재
111: 경사 내면 112: 수나사
113: 단턱 120: 체결고정부재
121: 암나사 122: 요홈
122a: 가이드홈 123: 손잡이부
130: 관고정부재 131: 날개부
131a: 가이드돌기 132: 밀착부
133: 경사부 140: 퀵 릴리즈 레버

Claims (5)

  1. 중공형의 외관 내에 내관이 수용되며, 외관에 설치되어 외관으로부터 내관을 필요한 길이로 신축시켜 고정하도록 한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축 고정장치는,
    외관의 외부직경과 동일한 원통형으로, 내측에 경사 내면을 갖는 원통형으로 외축둘레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나사가 형성된 하부측 외축둘레에는 상기 외관에 삽입되어 외관의 끝단에 안착되어 단턱이 형성되는 외관과 용접 부착되는 나사체결부재와;
    상기 나사체결부재의 수나사에 체결되는 암나사가 내경에 형성되고, 암나사가 형성된 내경 상측에는 외측으로 확장 형성된 요홈이 형성되고, 외측둘레에는 손잡이부가 돌출 형성된 체결고정부재와;
    상기 체결고정부재의 내경을 통해 요홈에 안내되어 체결고정부재의 나사사체결에 따라 상기 내관의 외측둘레를 밀착 고정하기 위해 상기 체결고정부재의 요홈에 안내되는 호 형의 날개부와, 날개부로부터 직각되어 내관의 외측둘레에 밀착되는 호 형의 밀착부와, 밀착부의 외면에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사체결부재의 경사 내면에 안내되는 경사부가 형성된 관고정부재와;
    상기 내관의 외측둘레에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체결고정부재의 상부에 위치하는 내관의 외경을 밀착하여 체결고정부재의 상부로부터 내관의 유동을 정지시키는 퀵 릴리즈 레버(Quick Release lever);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요홈에는 관고정부재의 간격유지 및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날개부를 안내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의 저면에는 가이드돌기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홈에 안내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고정부재는 2개 내지 4개로 이루어져 체결고정부재의 요홈에 안내되어 내관의 직경에 따라 체결고정부재의 나사체결시 나사체결부재의 내경을 기준으로 조여지거나 이격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2935A 2017-02-21 2017-02-21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KR101857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35A KR101857247B1 (ko) 2017-02-21 2017-02-21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935A KR101857247B1 (ko) 2017-02-21 2017-02-21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7247B1 true KR101857247B1 (ko) 2018-05-11

Family

ID=62185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935A KR101857247B1 (ko) 2017-02-21 2017-02-21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72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3703A1 (en) * 2021-01-06 2022-07-07 China Eleventh Chemical Construction Co., Ltd. Concrete pouring gui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ewage treatment tank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8290B1 (ko) * 2015-07-15 2015-11-11 김남수 안전 서포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213703A1 (en) * 2021-01-06 2022-07-07 China Eleventh Chemical Construction Co., Ltd. Concrete pouring guiding devic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sewage treatment ta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68290B1 (ko) 안전 서포트
JPH01145409A (ja) 管状ポール用内部締付装置
US20080265571A1 (en)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CA2566697A1 (en) Mechanical pipe coupling having spacers
CN211173117U (zh) 三段可调式对拉止水螺杆
KR101857247B1 (ko)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US4231541A (en) Concrete form panel tying apparatus
KR20120042908A (ko) 결합 장치
JPH0642166A (ja) 支え足場
JP6440532B2 (ja) 組立柱の引き抜き装置および引き抜き方法
KR101985324B1 (ko) 서포트용 신축 고정장치
CN203755662U (zh) 一种梁柱模板对拉固定装置
US9355625B1 (en) Cymbal mounting assembly
JP5667006B2 (ja) 手摺
CN108797896B (zh) 一种新型箍筋卡箍
KR20049396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KR101783388B1 (ko) 고정구가 구비된 안전 서포트
CN210887273U (zh) 一种土建施工用桩基辅助台
KR20180082104A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JP3219922U (ja) サポート用のレンチ
KR200329381Y1 (ko) 배관 연결용 커플링
JPH08164060A (ja) 突張装置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CA2925176C (en) Anti-rotation pipe locator and holder
KR101894169B1 (ko) 건축용 서포트의 클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