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6977B1 - 승마용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승마용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6977B1
KR101856977B1 KR1020170065264A KR20170065264A KR101856977B1 KR 101856977 B1 KR101856977 B1 KR 101856977B1 KR 1020170065264 A KR1020170065264 A KR 1020170065264A KR 20170065264 A KR20170065264 A KR 20170065264A KR 101856977 B1 KR101856977 B1 KR 101856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lide block
support plate
driving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5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희
이형우
양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엘로봇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엘로봇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엘로봇
Priority to KR10201700652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6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6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6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4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simulating the movement of hor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4/00Sports without balls
    • A63B2244/24Horse ri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마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는, 사용자가 탑승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수행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구동 링크; 상기 구동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블럭;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어 틸팅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착 플레이트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승마용 운동장치 {Horse riding devic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승마용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승마라 함은 말과 함께하는 운동으로 말의 움직임에 적응하면서 신체적 적응능력을 발전시켜 균형 감각을 발달시키고 몸의 유연성을 길러 신체발달을 돕는 전신운동이다.
그리고, 승마는 신체를 바르게 교정해 주고 허리가 유연해지며 신체의 리듬감을 길러주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정신 집중력을 기르고 폐활량이 늘어나며 담력을 길러줄 수 있으며, 특히 여성들에게는 몸매 관리에 좋고 골반이 튼튼해질 수 있는 운동 효과가 나타난다.
그러나, 승마는 아직까지 대중화되지 않아서 비용이 많이 들고, 승마 가능한 장소까지의 이동거리가 멀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승마는 낙마와 같은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상존하는 바, 안전하게 승마를 할 수 있을 때까지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이러한 승마의 장점을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여 실제로 말을 타지 않은 상태에서 그 대체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승마용 운동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승마용 운동장치의 경우, 단순히 말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 내부에 단순히 구동장치를 구비하여 운동을 하게끔 구성되어, 사용자의 흥미를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등록 특허번호 10-1225814호 (발명의 명칭 : 승마 운동기구)는, 말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의 내부에 구동장치가 제공되어 움직임이 단순하고 기구를 이용하는 재미가 크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실제 말을 타는 것과 같은 움직임을 구현하고 사용자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승마용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는, 사용자가 탑승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수행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구동 링크; 상기 구동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블럭;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어 틸팅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지 플레이트; 및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착 플레이트가 포함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는 블럭 연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블럭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윗변에 해당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아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분에는, 상기 블럭 연결부가 구비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링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상부는 상기 종동링크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2 지지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은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이 포함된다.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제 1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핀; 및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제 2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핀이 포함된다.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2 풀리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벨트부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 의하면, 다양한 모션의 구현이 가능하여 실제 말을 타는 것과 유사한 느낌의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복잡하지 않은 구동장치의 구성에 의하여, 제품의 고장발생 염려가 적고 신뢰성이 개선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구동장치의 구동부하가 작기 때문에, 승마용 운동장치에 발생되는 소음과 진동이 감소되고, 소형 부품이 적용되어 승마용 운동장치의 제조원가가 절감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크랭크 축과, 상기 크랭크 축의 회전에 의하여 전후 방향으로 움직이는 구동링크 및 슬라이드 블럭이 구비됨으로써, 안착 플레이트는 그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움직임이 수행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하 방향으로 경사지는 움직임이 구현되므로 승마효과가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 축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크랭크 축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는 상기 크랭크 축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100)는, 사용자가 탑승하여 승마운동을 체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세히, 상기 승마용 운동장치(100)에는, 말 형상을 가지는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대략 중앙부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하는 안장(113) 및 사용자가 잡을 수 있는 고삐(114)가 포함된다. 상기 본체(110)는 말 형상을 가지는 조형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본체(110)에는, 말의 머리부분에 대응하는 헤드(111)가 포함되며, 상기 고삐(114)는 상기 헤드(111)의 양측에 연결되어 상기 안장(113)을 향하여 후방으로 길게 연장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안장(113)에 앉은 상태에서 상기 고삐(114)를 양손으로 편안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승마용 운동장치(100)에는, 상기 본체(110)의 내측에 구비되는 구동장치(200) 및 상기 구동장치(200)의 하측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장치(200)를 지지하는 지지기구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기구에는, 지면에 놓여지는 베이스(150) 및 상기 베이스(150)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레그(160)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레그(160)는 상기 구동장치(200)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방향을 정의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상기 헤드(111)가 위치하는 방향을 전방, 상기 헤드(111)로부터 상기 안장(113)을 향하는 방향을 후방이라 정의한다. 그리고, 상기 전방을 바라보면서 좌측을 향하는 방향을 좌측방이라 하고, 우측을 향하는 방향을 우측방이라 이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구동장치(200)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상기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2)가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210) 및 상기 지지 프레임(2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베이스 프레임(220)이 포함된다. 상기 모터(212)는 상기 지지 프레임(21)의 상면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모터(212)의 일측에 구비되는 기어박스(215)가 더 포함된다. 상기 기어박스(215)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212)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 장치에는, 기어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상기 기어 어셈블리에는, 모터(212)의 회전방향을 전환시켜 주는 웜 기어 및 상기 웜 기어에 연동하는 웜휠 기어가 포함된다. 상기 웜 기어가 회전하면 상기 웜휠 기어가 연동하며, 이 과정에서 동력 전달방향은 수직으로 변환될 수 있다. 상기 웜 기어와 웜휠 기어에 의한 동력전달 구조는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여기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웜휠 기어에 결합되는 구동축(230)이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10)의 상측에 놓여지는 지지대(211)가 더 포함된다. 상기 지지대(211)의 상측에는, 베이스 프레임(220)이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은 패널 형상을 가지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의 일측부는 상기 기어박스(215)의 상측에 배치되며 타측부는 상기 지지대(211)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과 상기 지지 프레임(210)의 사이 공간에는, 상기 모터(212)가 설치되는 설치 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는, 상기 축 수용부(215a)의 상측에 정렬되는 축 관통부(222)가 형성된다. 상기 구동축(230)은 상기 축 수용부(215a)의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 관통부(222)를 관통하여 상기 축 관통부(222)의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축 관통부(222)의 일측에는, 위치감지 센서(280)가 구비된다. 상기 위치감지 센서(280)는 상기 구동축(230)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치감지 센서(280)에 의하여 상기 구동축(230)의 위치가 인식될 수 있고, 인식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모터(21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구동축(230)에 결합되는 크랭크축(235)이 더 포함된다. 상기 크랭크축(235)은 상기 구동축(230)의 상부에 결합되며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크랭크축(235)은 상기 구동축(230)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235)에는,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된다. 일례로, 상기 제 1 연결핀(237)은 상기 크랭크축(235)에 삽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상기 크랭크축(235)은 상기 제 1 연결핀(237)의 외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크랭크축(235)의 일측부에는 상기 구동축(230)이 결합되며, 타측부에는 상기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크랭크축(235)은, 상기 구동축(230)이 결합되는 일측부로부터 상기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되는 타측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축(230)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크랭크축(235)의 타측부는 상기 크랭크축(235)의 일측부를 중심으로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은, 상기 크랭크축(235)의 길이, 즉 상기 크랭크축(235)의 일측부로부터 타측부까지의 거리로서 이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연결핀(237)은 상기 크랭크축(235)의 타측부와 함께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1 연결핀(237)에 결합되는 구동링크(24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구동링크(240)에는, 상기 제 1 연결핀(237)에 결합되는 제 1 구동연결부(24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는 상기 제 1 연결핀(237)과 함께 상기 설정된 회전반경을 가지고 회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일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링크(240)에는, 제 2 연결핀(252)이 결합되는 제 2 구동연결부(244)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구동연결부(244)는 상기 구동링크(240)의 타측부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되는 일측부로부터 상기 제 2 연결핀(252)이 결합되는 타측부를 향하여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핀(252)은 상기 구동링크(240)의 회전중심을 제공한다. 달리 말하면, 상기 구동링크(240)의 일측부는 상기 제 1 연결핀(237)과 함께, 상기 제 2 연결핀(2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2 연결핀(252)에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럭(250)이 더 포함된다. 일례로, 상기 제 2 연결핀(252)은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상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핀(252)과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은, 상기 구동링크(240)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가로 방향, 즉 전후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되는 구동링크(240)의 일측부와, 상기 제 2 연결핀(252)이 결합되는 구동링크(240)의 타측부가 상기 구동축(230)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면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을 당기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7a,7b 참조).
반면에, 상기 제 1 연결핀(237)이 결합되는 구동링크(240)의 일측부와, 상기 제 2 연결핀(252)이 결합되는 구동링크(240)의 타측부가 모두 상기 구동축(230)의 일측에 위치하면 상기 구동링크(240)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을 밀게 되므로,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은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도 5a,5b 참조).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직선운동을 가이드 하는 이동 가이드(256)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동 가이드(256)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동 가이드(256)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양측에 다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 가이드(256)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과 함께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에 형성되며 상기 이동 가이드(256)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레일(225)이 더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5)은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슬라이드 레일(225)의 양측에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256)가 삽입되는 슬라이드 홈(227)이 더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레일(225)은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256)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다수의 이동 가이드(256)는 상기 슬라이드 홈(227)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드 레일(225)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안장(113)의 하측에 위치하는 안착 플레이트(27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는 편평한 패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안장(113)은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경사진 움직임이 수행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안장(113)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수평위치, 전방 상부가 들리는 위치 또는 후방 상부가 들리는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양측에 결합되는 다수의 지지 플레이트(275)가 더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지지 플레이트(275)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하는 움직임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지지 플레이트(275)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일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 지지 플레이트(275a) 및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타측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 플레이트(275b)가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은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는,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에 결합되는 블럭 연결부(276)가 포함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일측부는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275a)의 블럭 연결부(276)에 연결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타측부는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275b)의 블럭 연결부(276)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블럭 연결부(276)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각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는 상기 블럭 연결부(276)를 중심으로 회전되며, 이에 따라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상하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는 역삼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윗변에 해당하는 부분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아래 꼭지점에 해당하는 부분에, 상기 블럭 연결부(27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회전중심을 제공하는 블럭연결핀(276a)이 구비된다. 상기 블럭 연결핀(276a)은 상기 블럭 연결부(276)에 삽입되어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상부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하부, 즉 상기 블럭연결핀(276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 결합되는 종동링크(260)가 더 포함된다. 상기 종동링크(260)는 다수 개가 구비되며, 상기 다수 개의 종동링크(260)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다수 개의 종동링크(260)에는, 상기 제 1 지지 플레이트(275a)에 결합되는 제 1 종동링크(260a) 및 상기 제 2 지지 플레이트(275a)에 결합되는 제 2 종동링크(260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각 내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는 상기 지지대(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각 하부에는, 상기 지지대(211)에 결합되는 제 1 종동연결부(262)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1 종동연결부(262)와 상기 지지대(211)를 결합시키는 제 1 종동연결핀(262a)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종동연결핀(262a)은 상기 제 1 종동연결부(262)에 삽입되어 상기 지지대(211)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대(2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종동연결핀(262a)은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1 종동연결부(262)는 상기 지지대(211)의 일측에 지지된 상태에서, 제자리에서 상기 제 1 종동연결핀(26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각 상부에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 결합되는 제 2 종동연결부(26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장치(200)에는, 상기 제 2 종동연결부(264)와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를 결합시키는 제 2 종동연결핀(264a)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종동연결핀(264a)은 상기 제 2 종동연결부(264)에 삽입되어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로 연장되며,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종동연결핀(264a)은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회전중심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종동연결부(264)는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와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제 2 종동연결핀(264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상부는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와 함께 상기 제 1 종동연결핀(262a)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의 하부는 상기 제 1 종동연결핀(262a)을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이동과, 상기 제 1,2 지지 플레이트(275a,275b)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제 1,2 종동링크(260a,260b)는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크랭크 축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상기 크랭크 축이 제 2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7a 및 도 7b는 상기 크랭크 축이 제 3 위치에 있을 때의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상기 모터(212)가 구동되면, 그 구동력은 기어 어셈블리를 통하여 구동축(230)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축(230)이 회전하는 과정에서 상기 크랭크축(235)은 상기 크랭크축(235)의 길이에 대응하는 거리를 회전반경으로 하여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세히, 먼저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축(230)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제 1 연결핀(237)에 의하여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연결부(242)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는 상기 구동축(230)과 제 2 구동연결부(244)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축(23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1 중심선(ℓ1)은 상기 제 1 연결핀(237)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2 중심선(ℓ2)의 좌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심선(ℓ1)과 상기 제 2 중심선(ℓ2)은 제 1 이격거리(△S1)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링크(240)를 후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구동링크(24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에 연결된 슬라이드 블럭(250) 또한 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의 하부는 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의 상측에 결합된 안착 플레이트(270)의 전방부는 하방으로 내려오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후방부는 상대적으로 상방으로 올라가는 위치에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장(113)은 본체(110)의 전방을 향하여 숙여지는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축(230)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 1 연결핀(237)에 의하여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연결부(242)에 연결된다.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는 상기 구동축(230)과 나란하게 좌우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구동축(23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1 중심선(ℓ1)과 상기 제 1 연결핀(237)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2 중심선(ℓ2)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링크(240)를 좌측방으로 밀게 된다. 상기 구동링크(240)가 좌측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에 연결된 슬라이드 블럭(250)는 기준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기준위치라 함은,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가 상하 방향으로 직립된 상태에 있을 때의 슬라이드 블럭(250)의 위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가 직립됨으로써,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의 상측에 결합된 안착 플레이트(270)는 수평한 위치에 있게 되며, 결국, 상기 안장(113)은 편평한 상태에 있게 된다.
도면에 도시되는 않았으나, 상기 크랭크축(230)이 상기 구동축(230)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전후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가 상기 구동축(230)과 나란하게 좌우방향으로 위치될 때에도,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은 기준위치에 있게 된다. 따라서, 이 때에도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는 직립하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는 수평한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안장(113)은 편평한 상태에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축(230)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제 1 연결핀(237)에 의하여 상기 구동링크(240)의 제 1 구동연결부(242)에 연결된다.
상기 구동축(230)은 상기 제 1 구동연결부(242)와 제 2 구동연결부(244)의 사이에 위치된다. 상세히, 상기 구동축(230)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1 중심선(ℓ1)은 상기 제 1 연결핀(237)의 중심을 지나는 세로방향의 제 2 중심선(ℓ2)의 우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중심선(ℓ1)과 상기 제 2 중심선(ℓ2)은 제 2 이격거리(△S2)를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이격거리(△S1)와 상기 제 2 이격거리(△S2)는 동일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상기 크랭크축(230)은 상기 구동링크(24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구동링크(240)가 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구동링크(240)에 연결된 슬라이드 블럭(250) 또한 전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슬라이드 블럭(25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의 하부는 전방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의 상측에 결합된 안착 플레이트(270)의 전방부는 상방으로 올라가고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후방부는 상대적으로 하방으로 내려가는 위치에 있게 된다. 결국, 상기 안착 플레이트(270)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안장(113)은 본체(110)의 후방을 향하여 젖혀지는 움직임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구동력 발생 및 동력전달을 위한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안장(113)의 움직임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 1 실시예와 비교할 때 동력전달을 위한 일부 구조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에 구비되는 구동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승마용 운동장치(100a)의 구동장치(200a)에는, 지지프레임(210a), 구동축(230a), 크랭크축(235a), 제 1 구동연결부(242a) 및 제 2 구동연결부(244a)를 가지는 구동링크(240a), 슬라이드 블럭(250a), 안착 플레이트(270a), 제 1,2 지지플레이트(277a,277b), 위치감지 센서(280a) 및 종동링크(290a)가 포함된다.
이들에 관한 설명은, 제 1 실시예의 지지프레임(210), 구동축(230), 크랭크축(235), 제 1 구동연결부(242) 및 제 2 구동연결부(244)를 가지는 구동링크(240), 슬라이드 블럭(250), 안착 플레이트(270), 제 1,2 지지플레이트(275a,275b) 및 종동링크(260)에 관한 설명을 원용한다.
상기 구동장치(200a)에는, 상기 지지 프레임(210a)과 베이스 프레임(220a)의 사이에 위치되는 스페이서(218a)가 더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스페이서(218a)는 상기 지지 프레임(210a)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a)의 하측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지지 프레임(210a)과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a) 사이의 공간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12a)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장치(200a)에는, 상기 모터(212a)에서 발생된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230a)에 전달하는 동력전달 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동력전달 장치에는, 복수의 풀리(291,292) 및 상기 복수의 풀리(291,292)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벨트부재(295)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풀리(291,292)에는, 상기 모터(212a)의 모터축에 연결되는 제 1 풀리(291) 및 상기 제 1 풀리(291)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230a)에 연결되는 제 2 풀리(292)가 포함된다. 상기 구동축(230a)의 일측에는, 상기 구동축(230a)의 초기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 센서(280a)가 구비된다.
상기 구동장치(200a)에는, 상기 복수의 풀리(291,292) 및 벨트부재(295)가 위치되는 설치공간(293)이 형성된다. 상기 설치공간(293)은 베이스 프레임(220a)의 내부 공간에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베이스 프레임(220a)에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 1 베이스프레임(221a) 및 제 2 베이스프레임(222a)이 포함된다. 상기 제 2 베이스 프레임(222a)은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221a)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베이스 프레임(222a)은 지지 레그(223a)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지지 레그(223a)는 상기 제 1 베이스프레임(221a)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제 2 베이스프레임(222a)의 하면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치공간(293)은 상기 제 1,2 베이스프레임(221a,222a)의 사이 공간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풀리(291,292) 및 벨트부재(295)에 의한 동력전달 구조를 채용함으로써, 모터(212a)에서 발생된 구동력은 상기 구동링크(240a), 슬라이드 블럭(250a), 제 1,2 지지플레이트(277a,277b), 종동링크(290a) 및 안착 플레이트(270a)에 용이하게 전달될 수 있다.
100 : 승마용 운동장치 200 : 구동장치
210 : 지지프레임 212 : 모터
220 : 베이스프레임 230 : 구동축
240 : 구동링크 250 : 슬라이드 블럭
260 : 종동링크 270 : 안착플레이트
275 : 지지플레이트

Claims (10)

  1. 사용자가 탑승되며,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이 수행되는 안장; 및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구동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구동장치에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과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 축;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되는 구동 링크;
    상기 구동링크에 결합되며, 상기 구동 링크의 움직임에 따라 전방 또는 후방으로의 움직임을 수행하는 슬라이드 블럭;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어 틸팅되는 움직임을 수행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안장의 하측에 구비되는 안착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축이 관통하는 축 관통부를 가지는 베이스 프레임이 포함되며,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슬라이드 레일이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는 블럭 연결부가 더 포함되며,
    상기 슬라이드 블럭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상기 블럭 연결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 블럭은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부에 결합되며,
    상기 안착 플레이트는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측에 결합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는 역삼각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윗변에 해당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분은 상기 안착 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역삼각형의 형상 중, 아래 꼭지점에 해당하는 지지 플레이트의 일부분에는, 상기 블럭 연결부가 구비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는 종동링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종동링크의 상부는 상기 종동링크의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설치되는 지지 프레임이 더 포함되며,
    상기 종동링크는 상기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마용 운동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플레이트에는,
    상기 안착 플레이트의 양측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 1,2 지지플레이트가 포함되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은 상기 제 1,2 지지플레이트의 사이에 배치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 축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제 1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1 연결핀; 및
    상기 슬라이드 블럭에 결합되어 상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구동링크의 제 2 구동연결부에 연결되는 제 2 연결핀이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구동축에 전달하는 동력 전달장치가 더 포함되며,
    상기 동력 전달장치에는, 상기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는 제 1 풀리; 상기 제 1 풀리로부터 이격되며 상기 구동축에 결합되는 제 2 풀리 및 상기 제 1,2 풀리의 외주면에 권취되는 벨트부재가 포함되는 승마용 운동장치.



KR1020170065264A 2017-05-26 2017-05-26 승마용 운동장치 KR101856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64A KR101856977B1 (ko) 2017-05-26 2017-05-26 승마용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5264A KR101856977B1 (ko) 2017-05-26 2017-05-26 승마용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6977B1 true KR101856977B1 (ko) 2018-05-15

Family

ID=62186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5264A KR101856977B1 (ko) 2017-05-26 2017-05-26 승마용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69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973053A (zh) * 2021-04-16 2021-06-18 魏守昌 一种抓握式的球体训练用捡球装置
KR20220046185A (ko) * 2020-10-07 2022-04-14 안승중 승마 시뮬레이터에 모션 고도화를 위한 장치
WO2024001983A1 (zh) * 2022-06-26 2024-01-04 厦门千缘科技有限公司 一种仿真坐骑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978A (ja) * 1999-07-15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429681Y1 (ko) * 2006-08-02 2006-10-25 시몬통상(주) 승마운동기구
KR101338734B1 (ko) * 2011-03-15 2013-12-06 아진산업(주) 승마 로봇
KR101606669B1 (ko) * 2015-06-03 2016-03-25 기마로보 주식회사 승마용 운동장치
KR20170047521A (ko) * 2015-10-23 2017-05-08 이정권 승마 운동기구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8978A (ja) * 1999-07-15 2006-06-2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バランス訓練装置
KR200429681Y1 (ko) * 2006-08-02 2006-10-25 시몬통상(주) 승마운동기구
KR101338734B1 (ko) * 2011-03-15 2013-12-06 아진산업(주) 승마 로봇
KR101606669B1 (ko) * 2015-06-03 2016-03-25 기마로보 주식회사 승마용 운동장치
KR20170047521A (ko) * 2015-10-23 2017-05-08 이정권 승마 운동기구 구동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46185A (ko) * 2020-10-07 2022-04-14 안승중 승마 시뮬레이터에 모션 고도화를 위한 장치
KR102428156B1 (ko) * 2020-10-07 2022-08-01 안승중 승마 시뮬레이터에 모션 고도화를 위한 장치
CN112973053A (zh) * 2021-04-16 2021-06-18 魏守昌 一种抓握式的球体训练用捡球装置
WO2024001983A1 (zh) * 2022-06-26 2024-01-04 厦门千缘科技有限公司 一种仿真坐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6977B1 (ko) 승마용 운동장치
KR101515545B1 (ko) 하지 운동 로봇
KR101799847B1 (ko) 스쿼트 자전거
JP2007296080A (ja) 身体鍛錬器
KR100977046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907430B1 (ko) 삼륜 탑승 기구
KR101310647B1 (ko) 점프 기능을 가지는 승마 운동 기구
KR101236003B1 (ko) 승마 운동기구
KR100899333B1 (ko) 승마형 운동기구
KR101782357B1 (ko) 복합 운동 장치
KR101194354B1 (ko) 승마형 자전거
KR101463211B1 (ko) 다 방향 왕복 운동 장치와 이를 이용한 승마 운동 장치 및 승마 운동 방법
US3824961A (en) Horse training apparatus
KR101310646B1 (ko) 크랭크 방식의 승마 운동 기구
KR200445147Y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승마형 운동기구
KR20150105047A (ko) 승마 동작에 따른 동작 구동장치, 이를 이용한 지능형 헬스케어 승마 운동 기구 및 이의 제어방법
KR200446266Y1 (ko) 승마운동기구
KR20180121091A (ko) 삼륜 탑승 기구
KR101842364B1 (ko) 무동력 승마 운동 기구
KR101075843B1 (ko)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JPH09225061A (ja) 身体の鍛練装置
US7101329B2 (en) Variable exercise apparatus
US12005307B1 (en) Climbing exercise apparatus
JP3186475U (ja) 自転車用後輪支持装置
JP2007083070A (ja) バランス訓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