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881B1 -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881B1
KR101855881B1 KR1020167017148A KR20167017148A KR101855881B1 KR 101855881 B1 KR101855881 B1 KR 101855881B1 KR 1020167017148 A KR1020167017148 A KR 1020167017148A KR 20167017148 A KR20167017148 A KR 20167017148A KR 101855881 B1 KR101855881 B1 KR 1018558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polyester
compound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0891A (ko
Inventor
히데타카 키무라
유조 카토
켄 쿠보타
켄 사카가미
나오야 아이다
Original Assignee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9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8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8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4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02Synthetic macromolecular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2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electrical or magnetic properties, e.g. piezoelectric
    • B32B2307/21Anti-sta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4Oriented
    • B32B2307/518Oriented bi-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32B2457/202LCD, i.e. liquid crystal displays

Abstract

광학제품의 부재이고, 특히 LCD용 백라이트의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 백코트 가공을 실시하지 않아도 백코트가 갖는 대전방지 성능, 마모성능, 차폐성능 각 기능을 갖고, 높은 휘도를 유지하며, 선명하고 고품질의 화상을 부여할 수 있다. 광학적 성능과 비용 대응에 극히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한다. 표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C)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3층 구조를 포함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층(A) 상에 이접착 도포층을 가지며, 층(C) 상에 대전방지 도포층을 갖고, 층(C) 중에 평균 입자경 3.0~7.0㎛의 불활성 유기 입자를 0.05~1.5 중량% 함유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Description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BIAXIALLY STRETCHED LAMINATED POLYESTER FILM}
본 발명은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고, 상세하게는 액정 디스플레이(이하, LCD로 약기하는 경우 있음)의 백라이트의 광학 시트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나 프리즘 시트의 기재에 사용되는 2축 연신 적층에 관한 것이다.
종래, 폴리에스테르 필름, 특히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의 2축 연신 필름은, 우수한 기계적 성질, 내열성, 내약품성을 갖고 있어, 자기 테이프, 강자성 박막 테이프, 사진 필름, 포장용 필름, 전자부품용 필름, 전기절연 필름, 금속 라미네이트필름, 글래스 디스플레이 등의 글래스 표면에 접착하는 필름, 각종 부재의 보호용 필름 등의 소재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근년, 특히 각종 광학용 시트에 많이 사용되며, LCD의 부재의 확산시트,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복합시트, 반사판, 터치 패널 등의 ITO 기재 하드 코트 필름의 베이스 필름이나 반사방지용 베이스 필름, 디스플레이의 방폭용 베이스 필름, PDP 필터용 필름 등의 각종 용도에 사용되고 있다.
이들 광학용 시트 중에서도, LCD의 백라이트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 등은, 편면에, 마이크로렌즈, 프리즘 등의 기능을 갖는 프론트 가공, 그의 반대면측에, 각 시트 끼리의 접착을 방지하기도 하고, 다른 부재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기도 하고,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인 램프의 상을 차폐하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대전방지성, 마모성(미끄럼성), 차폐성 등의 기능을 갖는 백코트 가공이 행해지지만, 근년, 격심한 비용절감 요청이 배경에 있는 점에서, 종래 행해져 왔던 백코트 가공 공정을 없애고, 백코트 기능을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부여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예컨대, 백라이트 유닛의 광원인 램프의 상을 차폐하는 성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서,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방법으로서는, 베이스로 되는 필름의 헤이즈를 높이는 방법이 있고, 그 구체적 방법으로서는,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규소,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무기 입자를 필름 중에 넣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는, 램프의 상을 차폐하기 위한 고 헤이즈화에는 대량의 입자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필름 제막공정에서 필터의 압력이 상승하여 빈번하게 필터 교환이 필요하게 되기도 하고, 필름이 파단하기 쉽게 되어 생산성의 악화가 발생하기도 하여, 대량의 입자를 필요하는 것, 비용면에서 높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름 내부의 대량의 입자에 의한 광의 반사, 산란, 흡수 등의 영향에 의해, 본래 베이스 필름으로서 필요로 하는 광선투과율이 저하하여, 그 결과, 휘도가 저하되고, 선명하고 고정세이며 또 고품질인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다.
필름 내부의 입자에 의한 광선투과율의 저하, 즉 휘도의 저하를 회피하기 위하여, 필름의 구성을 다층계로 하고, 표층부에만 입자를 넣는 방법도 고려할 수 있지만, 이 경우, 편면측이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가공이 실시되기 때문에, 가공되지 않은 반대면측에서만 광원인 램프를 차폐하기 위한 높은 헤이즈를 달성할 필요가 있지만, 입자를 다량으로 넣어도 목적으로 하는 차폐성을 달성하기가 곤란하고, 또 입자를 다량으로 사용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져버려 다른 부재와의 손상성이 열등한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특개2011-227436호 공보 특허문헌 2: 특개2010-247481호 공보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여 실시된 것이고, 그 해결과제는, 광학제품의 부재이고, 특히 LCD용 백라이트의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할 때, 백코트 가공을 행하지 않아도 백코트가 갖는 대전방지성능, 마모성능, 차폐성능의 각 기능을 갖고, 높은 휘도를 유지하며, 선명하고 고품질인 화상을 부여할 수 있는, 광학적 성능과 비용 대응에 극히 우수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예의 검토한 결과, 특정의 구성을 갖는 필름에 의하면, 상기 과제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 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요지는, 표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C)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3층 구조를 포함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층(A) 상에 이접착(易接着) 도포층을 갖고, 층(C) 상에 대전방지 도포층을 가지며, 층(C) 중에 평균 입자경 3.0~7.0㎛의 불활성 유기 입자를 0.05 ~1.5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필름은 근년의 격심한 비용절감 요청이 있는 LCD용 백라이트 광학 시트의,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한 경우에, 백코트 가공이 불필요하고, 광원인 램프의 상이 화상에 나타나서 선명하고 고정세인 화상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문제나, 다른 부재에 대한 손상성 및 시트 끼리의 접착 등의 문제를, 휘도를 저하시키는 일 없이 해결하여, 고품질·비용 대응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공업적 가치는 극히 높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디카복시산과 지방족 글리콜을 중축합시켜서 얻을 수 있는 것을 지칭한다. 방향족 디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2,6-나프탈렌 디카복시산 등을 들 수 있고, 지방족 글리콜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들 수 있다. 대표적인 폴리에스테르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 디카복실레이트(PEN),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는, 공중합되지 않은 호모폴리머이어도 좋고, 또 디카복시산 성분의 20몰% 이하가 주성분 이외의 디카복시산 성분이며, 및/또는 디올 성분의 20몰% 이하가 주성분 이외의 디올 성분이도록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이어도 좋다. 또한 그들의 혼합물이어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는, 종래 공지 방법으로, 예컨대 디카복시산과 디올의 반응으로 직접 저중합도 폴리에스테르를 얻는 방법이나, 디카복시산의 저급 알킬에스테르와 디올을 종래 공지의 에스테르 교환 용매로 반응시킨 후, 중합촉매의 존재하에서 중합반응을 행하는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중합촉매로서는, 안티몬 화합물, 게르마늄 화합물, 티탄 화합물 등 공지의 촉매를 사용하여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안티몬 화합물의 양을 0 또는 안티몬으로서 100ppm 이하로 하는 것에 의해 필름의 거무칙칙함을 저감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에스테르는, 용융 중합 후에 이것을 칩화하고, 가열감압하 또는 질소 등 불활성 기류 중에 필요에 따라서 또한 고상 중합을 실시하여도 좋다.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는 0.50 dl/g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50~0.90 dl/g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의, 백라이트용의 마이크로렌즈 또는 프리즘 등의 무용제계 UV 경화형 수지의 가공이 실시되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표층을 구성하는 층(A)에는, 필름에서의 손상방지성, 마스터롤로부터 제품을 슬릿할 때의 권취특성 등의 면에서, 이활성 부여를 주된 목적으로 하여 입자를 배합하여도 좋다. 그러나, 제막 라인에서의 롤의 재질, 롤의 온도조정, 롤에 대한 부착물의 제거 등의 대책에 따라 필름으로의 손상방지나, 제품을 슬릿할 때의 권취특성 등의 면에서 특히 문제가 없으면, 배합을 행하지 않아도 좋다.
배합하는 입자의 종류는, 이활성 부여가능한 입자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실리카, 탄산칼슘,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 산화규소, 카올린, 산화알루미늄, 산화티탄 등의 입자를 들 수 있다. 또한, 특공소 59-5216호 공보, 특개소59-217755호 공보 등에 기재되어 있는 내열성 유기 입자를 사용하여도 좋다. 이 외의 내열성 유기 입자의 예로서, 열경화성 요소 수지, 열경화성 페놀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에스테르 제조 공정 중, 촉매 등의 금속 화합물의 일부를 침전, 미분산시킨 석출 입자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사용하는 입자의 형상에 관해서도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구상, 괴상, 봉상, 편평상 등의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그의 경도, 비중, 색 등에 관해서도 특히 제한은 없다. 이들 일련의 입자는, 필요에 따라서 2종류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또한, 사용하는 입자의 평균입경은, 통상 0.01~3㎛가 바람직하다. 평균입경이 0.01㎛ 미만인 경우에는, 입자가 응집되기 쉽고, 분산성이 불충분한 경우가 있고, 한편, 3㎛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져서, 마이크로렌즈 가공, 프리즘 가공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없고,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광학성능이 열등한,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입자 함유량은, 층(A)에 대하여, 통상 0.2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15 중량% 이하이다. 0.2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져서,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가공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없어, 광학특성이 열등한 경우가 있다.
한편, 층(C)에는, 높은 휘도 특성을 유지하면서, 광원인 램프의 상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성과, 타 부재에 대한 손상 방지를 위한 내마모성의 각 기능을 가지게 하기 위해, 불활성 유기 입자를 배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활성 유기 입자의 평균입자경은, 3~7㎛ 범위이다. 평균입자경이 3㎛ 미만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차폐성을 달성하기 위한 다량의 입자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면에서 메리트가 없다. 또한, 광선투과율이 저하하여, 휘도가 저하되게 된다. 한편, 평균입자경이 7㎛를 초과하는 경우는, 필름 제막 공정에서 필터의 압력 상승이 크게 되어, 생산성을 악화시켜, 필름의 파단이 일어나기 쉽게 된다. 이 경우, 필터의 눈금을 크게 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지만, 그렇게 하면 필름 중의 이물이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고품질의 화상을 얻기 어렵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표층을 구성하는 층(C)에 대한 불활성 유기 입자의 함유량은, 0.05~1.5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3 중량% 범위이다. C층에 대한 불활성 유기 입자의 함유량이 0.05% 미만에서는,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광원의 라이트의 상을 차폐하기 위한 차폐성을 얻을 수 없다. 한편,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휘도가 현저하게 저하하는 것으로 되고, 또한 표면조도가 너무 거칠어져서, 타부재에 대한 손상성이 현저하게 악화하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활성 유기 입자는, 열중량분석계를 사용하여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측정되는 5% 열분해온도가 통상 300℃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310℃ 이상이다. 열분해온도가 300℃ 미만이면, 열열화물의 발생에 의해 필름의 투과광이 황색미를 띄어 휘도, 외관품질의 저하가 일어나는 수가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불활성 유기 입자는, 단성분이어도 좋고, 또한, 2성분 이상을 동시에 사용하여도 좋다. 구체적인 유기 입자의 예로서는, 멜라민 수지, 폴리스티렌, 유기 실리콘 수지,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등의 유기 입자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필름으로서 제막 가능한 범위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75~300㎛ 범위이다.
본 발명의 필름의 전광선투과율은, 88% 이상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89% 이상이다. 본 발명의 필름은, 높은 헤이즈를 가지면서 그의 우수한 광투과성을 갖기 때문에, 광학용도에 사용할 수 있다. 전광선투과율이 88% 미만인 경우에는, 광학용으로서는 부적당하게 되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의 헤이즈는, 통상 6.0~30.0%, 바람직하게는 6.0~20.0%이다. 본 발명에서는, 헤이즈가 30.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전광선투과율이 저하하여 휘도가 불충분하게 되어 광학용로서는 부적절하게 되는 수가 있다. 또한, 타부재에 대한 손상성도 악화하는 일이 있다. 한편, 6.0% 미만에서는, 목적으로 하는 광원의 램프의 상을 차폐할 수 없게 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150℃, 30분에서의 가열수축율에 대하여, 필름 길이방향(MD)이 통상 1.8% 이하, 바람직하게는 1.5% 이하이다. 또한, 필름 폭방향(TD)이 통상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0.8%, 또한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필름 길이방향(MD)이 1.8%, 폭방향(TD)이 1.0%를 초과하여 크게 되면, 디스플레이 제품의 부재로서 사용한 경우에, 백라이트의 광원의 램프나 주변부품의 발열의 영향에 의해 시트를 형성하고 있는 필름의 치수안정성이 손상되어, 특히 시트의 테두리 부분에 있어서는, 물결 현상이 발생하는 수가 있어, 화상에 왜곡이나 불균일이 발생하여 화상 품질의 열화의 원인으로 되는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측정시의 총 두께가 1000㎛에 가깝게 되도록, 900㎛ 내지 1000㎛ 범위에서 복수매 중첩되었을 때의 색조반사법 y치가 0.3230 이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색조반사법 y치가 0.3230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황색미가 강하고, 디스플레이용으로서 사용한 경우, 화상의 색조가 열등하게 되기도 하고, 휘도가 저하하기도 하는 등의 점에서 부적절하게 되는 수가 있다. 또한, 각 시트 간에서 색조차가 발생하고, 백라이트 유닛에 각 시트를 조립하였을 때에, 광원 측의 백라이트의 색조 조정이 매번 필요하게 되기도 하고, 근년의 광원이 LED 대응의 백라이트에서는, LED의 광원 색이 황색미가 강한 경향에 있고, 또한 황색미가 증가하는 것으로 되어 화상이 황색으로 되기 때문에, LED 대응의 백라이트에서는 이들 시트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수가 있다.
이러한 색조의 필름으로 하기 위해서는, 원료인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할 때의 촉매, 조제를 선택하고, 가능한한 촉매의 양을 적게 하는 것이나, 중합 및 제막시에 폴리에스테르가 필요 이상으로 고온도로 되기도 하고, 용융시간이 길어 지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비용절감을 위해, 필름 제조시에 발생하는 귀부, 마스터롤 귀부 및 마스터롤하 권취부 등으로부터의 재생품에 관하여, 설정을 행한 헤이즈 및 색조의 범위에서, 중간층(B)에 사용할 수 있다. 층(B)으로의 재생품의 사용은, 층(C)에 배합하고 있는 불활성 유기 입자가 B층에 혼입되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내마모성을 유지한 범위에서 층(C)로의 불활성 유기 입자의 배합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비용 메리트가 크다.
단, 층(B)에서의 재생품의 사용은, 헤이즈 및 색조 규제 외에, 극한점도 저하에 의한 제막 안정성의 면에서, 층(B)에 대하여 60 중량% 이하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면배향도(ΔP)가 0.161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면배향도가 0.160 이하이면,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했을 때의 두께 편차가 크게 되어, 필름 평면성이 악화되어, 마이크로렌즈 가공, 프리즘 가공을 균일하게 가공할 수 없고,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광학 성능에 불균일이 발생하여 부분적으로 휘도가 낮은 개소나 화상 불균일이 발생하기도 하여, 광원의 라이트의 상의 차폐성능에서 불균일이 발생하기도 하여, 타 부재와의 손상성에 불균일이 발생하기도 하는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은, 180℃에서 10분간 열처리 후의 필름 표면으로의 올리고머(환상 삼량체)석출량의 표리면의 합이, 15 mg/m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10.0 mg/m2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mg/m2 이하이다. 필름 표면으로의 올리고머 석출량이 15 mg/m2 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표면에서 올리고머가 결정화되어 필름 상에 제공하는 기능층에 용해되어 들어가서 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등의 문제를 유발하는 수가 있다.
열처리에 의한 필름 표면으로의 올리고머 석출량을 상기 범위로 하기 위해서는, 표층을 구성하는 층(A)과 층(C)에 올리고머 함유량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기도 하고, 인라인/오프라인에서 도포층을 제공하기도 하는 것에 의해 필름 표면에 올리고머가 석출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으로, 열처리 후의 필름 표면으로의 올리고머 석출량을 상기 범위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필름은, 공압출법을 이용하여 적층 구조로 하지만, 그때, 표층을 구성하는 층(A) 및 층(C)의 두께는, 통상 2.0~20.0㎛ 이다. 이러한 두께가 2.0㎛ 미만이면, 가공 중의 열열이력 등에 의해, 내층에 함유되어 있는 올리고머(환상 삼량체)가 필름 표면에 석출되어, 생산 라인의 오염이나 필름 표면의 이물량의 증가를 볼 가능성이 있다. 한편, 20.0을 초과하면 필름이 커얼링되기 쉽게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자외선흡수제, 염료 등의 첨가제를 첨가하는 경우에는 필름의 중간층을 구성하는 B층에 배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요지를 만족하는 한, 본 발명은 이하의 예시에 특히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공지의 수법에 의해 건조한, 또는 미건조의 폴리에스테르 칩을 용융압출장치에 공급하고, 각각의 폴리머의 융점 이상인 온도로 가열하여 용융한다. 이어서, 용융된 폴리머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회전냉각드럼 상에서 유리전이온도 이하의 온도로 되도록 급랭고화하여, 실질적으로 비정 상태의 미배향 시트를 얻는다. 이 경우, 시트의 평면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와 회전냉각드럼과의 밀착성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에서는 정전인가밀착법 및/또는 액체도포밀착법이 바람직하게 채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시트를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필름 화한다. 연신조건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서술하면, 상기 미연신 시트를, 바람직하게는 종방향으로 70~145℃에서 2.7~5배로 연신하여, 종1축 연신 필름으로 한 후, 횡방향으로 90~160℃에서 3~5배 연신을 행하고, 210~240℃에서 10~600초간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때 열처리의 최고 온도 존 및/또는 열처리 출구의 쿨링존에서,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2~20% 이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재종연신, 재횡연신을 부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압출기를 3대 이용하여, 소위 공압출법에 의해 3층의 적층필름으로 할 수 있다. 층의 구성으로서는, 원료 A와 원료 B와 원료 C를 사용하여 A/B/C 구성의 필름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필름은, LCD용 백라이트의 광학 시트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시트에 사용되기 때문에, 마이크로렌즈용의 레진, 프리즘용의 레진 등의 무용제계 UV 경화형 수지와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층(A) 상에 하부층으로서의 이접착 도포층을 제공하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그 반대면측인 층(C) 상에 대전방지도포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대전방지 도포층의 형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포층에 대하여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막 공정 중에 필름 표면을 처리하는, 인라인코팅에 의해 제공하여도 좋고, 일단 제조한 필름 상에 계외에서 도포하는, 오프라인코팅을 채용하여도 좋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인라인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다.
인라인코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제조 공정 내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고, 구체적으로는,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압출하고 나서 연신 후 열고정하여 권취하기 까지의 임의 단계에서 코팅을 행하는 방법이다. 통상은, 용융, 급랭하여 얻어지는 미연신 시트, 연신된 1축 연신 필름, 열고정 전의 2축 연신 필름, 열고정 후에권취하기 전의 필름의 어디에서 코팅을 한다. 이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컨대 축차 2축 연신에서는, 특히 길이방향(종방향)으로 연신된 1축 연신 필름에 코팅한 후에 횡방향으로 연신하는 방법이 우수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제막과 도포층 형성을 동시에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제조 비용 상의 메리트가 있고, 또한, 코팅 후에 연신을 행하기 때문에, 도포층의 두께를 연신배율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오프라인코팅에 비하여 박막 코팅을 보다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연신 전에 필름 상에 도포층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을 기재필름과 함께 연신할 수 있고, 그에 의해 도포층을 기재 필름에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다. 또한, 2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에서, 클립 등에 의해 필름 단부를 잡아서 연신하는 것으로, 필름을 종 및 횡방향으로 구속할 수 있어, 열고정 공정 에서, 주름 등이 들어가지 않아 평면성을 유지한채 고온을 걸 수 있다. 그 까닭에, 도포 후에 실시되는 열처리가 다른 방법으로는 달성할 수 없는 고온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도포층의 조막성이 향상되고, 도포층과 기재 필름을 더욱 강고하게 밀착시킬 수 있고, 또한, 강고한 도포층으로 할 수 있어, 도포층 상에 형성될 수 있는 각종 기능층과의 밀착성이나 내습열성 등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층(A) 측에 이접착 도포층을 갖는 것을 필수 요건으로 하는 것이고, 이접착 도포층으로서는, 종래 공지의 각종의 폴리머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머의 구체예로서는,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비닐(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염화비닐아세트산 비닐 공중합체 등),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알킬렌이민, 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셀룰로오스, 전분류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이접착 도포층상에 제공되는 기능층과의 밀착성을 향상하는 점에서 우레탄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바람직하고,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가 또한 바람직하고, 특히 프리즘층이나 마크로렌즈층 등의 무용제계 UV 경화형 수지층과의 밀착성이 향상되는 점에서 우레탄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우레탄 수지라는 것은, 우레탄 결합을 분자 내에 갖는 고분자 화합물이다. 통상 우레탄 수지는 폴리올과 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에 의해 작성된다. 폴리올로서는,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 폴리에테르 폴리올류, 폴리올레핀폴리올류, 아크릴폴리올류를 들 수 있고, 이들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사용하여도 좋다.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는, 다가 알코올류와 카보네이트 화합물로부터, 탈알코올 반응에 의해 얻을 수 있다. 다가 알코올류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2-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1,7-헵탄디올, 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3-메틸-1,5-펜탄디올, 3,3-디메틸올 헵탄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네이트 화합물로서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에틸렌 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계 폴리올류로서는, 예컨대, 폴리(1,6-헥실렌)카보네이트, 폴리(3-메틸-1,5-펜틸렌)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류로서는, 다가 카복시산(말론산,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핀산, 피멜린산, 수베린산, 세바신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 또는 그들의 산 무수물과 다가 알코올(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1,3-부탄디올, 1,4-부탄디올, 2,3-부탄디올, 2-메틸-1,3-프로판디올, 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3-메틸-1,5-펜탄디올, 2-메틸-2,4-펜탄디올, 2-메틸-2-프로필-1,3-프로판디올, 1,8-옥탄디올, 2,2,4-트리메틸-1,3-펜탄디올, 2-에틸-1,3-헥산디올, 2,5-디메틸-2,5-헥산디올, 1,9-노난디올, 2-메틸-1,8-옥탄디올, 2-부틸-2-에틸-1,3-프로판디올, 2-부틸-2-헥실-1,3-프로판디올, 시클로헥산디올, 비스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산, 디메탄올벤젠,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알킬 디알칸올아민, 락톤디올 등)의 반응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 폴리올류로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 폴리헥사메틸렌에테르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수지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폴리올류의 중에서도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류 및 폴리에스테르폴리올류가 보다 적합하게 사용된다.
우레탄 수지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 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좋다.
우레탄 수지를 합성할 때에 사슬연장제를 사용하여도 좋고, 사슬연장제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기와 반응하는 활성기를 2개 이상 갖는 것이라면 특히 제한은 없고, 일반적으로는, 수산기 또는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를 주로 사용할 수 있다.
수산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디올 등의 지방족 글리콜, 크실릴렌글리콜, 비스히드록시에톡시벤젠 등의 방향족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등의 에스테르 글리콜이라고 하는 글리콜류를 들 수 있다. 또한, 아미노기를 2개 갖는 사슬연장제로서는, 예컨대, 톨릴렌디아민, 크실릴렌디아민, 디페닐메탄디아민 등의 방향족 디아민, 에틸렌 디아민, 프로필렌 디아민, 헥산디아민, 2,2-디메틸-1,3-프로판디아민, 2-메틸-1,5-펜탄디아민, 트리메틸헥산디아민, 2-부틸-2-에틸-1,5-펜탄디아민, 1,8-옥탄디아민, 1,9-노난디아민, 1,10-데칸디아민 등의 지방족 디아민, 1-아미노-3-아미노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아민, 이소프로필리덴 시클로헥실-4,4'-디아민, 1,4-디아미노시클로헥산, 1,3-비스아미노메틸시클로헥산 등의 지환족 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우레탄 수지는 용제를 매체로 하는 것이어도 좋지만, 바람직하게는 물을 매체로 하는 것이다. 우레탄 수지를 물에 분산 또는 용해시키기 위해서는, 유화제를 사용하는 강제유화형, 우레탄 수지 중에 친수성 기를 도입하는 자기유화형 또는 수용형 등이 있다. 특히, 우레탄 수지의 구조 중에 이온 기를 도입하여 아이오노머화한 자기유화 타입이 액의 저장안정성이나 얻을 수 있는 도포층의 내수성, 투명성이 우수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도입하는 이온 기로서는, 카복실기, 술폰산, 인산, 포스폰산, 제4급 암모늄염 등, 각종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카복실기가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에 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반응의 각 단계 중에서 각종의 방법을 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리폴리머 합성시에, 카복실기를 지닌 수지를 공중합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방법이나, 폴리올이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사슬연장제 등의 일성분으로서 카복실기를 가진 성분을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특히, 카복실기 함유 디올을 사용하여, 이 성분의 투입량에 따라서 소망하는 양의 카복실기를 도입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우레탄 수지의 중합에 사용하는 디올에 대하여, 디메틸올 프로피온산, 디메틸올 부탄산, 비스-(2-히드록시에틸)프로피온산, 비스-(2-히드록시에틸)부탄산 등을 공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 카복실기는 암모니아, 아민, 알칼리 금속류, 무기 알칼리류 등으로 중화한 염의 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것은, 암모니아,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 수지는, 도포 후의 건조 공정에서 중화제가 제거된 카복실기를, 다른 가교제에 의한 가교반응점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포 전의 액의 상태에서의 안정성이 우수한 이외에, 얻어지는 도포층의 내구성, 내용매성, 내수성, 내블록킹성 등을 또한 개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아크릴 수지라는 것은, 아크릴계, 메타아크릴계의 모노머로 대표되는 것과 같은,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지닌 중합성 모노머를 포함하는 중합체이다. 이들은, 단독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어느 것이어도 차이가 없다. 또한, 그들 중합체와 다른 폴리머(예컨대 폴리에스테르, 폴리우레탄 등)와의 공중합체도 포함된다. 예컨대, 블록 공중합체, 그라프트 공중합체이다. 또는, 폴리에스테르 용액, 또는 폴리에스테르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지닌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 폴리우레탄 용액, 폴리우레탄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지닌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의 혼합물)도 포함된다. 동일하게하여 다른폴리머 용액, 또는 분산액 중에서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지닌 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여 얻어진 폴리머(경우에 따라서는 폴리머 혼합물)도 포함된다. 또한, 접착성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하여 히드록실기, 아미노기를 함유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지닌 중합성 모노머로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특히 대표적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르산, 말레인산, 시트라콘산과 같은 각종 카복실기 함유 모노머류, 및 그들의 염;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푸마레이트, 모노부틸히드록시이타코네이트와 같은 각종의 수산기함유 모노머류;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와 같은 각종의(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메타)아크릴 아미드, 디아세톤 아크릴 아미드, N-메틸올 아크릴 아미드 또는 (메타)아크릴로니트릴 등과 같은 각종의 질소함유 화합물;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디비닐벤젠, 비닐톨루엔과 같은 각종 스티렌 유도체, 프로피온산비닐과 같은 각종의 비닐에스테르류; γ-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등과 같은 각종의 규소함유 중합성 모노머류; 인함유 비닐계 모노머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과 같은 각종의 할로겐화 비닐류; 부타디엔과 같은 각종 공역 디엔류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라는 것은, 주 구성 성분으로서 예컨대, 하기와 같은 다가 카복시산 및 다가 히드록시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즉, 다가 카복시산으로서는,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오르토프탈산, 프탈산, 4,4'-디페닐디카복시산, 2,5-나프탈렌 디카복시산, 1,5-나프탈렌 디카복시산 및 2,6-나프탈렌 디카복시산, 2,7-나프탈렌 디카복시산, 1,4-시클로헥산디카복시산, 2-칼륨술포테레프탈산, 5-소듐술포이소프탈산, 아디핀산,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도데칸디카복시산, 글루타르산, 숙신산, 트리멜리트산, 트리메신산, 피로멜리트산산, 무수 트리멜리트산, 무수 프탈산, p-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멜리트산모노칼륨염 및 그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다가 히드록시화합물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1,2-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필렌 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5-펜탄디올, 네오펜틸 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p-크실릴렌 글리콜, 비스페놀 A-에틸렌 글리콜 부가물,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디메틸올프로피온산,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디메틸올에틸술폰산나트륨, 디메틸올프로피온산칼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화합물 중에서, 각각 적절히 1개 이상을 선택하여, 상법의 중축합 반응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하면 좋다.
또한 상술한 폴리머에는, 근년의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의 고휘도화의 경향을 고려하면, 통상의 수지로는 밀착성을 확보하기 어렵게 되기 때문에, 보다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를 위하여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접착 도포층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시켜, 상기 이중결합과,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화합물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자외선조사시에 반응시켜, 공유결합을 형성하고, 그에 의해 밀착을 향상시킬 수 있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의 도입에 사용되는 폴리머로서는, 상술한 어느 폴리머이어도 좋지만, 특히 우레탄 수지, 아크릴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가 밀착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고, 가장 바람직한 형태는, 우레탄 수지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시키는 것이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함유하는 우레탄 수지라는 것은, 우레탄 수지 중에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것이고,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하는 화합물 중에 함유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과 반응하는 것이라면 종래 공지의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우레탄 수지에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형으로 도입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탄소-탄소 이중결합에는 각종의 치환기를 도입할 수 있고, 예컨대, 메틸기나 에틸기 등의 알킬기, 페닐기, 할로겐기, 에스테르기, 아미드기 등이나 또는 콘쥬게이트 이중결합과 같은 구조를 지니고 있어도 좋다. 또한, 치환기의 양으로서는, 특히 제한은 없고, 1치환체, 2치환체, 3치환체, 또는 4치환체 어느 것도 사용할 수 있고, 반응성을 고려하면 1치환체 또는 2치환체가 바람직하고, 또한 1치환체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레탄 수지으로의 도입의 용이성과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을 형성하는 화합물 중에 함유하는 탄소-탄소 이중결합과의 반응성을 고려하면, 아크릴레이트기나 메타크릴레이트기가 바람직하고, 또한 치환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기나 메타크릴레이트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치환기가 없는 아크릴레이트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탄소-탄소 이중결합부(C=C 부분이고, 분자량 24)의 우레탄 수지 전체에 대한 비율은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또한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이상이다. 탄소-탄소 이중결합부의 수지 전체에 대한 비율이 0.5 중량% 이상이면 효과적으로 프리즘 수지나 마이크로렌즈 수지에서의 밀착성, 특히 고휘도를 고려한 굴절율이 높은 수지에서의 밀착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이접착 도포층의 형성에는, 도포층의 도막을 강고하게 하고,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 등과 충분한 밀착성, 내습열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서는, 예컨대, 옥사졸린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멜라민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 실란 커플링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옥사졸린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이들 가교제를 2종 이상 병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특히 옥사졸린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을 병용하면 현격하게 밀착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옥사졸린 화합물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옥사졸린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특히 옥사졸린 기를 함유하는 중합체가 바람직하며,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 단독 또는 다른 모노머와의 중합체 의해 작성될 수 있다.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는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여 아주 적합하다. 다른 모노머는, 부가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라면 제한없고, 예컨대 알킬(메타)아크릴레이트(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메타)아크릴산에스테르류;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의 염(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3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복시산류;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메타)아크릴 아미드, N-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N,N-디알킬(메타)아크릴 아미드,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불포화 아미드류;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등의 비닐에스테르류;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류;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등의 함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류;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옥사졸린 화합물에 함유되는 옥사졸린기의 함유량은, 옥사졸린기 양으로, 통상 0.5~10 mmol/g, 바람직하게는 1~10 mmol/g, 보다 바람직하게는 2~8 mmol/g, 또한 바람직하게는 3~7 mmol/g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의 사용이, 밀착성 향상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에폭시 화합물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에폭시 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예컨대, 에피클로로히드린과 에틸렌 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 비스페놀 A 등의 수산기나 아미노기와의 축합물을 들 수 있고,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 등이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모노에폭시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서는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이라는 것은,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블록 이소시아네이트로 대표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유도체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다.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컨대,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 α,α,α',α'-테트라메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환을 갖는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리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렌 비스(4-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 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예시된다. 또한, 이들 이소시아네이트의 뷰렛화물, 이소시아누레이트화물, 우레토디온화물,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등의 중합체나 유도체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복수종 병용하여도 좋다. 상기 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한 황변을 피하기 위하여,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보다도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 또는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블록 이소시아네이트 상태로 사용하는 경우, 그의 블록제로서는, 예컨대 중아황산염류, 페놀, 크레졸, 에틸페놀 등의 페놀계 화합물,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벤질알코올, 메탄올, 에탄올 등의 알코올계 화합물, 말론산 디메틸, 말론산 디에틸, 아세토아세트산메틸, 아세토아세트산에틸, 아세틸아세톤 등의 활성 메틸렌계 화합물, 부틸 머캅탄, 도데실 머캅탄 등의 머캅탄계 화합물, ε-카프로락탐, δ-발레로락탐 등의 락탐계 화합물, 디페닐 아닐린, 아닐린, 에틸렌이민 등의 아민계 화합물, 아세토아닐리드, 아세트산아미드의 산아미드 화합물, 포름알데히드, 아세토알독심, 아세톤옥심, 메틸에틸케톤옥심, 시클로헥사논옥심 등의 옥심계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도 2종 이상의 병용이어도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은 단체로 사용하여도 좋고, 각종 폴리머와의 혼합물이나 결합물로서 사용하여도 좋다.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의 분산성이나 가교성을 향상시킨다는 의미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수지나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혼합물이나 결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라는 것은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고, 분자 내에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1개 이상 갖는 화합물이지만, 보다 양호한 밀착성 등을 위하여,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은 종래 공지의 기술로 합성할 수 있고, 일반적으로는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축합반응이 사용된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방향족계, 지방족계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수용성이나 수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첨가하는 것이나, 폴리알킬렌 옥사이드, 디알킬 아미노알코올의 4급 암모늄염, 히드록시알킬 설폰산염 등의 친수성 모노머를 첨가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에 함유되는 카르보디이미드기의 함유량은, 카르보디이미드 당량(카르보디이미드기 1 mol을 부여하기 위한 카르보디이미드 화합물의 중량[g])이고, 통상 100~1000, 바람직하게는 250~80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700, 또한 바람직하게는 350~650 범위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으로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멜라민 화합물이라는 것은, 화합물 중에 멜라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이고, 예컨대,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 알킬올화 멜라민 유도체에 알코올을 반응시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에테르화시킨 화합물, 및 이들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에스테르 환상 삼량체의 석출 방지의 관점에서, 보다 많은 수산기 등의 가교성 반응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4개 이상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에테르화에 사용되는 알코올로서는,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n-부탄올, 이소부탄올 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또한, 멜라민 화합물로서는, 단량체, 또는 2량체 이상의 다량체의 어느 것이어도 좋고, 또는 이들 혼합물을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멜라민의 일부에 요소 등을 공축합시킨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가교제는, 건조 과정이나, 제막 과정에서, 반응시켜서 이접착 도포층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설계로 사용되고 있다. 완성된 도포층 중에는, 이들 가교제의 미반응물, 반응 후의 화합물, 또는 그들의 혼합물이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층(C) 측에 대전방지 도포층을 갖는 것을 필수의 요건으로 하는 것이고, 대전방지 성능을 부여하기 위하여, 종래 공지의 각종의 대전방지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내열성, 내습열성이 양호한 점에서, 고분자 타입의 대전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고분자 타입의 대전방지제로서는, 예컨대, 암모늄염 화합물, 폴리에테르 화합물, 술폰산 화합물류, 베타인 화합물, 도전 폴리머 등을 들 수 있다.
암모늄염 화합물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화합물이며, 예컨대, 피롤리디늄 고리, 알킬아민의 4급화물, 알킬아민의 3급화물 또한 이들을 아크릴산이나 메타크릴산과 공중합한 것, N-알킬아미노아크릴아미드의 4급화물 또는 3급화물, 비닐벤질트리메틸암모늄염, 2-히드록시-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틸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을 조합하여, 또는 다른 수지와 공중합시킨 것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이들 암모늄염의 대이온으로 되는 음이온으로서는 예컨대, 할로겐 이온, 술포나토, 포스파토, 니트라토, 알킬술포나토, 카복실라토 등의 이온을 들 수 있다.
상기 암모늄염 화합물 중에서도 대전방지성, 내열안정성이 우수한 점에서, 피롤리디늄 고리를 갖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피롤리디늄 고리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하기 식(1)의 구조를 갖는 폴리머이다.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1
상기 식(1) 중, R1,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알킬기, 페닐기 등이고, 이들 알킬기, 페닐기가 이하에 나타내는 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치환 가능 기는, 예컨대, 히드록실기, 아미드기, 에스테르기, 알콕시기, 페녹시기, 나프톡시기, 티오알콕시기, 티오페녹시기, 시클로알킬기, 트리알킬암모늄알킬기, 시아노기, 할로겐이다. 또한, R1 및 R2는 화학적으로 결합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CH2)m-(m = 2 내지 5의 정수), -CH(CH3)CH(CH3)-, -CH=CH-CH=CH-, -CH=CH-CH=N-, -CH=CH-N=C-, -CH2OCH2-, -(CH2)2O(CH2)2- 등을 들 수 있다. 식 중의 X-는 할로겐 이온, 술포나토, 포스파토, 니트라토, 알킬술포나토, 카르복실라토 등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상기 (1) 식의 폴리머는, 하기 식(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라디칼 중합촉매를 사용하여 고리화 중합시키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중합은 용매로서 물 또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미드, 디옥산, 아세트니트릴 등의 극성 용매 중에서 과산화수소, 벤조일퍼옥사이드, 제3급부틸퍼옥사이드 등의 중합개시제에 의해 공지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는 (2) 식의 화합물과 중합성이 있는 탄소-탄소 불포화 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공중합 성분으로 하여도 좋다.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2
또한 4급 암모늄염 화합물의 수평균 분자량은 통상은 1000~500000, 바람직하게는 2000~100000, 또한 바람직하게는 5000~50000이다. 분자량이 1000 미만인 경우는 도막의 강도가 약하거나, 내열안정성이 열등한 경우가 있다. 또한 분자량이 500000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액의 점도가 높아져서, 취급성이나 도포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폴리에테르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옥시드, 폴리에테르 에스테르 아미드, 폴리에틸렌글리콜을 측쇄에 갖는 아크릴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술폰산 화합물류라는 것은, 분자 내에 술폰산 또는 술폰산염을 함유하는 화합물이고, 예컨대, 폴리스티렌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도전 폴리머로서는, 예컨대, 폴리티오펜계, 폴리아닐린계, 폴리피롤계, 폴리아세틸렌계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예컨대, 폴리(3,4-에틸렌디옥시티오펜)을 폴리스티렌술폰산과 병용하는 것과 같은, 폴리티오펜계가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포층의 투명성, 대전방지의 성능의 양면을 고려하면, 암모늄염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의 대전방지 도포층의 형성에는, 도포외관이나 투명성의 향상, 또한, 대전방지 도포층 상에 각종의 표면기능층을 설치한 경우에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등을 위하여, 전술한 이접착 도포층의 형성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폴리머나 가교제를 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도포외관이나 투명성의 향상이라는 관점에서, 아크릴 수지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도막강도를 강화하기 위하여 멜라민 화합물이나 옥사졸린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대전방지 도포층의 형성에는, 내찰상성이나 미끄럼성 향상을 위하여 이형제를 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형제로서는, 예컨대, 왁스, 플루오린 화합물, 장쇄 알킬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형제의 병용은, 특히 대전방지 도포층 상에 각종의 기능층을 설치하지 않은 용도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왁스라는 것은, 천연 왁스, 합성 왁스, 그들을 배합한 왁스 중에서 선택된 왁스이다. 천연 왁스라는 것은, 식물계 왁스, 동물계 왁스, 광물계 왁스, 석유 왁스이다. 식물계 왁스로서는, 칸데리라 왁스, 카르나우바 왁스, 라이스 왁스, 목랍, 호호바 오일 등을 들 수 있다. 동물계 왁스는 밀랍, 라놀린, 경랍 등을 들 수 있다. 광물계 왁스는 몬탄 왁스, 오조케라이트, 세레신을 들 수 있다. 석유 왁스는 파라핀 왁스,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페트롤레이텀을 들 수 있다. 합성 왁스는 합성 탄화수소, 변성 왁스, 수소화 왁스, 지방산, 산아미드, 아민, 이미드, 에스테르, 케톤을 들 수 있다. 합성 탄화수소는 피셔·트로프슈 왁스(별명 사솔 왁스), 폴리에틸렌 왁스가 유명하지만, 이외에 저분자량의 고분자(구체적으로는 점도수평균 분자량 500 내지 20000의 고분자)인 하기의 폴리머도 포함한다. 즉, 폴리프로필렌,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과 폴리프로필렌글리콜의 블록 또는 그라프트 결합체가 있다. 변성왁스로서는 몬탄 왁스 유도체, 파라핀 왁스 유도체,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유도체는 정제, 산화, 에스테르화, 비누화의 어느 것의 처리, 또는 그의 조합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이다. 수소화 왁스로서는 경화 피마자유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들 수 있다.
플루오린 화합물로서는, 화합물 중에 플루오린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도포면상의 점에서 유기계 플루오린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퍼플루오로알킬기 함유 화합물, 플루오린 원자를 함유하는 올레핀 화합물의 중합체, 플루오로벤젠 등의 방향족 플루오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장쇄 알킬 화합물이라는 것은, 탄소소가 6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이상 의 장쇄 또는 분기의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구체예로서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비닐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크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폴리에스테르 수지, 장쇄 알킬기 함유 아민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에테르 화합물, 장쇄 알킬기 함유 4급 암모늄염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면 고분자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실리콘이라는 것은 분자 내에 실리콘 구조를 갖는 화합물이고, 실리콘 에멀젼, 아크릴 그라프트 실리콘, 실리콘 그라프트 아크릴, 아미노 변성 실리콘, 퍼플루오로알킬 변성 실리콘, 알킬 변성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내열성, 오염성을 고려하여, 경화형 실리콘 수지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이형제는 단독으로 사용하여도 좋고, 복수종 사용하여도 좋다. 또한, 이들 이형제 중에서는 소량으로 양호한 미끄럼성을 부여할 수 있는 점에서 왁스가 보다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접착 도포층, 대전방지 도포층의 어느 것에서도, 미끄럼성이나 블록킹을 개량하기 위하여, 도포층의 형성에 입자를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자의 평균입경은 필름의 투명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 이하 범위이고, 또한 바람직하게는 0.5㎛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2㎛ 이하 범위이다.
사용하는 입자로서는, 예컨대, 실리카, 알루미나, 산화금속 등의 무기 입자, 또는 가교 고분자 입자 등의 유기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도포층에서의 분산성이나 얻어지는 도막의 투명성의 관점에서는, 실리카 입자가 적합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도포층의 형성에는 필요에 따라서 소포제, 도포성개량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발포제, 안료, 염료 등을 병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이접착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폴리머는 통상 20~90 중량%, 바람직하게는 30~8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5~80 중량% 범위이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과의 밀착성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이접착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가교제는, 통상 8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6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중량%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내습열성이나 밀착성이 충분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이접착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입자는, 입경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에 따라서도 미끄럼성이나 블록킹 특성은 변화되기 때문에 일괄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2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15%, 또한 바람직하게는 5~10% 범위이다. 25% 를 초과하는 경우는 도포층의 투명성이 저하되는 경우나 밀착성이 저하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대전방지제는, 통상 0.1~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0~7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5~50 중량% 범위이다. 0.1 중량% 미만인 경우는 대전방지성이 충분하지 않고, 먼지의 부착이 발생하는 경우나 시트 끼리의 접착에 의해 취급성이 나쁘게 되는 경우가 있다. 한편, 9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는, 충분한 도포외관이나 투명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폴리머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80 중량%, 또한 바람직하게는 20~80 중량%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의 외관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가교제는,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중량%, 또한 바람직하게는 8~40 중량%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도포층의 강도가 향상되고, 내찰상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이형제는,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중량%, 또한 바람직하게는 1~10 중량%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형성하는 도포액 중의 전체 비휘발 성분에 대한 비율로서, 입자는, 입경이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특성에 의해서도 미끄럼성이나 블록킹 특성은 변화하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말할 수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30%, 또한 바람직하게는 1~10%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미끄럼성이 향상한다.
도포층 중의 성분의 분석은 예컨대, TOF-SIMS, ESCA, 형광 X선, NMR 등의 분석에 의해 수행할 수 있다.
인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는, 상술한 일련의 화합물을 수용액 또는 수분산체로 하고, 고형분 농도가 0.1~50 중량% 정도를 기준으로 조정된 도포액을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하는 요령으로 도포 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주지를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물에서의 분산성 개량, 조막성 개량 등을 목적으로 하여, 도포액 중에는 소량의 유기 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유기 용제는 1종류 만이어도 좋고, 적절히 2종류 이상을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제공되는 이접착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 0.002~1.0 ㎛, 바람직하게는 0.005~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0.2 ㎛,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0.1 ㎛ 범위이다. 막 두께가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밀착성, 도포외관, 블로킹 특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에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제공되는 대전방지 도포층의 막 두께는, 통상 0.002~1.0 ㎛, 바람직하게는 0.01~0.5 ㎛,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3 ㎛ 범위이다. 막 두께가 상기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경우는, 대전방지성, 도포외관, 블록킹 특성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이접착 도포층 상에 프림증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 등이 제공된 후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특성도 필요한 경우는, 도포층의 막 두께를 0.04~0.2 ㎛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05~0.15㎛ 범위로 조정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 도포층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그라비아 코트, 리버스롤 코트, 다이 코트, 에어덕트 코트, 블레이드 코트, 로드 코트, 바 코트, 커텐 코트, 나이프 코트, 트랜스퍼 롤 코트, 스퀴즈 코트, 함침 코트, 키스 코트, 스프레이 코트, 칼렌더 코트, 압출 코트 등, 종래 공지의 도공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형성할 때의 건조 및 경화 조건에 관해서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오프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 통상, 80~200℃에서 3~40초간, 바람직하게는 100~180℃에서 3~40초간을 기준으로 하여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한편, 인라인코팅에 의해 도포층을 제공하는 경우, 통상, 70~280℃에서 3~200초간을 기준으로 하여 열처리를 행하는 것이 좋다.
또한, 필름에 도포층을 형성할 때 필요에 따라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표면처리를 실시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필름에서 대전방지 도포층의 표면저항치는, 바람직하게는 1 x 1012 Ω 이하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 x 1011 Ω 이하의 범위, 또한 바람직하게는 1 x 1010 Ω 이하의 범위이다. 표면저항치가 1 x 1012 Ω를 초과하는 경우, 충분하게 정방성(靜防性)이 없기 때문에, 시트 끼리의 접착이나 먼지 부착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의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이접착 도포층 상에는,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 등을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근년에는 고휘도화를 위하여 굴절율이 높은 수지층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 등의 굴절율은, 높은 쪽이 휘도가 향상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또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굴절율이 1.65 부근인 것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1.57~1.65, 보다 바람직하게는 1.58~1.64, 특히 바람직하게는 1.59~1.63 범위이다. 상기 범위에서 사용하는 것에 의해, 높은 휘도를 얻을 수 있다.
프리즘층은, 근년, 휘도를 효율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하여, 각종의 형상이 제안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단면삼각 형상의 프리즘열을 병렬시킨 것이다. 또한, 마이크로렌즈층도 동일하게 각종의 형상이 제안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다수의 반구상 볼록 렌즈를 필름 상에 제공한 것이다. 어느 층도 종래 공지의 형상의 것을 제공할 수 있다.
프리즘층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10~500㎛, 프리즘열의 피치 10~500㎛, 꼭지각 40°~100°의 단면삼각형상의 것을 들 수 있다. 프리즘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예컨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고,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수지가 대표적이다. 수지의 구성 화합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성분, 비스페놀 A 구조, 우레탄 구조, 폴리에스테르 구조, 에폭시 구조 등을 갖는 (메타)아크릴레이트계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고휘도화를 위한 고굴절율화의 처방으로서는, 상기 일반적인 화합물에 더하여, 방향족 구조를 많이 갖는 화합물, 황원자, 할로겐 원자, 금속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특히, 프리즘층이나 마이크로렌즈층의 굴절율이 균일화될 수 있고, 환경 상의 관점에서 방향족 구조를 많이 갖는 화합물이나 황원자를 사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구조를 많이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나프탈렌, 안트라센, 페난트렌, 나프타센, 벤조[a]안트라센, 벤조[a]페난트렌, 피렌, 벤조[c]페난트렌, 페릴렌 등의 축합다환식 방향족 구조를 갖는 화합물, 비페닐 구조를 갖는 화합물, 플루오렌 구조를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마이크로렌즈층의 형상으로서는 예컨대 두께 10~500㎛, 직경 10~500㎛의 반구상의 것을 들 수 있지만, 원추, 다각추와 같은 형상을 하여도 좋다. 마이크로렌즈층에 사용되는 재료로서는, 프리즘층과 동일하며, 종래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광학용으로서 사용할 때에 특히 그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지만, 그의 구체적인 부재로서는, 근년의 엄밀한 비용절감 대응 요청이 있는 LCD용 백라이트 광학 시트로서 사용되는 마이크로렌즈 시트, 프리즘 시트이고, 고도의 광학적 성능과 비용대응이 요구되는 기재로서 특히 유효하게 사용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한 측정법은 다음과 같다.
(1) 폴리에스테르의 고유점도의 측정:
폴리에스테르 1g을 정칭하고, 페놀/테트라클로로에탄 = 50/50(중량비)의 혼합용매 100 ml를 가하여 용해시키고, 30℃에서 측정하였다.
(2) 제3 성분(공중합 성분) 함유량의 측정:
 수지 시료를 중수소화클로로포름/헥사플로오로이소프로판올(중량비 7/3)의 혼합용매에 농도 3 중량%로 되도록 용해시킨 용액에 관하여, 핵자기공명장치(일본전자사 제조 「JNM-EX270형」)를 이용하여 1H-NMR을 측정하여 각 피크를 귀속하고, 피크의 적분치로부터 공중합 성분의 함유량을 산출하였다.
(3) 입자 평균입자경: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입자를 관찰하여 최대경과 최소경을 구하고, 그의 평균을 입자 1개의 입경으로 하였다. 필름 중의 적어도 100개의 입자에 관하여 이것을 행한다. 입자군의 평균입자경은, 이들의 중량평균으로 한다.
(4) 전광선투과율, 헤이즈:
전광선투과율은 JIS-K-7361, 헤이즈는 JIS-K-7136에 준하여 일본전색공업사 제조 적분구식탁도계 「NDH2000」에 의해, 전광선투과율, 헤이즈를 측정하였다.
(5) 가열수축율:
시료를 무장력 상태에서 150℃로 유지한 오븐 중, 30분간 처리하고, 그 전후의 시료의 길이를 측정하여 다음 식에 의해 가열수축율을 산출하였다.
가열수축율(%) ={(L0-L1)/L0}×100
(상기 식 중, L0은 가열처리 전의 샘플 길이, L1은 가열처리 후의 샘플 길이)
필름 길이방향(MD)과 폭방향(TD)으로 5점씩 측정하고, 각각에 관하여 평균치를 구하였다.
(6) 색조반사법 y치:
JIS-Z-5722에 준한 미놀타 제조 분광측색계 「CM-3700d」에 의해, 색조반사법 y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은, 예컨대, 필름의 두께가 100㎛일 때는 10매 중첩하고, 188㎛일 때는 5매 중첩하며, 250㎛일 때는 4매 중첩하여, 총 두께가 1000㎛에 가깝게 되도록, 900㎛ 내지 1000㎛ 범위에서 복수매 중첩하여 측정하였다.
(7) 면배향도(ΔP):
아타고 광학사 제조 압베식 굴절계를 이용하여, 필름 면내의 굴절율의 최대치 nγ, 그에 직각 방향의 굴절율 nβ, 및 필름의 두께 방향의 굴절율 nα를 측정하고, 다음 식에 의해 면배향도를 산출하였다. 또한, 굴절율의 측정은, 나트륨 D선을 이용하여, 23℃에서 행하였다. 또한, 측정은, 각 샘플에 대하여 필름 양면에서 n=3에 관하여 행하고, 그 평균치를 구하였다.
면배향도(ΔP)={(nγ+nβ)/2}-nα
(8) 광학부재 적성(휘도):
광학용 부재로서, 프리즘 시트로서 사용한 경우의 특성을 평가하였다. 즉, 필름의 A층면측에, 아크릴계 바인더를 도포하여 프리즘층을 형성하고, 얻어진 프리즘 시트, 1매를 광원인 라이트가 LED 엣지 타입 구성의 백라이트 유닛에 조립되고, 얻어지는 면상 발광의 품질을 이하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휘도 레벨: 휘도계를 이용하여 평가하고, 실시예 4의 필름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였다.
A: 휘도가 향상되고, 개량이 보였다
B: 휘도의 저하는 확인되지 않았다
C: 휘도가 저하하였다
(9) 광학부재 적성(차폐성):
상기 (8)에서 얻어진 프리즘 시트 2매를, 광원인 라이트가 LE 엣지 타입 구성의 백라이트 유닛으로 조립되어, 얻어지는 면상발광의 화상품질을 이하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A: 라이트의 상이 보이지 않고, 개량이 보였다
B: 라이트의 상이 화면상에서 부분적으로 얇게 나타났다
C: 라이트의 상이 화면상에서 전체적으로 확실히 나타났다
(10) 광학부재적성(내마모성):
상기 (8)에서 얻어진 프리즘 시트에 관하여, 기재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길이방향(MD)으로 150 mm, 폭방향(TD)으로 50 mm의 각 사이즈로 절단하고, 아크릴판상에 프리즘 가공면과는 반대면측이 아크릴면측으로 되도록 설치하고, 프리즘 시트 상에 무게 500g의 저울추를 놓고, 프리즘 시트를 3.0m/min의 속도로 100 mm 이동을 5회 행하였을 때의 아크릴판에서의 손상성에 관하여, 이하의 관점에서 평가하였다.
A: 손상이 확인되지 않고, 개량이 보였다
B: 손상이 부분적으로 약하게 확인되었다
C: 손상이 전체적으로 확실히 확인되었다
(11) 도포층의 막두께 측정 방법:
도포층의 표면을 RuO4로 염색하고, 에폭시 수지 중에 포매시켰다. 그 후, 초박절편법에 의해 작성한 절편을 RuO4로 염색하고, 도포층 단면을 TEM(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놀로지스 제조 H-7650, 가속전압 100V)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10개소의 평균치를 도포층의 막 두께로 하였다.
(12) 폴리우레탄 수지 중의 탄소-탄소 결합부의 중량:
폴리우레탄 수지를 감압건조 후, NMR(Bruker Biospin사 제조 AVACEIII600)을 이용하여 1H과 13C의 각 피크를 귀속하고, 계산에 의해 구하였다.
(13) 수지층의 굴절율의 측정방법:
도포층측에 자외선 경화성 수지 화합물을 막 두께 10㎛로 평탄하게 배치하고, 자외선으로 경화시켜, 평탄한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을 형성하였다. 자외선 경화성 수지층측의 굴절율을 굴절계(주식회사 아타고제조 SL-NA-B)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14) 밀착성의 평가방법:
프리즘층 형성을 위해, 피치 50㎛, 꼭지각 65°의 프리즘 열이 다수 병렬되어 있는 몰드 부재에, 에틸렌 글리콜 변성 비스페놀 A 아크릴레이트(에틸렌 글리콜 사슬 = 8) 50중량부, 4,4'-(9-플루오레닐리덴)비스(2-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27중량부, 2-비페녹시에틸 아크릴레이트 20중량부, 디페닐(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 옥사이드 3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배치하고, 그 위로부터 이접착 도포층이 수지와 접촉하는 방향으로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중첩하고, 롤러에 의해 조성물을 균일하게 펴고, 자외선 조사장치로부터 자외선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켰다(수지층의 굴절율은 1.60). 이어서, 필름을 몰드 부재로부터 벗겨내고, 프리즘층이 형성된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에 대하여 60℃, 90% RH 환경하에서 24시간 처리한 후, 프리즘층에 10×10의 크로스컷을 하고, 그 위에 18 mm 폭의 테이프(니치반 주식회사 제조 셀로테이프(등록상표) CT-18)를 접착시키고, 180도의 박리각도로 급격하게 벗긴 후의 박리면을 관찰하고, 박리면적이 5% 미만이면 A, 5% 이상 20% 미만이면 B, 20% 이상 50% 미만이면 C, 50% 이상이면 D로 하였다.
(15) 표면저항치의 측정방법:
일본 휴렛·팩커드사 제조 고저항측정기: HP4339B 및 측정전극: HP16008B을 사용하고, 23℃, 50% RH의 측정분위기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충분히 조습한 후, 인가전압 100V에서 1분 후의 대전방지 도포층의 표면저항치를 측정하였다.
(16) 대전방지 도포층의 먼지부착성 평가방법:
23℃, 50% RH의 측정분위기하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충분히 조습한 후, 제2 도포층을 면포에 의해 10회 왕복으로 한다. 이것을, 잘게 분쇄한 연초의 재 위에 조용히 가까이 하여, 재의 부착상황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A: 필름을 재에 접촉시켜도 부착하지 않는다
B: 필름을 재에 접촉시키면 조금 부착한다
C: 필름을 재에 가까이하는 것만으로 다량으로 부착한다
이하에 실시예/비교예를 나타내지만, 이것에 사용한 폴리에스테르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폴리에스테르의 제조>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
테레프탈산 디메틸 100중량부와 에틸렌 글리콜 60중량부를 출발원료로 하고, 촉매로서 아세트산마그네슘·4수화염 0.09 중량부를 반응기에 넣고, 반응개시 온도를 150℃로 하여, 메탄올의 증류제거와 함께 서서히 반응온도를 승온시켜, 3시간 후에 230℃로 하였다. 4시간 후, 실질적으로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종료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에틸렌 애시드 포스페이트 0.04부를 첨가한 후, 삼산화 안티몬 0.03부를 가하여, 4시간 중축합반응을 실시하였다. 즉, 온도를 230℃로부터 서서히 승온하여 280℃로 하였다. 한편, 압력은 상압으로부터 서서히 감소시켜, 최종적으로 0.3 mmHg로 하였다. 반응개시 후, 반응조의 교반동력의 변화에 의해, 극한점도 0.67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반응을 정지하고, 질소 가압하 폴리머를 토출시켰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a)의 극한 점도는 0.67이었다.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에틸애시드 포스페이트 0.04부를 첨가후,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평균 입자경 3.8㎛의 가교 스티렌-아크릴 유기 입자를 10부, 삼산화안티몬 0.03부를 첨가하고,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b)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b)는, 극한점도 0.65이었다.
<폴리에스테르(c)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에서, 평균입자경 6.1㎛의 가교 스티렌-아크릴 유기 입자를 10부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c)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c)는, 극한점도 0.65이었다.
<폴리에스테르(d)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에서, 평균 입자경 1.2㎛의 가교 스티렌-아크릴유기 입자를 10부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d)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d)는, 극한점도 0.64이었다.
<폴리에스테르(e)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에서, 평균 입자경 9.1㎛의 가교 스티렌-아크릴유기 입자를 10부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b)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e)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e)는, 극한점도 0.65이었다.
<폴리에스테르(f)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에틸애시드 포스페이트 0.04부를 첨가후, 에틸렌글리콜에 분산시킨 평균 입자경 1.9㎛의 실리카 입자를 0.4부, 삼산화안티몬 0.03부를 첨가하고, 극한점도 0.66에 상당하는 시점에서 중축합반응을 정지시킨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f)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f)는, 극한점도 0.66이었다.
<폴리에스테르(g)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f)의 제조방법에서, 평균 입자경 3.5㎛의 실리카 입자를 5부로 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f)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g)를 얻었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g)는, 극한점도 0.64이었다.
<폴리에스테르(h)의 제조방법>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에서, 출발원료를 테레프탈산 디메틸 100 중량부와 에틸렌글리콜 60중량부와 디에틸렌글리콜 2중량부로 하고, 중합촉매로서 산화게르마늄을 사용한 이외는, 폴리에스테르(a)의 제조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폴리에스테르(h)를 얻었다. 또한 산화게르마늄의 첨가 방법은 공지의 방법을 채용하고, 그 첨가량은 게르마늄으로서 원료 중량에 대하여 100ppm으로 하였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h)의 고유점도는 0.69이었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화합물예는 이하와 같다.
(화합물예)
●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우레탄 수지: (IA)
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유닛: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유닛: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 유닛: 카프로락톤 유닛: 에틸렌글리콜 유닛: 디메틸올 프로판산 유닛 = 18: 12: 22: 26: 18: 4(mol%)로부터 형성되는 탄소-탄소이중결합부의 중량이 2.0 중량%인 우레탄 수지.
● 탄소-탄소 이중결합부를 갖지 않는 우레탄 수지: (IB)
1,6-헥산디올과 디에틸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수평균 분자량 2000의 폴리카보네이트폴리올 80중량부, 수평균분자량 400의 폴리에틸렌글리콜 4중량부, 메틸렌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12중량부, 디메틸올부탄산 4중량부를 포함하는 우레탄 수지를 트리에틸아민으로 중화시킨 수분산체.
● 아크릴수지: (IC)
에틸아크릴레이트/n-부틸아크릴레이트/N-메틸올아크릴아미드/아크릴산 = 88/10/1/1 (중량%)의 유화중합체 (유화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 옥사졸린 화합물:(IIA)
옥사졸린기 및 폴리알킬렌옥시드 사슬을 갖는 아크릴 폴리머 에포크로스 (옥사졸린기 양 = 4.5 mmol/g, 주식회사 일본촉매 제조)
● 에폭시 화합물:(IIB)
폴리글리세롤 폴리글리시딜에테르.
● 멜라민 화합물:(IIC)
헥사메톡시메틸올멜라민
● 대전방지제(암모늄염 화합물):(III)
주쇄에 피롤리디늄 고리를 갖는 하기 조성으로 중합한 폴리머/디메틸아크릴아미드/N-메틸올아크릴아미드 = 90/5/5(mol%). 수평균분자량 약 30000.
● 이형제:(IV)
교반기, 온도계, 온도콘트롤러를 구비한 내용량 1.5 L의 유화설비에 융점 105℃, 산가 16 mgKOH/g, 밀도 0.93 g/mL, 평균분자량 5000의 산화 폴리에틸렌 왁스 300g, 이온교환수 650g과 데카글리세린모노올레에이트 계면활성제를 50g, 48% 수산화 칼륨 수용액 10g을 가하여 질소로 치환한 후, 밀봉하여 150℃에서 1시간 고속교반한 후 130℃로 냉각하고,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400 기압하에서 통과시켜 40℃로 냉각시킨 왁스 에멀젼.
● 입자: (V)
평균입경 0.07㎛의 실리카졸
실시예 1:
전술한 폴리에스테르(h), (f)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A)의 원료로 하고, 층(B)의 원료를 폴리에스테르(h) 100%, 폴리에스테르(h), (b)를 각각 95%, 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하고, 3대 의 벤트식 이축압출기에 각각을 공급하고, 각각 285℃에서 용융하고, 층(A), 층(C)를 최외층(표층), 층(B)을 중간층으로 하는 3종3층(A/B/C)의 층구성으로 압출하여 구금으로부터 압출하여 정전인가밀착법을 이용하여 표면온도를 40℃로 설정한 냉각롤 상에서 냉각고화시켜 미연신 시트를 얻었다. 이어서,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5℃에서 종방향으로 3.0배 연신한 후, 이 종연신 필름의 (A)층 면측에, 하기 표 2에 나타내는 수계의 도포액 A1를 도포하고(이접착 도포층의 형성), 층(C)면 측에 하기 표 3에 나타내는 수계의 도포액 B1을 도포하고(대전방지 도포층의 형성), 텐터에 걸어, 횡방향으로 120℃에서 4.1배 연신하며, 225℃에서 열처리를 행한 후, 횡방향으로 2% 이완하여, 도포층의 막두께(건조후)가 0.03㎛인 이접착 도포층, 0.06 ㎛의 대전방지 도포층을 갖는 두께 250 ㎛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 ㎛인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1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광학부재 적정은 양호하고, 이접착 도포층의 밀착성도 양호하며, 대전방지 도포층의 표면저항은 낮아서 양호하였다. 이 필름의 특성을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폴리에스테르(h), (b)를 각각 96.5%, 3.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 층(B)의 원료를 폴리에스테르(h) 75%,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시에 발생한 귀부, 마스터롤 귀부 및 마스터롤하 권취부로부터의 재생품을 2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 구성이 3종 3층(A/B/C)이고, 두께 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2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폴리에스테르(h), (c)를 각각 95%, 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3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폴리에스테르(a), (f)를 각각 90%, 1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A)의 원료로 하고, 층(B)의 원료를 폴리에스테르(a) 100%, 폴리에스테르(a), (b)를 각각 95%, 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 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4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폴리에스테르(h), (b)를 각각 96%, 4%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 층(B)의 원료를 폴리에스테르(h) 35%, 실시예 1의 폴리에스테르 제조시에 발생한 귀부, 마스터롤 귀부 및 마스터롤하 권취부로부터의 재생품을 6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 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5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폴리에스테르(h), (f)를 각각 25%, 75%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A)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6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롤 주속차를 이용하여 필름 온도 82℃에서 종방향으로 2.5배 연신하고, 텐터에 의해 횡방향으로 120℃에서 3.4배 연신하고, 208℃에서 열처리를 행한 후, 횡방향으로 25% 이완시킨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 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7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8~18:
실시예 1에서, 도포제 조성을 표 2 또는 표 3에 나타내는 도포제 조성으로 변경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완성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고, 도포층의 밀착성, 먼지부착성 레벨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스테르(h), (d)를 각각 81%, 19%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8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폴리에스테르(h), (e)를 각각 98%, 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9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폴리에스테르(h), (b)를 각각 70%, 3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2/246/2㎛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10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폴리에스테르(h), (g)를 각각 92%, 8%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11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폴리에스테르(h), (b)를 각각 60%, 40%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원료를 층(C)의 원료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층구성이 3종3층(A/B/C)이고, 두께250㎛의, 각 층의 두께가 10/230/10㎛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 12의 구성을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실시예 1에서, 이접착 도포층을 제공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비교예 7:
실시예 1에서, 대전방지 도포층을 제공하지 않은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제조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얻어진 필름의 구성을 표 1에, 필름의 도포층의 특성 및 필름의 물성치를 표 4 및 5에, 광학부재 적성에 관하여 표 6에 정리하였다. 본 발명의 요건을 만족하는 필름은 광학용으로서의 적성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3
상기 표 1 중의 *는 실리카 입자인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4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5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6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7
Figure 112016061723381-pct00008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필름은, 근년의 격심한 비용절감 요청이 있는 LCD용 백라이트의 마이크로렌즈, 프리즘의 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적합하게 이용될 수 있다.

Claims (7)

  1. 표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A) 및 폴리에스테르층(C)과 중간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층(B)과의 3층구조를 포함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이고, 층(A) 상에 이접착 도포층을 갖고, 층(C) 상에 대전방지 도포층을 가지며, 층(C) 중에 평균 입자경 3.0~7.0㎛의 불활성 유기 입자를 0.05~1.5 중량% 함유하고, 헤이즈가 6.0~3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1항에 있어서, 열중량분석계를 사용하여 불활성 분위기하에서 측정되는 불활성 유기 입자의 5% 열분해 온도가 300℃ 이상인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이접착 도포층이 탄소-탄소 이중결합부를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를 함유하는 도포액으로부터 형성된 도포층인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3항에 있어서, 탄소-탄소 이중결합부가 아크릴레이트기, 메타크릴레이트기, 비닐기, 알릴기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이접착 도포층이 옥사졸린 화합물, 에폭시 화합물, 이소시아네이트계 화합물, 카르보디이미드계 화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가교제를 병용하여 형성된 도포층인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5항에 있어서, 가교제가 옥사졸린 화합물과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1항에 있어서, 대전방지 도포층이 주쇄에 피롤리디늄 고리를 갖는 폴리머를 함유하는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20167017148A 2013-12-29 2014-11-25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8558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73710 2013-12-29
JP2013273710A JP6326816B2 (ja) 2013-12-29 2013-12-29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CT/JP2014/081030 WO2015098394A1 (ja) 2013-12-29 2014-11-25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0891A KR20160090891A (ko) 2016-08-01
KR101855881B1 true KR101855881B1 (ko) 2018-05-09

Family

ID=53478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148A KR101855881B1 (ko) 2013-12-29 2014-11-25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26816B2 (ko)
KR (1) KR101855881B1 (ko)
CN (1) CN105848897B (ko)
WO (1) WO2015098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6195B1 (ko) * 2016-06-30 2021-08-3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다층필름
JP7116976B2 (ja) * 2016-09-30 2022-08-12 ユニチカ株式会社 離型フィルム
WO2018159811A1 (ja) * 2017-03-02 2018-09-07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白色フィルムおよび被記録材
KR20210114004A (ko) * 2019-01-31 2021-09-1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CN111993738B (zh) * 2019-05-27 2023-11-07 宁波长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共挤光学增透薄膜及其制备方法
TW202142409A (zh) * 2020-03-31 2021-11-16 日商大日本印刷股份有限公司 光學積層體、以及具備其之偏光板、表面板及影像顯示裝置
CN112430344A (zh) * 2020-11-18 2021-03-02 乐凯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可回收信息记录支持体
CN116072886B (zh) * 2023-04-06 2023-07-28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集流体及其制备方法、极片、电化学装置、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712A (ja) * 2004-08-12 2006-02-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共押出し積層ポリエ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26031A (ja) * 1997-02-17 1998-08-25 Kanebo Ltd 滑り性、制電性に優れるポリエステル多層シート及び成形品
JP5221880B2 (ja) * 2007-02-06 2013-06-26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反射板用白色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9210911A (ja) * 2008-03-05 2009-09-17 Fujifilm Corp 光学用積層シート及び画像表示装置
JP2009214360A (ja) * 2008-03-09 2009-09-24 Mitsubishi Plastics Inc 光学用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335924B1 (en) * 2008-10-06 2014-02-12 Mitsubishi Plastics, Inc. Multilayer polyester film
JP5366569B2 (ja) * 2009-01-27 2013-12-11 三菱樹脂株式会社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57463B2 (ja) 2009-04-20 2014-07-23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5271204B2 (ja) * 2009-05-25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53627B2 (ja) * 2010-02-07 2014-07-16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32786B2 (ja) 2010-03-30 2015-06-10 東レ株式会社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1894758B1 (ko) * 2010-03-30 2018-09-04 미쯔비시 케미컬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937847B2 (ja) * 2012-02-25 2016-06-22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51712A (ja) * 2004-08-12 2006-02-23 Mitsubishi Polyester Film Copp 共押出し積層ポリエテル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98394A1 (ja) 2015-07-02
JP2015127134A (ja) 2015-07-09
CN105848897A (zh) 2016-08-10
KR20160090891A (ko) 2016-08-01
JP6326816B2 (ja) 2018-05-23
CN105848897B (zh)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5881B1 (ko) 2축 연신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882440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30085943A (ko) 적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723472B1 (ko) 도포 필름
KR20140032442A (ko) 도포 필름
KR101777578B1 (ko) 도포 필름
JP2016210066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2027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50102928A (ko) 도포 필름
JP6508378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809213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20160102013A (ko) 도포 필름
KR101786527B1 (ko) 도포 필름
JP579355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3086498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109212B2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2632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2814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14034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342631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5202682A (ja) 二軸延伸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764276B2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6216733A (ja) 積層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