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734B1 -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734B1
KR101855734B1 KR1020170164079A KR20170164079A KR101855734B1 KR 101855734 B1 KR101855734 B1 KR 101855734B1 KR 1020170164079 A KR1020170164079 A KR 1020170164079A KR 20170164079 A KR20170164079 A KR 20170164079A KR 101855734 B1 KR101855734 B1 KR 1018557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processing
area
displa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0796A (ko
Inventor
이병원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734B1/ko
Publication of KR201701407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07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7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7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2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using visual displays
    • A61B5/7425Displaying combinations of multiple images regardless of image source, e.g. displaying a reference anatomical image with a live im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74Details of notification to user or communication with user or patient ; user input means
    • A61B5/7475User input or interface means, e.g. keyboard, pointing device, joystic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추가 영상을 표시하는 의료기기 및 그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의료기기는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수신부에서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영상을 각각 가공하고,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Medical device and image displaying method using the same}
의료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의료기기 및 그 영상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 행위에 있어서 임상 진단은 환자를 치료하는데 있어 커다란 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의료 기술의 발전은 정확한 임상 진단을 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며, 앞으로도 그 의존도는 더욱 더 높아질 것이다.
이에, 컴퓨터 단층촬영(CT: Computer Tomography), 자기공명영상(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엑스선 장치, 초음파 장치 등의 의료 영상 장비들은 현대의학에서는 필수적인 장비가 되었다.
그러나 그간의 의료 서비스는 의료 영상 장비들로 환자의 이상 부위를 찍고 그것을 필름으로 인화하여 환자의 주치의에게 전달됨으로써, 최종적으로 임상 진단을 내리기까지 많은 시간과 인력이 투입되는 비효율적인 구조였고, 무엇보다 환자가 신속하고 정확한 치료를 받을 수가 없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컴퓨터 및 통신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의료계에서도 컴퓨터와 데이터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의료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이 연구, 개발되고 있으며 일 예로, 병원 전체에 컴퓨터 통신망을 설치하고, 모든 X-Ray 필름을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한 다음, 서버(2)와 연결된 대형 저장매체에 저장하여 두고, 필요시에 각 진료실에서 컴퓨터 모니터를 통해 원하는 환자의 X-Ray 화상을 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영상시스템이 도입되었다.
의료 영상 장비들을 통해 획득된 영상들은 장비의 물리적 구조상 생기는 왜곡(artifact)등을 제거하고, 보다 좋은 품질의 영상으로 제공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 과정을 거치게 된다.
의료진은 이렇게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가공된 영상을 상황에 따라 스스로 더 가공하기도 한다. 대조도(contrast), 선예도(sharpness) 등과 같이 영상의 품질을 재고하기 위해 이미지 프로세싱의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에서 이루어지는 가공을 별도로 수행하는 것이다.
의료진의 이러한 영상처리는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임상진단을 위해 중요하므로, 보다 편리하고 직관적으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추가 영상을 표시하는 의료기기 및 그 영상표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의료기기는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에서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영상을 각각 가공하고, 상기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의료기기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터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오브젝트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의 썸네일(thumbnail) 또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은 프리 프로세싱(Pre-processing)이 수행된 영상에 대한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표시부는 대상체의 전체영상,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 열람 가능한 영상의 목록, 상기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툴, 상기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이 입력될 경우, 상기 명령이 입력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의 제어방법은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영상을 각각 가공하고; 상기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를 생성하여 의료기기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표시부에 상기 명령이 입력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기기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터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의 썸네일 또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대상체의 전체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의 전체 영상과 함께 상기 오브젝트를 상기 의료기기의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통해 상기 영상을 각각 가공하는 것은, 상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영상을 가공하고; 상기 영상의 가공과 별도로,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상기 수신된 영상을 각각 가공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료기기의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의료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은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상기 영상을 가공하여, 가공된 영상을 의료기기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이 가공되는 동안 별도로, 상기 수신된 영상을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각각 가공하여 가공된 영상의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상기 표시부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표시부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오브젝트의 터치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의료기기는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및 동작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브젝트에 대한 명령은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브젝트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의 썸네일(thumbnail) 또는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미지 프로세싱은 프리 프로세싱(Pre-processing)이 수행된 영상에 대한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은 상기 프리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에 대해 명도(brightness), 대조도(contrast), 선예도(sharpness), 채도(saturation), 필름효과(film-effect) 또는 윈도우/레벨(window/level)을 포함하는 파라미터 중 적어도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의료기기의 영상표시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에 대한 다양한 포스트 프로세싱 결과를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빠르고 편리하게 영상을 가공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보다 정확한 임상진단이 가능하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영상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료영상시스템은 대상체, 예를 들면 환자의 영상을 획득하는 영상획득장치(1), 영상획득장치(1)에서 획득된 영상을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의료기기(3)를 포함한다.
의료기기(3)는 의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워크스테이션으로, 영상획득장치(1)에서 획득된 영상을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의료기기는 영상획득장치에서 획득된 영상을 서버로부터 또는 직접 영상획득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수신된 영상을 가공하고 이렇게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PACS(Picture Arching Communication System) 뷰어일 수 있다.
의료기기(3)는 영상획득장치(1)와의 통신을 통해 영상획득장치(1)로부터 대상체의 영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5), 의료기기(3)의 조작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력부(6), 입력부(6)를 통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의료기기(3) 및 영상획득장치(1)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통신부(5)에서 수신한 대상체의 영상을 가공하는 제어부(7), 가공된 영상 및 각종 정보들이 저장되는 저장부(21) 및 의료기기(3) 또는 영상획득장치(1)의 상태 및 각종 정보들을 표시하고, 제어부(7)에서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8)를 포함한다.
이러한 의료기기(3)는 PC나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PC를 포함하고,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PACS 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영상획득장치(1)는 대상체, 예를 들면 환자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는 장치로, MRI, CT, X-Ray, 초음파 장치 등을 포함한다.
영상획득장치(1)는 각 장치의 기능에 따라 대상체의 영상 특히 대상체 내부의 영상을 획득한다.
대상체의 영상 데이터는 표준 프로토콜인 DICOM(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s in Medicine) 프로토콜을 따를 수 있다.  
 통신부(5)는 영상획득장치(1)로부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지만, 다양한 영상획득장치(1)에서 획득된 영상이 정리되어 저장되는 서버(2)로부터 다양한 의료영상을 수신하거나, 인터넷(4)이나 다른 컴퓨터 또는 다른 의료기기(3)로부터 의료영상을 수신할 수 도 있다.
또한, 영상획득장치(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7)의 제어명령을 영상획득장치(1)에 전송하거나, 제어부(7)에서 수정되거나 가공된 다양한 정보들을 서버(2), 인터넷(4) 또는 다른 의료기기(3)들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는 DICOM프로토콜을 지원하는 PACS 서버일 수 있다.
통신부(5)는 외부기기와의 통신에 있어서 공지된 유무선의 다양한 통신방식을 채용할 수 있다.
입력부(6)는 의료기기(3)의 사용자 예를 들면, 의료진이 의료기기(3) 및 영상획득장치(1)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또는 동작인식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의료진은 전술한 다양한 입력장치들이 가지는 고유의 기능을 통해 의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을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조작할 수 있다.
표시부(8)가 터치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표시부(8)에 표시되는 다양한  아이콘 등을 직접 터치하여 의료기기(3)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표시부(8)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기능 외에 입력부(6)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표시부(8)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데,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고유한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크기와 형태의 창들이 표시되는 복수의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대상체의 영상의 가공 즉, 이미지 프로세싱과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고 사용자로 하여금 이미지 프로세싱과 관련된 조작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부(8)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각 영상의 오브젝트(17)를 표시하는 제1영역(13),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12), 대상체의 영상에 대한 정보를 표시하는 제3영역(10), 선택 가능한 영상파일의 목록을 표시하는 제4영역(11) 및 제2영역(12)에 표시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 툴(tool)을 제공하는 제5영역(14)을 포함한다.
제3영역(10)에는 대상체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대상체를 환자라고 가정했을 때 환자의 인적정보, 질병기록 등의 정보가 표시되어 사용자가 참조할 수 있다.
제4영역(11)에는 사용자가 열람할 수 있는 영상파일의 목록이 표시될 수 있다. 영상획득장치(1)에서 전송된 영상 뿐만 아니라, 전술한 것처럼, 다른 의료기기(3), 인터넷(4), 서버(2) 등에서 전송된 영상들도 표시될 수 있다.
영상을 전송받은 기기 또는 매체별로 영상이 정리되어, 사용자의 선택한 기기 또는 매체에 따라 영상이 정리되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목록에 표시된 영상파일 중 열람하고자 하는 파일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해당 영상파일이 제2영역(12)에 표시되어 선택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제5영역(14)에는 사용자가 제2영역(12)에 표시된 영상을 원하는 대로 가공할 수 있도록 영상 가공 툴이 표시된다.
예를 들면, 표시부(8)에 표시된 영상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는 툴, 영상을 회전시킬 수 있는 툴, 원하는 영상을 잘라낼 수 있는 툴, 원하는 부분을 확대 또는 축소할 수 있는 툴 등이 표시될 수 있다.
이런 툴은 툴의 기능을 직관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심벌화된 아이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표시부(8)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사용자는 전술한 툴을 나타내는 아이콘을 터치하거나, 입력부(6)를 통해 클릭함으로써 해당 툴의 기능대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영상이 사용자가 선택한 툴에 의해 가공되면, 가공된 영상이 제2영역(12)에 표시된다.
제1영역(13)은 제5영역(14)과 사용자 인터페이스 상의 동일한 영역을 공유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는데, 사용자는 해당 영역의 상부에 표시된, 제1영역(13) 또는 제5영역(14)을 선택할 수 있는 탭(15, 16)을 통해 원하는 콘텐츠를 제공하는 영역을 택할 수 있다. 물론 제1영역(13)과 제5영역(14)이 별도의 영역에 표시될 수도 있으나, 제1영역(13)과 제5영역(14)은 영상의 가공을 목적으로 하는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는 콘텐츠들을 제공하므로 동일한 영역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인터페이스의 구성을 보다 쉽게 이해하도록 할 수 있다.그리고 사용자가 해당 영역에 표시될 콘텐츠를 선택할 수 있도록 탭을 둠으로써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보다 간결한 구조로 디자인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을 표시하는 제2영역(12)과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에 따라 가공된 영상의 오브젝트(17)를 표시하는 제1영역(13)에 대해서는 제어부(7)의 이미지 프로세싱 수행과 관련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어부(7)는 통신부(5)를 통해 수신한 정보 및 입력부(6) 또는 표시부(8)를 통해 입력된 외부명령에 따라 의료기기(3)와 영상획득장치(1)를 포함하는 의료영상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7)는 의료영상 또는 진단기록 등이 표시되도록 표시부(8)를 제어하고, 의료영상이나 진단기록 등이 수정되거나 갱신되면 이를 저장부(21)에 저장하며 또한 통신부(5)를 통해 이를 서버(2)로 전송하여 서버(2)에서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7)는 영상획득장치(1)로부터 전송된 대상체의 영상을 통신부(5)를 통해 수신하면, 보다 향상된 품질의 영상을 제공하기 위해 영상에 대한 이미지 프로세싱을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이미지 프로세싱은 프리 프로세싱(Pre-processing)과 포스트 프로세싱(Post-processing)으로 나뉠 수 있다.
프리 프로세싱은 영상획득장치(1)의 물리적인 구조상 발생할 수 있는 왜곡(artifact)이나 에러를 제거하는 과정이고, 포스트 프로세싱은 프리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과정으로, 설정된 파라미터에 따라 대조도(contrast), 선예도(sharpness), 밝기(brightness) 등이 결정된다.
제어부(7)는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쳐 가공된 영상을 표시부(8)에 표시한다. 이렇게 기본적인 이미지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은 표시부(8)가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12)에 표시된다.
제어부(7)는 수신된 영상에 대해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전술한 이미지 프로세싱과 별도로, 수신된 영상에 대해 미리 정해진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프리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에 대해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을 각각 수행한다.
예를 들면, 프리 프로세싱을 통해 왜곡 또는 에러 등이 제거된 영상을 대상으로 밝기(brightness), 대조도(contrast), 선예도(sharpness), 채도(saturation), 필름효과(film-effect), 윈도우/레벨(window/level)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하 전술한 기본적인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1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명명하고, 이와 별도로 수행되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종류의 이미지 프로세싱을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라 명명하고 설명한다.
즉, 제어부(7)는 영상이 수신되면, 프리 프로세싱을 통해 영상의 왜곡 또는 에러 등을 수정하고, 프리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을 대상으로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제1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마찬가지로 프리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을 대상으로 전술한 다양한 종류의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을 각각 수행하여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의 종류는 영상에 처리될 수 있는 모든 포스트 프로세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선택하는 포스트 프로세싱의 빈도를 산출하여 사용자가 주로 사용하는 포스트 프로세싱을 선별하고, 선별된 포스트 프로세싱으로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을 구성할 수도 있다.
제어부(7)는 이렇게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다양하게 가공된 영상을 생성하고, 이들의 오브젝트(17)를 표시부(8)의 제1영역(13)에 표시한다.
여기서 오브젝트(17)란,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각각의 영상들의 썸네일(thumbnail) 또는 각 포스트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한다. 포스트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란, 예를 들면, 영상에 적용된 포스트 프로세싱이 대조도의 변화라면, 해당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대조도" 또는 "contrast"와 같은 해당 포스트 프로세싱의 특징을 표현하는 텍스트를 의미한다. 포스트 프로세싱의 수행결과를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인식하고 예상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오브젝트(17)를 썸네일로 표시하거나, 썸네일과 텍스트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은 제1 이미지 프로세싱과 함께 프리 프로세싱을 거친 영상을 대상으로 수행되는데,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은 제1 이미지 프로세싱과 달리 전술한 것처럼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이 각각 수행되고, 각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되어 가공된 여러 영상을 각각 생성하므로 제1 이미지 프로세싱에 비해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제1 이미지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12)에는 제1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이 표시되는데, 아직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영상의 썸네일을 표시할 수 없으므로,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완료될 때 까지는 제1영역(13)에 오브젝트(17)를 텍스트로 표시하고,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텍스트를 썸네일로 바꾸어 표시하거나 썸네일과 텍스트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물론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제1 이미지 프로세싱과 함께 또는 그 이전에 완료되면 오브젝트(17)를 바로 썸네일로 표시할 수 있다.
각각의 오브젝트(17)는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이 각각 적용된 영상을 나타내므로, 사용자가 오브젝트(17)에 대한 명령을 입력하면, 명령이 입력된 오브젝트(17)가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이 표시부(8)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제2영역(12)에 표시된 영상의 대조도를 변화시키고 싶을 때, 여러 썸네일 중에서 대조도가 변화된 영상의 썸네일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클릭하면 해당 썸네일이 나타내는 영상이 제2영역(12)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이처럼, 다양한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썸네일과 같이, 수행하고자 하는 포스트 프로세싱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오브젝트(17)로 표시하면, 사용자는 썸네일을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바로 해당 포스트 프로세싱이 적용된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직접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등의 번거로운 작업없이 미리 해당 파라미터와 관련된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썸네일 형태로 직접 확인하면서 이를 터치 또는 클릭하기만 하면 되므로 보다 쉽고 간단하게 원하는 대로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관점에서 설명하면, 제2영역(12)에 제1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영상이 표시되고, 제1영역(13)에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된다. 동일한 영역에 표시되는 제1영역(13)과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가공 툴(tool)을 제공하는 제5영역(14) 중에서 제1영역(13)을 선택하기 위한 탭(15, 16)이 터치 또는 클릭되면 제1영역(13)이 제공하는 콘텐츠가 해당 영역에 표시된다. 즉, 제1영역(13)에는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각 영상의 썸네일이 표시된다. 여러 썸네일 중에서 원하는 포스트 프로세싱이 적용된 썸네일이 터치 또는 클릭되면 썸네일이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이 제2영역(12)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제2영역(12)에는 다른 영상으로 변경되기 전의 영상이 표시되는 창(22)이 제2영역(12)에 마련될 수 있고, 해당 창을 터치 또는 클릭하면 변경되기 전의 영상이 다시 표시될 수 있다. 즉, 변경전의 영상과 변경된 후의 영상을 비교할 수 있고, 바로 전환할 수 있는 것이다. 변경 전의 영상이 표시되는 창(22)은 변경 후 영상의 표시에 중점을 둔다면, 제2영역(12)의 모서리 부분에 작은 크기로 마련될 수 있고, 변경 전후의 영상의 비교에 중점을 둔다면, 변경된 후의 영상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크기를 차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설정변경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제1영역(13)에는 사용자가 보다 세밀한 포스트 프로세싱을 원할 때 조작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 조절창(18)이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파라미터 조절창에 표시되는 수치 입력창(20)에 구체적인 파라미터 수치를 입력하거나, 드래그 아이콘(19)을 드래그하여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제1영역(13)을 구체화한 도면으로, 제1영역(13)과 제5영역(14)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탭(15, 16) 중에서 제1영역(13)을 선택할 수 있는 탭(16)이 터치 또는 클릭되면,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제1영역(13)이 제공하는 콘텐츠가 표시된다.
제1영역(13)의 상부에는 미리 정해진 다양한 이미지 프로세싱 즉, 제2 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되어 가공된 영상들의 썸네일(17)과 텍스트가 함께 표시된다. 전술한 것처럼 사용자는 표시된 썸네일(17) 중 원하는 이미지 프로세싱이 적용된 썸네일(17)을 터치 또는 클릭하여 해당 썸네일(17)이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제2영역(12)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2영역의 하부에는 사용자가 보다 세밀한 포스트 프로세싱을 원할 때 조작할 수 있도록 파라미터 조절창(18)이 표시된다. 사용자는 파라미터 조절창에 표시되는 수치 입력창(20)에 구체적인 파라미터 수치를 입력하거나, 드래그 아이콘(19)을 드래그하여 파라미터를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도면은 도 4의 일 구현예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표시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우선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한다(30).
통신부(5)는 영상획득장치(1), 다른 의료기기(3), 인터넷(4) 또는 서버(2)로부터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한다.
제어부(7)는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면, 수신된 영상에 대한 프리 프로세싱을 수행한다(31). 프리 프로세싱은 영상획득장치(1)의 물리적인 구조상 발생할 수 있는 왜곡 또는 에러 등의 오류를 제거하는 과정으로 수신된 영상에 기본적으로 수행된다.
제어부(7)는 대상체의 영상에 대한 프리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프리 프로세싱이 완료된 영상에 대해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32).
프리 프로세싱과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은 영상이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기본적으로 수행되는 이미지 프로세싱으로 전술한 제1 이미지 프로세싱에 해당한다.
제어부(7)는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2영역(12)에 표시한다(33).
또한, 제어부(7)는 대상체의 영상에 대한 프리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프리 프로세싱이 완료된 영상에 대한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한다(34).
전술한 것처럼, 프리 프로세싱이 완료된 영상을 대상으로 밝기(brightness), 대조도(contrast), 선예도(sharpness), 채도(saturation), 필름효과(film-effect), 윈도우/레벨(window/level) 등과 같은 다양한 효과를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포스트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영상을 가공한다. 따라서 적용되는 포스트 프로세싱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가 구현된 영상이 생성된다.
제어부(7)는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이 완료되면, 각 영상의 썸네일을 생성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제1영역(13)에 표시한다(35). 34, 35단계는 32, 33단계와 함께 수행된다. 썸네일만 표시되거나, 썸네일과 포스트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제2영역(12)에 제1 포스트 프로세싱이 적용된 영상이, 제1영역(13)에 제2 포스트 프로세싱이 적용된 영상의 썸네일들이 표시되고, 제1영역(13)에 표시된 썸네일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면(36) 제어부(7)는 제2영역(12)에 썸네일이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을 확대하여 표시한다(37).
썸네일에 대한 명령은 표시부(8)가 터치 스크린을 채용할 경우, 썸네일의 터치를 통한 입력되거나,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또는 동작인식장치를 포함하는 입력부(6)를 통해 썸네일을 클릭함으로써 입력될 수 있다.
이렇게 썸네일이 터치 또는 클릭되면, 썸네일이 나타내는 가공된 영상이 제2영역(12)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예를 들면, 제1영역(13)에 표시된 여러 썸네일 중, 대조도가 변화된 영상의 썸네일을 사용자가 터치 또는 클릭하면 해당 썸네일이 나타내는 대조도가 변화된 영상이 제2영역(12)에 확대되어 표시된다. 여기서 확대의 의미는 썸네일이 나타내는 영상이 제2영역(12)의 크기에 맞게 표시된다는 것으로, 특정 부분이 확대되어 표시된다는 의미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료기기는 다양한 타입의 포스트 프로세싱이 미리 적용된 영상을 썸네일 형태로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표시부(8)에 표시된 영상에 원하는 효과를 적용하고 싶을 때, 직접 파라미터들을 변화시키거나 수치를 입력하지 않고, 다양한 포스트 프로세싱이 수행된 다양한 썸네일 중에서 원하는 효과가 구현된 썸네일을 터치 또는 클릭함으로써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썸네일을 통해 원하는 효과가 구현된 모습을 직관적으로 예상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보다 쉽고 간편하게 영상을 가공할 수 있다.
1: 영상획득장치
2: 서버
3: 의료기기
4: 인터넷
5: 통신부
6: 입력부
7: 제어부
8: 표시부

Claims (11)

  1.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제1영역과 제2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상기 영상에 제1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상기 제1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영상에 제2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제1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의료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의료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터치 패널 및 동작인식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입력부는,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는 의료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복수의 영상의 썸네일 및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대상체의 전체 영상,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 열람 가능한 영상의 목록 및 상기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의료기기.
  6. 대상체의 영상을 수신하고;
    상기 영상에 제1이미지 프로세싱 및 제2이미지 프로세싱을 수행하고;
    상기 제1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표시부의 제2영역에 표시하고;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나타내는 복수의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의 제1영역에 표시하고;
    사용자에 의해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이 입력되면,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표시하는 것은,
    상기 선택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영상을 상기 제2영역에 확대하여 표시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제어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리모트 컨트롤러, 마우스, 키보드, 음성인식장치, 터치 패널 및 동작인식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입력부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 중 적어도 하나의 선택을 입력 받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제어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오브젝트는,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이 수행된 복수의 영상의 썸네일 및 상기 제2이미지 프로세싱의 특징을 나타내는 텍스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료 기기의 제어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의 전체 영상, 상기 영상에 대한 정보, 열람 가능한 영상의 목록 및 상기 영상을 가공할 수 있는 툴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표시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의료기기의 제어방법.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의료기기의 제어방법을 구현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70164079A 2017-12-01 2017-12-01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KR1018557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79A KR101855734B1 (ko) 2017-12-01 2017-12-01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79A KR101855734B1 (ko) 2017-12-01 2017-12-01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610A Division KR101806816B1 (ko) 2013-10-23 2013-10-23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96A KR20170140796A (ko) 2017-12-21
KR101855734B1 true KR101855734B1 (ko) 2018-05-10

Family

ID=6093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79A KR101855734B1 (ko) 2017-12-01 2017-12-01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57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325A (ja) 2003-03-20 2004-10-1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969510B1 (ko) 2010-05-31 2010-07-0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83325A (ja) 2003-03-20 2004-10-14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処理装置のためのプログラム
KR100969510B1 (ko) 2010-05-31 2010-07-09 주식회사 인트로메딕 클라이언트 단말의 의료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0796A (ko) 2017-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4768B1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US7945083B2 (en) Method for supporting diagnostic workflow from a medical imaging apparatus
US7834891B2 (en) System and method for perspective-based procedure analysis
US20080118237A1 (en) Auto-Zoom Mark-Up Display System and Method
US11169693B2 (en) Image navigation
JP2015016067A (ja) 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US20170038914A1 (en) Medical image display apparatus, medical image display system, medical image display method, and program
JP6004875B2 (ja) 医用画像表示装置、医用画像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158690B2 (ja) 画像表示装置
KR101806816B1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KR101855734B1 (ko) 의료기기 및 이를 이용한 영상표시방법
JP2005287750A (ja) 医用画像表示方法、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7099064B2 (ja) 表示制御装置、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6904025B2 (ja) 医療情報表示システム
JP6146249B2 (ja) 画像表示装置及び画像表示方法
US20240161231A1 (en) Recording medium, display device, display system and display method
US20230401708A1 (e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JP7130953B2 (ja) 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医用画像表示装置
JP5870764B2 (ja) 電子カルテ装置
US20210007678A1 (en) Selection support system and storage medium
JP2009125140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9125147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8229251A (ja) 医用画像処理装置、医用画像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0098438A (ja) 医用画像表示装置及び医用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8186267A (ja) アプリケーションの設定装置および設定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