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5660B1 -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5660B1
KR101855660B1 KR1020160147335A KR20160147335A KR101855660B1 KR 101855660 B1 KR101855660 B1 KR 101855660B1 KR 1020160147335 A KR1020160147335 A KR 1020160147335A KR 20160147335 A KR20160147335 A KR 20160147335A KR 101855660 B1 KR101855660 B1 KR 1018556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spinning solution
spinning
solution
hollow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7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김태우
채수형
박미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60147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5660B1/ko
Priority to PCT/KR2017/004452 priority patent/WO2018084396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5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5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76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collecting device, e.g. drum, wheel, endless belt, plate or grid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92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electrical field, e.g. combined with a magnetic fields, using biased or alternating fiel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방사장치는 (ⅰ) 방사튜브 본체(Ta),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 (ⅱ)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ⅲ)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하단에 위치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부에 설치되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ⅴ)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부에 설치되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에 용액 분리판(Tc)들이 설치되어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2종의 방사용액들을 방사하기 직전까지 방사용액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제조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 형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Spinning device for sdie by side type two-component composited nanofi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die by side type two-component composited nanofibers thereby}
본 발명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높은 단위시간당 생산성과 공정성으로 원하는 단면형태를 갖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사튜브에 관한 것이며, 또한, 상기 방사튜브를 이용하여 다양한 단면 형태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라는 용어는 편심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종래기술로서는 내측관과 외측관이 동심원 상으로 배열된 2층관 형태(코어/시스 형태)의 노즐을 통해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할 때 상기 2중관 형태의 노즐을 구성하는 내측관의 위치를 변경시켜 주거나, 상기 외측관을 통해 토출되는 방사용액의 토출량과 상기 내측관을 통해 토출되는 방사용액의 토출량을 변경시켜 주는 방법이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종래방법은 2중관 형태의 노즐을 통해 방사되는 2종의 방사용액내 용매가 서로 다른 경우에는 2종의 방사용액이 만나 접촉하게 되는 2중관 형태의 노즐 선단부에서 방사용액들의 고화가 일어나 노즐이 막혀 나노섬유 형성능이 크게 저하되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 형태를 원하는 형태로 쉽게 변경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를 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곤란하였고, 노즐 교체 및 청소도 매우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 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otechnology 2006, VOl 17, 1123]
구체적으로, 나노레터(Nano Letters), 2007, Vol7(4) 1081에는 또 다른 종래기술로서 2개의 노즐이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로 배열된 복합노즐 중 내부직경이 0.4㎜인 하나의 노즐에 SnO2인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하고, 내부 직경이 0.7㎜인 나머지 노즐에 TiO2 프리커서 용액을 공급한 후 전기방사하여 사이드-바이-사이드 형태인 TiO2/SnO2 복합 무기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은 정전기력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폴리머(Polymer), 2003, Vol.44, 6353에서는 내부 직경이 0.7mm 이고 두께가 0.2mm인 테프론 니들을 사용하고 여기에 두 종류의 용액이 니들 부분에서 합쳐지도록 실린더 펌프로 동시에 두 종류의 용액을 공급하고 백금 전극을 용액 내에 설치하여 전기방사를 행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 형태의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게재하고 있으나, 상기 종래방법 역시 정전기력에만 의존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노즐 1개당 토출량이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지고, 노즐 교체 및 청소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방법들은 방사용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렛 현상"이라고 한다)이 심하게 발생되어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제조되는 사이드 바이드 사이드형 2성분 복합나노 섬유의 단면형태를 원하는 형태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나노 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고전압 인가로 인한 작업 위험성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고, 나노섬유 제조시 드롭렛 현상을 방지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상기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를 사용해서 높은 생산성으로 고품질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를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 (ⅱ)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ⅲ)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ⅴ)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들로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와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들은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과 교호로 연통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를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2)로 상기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T)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1)에 고전압을 걸어 준 다음, (ⅱ)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P1)와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튜브(S1)를 이용하여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을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ⅲ)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P2)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튜브(S2)를 이용하여 제2방사용액(방사용액B)을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로 공급한 다음,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통해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에 저장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에 저장된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에 교호로 공급한 다음, (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2)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1) 방향으로 방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내에 용액 분리판(Tc)들이 설치되어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2종의 방사용액들을 방사하기 직전까지 방사용액들이 서로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서 제조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 형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기 때문에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높은 생산성(토출량)으로 제조할 수 있고, 용매 휘발 및 회수가 용이하고,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공정 개략도.
도 2는 도 1 중 방사튜브(T)의 확대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사튜브(T) 모서리 부분에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4는 도 3에서 제조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나노 섬유의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사튜브(T) 모서리 부분에서 단면형태가 편심형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메카니즘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6은 도 5에서 제조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나노 섬유의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방사튜브(T) 일례를 횡방향으로 절개한 단면 개략도.
도 8은 실시예 1로 제조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9는 실시예 1로 제조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 확대사진.
도 10은 실시예 2로 제조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2성분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 (ⅱ)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ⅲ)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ⅴ)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와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들은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과 교호로 연통하고 있다.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은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에서 2종류의 방사용액이 만나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나노 섬유가 형성되기 위해서는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개수는 짝수로 하여야 한다.
상기 방사튜브(T)와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및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는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거나 서로 분리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일체로 형성된 경우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사공정 중 방사튜브(T)와 함께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및 제2방사용액 저장조(R1)도 회전하게 되고,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 경우에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사공정 중 방사튜브(T)만 회전하게 되고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및 제2방사용액 저장조는 회전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을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를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2)로 상기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T)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1)에 고전압을 걸어 준 다음, (ⅱ)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P1)와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튜브(S1)를 이용하여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을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ⅲ)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P2)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튜브(S2)를 이용하여 제2방사용액(방사용액B)을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로 공급한 다음,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통해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에 저장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에 저장된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에 교호로 공급한 다음, (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2)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1) 방향으로 방사하여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을 도 3과 같이 서로 동일하게 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상에 방사용액 A로 이루어진 A성분(NA)과 방사용액 B로 이루어진 B성분(NB)이 동일한 면적으로 배열된 정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NC)를 제조할 수도 있고,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을 도 5와 같이 서로 상이하게 하여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상에 방사용액 A로 이루어진 A성분(NA)과 방사용액 B로 이루어진 B성분(NB)이 서로 상이한 면적으로 배열된 편심형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NC)를 제조할 수도 있다.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들은 서로 고분자 용액이거나,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동종의 고분자 용액이거나, 서로 다른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일 수 있다.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은 고분자 용액이고,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일 수도 있다.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이고,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은 고분자 용액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이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2개 영역으로 구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모서리 부분에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가 방사될 때까지 상기 방사용액들 혼합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그로 인해 상기 방사용액들이 혼합되면서 고화되어 섬유형성능이 저하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비닐알코올 고분자로 용매인 물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8중량%인 폴리비닐알코올 용액(제1방사용액 / 방사용액 A)을 제조하였다.
한편,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2중량%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제2방사용액 / 방사용액 B)를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외경이 48㎜이고 길이가 8㎜인 원통형인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를 350rpm으로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2)로 상기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T)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1)에 40kV의 전압을 걸어 준 다음, (ⅱ)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P1)와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튜브(S1)를 이용하여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을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로 분당 0.15cc로 공급함과 동시에, (ⅲ)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P2)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튜브(S2)를 이용하여 제2방사용액(방사용액B)을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로 분당 0.15cc로 공급한 다음,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3개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3개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통해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에 저장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에 저장된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6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에 교호로 공급한 다음, (ⅴ) 6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6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2)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1) 방향으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컬렉터(1)와 방사튜브(2) 간의 거리는 35㎝로 하였고,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 각각의 직경은 4㎜하였고,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와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들로 각각 350rpm으로 회전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은 도 8과 같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확대 사진은 도 9와 같았다.
실시예 2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를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0중량%인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제1방사용액 / 방사용액 A)을 제조하였다.
폴리아크릴로니트릴을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드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12중량%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 용액(제2방사용액 / 방사용액 B)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ⅰ) 외경이 56㎜이고 길이가 8㎜인 원통형의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를 350rpm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2)로 상기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T)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1)에 40kV의 전압을 걸어 준 다음, (ⅱ)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P1)와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튜브(S1)를 이용하여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을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로 분당 0.166cc로 공급함과 동시에, (ⅲ)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P2)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튜브(S2)를 이용하여 제2방사용액(방사용액B)을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는 원통형 구조의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로 분당 0.2cc로 공급한 다음,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4개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4개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통해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에 저장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에 저장된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8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에 교호로 공급한 다음, (ⅴ) 8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8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2)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1) 방향으로 방사하여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를 제조하였다.
이때, 컬렉터(1)와 방사튜브(2) 간의 거리는 35㎝로 하였고,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 각각의 직경은 4㎜하였고,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와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들로 각각 350rpm으로 회전시켰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사진은 도 8과 같았고, 상기와 같이 제조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단면확대 사진은 도 10과 같았다.
1 : 컬렉터 2 : 전압발생장치
T : 방사튜브 Ta : 방사튜브 본체
Tb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Tc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내에 위치하는 용액 분리판.
T1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중에서 방사용액 A가 공급되는 구획영역
T2 : 방사튜브의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 중에서 방사용액 B가 공급되는 구획 영역
H1 : 방사용액 A를 방사튜브(T)에 공급하는 제1방사용액 공급 튜브
H2 : 방사용액 B를 방사튜브(T)에 공급하는 제2방사용액 공급 튜브
R1 : 방사용액 A를 방사튜브(T)에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제1방사용액 저장조
R2 : 방사용액 B를 방사튜브(T)에 일정량씩 공급하기 위한 제2방사용액 저장조
S1 : 방사용액 A를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으로 공급하는 튜브
S2 : 방사용액 B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로 공급하는 튜브
P1 : 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
P2 : 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
Nc :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NA :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중 A성분
NB :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중 B성분

Claims (11)

  1.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
    (ⅱ)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ⅲ)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공급되는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ⅴ)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 를 포함하며,
    상기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와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들은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과 교호로 연통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개수는 짝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튜브(T)와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및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는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튜브(T)와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및 제2방사용액 저장조(R2)는 분리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5. (ⅰ)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는 방사튜브 본체(Ta),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내부에 상기 방사튜브 본체(T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 및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들을 대각으로 연결하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에 위치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내부 공간을 여러 구간으로 구획시켜 주는 용액분리판(Tc)들로 구성되는 방사튜브(T)를 회전시켜 주면서 전압발생장치(2)로 상기 방사튜브(T)와 상기 방사튜브(T)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1)에 고전압을 걸어 준 다음, (ⅱ)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펌프(P1)와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 공급용 튜브(S1)를 이용하여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을 상기 방사튜브(T) 하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로 공급함과 동시에, (ⅲ)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펌프(P2)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 공급용 튜브(S2)를 이용하여 제2방사용액(방사용액B)을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상단에 위치하고,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를 구비하고, 상기 방사튜브(T) 내로 2개 성분의 방사용액 중 나머지 하나의 방사용액을 저장하는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로 공급한 다음, (ⅳ)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방사용액 저장조(R1)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1방사용액 공급튜브(H1) 및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2방사용액 저장조(R2)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고, 상단부가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와 연통하고 있는 2개 이상의 제2방사용액 공급튜브(H2)를 통해 제1방사용액 저장조(R1) 내에 저장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 저장조(R2) 내에 저장된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용액 분리판(Tc)에 의해 구획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에 교호로 공급한 다음, (ⅴ)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c)의 구획영역(T1, T2) 내로 공급된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와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를 원심력과 전기력을 이용하여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 전압발생장치(2)에 의해 고전압이 걸려 있는 컬렉터(1) 방향으로 방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방사튜브 본체(Ta)와 맞닿아 있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좌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과 상기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모서리 인접 우측에 위치하는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면적을 서로 상이하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들은 서로 다른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들은 분자량이 서로 상이한 동종의 고분자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T1, T2)들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과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들은 서로 다른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은 고분자 용액이고,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1방사용액(방사용액 A)은 무기물이 포함된 프리커서 용액이고, 다각형 튜브상 중공부(Tb)의 구획영역 내로 공급되는 제2방사용액(방사용액 B)은 고분자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60147335A 2016-11-07 2016-11-07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556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35A KR101855660B1 (ko) 2016-11-07 2016-11-07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CT/KR2017/004452 WO2018084396A1 (ko) 2016-11-07 2017-04-26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7335A KR101855660B1 (ko) 2016-11-07 2016-11-07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5660B1 true KR101855660B1 (ko) 2018-05-09

Family

ID=6207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7335A KR101855660B1 (ko) 2016-11-07 2016-11-07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5660B1 (ko)
WO (1) WO201808439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722B1 (ko) * 2018-10-08 2020-02-17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200040336A (ko) *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52229A (zh) * 2018-10-26 2019-01-22 大连民族大学 电纺纤维喷射成形装置的模型转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721A (ja) 2002-04-25 2003-11-06 Toray Ind Inc 多葉断面フィラメント糸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3-05-15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21797B2 (ja) * 1997-02-27 2005-02-16 帝人ファイバー株式会社 複合紡糸口金
KR101249643B1 (ko) * 2010-03-29 2013-04-01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해도사 제조용 구금상부분배판 및 이를 포함하는 해도사 제조용 방사구금
KR101975883B1 (ko) * 2014-06-24 2019-05-07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합성섬유 방사구금
KR101712521B1 (ko) * 2015-03-27 2017-03-23 주식회사 우리나노 원심력을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3721A (ja) 2002-04-25 2003-11-06 Toray Ind Inc 多葉断面フィラメント糸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3-05-15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7722B1 (ko) * 2018-10-08 2020-02-17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200040336A (ko) * 2018-10-08 2020-04-20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106268B1 (ko) 2018-10-08 2020-05-06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4396A1 (ko) 2018-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06317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55660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1298724B (zh) 连续高效纳米纤维非织造布的制备方法和生产装置
KR101719377B1 (ko) 정전기 방사 조립체
KR10171252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US20170009380A1 (en) Multi-nozzle gas-assisted electrospinning apparatuses
US20160083868A1 (en) Electrospinning apparatus
JP6112873B2 (ja) ナノ繊維材料及びマイクロ繊維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複合紡糸ノズル
WO2018199355A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558213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101806316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7062791B2 (ja) 荷電溶液制御構造が改善された極細繊維製造用電界紡糸装置及びそのための溶液移送ポンプ
CN110344125B (zh) 一种批量电纺装置及其制备纳米纤维膜的方法
KR101959839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US9034240B2 (en) Electrospinning process for fiber manufacture
KR10210626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77722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다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602354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US10351972B2 (en) Multifunctional spinning device
KR101426738B1 (ko) 원심력이 결합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602350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WO2020095331A1 (en) Capillary type multi-jet nozzle for fabricating high throughput nanofibers
WO2018199353A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2020100920A (ja) エレクトロスピニング用ノズ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