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3296B1 -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 Google Patents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3296B1
KR101263296B1 KR1020120017735A KR20120017735A KR101263296B1 KR 101263296 B1 KR101263296 B1 KR 101263296B1 KR 1020120017735 A KR1020120017735 A KR 1020120017735A KR 20120017735 A KR20120017735 A KR 20120017735A KR 101263296 B1 KR101263296 B1 KR 101263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cylindrical
spinning
hollow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기 택 남
진 원 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20017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3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3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3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01D5/0069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pinning section, e.g. capillary tube, protrusion or pi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means of rotating spinner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방사액을 컬렉터 방향으로 전기방사 하는데 사용되는 기구로 종래 노즐 대신에 회전하며,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함으로서, 단위시간당 단위 원통형 방사 튜브당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노즐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시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생산공정이 간소화되며, 컬렉터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 튜브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기방사시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 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을 방지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Electrospinning device comprising cylindrical spinning tube with polygon hollow}
본 발명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방사액을 토출하는 기구로서 종래 노즐 대신에 회전하며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원통형 방사 튜브"라는 용어는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를 의미한다.
종래 전기방사장치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60호 등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방사액을 토출하는 기구로 고정된 노즐(Nozzle)을 주로 채택해 왔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전기방사장치들은 고정된 노즐을 통해 방사액을 전기방사(토출)하기 때문에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가 실시되어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어려운 문제점과, 노즐 교체 및 청소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 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ptechnology 2006, VOl 17, 1123].
또 다른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로는 3,0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하는 원통을 이용하여 상기 원통 내에 투입된 방사액(클로로벤젠에 용해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을 원심력만을 이용하여 전기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가 K. Kern 등이 나노레터(Nano Letters)에 발표한 논문(Nano Letters, 2008, Vol 8, No.4, 1187-1191)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정전기력은 사용하지 않고 원심력만을 사용하여 전기방사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떨어지고, 원통 내에 방사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워 연속생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로는 50rpm으로 회전하는 원추형 용기에 고전압들을 걸어주면서 폴리비닐피릴리돈 용액을 공급하여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노즐 없이 전기방사를 실시한 전기방사장치를 Nanzhou 대학의 Jinyuan Zhou 등이 2010년 스몰(Small)지에 발표한 논문(Small, 2010 Vol 6, 1612-1616)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원심력과 정전기력을 활용하여 노즐이 없는 형태로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상기 원추형 용기 내에 방사액을 연속 공급하여 연속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과, 상기 원추형 용기 하부에 컬렉터가 위치하여 방사액이 섬유형태가 아니라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발생 현상"이라고 한다)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량의 노즐을 노즐판상에 배열하여 전기방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방식 등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H. Y. Kim, WO2005073441, WO2007035011].
기존의 전기방사 방식을 단점은 단위 홀당 나노섬유의 생산량이 매우 낮고 또한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노즐의 청소 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이용하여 종래 노즐 대신에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이하 "원통상 방사 튜브"라고 약칭한다)로 방사액을 전기방사함으로서 단위시간당 단위 원통상 방사 튜브당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고, 드롭발생현상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방사액을 연속 공급하여 연속생산이 가능한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i) 방사액을 저장,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b), (ⅱ) 방사액 주탱크(b)에 저장, 보관된 방사액을 튜브 블록(d) 및 내부에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는 방사액 공급 펌프(c), (ⅲ) 방사액 주탱크(b)로 부터 공급되는 방사액을 저장하면서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며, 고전압이 걸려 있는 튜브 블록(d), (ⅳ) 상기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되어 회전하면서 방사액을 컬렉터 방향으로 전기방사하며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 (ⅴ)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와 결합된 상태로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를 지지해 주는 원통형 튜브 형태인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ⅵ)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튜브(e) 상단에 위치하면서 고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고,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로 부터 전기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집적하는 컬렉터(i), (ⅶ) 상기 튜브 블록(d)과 컬렉터(i) 각각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고전압 발생 장치(a) 및 (ⅷ) 모터(g) 및 상기 모터(g)와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를 연결하는 기어 및 벨트 중에 선택된 1종의 동력 전달 기구(h)로 이루어진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 회전 장치들로 구성되는 전기방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내부에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로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함으로서, 단위시간당 단위 원통형 방사 튜브당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노즐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시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생산공정이 간소화되며, 컬렉터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기방사시 방사액이 섬유상이 아닌 용액 상태로 컬렉터 상에 떨어지는 현상(드롭 현상)을 방지하여 제조되는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모식도.
도 2는 도 1 중 튜브 블록(d)상에 배열된 내부에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e) 및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 부분의 상세확대도.
도 3은 본 발명 전기방사장치를 구성하는 내부에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e)의 단면예시도.
도 4는 실시예 1로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i) 방사액을 저장,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b), (ⅱ) 방사액 주탱크(b)에 저장, 보관된 방사액을 튜브 블록(d) 및 내부에 다각형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는 방사액 공급 펌프(c), (ⅲ) 방사액 주탱크(b)로 부터 공급되는 방사액을 저장하면서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며, 고전압이 걸려 있는 튜브 블록(d), (ⅳ) 상기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되어 회전하면서 방사액을 컬렉터 방향으로 전기방사하며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 (ⅴ)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와 결합된 상태로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를 지지해 주는 원통형 튜브 형태인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ⅵ)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상단에 위치하면서 고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고,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로 부터 전기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집적하는 컬렉터(i), (ⅶ) 상기 튜브 블록(d)과 컬렉터(i) 각각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고전압 발생 장치(a) 및 (ⅷ) 모터(g) 및 상기 모터(g)와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를 연결하는 기어 및 벨트 중에 선택된 1종의 동력 전달 기구(h)로 이루어진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 회전 장치들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의 모식도로서,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이 동력전달기구(h)와 연결된 상태를 상세하게 도시하지 않고 생략하였다.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는 모터(g) 및 동력전달기구(h)들로 이루어진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 회전장치에 의해 회전되며, 그로인해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와 결합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도 회전하게 된다.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의 회전수는 일반적으로 50rpm 이상으로 한다.
상기 회전수가 너무 낮으면 원심력이 낮아 나노섬유 형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상기 회전수가 너무 높으면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에서 방사액이 나노섬유가 아닌 용액 자체로 분사되는 드롭현상이 발생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의 적절한 회전수는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e)의 내부 중공부의 형태 및 직경 등에 따라 달라지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수를 특정한 범위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은 기어 또는 벨트인 동력전달기구(h)에 의해 모터(g)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구체적인 구현예 중 하나로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 각각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기구(h)인 기어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기어들 중 한개는 모터(g)에 연결된 또 다른 기어와 맞물려 회전한다.
도 2는 도 1 중 튜브 블록(d)상에 배열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및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부분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각각에는 베어링(k)이 부착되어 있다.
상기 베어링(k)은 방사액 제조에 사용되는 용매의 부식성에 따라 세라믹, 금속 또는 고성능 고분자 등으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구체적인 구현예로는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각각은 동력전달기구(h)인 벨트에 의해 모터(g)와 연결되어 회전한다.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는 다각형 튜브 지지체(f)에 분리가 불가능하게 일체로 고정될 수도 있고, 원-터치(One-Tough) 방식으로 분리가 가능하게 고정될 수도 있으나,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는 것이 청소 및 부품교체가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는 원통상 튜브 형태로서 직경은 3㎜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직경이 3㎜ 미만인 경우에는 전기방사시에 형성되는 테일러 콘의 형상을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의 모서리부분에서 다량으로 발생시킬 수 없어 토출량을 높일 수가 없다.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는 도 3에 예시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의 중공부 단면 형태가 3개 이상의 각(모서리)를 갖는 다각형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의 단면 예시도 이다.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대신에 중공부가 원형인 통상의 원통형의 방사 튜브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방사액이 전기방사되는 점(point)이 균일하지 못하고 테일러 콘이 적게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의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로 방사액을 전기방사하게 되면 비표면적이 넓은 내부 중공부를 이루는 다각형의 끝 부분(모서리 부분)에서 방사액이 주로 방사된다. 따라서,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다각형의 끝 부분(모서리 부분)의 형태를 가급적 비표면적이 넓게 유지하는 형태로 하는 것이 테일러 콘을 가급적 많이 형성시키며 토출량도 많이 증가시키며 방사성도 향상시키는데 바람직하다.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은 튜브 블록(d) 상에 직선 또는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그로 인해 튜브 블록(d) 상에 보다 많은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들을 배열할 수 있어서 단위 시간당 생산성이 증가되고 장치가 간소화된다.
다음으로는,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로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는 방법 일례를 살펴본다.
고분자 용매에 용해하여 제조된 후 방사액 주탱크(b)에 저장 중인 방사액 중 일정량을 정량펌프(c)를 통해 고전압이 걸쳐 있는 튜브 블록(d)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튜브 블록(d)에 공급된 방사액은 튜브 블록(d) 상에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에 부착되어 회전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를 통해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상부에 위치하면서 고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는 컬렉터(i)를 향해 전기방사하여 나노섬유를 상기 컬렉터(i) 상에 집적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한다.
상기와 같이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게 되면,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이용하여 전기방사를 실시하게 되어 단위시간당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당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종래 노즐을 사용하지 않아 노즐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컬렉터(i)가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상단에 위치하여 드롭현상을 방지하여 나노섬유 웹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폴리비닐알코올(Aldrich, 미국)을 증류수에 10중량%로 용해하여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액 주탱크(b)에 저장중인 방사액 일정량을 정량펌프(c)를 통해 고전압이 걸려 있으며 내부에 단면이 도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 및 원통상 방사 튜브 지지체(f)들이 결체된 상태로 배열되어 있는 튜브 블록(d)에 공급하였다.
상기 튜브 블록(d)에는 45kV의 전압을 걸어 주었다.
계속해서, 상기와 같이 튜브 블록(d)에 공급된 방사액을 상기 내부에 단면이 도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를 통해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i) 방향으로 전기방사하여 형성되는 나노섬유들을 컬렉터(i) 상에 집적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이때, 내부에 단면이 도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당 단위시간당 토출량은 10g/분 이였다.
이때, 상기 컬렉터(i)에는 45kV의 전압을 걸어 주었고 컬렉터 2m/분의 회전속도로 회전시켜 주었다.
또한, 상기 컬렉터(i)의 폭은 2,2m로 하였고, 컬렉터(i)와 내부에 단면이 도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간의 거리는 15㎝로 조절하였다.
또한 상기 내부에 단면이 도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의 내부 중공부의 가상 지름(Di)은 18mm로 하였고, 내부 중공부를 이루는 8각형의 길이(Db)는 34㎜로 하였고, 원통상 방사 튜브(e)의 지름(Do)은 36㎜로 하였다.
또한, 상기 내부에 단면이 도 3과 같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들은 동력전달기구인 벨트로 모터와 연결하여 200rpm으로 회전시켜 주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 웹의 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4와 같았다.
나노섬유의 평균 직경은 350㎚ 이였고, 나노섬유 웹의 중량은 45g/㎡이였다.
나노섬유 웹을 구성하는 나노섬유들의 직경이 매우 균일하였고, 드롭현상이 전혀 발생되지 않아 품질이 우수하였다.
a : 고전압 발생장치 b : 방사액 주탱크
c : 방사액 공급펌프 d : 튜브 블록
e :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
f :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
g : 모터 h : 동력전달장치
i : 컬렉터 k : 베어링
Di : 내부에 단면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를 이루는 내부 중공부의 가상 반지름
Db : 내부에 단면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를 이루는 내부 중공부 길이
Do : 내부에 단면이 8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의 지름.

Claims (7)

  1. (i) 방사액을 저장, 보관하는 방사액 주탱크(b),
    (ⅱ) 방사액 주탱크(b)에 저장, 보관된 방사액을 튜브 블록(d) 및 내부에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는 방사액 공급 펌프(c),
    (ⅲ) 방사액 주탱크(b)로부터 공급되는 방사액을 저장하면서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로 공급해 주며, 고전압이 걸려 있는 튜브 블록(d),
    (ⅳ) 상기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되어 회전하면서 방사액을 컬렉터 방향으로 전기방사하며, 내표면이 다각형이고 외표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상 방사 튜브(e),
    (ⅴ)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와 결합된 상태로 튜브 블록(d) 상에 배열된 상태로 회전하면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를 지지해 주는 원통형 튜브 형태인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ⅵ)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 상단에 위치하면서 고전압이 걸린 상태에서 회전하고,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로 부터 전기방사되는 나노섬유를 집적하는 컬렉터(i)
    (ⅶ) 상기 튜브 블록(d)과 컬렉터(i) 각각에 고전압을 걸어주는 고전압 발생 장치(a) 및
    (ⅷ) 모터(g) 및 상기 모터(g)와 상기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를 연결하는 기어 및 벨트 중에 선택된 1종의 동력 전달 기구(h)로 이루어진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 회전 장치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방사 지지체(f) 각각에는 동력전달기구(h)인 기어들이 서로 맞물린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기어들 중 1개는 모터(g)에 연결된 또 다른 기어와 맞물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각각은 동력전달기구인 벨트에 의해 모터(g)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 각각에는 베어링(k)이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원통형 방사 튜브 지지체(f)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 튜브(e)와 고정된 상태 및 분리가능한 상태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는 3개 이상의 각을 갖는 다각형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상기 원통상 방사 튜브(e)는 튜브블록(d) 상에 일렬방향 및 대각선 방향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20120017735A 2012-02-22 2012-02-22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263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35A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2-02-22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735A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2-02-22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63296B1 true KR101263296B1 (ko) 2013-05-15

Family

ID=48666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735A KR101263296B1 (ko) 2012-02-22 2012-02-22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3296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926057A (zh) * 2016-07-18 2016-09-07 厦门大学 旋转多射流批量纺丝装置
KR101806316B1 (ko) 2015-11-11 2017-12-08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06317B1 (ko) * 2015-10-29 2017-12-08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5B1 (ko) 2016-04-11 2018-01-10 주식회사 우리나노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8-01-12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55660B1 (ko) 2016-11-07 2018-05-09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WO2018199353A1 (ko) * 2017-04-26 2018-11-01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162611B1 (ko) * 2019-07-16 2020-10-08 주식회사 우리나노 외부 전기방사튜브와 내부 전기방사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3062510A1 (en) 2002-01-22 2003-07-31 The University Of A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EP2128311A1 (en) 2008-05-28 2009-12-02 Japan Vilene Company, Ltd. Spinn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EP0979885B1 (en) 1998-08-13 2010-03-24 Illinois Tool Works Inc. Extruding nozzle for producing non-woven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79885B1 (en) 1998-08-13 2010-03-24 Illinois Tool Works Inc. Extruding nozzle for producing non-woven materials and method therefore
WO2003062510A1 (en) 2002-01-22 2003-07-31 The University Of Akron Process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nanofibers
EP2128311A1 (en) 2008-05-28 2009-12-02 Japan Vilene Company, Ltd. Spinning apparatus,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6317B1 (ko) * 2015-10-29 2017-12-08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06316B1 (ko) 2015-11-11 2017-12-08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3B1 (ko) 2015-12-30 2018-01-12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5B1 (ko) 2016-04-11 2018-01-10 주식회사 우리나노 고투명성 폴리에스테르 나노섬유 시트의 제조방법
CN105926057A (zh) * 2016-07-18 2016-09-07 厦门大学 旋转多射流批量纺丝装置
KR101855660B1 (ko) 2016-11-07 2018-05-09 주식회사 우리나노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WO2018199353A1 (ko) * 2017-04-26 2018-11-01 주식회사 우리나노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162611B1 (ko) * 2019-07-16 2020-10-08 주식회사 우리나노 외부 전기방사튜브와 내부 전기방사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3296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291592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172267B1 (ko) 다각형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172266B1 (ko) 다수개의 토출홀들이 형성된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32358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71252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3184886U (ja) スクリューファイバー生成器及び静電ロッド紡糸設備
CN102828259A (zh) 一种锯齿式无针头静电纺丝装置
KR101806317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354509B1 (ko) 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CN108532001B (zh) 一种静电纺丝设备
US20160145771A1 (en) Nano-fiber spinning apparatus using centrifugal for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 using the same
CN111235648A (zh) 齿轮夹角式无针静电纺丝头及使用其的静电纺丝装置
CN108330550B (zh) 无喷头式静电纺丝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558213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CN105887223A (zh) 一种一步成型制备纳米纤维纱线的高速离心纺装置及纳米纤维纱线制备方法
CN110344125B (zh) 一种批量电纺装置及其制备纳米纤维膜的方法
WO2015008882A1 (ko) 다수개의 토출홀들이 형성된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258908B1 (ko) 멀티-셀 타입 전기방사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06316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15110159A (zh) 一种滑轮电极静电纺丝方法与装置
KR101426738B1 (ko) 원심력이 결합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212357462U (zh) 一种双面静电纺丝设备
CN110117824B (zh) 连续取向纳米纤维纱线静电纺丝装置及其使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