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354B1 -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354B1
KR101602354B1 KR1020140017706A KR20140017706A KR101602354B1 KR 101602354 B1 KR101602354 B1 KR 101602354B1 KR 1020140017706 A KR1020140017706 A KR 1020140017706A KR 20140017706 A KR20140017706 A KR 20140017706A KR 101602354 B1 KR101602354 B1 KR 10160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electrospin
shape
electrospinning
distribu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17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97834A (ko
Inventor
김학용
임백호
한태환
김태우
전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리나노,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리나노
Priority to KR1020140017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354B1/ko
Publication of KR201500978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978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means of rotating spinner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05Reinforced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nanosized materials, e.g. nanoparticles, nanofibres, nanotubes, nanowires, nanorods or nanolayered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13/00Complete machines for producing artificial threa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ano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은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및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 시스템은 상기 전기방사튜브(T)와 저수조(R) 사이에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및 다각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되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분배판(D)이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사용하여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단위 전기방사튜브의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방사용액이 나노섬유화 되지 않고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드롭-렛(Drop-let)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나노섬유 형성능이 우수한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가 가능해지고, 노즐사용시와 비교시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이 해소되고, 방사튜브의 낮은 회전수로도 나노섬유를 안정적으로 방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Electrospining tube system for manfacturing nanofiber}
본 발명은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및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로 구성되어 단위시간당 단위 전기방사튜브의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고,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생산공정이 간소화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전기방사튜브(T)와 저수조(R) 사이에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및 다각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되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분배판(D)이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을 포함한다.
종래 전기방사장치들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60호 등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방사액을 토출하는 기구로 고정된 노즐(Nozzle)을 주로 채택해 왔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전기방사장치들은 고정된 노즐을 통해 방사액을 전기방사(토출)하기 때문에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가 실시되어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어려운 문제점과, 노즐 교체 및 청소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 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ptechnology 2006, VOl 17, 1123].
또 다른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로는 3,0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하는 원통을 이용하여 상기 원통 내에 투입된 방사액(클로로벤젠에 용해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을 원심력만을 이용하여 전기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가 K. Kern 등이 나노레터(Nano Letters)에 발표한 논문(Nano Letters, 2008, Vol 8, No.4, 1187-1191)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정전기력은 사용하지 않고 원심력만을 사용하여 전기방사하기 때문에 생산량이 떨어지고, 원통 내에 방사액을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어려워 연속생산이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로는 50rpm으로 회전하는 원추형 용기에 고전압들을 걸어주면서 폴리비닐피릴리돈 용액을 공급하여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노즐 없이 전기방사를 실시한 전기방사장치를 Nanzhou 대학의 Jinyuan Zhou 등이 2010년 스몰(Small)지에 발표한 논문(Small, 2010 Vol 6, 1612-1616)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원심력과 정전기력을 활용하여 노즐이 없는 형태로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상기 원추형 용기 내에 방사액을 연속 공급하여 연속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과, 상기 원추형 용기 하부에 컬렉터가 위치하여 방사액이 섬유형태가 아니라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발생 현상"이라고 한다)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기존의 전기방사 방식의 단점은 단위 홀당 나노섬유의 생산량이 매우 낮고 또한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노즐의 청소 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부에 다각형으로 구성된 원통형 혹은 원추형 혹은 원추형 전기방사 튜브를 사용하여 전기방사를 행할 경우에 전기방사 과정에서 흔히 발생하는 용액이 나노섬유 매트에 부착되어 구멍을 형성하거나 혹은 용액 자체가 그대로 부착되는 드롭-렛(Drop-let) 현상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나노섬유를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조할 때 단위시간당 단위 전기방사튜브의 토출량을 높여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나노섬유를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제조할 때 방사용액이 나노섬유화 되지 않고 용액상태 그대로 떨어지는 드롭-렛 현상을 최대한 방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종래 노즐사용시 노즐의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을 해소하여 생산공정을 간소화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서는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및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로 구성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으로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전기방사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와 저수조(R) 사이에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및 다각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되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분배판(D); 및 (ⅲ) 상기 분배판(D)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로 구성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으로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전기방사 한다.
본 발명은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함께 사용하여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기 때문에 단위시간당 단위 전기방사튜브의 토출량이 높아져 생산성이 크게 향상되며, 방사용액이 나노섬유화 되지 않고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드롭-렛(Drop-let)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하여 나노섬유 형성능이 우수한 나노섬유 매트의 제조가 가능해지고, 노즐사용시와 비교시 노즐 교체 및 청소의 번거로움이 해소되어 생산공정이 간소화되고, 방사튜브의 낮은 회전수로도 나노섬유를 안정적으로 방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와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 원추형 분배판(D) 및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와 원통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
도 4는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 원통형 분배판(D) 및 원통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의 상세 모식도.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분배판(D)의 상세 모식도.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저수조(R)의 내부표면 전개도.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의 사시개략도.
도 9 내지 도 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의 상세모식도.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의 평면 개략도.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분배판(D)의 상세 모식도.
도 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저수조(R)의 내부표면 전개도.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의 사시개략도.
도 15(a) 내지 도 15(b)는 저수조(R)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의 사시개략도.
도 16은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 매트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은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및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로 구성된다.
도 1은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와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3은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와 원통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은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방사튜브(T)와 저수조(R) 사이에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및 다각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되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분배판(D)이 추가로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2는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 원추형 분배판(D) 및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 원통형 분배판(D) 및 원통형 저수조(R)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상기 전기방사튜브(T)는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할때 300~1,500 rpm 수준으로 회전하여 정전기력과 함께 원심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전기방사튜브(T)의 회전수가 너무 낮으면 원심력이 부족하게 되어 나노섬유 형성능이 저하되고, 회전수가 너무 높으면 방사용액이 나노섬유화 되지 않고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드롭-렛 현상이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저수조(R)는 전기방사튜브(T)에 방사용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여 전기방사가 이루어지는 상기 구획판(T1)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방사용액의 균일한 흐름을 유지시켜 방사용액이 섬유화되지 않고 용액상태로 드롭되는 현상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분배판(D)은 저수조(R)에서 공급된 방사용액을 보다 균일하게 전기방사튜브(T)의 구획판(T1)들 사이에 공급하여 나노섬유 형성을 원활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전기방사튜브(T)는 도 5,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추형 형태 또는 원통형 형태이고, 내부 공간의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는 경우 상기 구획판(T1)들의 모서리 부분에서 방사용액이 주로 전기방사되어 나노섬유 형성능이 향상되고, 드롭-렛 현상도 감소된다.
도 5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의 상세 모식도이고, 도 9 내지 도 1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의 상세 모식도이고, 도 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전기방사튜브(T)의 평면 개략도이다.
도 5,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은 평면 형태일 수도 있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판(T1)은 곡면 형태일 수도 있다.
도 5,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상에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세로방향과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은 먼저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상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2개의 구획판(T1)들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4개의 구획 중 2개 구획에서는 구획판(T1)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세로방향으로 배열되고 나머지 2개의 구획에서는 구획판(T1)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을 수도 있다.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의 간격이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을 따라 연속되는 다수개의 나선상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도 7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에 분산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저수조(R)의 내부표면 전개도이고, 도 13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저수조(R)의 내부표면 전개도이다.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다각형 돌기, 반원형 돌기, 다각형 홈 및 반원형 홈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이다.
도 15(a) 내지 도 15(b)는 저수조(R)의 내부 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의 사시개략도이다.
저수조(R)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상물(R1)간의 간격(W1,W2,W3)들이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저수조(R)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상물(R1)간의 간격(W1,W2,W3)들이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도 6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판(D)은 원추형 형태 또는 원통형 형태이고, 도 8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또는 다각형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된다.
도 6는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분배판(D)의 상세 모식도이고,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분배판(D)의 상세 모식도이고,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원추형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의 사시개략도이고, 도 14는 도 4에 도시된 원통형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의 사시개략도이다.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의 크기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상이할 수도 있다.
분배판(D)은 단면형태가 원형형태인 셀과 단면형태가 다각형 형태인 셀이 서로 혼재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은 분배판(D)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고,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은 분배판(D)의 단면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용매인 물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9중량%이고 점도가 550센티포아스인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사용액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 (ⅱ)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원추형 분배판(D) 및 (ⅲ) 분배판(D)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에 분당 2cc 공급하면서 상기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을 66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에 30kV의 전압을 부여하여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 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직경은 40㎜이고, 하부직경은 50㎜이고, 내부공간은 8개의 평면 형태인 구획판(T1)으로 구획하였다.
또한, 상기 분배판(D)은 5㎜×5㎜의 정사각형 셀(D1)들로 구성하였고, 상기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는 깊이가 3㎜이고 폭이 3m인 홈(형상물)을 5열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나노섬유 매트는 도 16과 같이 드롭-렛 현상으로 인한 결점이 전혀 없었고, 나노섬유 섬유 형성능도 우수하였다.
도 16은 상기와 같이 제조된 나노섬유 매트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실시예 2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00인 폴리비닐알코올을 용매인 물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9중량%이고 점도가 550센티포아스인 방사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방사용액을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ⅰ)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 및 (ⅱ)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는 원추형 저수조(R)로 구성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에 분당 2cc 공급하면서 상기 전기방사튜브 시스템을 660rpm으로 회전시키면서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에 30kV의 전압을 부여하여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이용하여 나노섬유 매트를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원추형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직경은 40㎜이고, 하부직경은 50㎜이고, 내부공간은 8개의 곡면 형태인 구획판(T1)으로 구획하였다.
또한, 상기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는 깊이가 3㎜이고 폭이 3m인 홈(형상물)을 5열로 서로 평행하게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제조한 나노섬유 매트는 드롭-렛 현상으로 인한 결점이 전혀 없었고, 나노섬유 섬유 형성능도 우수하였다.
T : 전기방사튜브 R : 저수조
D : 분배판 T1 : 전기방사튜브내 구획판
D1 :분배판 셀 R1 : 저수조 내부 표면에 형성된 형상물
W1~W3 : 형상물(R1) 사이 간격 H : 형상물(R1)의 높이
W : 형상물(R1)의 넓이 r : 형상물(R1)의 반지름

Claims (19)

  1. (ⅰ) 내부공간이 구획판(T1)들에 의해 구획되어 있으며,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전기방사튜브(T);
    (ⅱ) 상기 전기방사튜브(T) 하단에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표면에 홈 및 돌기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상물(R)이 형성되어 있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저수조(R); 및
    (ⅲ) 상기 전기방사튜브(T)와 저수조(R) 사이에 단면 형태가 원형 형태 및 다각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셀(D1)들로 구성되고 원추형 형태 및 원통형 형태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를 구비하는 분배판(D);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이 평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이 곡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상에서 서로 동일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세로방향과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은 먼저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상에서 직각으로 교차하는 2개의 구획판(T1)들에 의해 4개의 구획으로 구분되며, 상기 4개의 구획 중 2개 구획에서는 구획판(T1)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세로방향으로 배열되고 나머지 2개의 구획에서는 구획판(T1)이 전기방사튜브(T)의 단면 가로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판(T1)들의 간격이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을 따라 연속되는 다수개의 나선상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서로 분리된 상태로 전기방사튜브(T)의 내부표면에 분산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에 형성된 형상물(R1)은 다각형 돌기, 반원형 돌기, 다각형 홈 및 반원형 홈 중에서 선택된 1종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3. 제10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상물(R1)간의 간격(W1,W2,W3)들이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4. 제10항에 있어서, 저수조(R)의 내부표면을 따라 평행하게 연속되는 다수개의 직선을 이루도록 형성된 형상물(R1)간의 간격(W1,W2,W3)들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5. 제1항에 있어서,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의 크기가 서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6. 제1항에 있어서,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7. 제1항에 있어서, 분배판(D)은 단면형태가 원형형태인 셀과 단면형태가 다각형 형태인 셀이 서로 혼재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8. 제1항에 있어서,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은 분배판(D)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19. 제1항에 있어서, 분배판(D)을 구성하는 셀(D1)들은 분배판(D)의 단면 대각선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1020140017706A 2014-02-17 2014-02-17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101602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06A KR101602354B1 (ko) 2014-02-17 2014-02-17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17706A KR101602354B1 (ko) 2014-02-17 2014-02-17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34A KR20150097834A (ko) 2015-08-27
KR101602354B1 true KR101602354B1 (ko) 2016-03-11

Family

ID=54059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7706A KR101602354B1 (ko) 2014-02-17 2014-02-17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3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31426B (zh) * 2015-05-05 2017-03-01 东华大学 双级剪切式牵伸静电纺直纺微米纱装置、方法及用途
CN105420830A (zh) * 2015-12-11 2016-03-23 宜宾丝丽雅股份有限公司 一种纺丝水洗槽废水利用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40B1 (ko) 2006-09-20 2007-06-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용 노즐 장치
JP2008231635A (ja) 2007-03-23 2008-10-02 Univ Of Shiga Prefecture 静電紡糸方法及び静電紡糸装置
KR101354511B1 (ko) * 2012-09-03 2014-01-23 주식회사 우리나노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8908B1 (ko) * 2011-09-05 2013-04-29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멀티-셀 타입 전기방사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5040B1 (ko) 2006-09-20 2007-06-07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전기방사용 노즐 장치
JP2008231635A (ja) 2007-03-23 2008-10-02 Univ Of Shiga Prefecture 静電紡糸方法及び静電紡糸装置
KR101354511B1 (ko) * 2012-09-03 2014-01-23 주식회사 우리나노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97834A (ko) 2015-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213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101712521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다성분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291592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172267B1 (ko) 다각형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263296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32358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N107109703B (zh) 静电纺纱用喷丝头
KR101602354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20120070780A (ko) 다수개의 토출홀들이 형성된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JP6112873B2 (ja) ナノ繊維材料及びマイクロ繊維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複合紡糸ノズル
JP4523013B2 (ja) 不織布製造装置
KR10135451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55660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258908B1 (ko) 멀티-셀 타입 전기방사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602350B1 (ko) 나노섬유 제조용 전기방사튜브 시스템
KR101426738B1 (ko) 원심력이 결합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2016172939A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用ノズルヘッド、及び、これを備えた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
JP4897553B2 (ja) ナノファイバ製造装置、および、ナノファイバ製造方法
KR101959839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20170055597A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Vysloužilová et al. Design of coaxi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electrode with respect to the distribution of electric field
KR102106268B1 (ko)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사이드 바이 사이드형 3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06117B1 (ko) 원심력과 공기흐름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26737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