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6737B1 -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6737B1
KR101426737B1 KR1020130109575A KR20130109575A KR101426737B1 KR 101426737 B1 KR101426737 B1 KR 101426737B1 KR 1020130109575 A KR1020130109575 A KR 1020130109575A KR 20130109575 A KR20130109575 A KR 20130109575A KR 101426737 B1 KR101426737 B1 KR 101426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tube
nanofibers
outer tube
tube
spi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5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용
한태환
김태우
임백호
이준엽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1095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6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6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6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1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by means of rotating spinner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4/00Spinnerette packs; Cleaning thereof
    • D01D4/02Spinneret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동심환을 이루는 내부관(a)과 외부관(b)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간극을 형성되어 있는 방사유닛에 방사액을 공급한 후,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중 하나는 회전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하여 공급된 방사액을 회전하는 관의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한다.
이때, 회전하는 관의 양면 중 상기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관의 전체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w)들이 방사액의 저수조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즐 및 전기력 사용 없이 순수한 원심력만으로 방사액으로부터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노즐청소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방사유닛 및 컬렉터에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 위험성도 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Method of manufacturing nanofibers via centrifugal force}
본 발명은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노즐 및 전기력 사용 없이 순수한 원심력만으로도 방사액으로부터 나노섬유를 효율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나노섬유는 주로 전기방사방식으로 제조되어 왔다.
종래 나노섬유를 제조하는데 사용된 전기방사장치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420460호 등에 게재된 바와 같이 방사액을 토출하는 기구로 고정된 노즐(Nozzle)을 주로 채택해 왔었다.
그러나, 상기 종래 전기방사장치들은 고정된 노즐을 통해 방사액을 전기방사(토출)하기 때문에 정전기력에만 의존하여 전기방사가 실시되어 단위시간당 노즐 단위홀당 토출량이 0.01g 수준으로 매우 낮아 생산성이 떨어져 결국 양산화가 어려운 문제점과, 노즐 교체 및 청소가 매우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기방사를 통한 나노섬유의 생산량은 시간당 0.1~1g 수준이고 용액 토출량은 시간당 1.0~5.0 mL 수준으로 매우 낮다[D. H. H. Renecker 등, Nanptechnology 2006, VOl 17, 1123].
또 다른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로는 50rpm으로 회전하는 원추형 용기에 고전압을 걸어주면서 폴리비닐피릴리돈 용액을 공급하여 정전기력과 원심력을 동시에 이용하여 노즐 없이 전기방사를 실시한 전기방사장치를 Nanzhou 대학의 Jinyuan Zhou 등이 2010년 스몰(Small)지에 발표한 논문(Small, 2010 Vol 6, 1612-1616)에 게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기방사장치는 원심력과 정전기력을 활용하여 노즐이 없는 형태로 단위시간당 생산량을 향상시킬 수 있지만 상기 원추형 용기 내에 방사액을 연속 공급하여 연속 생산이 어려운 문제점과, 상기 원추형 용기 하부에 컬렉터가 위치하여 방사액이 섬유형태가 아니라 용액상태로 떨어지는 현상(이하 "드롭발생 현상"이라고 한다)이 일어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량의 노즐을 노즐판상에 배열하여 전기방사하는 시스템에 대한 방식 등도 이미 잘 알려져 있다[H. Y. Kim, WO2005073441, WO2007035011].
기존의 전기방사장치들의 단점은 전기방사장치에 고전압을 걸어 주어야 하므로 위험하고, 단위 홀당 나노섬유의 생산량이 매우 낮고 또한 노즐을 사용함으로써 노즐의 청소 등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고분자를 용매에 녹인 고분자 용액은 전기방사가 가능하지만 고분자를 용융시킨 고분자 용융체는 전기방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 이유는 기존의 전기방사장치들은 고분자 용융체의 분자량 감소 없이 점도만 낮추기 위해 필요한 고전단력을 전기방사되는 고분자 용융체에 부여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그 결과, 고분자 용액은 물론 고분자 용융체를 사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할 수 있는 방사장치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또 다른 종래의 나노섬유용 방사장치로는 3,000rpm 이상으로 고속회전하는 원통을 이용하여 상기 원통 내에 투입된 방사액(클로로벤젠에 용해된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용액)을 원심력만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나노섬유용 방사장치가 K. Kern 등이 나노레터(Nano Letters)에 발표한 논문(Nano Letters, 2008, Vol 8, No.4, 1187-1191)에 게재되어 있다.
미국 텍사스 팬(Texas Pan) 대학의 카렌 로젠(Karen Loazen) 그룹에서는 노즐 직경별, 튜브안에 들어 있는 용액량, 회전하는 방향에 대한 노즐의 배열 각도 등에 대하여 실험을 통한 섬유 형성 궤적을 고속촬영기를 사용하여 규명하였고 이론을 통하여 결과를 분석을 행하였다. 이들의 의하면 회전속도가 증가할수록 섬유의 평균 직경은 감소하였고 회전속도가 6000 rpm이었을 경우에 130nm의 폴리(에틸렌 옥사이드)섬유직경을 얻었다. 노즐의 직경대비 구경에 대한 비(L/D 비)가 40인 경우에 섬유직경이 140nm 이였고, L/D비가 160인 경우에 섬유직경이 190nm를 나타내었다. 사용된 노즐의 구경은 260 마이크론 이하의 매우 작은 구경의 노즐을 사용하였다.(Journal of Applied physics : Vol. 113, 024318-1~024318-9, 2013).
미국 하버드(Harvard) 대학의 파커(Parker) 그룹은 직경이 0.34mm이고 내부 체적이 700 마이크로 리터(L)이고 외부 직경이 12.5mm인 방사구를 이용하였고 외부에 직경이 300mm로 구성된 방사시스템을 이용하여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것에 관하여 나노 레터(Nano Letters Vol. 10, 2251-2261, 2012)에 발간한바 있다.
또한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 제조는 주로 매우 작은 구경의 노즐을 이용하여 고속회전을 통한 나노섬유가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노즐 방식은 노즐 청소 등 장시간 사용할 때에 문제가 발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도록 노즐 및 전기력 사용없이 순수한 원심력만으로 고분자 용액은 물론 고분자 용융체로부터 나노섬유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동심환을 이루는 내부관(a)과 외부관(b)으로 구성되어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어 있는 방사유닛에 방사액을 공급한 후,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중 하나는 회전시키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하여 공급된 방사액을 회전하는 관의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한다.
이때, 회전하는 관의 양면 중 상기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는 관의 전체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관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을 형성하여 상기 요홈(w)들이 방사액의 저수조 역할을 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노즐 및 전기력 사용 없이 순수한 원심력만으로 방사액으로부터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고, 그로 인해 노즐청소 등의 번거로운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방사유닛 및 컬렉터에 고전압을 인가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작업 위험성도 피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방사유닛에서 나노섬유(e)를 형성하는 공정개략도.
도 5 내지 도 7은 폭방향을 따라 요홈(w)들이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전개도.
도 8은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의 사시개략도.
도 9는 일측 말단부 끝면(f)의 전체 두께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된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측면도.
도 10은 일측 말단부 끝면(f)에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 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관 끝면 또는 내부관 끝 면의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라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주는 공정 개략도.
도 12는 실시예 1로 제조한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13은 실시예 2로 제조한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이하, 첨부한 도면 등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관(b)을 회전하고 내부관(a)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ⅰ)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면은 막혀있고 나머지 하나의 면은 개방되어 있는 외부관(b)과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방사액을 공급하는 공정; (ⅱ) 상기 외부관(b)은 회전시키고 상기 내부관(a)은 고정시켜 방사유닛의 내부관(a)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방사유닛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이송한 후 외부관(b)의 개방된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및 (ⅲ) 방사된 나노섬유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하는 외부관(b)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외부관(b)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외부관(b)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내부관(a)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내부관(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내부관(a)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3은 외부관(b)과 내부관(a) 모두가 원추형인 방사유닛을 사용하여 외부관(b)을 회전하고 내부관(a)을 고정하여 내부관(a) 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외부관(b)의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개략도이고, 도 2는 외부관(b)과 내부관(a) 모두가 원통형인 방사유닛을 사용하여 외부관(b)을 회전하고 내부관(a)을 고정하여 내부관(a) 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외부관(b)의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개략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폭 방향을 따라 요홈(w)들이 형성된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전개도로서, 도 5는 원추형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에 넓이가 서로 상이한 요홈(w)들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6은 원추형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에 넓이가 서로 동일한 요홈(w)들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고, 도 7은 원통형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에 요홈들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외부관(b) 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에 걸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외부관(b)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노섬유 형성능 개선에 보다 바람직하다.
도 9는 일측 말단부 끝면(f)의 전체 두께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된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일측 말단부 끝면(f)에 상기 끝면(f)의 전체두께(t) 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는 외부관(b)의 끝면 또는 내부관(a)의 끝 면의 평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두번째 구현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관(a)을 회전하고 외부관(b)을 고정하는 방식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은 (ⅰ)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면은 막혀있고 나머지 하나의 면은 개방되어 있는 외부관(b)과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방사액을 공급하는 공정; (ⅱ) 상기 외부관(b)은 고정시키고 상기 내부관(a)은 회전시켜 방사유닛의 내부관(a)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방사유닛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이송한 후 내부관(a)의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및 (ⅲ) 방사된 나노섬유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하는 내부관(a)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내부관(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내부관(a)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외부관(b)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외부관(b)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외부관(b)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내부관(a) 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에 걸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거나,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는 내부관(a)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나노섬유 형성능 개선에 보다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첫번째 구현예와 두번째 구현예 모두에 있어서, 상기 요홈(w)들의 깊이 및 넓이는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다.
상기 요홈(w)들의 형태는 다각형, 반원형, 십자형 또는 화살표 등이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사액은 고분자 용액 또는 고분자 용융체로서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부관(b) 및 내부관(a)은 모두 원통형이거나 원추형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액을 방사유닛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공급할 수도 있고, 방사액을 방사유닛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공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섬유를 집적하는 컬렉터는 방사유닛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방사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방향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하거나, 방사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방향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은 0.1~10㎜,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0.1~5㎜인 것이 바람직하다.
간극이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간극에서 높은 전단력이 발생되지 않아 나노섬유 형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외부관(b) 및 내부관(a) 중 어느 하나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나머지 하나는 고정시 외부관(b) 과 내부관(a) 사이의 간극에서 매우 높은 전단속도가 형성되며, 이로 인해 고분자 용액 또는 고분자 용융제의 분자량을 저하시키지 않고 단지 점도만 낮게 하여 나노섬유를 효과적으로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외부관(b) 및/또는 내부관(a)에 형성된 요홈(w)은 방사액의 저수조 역할을 수행하면서 회전하는 외부관(b) 또는 내부관(a)의 끝면(f)에 단위 시간당 또는 단위 둘레당 균일한 방사액을 공급하는 것을 가능하게 해준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사유닛에서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나노섬유의 집속효과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공기흐름을 발생시키는 방법으로는 외부관 회전축 또는 내부관 회전축(d)에 날개를 부착하는 방법, 공기 블루어(Air Blower)로 공기를 강제로 주입시키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그러나,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량평균분자량(Mw)이 80,000인 폴리비닐알코올(Aldrich 회사제품)을 용매인 증류수에 용해하여 고형분이 30중량%이고 점도가 2100센티포아스인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막혀있고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추형 외부관(b)과 양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추형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기어펌프 및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상기 방사액을 분당 10cc의 공급속도로 공급하였다.
이때, 외부관(b) 상부 끝면(나노섬유 형성부위)의 직경은 80㎜, 하부 직경은 34㎜로 하였고, 상기 간극과 마주하는 외부관(b)의 면에는 외부관(b)의 둘레(폭) 방향을 따라 깊이가 3㎜이고 폭이 5㎜인 요홈(w1) 1줄, 깊이가 2㎜이고 폭이 3㎜인 요홈(w2) 1줄, 깊이가 1㎜이고 폭이 1㎜인 요홈(w3) 1줄을 각각 형성하였다.
또한, 원추형 내부관(a)의 상부면 직경은 76㎜, 하부면 직경은 30㎜로 하였고,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의 간극은 1.0㎜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외부관(b)을 모터에 연결하여 7,000rpm으로 회전시켜 고속으로 회전하는 외부관(b)의 상부끝단(f)에서 방사액을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였다.
이때 회전축(b)에 날개를 달아서 나노섬유 형성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켰다.
다음으로, 방사된 나노섬유를 방사유닛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상에 집속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2와 같았고,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580㎚이었다.
실시예 2
중량평균분자량(Mw)이 120,000인 폴리아크릴로니트릴(Aldrich 회사제품)을 용매인 디메틸포름아미이드 용해하여 고형분이 25중량%이고 점도가 2500센티포아스인 방사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면이 막혀있고 상부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추형 외부관(b)과 양면이 개방되어 있는 원추형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기어펌프 및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상기 방사액을 분당 5cc의 공급속도로 공급하였다.
이때, 내부관(a) 상부 끝면(나노섬유 형성부위)의 직경은 66㎜, 하부 직경은 32㎜로 하였고, 상기 간극과 마주하는 내부관(a)의 면에는 내부관(a)의 둘레(폭) 방향을 따라 깊이가 5㎜이고 폭이 5㎜인 요홈(w) 2줄을 일정간격으로 형성하였다.
또한, 원추형 외부관(b)의 상부면 직경은 70㎜, 하부면 직경은 36㎜로 하였고, 상기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의 간극은 1.2㎜로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내부관(a)을 모터에 연결하여 7,000rpm으로 회전시켜 고속으로 회전하는 내부관(a)의 상부끝단(f)에서 방사액을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였다.
이때 회전축(b)에 날개를 달아서 나노섬유 형성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켰다.
다음으로, 방사된 나노섬유를 방사유닛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상에 집속하여 나노섬유 웹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나노섬유의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도 13과 같았고, 나노섬유의 평균직경은 750㎚이었다.
a : 내부관 b : 외부관
c : 방사액 공급관 d : 외부관 회전축 또는 내부관 회전축
e : 나노섬유 w : 요홈
h : 요홈 높이 wt : 요홈의 넓이(폭)
w1, w2, w3 : 폭이 서로 상이한 요홈
f :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외부관의 끝면 또는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내부관의 끝면
g : 끝면(f)에 형성된 다각형 요철부
t : 끝면(f)의 두께

Claims (18)

  1. (ⅰ)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면은 막혀있고 나머지 하나의 면은 개방되어 있는 외부관(b)과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방사액을 공급하는 공정;
    (ⅱ) 상기 외부관(b)은 회전시키고 상기 내부관(a)은 고정시켜 방사유닛의 내부관(a)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방사유닛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이송한 후 외부관(b)의 개방된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및
    (ⅲ) 방사된 나노섬유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하는 외부관(b)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외부관(b)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외부관(b)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고정되는 내부관(a)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내부관(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내부관(a)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외부관(b) 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에 걸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외부관(b)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5. (ⅰ) 상부면과 하부면 중 하나의 면은 막혀있고 나머지 하나의 면은 개방되어 있는 외부관(b)과 상부면과 하부면 각각의 적어도 일부분이 개방되어 있는 내부관(a)으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관(a)은 외부관(b)과 동심환을 이루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일정한 간극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관(b)내에 끼워져 있는 방사유닛의 내부관(a) 내로 방사액 공급관(c)을 통해 방사액을 공급하는 공정;
    (ⅱ) 상기 외부관(b)은 고정시키고 상기 내부관(a)은 회전시켜 방사유닛의 내부관(a)내로 공급된 방사액을 방사유닛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을 통해 이송한 후 내부관(a)의 일측 끝단에서 나노섬유 형태로 방사하는 공정; 및
    (ⅲ) 방사된 나노섬유를 컬렉터 상에 집적하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하는 내부관(a)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내부관(a)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내부관(a)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고정되는 외부관(b)의 양면 중 외부관(b)과 내부관(a)이 형성하는 간극과 마주하는 일면에 외부관(b)의 전체 길이에 걸쳐 간격을 두고 외부관(b)의 폭방향을 따라 형성된 요홈(w)들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내부관(a) 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에 걸쳐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8. 제5항에 있어서, 회전하는 내부관(a)중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일측 말단부 끝면에는 상기 끝면의 전체두께(t)중 일부에만 다각형 요철부(g)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w)들의 깊이 및 넓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0.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요홈(w)들의 형태는 다각형, 반원형, 십자형 및 화살표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방사액은 고분자 용액 및 고분자 용융체 중에서 선택된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2.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외부관(b) 및 내부관(a) 모두의 형태가 원통형 및 원추형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3.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방사유닛의 상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방향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4. 제1항 또는 제5항에 방사유닛의 하부에 위치하는 컬렉터 방향으로 나노섬유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5.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방사액을 방사유닛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방사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방사액을 방사유닛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방사유닛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나노섬유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공기흐름을 발생시켜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1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내부관(a)과 외부관(b) 사이에 형성된 간극이 0.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20130109575A 2013-09-12 2013-09-12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26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75A KR101426737B1 (ko) 2013-09-12 2013-09-12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575A KR101426737B1 (ko) 2013-09-12 2013-09-12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6737B1 true KR101426737B1 (ko) 2014-08-06

Family

ID=51749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575A KR101426737B1 (ko) 2013-09-12 2013-09-12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67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679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섬유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021A (ja) 2000-08-07 2002-02-19 Nippon Petrochem Co Ltd 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06016641A1 (ja) * 2004-08-11 2006-02-1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Gunma University カーボンナノ材料の製造方法及び遠心溶融紡糸装置
JP2008031624A (ja) 2006-07-05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及び高分子ウェブの製造方法と装置
KR101291592B1 (ko) 2012-03-19 2013-08-01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4021A (ja) 2000-08-07 2002-02-19 Nippon Petrochem Co Ltd フィラメント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WO2006016641A1 (ja) * 2004-08-11 2006-02-16 National University Corporation Gunma University カーボンナノ材料の製造方法及び遠心溶融紡糸装置
JP2008031624A (ja) 2006-07-05 2008-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ナノファイバー及び高分子ウェブの製造方法と装置
KR101291592B1 (ko) 2012-03-19 2013-08-01 주식회사 우리나노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27679A (ko) * 2015-09-02 2017-03-10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섬유의 제조 방법
KR102299371B1 (ko) * 2015-09-02 2021-09-08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섬유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358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172267B1 (ko) 다각형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US20110180951A1 (en) Fiber structures and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KR101291592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추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263296B1 (ko) 내부에 단면이 다각형인 중공부를 갖는 원통형 방사 튜브를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
KR101719377B1 (ko) 정전기 방사 조립체
KR101816733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Niu et 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developments and performances
KR101354509B1 (ko) 나노섬유 필라멘트의 제조방법
KR101617220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 방사기구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0788933B1 (ko) 원심전기방사장치 및 원심전기방사방법
CN109097849B (zh) 纳米纤维发生装置
KR101602356B1 (ko) 나노섬유 구조체의 제조방법
US9243346B2 (en) Process of electrospinning core-sheath fibers
CN111235648A (zh) 齿轮夹角式无针静电纺丝头及使用其的静电纺丝装置
Jahan et al. Needleless electrospinning from a tube with an embedded wire loop
KR101426738B1 (ko) 원심력이 결합된 전기방사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26737B1 (ko) 원심력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354511B1 (ko)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2013147786A (ja) ナノ繊維材料及びマイクロ繊維材料を製造するための複合紡糸ノズル
KR101806316B1 (ko) 2성분 복합 나노섬유 제조용 방사장치 및 이를 이용한 2성분 복합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884696B1 (ko) 나노섬유 방사 장치
KR101258908B1 (ko) 멀티-셀 타입 전기방사용 튜브 및 이를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KR101406117B1 (ko) 원심력과 공기흐름을 이용한 나노섬유의 제조방법
JP2013124426A (ja) ナノ・ファイバ製造用スピナレ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