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4752B1 - 크로스클램핑장치 - Google Patents

크로스클램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4752B1
KR101854752B1 KR1020170002697A KR20170002697A KR101854752B1 KR 101854752 B1 KR101854752 B1 KR 101854752B1 KR 1020170002697 A KR1020170002697 A KR 1020170002697A KR 20170002697 A KR20170002697 A KR 20170002697A KR 101854752 B1 KR101854752 B1 KR 1018547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ovable block
stop block
block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26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광복
Original Assignee
유광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광복 filed Critical 유광복
Priority to KR10201700026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47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4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47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2Clamps with sliding j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06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 B25B5/10Arrangements for positively actuating jaws using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4Clamps for work of special prof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5/00Clamps
    • B25B5/16Details, e.g. jaws, jaw attach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크로스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구성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얼개가 형성되고 절곡형태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을 클램핑하기 위한 크로스클램핑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상호 교차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설치된 정지블럭안내관과, 상기 정지블럭안내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안내관고정조작부와,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정지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지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정지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지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정지블럭부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나머지 일단에 설치된 가동블럭안내관과,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동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가동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가동블럭부와; 상기 가동블럭안내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받침관고정조작부와 상기 받침관나사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관지지부와 상기 받침관과 나란하도록 상기 나사관지지부에 형성된 받침관나사관과 상기 받침관나사관에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조작핸들을 각각 가지고, 상기 회전조작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나사봉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블럭부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지지블럭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얼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크로스클램핑장치{Cross Clamping Device}
본 발명은 크로스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성부분을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짜맞춤, 바인딩 등)으로 제작되는 물품의 얼개를 유지하기 위해 물품의 코너영역을 대각선 방향으로 클램핑하는데 사용되는 크로스클램핑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구성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짜맞춤, 바인딩 등)으로 얼개가 형성되는 물품(목공품, 거푸집 등, 이하 "결구물품"이라고 함) 중에는 절곡 형태의 코너영역을 갖는 것이 있다.
이들 절곡 형태의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은 후속 제조공정을 위해 또는 제조공정이 마무리된 후의 사용을 위해 그 얼개를 유지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코너영역을 클램핑하는 방법으로 얼개를 유지하는 클램핑장치가 안출되어 사용되고 있다.
도15, 도16 및 도17은 각각 종래 클램핑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종래의 클램핑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블럭(120)과, 지지블럭(120)으로부터 상호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 형성된 한 쌍의 지지암(131)과, 각 지지암(131)에 하나씩 결합된 지지너트(132)와, 각 지지너트(132)에 하나씩 설치된 지지볼트(133)와, 각 지지볼트(133)의 전단에 결합된 가압헤드(134)를 갖고 있다.
지지블럭(120)은 직각으로 배치된 한 쌍의 코너지지면(121)을 갖도록 형성된다.
각 지지암(131)은 코너지지면(121)을 벗어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지지너트(132)는 코너지지면(121)에 정렬되도록 지지암(131)에 결합된다. 지지암(131)의 결합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각 가압헤드(134)는 종단에 록킹돌기(134a)가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클램핑장치를 사용하여 결구물품(거푸집)의 얼개를 유지하는 방법을 도15, 도16 및 도1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거푸집(210)은 패널(211)을 사용하여 직사각형 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먼저 거푸집(210)의 각 코너영역에 기역자 단면 형태의 코너브라켓트(212)를 설치한다.
다음에 코너브라켓트(212)의 각 면과 패널(211) 사이에 테두리부재(213)를 하나씩 설치한다. 각 테두리부재(213)에는 록킹홈(113a)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각 테두리부재(213)의 설치는 록킹홈(113a)이 록킹돌기(134a)에 정렬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에 코너지지면(121)이 코너브라켓트(212)에 면접촉하도록 지지블럭(120)을 거푸집(210)의 일 코너영역에 설치한다.
다음에 록킹돌기(134a)가 록킹홈(113a)의 바닥면에 가압접촉하도록 지지볼트(133)를 회전조작한다. 록킹돌기(134a)의 록킹홈(113a)의 바닥면에 대한 가압접촉력에 의해 클램핑장치의 초기설치상태는 유지된다.
다음에 위와 같은 방법으로 나머지 세 코너영역에 클램핑장치를 설치한다.
그런데 종래의 클램핑장치에 따르면, 거푸집(210)의 각 코너영역에 지지블럭(120)을 설치하기 전에 거푸집(210)의 각 코너영역에 코너브라켓트(212)와 한 쌍의 테두리부재(213)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거푸집(210)의 각 코너영역에 설치된 지지블럭(120) 상호간을 구속하는 수단이 마련되지 않기 때문에 지지블럭(120)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블럭(120)을 통해 직접 거푸집패널(211)에 힘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각 코너영역에 설치된 한 쌍의 거푸집패널(211)이 외측으로 벌어질 염려가 있고, 이에 따라 얼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관련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641336호(등록일자: 2016년 07월 14일, 발명의 명칭 : 거푸집의 코너 클램프)가 있으며, 상기 선행 문헌에는 위에서 설명한 종래의 클램핑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설치작업과 해체작업이 용이하고, 지지블럭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얼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 크로스클램핑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복수의 구성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얼개가 형성되고 절곡형태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을 클램핑하기 위한 크로스클램핑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상호 교차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설치된 정지블럭안내관과, 상기 정지블럭안내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안내관고정조작부와,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정지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지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정지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지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정지블럭부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나머지 일단에 설치된 가동블럭안내관과,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동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가동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가동블럭부와; 상기 가동블럭안내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받침관고정조작부와 상기 받침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관지지부와 상기 받침관과 나란하도록 상기 나사관지지부에 형성된 받침관나사관과 상기 받침관나사관에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조작핸들을 각각 가지고, 상기 회전조작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나사봉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블럭부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회전조작핸들을 조작하여 가동블럭을 정지블럭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도록, 상기 나사봉은 나머지 일단 외표면에 가압작용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는 상기 받침관나사관에 정렬되고 상기 지지봉의 가압작용홈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가동블럭부에 형성된 작용관과, 상기 가압작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작용관에 설치된 가압작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정지블럭과 가동블럭 사이에 결구물품을 장착했을 때 지지봉에 대하여 비대칭을 이루는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정지블럭은 상기 바닥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바닥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너영역의 배치가 다른 여러 종류의 결구물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는 평행사변형의 네모서리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원호형태의 회동블럭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블럭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4개의 회동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대각선방향에 배치된 한 쌍의 회동블럭에 탑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코너영역의 형태가 다른 여러 종류의 결구물품을 클램핑할 수 있도록, 상기 정지블럭은 상기 정지블럭안내관에 결합되는 정지블럭바디부와, 각각 상기 정지블럭가압면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택일적으로 상기 정지블럭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정지블럭어댑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가동블럭안내관에 결합되는 가동블럭바디부와, 각각 상기 가동블럭가압면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바디부에 택일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된 복수의 가동블럭어댑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상호 교차하도록 바닥판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봉을 설치하고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정지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정지블럭을 지지봉에 고정시키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동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블럭을 정지블럭에 대향하도록 지지봉에 설치하는 한편, 회전조작핸들을 조작하여 가동블럭을 정지블럭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간단해지고(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을 설치하기 전에 결구물품에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 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은 지지봉에 구속됨), 얼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을 통해 직접 결구물품에 힘이 가해짐).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의 결합사시도,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의 분해사시도,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고정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관고정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을 도시한 도면,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정지블럭어댑터부재와 가동블럭어댑터부재를 도시한 도면,
도11, 도12, 도13 및 도14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15, 도16 및 도17은 각각 종래 클램핑장치의 설치상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의 결합사시도이고, 도2 및 도3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내관고정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6 및 도7은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받침관고정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의 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지블럭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른 종류의 정지블럭어댑터부재와 가동블럭어댑터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는,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1)과, 바닥판(11)의 상면에 설치된 4개의 회동블럭(12)과, 회동블럭(12)에 탑재된 한 쌍의 지지봉(13)과, 각 지지봉(13)의 일단에 하나씩 설치된 한 쌍의 정지블럭부(20)와, 각 지지봉(13)의 나머지 일단(정지블럭부가 설치되지 않은 종단)에 하나씩 설치된 한 쌍의 가동블럭부(50)와, 각 가동블럭부(5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각 지지봉(13)에 하나씩 설치된 한 쌍의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70)를 갖고 있다.
바닥판(11)에는 평행사변형의 네모서리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원호형태의 회동블럭안내홈(11a)이 형성되어 있다.
각 회동블럭(12)은 상호 수직으로 배치된 수평판부(12a) 및 수직판부(12b)와, 수평판부(12a)의 저면에 결합된 한 쌍의 안내편(12d)과, 수평판부(12a)을 관통하여 바닥판(11)의 하측에 도달하도록 설치된 이탈방지핀(12e)을 갖고 있다.
수직판부(12b)는 상단에 봉안착홈(12c)이 절취형성되어 있다.
이탈방지핀(12e)의 종단에는 스냅링이 결합되어 있다.
각 안내편(12d)은 회동블럭안내홈(11a)에 대응하여 원호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회동블럭(12)은 안내편(12d)이 회동블럭안내홈(11a)에 삽입되도록 되도록 설치되고, 이에 따라 각 회동블럭(12)은 회동블럭안내홈(1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각 지지봉(13)은 중앙영역에 교차안내홈(13a)이 절취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지지봉(13)은 교차안내홈(13a) 영역에서 교차된 상태에서 봉안착홈(12c)에 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지지봉(13)의 설치상태는 고정볼트(13b)와 간격유지관(13c)을 통해 바닥판(11)에 나란하게 설치된 가압판(13d)에 의해 유지된다.
각 정지블럭부(20)는 지지봉(13)의 일단에 설치된 정지블럭안내관(21)과, 정지블럭안내관(21)을 지지봉(13)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안내관고정조작부(30)와, 정지블럭안내관(21)에 형성된 정지블럭연결판(22)과, 정지블럭연결판(22)에 결합된 정지블럭행거(23)와, 정지블럭행거(23)에 결합된 정지블럭브라켓트(24)와, 정지블럭브라켓트(24)에 결합된 정지블럭(40)을 갖고 있다.
정지블럭안내관(21)은 지지봉(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봉(13)에 설치된다.
정지블럭안내관(21)은 상면 중앙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안내관후판부(21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후판부(21a)에는 안내관볼트체결공(21b)이 형성되어 있고, 안내관볼트체결공(21b)의 양측에는 안내관잡이나사공(21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잡이나사공(21c)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안내관후판부(21a)의 저면에는 안내관고정패드안착홈(21d)이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고정조작부(30)는 정지블럭연결판(22)에 나란하도록 정지블럭안내관(21)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안내관고정지지벽(31)과, 정지블럭연결판(22)의 배면과 안내관고정지지벽(31)의 상단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볼트지지관(32)과, 양단이 볼트지지관(32)과 정지블럭안내관(21)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 안내관고정무두볼트(33)와, 안내관고정무두볼트(33)에 결합된 안내관고정조작노브(34)와, 안내관고정패드안착홈(21d)에 설치된 안내관고정패드(35)와, 안내관잡이나사공(21c)을 통해 안내관고정패드(35)에 결합된 한 쌍의 안내관고정잡이나사(36)와, 안내관고정패드(35)에 대향하도록 정지블럭안내관(21)의 내부에 설치된 안내관고정라이닝(37)을 갖고 있다.
볼트지지관(32)은 상면이 절반정도 절취되어 있다.
볼트지지관(32)은 저면 중앙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지지관후판부(32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관후판부(32a)에는 지지관볼트체결공(32b)이 형성되어 있고, 지지관볼트체결공(32b)의 양측에는 지지관나사통과공(32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고정무두볼트(33)는 양단이 안내관볼트체결공(21b)과 지지관볼트체결공(32b)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안내관고정조작노브(34)는 저면에 언덕부(34a)가 형성되어 있다.
안내관고정조작노브(34)는 언덕부(34a)를 통과하는 핀(34b)에 의해 안내관고정무두볼트(33)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안내관고정조작노브(34)를 회전조작하면 안내관고정무두볼트(33)도 회전하게 된다.
각 안내관고정잡이나사(36)는 안내관잡이나사공(21c)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내관고정패드(35)와 함께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안내관고정패드(35)는 원호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라이닝(35a)이 결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안내관고정조작부(30)를 사용하여 정지블럭안내관(21)을 지지봉(13)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안내관고정잡이나사(36)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안내관고정패드는 안내관고정패드안착홈에 수용됨) 정비블럭안내관(21)에 지지봉(13)을 삽입한다.
다음에 안내관고정패드(35)가 지지봉(13)을 향해 이동하도록 안내관고정조작노브(34)를 회전 조작한다.
안내관고정패드(35)가 지지봉(13)에 가압접촉되면 정지블럭안내관(21)은 지지봉(13)에 고정된다.
정지블럭행거(23)는 대략 디귿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정지블럭브라켓트(24)는 대략 디귿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정지블럭브라켓트(24)는 정지블럭회동핀(24a)을 통해 정지블럭행거(23)에 결합된다.
정지블럭(40)은 정지블럭브라켓트(24)에 고정 결합된 정지블럭바디부(41)와, 정지블럭바디부(41)에 택일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를 갖고 있다.
정지블럭바디부(41)는 전면이 대략 브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한 쌍의 정지블럭키홈(41a)이 상단으로부터 절취형성되어 있다.
각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는 배면이 대략 브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한 쌍의 정지블럭키(4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는 전면에 정지블럭가압면(42b)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도3 및 도10 참조).
정지블럭가압면(42b)은 복수 종류의 결구물품 중 하나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각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는 정지블럭가압면(42b)이 바닥판(11)의 중앙을 향한 상태에서 정지블럭키(42a)가 정지블럭키홈(41a)에 진입하도록 정지블럭바디부(41)에 결합된다.
정지블럭(40)은 바닥판(11)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정지블럭브라켓트가 정지블럭행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
각 가동블럭부(50)는 지지봉(13)의 나머지 일단(정지블럭부가 설치되지 않은 종단)에 설치된 가동블럭안내관(51)과, 가동블럭안내관(51)에 형성된 가동블럭연결판(52)과, 가동블럭연결판(52)에 결합된 가동블럭행거(53)와, 가동블럭행거(53)에 결합된 가동블럭브라켓트(54)와, 가동블럭브라켓트(54)에 결합된 가동블럭(60)을 갖고 있다.
가동블럭안내관(51)은 지지봉(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가동블럭행거(53)는 대략 디귿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블럭브라켓트(54)는 대략 디귿자단면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블럭브라켓트(54)는 가동블럭회동핀(54a)을 통해 가동블럭행거(53)에 결합된다.
가동블럭(60)은 가동블럭브라켓트(54)에 고정 결합된 가동블럭바디부(61)와, 가동블럭바디부(61)에 택일적으로 결합되는 복수의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를 갖고 있다.
가동블럭바디부(61)는 전면이 대략 브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전면에는 한 쌍의 가동블럭키홈(61a)이 상단으로부터 절취형성되어 있다.
각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는 배면이 대략 브이(V)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배면에는 한 쌍의 가동블럭키(6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는 전면에 가동블럭가압면(62b)이 서로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가동블럭가압면(62b)은 복수 종류의 결구물품 중 하나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각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는 가동블럭가압면(62b)이 바닥판(11)의 중앙을 향한 상태에서 가동블럭키(62a)가 가동블럭키홈(61a)에 진입하도록 가동블럭바디부(61)에 결합된다.
가동블럭(60)은 바닥판(11)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다(가동블럭브라켓트가 가동블럭행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음).
각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70)는 지지봉(13)에 설치된 받침관(71)과, 받침관(71)을 지지봉(13)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받침관고정조작부(80)와, 받침관(7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관지지부(72)와, 받침관(71)과 나란하도록 나사관지지부(72)에 형성된 받침관나사관(73)과, 받침관나사관(73)에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 나사봉(74)과, 나사봉(74)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조작핸들(75)과, 가동블럭부(50)에 형성된 작용관(76)과, 작용관(76)에 설치된 가압작용핀(77)을 갖고 있다.
받침관(71)은 가동블럭안내관(51)의 후방영역에서 지지봉(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봉(13)에 설치된다.
받침관(71)은 상면 중앙에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받침관후판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관후판부(71a)에는 받침관볼트체결공(71b)이 형성되어 있고, 받침관볼트체결공(71b)의 양측에는 받침관잡이나사공(71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받침관잡이나사공(71c)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그리고 받침관후판부(71a)의 저면에는 받침관고정패드안착홈(71d)이 형성되어 있다.
받침관고정조작부(80)는 상호 나란하도록 받침관(71)의 상면에 기립형성된 한 쌍의 받침관고정지지벽(81)과, 양단이 받침관나사관(73)과 받침관(71)에 나사결합되도록 설치된 받침관고정무두볼트(83)와, 받침관고정무두볼트(83)에 결합된 받침관고정조작노브(84)와, 받침관고정패드안착홈(71d)에 설치된 받침관고정패드(85)와, 받침관(71)에 형성된 받침관잡이나사공(71c)을 통해 받침관고정패드(85)에 결합된 한 쌍의 받침관고정잡이나사(86)와, 받침관고정패드(85)에 대향하도록 받침관(71)의 내부에 설치된 받침관고정라이닝(87)을 갖고 있다.
받침관고정무두볼트(83)는 양단이 받침관볼트체결공(71b)과 후술하는 나사관볼트체결공(73b)에 나사결합되어 있다.
받침관고정조작노브(84)는 저면에 언덕부(84a)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관고정조작노브(84)는 언덕부(84a)를 통과하는 핀(84b)에 의해 받침관고정무두볼트(83)에 결합되고, 이에 따라 받침관고정조작노브(84)를 회전조작하면 받침관고정무두볼트(83)도 회전하게 된다.
각 받침관고정잡이나사(86)는 받침관잡이나사공(71c)의 내주면에 나사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받침관고정패드(85)와 함께 상하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받침관고정패드(85)는 원호단면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저면에는 미끄럼방지용 라이닝(85a)이 결합되어 있다.
나사관지지부(72)는 한 쌍의 지지벽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받침관나사관(73)은 나사관지지부(72)의 상단에 형성된다.
받침관나사관(73)은 중앙영역이 절취되어 있으며, 절취 영역의 저면에는 나사관후판부(73a)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관후판부(73a)에는 나사관볼트체결공(73b)이 형성되어 있고, 나사관볼트체결공(73b)의 양측에는 나사관나사통과공(73c)이 하나씩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받침관고정조작부(80)를 사용하여 받침관(71)을 지지봉(13)에 고정시키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한 쌍의 받침관고정잡이나사(86)를 상방향으로 잡아 당긴 상태에서(받침관고정패드는 받침관고정패드안착홈에 수용됨) 받침관(71)에 지지봉(13)을 삽입한다.
다음에 받침관고정패드(85)가 지지봉(13)을 향해 이동하도록 받침관고정조작노브(84)를 회전 조작한다.
받침관고정패드(85)가 지지봉(13)에 가압접촉되면 받침관(71)은 지지봉(13)에 고정된다.
나사봉(74)은 중앙영역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나머지 일단(회전조작핸들이 결합되지 않은 종단) 외표면에 가압작용홈(74a)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작핸들(75)은 대략 일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회전조작핸들(75)은 핸들체결핀(75a)을 통해 나사봉(74)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회전조작핸들(75)을 회전시키면 나사봉(74)도 함께 회전하게 된다.
작용관(76)은 받침관나사관(73)에 정렬되고, 지지봉(13)의 가압작용홈(74a)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가동블럭부(50) 즉, 가동블럭연결판(52)에 형성된다.
가압작용핀(77)은 가압작용홈(74a)에 진입하도록 작용관(76)에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70)에 따르면, 회전조작핸들(75)을 일 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나사봉(74)은 정지블럭(40)을 향해 전진하고 나사봉(74)이 전진하면서 가압하는 동작 즉, 가압작용핀(77)과 가압작용홈(74a) 사이의 걸림 작용에 의해 가동블럭(60)은 정지블럭(40)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회전조작핸들(75)을 반대방향으로 회전조작하면 가압작용핀(77)과 가압작용홈(74a) 사이의 걸림작용에 의해 가동블럭(60)은 정지블럭(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클램핑장치를 결구물품(목공품)의 얼개를 유지하는 방법을 도11, 도12,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가동블럭부(50)는 결구물품(201)의 대각선 방향 코너영역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좀 더 멀리 정지블럭블럭부(20)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결구물품(201)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정지블럭가압면(42b)과 가동블럭가압면(62b)을 갖는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와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를 선택한다.
다음에 선택된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와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를 정지블럭바디부(41)와 가동블럭바디부(61)에 결합한다.
다음에 코너영역이 정지블럭가압면(42b)에 접촉하도록 결구물품(201)을 정지블럭(40)과 가동블럭(60) 사이에 설치한다(도11 및 조12 참조).
다음에 회전조작핸들(75)을 회전조작하여 가동블럭가압면(62b)에 결구물품(201)의 코너영역에 가압접촉하도록 가동블럭(60)을 정지블럭(40)을 향해 전진시킨다(도13 참조).
한편 코너영역의 형태가 다른 결구물품에 대해서는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와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를 교체하여(도14 참조) 위 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교차하도록 바닥판(11)의 상면에 한 쌍의 지지봉(13)을 설치하고 결구물품(201)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정지블럭가압면(42b)이 형성되어 있는 정지블럭(40)을 지지봉(13)에 고정시키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동블럭가압면(62b)이 형성되어 있는 가동블럭(60)을 정지블럭(40)에 대향하도록 지지봉(13)에 설치하는 한편, 회전조작핸들(75)을 조작하여 가동블럭(60)을 정지블럭(40)을 향해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작업 및 해체작업이 간단해지고(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을 설치하기 전에 결구물품에 별도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음), 가동블럭(60)과 정지블럭(40)의 초기 설치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은 지지봉에 구속됨), 얼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가동블럭과 정지블럭을 통해 직접 결구물품에 힘이 가해짐).
그리고 나사봉(74)에 가압작용홈(74a)을 형성하고 가압작용홈(74a)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가동블럭부(50)에 형성된 작용관(76)과 가압작용홈(74a)에 진입하도록 작용관(76)에 설치된 가압작용핀(77)을 더 포함하도록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70)를 구성함으로써, 회전조작핸들(75)을 조작하여 가동블럭(60)을 정지블럭(40)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판(11)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정지블럭(40)과 가동블럭(60)을설치함으로써, 정지블럭(40)과 가동블럭(60) 사이에 결구물품(201)을 장착했을 때 지지봉(13)에 대하여 비대칭을 이루는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201)을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바닥판(11)에 원호형태의 회동블럭안내홈(11a)을 형성하고 회동블럭안내홈(11a)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회동블럭(12)을 바닥판(11)에 설치하고 지지봉(13)을 회동블럭(12)에 탑재함으로써, 코너영역의 배치가 다른 여러 종류의 결구물품(201)을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정지블럭(40)을 정지블럭바디부(41)와 정지블럭바디부(4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로 분할하고 각 정지블럭어댑터부재(42)에 정지블럭가압면(42b)을 다르게 형성하는 한편, 가동블럭(60)을 가동블럭바디부(61)와 가동블럭바디부(61)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로 분할하고 각 가동블럭어댑터부재(62)에 가동블럭가압면(62b)을 다르게 형성함으로써, 코너영역의 형태가 다른 여러 종류의 결구물품(201)을 클램핑할 수 있게 된다.
11 : 바닥판 12 : 회동블럭
13 : 지지봉 20 : 정지블럭부
21 : 정지블럭안내관 23 : 정지블럭행거
30 : 안내관고정조작부 32 : 볼트지지관
33 : 안내관고정무두볼트 34 : 안내관고정조작노브
35 : 안내관고정패드 36 : 안내관고정잡이나사
40 : 정지블럭
41 : 정지블럭바디부 42 : 정지블럭어댑터부재
50 : 가동블럭부 51 : 가동블럭안내관
53 : 가동블럭행거 60 : 가동블럭
61 : 가동블럭바디부 62 : 가동블럭어댑터부재
70 :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 71 : 받침관
73 : 받침관나사관 74 : 나사봉
75 : 회전조작핸들 76 : 작용관
77 : 가압작용핀 80 : 받침관고정조작부
83 : 받침관고정무두볼트 84 : 받침관고정조작노브
85 : 받침돤관고정패 86 : 받침관고정잡이나사
120 : 지지블럭 132 : 지지너트
133 : 지지볼트 134 : 가압헤드
201 : 결구물품 210 : 거푸집

Claims (5)

  1. 복수의 구성부재를 상호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얼개가 형성되고 절곡형태 코너영역을 갖는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을 클램핑하기 위한 크로스클램핑장치에 있어서,
    바닥판과;
    상호 교차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상면에 설치된 한 쌍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일단에 설치된 정지블럭안내관과, 상기 정지블럭안내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안내관고정조작부와,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정지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정지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정지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정지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정지블럭부와;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의 나머지 일단에 설치된 가동블럭안내관과, 일면에 상기 결구물품의 코너영역에 대응하는 형태의 가동블럭가압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가압면이 상기 바닥판의 중앙을 향하고 상기 가동블럭안내관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가동블럭을 각각 갖는 한 쌍의 가동블럭부와;
    상기 가동블럭안내관의 후방영역에서 상기 지지봉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봉에 설치된 받침관과 상기 받침관을 상기 지지봉에 고정조작하기 위한 받침관고정조작부와 상기 받침관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 형성된 나사관지지부와 상기 받침관과 나란하도록 상기 나사관지지부에 형성된 받침관나사관과 상기 받침관나사관에 나사결합하도록 설치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일단에 결합된 회전조작핸들을 각각 가지고, 상기 회전조작핸들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동하는 상기 나사봉의 가압동작에 의해 상기 가동블럭부를 이동시키는 한 쌍의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봉은 나머지 일단 외표면에 가압작용홈이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직선이동조작부는 상기 받침관나사관에 정렬되고 상기 지지봉의 가압작용홈이 내부로 진입하도록 상기 가동블럭부에 형성된 작용관과, 상기 가압작용홈에 진입하도록 상기 작용관에 설치된 가압작용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블럭은 상기 바닥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고;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바닥판의 판면방향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에는 평행사변형의 네모서리 영역에 하나씩 배치되도록 원호형태의 회동블럭안내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회동블럭안내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판에 설치되는 4개의 회동블럭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은 대각선방향에 배치된 한 쌍의 회동블럭에 탑재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블럭은 상기 정지블럭안내관에 결합되는 정지블럭바디부와, 각각 상기 정지블럭가압면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택일적으로 상기 정지블럭바디부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정지블럭어댑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블럭은 상기 가동블럭안내관에 결합되는 가동블럭바디부와, 각각 상기 가동블럭가압면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블럭바디부에 택일적으로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된 복수의 가동블럭어댑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로스클램핑장치.
KR1020170002697A 2017-01-09 2017-01-09 크로스클램핑장치 KR101854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97A KR101854752B1 (ko) 2017-01-09 2017-01-09 크로스클램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2697A KR101854752B1 (ko) 2017-01-09 2017-01-09 크로스클램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4752B1 true KR101854752B1 (ko) 2018-05-04

Family

ID=6219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2697A KR101854752B1 (ko) 2017-01-09 2017-01-09 크로스클램핑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4752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029A (zh) * 2020-09-25 2020-12-29 安徽鲲鹏装备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门板的二次定位装置
CN112518608A (zh) * 2019-09-18 2021-03-19 株式会社湖碧驰 样品固定装置
CN113959732A (zh) * 2021-09-15 2022-01-21 成都航天模塑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门板内饰件试验的通用工装及其调整方法
KR102446111B1 (ko) * 2021-09-24 2022-09-21 이귀재 묘지 작업용 중장비
CN115194687A (zh) * 2022-07-29 2022-10-18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3959732B (zh) * 2021-09-15 2024-06-07 成都航天模塑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门板内饰件试验的通用工装及其调整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797A (ja) * 1990-03-30 1991-12-16 Kobe Steel Ltd コラム連結具およびコラム連結方法
JPH05337922A (ja) * 1992-06-12 1993-12-21 Masahiro Murakami 型枠装置
JP3761620B2 (ja) * 1996-02-05 2006-03-29 新一 野上 型枠隅角部の組立装置
KR20110037689A (ko) * 2009-10-07 2011-04-13 (주)티에이치엔 팔레트의 정션박스를 고정하는 스톱퍼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KR101391339B1 (ko) * 2012-07-27 2014-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그 장치
KR101641336B1 (ko) * 2015-04-30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코너 클램프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285797A (ja) * 1990-03-30 1991-12-16 Kobe Steel Ltd コラム連結具およびコラム連結方法
JPH05337922A (ja) * 1992-06-12 1993-12-21 Masahiro Murakami 型枠装置
JP3761620B2 (ja) * 1996-02-05 2006-03-29 新一 野上 型枠隅角部の組立装置
KR20110037689A (ko) * 2009-10-07 2011-04-13 (주)티에이치엔 팔레트의 정션박스를 고정하는 스톱퍼를 장착하기 위한 지그
KR101391339B1 (ko) * 2012-07-27 2014-05-02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지그 장치
KR101641336B1 (ko) * 2015-04-30 2016-07-20 서보산업 주식회사 거푸집의 코너 클램프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518608A (zh) * 2019-09-18 2021-03-19 株式会社湖碧驰 样品固定装置
CN112140029A (zh) * 2020-09-25 2020-12-29 安徽鲲鹏装备模具制造有限公司 一种用于门板的二次定位装置
CN113959732A (zh) * 2021-09-15 2022-01-21 成都航天模塑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门板内饰件试验的通用工装及其调整方法
CN113959732B (zh) * 2021-09-15 2024-06-07 成都航天模塑南京有限公司 一种用于汽车门板内饰件试验的通用工装及其调整方法
KR102446111B1 (ko) * 2021-09-24 2022-09-21 이귀재 묘지 작업용 중장비
CN115194687A (zh) * 2022-07-29 2022-10-18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CN115194687B (zh) * 2022-07-29 2024-01-19 山东省章丘鼓风机股份有限公司 一种叶轮轴定位装置及定位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4752B1 (ko) 크로스클램핑장치
US8702362B2 (en) Unconventional bolt and a fastening device using the unconventional bolt thereof
CA2630958C (en) Adjustable roller frame
KR20100119275A (ko) 보 거푸집 지지장치
KR101745242B1 (ko) 가변형 보 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JP2017164830A (ja) チェーン分解機
KR101641336B1 (ko) 거푸집의 코너 클램프
US8408835B1 (en) Clamp for section tubes with rigid hooked lever
KR101449366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JPH1094907A (ja) 解除ユニット
KR101468025B1 (ko) 헤드레스트 스테이로드 절곡장치
KR101449367B1 (ko) 가공물 위치고정장치
KR20180045562A (ko) 거푸집 지지장치
KR20140000706U (ko) 건축용 비계의 지지프레임
KR200485975Y1 (ko) 코너클램핑장치
JP2008121342A (ja) ピボットヒンジ
KR200389470Y1 (ko) 거푸집용 체결부재
KR101839856B1 (ko) 수평형 프레스기
JP6831101B2 (ja) 型枠固定構造
CN114954744B (zh) 可调迫紧量快拆结构及其座管
JP6067518B2 (ja) 洋式便器用手摺り
JP4319762B2 (ja) パネルと支柱との連結装置
KR101792209B1 (ko) Lng 운반선 화물창 작업용 코너 가압 장치
KR20110128418A (ko) 슬라브패널 조립체, 이에 사용되는 필러패널, 슬라브패널 지지빔 및 드롭어셈블리
TW200817621A (en) Supporting rack for scre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