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800B1 - 개인용 전신 사우나 - Google Patents

개인용 전신 사우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800B1
KR101853800B1 KR1020160131845A KR20160131845A KR101853800B1 KR 101853800 B1 KR101853800 B1 KR 101853800B1 KR 1020160131845 A KR1020160131845 A KR 1020160131845A KR 20160131845 A KR20160131845 A KR 20160131845A KR 101853800 B1 KR101853800 B1 KR 1018538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una
pad
cover
heating element
porous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231A (ko
Inventor
조세환
Original Assignee
조세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세환 filed Critical 조세환
Priority to KR1020160131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800B1/ko
Priority to PCT/KR2017/010929 priority patent/WO2018070722A1/ko
Publication of KR20180040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8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8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02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 A47C27/005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 A47C27/006Mattress or cushion tickings or covers liquid-impermeable breath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2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ibrous inlays, e.g. made of wool, of cott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8Warming pads, pans or mats; Hot-water bott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02Head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01Body part
    • A61F2007/0039Leg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43Position of the patient substantially horizontal
    • A61H2203/0456Sup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사우나 공간에서의 쾌적성이 개선되고 이동성과 휴대성이 강화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를 개시한다. 개인용 전신 사우나는 이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 및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을 구비하며 바닥 발열체가 매립된 바닥패드, 바닥패드의 측부에 연결되고 높이 단차를 갖는 측부패드와 바닥패드 및 측부패드와 동시에 연결되어 돔(dome) 형상으로 사우나 공간을 제공하고, 족부영역을 한정하고 덮개 발열체를 구비하는 후방 덮개, 두부영역을 한정하고 외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에어 홀(air hole)을 구비하는 전방 덮개 및 전방 덮개 및 후방 덮개 사이에서 높이 단차의 형상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는 경사 덮개를 구비하는 덮개 패드(cover pad)를 포함한다. 공기의 자연대류를 통하여 사우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용 전신 사우나 {Portable whole body sauna}
본 발명은 개인용 전신 사우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에 관한 것이다.
사우나는 일정 공간 내에 발열체를 형성하여 공기 온도를 높이거나 고온의 증기를 주입하여 사용자의 체내에 축적된 노폐물과 땀을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피로회복과 건강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러한 사우나는 대규모 건물에 설치하여 다수의 인원이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다중시설로 이용되고 있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지만, 최근에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다중시설이 아니라 개별적으로 사우나를 이용할 수 있는 개인용 사우나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종래의 개인용 사우나는 발열시트(heating seat)로 구성되는 단일한 패드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일정한 크기의 밀폐공간을 갖는 입체형상으로 조립함으로써 완성된다. 발열시트에서 생성되는 열은 상기 밀폐공간으로 방출되고 밀폐공간의 내부로 사용자가 위치하여 사우나 효과를 얻게 된다. 이때, 상기 발열시트는 유연성을 갖는 직물형태로 제공되는 면상 발열체로 구성되어 개인용 사우나의 입체형상에 유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개인용 사우나를 해체하여 보관하는 경우 보관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면상 발열체를 이용하는 개인용 사우나는 결국 온열매트를 사용자의 신체를 둘러싸는 입체형상으로 재구성한 것에 불과하여 협소한 사우나 공간으로 인한 쾌적성 저하가 불가피하다. 협소한 사우나 공간의 내부에 사용자의 얼굴이 포함되는 경우 협소한 공간에서의 발열체의 열기로 인한 호흡곤란과 갑갑증으로 인하여 땀과 노폐물 배출에 필요한 시간만큼 개인용 사우나에 있을 수 없다.
이에 따라, 종래의 개인용 사우나는 코를 포함한 얼굴 부분은 아예 사우나의 외부로 노출시킴으로써 얼굴 부분에 대한 사우나를 포기하거나 사우나 공간을 충분히 제공하도록 개인용 사우나의 사이즈를 증가시키고 있다. 최근에는 얼굴 피부미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얼굴도 사우나 공간에 포함시키는 전신 사우나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면서 개인용 사우나의 사이즈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사우나 공간의 용적이 증가하게 되면 용적이 큰 사우나 공간을 고온으로 유지하기 위해 면상 발열체의 발열용량이 증가되어야 하고 이는 직물형태로 제공되는 면상 발열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결과를 초래함으로써 개인용 사우나의 수명을 저하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사우나 공간의 용적증가에 따라 개인용 사우나의 설치 공간 및 해체 후 보관 공간도 필연적으로 증가하여 개인용 사우나의 고유한 장점이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우나 공간이 충분히 큰 경우에도 밀폐공간의 특성상 내부에서 공기의 유동이 한정되어 있으므로 다중시설의 대형 사우나와 같이 충분한 크기의 공간을 확보하지 않는 한 호흡곤란과 갑갑증과 같은 사우나 쾌적성을 개선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경우 상대적으로 큰 사우나 공간의 효과적인 단열처리를 위해 개인용 사우나와 외부와의 경계면에 스티로폼과 같은 경질재료의 단열재를 이용함으로써 사우나 해체 후 보관에 비교적 큰 공간이 요구된다. 특히, 개인용 사우나를 특정 장소에만 국한하지 않고 필요한 장소에서 자유롭게 이용하기 위해서는 휴대성과 이동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만 상기 경질 단열제로 인한 보관공간의 확보는 휴대성과 이동성에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얼굴을 포함하는 전신에 대해 호흡곤란이나 갑갑함 없이 쾌적하게 사우나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적정한 사우나 공간을 확보하면서 조립 해체 및 보관 편의성과 보관공간을 축소함으로써 휴대성과 이동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개인용 전신 사우나가 요구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족부와 비교하여 두부에서 상대적으로 큰 사우나 공간을 갖도록 단차진 형상을 갖고 족부와 두부 사이에서 공기를 자연 순환시켜 사우나 공간에서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는 개인용 사우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른 개인용 사우나는 제1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이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head area) 및 이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leg area)을 구비하며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발열체가 매립된 바닥패드(bottom pad), 상기 바닥패드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높이 단차를 갖는 측부패드(side pad), 및 상기 바닥패드 및 상기 측부패드와 동시에 연결되어 돔(dome) 형상으로 사우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족부영역을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덮개 발열체를 구비하는 후방 덮개, 상기 두부영역을 한정하고 외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에어 홀(air hole)을 구비하는 전방 덮개 및 상기 전방 덮개 및 후방 덮개 사이에서 상기 높이 단차의 형상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는 경사 덮개(slant cover)를 구비하는 덮개 패드(cover pad)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바닥패드는 설치면과 접촉하는 바닥 외피(outer sheet), 상기 바닥 외피 상에 배치되는 롤(roll)형 단열판, 상기 단열판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 발열체를 구비하는 제1 다공성 매트(mat) 및 상기 바닥 외피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 및 상기 제1 다공성 매트를 내포하는 제1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를 덮는 제1 통기성 시트(airflow sheet) 및 상기 제1 통기성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다공성 매트를 덮는 제1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바닥 내피(inner sheet)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제1 다공성 매트는 3차원 메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발열체는 상기 제1 다공성 매트의 내부에 탄소층으로 코팅된 면사로 구성된 직조 면상 발열체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롤형 단열판은 토이론(toilon)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바닥 발열체는 상기 제1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를 제외한 영역에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상기 바닥 발열체의 측부 및 하부로 발산된 열은 상기 제1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 및 상기 제1 통기성 시트를 통하여 상기 바닥패드의 주변부를 통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으로 공급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측부 패드는 상기 두부영역을 한정하며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전방 덮개와 연결되는 전방 측부(front side portion), 상기 족부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고 상기 후방 덮개와 연결되는 후방 측부(rear side portion) 및 상기 전방 측부 및 후방 측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높이로부터 상기 제2 높이로 낮아지는 변동 높이를 갖고 상기 천정덮개와 연결되는 연결부(connection portion)를 구비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덮개 패드는 덮개 외피, 상기 덮개 외피 상에 배치되는 롤형 단열판 및 상기 덮개 외피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을 내포하는 제3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판을 덮는 제3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덮개 내피를 포함하여, 상기 후방덮개, 상기 전방 덮개 및 상기 경사 덮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단일한 패드로 제공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후방 덮개는 상기 바닥 패드의 상기 족부영역과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후방 덮개와 상기 바닥 덮개는 서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박음질 라인을 따라 접쳐진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후방 덮개는 상기 바닥 패드와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 패드의 상기 족부 영역과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잠기는 경우 치(teeth)와 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과 외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지퍼 락(zipper-lock)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은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고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족부영역에는 더 많은 발열체를 배치한다. 또한, 사우나의 출입구에 공기 흡입을 위한 에어 홀을 배치하여 사우나 내부 공기의 자연 순환에 따라 외기를 자연스럽게 흡수하고 흡수된 외기는 사용자의 얼굴상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우나 공간의 전체 온도는 사우나용 고온을 유지하면서 호흡을 하는 사용자의 얼굴부위는 상대적으로 저온 공기에 노출시켜 사우나 공간에서의 호흡곤란이나 갑갑증을 느끼지 않고 쾌적하게 사우나를 즐길 수 있다.
또한, 바닥패드, 측부패드 및 덮개패드를 3차원 메시를 포함하는 원단과 롤형 단열재로 구성하고 지퍼락에 의해 간단하게 조립 및 분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치 및 분해의 편의성을 높이고, 분해 후 바닥 패드, 측부 패드 및 덮개 패드를 겹친 후 말아서 보관함으로써 보관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보관공간의 축소와 설치 및 분해의 편의성에 따라 개인용 사우나의 이동성 및 휴대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사우나 공간을 한정하는 바닥 패드, 측부 패드 및 덮개 패드의 내피를 통기성과 흡습성이 우수한 대자리로 구성함으로써 대나무의 통풍성과 흡수성 및 단열특성을 이용하여 땀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피부와의 접촉부에서 접촉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춤으로써 사우나 쾌적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사우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사우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바닥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3a의 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측부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4a의 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4a의 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덮개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5a의 II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5a의 IV-IV'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개인용 사우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사우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전신 사우나(1000)는 제1 방향(x)을 따른 길이를 갖고 이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face area, F) 및 이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leg area, L)을 구비하며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발열체(h1)가 매립된 바닥패드(bottom pad, 100), 상기 바닥패드(100)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x)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높이 단차(Δh)를 갖는 측부 패드(side pad,200) 및 상기 바닥패드(100), 측부 패드(200) 및 덮개 패드(300)는 서로 연결되어 돔(dome) 형상을 갖는 내부공간인 사우나 공간(S)을 형성하는 덮개패드(300)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패드(100), 측부 패드(200) 및 덮개 패드(300)는 서로 연결되어 개인용 전신 사우나(1000)의 프레임을 구성하게 된다. 상기 사우나 공간(S)은 성인 한 사람이 앉거나 누울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써 사우나 이용자의 전신(full body)을 수용할 수 있다.
이때, 측부 패드(200)의 단차에 의해 상기 사우나 공간(S)도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두부 공간(S1)과 상대적으로 사이즈가 작은 족부 공간(S2)으로 구분되고, 족부 공간(S2)을 한정하는 덮개패드(300)에는 발열체를 배치하고 두부 공간(S1)을 한정하는 덮개패드(300)에는 발열체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두부 공간(S1)과 족부 공간(S2)에서 인위적으로 온도차를 형성한다.
두부 공간(S1)에서 외부와 연통하는 에어 홀을 배치함으로써 사우나 공간(S)내부의 공기를 자연적으로 유동시키고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는 사우나 공간(S)의 상부를 통하여 유동시키고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는 사우나 공간(S)의 하부를 통하여 유동시킴으로써 사우나의 쾌적성을 높일 수 있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바닥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3a의 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 패드(100)는 개인용 사우나가 설치되는 표면인 설치면과 접촉하는 바닥 외피(101), 상기 바닥 외피(101) 상에 배치되는 롤(roll)형 단열판(102), 상기 단열판(102)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 발열체(h1)를 구비하는 제1 다공성 매트(103) 및 상기 바닥 외피(101)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102) 및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를 내포하는 제1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주변부를 덮는 제1 통기성 시트(airflow sheet, 104b) 및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를 덮도록 적층되는 방수시트(104c) 및 제1 대자리 매트(104a)를 구비하는 바닥 내피(104)를 구비한다.
상기 바닥 외피(101)는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원단과 같은 인조가죽으로 구성된다. 상면에 상기 단열판(102) 및 바닥 발열체(h1)를 적층 한 후 상부를 덮는 바닥 내피(104)와 박음질에 의해 봉합되어 내부에 제1 설치공간을 갖는 주머니 형태를 이루게 된다. 바닥 외피(101)는 말아서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진다면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단열판(102)은 해체 후 말아서 보관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갖고 상부의 바닥 발열체(h1)로부터 생성된 열이 바닥을 통하여 설치면으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에 따라, 바닥 발열체(h1)로부터 생성된 열을 상부의 사우나 공간(S)으로 전달함으로써 개인용 사우나(1000)의 열효율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단열판(102)은 폴리에틸렌 폼(polyethylene foam)인 토이론(toilon)으로 형성할 수 있다.
단열판(102)의 상부에는 제1 다공성 매트(103)가 배치되고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중앙부에 바닥 발열체(h1)가 내포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는 3차원 메시 소재로 구성되는 평판 매트로 제공되고 상기 바닥 발열체(h1)는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내부에 탄소층으로 코팅된 면사로 구성된 직조 면상 발열체로 제공된다.
특히,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는 3차원 메시 소재를 이용한 유연성 직물로 구성되고 상기 면상 발열체는 제1 다공성 매트(103)를 직조하는 동안 제1 다공성 매트(103)를 구성하는 면사의 일부에 탄소층을 코팅함으로써 제1 다공성 매트(103)와 일체로 제공된다. 따라서, 제1 다공성 매트(103) 및 상기 바닥 발열체(h1)는 일체형 섬유질 원단으로 제공되어 하부에 배치되는 단열판(102)와 함께 말릴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상기 바닥 발열체(h1)는 제1 다공성 매트(103)의 길이방향을 따라 중앙부에만 배치되어 바닥 발열체(h1)의 상면으로부터 방사되는 열은 바닥 발열체(h1)와 직접 접촉하는 제1 다공성 매트(103)를 통하여 상기 바닥 내피(104)로 전달되고 바닥 발열체(h1)의 측부 및 하부로 방사되는 열은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기공을 통하여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주변부로 전달된다.
바닥 발열체(h1)의 측부 및 하부로 방사되는 열이 사우나 공간(S)으로 공급되지 않고 바닥패드(100)의 내부에 축적되는 경우 상기 개인용 사우나(1000)의 가동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축적된 열에 의해 바닥 발열체(h1)를 포함하여 상기 바닥패드(100) 전체의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 발열체(h1)는 다수의 공극을 구비하는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중앙부에만 배치되어 주변부 공극을 통하여 측부 및 하부로 방사된 열을 충분히 사우나 공간(S)으로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패드(100)의 손상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사우나 공간(S)으로의 열전달 효율을 높임으로써 개인용 사우나(1000)의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바닥 내피(104)는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중앙부를 덮도록 적층된 방수시트(103c) 및 제1 대자리 매트(104a)와 상기 제1 대자리 매트(104a) 및 방수시트(104c)와 연결되고 상기 바닥 외피(101)와 연결되는 제1 통기성 시트(104b)로 구성된다.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는 메시(mesh)와 같이 공극을 다수 구비하는 원단으로 구성되고 바닥패드(100)의 측단부(120)와 후단부(130)에서 박음질에 의해 바닥 외피(101)에 고정되고 전단부(110)는 개방된다. 즉, 상기 바닥 외피(101)와 바닥 내피(104)는 측단부(120) 및 후단부(130)에서 서로 연결되고 전단부(110)는 개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바닥패드(100)는 상기 전단부(110)에 입구를 갖고 내부 제1 설치공간을 구비하는 주머니 형상으로 제공되고 상기 단열판(102) 및 상기 바닥 발열체(h1)가 내포된 제1 다공성 매트(103)는 상기 제1 설치공간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전단부(110)는 쟈크나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거나 폐쇄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상부에는 방수시트(104c)에 의해 지지되고 대나무로 구성되는 제1 대자리 매트(104a)가 배치되고 사우나 이용자는 제1 대자리 매트(104a)의 상면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사우나를 수행하게 된다. 대나무는 통풍성과 흡수성 및 단열특성이 우수한 재질이므로, 사우나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을 용이하게 흡수하고 피부와의 접촉부에서 접촉온도를 상대적으로 낮출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우나 이용자는 쾌적한 환경에서 사우나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우나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분이나 노폐물이 제1 대자리 매트를 통하여 하방으로 스며들더라도 상기 방수시트(104c)에 의해 제1 다공성 매트(103)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대나무 재질을 갖는 제1 대자리 매트(104a)를 이용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지만,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3차원 메시 원단으로 구성된 매트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 대자리 매트(104a)는 개략적으로 상기 바닥 발열체(h1)의 상부를 덮도록 배치되고 바닥 발열체(h1)가 배치되지 않은 제1 다공성 매트(103a)의 주변부 상부에는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가 배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와 제1 다공성 매트(103)를 통하여 바닥 발열체(h1)의 측부 및 하부와 상기 사우나 공간(S) 사이에 유동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바닥 발열체(h1)의 측부 및 하부로 발산된 열은 상기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주변부 및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를 통하여 상기 바닥 패드(100)의 주변부를 통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S)으로 공급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기성 시트(104b)의 내부에 사우나 이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건강 보조 재료나 기호품을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쑥이나 한약재와 같은 건강 기능성 물질이나 방향제 등을 배치하여 제1 통기성 시트(104b)를 통하여 사우나 공간으로 발산시킬 수 있다.
바닥 발열체(h1)의 상면으로 발산된 열은 제1 다공성 매트(103)를 통하여 직접 제1 대자리 매트(104a)로 전달되지만 대나무의 단열특성에 의해 열기가 순화되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되고, 바닥 발열체(h1)의 측부 및 하부로 발산된 열은 제1 다공성 매트(103)의 주변부 및 제1 통기성 시트(104b)를 통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S)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이용자의 피부에 직접 분사되는 열기는 순화시키고 사우나 공간(S)의 공기를 가열시킴으로써 보다 더 쾌적한 상태에서 사우나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다공성 매트(103)를 일정한 두께를 갖는 3차원 메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바닥매트(100)에 도톰한 느낌과 푹신한 느낌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써 바닥매트(100)에 앉거나 눕는 사용자의 촉감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 측부 패드(200)는 상기 바닥패드(100)의 측단부(120)에 연결되어 상기 사우나 공간(S)의 측벽을 구성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바닥 패드(100)는 제1 방향(x)을 따라 연장하는 장방형으로 제공되고, 상기 측부 패드(200)는 동일한 형상과 구조를 갖고 바닥패드(100)의 양 측단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패드 구조물로 제공된다.
도 4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측부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4a의 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4c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4a의 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 측부 패드(200)는 제1 방향(x)을 따라 족부영역(L)에서 두부영역(F)으로 높이가 증가하도록 단차(ΔH)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 패드(200) 및 상기 측부패드(200)의 상부를 덮는 덮개패드(300)에 의해 한정되는 사우나 공간(S)도 족부영역(L)에서 두부영역(F)으로 진행할수록 사이즈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부 패드(200)는 상기 바닥패드(100)의 두부영역(F) 측부를 한정하며 제1 높이(H1)를 갖고 상기 덮개패드(300)와 연결되는 전방 측부(front side portion, 210), 상기 족부영역(120)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높이(H1)보다 작은 제2 높이(H2)를 갖고 상기 덮개패드(300)와 연결되는 후방 측부(rear side portion, 220) 및 상기 전방 측부(210) 및 후방 측부(220)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높이(H1)로부터 상기 제2 높이(H2)로 낮아지는 변동 높이를 갖고 상기 덮개패드(300)와 연결되는 연결부(connection portion, 230)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족부영역(L)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를 갖는 두부영역(F)의 사우나 공간(S)이 상대적으로 더 낮은 온도를 갖게 되고, 사우나 공간(S)의 내부 온도차에 의해 족부영역(L)과 두부영역(F)의 공기는 자연순환하게 된다.
일실시예로서, 상기 측부패드(200)는 측부 외피(201), 상기 측부 외피(201) 상에 배치되는 롤형 단열판(202) 및 상기 측부 외피(201)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202)을 내포하는 제2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판(202)을 덮는 측부 내피(204)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측부 내피(204)는 대나무 재질을 갖는 제2 대나무 매트로 구성된다. 상기 측부외피(201) 및 단열판(202) 및 측부 내피(204)는 상술한 바닥외피(101), 단열판(102) 및 제1 대자리 매트(104a)와 동일한 조성과 구조를 갖는다.
상기 측부 외피(201)의 상면에 상기 단열판(202)을 배치한 후 상부를 덮는 제2 대나무 매트와 박음질에 의해 봉합되어 내부에 제2 설치공간을 갖는 주머니 형태를 이루게 된다. 측부 외피(201)는 폴리에틸렌 섬유와 같이 말아서 보관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유연성을 가진다면 다양한 소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측부 패드(200)는 바닥 패드(100)와 비교하여 다공성 매트 및 발열체를 구비하지 않으므로 바닥패드(100)보다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측부 패드(200)를 통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단열판(202)의 두께를 바닥패드(100)의 단열판(102)보다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선택적으로, 상기 측부 패드(200)도 바닥 패드(100)와 마찬가지로 측부 발열체를 구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 패드(200)는 제2 다공성 매트(203), 측부 발열체(h2) 및 제2 통기성 시트(204b)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즉, 측부 발열체(h2)를 구비하는 제2 다공성 매트(203)가 상기 단열판(202)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다공성 매트(203)는 제2 통기성 시트(204b) 및 제2 대자리 매트(204a)로 구성된 측부 내피(204)에 의해 덮이는 구조를 갖는다.
제2 다공성 매트(203)의 상면에 방수시트가 배치되지 않는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바닥패드(10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측부 내피(204)는 제2 대자리 매트(204a) 및 제2 통기성 시트(204b)로 구성되고 상기 제2 설치공간은 측부 외피(201)와 제2 통기성 시트(204b)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2 설치공간의 내부에 단열판(202), 제2 다공성 매트(203) 및 측부 발열체(h2)가 수용된다.
이때, 상기 측부 발열체(h2)는 상기 단열판(202)의 상면에 제1 방향(x)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고 단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측부 발열체(h2)에서 생성된 열은 상기 제2 다공성 매트(203)의 주변부와 제2 통기성 시트(204b)를 통하여 상기 측부 패드(200)의 주변부로 발산되어 상기 사우나 공간(S)의 상부 및 하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우나 공간(S)의 내부공기를 상부 및 하부에서 고르게 가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부 패드(200)는 바닥 패드(100)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측부 외피(201)는 바닥 패드(100)의 바닥 외피(101)와 일체로 연결되거나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바닥패드(100)의 측단부(120)에 바닥 외피(101)의 연장부(미도시)를 구성하고 상기 측부패드(200)의 하단부(240)에 상기 측부 외피(201)의 연장부(미도시)를 구성한 후 상기 연장부들을 서로 박음질로 고정함으로써 측부패드(200)와 바닥패드(100)를 일체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측부 패드(200)는 박음질 라인을 경계로 바닥패드(100)와 겹치도록 접쳐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바닥패드(100)의 측단부(120)를 따라 바닥 외피(101)의 단부에 대응 결합수단(미도시)을 배치하고 상기 측부패드(200)의 하단부(240)에 상기 대응 결합수단과 짝을 이루는 하부 결합수단(291)을 배치하여 상기 하부 결합수단(291)과 대응 결합수단의 결합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닥패드(100)와 측부패드(200)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하부 결합수단(291)과 대응 결합수단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벨크로 테이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단일한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한 쌍의 지퍼 치(zipper teeth)로 구성될 수도 있다. 특히, 상기 하부 결합수단(291)을 지퍼 구조물로 구성하는 경우 대응하는 한 쌍의 지퍼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S)과 외부를 단열시키는 지퍼 락(zipper-lock)으로 구성한다. 이에 따라, 상기 하부 결합수단(291)에 의한 열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부패드(200)의 상단부(250), 전단부(260) 및 후단부(270)에는 별도의 상부 결합수단(292)이 더 배치되어 후술하는 덮개패드(300)와 연결된다. 상기 상부 결합수단(292)은 상단부(250)부터 전단부(260)를 거쳐 후단부(270)까지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단일한 결합체일 수도 있고 상단부(250), 전단부(260) 및 후단부(270)에 각각 개별적으로 배치되는 서로 다른 결합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상부 결합수단(292)은 벨크로 테이프나 지퍼 락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측부 패드(200)는 상기 전방 측부(210)를 부분적으로 제거하여 개구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를 덮는 투명창(281)을 배치하여 개인용 사우나(1000)의 내부에서 외부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이용자의 얼굴을 포함한 전신이 사우나의 내부에 있더라도 외부와 시각적으로 연통되어 무료함을 달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창(28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커튼(282)을 사우나(1000)의 내부에 배치하여 필요에 따라 사우나 내부와 외부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상기 덮개 패드(300)는 바닥패드(100) 및 측부패드(200)와 동시에 연결되어 사우나 공간(S)의 덮개를 구성한다. 이에 따라, 외부와 분리되는 돔 형상의 사우나 공간(S)을 구비하는 개인용 사우나(1000)가 완성된다.
도 5a는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덮개 패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5a의 III-III'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5c는 도 1에 도시된 바닥 패드를 도 5a의 IV-IV'방향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1, 도 2,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덮개 패드(300)는 상기 두부영역(F)을 한정하고 외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에어 홀(air hole, AH)을 구비하는 전방 덮개(310), 상기 족부영역(L)을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덮개 발열체(h3)를 구비하는 후방 덮개(330) 및 상기 전방 덮개(310) 및 후방 덮개(330) 사이에서 상기 높이 단차(Δh)의 형상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는 경사 덮개(slant cover, 320)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전방 덮개(310)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는 출입구(D)가 구비된 전면 덮개(311) 및 상기 두부영역(F)의 상부를 덮는 두부 상부 덮개(312)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 덮개(330)는 상기 족부영역(L)의 상부를 덮는 족부 상부 덮개(331) 및 상기 전면 덮개(311)와 대칭적으로 배치되는 후면 덮개(332)를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 경사 덮개(320)는 상기 두부 상부 덮개(312) 및 족부 상부 덮개(331)와 연결된다.
상기 전면 덮개(311)는 박음질에 의해 두부 상부 덮개(312)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1 박음질 라인(313)을 기준으로 전면 덮개(311)는 두부 상부 덮개(312)에 겹쳐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후면 덮개(332)는 박음질에 의해 족부 상부 덮개(3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제2 박음질 라인(333)을 기준으로 후면 덮개(332)는 족부 상부 덮개(331)에 겹쳐질 수 있다.
상기 전면 덮개(311)는 상기 측면 패드(200)의 전단부(260)와 연결되므로 제1 높이(H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고, 상기 후면 덮개(332)는 상기 측면 패드(200)의 후단부(270)에 연결되므로 제2 높이(H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두부 상부 덮개(312), 경사덮개(320) 및 족부 상부 덮개(331)는 단일한 패드 구조물로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 패드(300)는 일체로 제공되는 두부 상부 덮개(312), 경사덮개(320) 및 족부 상부 덮개(331)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전면 덮개(311) 및 후면 덮개(332)가 박음질에 의해 연결함으로써 단일한 패드 구조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 패드(300)는 상기 바닥 패드(100)와 개별적으로 제공되거나 바닥패드(100)와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덮개 패드(300)는 바닥패드(100)와 구별되는 개별적인 패드 구조물로 제공되고 상기 전면 덮개(311)와 후면 덮개(332)를 각각 바닥패드(100)의 전단부(110) 및 후단부(130)에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덮개(311)는 전방 결합수단(314)에 바닥패드(100)의 전단부(110)에 연결되고, 상기 후면 덮개(332)는 후방 결합수단(334)에 의해 바닥패드(100)의 후단부(130)에 연결된다. 전방 결합수단(314) 및 후방 결합수단(334)은 벨크로 테이프나 지프락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후면 덮개(332)를 바닥패드(100)의 후단부(130)에 영구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덮개패드(300)와 바닥패드(100)를 일체로 형성한다. 예를 들면, 후면 덮개(332)와 바닥 패드(100)의 후단부(130)에 연장부를 개별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를 박음질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면 덮개(311)는 전방 결합수단(314)에 의해 선택적으로 바닥패드(100)의 전단부(110)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덮개패드(300)의 측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단일한 측부 결합수단(392)이 제공된다. 상기 측부 결합수단(392)은 측부 패드(200)의 상부 결합수단(292)과 결합되어 덮개패드(300)와 측부 패드(200)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측부 결합수단(392)과 상부 결합수단(292)은 서로 대응하는 한 쌍의 결합부재로 제공된다. 예를 들면, 상기 측부 결합수단(392)과 상부 결합수단(292)은 서로 대응하는 암벨크로 테이프 및 수벨크로 테이프 또는 서로 대응하는 지퍼치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측부 결합수단(392)과 상부 결합수단(292)은 대응하는 지퍼치로 구성되어 단일한 지퍼 슬라이드(미도시)에 의해 결합되는 경우, 지퍼치와 지퍼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사우나 공간(S)의 열손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덮개 패드(300)는 족부영역(L)에 상대적 고온을 형성하고 두부영역(F)에 상대적 저온을 형성할 수 있도록 덮개 발열체(h3)를 부분적으로 배치한다. 이에 따라, 사우나 공간(S)의 내부에서는 두부 공간(S1)과 족부 공간(S2) 사이에 자연스럽게 공기의 순환이 일어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덮개 발열체(h3)는 족부 상부 덮개(331)에만 배치되고 경사덮개(320) 및 두부 상부 덮개(312)에는 추가적인 발열체 없이 단열판만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 덮개(310), 경사 덮개(320) 및 후면 덮개는 덮개 외피(301), 상기 덮개 외피(301) 상에 배치되는 롤(roll)형 단열판(302) 및 상기 덮개 외피(301)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을 내포하는 제3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판(301)을 덮는 제3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덮개 내피(304)로 구성된다.
이와 달리, 상기 족부 상부 덮개(331)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 발열체(h3)를 구비하도록 구성한다. 즉, 상기 족부 상부 덮개(331)는 제3 다공성 매트(303), 덮개 발열체(h3) 및 제3 통기성 시트(304b)를 더 배치한다.
상기 덮개 외피(301), 단열판(302), 제3 다공성 매트(303), 덮개 발열체(h3), 제3 통기성 시트(304b) 및 제3 대자리 매트(304a)는 도 4c에 도시된 측부 외피(201), 단열판(202), 제2 다공성 매트(203), 측부 발열체(h2), 제2 통기성 시트(204b) 및 제2 대자리 패드(204a)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상기 덮개 내피(304)는 제3 대자리 매트(304a) 및 제3 통기성 시트(304b)로 구성되고 상기 제3 설치공간은 덮개 외피(301)와 제3 통기성 시트(304b)의 박음질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3 설치공간의 내부에 단열판(302), 제3 다공성 매트(303) 및 덮개 발열체(h3)가 수용된다.
덮개 발열체(h3)에서 생성된 열은 상기 제3 다공성 매트(303)의 주변부와 제3 통기성 시트(304b)를 통하여 상기 족부 상부 덮개(331)의 주변부를 통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S)의 좌우측 단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우나 공간(S)의 내부공기를 좌측 및 우측에서 가열할 수 있다.
상기 전면 덮개(311)에는 양면 지퍼(315)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출입구(D)가 배치되고, 상기 출입구(D)의 일부에 사용자의 두부만 외부로 노출하는 두부 노출 개구(O)를 더 배치할 수 있다. 상기 두부 노출 개구(O)는 벨크로 테이프에 의해 상기 출입구(D)의 덮개 내피(301)에 고정되는 개구 커버(미도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
이때,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전방 측부(210)의 상부와 인접한 상기 전면 덮개(311)의 상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관통 홀(AH2) 및 상기 전방 측부(210)의 하부와 인접한 상기 전면 덮개(311)의 하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관통 홀(AH1)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두부 노출 개구(O)가 배치된 경우, 상기 상부 관통 홀(AH2)은 상기 출입구(D)의 상부에 정렬하고 상기 하부 관통 홀(AH1)은 상기 두부 노출개구(O)의 상부에 정렬하도록 구성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에어 홀(AH)과 상기 두부 공간(S1) 및 족부 공간(S2)의 온도 차이에 의해 사우나 공간(S)의 내부에서 공기의 자연 순환이 발생하고 사우나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공기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족부 공간(S2)은 바닥 발열체(h1) 및 덮개 발열체(h3)에 의해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고온으로 형성되고 두부 공간(S1)은 바닥 발열체(h1)에 의해서만 가열되어 상대적으로 저온으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사우나 공간(S)의 상부에서는 상대적으로 뜨거운 공기가 족부공간(S2)으로부터 두부공간(S1)으로 유동하고 하부에서는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가 두부공간(S1)으로부터 족부공간(S2)으로 유동하게 된다.
특히, 전면패드(31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에어 홀(AH)이 형성되어 외부와 연통되므로 온도차에 의한 사우나 내부공기의 자연유동은 더욱 활발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관통 홀(AH2)을 통하여 사우나 내부의 뜨거운 공기가 유출되고 하부 관통 홀(AH1)을 통하여 외부의 찬 공기가 유입되어 사우나 공간에서의 대류현상은 더욱 가속화 된다.
상기 하부 관통 홀(AH1)은 두부 노출 개구(O)의 상부에 배치되므로, 외부에서 유입된 찬 공기는 누워 있는 사우나 이용자의 얼굴상면을 흐르면서 족부공간(S2)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사우나 이용자는 코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와 접촉하게 되므로 사우나를 하는 동안 훨씬 더 쾌적한 조건에 놓이게 된다.
이때, 상기 에어 홀(AH)의 크기와 개수는 충분히 작게 형성하여 사우나 이용자의 얼굴 주위에서 상대적으로 차가운 공기를 느낄 수 있을 정도의 외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에어 홀(AH)은 직경 1cm 내지 2cm의 크기를 갖도록 형성한다. 특히, 상기 전면 덮개(311)와 상기 측부 패드(200)의 전단부(260)를 치와 치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큰 지퍼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에어 홀을 배치하지 않고 상기 지퍼 사이의 틈을 에어 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의 자연순환을 통하여 사우나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개인용 전신 사우나에 의하면, 사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은 상대적으로 큰 공간을 갖고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은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을 갖도록 형성하고 족부영역에는 더 많은 발열체를 배치한다. 또한, 사우나의 출입구에 공기 흡입을 위한 에어 홀을 배치하여 사우나 내부의 자연순환에 따라 외기를 자연스럽게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흡수된 외기는 사용자의 얼굴상면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한다. 이에 따라, 사우나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우나의 프레임을 유동성 재질로 구성하여 설치 및 해체의 편의성을 높이고 해체 후 바닥 패드, 측부 패드 및 덮개 패드를 겹친 후 말아서 단일한 벌크형상으로 형성한다. 이에 따라, 개인용 전신 사우나의 해체 후 보관공간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으며 이동성 및 휴대성을 높임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현저하게 높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5)

  1. 제1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고 이용자의 얼굴이 위치하는 두부영역(head area) 및 이용자의 발이 위치하는 족부영역(leg area)을 구비하며 열을 발생하는 적어도 하나의 바닥 발열체가 매립된 바닥패드(bottom pad);
    상기 바닥패드의 측부에 연결되고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높이 단차를 갖는 측부패드(side pad); 및
    상기 바닥패드 및 상기 측부패드와 동시에 연결되어 돔(dome) 형상으로 사우나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족부영역을 한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덮개 발열체를 구비하는 후방 덮개, 상기 두부영역을 한정하고 외부와 연통하는 다수의 에어 홀(air hole)을 구비하는 전방 덮개 및 상기 전방 덮개 및 후방 덮개 사이에서 상기 높이 단차의 형상 프로파일을 따라 배치되는 경사 덮개(slant cover)를 구비하는 덮개 패드(cover pad)를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드는 설치면과 접촉하는 바닥 외피(outer sheet), 상기 바닥 외피 상에 배치되는 롤(roll)형 단열판, 상기 단열판 상에 배치되고 내부에 상기 바닥 발열체를 구비하는 다공성 매트(mat) 및 상기 바닥 외피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 및 상기 다공성 매트를 내포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를 덮는 통기성 시트(airflow sheet) 및 상기 통기성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다공성 매트를 덮도록 적층되는 방수시트 및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바닥 내피(inner sheet)를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매트는 3차원 메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 발열체는 상기 다공성 매트의 내부에 탄소층으로 코팅된 면사로 구성된 직조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롤형 단열판은 토이론(toilon)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발열체는 상기 다공성 매트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 발열체의 측부 및 하부로 발산된 열은 상기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 및 상기 통기성 시트를 통하여 상기 바닥패드의 주변부에서 상기 사우나 공간으로 공급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드는 상기 두부영역을 한정하며 제1 높이를 갖고 상기 전방 덮개와 연결되는 전방 측부(front side portion), 상기 족부영역을 한정하며 상기 제1 높이보다 작은 제2 높이를 갖고 상기 후방 덮개와 연결되는 후방 측부(rear side portion) 및 상기 전방 측부 및 후방 측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높이로부터 상기 제2 높이로 낮아지는 변동 높이를 갖는 연결부(connection portion)를 구비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드는 상기 바닥 패드와 박음질(backstitch)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측부 패드와 상기 바닥 패드는 서로 일체로 제공되고 상기 박음질 라인을 따라 접쳐지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드는 상기 바닥 패드와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잠기는 경우 치(teeth)와 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과 외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지퍼 락(zipper-lock)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드는 측부 외피, 상기 측부 외피 상에 배치되는 롤형 단열판 및 상기 측부 외피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을 내포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판을 덮고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측부 내피를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 패드는 상기 단열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내포되고 측부 발열체가 내부에 구비된 다공성 매트 및 상기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를 덮고 상기 대자리 매트와 연결되는 통기성 시트를 더 구비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드는 덮개 외피, 상기 덮개 외피 상에 배치되는 롤형 단열판 및 상기 덮개 외피와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을 내포하는 설치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단열판을 덮는 대자리 매트를 구비하는 덮개 내피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덮개, 상기 전방 덮개 및 상기 경사 덮개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단일한 패드로 제공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덮개는 상기 바닥 패드의 상기 족부영역과 박음질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후방 덮개와 상기 바닥 패드는 서로 일체로 제공되고 박음질 라인을 기준으로 접쳐지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덮개는 상기 바닥 패드와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 패드의 상기 족부 영역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잠기는 경우 치(teeth)와 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과 외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지퍼 락(zipper-lock)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6.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덮개는 상기 바닥 패드와 개별적으로 분리되고 결합수단에 의해 상기 바닥 패드의 상기 두부 영역과 선택적으로 연결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지퍼 슬라이드에 의해 잠기는 경우 치(teeth)와 치 사이에 진공을 형성하여 상기 사우나 공간과 외부 사이를 단열시키는 지퍼 락(zipper-lock)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벨크로 테이프와 지퍼 중의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홀은 상기 벨크로 테이프 사이의 틈 및 상기 지퍼의 치와 치 사이의 틈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19.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덮개는 양면 지퍼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출입구를 더 구비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덮개는 상기 출입구의 일부를 선택적으로 제거하여 사용자의 두부만 외부로 노출하는 두부 노출 개구를 더 구비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1.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홀은 상기 전방 측부의 상부와 인접한 상기 전방 덮개의 상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상부 관통 홀 및 상기 전방 측부의 하부와 인접한 상기 전방 덮개의 하부 주변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하부 관통 홀을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덮개는 양면 지퍼에 의해 부분적으로 개폐하는 출입구 및 상기 출입구의 일부는 제거하여 사용자의 두부만 외부로 노출하는 두부 노출개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상부 관통 홀은 상기 출입구의 상부 전방 덮개 상에 정렬하고 상기 하부 관통 홀은 상기 두부 노출개구의 상부 출입구에 정렬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패드는 상기 후방 덮개의 단열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설치공간에 내포되고 덮개 발열체가 내부에 구비된 다공성 매트 및 상기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를 덮고 상기 대자리 매트와 연결되는 통기성 시트를 더 구비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다공성 매트는 3차원 메시 소재를 포함하고 상기 덮개 발열체는 상기 다공성 매트의 내부에 탄소층으로 코팅된 면사로 구성된 직조 면상 발열체를 포함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 발열체는 상기 다공성 매트의 중앙부에 배치되어 상기 덮개 발열체의 측방 및 하방으로 발산된 열은 상기 다공성 매트의 주변부 및 상기 통기성 시트를 통하여 상기 후방 덮개의 주변부에서 상기 사우나 공간으로 공급되는 개인용 전신 사우나.
KR1020160131845A 2016-10-12 2016-10-12 개인용 전신 사우나 KR1018538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45A KR101853800B1 (ko) 2016-10-12 2016-10-12 개인용 전신 사우나
PCT/KR2017/010929 WO2018070722A1 (ko) 2016-10-12 2017-09-29 개인용 전신 사우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845A KR101853800B1 (ko) 2016-10-12 2016-10-12 개인용 전신 사우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31A KR20180040231A (ko) 2018-04-20
KR101853800B1 true KR101853800B1 (ko) 2018-06-20

Family

ID=61905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845A KR101853800B1 (ko) 2016-10-12 2016-10-12 개인용 전신 사우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53800B1 (ko)
WO (1) WO201807072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23B1 (ko) 2021-01-29 2021-03-26 최학묵 개인 사우나 시스템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743A (ja) * 1993-05-18 1994-11-29 Hitachi Home Tec Ltd 寝袋状発汗装置
JP3073913U (ja) * 2000-06-08 2000-12-15 陳 樹 錬 携帯式乾式温浴装置
KR200352633Y1 (ko) * 2004-03-12 2004-06-05 주식회사 올팩 찜질기
KR200359392Y1 (ko) * 2004-04-30 2004-08-21 에이네트 주식회사 전신 사우나기
KR200400155Y1 (ko) * 2005-08-11 2005-11-02 김상일 돔형 사우나기
KR20100077769A (ko) * 2008-12-29 2010-07-08 나경자 찜질기능을 겸비한 발열매트
KR200480340Y1 (ko) * 2015-05-11 2016-05-13 최승혁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개인사우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5415Y1 (ko) * 1992-06-03 1994-08-11 최동식 휴대용 간이사우나
KR200236325Y1 (ko) * 2001-03-30 2001-10-26 정연희 캡슐형 온열 찜질기
KR200271848Y1 (ko) * 2001-12-19 2002-04-13 김명대 돔형 사우나 장치
JP2009000140A (ja) * 2007-06-19 2009-01-08 Aishin:Kk 岩盤浴用シェル及び岩盤浴装置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27743A (ja) * 1993-05-18 1994-11-29 Hitachi Home Tec Ltd 寝袋状発汗装置
JP3073913U (ja) * 2000-06-08 2000-12-15 陳 樹 錬 携帯式乾式温浴装置
KR200352633Y1 (ko) * 2004-03-12 2004-06-05 주식회사 올팩 찜질기
KR200359392Y1 (ko) * 2004-04-30 2004-08-21 에이네트 주식회사 전신 사우나기
KR200400155Y1 (ko) * 2005-08-11 2005-11-02 김상일 돔형 사우나기
KR20100077769A (ko) * 2008-12-29 2010-07-08 나경자 찜질기능을 겸비한 발열매트
KR200480340Y1 (ko) * 2015-05-11 2016-05-13 최승혁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개인사우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3523B1 (ko) 2021-01-29 2021-03-26 최학묵 개인 사우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231A (ko) 2018-04-20
WO2018070722A1 (ko) 2018-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0241B1 (ko) 일회용 통풍매트 및 이에 의한 송풍식 침구키트
US20050086739A1 (en) Ventilation mattress
US20170295860A1 (en) Inflatable Garment with Lightweight Air Pump and Method of Use
MX2007006650A (es) Dispositivo de calentamiento con permeabilidad variada.
KR101196385B1 (ko) 전신욕 사우나기
KR100987107B1 (ko) 웰빙 건강 방석
KR20210035133A (ko) 미세발열체를 이용한 온도제어 매트리스
KR101853800B1 (ko) 개인용 전신 사우나
KR100826793B1 (ko) 열전달편이 배열된 냉온풍 침대
US10548419B2 (en) Air multiplier pad
JP2013248234A (ja) 温度調節シートと、当該温度調節シートを内蔵した温度調節マット又は温度調節クッションと、当該温度調節マット又は温度調節クッションを用いた温度調節装置
KR20170059637A (ko) 사우나 매트
CN208597973U (zh) 活性炭布办公座椅护理垫
KR200408936Y1 (ko) 개인용 온열 장치
KR200274182Y1 (ko) 찜질용 매트
CN215190729U (zh) 一种羊毛被
IT9020691A1 (it) Dispositivo biocondizionatore per oggetti, come sedili, divani, indumenti particolari e simili, con superfici suscettibili di entrare in contatto con parti corporee
JP2006006905A (ja) 半身浴健康器具及びその温水ボイラー
KR200221172Y1 (ko) 방향제와 원적외선 방사 수단이 갖추어진 보조용 깔판
KR102309699B1 (ko) 사우나용 매트
KR102226772B1 (ko) 포켓스프링이 구비된 토퍼
CN206062666U (zh) 水暖挡风成套卧具
KR100763646B1 (ko) 찜질방으로 사용가능한 에어하우스
KR200404922Y1 (ko) 족온기
JPS5917292Y2 (ja) 使い捨てカイロなどの発熱体用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