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59637A - 사우나 매트 - Google Patents

사우나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59637A
KR20170059637A KR1020150163821A KR20150163821A KR20170059637A KR 20170059637 A KR20170059637 A KR 20170059637A KR 1020150163821 A KR1020150163821 A KR 1020150163821A KR 20150163821 A KR20150163821 A KR 20150163821A KR 20170059637 A KR20170059637 A KR 20170059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t
frame
sauna
main frame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3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복임
조민경
Original Assignee
임복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복임 filed Critical 임복임
Priority to KR1020150163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59637A/ko
Publication of KR20170059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9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3/00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 A61H33/06Artificial hot-air or cold-air baths; Steam or gas baths or douches, e.g. sauna or Finnish baths
    • A61H33/066Cabins therefor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2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heated or cooled
    • A61H2201/0221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 A61H2201/0228Mechanism for heating or cooling heated by an electric resistance ele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우나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 매트(100)는 내부에 쿠션을 유지하며 보온기능을 갖는 단열재(116)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15)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116)와 면상발열체(115)를 감싸는 외피(112)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매트(110)와; 상기 매트(110)의 길이방향에 탈부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면상발열체(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매트(110)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으며 반원모양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이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 메인프레임(122,12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26)을 구비하며, 상기 매트(110)가 상기 지지부(120)를 감쌈으로써 내부에 터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된다.

Description

사우나 매트{SAUNA MAT}
본 발명은 사우나 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평상시에는 일반적인 발열매트로 사용 가능하며, 지지부를 매트로 감싸도록 결합하면 내부에 터널모양의 공간이 생겨 그 안에 사용자가 누워 사우나를 할 수 있는 사우나 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람들에게 보편화된 것 중 하나가 사우나이다. 사우나는 체내의 노폐물을 땀으로 배출하는 것으로서, 사우나를 통해 신체 내에 축적된 수소(水素)를 발한(發汗)을 통해 땀의 일부로서 배출하여 체내의 독성을 제거한다. 이와 같은 사우나는 대중 찜질방을 이용할 수도 있으나, 근래에는 가정에서 사우나를 할 수 있도록 하는 1~2인용 부스 형태의 사우나 장치가 제작되어 보급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부스 형태의 사우나 장치는 대개 벽과 붙어 시공되며 사용하는 내장재 및 외장재 등의 무게로 인하여 설치 방법이 까다롭고, 지속적으로 일정공간을 차지하므로 공간 활용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국내등록특허 10-0492383호에는 '온열기능과 사우나 기능을 겸한 온열매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온열매트는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를 펼치면 온열기능을 하고, 상부매트와 하부매트를 접어 지퍼로 체결하면 사우나 기능을 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러한 종래의 온열매트는 사용자가 상부매트와 하부매트 사이를 비집고 들어가 사우나를 해야 하기 때문에 상부매트가 사용자를 눌러 압박감을 느낄 수 있다. 특히, 사우나 중 생기는 땀에 의하여 상부매트와 하부매트에 몸이 붙어 사용자의 움직임이 제한될 뿐만 아니라 매트 안의 열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 '10-049238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발열 매트기능과 사우나 기능을 겸하고, 매트를 접어 사우나를 행할 시에는 사용자의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으며, 열의 순환이 제대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우나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보관 및 휴대가 간편하도록 컴팩트하게 접거나 말아 보관할 수 있는 사우나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명시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하기 하는 상세한 설명 및 그 효과로부터 용이하게 추론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추가적으로 고려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 매트는, 내부에 쿠션을 유지하며 보온기능을 갖는 단열재(116)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15)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116)와 면상발열체(115)를 감싸는 외피(112)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매트(110)와; 상기 매트(110)의 길이방향에 탈부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면상발열체(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매트(110)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으며 반원모양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이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 메인프레임(122,12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26)을 구비하며, 상기 매트(110)가 상기 지지부(120)를 감쌈으로써 내부에 터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인프레임(122,124)의 외측 둘레와 상기 매트(1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결합되는 벨크로(119)가 부착되며, 상기 매트(110) 폭 방향의 양단부는 지퍼(11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은 사람의 머리가 놓이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메인프레임(122)과, 사람의 다리가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메인프레임(124)으로 구성되며, 제1 프레임(122)과 제2 프레임(124)은 반원 모양의 지지틀(122a)과 상기 지지틀(122a)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122)의 내측에는 사람이 통과될 수 있는 절개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 매트를 구성하고 있는 매트는 내부의 면상발열체를 통하여 평상시에는 일반 발열매트와 같이 사용이 가능하며, 지지부를 감싸도록 결합하면 반원모양의 지지부로 인하여 사용자가 누웠을 시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도록 터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며 공간 안에서 열의 순환이 원활히 이루어져 사우나의 효과가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사우나 매트는 종래의 매트들처럼 사우나 외측을 따라 프레임이 구비되어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매트를 돌돌 말거나 컴팩트하게 접어 휴대 및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의 사용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사우나 매트에 사용자가 들어가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Ⅰ-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Ⅱ-Ⅱ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된 Ⅲ-Ⅲ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또한, 사용된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 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를 구성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과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 매트의 사시도와 분해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15)가 내설되어 있는 매트(110)와, 상기 매트(110)에 감싸짐에 따라 매트(110) 내부에 터널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120)과, 매트(110) 내부의 면상발열체(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매트(110)는 지지프레임(120)과 결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적인 발열매트와 같이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매트(110)는 종래의 온발매트들과 같은 사각형의 형상을 갖도록 제작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매트(110)에 사용자가 누워 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사용자의 좌, 우측 방향을 폭방향으로 사용자의 키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정의하여 설명하며, 이는 청구범위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2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매트(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모양을 갖는다. 매트(110)는 외피(112)와, 차단체(114), 면상발열체(115), 단열재(116), 지퍼(118), 벨크로(119)를 구비한다.
외피(112)는 레자(합성가죽)로 구성된다. 외피(112)는 상하 두 개로 구비되며 외측 가장자리를 따라 박음질되어 내부에 공간을 형성한다. 외피(112)의 안쪽 공간에는 차단체(114)와, 면상발열체(115), 단열재(116)가 겹겹이 내장되어 있다.
차단체(114)는 동(銅)선이 내설된 천으로 이루어져 동(銅)선에 의하여 면상발열체(115)로부터 발생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다.
면상발열체(115)는 열을 발생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면상발열체(115)는 특수원단 또는 내열성 합성수지 필름 등에 카본(탄소) 입자를 도포하고, 동박 또는 은박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면 전체로 고루 열을 발산한다. 이러한 면상발열체(115)는 특성상 부분적으로 일부만 손상되어도 전체적인 발열 특성에는 전혀 지장이 없고, 공기와 접촉하지 않도록 특수 방수처리되어 있으므로 수분이 침투하지 않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면상발열체(115)는 유연성이 좋으므로 많은 구부러짐에도 손상이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단열재(116)는 숯포 및 게르마늄이 함유된 천으로 이루어지며 매트(110)의 쿠션을 상승시켜준다. 또한, 숯포 또는 게르마늄은 인체에 이로운 에너지가 방출되고, 면상발열체(115)에서 발생된 열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매트의 온도를 장시간 유지시켜준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지퍼(118)는 매트(110)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매트(110)가 지지부(120)를 감쌀 시, 매트(110)의 양단부가 서로 떨어지지 않도록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다시 도 3와 도 4를 살펴보면, 벨크로(119)는 매트(1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서 외피(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된다. 벨크로(119)는 갈고리모양부와 이 갈고리모양부가 걸쳐지도록 섬유조직들이 뭉쳐있는 섬유조직뭉치부로 구성되며, 벨크로(119)는 이미 종래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므로 벨크로(119) 자체에 대해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벨크로(119)를 갈고리모양부과 섬유조직뭉치부를 구분하여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벨크로(119)가 서로 인접하여 결합되는 부분에는 서로 다른 모양의 벨크로(119)가 각각 구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지지프레임(120)은 벨크로(119)를 통하여 매트(1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지지프레임(120)이 매트(110)에 부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지지프레임(120)을 매트(110)로 감싸게 되면 매트(110) 내부에 터널 형태의 공간이 형성된다. 이와 반대로 매트(110)와 지지프레임(120)을 서로 분리하게 되면, 매트(110)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발열매트로 사용할 수 있으며, 지지프레임(120)은 컴팩트하게 분리시켜 보관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지지프레임(120)은 매트(110)와 분리된 상태에서는 자체적인 기능이 없으므로 별도로 보관하게 되며, 보관 시 용이한 보관을 위하여 컴팩트하게 분리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지지프레임(120)은 반원모양의 제1,2 프레임(122,124)과, 제1,2 프레임(122,124)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6)으로 구성된다. 제1,2 프레임(122,124)과 연결프레임(126)은 서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1과 도 2, 도 4를 참조하면, 제1 프레임(122)은 매트(110)에 사용자가 누웠을 시, 사용자의 머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매트(110)의 일단부에 결합된다. 제1 프레임(122)은 반원모양의 지지틀(122a)과, 외피(112), 막음천(122b), 벨크로(119)를 구비한다.
지지틀(122a)은 반원 형상으로 이루어진 봉 형태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지지틀(122a)이 봉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판재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지지틀(122a)은 단일 폐곡선 모양으로 이루어져 내측이 개방되어져 있다. 지지틀(122a)의 외면 전체는 외피(112)로 감싸져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지지틀(122a)과 외피(112) 사이에는 상기한 단열재(116)이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제1 프레임(122)의 외측 둘레에는 벨크로(1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매트(110)에 마련되어 있는 벨크로(119)와 결합된다. 아울러, 제1 프레임(122)의 외측 둘레는 매트(110)의 폭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제1 프레임(122)의 내측에는 막음천(122b)이 마련된다. 막음천(122b) 사이에는 절개선이 구비된다. 막음천(122b)은 탄성력을 가진 천으로 중간의 절개선을 따라 공간이 벌어졌다 오므려진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머리나 신체가 통과될 수도 있으며, 사용자의 머리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오므려져 외부와 내부를 폐쇄하게 된다.
도 1과 도 2, 도 5을 참조하면, 제2 프레임(124)은 제1 프레임(122)과 같은 형태와 크기로 구성되며, 제1 프레임(122)과 대향되도록 매트(110)의 길이방향의 타단부에 위치한다. 제2 프레임(124)은 지지틀(122a)과, 외피(112), 단열재(116), 벨크로(119)를 구비한다.
제2 프레임(124)에 사용되는 지지틀(122a)과 제1 프레임(122)의 지지틀(122a)은 동일한 구성요소이다. 지지틀(122a)의 내측에는 단열재(116)가 내장되어 있으며 단열재(116)와 지지틀(122a)은 외피(112)로 감싸져 있다.
제2 프레임(124)의 외측 둘레에는 벨크로(119)가 구비되어 있으며, 매트(110)에 마련되어 있는 벨크로(119)와 결합된다. 아울러, 제2 프레임(124)의 외측 둘레는 제1 프레임(122)과 마찬가지로 매트(110)의 폭 길이와 같은 길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프레임(126)은 제1 프레임(122)과 제2 프레임(124) 사이를 연결한다. 연결프레임(126)은 좌우 한 쌍으로 구비되며 제1 프레임(122)과 제2 프레임(124)과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연결프레임(126)은 제1,2 프레임(122,124)과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제1 프레임(122)과 제2 프레임(124)이 매트(110)의 양단부에 위치하도록 매트(110)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길이로 제작된다.
전력공급부(미도시)는 매트(110)의 면상발열체(115)가 전력을 인가받아 발열을 할 수 있도록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장치이다. 전원공급부(미도시)는 전원콘센트에 직접 연결되어 전력을 공급할 수도 있으며, 별도의 보조전원장치로서 면상발열체(115)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사용될 수도 있다. 아울러 두 가지의 경우가 혼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지금부터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우나 매트를 작용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100)는 매트(110)와 지지부(120)가 분리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매트(110)에서 지지부(120)를 분리한 상태에서 매트(110)는 내부에 내장되어 있는 면상발열체(115)의 발열을 통하여 일반적인 발열매트로 사용할 수 있다.
사우나 매트(100)를 이용하여 사우나를 하기 위해서는 매트(110)의 상측 벨크로(119)와 지지부(120)의 제1,2 메인프레임(122,124)의 외측 둘레를 따라 구비되어 있는 벨크로(119)를 서로 결합시켜준다. 이후, 매트(110) 폭 방향의 양단부를 지퍼(118)를 이용하여 결합시켜주면 도 1과 같은 매트(110)가 터널 모양으로 지지부(120)를 감싸지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매트(110) 안에 누운 채로 제1 프레임(122)의 막음천(122b)의 절개선 사이로 얼굴을 빼낸 채 사우나를 즐기면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우나 매트(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매트(110)에 누워 있는 상태에서도 지지부(120)에 의해 터널 모양의 공간이 형성되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움직임이 가능함과 동시에 열이 공간 안에서 원활히 순환되어 사우나기능을 극대화 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사우나 매트 110:매트
112:외피 114:차단체
115:면상발열체 116:단열재
118:지퍼 119:벨크로
120:지지부 122:제1 메인프레임
124:제2 메인프레임 126:연결프레임

Claims (3)

  1. 내부에 쿠션을 유지하며 보온기능을 갖는 단열재(116)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하는 면상발열체(115)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단열재(116)와 면상발열체(115)를 감싸는 외피(112)로 이루어진 사각형 모양의 매트(110)와;
    상기 매트(110)의 길이방향에 탈부착 가능하게 위치하는 지지부(120)와;
    상기 면상발열체(115)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120)는, 상기 매트(110)의 폭 길이에 대응하는 둘레를 갖으며 반원모양으로 이루어진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과,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이 상기 매트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위치하도록 두 메인프레임(122,124)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프레임(126)을 구비하며,
    상기 매트(110)가 상기 지지부(120)를 감쌈으로써 내부에 터널 형상의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매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122,124)의 외측 둘레와 상기 매트(110)의 길이방향의 양단부의 가장자리에는 서로 결합되는 벨크로(119)가 부착되며, 상기 매트(110) 폭 방향의 양단부는 지퍼(118)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매트.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프레임(122,124)은 사람의 머리가 놓이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1 메인프레임(122)과, 사람의 다리가 인접하는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메인프레임(124)으로 구성되며,
    제1 프레임(122)과 제2 프레임(124)은 반원 모양의 지지틀(122a)과 상기 지지틀(122a)을 감싸는 외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메인프레임(122)의 내측에는 사람이 통과될 수 있는 절개선이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우나 매트.
KR1020150163821A 2015-11-23 2015-11-23 사우나 매트 KR201700596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21A KR20170059637A (ko) 2015-11-23 2015-11-23 사우나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3821A KR20170059637A (ko) 2015-11-23 2015-11-23 사우나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9637A true KR20170059637A (ko) 2017-05-31

Family

ID=59052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3821A KR20170059637A (ko) 2015-11-23 2015-11-23 사우나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5963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8224A (zh) * 2019-09-26 2019-11-22 徐州凯利尔桑拿设备有限公司 一种桑拿设备
KR102375713B1 (ko) 2021-11-11 2022-03-17 정병운 매트 겸용 사우나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78224A (zh) * 2019-09-26 2019-11-22 徐州凯利尔桑拿设备有限公司 一种桑拿设备
KR102375713B1 (ko) 2021-11-11 2022-03-17 정병운 매트 겸용 사우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59637A (ko) 사우나 매트
KR101686422B1 (ko) 돔형 사우나 장치
KR101404029B1 (ko) 온수순환 매트리스
KR200423979Y1 (ko) 온수매트
KR101632433B1 (ko) 발열조끼
CN209500052U (zh) 一种正反面使用的保健眼罩
KR102080991B1 (ko) 어싱침대
KR101388656B1 (ko) 온수를 이용한 온열 족욕기
KR200226261Y1 (ko) 허리보호대
KR200436801Y1 (ko) 배꼽 단전 온열용 벨트
KR101853800B1 (ko) 개인용 전신 사우나
KR200221701Y1 (ko) 전자파 차단기능을 구비한 온열매트
KR200408936Y1 (ko) 개인용 온열 장치
KR20130002938U (ko) 휴대용 난방침낭
KR200244340Y1 (ko) 발열판을 구비한 발열의류
KR102309699B1 (ko) 사우나용 매트
CN213822000U (zh) 一种发热贴
KR20140077003A (ko) 개똥쑥을 내장시킨 온열매트
CN215275450U (zh) 一种颈部护理套
KR200413334Y1 (ko) 건식 및 습식 두부 사우나 장치
TWM431584U (en) All-weather electric heated clothing
KR200386217Y1 (ko) 반신 사우나기로 변환사용이 가능한 건강보조용매트
CN218164330U (zh) 频谱披肩
CN212788844U (zh) 一种风湿科用便携式热敷装置
KR200249363Y1 (ko) 건강보조기능을 갖는 분리형 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