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0991B1 - 어싱침대 - Google Patents

어싱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0991B1
KR102080991B1 KR1020180067475A KR20180067475A KR102080991B1 KR 102080991 B1 KR102080991 B1 KR 102080991B1 KR 1020180067475 A KR1020180067475 A KR 1020180067475A KR 20180067475 A KR20180067475 A KR 20180067475A KR 102080991 B1 KR102080991 B1 KR 1020809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arthing
bed
earthing member
bottom fram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4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0679A (ko
Inventor
김지연
Original Assignee
김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연 filed Critical 김지연
Priority to KR10201800674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0991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6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09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09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4Means for protecting against undesired influence, e.g. magnetic radiation or static electricit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FSTATIC ELECTRICITY; NATURALLY-OCCURRING ELECTRICITY
    • H05F3/00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 H05F3/02Carrying-off electrostatic charges by means of earthing connection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싱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위에서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고, 침대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를 설치시 이로 인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어싱침대는 바닥에 놓여져 지지하도록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내주에는 통공이 형성되되 내측 하단에 걸림턱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관통공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신체 또는 원단이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할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와 상기 어싱부재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Description

어싱침대{The earth bed }
본 발명은 어싱침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침대 위에서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고, 침대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를 설치시 이로 인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어싱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수면을 취하기 위한 용도에서 더욱 나아가 수면시 피로를 풀어주고 수면 건강을 증진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최근에는 돌침대, 흙침대, 나무침대 등과 같이 여러가지 다양한 특성과 기능을 갖춘 형태의 침대가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돌침대는 방출되는 원적외선으로 인해 모세혈관 확장 및 혈액순환 등과 같은 효과를 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매트리스와 달리 세균문제나 먼지가 발생하지 않는 장점이 있으며, 흙침대는 혈액순환과 신진대사를 촉진하고 몸 속 노폐물을 효과적으로 배출해주며 허리나 관절이 불편한 사람들에게는 더욱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고, 나무침대는 따로 매트리스를 쓰지 않아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수면을 위해서뿐만 아니라 평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침대인 돌침대, 흙침대, 나무침대 등에는 우리나라 성인의 상당수가 쿠션감 또는 보온효과를 얻기 위해 이불이나 매트리스와 같은 쿠션부재를 깔아놓고 침대를 이용하고 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스프링부재(13)가 배열되어 형성된 완충부(16), 이 완충부(16) 위에 쿠션완충재로 형성된 쿠션층(12), 이 완충부(16)와 쿠션층(12)을 포함하는 외관 전체를 감싸는 시트커버(11)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상기 완충부(16) 측면으로 다수의 통기공(17)이 구비되는 매트리스(10)와, 상기 매트리스(10) 저면에 배치되어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는 원적외선 복사열을 방사할 수 있는 면상발열체(20)와, 상기 면상발열체(20)에서 방사되는 열을 매트리스(10) 내부의 완충부(16)에 축적하고, 이 완충부(16)에 축적된 열을 통기공(17)으로 내보내어 실내 공간으로 순환 통풍할 수 있게 통기공(17) 상에 배치되는 팬모터(31)와 순환팬(32)으로 이루어진 열풍순환수단(30)을 포함된 침대로 상기 침대 내부에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기가 설치되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침대에 깔아 놓은 매트리스 또는 이불에는 단순히 인체에 보온효과를 제공할 뿐만 인체에서 발생되는 정전기를 배출될 수 없고, 온돌효과를 얻기 위해 침대 내부에 설치되어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가 방출되는 전파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인체에서는 여러 가지 이유로 정전기가 발생하고 있으며, 인체에 3시간동안 정전기가 체류하면 체내 칼슘량이 10% 소모되고, 혈당가가 3%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고, 전자파는 발암인자 2등급으로 분류되어 두통과 피로, 수면장애, 소화불량 등이 생길 수 있으며, 10년 이상 매일 30분 넘게 전자파에 노출이 되는 경우 뇌종양, 청신경증 발생률이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정전기 및 전자파에 의한 칼슘파괴로 인해 산성화체질로 바뀌게 되며, 질병에 대한 저향력이 감소하고, 피로를 쉽게 느끼게 되고, 밤에 자고 있는 동안에 몸에 축전되어 숙면을 취할 수 없고, 다양한 질병의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475491 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고, 침대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어싱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에 놓여져 지지하도록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내주에는 통공이 형성되되 내측 하단에 걸림턱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관통공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신체 또는 원단이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할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와 상기 어싱부재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침대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상기 어싱부재는 매시망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어싱부재가 안착되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는 상기 어싱부재를 내설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어싱부재의 외둘레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65 중량%와 토르마린 35 중량%를 혼합하여 형성된 섬유 40 중량%와 양모 60 중량%로 이루어진 견면으로 싸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의 삽입홈부 내주면에는 상기 어싱부재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홈부가 구비되는 쿠션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바닥프레임의 삽입홈부에는 상기 어싱부재가 내설결합되도록 개방된 홈부가 형성하되 상부면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 보다 돌출되고 상기 어싱부재의 상사점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U자형 팽창튜브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싱침대는 침대에 어싱부재가 안착되어 침대 위에서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고, 침대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를 설치시 이로 인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싱침대의 바닥프레임에 쿠션부재 또는 U자형 팽창튜브를 더 구비하므로써, 어싱부재를 보호함과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어싱침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어싱칭대를 나타낸 단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바닥프레임을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4b는 도 4a에 대한 부분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어싱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어싱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a는 본 발명의 어싱침대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 7b는 도 7a에 대한 실시예.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적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싱침대(1)는 바닥에 놓여져 지지하도록 사각프레임(12)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프레임(12)의 내주에는 통공(14)이 형성되되 내측 하단에 걸림턱(16)이 구비된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관통공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16)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20)과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에는 신체 또는 원단이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할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30)와 상기 어싱부재(30)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상기 본체의 걸림턱(16)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20)은 사용자가 안정적 누워지거나 활동할 수 있도록 판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재질은 돌, 나무, 물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에 놓여지는 어싱부재(30)는 금속사 예를 들어 전기전도성이 우수한 은사 또는 동사나 카본 소재 등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전기전도체로서 매시 망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어싱부재(30)는 판 형태보다는 접거나 권취형태로 감겨 보관 및 적재할 수 있도록 매시망 형태로 구성되어 이루어져 쉽게 절첩하여 보관 및 적재할 수 있으며, 격자망 형태로 구성시 그에 따른 생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어싱부재(30)는 전도성 원사를 이용해 제조되는 전도성원단 또는 카본 등의 전도성 재료를 포함하는 전도성 부직포의 형태로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어싱부재(30)는 은사 또는 동사나 카본 소재 등을 포함하여 만들어지는 전기전도체로서 정전지기를 흡수하는 효과 뿐만 아니라 침대가 열을 발산하도록 설치되는 전자기로부터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어싱부재(30)의 일측단에는 어싱부재(30)에 흡수된 정전기를 외부로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40)이 연결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서 취침하거나 활동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상기 어싱부재(30)가 흡수하여 어싱로드선(40)으로 통해 배출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어싱로드선(40)의 일측단에는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하기 위해 접지코드가 있는 멀티탭 이나 벽면에 설치된 콘센트 등에 연결되는 접지플러그가 설치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어싱부재(30)가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사용자가 침대에서 취침하거나 활동시 상기 어싱부재(30)이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본체(10)의 사각프레임(12) 상부면 걸림부가 형성되어 이탈방지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걸림부에 의해 사용자가 침대 사용에 불편함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도 4a,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싱부재(30)는 매시망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어싱부재(30)가 안착되는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어싱부재(30)를 내설될 수 있도록 삽입홈부(22)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침대에서 취침하거나 활동시 상기 어싱부재(30)가 이동되거나 침대로부터 이탈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에는 상기 어싱부재(30)가 내설될 수 있는 삽입홈부(2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침대에서 움직임에 의해 상기 어싱부재(30)가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가 형성하므로써 상기 어싱부재(3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나 삽입홈부(22)에 의해 사용자가 침대를 사용시 불편함을 호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싱부재(30)의 외둘레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65 중량%와 토르마린 35 중량%을 혼합하여 형성된 섬유 40 중량%과 양모 60 중량%로 이루어진 견면(50)으로 싸여져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합성수지재인 고융점 폴리에스테르 분말과 토르마린 분말을 혼합하여 가공된 섬유와 양모를 혼합하여 가공된 견면이 상기 어싱부재(30)에 싸여져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에 끼워져 설치되므로써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 숙면이나 활동시 상기 어싱부재(3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편안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섬유에 토르마린 원석에 다양한 색깔이 혼재되어 있어 미적감을 증대하는 동시에 상기 토르마린에 방출되는 원적외선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토르마린은 세포의 활성화, 철은 혈액의 활성화, 붕소는 피부의 균제거, 실리콘은 피부표면의 세정 및 기타 건강을 증진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토르마린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遠赤外線)은 태양으로부터 방사되는 빛 중에서 유일하게 인간(人間)과 동물(動物)들이 생존하기 위해 없어서는 안 될 매우 중요한 빛 에너지이다.
그 중에서도 원적외선의 에너지 파장(波長) 중에서 5∼90 미크론의 파장이 가장 사람에게 좋다고 말한다.
즉, 외부에서 아주 좋은 파장을 가진 원적외선을 흡수하게 되면 우리 몸을 구성하고 있는 70조의 체세포(體細胞)들 중 정상적으로 활동하지 못하는 세포를 자극시켜 정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무엇보다도 중요한 자율신경(自律神經)의 밸런스를 정화되도록 조정해 준다.
이와 같이 토르마린에는 원적외선(遠赤外線)을 방사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에서 보통 방사되고 있는 열에너지, 땀 및 공기 중에 수분을 토르마린이 일단 흡수하여 음이온와 원적외선으로 변환하여 재차 체재로 돌려보내는 활동을 한다.
상기 원적외선은 인체의 세포를 따뜻하게 하여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세포를 활성화한다.
이런 토르마린의 원적외선과 음이온 효과발생으로 미용과 건강유지, 또는 특정한 병상과 치료를 하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사용자의 체온을 36.5℃ 체온을 유지하며, 환경호르몬 예방 및 간을 회복시켜주고 세포활성화 되어 굳은 혈관과 굳은 근육이 풀어져 에너지 전달이 원활하며, 음이온 전위작용의 음에너지와 양에너지 밸런스르 맞춰 주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어싱부재(30)의 외둘레에 견면으로 싸져 쿠션감을 줄 수 있으나 견면의 두께가 클 경우 사용자와 어싱부재(30) 사이의 이격거리가 크게 형성되어 정전기의 방전기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와 최대한 접촉할 수 있고 쿠션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 내주면에는 상기 어싱부재(30)가 삽입될 수 있도록 상부가 개방된 홈부(62)가 구비되는 쿠션부재(6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 내주면에 상부가 개방된 홈부(62)가 구비되는 쿠션부재(60)에 상기 어싱부재(30)가 삽입되는 구조로써 사용자가 침대에 누울 경우 어싱부재(30) 사이의 이격거리를 최소화하여 정전기 방전효과를 증대함과 상기 쿠션부재(60)에 의해 쿠션감을 유지되는 동시에 어싱부재(30)가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로 이물질 유입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쿠션부재(60)는 합성수지재가 발포된 스폰지 또는 공기층을 형성된 튜브 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에 쿠션부재(60)를 설치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어싱부재(30)가 최대한 접촉할 수 있고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으나, 사용자의 신체에 최대한 접촉하기 위해 상기 어싱부재(30)는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 보다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져 어싱부재(30)가 파손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고자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삽입홈부(22)에는 상기 어싱부재(30)가 내설결합되도록 개방된 홈부(72)가 형성하되 상부면은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H)보다 돌출되고 상기 어싱부재(30)의 상사점(P)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H)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U자형 팽창튜브(70)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침대에 누워져 숙면 및 활동을 할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U자형 팽창튜브(70)의 상부를 가압시 상기 U자형 팽창튜브(70)의 홈부(72) 내부가 팽창하여 상기 어싱부재(30)를 상부로 이동하여 사용자의 신체에 최대한 접근하여 정전기를 흡수하여 방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어싱부재(30)를 U자형 팽창튜브(70)에 내설되어 사용자의 신체 움직임에 따라 돌출되어 사용하기 때문에 상기 어싱부재(3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상기 U자형 팽창튜브(70)의 상부가 상기 바닥프레임(20)의 상부면(H)보다 돌출되어 있어 쿠션감을 더욱더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어싱침대는 침대에 어싱부재가 안착되어 침대 위에서 사용자가 취침하거나 활동에 의해 발생되는 정전기를 방전시킬 수 있고, 침대 내부에 열을 발산하는 전자기를 설치시 이로 인한 전자파를 차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어싱침대의 바닥프레임에 쿠션부재 또는 U자형 팽창튜브를 더 구비하므로써, 어싱부재를 보호함과 사용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1 : 어싱침대
10 : 본체 12 : 사각프레임
14 : 통공 16 : 걸림턱
20 : 바닥프레임
30 : 어싱부재
40 : 어싱로드선
50 : 견면
60 : 쿠션부재 62 : 홈부
70 : U자형 팽창튜브 72 : 홈부

Claims (5)

  1. 바닥에 놓여져 지지하도록 사각프레임으로 형성되고 상기 사각프레임의 내주에는 통공이 형성되되 내측 하단에 걸림턱이 구비된 본체와;
    상기 본체의 통공 내측에 형성되는 걸림턱에 안착되어 바닥면을 형성하는 바닥프레임과;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에는 신체 또는 원단이 접촉시 발생되는 정전기를 흡수할 있도록 전기전도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어싱부재와;
    상기 어싱부재의 연결되어 외부로 정전기를 방전할 수 있도록 어싱로드선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상기 바닥프레임에 형성되는 삽입홈부에는 상기 어싱부재가 내설결합되도록 개방된 홈부가 형성하되 상부면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보다 돌출되고 상기 어싱부재의 상사점은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보다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는 U자형 팽창튜브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침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어싱부재는 매시망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부는 상기 어싱부재가 안착되는 상기 바닥프레임의 상부면에 상기 어싱부재가 내설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침대.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싱부재의 외둘레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65 중량%와 토르마린 35 중량%을 혼합하여 형성된 섬유 40 중량%과 양모 60 중량%로 이루어진 견면으로 싸여져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싱침대.
  4. 삭제
  5. 삭제
KR1020180067475A 2018-06-12 2018-06-12 어싱침대 KR1020809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75A KR102080991B1 (ko) 2018-06-12 2018-06-12 어싱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475A KR102080991B1 (ko) 2018-06-12 2018-06-12 어싱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79A KR20190140679A (ko) 2019-12-20
KR102080991B1 true KR102080991B1 (ko) 2020-02-24

Family

ID=690631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475A KR102080991B1 (ko) 2018-06-12 2018-06-12 어싱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09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38A (ko) * 2021-03-31 2022-10-07 (주)월드홈닥터 침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50118B1 (ko) * 2021-03-31 2023-07-03 (주)월드홈닥터 안마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84A (ja) * 2000-03-14 2003-09-09 アース テザ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個人用の身体接地装置
KR100852653B1 (ko) * 2008-04-29 2008-08-18 백성국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85922B1 (ko) * 2013-06-28 2015-01-26 박정호 전자파를 차단하는 돌침대 매트리스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5491B1 (ko) 2013-03-07 2014-12-23 김선환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26484A (ja) * 2000-03-14 2003-09-09 アース テザー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コーポレイション 個人用の身体接地装置
KR100852653B1 (ko) * 2008-04-29 2008-08-18 백성국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1485922B1 (ko) * 2013-06-28 2015-01-26 박정호 전자파를 차단하는 돌침대 매트리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5838A (ko) * 2021-03-31 2022-10-07 (주)월드홈닥터 침대
KR20230031882A (ko) * 2021-03-31 2023-03-07 (주)월드홈닥터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침대
KR102506133B1 (ko) * 2021-03-31 2023-03-07 (주)월드홈닥터 침대
KR102591345B1 (ko) 2021-03-31 2023-10-20 (주)월드홈닥터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부재를 포함하는 침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679A (ko) 2019-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0991B1 (ko) 어싱침대
KR19980075911A (ko) 돌침대
KR20140110331A (ko) 면상발열체를 이용한 실내난방 겸용 온돌 침대
KR101567526B1 (ko) 온열매트
KR200196914Y1 (ko) 조립식 돔형 찜질장치
KR101066259B1 (ko) 천연 한지층을 구비한 침대
JP3118224U (ja) ペット用こたつ
KR20080010959A (ko) 면상 발열체가 적용된 매트리스
KR101445157B1 (ko) 원적외선 방사 기능을 갖는 침대
KR102031309B1 (ko) 월등한 쿠션을 가진 침대용 온열매트
KR101841674B1 (ko) 모래를 이용한 온열보료
KR102325271B1 (ko) 온열 매트리스
KR200414838Y1 (ko) 맥섬석 세라믹을 갖는 침대보료
KR200180912Y1 (ko) 침대용 매트리스
KR200387026Y1 (ko) 나무 상판을 구비하는 전기매트
KR200320968Y1 (ko) 온열매트
KR102391193B1 (ko) 온열소파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10156700A (ko) 음이온 온열매트
KR102256622B1 (ko) 원적외선 발열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0135099Y1 (ko) 원적외선 온돌 요
KR200440593Y1 (ko) 건강온열죽부인
KR102416264B1 (ko) 침대용 온열 포켓스프링 매트리스
KR102279450B1 (ko) 적외선 온열마사지 매트리스
KR100557249B1 (ko) 세라믹을 이용한 온열전위 침대커버
KR20160013327A (ko) 침대용 전기온열 매트리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