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52653B1 -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52653B1
KR100852653B1 KR1020080040108A KR20080040108A KR100852653B1 KR 100852653 B1 KR100852653 B1 KR 100852653B1 KR 1020080040108 A KR1020080040108 A KR 1020080040108A KR 20080040108 A KR20080040108 A KR 20080040108A KR 100852653 B1 KR100852653 B1 KR 1008526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tool
nonwoven fabric
groove
water m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01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52653B9 (ko
Inventor
백성국
Original Assignee
백성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9878099&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852653(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백성국 filed Critical 백성국
Priority to KR10200800401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526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526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53B1/ko
Publication of KR100852653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52653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6Grooving involving removal of material from the surface of the work
    • B26D3/065On sheet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7Anti-mite, anti-allergen or anti-bacterial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2Upholstery attach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26D1/157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rotating about a movable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6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mounted on, or adjacent to, a ceiling, wall or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erforating, Stamping-Out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수작업 또는 고가의 고주파 압착 장치 또는 열 압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홈파기 공구와 누름판을 장착한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부직포에 직접 홈을 가공할 수 있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 수단은 부직포 겹면(61)에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파기 공구(10)와, 상기 홈파기 공구(10)가 장착되는 공구대(20)와, 상기 공구대(20)에 장착되고 홈 형성시 부직포 겹면(61)을 누르며 절단된 부직포 칩을 방출하도록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과, 상기 부직포 겹면(61)을 고정하는 테이블 및 공구대(2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40)와,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되는 홈의 배열, 홈의 깊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인하여 본 발명은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직접 부직포를 가공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고, 내구성이 우수하며, 사용자에게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온수매트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온수매트, 온수 파이프, 공작기계, 홈파기 공구, 누름판

Description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of hot 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 수작업 또는 고가의 고주파 압착 장치 또는 열 압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홈파기 공구와 누름판을 장착한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부직포에 직접 홈을 가공할 수 있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동절기에 사용되는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실내의 바닥을 국부적으로 난방함으로써 난방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점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기장판이나 전기매트는 화재 또는 감전사고의 위험이 있고, 특히 전자파가 발생되어 인체에 유해한 문제점이 있어 최근에는 전자파가 발생되지 않아 인체에 무해한 온수매트가 제안되어 각광을 받고 있다.
온수매트는 그 내부에 파이프가 내장되어 있고, 소형 온수 보일러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매트를 국부적으로 난방하거나 보온유지를 하게 된 다. 이러한 온수매트는 통상 매트커버와 매트커버의 내부에 쿠션재가 구비되고, 매트커버의 표면에는 여러 가지 글씨 또는 문양을 인쇄하거나 박음질하여 아늑한 분위기를 자아낼 수 있다.
종래 온수매트를 제작하는 방법으로는 온수 파이프를 설치하는 방법에 따라 스펀지 조각으로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 부직포 겹면에 절단칼을 이용하여 홈을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 단열부재 상면에 은박지 등으로 온수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 두 개의 합성수지판을 고주파 압착으로 온수 파이프를 형성하는 방법(2005. 11. 9.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400,923호), 돌기가 형성된 금형을 가열하여 패드에 홈을 형성하고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2005. 9. 13. 공고 등록실용신안공보 제395618호),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기 위한 홈이 형성된 목합을 이용하여 온수 파이프와 시트를 진공으로 융착시키는 방법(2007. 4. 11. 공개 공개특허공보 제10-2007-38778호) 등이 제안되고 있다.
스펀지 조각으로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스펀지를 일정한 형상으로 절단한 다음, 이들 절단된 스펀지 조각을 배열하여 파이프 경로를 형성하고 파이프를 매설하는 것으로, 스펀지 재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탄력성이 줄어드는 등 그 물성이 변하여 사용수명이 단축되고, 스펀지 재질의 특성상 파이프를 단단히 고정하지 못하며, 매트 위에 사용자가 누웠을 때 온수 파이프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신체에 닿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부직포 겹면에 절단칼을 이용하여 격자형의 홈을 형성한 다음 이 홈에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수작업 특성상 홈이 반듯하지 않고, 특히 파이프의 방향이 바뀌는 부분에서 홈의 모서리가 변형되어 이로 인하여 파이프가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부직포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온수 파이프가 사용자의 신체에 닿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단열부재 상면에 은박지 등으로 온수 파이프를 고정하는 방법은 단열부재 상면에 온수 파이프를 놓고 은박지 등 고정부재를 이용하여 온수 파이프를 단열부재 상면에 고정하고, 그 상하부에 직물을 부착하여 온수매트를 제작하는 것으로, 상기 방법은 통상 수작업에 의하여 이루어지게 되어 생산성이 낮으며, 파이프가 단열부재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누웠을 때 온수 파이프가 사용자의 신체에 닿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돌기가 형성된 금형을 가열하여 패드에 홈을 형성하고 그 홈에 온수 파이프를 매설하는 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프레스(201)의 상부에 바닥 패드(202)를 놓고, 돌기(203)가 형성된 상부프레스(204)를 가열하여 압착함으로써 바닥 패드(202)의 상부에 온수 파이프를 삽입할 수 있는 홈을 형성하고, 형성된 홈에 온수 파이프를 매설한 후 그 상부에 별도의 마감시트를 부착함으로써 온수매트를 제작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 사용되는 패드는 통상 폴리에틸렌으로 가열할 때 유독가스가 발생되어 작업자에게 유해할 뿐만 아니라 제작 후에도 유독가스가 패드 내에 잔존하는 문제점이 있고, 형성된 홈이 열에 의하여 녹아 붙어 홈이 딱딱하게 되고 이에 따라 탄력성이 저하되어 온수 파이프를 홈 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 중 사용자의 하중에 의하여 패드가 반복적으로 압축되어 파이프가 상대적으로 돌출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배기는 문제점도 있다.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종합해보면, 종래의 매트를 제작하는 방법들은 수작업에 의하여 온수 파이프를 매설함으로 인하여 생산성이 낮거나, 진공, 고주파 또는 열을 이용하여 부착함에 따라 홈을 형성하는 부위가 변형되어 딱딱해지고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며, 온수 파이프가 부재 위로 돌출되어 사용자가 매트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배기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여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수작업 또는 고가의 고주파 압착 장치 또는 열 압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홈파기 공구와 누름판을 장착한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부직포 겹면에 직접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가공함으로써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고, 홈파기 공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마찰열을 신속히 방출함으로써 가공 부분의 변형이 없어 내구성이 우수한 온수매트를 제작할 수 있으며, 온수 파이프를 합성수지로 구성하고, 온수 파이프가 부직포 위로 돌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온수매트를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으며, 온수매트를 접더라도 온수 파이프가 끊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매트에 눕더라도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배기지 않아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온수매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부직포 겹면에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파기 공구(10)와, 상기 홈파기 공구(10)가 장착되는 공구대(20)와, 상기 공구대(20)에 장착되고 홈 형성시 부직포 겹면(61)을 누르며 절단된 부직포 칩을 방출하도록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과, 상기 부직포 겹면(61)을 고정하는 테이블 및 공구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40)와,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되는 홈의 배열, 홈의 깊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홈파기 공구가 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날을 형성하되, 가공날은 따라 그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가 16,000 ~ 17,0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온수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겹면(61)을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으로 누른 상태에서 홈파기 공구(10)를 이용하여 홈(6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된 홈(62)을 따라 온수 파이프(63)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온수 파이프(63)가 설치된 부직포 겹면(61) 상면에 고정용 부직포(65)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단계와, 상기 고정용 부직포(65)의 상면 및 부직포 겹면(61)의 하면에 각각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 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홈파기 공구가 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날을 형성하되, 가공날은 따라 그 하부에서 상부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기 전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보온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수작업 또는 고가의 고주파 압착 장치 또는 열 압착 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홈파기 공구와 누름판을 장착한 공작기계를 사용하여 부직포 겹면을 직접 가공하여 홈을 형성함으로써 작업능률과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홈파기 공구를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홈 형성과정에서 발생되는 마찰열을 신속히 배출함으로써 가공 부위가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온수파이프가 부직포 겹면 위로 돌출되지 않아 사용자에게 편안한 온수매트를 제작할 수 있다.
셋째, 온수 파이프가 합성수지로 제작되고, 또한 온수 파이프가 부직포 겹면 위로 돌출되지 않아 매트를 용이하게 접어 보관할 수 있고, 매트를 접더라도 온수 파이프가 끊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장치는 부직포 겹면(61)에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파기 공구(10)와, 상기 홈파기 공구가 장착되는 공구대(20)와, 상기 공구대(10)에 장착되고 홈 형성시 부직포 겹면(61)을 누르며 절단된 부직포 칩을 방출하도록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과, 상기 부직포 겹면(61)을 고정하는 테이블 및 공구대(2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40)와, 상기 부직포 겹면에 형성되는 홈의 배열, 홈의 깊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로 이루어져 있다.
부직포에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파기 공구(1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몸체(11)와 가공부(12)로 이루어지고, 가공부(12)에는 한 쌍의 가공날(13)이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홈파기 공구의 가공날(13)은 통상의 나무나 금속에 홈을 뚫는 드릴공구와는 달리 공구의 회전방향(A)을 따라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가공날(13)의 하부란 가공날(13) 중 몸체(13)에 가까운 쪽을 말한다.
본 출원인이 수많은 실험을 한 결과 종래의 나무나 금속을 가공하기 위한 드릴을 부직포에 직접 적용하는 경우, 종래의 가공날(13)이 일직선으로 형성되어 있어 가공날이 동시에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큰 마찰열이 발생하게 된다. 마찰 열이 크게 발생되는 경우 통상 부직포에 함유된 저융점 섬유(Low Melting Fiber)가 녹아 부직포가 딱딱하게 굳게 되며 이로 인하여 매트의 가공성이 저하될 뿐만 매트를 완성한 후에도 온수 파이프가 경화된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파이프가 부직포 겹면 위로 돌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출원인이 수많은 실험을 한 결과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드릴과 달리 그 내측에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하되 가공날(13)의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가공날(13)을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써 공구가 회전함에 따라 가공날(13)과 부직포 겹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고, 형성된 공간 사이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공기에 의하여 마찰열을 냉각할 수 있음을 밝혀내었다.
상기 홈파기 공구(10)가 장착되는 공구대(20)에는 홈파기 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공구홀더가 있어 홈파기 공구(10)를 고정하고 주축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을 통하여 홈파기 공구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구대(20)에 장착되는 만곡 형상의 누름판(3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중앙에 홈파기 공구(10)가 삽입되는 공구삽입구멍(31)과, 공구에 의하여 절단된 부직포 칩을 외부로 방출하는 동시에 주위의 공기를 유입시켜 냉각기능을 하도록 형성된 다수 개의 방출구멍(32)과, 공구대(20)에 장착하기 위한 연결부(33)로 이루어져 있다. 부직포는 그 재질 특성상 가공시 보풀이 일어나기가 쉽고 이에 따라 본 출원인은 가공시 보풀이 일어나지 않도록 가공부위의 주변을 눌러주는 경우 보풀의 발생이 대폭 감소될 수 있음을 실험결과 밝혀내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누름판(30)의 형상을 만곡으로 한 이유는 평면으로 하는 경우 절단된 부직포 칩을 방출하기 힘들고 냉각을 위한 공기 유입이 힘들기 때문이다. 즉 만곡 형상으로 하는 경우 누름판과 부직포 겹면 사이로, 누름판의 상부로부터 공기가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한 것이다.
부직포 겹면을 고정하는 테이블 및 공구대(2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40)는 테이블을 전후로 이송하고 공구대를 좌우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테이블이 고정된 상태로 공구대를 전후, 좌우로 이송시킬 수도 있고, 공구대가 고정된 상태로 테이블을 전후, 좌우로 이송시킬 수도 있으며 이는 공작기계와 공작물의 용량 및 크기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어부(50)에서는 부직포에 형성되는 홈의 배열, 홈의 깊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 등을 입력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홈의 배열 즉 온수 파이프의 배열은 도 5와 같이 2열로 할 수도 있으나, 매트의 크기에 따라 1열로 할 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임의의 형상으로 배열하여 매트의 중앙 부위에 집중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홈의 깊이는 통상 온수 파이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한다. 홈의 깊이가 온수 파이프의 직경보다 적은 경우에는 온수 파이프가 돌출되어 사용자의 신체부위가 배기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고, 홈의 깊이가 온수 파이프의 직경보다 큰 경우에는 온수 파이프가 설치되는 부위가 들어가게 되어 사용자에게 불편할 뿐만 아니라 매트를 접는 경우에 온수 파이프가 끊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홈의 깊이는 온수 파이프의 직경과 거의 동일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부직포를 용이하게 가공하기 위해서는 홈파기 공구의 가공날의 형상을 적절하게 선정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도 적절하게 선정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이 수많은 실험을 한 결과 공구의 회전수는 16,000 ~ 17,000 rpm의 범위가 적당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16,000 rpm 이하에서는 부직포가 완전하게 절단되지 않아 보풀이 생기는 경향이 있으며, 17,000 rpm 이상에서는 마찰열이 크게 발생함으로써 부직포에 함유된 저융점 섬유가 녹아 부직포가 딱딱하게 굳어져 매트의 가공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매트를 완성한 후에도 온수 파이프가 굳어진 부분에 의하여 지지되어 파이프가 부직포 겹면 위로 돌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이하에서는 온수매트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공작기계의 제어부에 홈의 깊이, 홈의 배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 등을 설정하고, 부직포 겹면(61)을 선반의 베드 위에 고정한 후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으로 누른 상태에서 홈파기 공구(10)를 이용하여 홈(6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부직포에는 저융점 섬유가 첨가된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위생적이며, 내구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된 홈(62)을 따라 온수 파이프(63)를 설치한다. 매트의 일측에는 온수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되어 매트를 사용할 때 온수보일러(64)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온수 파이프의 소재로는 통상 폴리프로필렌, EPDM, PVC를 주로 사용하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위생성과 가공성이 양호하며 고온에서 내구성이 향상된 소재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온수 파이프(63)가 설치된 부직포 겹면(61)의 상면에 고정용 부직포(65)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한다. 접착제로는 예를 들면, 수성 접착제, 유성 접착제, 화학 본드, 풀 등 다양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용 부직포(65)의 상면과 부직포 겹면(61)의 하면에 각각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매트를 완성한다.
한편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기 전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보온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옥, 황토, 숯, 은, 각종 약재 등이 포함된 보온재를 추가함으로써 인체의 신진대사를 촉진시키거나 은은한 향이 지속적으로 발생시켜 쾌적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또한 외피부(66a, 66b)에는 각종 글씨나 문양을 인쇄하거나 박음질 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열 압착 방식에 따른 온수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 제조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홈파기 공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름판을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와 누름판의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 파이프 배열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 분해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홈파기 공구 20 : 공구대
30 : 누름판 40 : 이송장치
50 : 제어부
61 : 부직포 겹면 62 : 홈
63 : 온수 파이프 64 : 온수 보일러
65 : 고정용 부직포 66a, 66b : 외피부

Claims (6)

  1. 온수매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부직포 겹면(61)에 온수 파이프를 수용하는 홈을 형성하기 위한 홈파기 공구(10)와,
    상기 홈파기 공구(10)가 장착되는 공구대(20)와,
    상기 공구대(20)에 장착되고 홈 형성시 부직포 겹면(61)을 누르며 절단된 부직포 칩을 방출하도록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과,
    상기 부직포 겹면(61)을 고정하는 테이블 및 공구대(20)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장치(40)와,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되는 홈의 배열, 홈의 깊이 및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를 설정하고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파기 공구(10)는 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날을 형성하되, 가공날(13)은 공구의 회전방향을 따라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파기 공구의 회전수는 16,000 ~ 17,000 r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장치.
  4. 온수매트 제조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겹면(61)을 다수 개의 방출구멍(32)이 형성된 만곡 형상의 누름판(30)으로 누른 상태에서 홈파기 공구(10)를 이용하여 홈(62)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부직포 겹면(61)에 형성된 홈(62)을 따라 온수 파이프(63)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온수 파이프(63)가 설치된 부직포 겹면(61) 상면에 고정용 부직포(65)를 접착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용 부직포(65)의 상면과 부직포 겹면(61)의 하면에 각각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홈파기 공구(10)는 그 내측으로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가공날을 형성하 되, 가공날(13)은 공구의 회전방향을 따라 그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6. 청구항 4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외피부(66a, 66b)를 부착하기 전에 항균성 물질이 함유된 보온재를 부직포 겹면의 상하부 먼저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 제조방법.
KR1020080040108A 2008-04-29 2008-04-29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1008526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08A KR100852653B1 (ko) 2008-04-29 2008-04-29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0108A KR100852653B1 (ko) 2008-04-29 2008-04-29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53B1 true KR100852653B1 (ko) 2008-08-18
KR100852653B9 KR100852653B9 (ko) 2021-10-15

Family

ID=39878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0108A KR100852653B1 (ko) 2008-04-29 2008-04-29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52653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700B1 (ko) * 2012-04-04 2012-10-11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101459670B1 (ko) 2012-04-03 2014-11-12 김은진 온열매트 제조용 홈 가공방법
KR20160063733A (ko) 2014-11-27 2016-06-07 이기옥 온수매트의 파이프홈 가공방법 및 그 파이프홈 가공장치
KR101675921B1 (ko) * 2015-05-12 2016-11-15 이현정 매트 부재의 배관홈의 형성 방법
KR101760867B1 (ko) * 2016-06-30 2017-07-26 (주)대성의료기 온수매트 제조장치
KR20190006315A (ko) 2017-07-10 2019-01-18 이현정 온수매트의 프레스 방식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온수매트 제조장치
KR20190140679A (ko) * 2018-06-12 2019-12-20 김지연 어싱침대
KR102175270B1 (ko) 2020-05-27 2020-11-06 박경자 매트홈 가공장치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260A (ja) * 1990-09-25 1992-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毛玉取り器
JPH04321931A (ja) * 1991-04-23 1992-11-11 Hitachi Ltd テクスチャ加工機
KR19990038655A (ko) * 1997-11-06 1999-06-05 윤관호 황토를 이용한 침대의 설치구조
JPH11254292A (ja) 1998-03-11 1999-09-21 Super Silicon Kenkyusho:Kk 研磨布のコンディショ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H11342503A (ja) 1998-05-30 1999-12-14 Heian Corp Nc加工装置
KR200395618Y1 (ko) 2005-06-28 2005-09-13 주식회사 세리원내츄럴파워 건강매트용 바닥패드의 온수관 형성구조
KR200400923Y1 (ko) 2005-08-19 2005-11-09 박흥기 유체 온열매트
KR200417378Y1 (ko) * 2006-01-24 2006-05-26 임택원 매트리스
KR20070038778A (ko) * 2005-10-06 2007-04-11 임상빈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36260A (ja) * 1990-09-25 1992-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毛玉取り器
JPH04321931A (ja) * 1991-04-23 1992-11-11 Hitachi Ltd テクスチャ加工機
KR19990038655A (ko) * 1997-11-06 1999-06-05 윤관호 황토를 이용한 침대의 설치구조
JPH11254292A (ja) 1998-03-11 1999-09-21 Super Silicon Kenkyusho:Kk 研磨布のコンディショ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H11342503A (ja) 1998-05-30 1999-12-14 Heian Corp Nc加工装置
KR200395618Y1 (ko) 2005-06-28 2005-09-13 주식회사 세리원내츄럴파워 건강매트용 바닥패드의 온수관 형성구조
KR200400923Y1 (ko) 2005-08-19 2005-11-09 박흥기 유체 온열매트
KR20070038778A (ko) * 2005-10-06 2007-04-11 임상빈 온수매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17378Y1 (ko) * 2006-01-24 2006-05-26 임택원 매트리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1020070038778 (공개번호)
2003956180000 (등록번호)
2004173780000 (등록번호)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9670B1 (ko) 2012-04-03 2014-11-12 김은진 온열매트 제조용 홈 가공방법
KR101188700B1 (ko) * 2012-04-04 2012-10-11 주식회사 삼원바이오텍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20160063733A (ko) 2014-11-27 2016-06-07 이기옥 온수매트의 파이프홈 가공방법 및 그 파이프홈 가공장치
KR101675921B1 (ko) * 2015-05-12 2016-11-15 이현정 매트 부재의 배관홈의 형성 방법
KR101760867B1 (ko) * 2016-06-30 2017-07-26 (주)대성의료기 온수매트 제조장치
KR20190006315A (ko) 2017-07-10 2019-01-18 이현정 온수매트의 프레스 방식 제조방법 및 이를 위한 온수매트 제조장치
KR20190140679A (ko) * 2018-06-12 2019-12-20 김지연 어싱침대
KR102080991B1 (ko) * 2018-06-12 2020-02-24 김지연 어싱침대
KR102175270B1 (ko) 2020-05-27 2020-11-06 박경자 매트홈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852653B9 (ko) 2021-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52653B1 (ko) 온수매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A2571229C (en) An insulating liner for an article of clothing
KR101188700B1 (ko)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의 제조방법 및 열융착 접합식 친환경 온수매트
KR20110080941A (ko) 난방용 온수매트의 매트부재 제조방법
KR101459670B1 (ko) 온열매트 제조용 홈 가공방법
KR200395618Y1 (ko) 건강매트용 바닥패드의 온수관 형성구조
KR20160111205A (ko) 온수매트
KR101568673B1 (ko) 발열패드가 구비된 의류
KR100900778B1 (ko) 온수매트 제조방법
JP5525977B2 (ja) 不織布製吸着プレート
KR102175270B1 (ko) 매트홈 가공장치
JPH10310964A (ja) 繊維シート
KR20090131341A (ko) 비경질물체용 조각기 및 이를 이용한 온수매트 제조방법
KR101308966B1 (ko) 다기능성 온열매트
KR101347470B1 (ko) 온수매트의 제조장치
KR100368992B1 (ko) 매트부재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100030819A (ko) 온수매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온수매트
CN211703622U (zh) 一种利用摩擦原理剪线消头棉麻服装缝合设备
JP2011074545A (ja) 防寒用ジャケット
JP6573738B1 (ja) ニードルパンチ機
CN209364706U (zh) Pp医用管路切管机
KR102071115B1 (ko) 라텍스 매트리스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039560A (ja) 埋め込みヒーター線装置
KR100448696B1 (ko) 매트의 건강보조용 소재 결합방법 및 그 결합구조
JP6677481B2 (ja) 椅子および椅子シート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31

Year of fee payment: 6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4

Year of fee payment: 8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0003661;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150622

Effective date: 201608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2

Year of fee payment: 12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204 Request for invalidation trial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100001699;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00604

Effective date: 20210721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1200004652; JUDGMENT (PATENT COURT)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210819

Effective date: 2022081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