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659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659B1
KR101853659B1 KR1020110126311A KR20110126311A KR101853659B1 KR 101853659 B1 KR101853659 B1 KR 101853659B1 KR 1020110126311 A KR1020110126311 A KR 1020110126311A KR 20110126311 A KR20110126311 A KR 20110126311A KR 101853659 B1 KR101853659 B1 KR 101853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content
user
recording
broadcast
recor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6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60031A (ko
Inventor
임진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26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659B1/ko
Priority to US13/617,577 priority patent/US9191706B2/en
Priority to CN2012104073731A priority patent/CN103139650A/zh
Priority to EP12190147.4A priority patent/EP2600610A3/en
Publication of KR20130060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00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18Detecting physical presence or behaviour of the user, e.g. using sensors to detect if the user is leaving the room or changes his face expression during a TV progr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4Record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04N21/4335Housekeeping operations, e.g. prioritizing content for deletion because of storage space restri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8Scheduling content for creating a personalised stream, e.g. by combining a locally stored advertisement with an incoming stream; Updating operations, e.g. for OS modules ; time-related management operations
    • H04N21/4583Automatically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e.g. when a recording by reservation has been programmed for two programs in the same time sl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8Data services, e.g. news ticker
    • H04N21/4882Data services, e.g. news ticker for displaying messages, e.g. warnings, rem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판단 결과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Display appratus and method for reserved viewing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방송 컨텐츠에 수신하여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사용자들은 디스플레이 장치의 예약 시청 기능을 이용하여 원하는 컨텐츠를 잊지 않고 시청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약 시청 기능이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시청하고자 하는 방송 컨텐츠를 볼 수 있도록, 원하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 예약하고, 예약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에 자동으로 채널전환이 이루어져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하지만, 종래의 예약 시청 기능은 예약된 채널로 채널을 전환할 뿐이라는 점에서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면, 큰 실익이 없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더라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고,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삭제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GUI를 통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고, 상기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은,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판단 결과에 따라,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상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도록 상기 감지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상기 GUI를 통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고, 상기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고,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녹화된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하게 되더라도 녹화된 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추후에 제공할 수 있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시청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TV, 셋탑박스, DVD 플레이어, 이동 단말, 데스크 탑 PC 및 랩탑 PC 등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는 전자 기기라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10), 제어부(120), 감지부(130) 및 디스플레이부(14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는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
여기에서, 예약 시청이란,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특정 시각에 방송되는 방송 컨텐츠를 시청할 수 있도록,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이 도래하면 자동으로 예약 시청이 설정된 채널로 전환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한편, 사용자는 다양한 방식으로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예약 시청을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 방송 종료 시간 및 채널 번호를 입력하여 예약 시청을 설정할 수 있으며,다른 예로, EPG 상에서 방송 컨텐츠 단위로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입력부(110)는 터치스크린, 터치패드, 키버튼, 키패드 등으로 구현되거나 리모콘과 같은 원격제어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 외에도 채널 선국 명령, 볼륨 조절 명령, 녹화 명령 등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다양한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 요소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점부터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구비된 별도의 저장매체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연결된 외부저장매체에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점에,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수행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를 수행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면, 제어부(120)는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감지부(130)는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할 수 있다.
즉, 감지부(13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점부터 방송 종료시점까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기설정된 시간 간격 및 사용자가 부재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가능하다
이를 위해, 감지부(130)는 열감지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점이 도래하면, 해당 방송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14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수행 여부를 문의하는 GUI, 녹화된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 녹화된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 및,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 등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디스플레이부(14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의 형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패너(미도시) 및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동하는 패널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판단 결과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20)는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도록 감지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함이다.
즉,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녹화 완료 GUI는 사용자가 GUI를 확인 가능한 시점까지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방송되는 동안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으며 방송 종료 시점에도 존재하지 않는 사용자에게,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녹화되었음을 알려, 해당 컨텐츠의 추후 시청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한편,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제어부(120)는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내부 저장 매체(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미도시)에 저장된,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타임 쉬프트 기능을 이용하여 처음부터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녹화 명령에 따라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하고,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즉,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고 있던 사용자가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 명령을 입력하면, 제어부(120)는 방송 시작 시점부터 녹화가 수행되어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고,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여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제어부(120)는 방송 시작 시점부터 녹화가 수행되어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것인지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여, 사용자 선택에 따라 방송 시작 시점부터 녹화가 수행되어 저장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계속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일부 방송 컨텐츠의 경우(예를 들면, 스포츠 방송 컨텐츠), 방송 시간이 예정된 시간보다 연장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EPG 상에서 방송 컨텐츠 단위로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한 경우 해당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시까지 예약 시청이 유지되므로, 이후 예약 시청된 방송 컨텐츠와 방송 시간이 일부 중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EPG 상에서 "CH11"를 통해 방송되는 "2011~2012 MLB"를 예약 시청을 설정하고 "2011~2012 MLB"의 방송 종료 예정 시간에 "CH9"를 통해 방송되는 "슈렉"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였지만, "2011~2012 MLB"의 방송 종료시간이 예정된 시간보다 연장된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2011~2012 MLB"의 방송 종료시간이 연장된 시간만큼 "CH9"를 통해 방송되는 "슈렉"의 방송 시간과 중복되게 된다.
이에 대해,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중복되어 "슈렉"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별도의 통신 인터페이스부(미도시)를 제어하여,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로 해당 사실을 알리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내부 저장 매체(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미도시)에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기 위한 여유 공간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해당 방송 컨텐츠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하지만,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마련된 내부 저장 매체(미도시)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와 연결된 외부 저장 매체(미도시)의 여유 공간이 부족함을 알리는 GUI를 디스플레이부(140)에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제어부(120)는 EPG 정보에 기초하여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와 동일한 타이틀을 가지지만,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간 이후에 시작되는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부(110), 제어부(120), 감지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수신부(150), 신호분리부(160), A/V 처리부(170), 저장부(180)를 포함한다. 한편, 도 2를 설명함에 앞서, 도 1과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 구성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이들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수신부(150)는 복수의 채널을 통해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수신부(150)은 방송국, 위성 또는 외부입력 기기 등으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복조한다. 여기에서, 방송 신호는 각 채널을 통해 방송국, 위성 또는 외부입력 기기에서 입력되는 방송 컨텐츠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부(150)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튜너가 될 수도 있고, 외부입력 기기로부터 영상을 입력받기 위한 A/V 인터페이스가 될 수도 있다. 또한, 경우에 따라, 수신부(150)는 복수 개의 튜너를 구비하여 복수 개의 채널에서 동시에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신호분리부(160)는 방송 신호를 비디오 신호, 오디오 신호 및 방송 정보로 분리한다. 여기에서, 방송 정보는 각 채널에 대한 EPG(Electronic Programming Guide)를 포함하며, EPG는 방송 컨텐츠의 타이틀, 방송 채널, 채널 명, 방송 시간, 방송 콘텐츠의 간략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A/V 처리부(170)는 신호분리부(160)에서 입력되는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에 대해 비디오 디코딩, 비디오 스케일링, 오디오 디코딩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디스플레이부(140) 및 오디오 출력부(미도시)에서 출력가능한 형태로 처리한다.
저장부(18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동작시키기 위해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 등이 저장되는 저장매체로서, 메모리, HDD(Hard Disk Drive) 등으로 구현가능하다. 특히, 저장부(180)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면 해당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부터 방송 종료시까지 해당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210). 예를 들어, 예약 시청을 설정하고자 하는 특정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간, 방송 종료 시간 및 채널 번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명령 또는 EPG 상에서 방송 컨텐츠 단위로 특정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이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한다(S220). 즉,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시점부터 녹화를 수행하여, 저장 매체에 해당 방송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230). 구체적으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할 수 있다.
즉,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시점부터 방송 종료시점까지,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감지하여, 해당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열 감지 센서 및 움직임 감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판단 결과에 따라,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S24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고, 그에 기초하여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결정한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을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는다(S305).
이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시작하며,(S310). 그리고,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녹화가 시작된 이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테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한다(S315). 즉,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기간 간격마다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경우(S315-N),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S325). 이 경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고,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삭제에 동의하지 않으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S315-Y),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시점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330).
이에 따라, 방송 종료 시점에 사용자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S330-N),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방송 종료 시점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되면(S330-Y),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340).
그리고,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라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S340-Y),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S345). 다만, 사용자가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원치 않는 경우(S340-N),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함에 앞서, 해당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할지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이 입력된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예약 시청 녹화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S350).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S350-Y), 녹화 명령에 따라, 녹화 명령이 입력됨 시점부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고,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할 수 있다(S355).
한편,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는 경우, 본 실시 예에 따른 예약 시청 녹화 방법에 따르면 해당 방송 컨텐츠의 시작 부분부터 시청을 유도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S360-Y),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한다(365).
그리고,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에 동의하는 사용자 명령에 따라, 타임 쉬프트 기능을 이용하여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처음부터 재생할 수 있다(S370).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예약 시청 녹화 방법은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 장치로 해당 사실을 통지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예약 시청 녹화 방법은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추후에라도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시청을 유도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와 관련된 G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10에서, 사용자는 "CH11"을 통해 특정 시간에 방송되는 "슈렉"에 대해 예약 시청을 설정하였으며, "슈렉"에 대한 방송 시작시간이 도래하여, 디스플레이부(410)를 통해 "슈렉"을 출력하며 녹화하고 있는 경우이다.
먼저,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 설정된 "슈렉"을 삭제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GUI 형태(420)로 디스플레이부(41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었지만, 추후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 존재하는 경우에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출력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고 추후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도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사용자에게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 설정된 "슈렉"이 녹화 완료되었습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GUI 형태(430)로 디스플레이부(41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 설정된 "슈렉"을 시청하시겠습니까?"와 같은 메시지를 GUI 형태(440)로 디스플레이부(41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약 시청 설정된 "슈렉"의 예약 시청이 불가합니다."와 같은 메시지를 GUI 형태(450)로 디스플레이부(410)의 일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송 컨텐츠의 예약 시청 설정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저장매체, 즉,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라피디스크,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10 : 입력부 120 : 제어부
130 : 감지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수신부 160 : 신호분리부
170 : A/V 처리부 180 : 저장부

Claims (22)

  1.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에 있어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고 상기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를 위한 제1 그래픽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고 상기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위한 제2 그래픽 아이템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그래픽 아이템을 통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아이템은 상기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고, 상기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송 컨텐츠를 녹화하는 방법.
  12.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
    사용자의 존재를 감지하는 센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를 수행하고, 상기 센서에서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방송 컨텐츠를 시청하는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판단하며,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고 상기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존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를 위한 제1 그래픽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고,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하였고 상기 방송 컨텐츠의 종료 시점에 상기 사용자가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시청을 위한 제2 그래픽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있는지 여부를 기설정된 시간 간격마다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경우가 없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의 삭제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며, 상기 GUI를 통해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수행되는 동안 상기 사용자가 소정 시간 이상 부재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방송 컨텐츠가 종료된 시점에 상기 사용자의 존재 여부를 추가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그래픽 아이템을 통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그래픽 아이템은 상기 방송 컨텐츠의 녹화 완료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의 방송 종료 전에 부재중이던 사용자가 감지되면, 상기 녹화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시청 여부를 문의하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시작된 후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녹화 명령에 따라 상기 녹화 명령이 입력된 시점부터 상기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재수행하고, 상기 기녹화된 방송 컨텐츠를 삭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간 중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는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적어도 2개의 방송 컨텐츠 중 적어도 하나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예약 시청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GUI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에 대한 녹화가 불가능한 경우, 상기 예약 시청이 설정된 방송 컨텐츠의 방송 시작 이후에 시작되는 동일한 방송 컨텐츠에 대해 녹화를 수행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10126311A 2011-11-29 2011-1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KR101853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311A KR101853659B1 (ko) 2011-11-29 2011-1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US13/617,577 US9191706B2 (en) 2011-11-29 2012-09-14 Display apparatus and scheduled viewing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CN2012104073731A CN103139650A (zh) 2011-11-29 2012-10-23 显示装置和使用显示装置的计划观看设置方法
EP12190147.4A EP2600610A3 (en) 2011-11-29 2012-10-26 Display apparatus and scheduled viewing setting method us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6311A KR101853659B1 (ko) 2011-11-29 2011-1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0031A KR20130060031A (ko) 2013-06-07
KR101853659B1 true KR101853659B1 (ko) 2018-05-04

Family

ID=476300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6311A KR101853659B1 (ko) 2011-11-29 2011-11-29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191706B2 (ko)
EP (1) EP2600610A3 (ko)
KR (1) KR101853659B1 (ko)
CN (1) CN103139650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667007B2 (en) * 2014-01-22 2020-05-26 Lenovo (Singapore) Pte. Ltd. Automated video content display control using eye detection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13A (ja) * 1998-12-01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JP2006101018A (ja) * 2004-09-28 2006-04-13 Sharp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を用いた放送番組自動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95867A1 (en) * 2005-02-16 2006-08-31 Mitsuru Takehar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220972A1 (en) * 2005-08-08 2010-09-02 David Alan Bryan Presence and proximity responsive program display
US20100329645A1 (en) * 2009-06-30 2010-12-30 Tatsuro Sakamoto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thod
US20110150429A1 (en) * 2009-12-18 2011-06-23 Yoshihiro Kaneko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recording and playback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8320B2 (ja) 1996-12-18 2005-01-12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及び記録再生方法
KR100219635B1 (ko) 1997-03-14 1999-09-01 윤종용 예약된 방송 채널의 전환방법 및 그에 따른 전환장치
KR19980085988A (ko) 1997-05-30 1998-12-05 배순훈 위성 방송 수신기의 예약 녹화 제어 방법
JP3776791B2 (ja) * 2001-11-27 2006-05-17 株式会社東芝 番組録画方法、番組録画装置
KR20060029438A (ko) 2004-10-01 2006-04-06 삼성전자주식회사 텔레비전 장치
KR20070110670A (ko) 2006-05-15 2007-11-20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Pvr 장치에서 타임 쉬프트 기능을 이용한 복수 채널예약 녹화 방법
US7660837B2 (en) * 2006-06-30 2010-02-09 Broadcom Corporation Method for automatically managing disk fragmentation
JP4906564B2 (ja) * 2007-04-04 2012-03-28 キヤノン株式会社 記録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10016492A1 (en) 2009-07-16 2011-01-20 Gemstar Developmen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forwarding media asset events
JP2011040937A (ja) 2009-08-10 2011-02-24 Revsonic Kk 機器連動制御装置、及び電子機器
US20110070819A1 (en) 2009-09-23 2011-03-24 Rovi Technologie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minders associated with detected user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75113A (ja) * 1998-12-01 2000-06-23 Sanyo Electric Co Ltd デジタルテレビ放送受信機
JP2006101018A (ja) * 2004-09-28 2006-04-13 Sharp Corp 携帯端末、携帯端末を用いた放送番組自動記録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60195867A1 (en) * 2005-02-16 2006-08-31 Mitsuru Takehara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20100220972A1 (en) * 2005-08-08 2010-09-02 David Alan Bryan Presence and proximity responsive program display
US20100329645A1 (en) * 2009-06-30 2010-12-30 Tatsuro Sakamoto Program recording apparatus and program recording method
US20110150429A1 (en) * 2009-12-18 2011-06-23 Yoshihiro Kaneko Recording and playback device, recording and playback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recording and playba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191706B2 (en) 2015-11-17
KR20130060031A (ko) 2013-06-07
US20130136422A1 (en) 2013-05-30
EP2600610A3 (en) 2015-08-12
EP2600610A2 (en) 2013-06-05
CN103139650A (zh) 2013-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6095718A1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US20070216667A1 (en) Content output system, information display apparatus, content output apparatus, and content information display method
US8351760B2 (en) Controller, recording device and menu display method
JP2008078961A (ja) 映像表示装置
KR20100135144A (ko) 방송프로그램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방송프로그램 정보 제공 방법
JP5405096B2 (ja) 放送受信装置
KR10185365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예약 시청 설정 방법
JP6825767B2 (ja) 情報端末装置、レコーダ及びコンテンツ視聴プログラム
JP2008288725A (ja) 放送番組記憶システムおよび記憶装置
US7938753B2 (en)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US20130312033A1 (en) Method for scheduling a broadcast based on viewing time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JP4910058B2 (ja) 電子機器及び録画制御方法
JP4693802B2 (ja) 映像表示装置
JP2005184093A (ja) 番組録画再生システム、番組録画再生サーバ、番組受信端末及び番組表生成方法
JP4816576B2 (ja) 録画装置
JP5888157B2 (ja) レコーダシステム、及びレコーダ装置
JP5294552B2 (ja) 映像表示装置,録画再生装置
JP2004349944A (ja) ハードディスクレコーダ
JP2008211408A (ja) 情報記録再生装置
KR20060078654A (ko) 방송 프로그램 녹화 방법, 재방송 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1596959B1 (ko) 방송 프로그램을 녹화하는 디스플레이장치의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을 채용한 디스플레이장치
US20070277206A1 (en) Reproduc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image display apparatus
JP5479685B2 (ja) 番組録画システム
JP2009027533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9033290A (ja) デジタル放送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