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419B1 - 건물 방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물 방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419B1
KR101853419B1 KR1020157027522A KR20157027522A KR101853419B1 KR 101853419 B1 KR101853419 B1 KR 101853419B1 KR 1020157027522 A KR1020157027522 A KR 1020157027522A KR 20157027522 A KR20157027522 A KR 20157027522A KR 101853419 B1 KR101853419 B1 KR 101853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bar
flame
bar
heat insulating
insulat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27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651A (ko
Inventor
한스-디에테르 미덴도르프
스테판 슈웜
Original Assignee
쌩-고뱅 이소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쌩-고뱅 이소베 filed Critical 쌩-고뱅 이소베
Publication of KR2015012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1/943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long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건물 방화 시스템은 인화성의 열가소성 단열재를 포함하는 보드를 가지며, 상기 인화성의 열가소성 단열재는 화재 전파에 대항하여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커버링을 끊는 화염 바를 갖는다. 이 시스템에서,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은 건물 벽 방향으로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건물 방화 시스템{SYSTEM FOR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본 발명은 인화성 또는 가연성의 단열판을 포함하는 건물용 단열 외부 커버링에 관한 것이다. 특히, 열가소성 단열재로 만든 단열판에 관한 것이다. 특히, 건물 벽에 부착되는 발포 폴리스티렌(EPS)과 같은 경질 단열 발포재에 관한 것이다. 특히, 청구항 1의 전제부에 따른다.
상기 타입의 경질 발포 보드로 만든 단열 커버링은 통상적으로 알려져 있다. “인화성 물질”, 즉 직접적인 화염 충격 하에서만 불이 붙는 물질 또는 “가연성 물질”, 즉 특정 온도 하에서 스스로를 태움으로써 불이 붙는 물질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들로 인해, 독일의 건축 법규 혹은 주 건축 법규 등의 의무 기준들에서, 해당 시스템의 인화성로 인해, 7 m 높이의 빌딩부터 22 m 높이의 빌딩에 이르기까지 (4등급 및 5등급 빌딩) “방염”물질의 사용이 의무화되었다. 상기 방염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일반적으로 불연성 물질로 만든 화염 바들을 특정 배열 및/또는 특정 간격으로 단열층에 삽입하였다. 실제적인 적용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화염 바로 만든 연속층 또는 환형 층이 특히 사용되고 있으며, 문, 창문 등 건물 정면에 있는 각각의 개구부 위에 화염 바를 도포하는 것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개구부 위에 배열되기 위해, 화염 바에 안전 문틀이 주어진다. 상기 타입의 화염 바 또는 안전 문틀의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광질면(mineral wool)이다. 특히, 50 내지 180 ㎏/㎥의 밀도를 갖는 암면(rock wool)이 바람직하다. 그 밖에, PUR, 페놀 수지 폼 또는 폴리이소시아누레이트 폼(PIR)과 같이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로 만든 화염 바들이 잘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독일특허 DE 25 51 121 또는 DE 20 2008 001 750 U1을 보면, 화염 바가 직사각형 단면을 갖는 광질면, PUR 또는 PIR 경성 발포재로 만들어져, 외부 건물 벽에 도포되는 경질 발포 보드의 하부층에 쉽게 도포될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단열판의 추가적인 층이 화염 바 층에 쉽게 도포될 수 있다.
접착 증강제를 사용하여 치장 벽토 베이스 및 외부 치장 벽토와 함께 일반적으로 치장 벽토 캐리어를 포함하는 치장 벽토 층을 도포한 뒤, 상기 화염 바는 상기 건물 벽과 상기 치장 벽토 사이에 불연성 차단층을 형성한다. 따라서, 인화성 또는 가연성의 단열판으로 만든 단열층은 수직 방향으로 특정 섹션들로 나누어져, 효과적으로 화염 전파를 지연시킨다. 상기 단열층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화염 바와 도포된 치장 벽토를 포함하는 전체 시스템은 복합 단열 시스템으로 불린다. 연방 건축 법규나 주 건축 법규에 포함되어진 구체적인 기술 정보는 동업 조합 Waermedaemm-Verbundsysteme e.V.에 의해 기술 시스템 정보 6“WDV-Systeme zum Thema Brandschutz”로부터 유추할 수 있다.
복합 단열 시스템은 인증을 받아야 하며, 시스템 판매자 또한 추가적인 시스템 특성과는 별도로 전체 시스템이 특정 방화 요건을 준수하고 있음을 증명해야 한다. 여러 시스템 제공자들에게 주어지는 인증서들은 치장 벽토로 피복된 건물 정면이 불에 노출되었을 때 불연성 화염 바가 상기 요건들을 충족하며 화염 전파를 지연시키거나 방지함을 보여준다.
최첨단 기술을 보면, 화염 바 일체형 단열 보드가 알려져 있다(오스트리아 특허 AT 005 285 U1). 여기서, 경질 발포 단열판, 특히 발포 폴리스티렌은 피복될 건물 벽을 향하는 면에 리세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불연성 단열재, 특히 광질면이 상기 리세스에 끼워 맞춤된다. 여기서, 상기 리세스의 옆면은 언더 커트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경질 발포 단열 보드의 리세스 내에 상기 화염 바 물질을 안전하게 잡아 둘 수 있다. 상기 벽을 향하고 있는 면을 제외하고는, 상기 가연성 단열재는 상기 단열판의 물질로 완전히 피복되어, 특히 치장 벽토로 도포된 균일한 물질 표면을 제공한다. 상기 단열판이 경질 발포 보드에 자리 잡은 광질면 보다 밀도가 낮은 발포 폴리스티렌을 포함하고 있어서, 상기 단열 보드의 바닥 부분이 쉽게 변형될 수 있다는 위험이 존재한다. 이는 상기 보드의 설치를 손상시킬 수 있으며, 이는 또한 상기 경질 발포 보드에 끼워져 있는 상기 화염 바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도 있다.
이러한 결함들은 폴리스티렌 경질 발포 판에 완전히 끼워진, 특히 포밍을 통해 완전히 끼워진 화염 바에 의해 독일특허 DE 20 2005 000 129에서 극복된다. 따라서, 상기 단열판이 변형되거나 불룩하게 됨 없이 상기 화염 바 층을 안전하게 끼워 넣을 수 있다. 여기서 끼워 넣는데 사용되는 물질은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광질면, 예를 들어 PUR 또는 PIR이다. 상기 끼워진 화염 바의 한 면은 상기 건물 벽을 기준으로 기울어져 있어서 화재 발생시 용해된 단열재를 위한 집진 대야가 형성된다.
상기 시스템은 지나치게 고가이고 방화가 충분하지 못하다는 이유로 실제적인 적용에는 성공적이지 못했다. 상기 발포 판의 화재 용융 물질의 경우, 그것은 전면의 아래 방향으로 흘러내릴 수 있으며, 상기 화염 바의 아래에 배열된 단열판에 불을 붙일 수 있다.
건축 현장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때, 일반적으로 상기 화염 바를 포함하는 단열 커버링은, 예를 들어 접착재 및/또는 앵커(anchor)를 통해, 우선적으로 건물 벽의 전체 표면에 도포되어 부착된다. 그 뒤, 치장 벽토 팀이 별도로 치장 벽토를 도포한다. 건물 벽을 단열처리하는 것과 치장 벽토를 피복하는 것 사이에는 수 일 또는 수 주의 시간 간격이 있을 수 있다. 이 기간 동안, 상기 인화성 또는 가연성의 단열판들은 피복되지 않고 열려진 채로 남겨져 있다.
상기 타입의 개방 커버링에서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상기 화재는 하나의 섹션으로부터 그 섹션 위에 배열된 또 다른 섹션으로 쉽게 전파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상기 화염 바의 전면에는 아직 치장 벽토가 도포되지 않았기 때문에 상기 화염 바는 상기 전면을 건너 뛸 수 있다.
상기 문제에 비추어, 본 발명의 목적은, 아직 치장 벽토로 피복되지 않고 가연성 또는 인화성 물질로 만들어진 개방 커버링에서 화염 전파를 늦추는 시스템으로, 간단한 방법으로 생산되고 부착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1에 기재된 구성을 포함하는 시스템을 통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종속항 2 내지 9의 목적이다. 유리한 방법 및 유리한 화염 바는 청구항 10과 11로부터 도출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열판으로 만든 건물 정면을 효과적으로 방화하는데 여러가지 요소들이 관여한다는 사실에 기초하는데, 여기서 단열판은 특히 치장 벽토를 도포하기 전에 열가소성 단열재로 만들어졌다. 상기 화염 바를 사용하여 화재 충격으로 인해 형성된 용융체를 상기 단열판으로부터 집진하는 기능에 있어서 안전성을 고려해야 하는데, 한편으로, 이는 상기 화염 바를 사용하여 고도로 상기 용융체를 집진하기 위해서이고, 다른 한편으로, 이는 가능한 멀리 상기 화염 바에 걸쳐서 아래 방향으로 상기 용융체가 흐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는 상기 화염 바에 의해 달성되는데, 상기 화염 바는 비인화성 또는 내열성 물질, 즉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로 만들어졌으며,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은 상기 단열판에 의해 상기 화염 바 위에 형성된 용융체를 건물 벽 방향으로 배출시키고, 상기 화염 바에 의해 이를 방화에 충분한 시간 동안 보유하도록 설계된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면은 상기 치장 벽토 층을 향해 바깥으로 기울어지기보다는 건물 벽을 향해 안쪽으로 기울어진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한편으로, 상기 경사면은 용융체를 바깥쪽 보다는 건물 벽 방향으로 안내하는 배출 기능에 관여하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기울어진 형태로 인해, 건물 벽 방향으로 수집 챔버가 형성되는데, 이 수집 챔버는 적절한 방화 조치를 소방서에 의해 취할 때까지, 충분한 시간 동안 형성된 용융체를 보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화염 바의 면에서 바로 시작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데, 상기 화염 바는 건물 벽을 향해 대각선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이는 모든 단계들로 하여금 녹은 단열재가 상기 화염 바의 면을 걸쳐서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조치는 화재를 억제시키거나 소화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때까지 화재의 전파를 효과적으로 지연시킨다. 이와 관련하여, 건물들은 단계들로 이루어진 공정을 통해 건축되어야 한다. 이는 건물 정면 피복을 위한 상기 단열판은 후속 공정 단계에서 단열판이 전체적으로 치장 벽토가 피복되기 전에, 도포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상기 후속 공정 단계는 보통 수 일 또는 심지어 수 주 뒤에 큰 건물에 대해서만 행하여진다. 이 기간 동안, 종래의 방화 조치에 따르면, 상기 제공된 화염 바들은 효과적으로 화재 전파를 막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질적인 안전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는 그의 전체 원주에 걸쳐서 칠해져 있지 않다. 이는 코팅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하며, 즉 방화 코팅 및 유사 물질들로 도포되지 않음을 의미한다. 이는 생산 비용 면에 있어서 유리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칠해져 있지 않음은 상기 화염 바가 피복되어 있지 않음을 의미한다. 특히, 이는 상기 화염 바가 단열판과 일체형이 아니라, 말하자면 상기 화염 바의 모든 외부 표면들이 상기 화염 바 자체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졌음을 의미한다. 상기 물질은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로, 특히 PUR이나 PIR, 실리케이트 피복 발포 폴리스티렌, 페놀 수지 발포 폼 등과 같은 경질 발포 폼 또는 불연성 물질이다. 따라서, 상기 화염 바의 상기 전면은 상기 커버링에 치장 벽토를 도포하기 위해 치장 벽토 캐리어로 사용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화염 바의 전면 표면에 결합되어 있는 상기 치장 벽토를 증진시키는데 적절한 물질 또는 유사 물질이 제공될 수도 있다. 이는 본 발명에 있어서 칠해져 있지 않음은, 상기 정의에 따라서, 상기 화염 바의 외부 표면은 상기 화염 바 자체와 동일한 물질로 만들어졌음을 의미함을 의미한다. 이는 상기 화염 바의 전면 아래로 흘러내리는 최신식의 기술과 대비하여, 건물 벽을 등지는 방향으로의 흘러내림은 상당히 막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화염 바의 전면은 인접한 단열판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연성 물질은 매끈한 표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경사면에 대비하여, 상기 면의 기공율에 의해 증가된 수집된 발포 폴리스티렌-용융체의 고운 분포 및/또는 표면상의 들러붙음이 제외되었으며, 이로써 화재 특징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충분히 매끈한 표면을 갖는 적절한 불연성 물질은 독일 공업 규격 위원회 DIN EN 1936에 따라 20 부피% 미만의 노출 기공율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0 부피% 미만의 노출 기공율을 갖는다. 예를 들어, 석고 주물, 테라코다, 도자기류 등이 그것이다. 내열성 물질, 즉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 특히 PUR, PIR, 실리케이트 피복 발포 폴리스티렌과 대비하여, 상기 불연성 물질이 대개는 상당히 낮은 단열 특징을 갖기 때문에, 보통 덜 선호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화염 바의 전체 면을 따라 연장되는데, 이는 건물 벽에서부터 정형의 외부 표면 벽까지를 의미한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화염 바의 일부 두께에 걸쳐서 제공된다. 특히, 상부 및/또는 하부 단에서 나와 어깨부를 관통하여 상기 화염 바의 측면으로 흘러들어간다. 따라서, 그 위에 배열된 단열판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정지 또는 접촉 표면을 형성하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화염 바의 수집 기능에 있어서, 상기 면이 70° 미만의 각도로,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60°의 각도로, 그리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50°의 각도로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에 인접하는 단열판은 단열판의 바닥 쪽에 형성되어 상기 화염 바의 상부 쪽에 맞춰지도록 구성된다. 이로써, 상기 단열판은 출구 방향에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된다. 특히 필요에 따라 한쪽 면 또는 양쪽 면 모두에 어깨부가 제공되는 각각의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중개 어깨부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에 인접하여 코너 요소들이 제공되어, 화염 바와 그 바로 위에 배열되는 단열판 사이에 가교 요소로 사용된다. 따라서, 추가로 종래의 단열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상기 화염 바에 따라 구성될 필요가 없는 판형의 직육면체 구조를 갖는다.
상기 타입의 코너 요소는, 유리하게는, 상기 단열판의 물질로 구성된다. 이는 상기 화염 바와 인접하는 경우, 종래의 단열판이 상기 화염 바 또는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에 따라 구성될 필요가 없다는 장점을 갖는다. 유리하게는, 상기 코너 요소는 상기 화염 바가 직육면체로 형성되도록 도와주어, 일반적인 직육면체 모양의 단열판이 그와 인접하여 그리고 그 위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준다. 특히, 공장에서 상기 코너 요소로 상기 화염 바들을 조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염 바들을 접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유리하게는 건축 현장에서 직육면체 모양의 구성요소를 사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상기 화염 바의 두께, 즉 상기 화염 바가 커버링으로 설치되는 건물 벽에 수평인 방향으로 상기 화염 바의 규격은 상기 화염 바의 위 아래에 위치하는 상기 단열판의 두께에 대응한다. 이 점에 있어서, 유리하게는 건물 벽 상의 설치 위치에 있는 상기 화염 바의 면이 상기 커버링의 인접 외부 표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어, 외부 치장 벽토 도포를 위해 지속적으로 매끈한 표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두께 규격은 상기 단열판이 상기 화염 바에서 뻗어 나오지 않도록 해주어, 화재 발생시, 기본적으로 용융체가 방해 받지 않고 아래로 떨어질 수 있도록 해준다.
결국, 본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10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라 구성된 화염 바를 제공하는데, 이는 상기 용융체가 적절한 보유 기능을 갖도록 해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화염 바를 포함하는 방화 시스템, 각 단열재를 탑재하는 방법, 상기 타입의 화염 바를 사용하는 단열판을 포함하는 건물 정면 커버링, 및 화염 바 자체를 청구한다.
하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면과 함께 대략적으로 설명된다.
도 1은 건물 벽에 있는 화염 바를 포함하는 방화를 위한 건물 정면 커버링의 일부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염 바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16은 화염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수직 단면도 및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른 일 실시예에서, 도면 부호 1은 건물 벽을 나타내고, 도면 부호 2는 상기 건물 벽의 정면 커버링을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건물 벽은 방화를 위해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독립된 건물들은 화염 바의 환형 층을 구비하는데, 상기 층들은 건물 높이에 따라 복수 개의 오프셋 층을 갖는다. 두 개의 별도의 건물들 사이에 있는 틈에 세워진 건물의 경우, 화염 바의 각 연속층이 건물 정면 단열에 제공된다. 도 1은 단열판을 포함하는 단열층을 끊고 화재 전파를 방지하는 화염 바(3)를 포함하는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정면 커버링(2)은 발포 폴리스티렌(EPS)로 만든 경질 발포 판으로부터 형성되고, 이는 일반적인 방법, 즉 접착제 및/또는 앵커를 통해 건물 벽(1)에 부착된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화염 바(3)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든 하부 단열판(4)과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든 상부 단열판(5) 사이에 배열되며, 상기 단열판(5) 위에 또 다른 단열판(6)이 존재한다. 상기 화염 바(3)를 포함하는 상기 단열판들은 차곡차곡 포개어져 상기 단열판들 사이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동일한 평면 상에 위치한다. 또한, 상기 화염 바(3)는 통상의 방법으로, 즉 접착제 및/또는 앵커 또는 못 등을 통하여 상기 정면 벽(1)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3)는 폴리우레탄으로 만들어졌으며 수집 장치를 구비하고 이는 도면 부호 7로 통칭된다. 이로써, 적어도 적절한 시간 동안 상기 용융 단열재를 가둬두고 보유할 수 있게 되어, 화재 발생 시, 즉 상기 상부 단열판(5 및 6)에 불이 붙을 경우, 상기 건물 벽(1)으로부터 바깥 방향으로 상기 화염 바(3)의 외부 표면(8′) 쪽으로의 흐름을 방지하고 거기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떨어져 나옴을 방지한다. 위와 같이 화재 충격 하에서 녹은 상기 단열재를 보유하고 가둬두는 통제 조치를 통해, 치장 벽토를 도포하지 않고도, 즉 상기 단열 건물을 중재하는 조건 하에서 상기 화염 바(3)에 의해 화재 전파를 효과적으로 완화시킨다.
도 1 및 2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수집 장치(7)는 경사면(9)에 의해 형성되는데, 이 경사면은 피복되는 건물 벽(1)을 향해 내측 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위에서 아래로 연장된다. 이는 수집하고 가둬두는 기능 및 상기 편향 장치가 용융 단열재를 가능한 오랫동안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에서 보유하고 수집하도록 한다는 핵심 아이디어에 대한 장점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9)의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1
는 수평선을 기준으로 45°이다. 상기 경사면(9)의 각도가 가파를수록, 상기 용융체를 가두는 대야는 더 커지며, 상기 경사각이 커질수록, 상기 화염 바(3)는 더 예각을 가져, 상기 화염 바의 예각 에지에서 상기 화염 바를 이동시키거나 보관하는 동안 파손될 위험에 놓인다. 따라서, 상기 경사면(9)의 각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다.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을 형성하는 상기 경사면(9)에 의해 형성되는 수집 장치(7)에서, 도시된 실시예에는 단열판(5)이 연결되어 상기 단열판의 하부 면이 상기 화염 바의 상부 면과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어, 예를 들어 각각의 경사각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는 상기 화염 바(3)의 경사면(9)과 같이 하우징 벽(1)을 향한 쪽에서부터 상기 단열판(5)의 바깥으로 끊임없이 연장된다.
도 1에 따르면, 상기 화염 바(3)의 옆면 또는 수직 단면은 화염바(3)와 연결되기 위해 하부 면에 대하여 상호보완적으로 구성되어지는 상기 단열판(5)과 같이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화염 바(3)의 실시예에 따라, 상기 화염 바의 두께, 즉 상기 하우징 벽(1)에 직각인 치수는 대략 100 내지 500 mm 이며, 외부 옆면(8)의 높이는 대략 200 내지 1000 mm 이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기 화염 바의 길이는 상기 화염 바의 일반적인 길이로, 이는 사용되는 단열판의 크기에 따라 선택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의 길이는 예를 들어 625 mm이며, 이들 화염 바의 길이는 보통 1200 mm 에 이른다.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화염 바(3)는 그들의 옆면, 즉 상기 인접 화염 바(3)에 이르는 옆면(12)과 동일 평면 상에 놓이게 되어, 연속층을 형성한다. 이로써 화염 전파에 대항하여 장벽을 형성하기 위해 차곡차곡 포개어져 있는 단열판으로 만든 층을 끊는다.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설명을 위해, 상기 화염 바(3)와 그 위에 배열되는 구성요소, 즉 상기 단열판(5) 사이의 거리가 도시된다. 이는 상기 화염 바(3)와 그 위에 배열되는 구성요소의 정면 윤곽을 강조하며, 이는 양면에 이중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실제로, 상기 상부 구성요소, 즉 상기 단열판(5)은 그 아래 배열되어 있는 상기 화염 바(3)에 확실히 똑바로 놓여 있다.
도 3 및 4의 실시예는 상기 상부면(9)의 구성에 있어서만 선행하는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는 경사면(9a)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화염 바(3)의 대부분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으나 끝부분은 평평하게 만들어져 상기 화염 바(3)의 양 옆면 부분에 어깨부(14a 와 14b)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면(9a)은 어깨부를 통해 상기 화염 바(3)의 대향하는 양쪽 외부 표면으로 전이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어깨부(14a 와 14b)는 상기 화염 바(3)의 옆면에 직각으로 연장되어 하우징 벽(1)에 이른다. 상기 어깨부의 두께 연장(L)(도 4)은 10 내지 20 mm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mm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화염 바(3)의 두께 d가 100 내지 400 mm 범위에 있는 경우, 10 내지 20 mm 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 mm 의 범위 내에서 이루어지나, 이들 범위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열판(5)은 그 하부 면과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되어, 도 3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화염바(3)와 접촉함으로써 경사면(11b) 및 어깨부(15a 와 15b)를 갖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의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2
는 30°이다.
도 5 및 6의 실시예에서, 상기 화염 바(3)의 수집 장치(7)는 경사면(9b)에 의해 형성되는데, 상기 경사면은 상기 화염 바의 전면으로부터 아래 쪽으로 연장되며 선행하는 실시예의 어깨부(14b)와 유사하게 형성되는 어깨부(14b)로 전이된다.
도 3 및 4에 따른 실시예의 두 어깨부(14a 와 14b)와 같이 상기 어깨부(14b)는 그 상부에 배열되는 경질 발포 요소(5)의 정지- 또는 접촉 표면으로 사용된다. 이는 도 5 및 6에 명확하게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 화염 바(3)의 면에 상호 보완적인 요소로 구성되어 전이 어깨부(15b)를 갖는 각각의 경사면(11b)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9b)과 상기 경사면(11b)에 대한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3
는 60°이다. 또한, 상기 어깨부(14b 와 15b)는 이에 따른 두께를 갖는다.
도 7 및 8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어깨부(14a)가 상기 화염 바(3)의 옆면(17)에만 제공되는 장치(7)를 도시한다. 여기서 상기 옆면은 커버링의 바깥측을 향해 있으며, 상기 편향 장치는 상기 화염 바의 하우징 벽까지 연장되는 경사면(9c)에 의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4
는 대략 45°이다. 또한, 위로부터 적용되는 상기 단열판(5)은 하부 면에도 각각 상호 보완적으로 구성되어 어깨부(15a) 및 경사면(11c)을 포함한다.
도 9 및 10에 따른 실시예에서, 상기 장치(7)는 도 1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어 전면에 걸쳐 이어지는 완전한 경사면(9)을 가지며, 상기 경사면(9)은, 예를 들어, 45°의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5
를 갖도록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0에 따른 본 실시예는 더 이상 단열판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 있어서 선행하는 실시예들과 다르다. 선행하는 실시예들에서 단열판은 상기 화염 바(3) 위에 연결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화염 바(3)의 장치(7)에 따라 구성되어야만 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보통의 직육면체 모양의 판 구조를 갖는 단열판을 사용할 수 있어, 상기 화염 바(3)에 있는 경질 발포 판을 연결하는데 더 이상 어떤 특별한 마감이 요구되지 않는다. 이는 코너 요소(20)를 사용함으로써 가능한데, 코너 요소는 상기 화염 바(3)와 같이 비인화성 또는 불연성 물질, 즉 광질면, 특히 코팅된 광질면으로부터 형성되며, 삼각형 모양의 단면을 갖는다. 상기 화염 바(3)를 향하는 상기 코너 요소(20)의 면은 상기 장치(7)에 맞도록 구성되었으며, 따라서 전 두께에 걸쳐 유사하게 연속적으로 구성되는 각각의 경사면(21)을 갖는다. 상기 코너 요소(20)의 연결 표면(22)은 도 9에 명확하게 도시하고 있듯이, 하우징 벽(1)과 직각이 되도록 안착 위치에 연장되어 있어, 전형적인 단열판들이 특별한 구성없이 상기 단열판(5)과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1 및 12에 따른 실시예는 상기 장치(7)가 도 3 및 4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구성되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선행하는 실시예와 유사하나,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6
는 45°이다. 이 점에 있어서, 상기 장치(7)는 도 11에 따라 경사면(9a)과 끝 어깨부(14a 및 14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코너 요소(20)는 발포 폴리스티렌으로 만들어졌으며 아래 부분에서 접촉 어깨부(15b)와 연결되는 경사면(21a)을 구비한다. 반면, 도 12의 코너 요소(20)에서 명확하게 알 수 있듯이, 상기 경사면(21a)은 윗 부분에서 예각을 갖고 상기 코너 요소(20)의 상부 면(22)으로 전이된다. 상기 코너 요소(20)의 조립 상태에서, 코너 요소의 상부 팁(23) 또는 상부 에지(23)는 상기 어깨부(14a)와 연결되고, 상기 코너 요소(20)의 상부 면(22)과 상기 어깨부(14a)는 동일 평면상에 있다. 따라서, 상기 코너 요소(20)와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은 서로 보완하여, 직육면체를 형성하고, 이후 상기 상부 단열판(5)이 그 위에 놓인다.
도 13 및 14에 따른 실시예는 도 5 및 6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한 상기 화염 바(3)의 구성과 상기 수집 장치(7)에 관한 것이다. 즉 상기 장치(7)가 경사면(9b)과 후면(8) 쪽으로 접촉 어깨부(14b)를 포함하며, 탑재된 상태에서, 상기 코너 요소(20)는 경사면(21b)과 함께 상기 경사면(9b)과 접촉하여, 상기 상부 면(22)이 스티로폼으로 만든 상기 상부 단열판(5)과 접촉- 또는 정지 표면을 형성한다. 두 경사면 모두 도시된 실시예에서 45°의 각도
Figure 112015096159437-pct00007
를 갖는다.
화염 바(3)에 관련된 도 15 및 16에 따른 실시예는 도 7 및 8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상기 장치(7)가 상기 화염 바(3)의 외부 표면(8)까지 연장되는 경사면(9c)에 의해 형성되며 그의 윗부분에는 접촉 어깨부(14a)를 갖는다. 따라서, 도 16 또한 상기 화염 바(3)를 도시하며, 여기서 코너 요소(20)는 맞춰서 구성된 삼각형의 섹션을 가지며, 탑재된 상태에서 화염 바(8)와 함께 직육면체를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단열판(5)은 상기 직육면체 위에 위치한다. 상기 경사면(21c)은 상기 코너 요소(20)에 대하여 연결되며, 따라서 어깨부 없이 구성된다.
도 9 내지 16에 따른 실시예는 화염 바(3)와 함께 직육면체를 형성하는 코너 요소(20)를 추가적으로 갖는다는 점에 있어서 유사하며, 이로써 특별한 구성 없이 단열판을 화염 바(3)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상기 화염 바(3)의 노출된 전면(8′)은 유리하게는 상기 단열판의 외부 표면과 동일 표면 상에 있으며, 이는 후속하는 치장 벽토 도포에 유리하다. 유리하게는, 상기 건물 벽과 마주하는 상기 화염 바(8)의 후면 또한 인접하는 단열 보드의 후면과 동일 표면 상에 있어 두 요소들의 두께는 서로 대응한다. 따라서, 상기 화염 방지 조치는 상기 단열판들이 제공하는 외부 구성을 바꾸지 않는다.
추가로, 본 발명은 추가적인 구성 선택사항들을 용이하게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상기 경사면은 유리한 평면 윤곽 이외에도, 볼록 및/또는 오목 윤곽을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화염 바는 상기 코너 요소와 함께 접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이 동시에 접착제로 사용될 수 있으며, 또는 적절한 난연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면은 계단 형상 또는 홈-키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면에 평행하는 계단 표면 또한 피복되어 있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계단 형상의 화염 바가 배열되어 코 부분이 건물 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건물 정면 커버링에 배열되어 직육면체 모양의 수집 장치를 형성한다.
1 : 벽 2 : 커버링
3 : 화염 바 4,5,6 : 단열판
7 : 수집 장치 8 : 외부 옆면
8' : 외부 표면 9,9a,9b,9c,11b,21a, 21b : 경사면
12,17 : 옆면 14a,14b,15a,15b : 어깨부
20 : 코너 요소 22 : 상부 면, 연결 표면

Claims (12)

  1. 인화성의 열가소성 단열재로 만든 단열판들로서, 접착제 및/또는 앵커를 통하여 건물 벽에 부착되는 경질 발포 판들로 만들어진 커버링이 외부 벽의 적어도 일부에 제공된 건물 방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커버링(covering)은 화염 바들의 적어도 하나의 연속층 또는 환형 층을 통하여 끊기고, 각 개구부 위에 화염 바를 포함하며,
    상기 화염 바는 불연성 물질, 및/또는 열 충격 하에서 안정적인 형태를 유지하는 물질로서의 PUR, PIR, 또는 실리케이트 피복 발포 폴리스티렌 중 하나 이상의 물질로부터 형성되며, 화재 발생 시 화염 전파에 대항하여 단열판들(4 내지 6)의 상부 층 및 하부 층 사이에 장벽을 형성하고,
    열가소성 단열재로 만든 상기 단열판들은 상기 화염 바 위 및/또는 아래에 배열되며, 상기 커버링은 치장 벽토(stucco)를 도포하기 위해 마련되며, 단열판(5)의 윗층을 향하는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은 외부 건물 벽(1)을 향하여 아래로 기울어진 경사면(9)을 가지고, 상기 건물 벽을 등지는 상기 화염 바의 상기 경사면(9) 및 전면(8′)은 칠해지지 않아서, 즉 코팅되어 있지 않고 커버링되어 있지 않아서, 상기 화염 바의 상기 전면은 치장 벽토가 바로 도포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9)은 70° 이하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9)은 화염 바의 전면(8′)에서부터 상기 건물 벽을 향하는 화염 바의 후면(8)에 이르기까지 상기 화염 바(3)의 전체 두께에 걸쳐서 또는 상기 화염 바의 일부 두께에 걸쳐서만 연장되며, 상기 경사면(9)의 앞 및/또는 뒤에 적어도 하나의 수평으로 연장되는 어깨부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는 상기 단열판(5)은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의 모양과 상호 보완적인 단열판의 하부 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코너 요소들(20)은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과 접촉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코너 요소들은 상기 화염 바 (3) 및 그 위에 배열되어 있는 상기 단열판(5) 사이에 가교 부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교 부재들은 단열판들(4 내지 6)의 단열재에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코너 요소(20)의 하부 면은 상기 화염 바(3)의 상부 면과 상호 보완적으로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바의 두께는 화염 바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배열되는 상기 단열판의 두께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염 바의 전면이 인접 단열판들의 전면과 동일 평면 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발포 판들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 중 최소한 하나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방화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건물 정면 단열을 구축하는 방법으로,
    적어도 단열판(4)의 하부 층이 상기 건물 벽(1)에 부착되고, 화염 바(3)의 층이 상기 단열판(4)의 상부 면에 배열되며, 상기 화염 바가 건물 벽에 부착되고, 화염 충격 하에서 녹은 단열재를 상기 화염 바의 면에서 보유하거나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화염 바(3)가 배열되며, 적어도 단열판(5 및 6)의 또 다른 하나의 층이 상기 화염 바(3) 위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청구항 1 내지 9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시스템에서 사용되기 위해, 인화성의 열가소성 재료인 경질 발포 판들로 만든, 단열판들로 만들어진 건물 정면 커버링을 위한 화염 바로서, 청구항 1 내지 9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따른 특징을 갖는 상기 경사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바.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발포 판들은 폴리스티렌 또는 폴리우레탄 중 최소한 하나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염 바.
KR1020157027522A 2013-03-05 2014-03-05 건물 방화 시스템 KR1018534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003796.4A DE102013003796A1 (de) 2013-03-05 2013-03-05 System für den Brandschutz von Gebäuden
DE102013003796.4 2013-03-05
PCT/EP2014/000554 WO2014135272A2 (en) 2013-03-05 2014-03-05 System for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651A KR20150127651A (ko) 2015-11-17
KR101853419B1 true KR101853419B1 (ko) 2018-05-02

Family

ID=502413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7522A KR101853419B1 (ko) 2013-03-05 2014-03-05 건물 방화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2964849A2 (ko)
KR (1) KR101853419B1 (ko)
DE (1) DE102013003796A1 (ko)
RU (1) RU2622277C2 (ko)
SA (1) SA515360984B1 (ko)
WO (1) WO2014135272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91A (ko) * 2017-11-06 2019-05-15 (주)유송엔지니어링 다층 구조를 가지는 복합단열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5850B1 (ko) * 2017-02-24 2019-03-08 (주)비온디 불연마감재료를 이용한 외단열 건축물의 화재안전보강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195A (ja) 1998-08-10 2000-04-25 Toray Ind Inc 構造体およびそれよりなる屋根又は壁および耐火断熱タイル
US20130011622A1 (en) 2010-03-19 2013-01-10 Ignucell Ab Insulating and draining board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26763U1 (de) * 1984-12-13 Lhc Loba-Holmenkol-Chemie Dr. Fischer Und Dr. Weinmann Kg, 7257 Ditzingen Dämmplatte für Fassaden-Vollwärmeschutz-Verbundsysteme
FR2230840A2 (en) * 1973-05-23 1974-12-20 Gallois Annette Sill assembly for e.g. window frame - has generally U-shaped metal section at rear of concrete sill
CH582287A5 (ko) 1974-11-28 1976-11-30 Ronzani Franz
DE3809377A1 (de) * 1988-03-19 1989-09-28 Juergen Schmitt Deckenelement
DE4039200A1 (de) * 1990-12-08 1992-08-20 Bauder Paul Gmbh & Co Stapel aus schaumstofftafeln fuer dachisolierungen
AT5285U1 (de) 2001-01-11 2002-05-27 Prima Bau Und Daemmsysteme Ges Wärmedämmplatte
US20040006934A1 (en) * 2002-07-15 2004-01-15 Heydon John J. Building system
DE10326013B4 (de) * 2003-05-29 2013-02-14 Saint-Gobain Weber Gmbh Sockel- und/oder Perimeter-Dämmplatte
AT500367B1 (de) 2004-01-09 2007-11-15 Prima Bau Und Daemmsysteme Ges Wärmedämmplatte
CH697409B1 (de) * 2005-06-06 2008-09-30 Swisspor Man Ag Hinterlüftete wärmegedämmte Gebäudefassade.
DE202008001750U1 (de) 2008-02-07 2008-05-15 Puren Gmbh Brandschutzriegel für die Fassade
RU112225U1 (ru) * 2011-08-16 2012-01-1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Русский Двор" Устройство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отсечки для дверных и оконных проемов
WO2014056621A1 (en) * 2012-10-12 2014-04-17 Saint-Gobain Isover System for fire protection of building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20195A (ja) 1998-08-10 2000-04-25 Toray Ind Inc 構造体およびそれよりなる屋根又は壁および耐火断熱タイル
US20130011622A1 (en) 2010-03-19 2013-01-10 Ignucell Ab Insulating and draining boar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1191A (ko) * 2017-11-06 2019-05-15 (주)유송엔지니어링 다층 구조를 가지는 복합단열재
KR102017213B1 (ko) * 2017-11-06 2019-09-02 (주)유송엔지니어링 다층 구조를 가지는 복합단열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15142078A (ru) 2017-04-07
DE102013003796A1 (de) 2014-09-11
KR20150127651A (ko) 2015-11-17
WO2014135272A3 (en) 2014-10-30
SA515360984B1 (ar) 2019-01-10
RU2622277C2 (ru) 2017-06-13
WO2014135272A2 (en) 2014-09-12
EP2964849A2 (en) 2016-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9259B2 (en) Fire resistant construction block
KR101217257B1 (ko)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구조 및 건물의 외벽화재 연소확대 방지를 위한 외장재 시공방법
KR101832383B1 (ko) 목재 난연도어
JP4021156B2 (ja)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構造
KR101853419B1 (ko) 건물 방화 시스템
KR101875500B1 (ko) 내열 성능이 향상된 방화도어용 내부 충진재
CA3093071C (en) Rear-ventilated building facade as well as process for manufacturing same
JP6034050B2 (ja) 鉄骨梁の耐火被覆構造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26353B1 (ko) 방화문 및 그 방화문 제조방법
EP3481984B1 (en) Insulation
RU2645063C2 (ru) Система для противопожарной защиты зданий
KR102023715B1 (ko) 목재 방화문
JP2008240355A (ja) 柱または梁と耐火間仕切壁との取り合い構造及び方法
JP7304751B2 (ja) 断熱パネルで構成された壁の耐火被覆構造
EP3580399B1 (en) Facade for a building, process for producing a facade and construction set for a facade of a building
KR101281365B1 (ko) 목재 방화도어
CN216041839U (zh) 一种建筑防火隔离带
KR102487128B1 (ko) 건축물용 화재 지연 방화패널
US20200208400A1 (en) Support Element for Supporting a Window Frame
JP3153914U (ja) サイディングパネル
JP2010229664A (ja) 外断熱構造における延焼防止構造
JP3214116U (ja) 木造住宅の外壁構造
JP2000073471A (ja) 防耐火構造体
KR101281366B1 (ko) 목재 방화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