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273B1 -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3273B1 KR101853273B1 KR1020160112658A KR20160112658A KR101853273B1 KR 101853273 B1 KR101853273 B1 KR 101853273B1 KR 1020160112658 A KR1020160112658 A KR 1020160112658A KR 20160112658 A KR20160112658 A KR 20160112658A KR 101853273 B1 KR101853273 B1 KR 10185327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tank
- drying tank
- discharge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3/00—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B13/06—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 B29B13/065—Conditioning or physical 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by drying of powder or pelle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3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 F26B17/32—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or oscillating containers;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ry floors the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pla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4—Heating arrangements using electric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evaporation or sublimation of moisture under reduced pressure, e.g. in a vacuum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8—Granular material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일측 및 타측에는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은 후 배출하도록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축회전 가능하게 구동축이 연결 구비된 본체탱크,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구동축에 결합 설치되며, 내측에는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건조탱크,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건조탱크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며, 투입구로부터 공급받은 건조대상입자를 건조탱크 내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밸브부,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건조탱크의 타측에 연결 결합된 상태로 건조탱크로 공급된 후,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된 건조대상입자를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밸브부, 본체탱크 내측에 배치되어, 건조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건조대상입자를 가열 건조되게 하는 가열부, 본체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본체탱크 및 건조탱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트(PET)병과 같은 폐수지를 재생하기 위해 분쇄시킨 상태인 고분자입자를 가열 건조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페트병은 1회용 병으로 제작되어 사용 직후 폐기되고 있다. 사용 후의 PET병은 다른 용도로 사용되지 않는 한 생활폐기물로 취급되며, 이들이 적절하게 처리되지 않을 경우에는 환경을 파괴하는 공해물질로 남게 된다.
또한, 이러한 페트병은 잘 썩지 않으므로 그대로 버려질 경우 환경이 오염될 우려가 있고, 또 페트병이 고가의 합성수지이므로 버려질 경우에는 경제적으로도 낭비를 초래하는 결과가 되기 때문에 이를 수거하여 칩 상태로 잘게 분쇄한 후 직물류, 솜 등으로 재생하거나 기타 다른 제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재생될 페트병과 같은 소재는 가소화 단계 또는 용해 단계에서 수소의 영향으로 분자사슬이 가수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능한 한 건조한 상태에 있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효과적인 건조는 비결정형의 고분자 입자(Particle) 또는 고분자 부품(Parts)이 서로 부착하는 높은 온도에서만 가능하다. 이러한 이유로 고분자소재의 결정화가 건조단계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결정은 건조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어느 경우든 가소화 온도 미만의 온도에서 입자를 기계적으로 처리하거나 균일하게 이동시켜 획득된다.
이러한, 재활용될 페트병은 대부분 더러워서 세척되고 대개 미리 분쇄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동시에 더러워지는 것을 대개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소재를 별개의 단계로 분쇄하거나 가루로 만들고, 세척한 후 건조시키게 된다. 이러한 사전-건조는 수분함량이 적어도 처리되거나 재활용될 페트와 같은 고분자소재의 1.5 중량%를 넘지 않도록 효율적이어야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페트병과 같은 소재를 분쇄시킨 고분자 입자를 교반건조기에 투입하고, 교반건조기의 외벽을 스팀으로 가열하면서, 고분자 입자를 간접 가열하여 건조하는 바, 건조상태가 불량함과 더불어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됨에 따라 에너지소비도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건조작업시 소음과 분진 및 휘발성유기화합물이 그대로 외부로 배출됨으로서 작업환경이 좋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페트병을 재생시 분쇄된 페트칩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는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0895529호(2009.04.22)에 제시된다.
본 발명은, 페트병과 같은 수지가 분쇄된 고분자 입자를 재생하기 위한 건조시, 건조효율 및 건조작업 조건이 우수한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일측 및 타측에는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은 후 배출하도록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축회전 가능하게 구동축이 연결 구비된 본체탱크,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결합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건조탱크, 상기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 내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밸브부, 상기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에 연결 결합된 상태로 상기 건조탱크로 공급된 후, 상기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밸브부, 상기 본체탱크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가열 건조되게 하는 가열부, 상기 본체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탱크 및 상기 건조탱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는 건조공급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급밸브부는,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고정 결합되는 공급가이드판과, 상기 구동축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공급가이드판과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급날개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가이드판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폭이 좁아지는 단부가 상기 건조공급공을 향한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결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면에는 건조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밸브부는,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건조배출공과 연통되는 통 형상의 배출본체와, 상기 배출본체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가이드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의 벽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탱크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리판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탱크 내측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탱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는 할로겐램프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탱크에는 상기 건조탱크 내측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에는 증기배출라인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증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증기저장탱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는, 본체탱크의 투입구를 통해 공급되는 건조대상입자는 공급밸브부에서 건조탱크 내측으로 유입 저장되며, 건조탱크 및 교반날개가 축회전하면서 건조대상입자는 교반상태로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건조된 건조대상입자는 다시 배출밸브부를 통해 본체탱크의 배출구로 이송되면서 외부로 건조완료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본체탱크 및 건조탱크는 진공펌프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됨으로서, 건조탱크 내측에서 건조대상입자의 교반 및 건조 효율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는, 본체탱크(100), 건조탱크(200), 공급밸브부(300), 배출밸브부(400), 가열부(500), 진공펌프(60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본체탱크(100)는 이후 설명될 건조탱크(20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삽입 배치할 수 있게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게 된다. 즉, 상기 본체탱크(100)는 양단을 밀폐시킨 파이프 구조를 가지며, 일측에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으로 유입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투입구(110)가 관통 형성되며, 타측에는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유입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다시 상기 본체탱크(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가이드하는 배출구(120)가 관통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상기 본체탱크(100) 내부로 유입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이후 설명될 건조탱크(200)로 공급되며, 건조탱크(200)에서 배출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상기 배출구(120)를 통해 상기 본체탱크(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배출구(120)에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본체탱크(100)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상기 배출구(120)를 개폐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도면미도시)가 결합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폐페트병과 같은 수지를 세척한 상태에서 분쇄시킨 고분자입자 상태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는 축회전 가능하게 구동축(130)이 연결 설치된다. 즉, 상기 구동축(130)은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길이방향 양단이 각각 상기 본체탱크(100)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 설치된다. 이때, 상기 본체탱크(10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구동축(130)의 일단 및 타단을 각각 회전 가능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베어링부재(도면미도시)가 결합 구비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구동축(130)은 상기 본체탱크(100) 외부에 별도 설치되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수단의 작동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축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본체탱크(100)의 내측면에는 반사경(140)이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반사경(140)은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이 상기 본체탱크(100)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이후 설명될 건조탱크(200) 방향으로 반사 전달되도록 하여, 가열부(500)에 의한 건조탱크(200)의 가열효율을 증대시키게 한다. 이같은, 상기 반사경(140)은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을 건조탱크(200) 방향으로 효율적인 반사전달이 이루어지도록 가열부(500) 후방에 인접배치되도록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결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탱크(100)에는 증기배출구(150)가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증기배출구(150)는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 의해 건조탱크(200)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가열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상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여기서, 상기 증기배출구(150)는 증기배출라인(151)을 연결 구비하여, 상기 증기배출구(150)에서 배출되는 상기 증기는 상기 증기배출라인(151)을 통해 이동하고, 상기 증기배출라인(151)의 단부에는 증기저장탱크(152)를 연결 구비함으로서, 상기 증기배출라인(151)을 통해 이동하는 상기 증기를 상기 증기저장탱크(152)에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증기저장탱크(152)에 저장되는 상기 증기는 필터부재(도면미도시)를 통해 정화된 상태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건조탱크(200)는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아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을 전달받아 상기 건조대상입자의 건조작업이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기 건조탱크(200)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아 저장할 수 있는 공간부를 가지며, 양단은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건조탱크(200)는 상기 구동축(130) 외측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삽입 배치된다. 즉,상기 건조탱크(200)는 상기 구동축(130)에 고정 결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축회전 가능하게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탱크(200)의 일측면에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이후 설명될 공급밸브부(300)를 통해 전달받을 수 있도록 건조공급공(210)이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건조탱크(200)의 타측면에는 상기 건조공급공(210)을 통해 내부로 공급된 후 건조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이후 설명될 배출밸브부(400)로 배출할 수 있도록 건조배출공(220)이 내외부로 관통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에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 및 이후 설명될 공급밸브부(300)를 통해 공급받아 저장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교반시키는 교반날개(240)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교반날개(240)는 길이방향 양단을 상기 건조탱크(200) 양측에 각각 고정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구동축(130)의 축방향으로 나선형 구조를 가지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교반날개(240)는 상기 건조탱크(2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면서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교반되게 한다. 여기서, 상기 교반날개(240)는 하나의 나선형 날개가 형성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한 쌍의 나선형 날개를 서로 대향되게 배치시킨 이중 날개구조를 가지게 할 수 있으며, 나선형 날개의 경사각도 다르게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건조탱크(200)에는 유리판(230)이 결합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유리판(230)은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의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로 전달되는 효율을 증대되게 함으로서,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에 저장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의 건조효과가 높아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유리판(230)은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 대향되는 상기 건조탱크(200) 면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안정적으로 전달되게 한다.
상기 공급밸브부(300)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200)로 유입되게 한다. 이때, 상기 공급밸브부(300)는 상기 투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로 분산 유입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급밸브부(300)는 상기 투입구(110)의 하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공급공(210)이 형성된 상기 건조탱크(20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축(130)의 길이방향 일단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공급밸브부(300)는 공급가이드판(310), 공급날개판(320)을 포함한다.
상기 공급가이드판(310)은 상기 투입구(110)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200)의 건조공급공(210)으로 이동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급가이드판(310)은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공급공(210)으로 중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게 일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을 가진다. 즉, 상기 공급가이드판(310)은 폭이 좁아지는 일측 단부가 상기 건조공급공(210)을 향한 상태로 상기 구동축(130) 외측에 삽입상태로 고정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공급가이드판(310)의 타측 단부에는 상기 건조대상입자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단(311)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공급날개판(320)은 상기 투입구(110)로부터 상기 공급가이드판(310)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200)로 분산 공급되게 한다. 즉, 상기 공급날개판(320)은 상기 투입구(110)에서 상기 공급가이드판(310) 상으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상기 건조공급공(210)을 통해 한번에 모두 공급되지 않고, 일정 시간간격으로 일정량이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공급날개판(320)은 상기 구동축(130)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배치된다. 즉, 상기 공급날개판(320)은 상기 공급가이드판(310) 외측 둘레로 일정간격을 가지도록 결합된 상태로 상기 건조탱크(200)의 일측면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공급날개판(320)은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에 대응되게 하면서, 상기 투입구(110)에서 상기 공급가이드판(310) 외측으로 낙하하면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일정한 양으로 분산한 상태로 상기 건조공급공(210)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후, 상기 건조탱크(200)로 공급되게 하면서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에서의 건조효율을 증대시키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부(400)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에서 상기 공급밸브부(300)를 통해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유입된 후, 상기 교반날개(240) 및 이후 설명될 가열부(500)에 의해 가열 건조된 후 상기 건조배출공(220)을 통해 배출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로 이동 배출되게 가이드한다. 이때, 상기 배출밸브부(400)는 상기 건조탱크(200)의 건조배출공(220)을 배출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본체탱(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일정간격으로 일정량이 분산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밸브부(400)는 상기 배출구(120)의 상방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배출공(220)이 형성된 상기 건조탱크(200)의 타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구동축(130)의 길이방향 타단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배출밸브부(400)는 배출본체(410), 배출가이드공(420)을 포함한다.
상기 배출본체(410)는 상기 건조탱크(200)의 건조배출공(220)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는 통 형상 부재이다. 즉, 상기 배출본체(410)의 일측은 상기 건조탱크(200)의 건조배출공(220)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탱크(200) 타측에 연결 배치된다. 즉, 상기 배출본체(410)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 상방에 배치된 상태로 상기 구동축(130) 및 상기 건조탱크(200) 타측에 고정상태로 연결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130) 및 상기 건조탱크(200)의 회전에 대응되게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배출가이드공(420)은 상기 건조배출공(220)을 통해 상기 배출본체(410)로 이송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 배출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상기 배출가이드공(420)은 상기 배출본체(410)의 둘레,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구동축(130)이 회전하는 방향에 대응되는 상기 배출본체(410)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게 복수개가 상기 배출본체(410)의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같이, 상기 배출가이드공(420)은 상기 배출본체(410)의 둘레로 복수개가 형성됨으로서, 상기 구동축(130)의 회전에 대응되게 상기 배출본체(410)가 회전하더라도 상기 배출본체(410) 내부로 유입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로 계속적인 배출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건조공급공(210)을 통해 상기 건조탱크(20)) 내측으로 공급 저장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건조시킬 수 있도록 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가열부(500)는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 배치된 상태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되는 할로겐 램프를 선택 사용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공지의 발열수단을 선택적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진공펌프(600)는 상기 본체탱크(100) 내부 및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한다. 이러한, 상기 진공펌프(600)는 상기 본체탱크(100) 일측에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과 연통되도록 연결호스(610)를 통해 연결 설치된다. 이같이, 상기 진공펌프(600)가 상기 본체탱크(100) 내부 및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되게 할 경우, 상기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의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의 전달율이 좋아짐과 더불어 상기 건조탱크(200) 내부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상기 교반날개(240)에 의해 교반시 뭉침현상을 방지하여 건조효율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일실시예의 상기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를 통한 건조대상입자의 건조작업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상기 구동축(130)이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에서 축회전되게 한다. 이같이, 상기 구동축(130)이 축회전하게 되면 상기 건조탱크(200)와 상기 교반날개(240), 그리고 공급밸브부(300) 및 상기 배출밸브부(400)도 이에 대응되게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공펌프(600)를 작동시켜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 및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킴과 더불어 상기 가열부(500)로 전원을 공급하여 작동시키면서 상기 가열부(500)에서 열이 발생되게 한다.
이후,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투입한다. 상기 투입구(110)로 투입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상기 공급밸브부(300)의 공급가이드판(310) 상으로 낙하되고, 상기 공급가이드판(310) 상에서 상기 건조탱크(200)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상기 건조공급공(210)을 통해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유입된다.
이렇게,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유입되면, 상기 구동축(130)에 의해 회전하는 상기 교반날개(240)에 의해 상기 건조탱크(200) 내 일측에서 타측으로 교반되면서 이송됨과 동시에 상기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가열되면서 건조된다.
그리고, 상기 건조탱크(200)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가열 건조되면서 발생된 증기는 상기 건조탱크(200)의 건조공급공(210) 및 건조배출공(220)을 통해 상기 본체탱크(100) 내측으로 이송된 후, 상기 증기배출구(150)를 통해 상기 본체탱크(100)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상기 건조탱크(200)에서 건조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상기 건조배출공(220)을 통해 상기 배출밸브부(400)의 배출본체(410)로 이송 배출된다. 상기 배출본체(410)로 유입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다시 상기 배출가이드공(420)을 통해 상기 배출본체(410) 하방으로 배출됨과 동시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를 통해 외부로 배출이 되면서, 상기 건조대상입자의 건조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일실시예의 상기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는, 상기 본체탱크(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상기 공급밸브부(300)에서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으로 유입 저장되며, 상기 건조탱크(200) 및 상기 교반날개(240)가 축회전하면서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교반상태로 상기 가열부(500)에서 발생된 열로 인해 건조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건조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는 다시 상기 배출밸브부(400)를 통해 상기 본체탱크(100)의 배출구(120)로 이송되면서 외부로 건조완료된 상태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본체탱크(100) 및 상기 건조탱크(200)는 상기 진공펌프(600)에 의해 진공상태가 유지됨으로서, 상기 건조탱크(200) 내측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의 교반 및 건조효율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본체탱크 110: 투입구
120: 배출구 130: 구동축
140: 반사경 150: 증기배출구
200: 건조탱크 210: 건조공급공
220: 건조배출공 230: 유리판
240: 교반날개 300: 공급밸브부
310: 공급가이드판 320: 공급날개판
400: 배출밸브부 410: 배출본체
420: 배출가이드공 500: 가열부
600: 진공펌프
120: 배출구 130: 구동축
140: 반사경 150: 증기배출구
200: 건조탱크 210: 건조공급공
220: 건조배출공 230: 유리판
240: 교반날개 300: 공급밸브부
310: 공급가이드판 320: 공급날개판
400: 배출밸브부 410: 배출본체
420: 배출가이드공 500: 가열부
600: 진공펌프
Claims (7)
-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일측 및 타측에는 건조대상입자를 공급받은 후 배출하도록 투입구 및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측에는 축회전 가능하게 구동축이 연결 구비된 본체탱크와;
내측에 공간부를 가지는 상태로 양단이 밀폐된 파이프 구조를 가지는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결합 설치되며, 내측에는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나선형의 교반날개가 형성된 건조탱크와;
상기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에 연결 결합되며, 상기 투입구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건조탱크 내측으로 공급되게 하는 공급밸브부와;
상기 건조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에 연결 결합된 상태로 상기 건조탱크로 공급된 후, 상기 교반날개에 의해 교반된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게 하는 배출밸브부와;
상기 본체탱크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건조탱크 내부로 공급되는 상기 건조대상입자를 가열 건조되게 하는 가열부; 및,
상기 본체탱크 내측과 연통되도록 연결 설치되어, 상기 본체탱크 및 상기 건조탱크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는 건조공급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공급밸브부는,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 대향되도록 상기 구동축에 고정 결합되는 공급가이드판과,
상기 구동축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되도록 상기 공급가이드판과 상기 건조탱크의 일측면에 연결 결합되는 복수개의 공급날개판을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가이드판은 깔때기 형상을 가지며, 폭이 좁아지는 단부가 상기 건조공급공을 향한 상태로 상기 구동축에 결합 배치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면에는 건조배출공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배출밸브부는,
상기 건조탱크의 타측면에 대향된 상태로 고정 결합되며, 상기 건조배출공과 연통되는 통 형상의 배출본체와,
상기 배출본체의 둘레로 상호 일정간격 이격 배치된 상태로 관통 형성되는 복수의 배출가이드공을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건조탱크의 벽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탱크 내측으로 유입되도록 유리판이 형성된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탱크 내측면에는 상기 가열부에서 발생된 열을 상기 건조탱크 방향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이 결합 구비되며,
상기 가열부는 할로겐램프 인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탱크에는 상기 건조탱크 내측에서 상기 건조대상입자가 건조되면서 발생하는 증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증기배출구가 관통 형성되며,
상기 증기배출구에는 증기배출라인이 연결 설치되며,
상기 증기배출라인과 연결되어, 상기 증기배출라인으로부터 배출되는 상기 증기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증기저장탱크를 더 포함하는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658A KR101853273B1 (ko) | 2016-09-01 | 2016-09-01 |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2658A KR101853273B1 (ko) | 2016-09-01 | 2016-09-01 |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6015A KR20180026015A (ko) | 2018-03-12 |
KR101853273B1 true KR101853273B1 (ko) | 2018-05-02 |
Family
ID=61728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2658A KR101853273B1 (ko) | 2016-09-01 | 2016-09-01 |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327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203997A (zh) * | 2020-01-10 | 2020-05-29 | 倪文锋 | 一种pc塑料加工前热处理设备 |
CN113412955B (zh) * | 2021-06-26 | 2022-08-19 | 广东尚爱嘉宠营养科技有限公司 | 一种宠物饲料加工工艺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6535B1 (ko) * | 1999-05-18 | 2002-10-19 | 박형호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드럼식 연속 건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320225Y1 (ko) * | 2003-04-11 | 2003-07-16 | 주식회사 랩코리아 | 진공 건조장치 |
JP2005246365A (ja) | 2004-03-06 | 2005-09-15 | System Kaihatsu Kk | 生ゴミ加熱攪拌処理装置 |
-
2016
- 2016-09-01 KR KR1020160112658A patent/KR10185327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56535B1 (ko) * | 1999-05-18 | 2002-10-19 | 박형호 | 마이크로웨이브를 이용한 드럼식 연속 건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KR200320225Y1 (ko) * | 2003-04-11 | 2003-07-16 | 주식회사 랩코리아 | 진공 건조장치 |
JP2005246365A (ja) | 2004-03-06 | 2005-09-15 | System Kaihatsu Kk | 生ゴミ加熱攪拌処理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6015A (ko) | 2018-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71018B1 (ko) | 슬러지 급속 건조방법과 급속건조기 및 건조기의 냉각장치 | |
KR100926698B1 (ko)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
CN103245182B (zh) | 间接加热式干燥装置 | |
US7845586B2 (en) | Food garbage disposer | |
KR101517289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1853273B1 (ko) | 고분자입자용 건조장치 | |
KR101241047B1 (ko) | 정 및 역방향 날개를 가져 건조효율을 높인 건조기 및 이를 장착한 음식폐기물 자원화장치 | |
CN107445448B (zh) | 多层转鼓式热泵电磁场污泥干燥机 | |
CN109499557B (zh) | 一种节能环保型活性炭再生炉 | |
KR101240760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200453864Y1 (ko) | 슬러지 건조장치 | |
KR101989506B1 (ko) | 회전식 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한 폐기물 건조 시스템 | |
KR20100065656A (ko) | 슬러지 건조 장치 | |
KR100673587B1 (ko) | 회전타입 연속 건조장치 | |
KR102427902B1 (ko) | 고속건조장치 | |
KR20050102514A (ko) | 슬러지 건조시스템 | |
KR101357756B1 (ko) | 원통형 연속식 유동층 건조기 | |
KR101454478B1 (ko)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
KR102346958B1 (ko) | 고함수율 슬러지 건조용 열풍분사장치 | |
KR102427900B1 (ko) | 고속건조장치 | |
KR100400819B1 (ko) | 곡물탈수기 및 그 곡물탈수기를 갖는 곡물세척장치 | |
CN215750183U (zh) | 一种pvb自动甩干机 | |
CN221898146U (en) | Drying cabinet is used in activated carbon circulation production | |
CN211389707U (zh) | 一种泡沫塑料回收用干燥装置 | |
CN220624705U (zh) | 一种便于取料的烘干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