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3084B1 -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3084B1
KR101853084B1 KR1020170134663A KR20170134663A KR101853084B1 KR 101853084 B1 KR101853084 B1 KR 101853084B1 KR 1020170134663 A KR1020170134663 A KR 1020170134663A KR 20170134663 A KR20170134663 A KR 20170134663A KR 101853084 B1 KR101853084 B1 KR 101853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ing bolt
reflector
coupling
cap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민주
이창헌
Original Assignee
정민주
이창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민주, 이창헌 filed Critical 정민주
Priority to KR102017013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3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3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3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with reflectors; with means for keeping reflectors clea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체결볼트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착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전조등 빛이 반사되게 하는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사지가 끼워져 고정링으로 고정되는 반사부의 하측으로 체결볼트의 두부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캡 형상의 결합캡을 일체로 형성시킨 반사체에 관한 것으로, 결합캡을 체결볼트의 두부에 압입하여 끼워지게 하되 상기 체결볼트의 두부 저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캡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턱이 받쳐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Description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Reflector for guard- rail bolt}
본 발명은 도로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체결볼트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장착이 이루어져 자동차의 전조등 빛이 반사되게 함으로써 가이드 레일의 위치와 도로 상태를 운전자에게 인지시켜 안전 운전이 이루어 질 수 있도록 하는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에 관한 것이다.
도로의 노면이나 갓길에는 도로의 굴곡상황이나 차로의 경계표시를 위한 표지병이 설치되고, 중앙분리대나 가드레일 등에는 표지판이나 반사판 등을 설치하여 도로의 굴곡을 표시해주고 있으나, 야간에는 이러한 식별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표지병에서 전조등 빛이 반사되게 하거나, 빛을 반사시키는 표시판이나 반사판 등을 중앙 분리대나 가드레일에 설치하여 야간 안전운전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가드레일은 도로를 따라 지면에 세워진 지주대에 체결볼트로 고정시키는 것으로, 가드레일은 자체적으로 빛을 발생하거나 전조등 빛을 반사시킬 수 없기 때문에, 가드레일에 반사시트를 부착하거나, 별도의 반사판 또는 표시판 등을 가드레일에 설치함으로써, 야간에 반사시트나 반사판 또는 표시판에서 반사되는 빛을 운전자가 인식하여 도로의 굴곡상황이나 차로의 경계 등을 정확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야간 교통사고의 위험을 줄이도록 하고 있다.
이같이, 반사판이나 표시판을 가드레일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의 두부에 전조등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캡을 끼워야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서는 체결볼트를 조이기 전에 반사캡을 끼우거나 체결볼트를 일부 풀은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끼운 후 고정시켜야 하는 것이어서, 반드시 체결볼트를 풀은 후 다시 조이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된다.
즉, 기존의 반사캡은 체결볼트가 고정될 때 반사캡이 체결볼트 두부의 하측에 의해 압착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반사캡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체결볼트를 풀은 후 반사캡을 끼우고 조여 주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가 있고, 체결볼트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는 반사캡을 설치할 수 없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20479호(2001.02.02 등록) 일본국 특개2001-263326호(2001.09.26.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 10-0608493호(2006.07.27. 등록)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20-0227076호(2001.03.31 등록)
본 발명은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체결하는 체결볼트에 전조등 빛을 반사하는 반사체를 끼워줄 때 체결볼트를 풀은 후 반사체를 끼운 다음 체결볼트를 조여 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반사체를 체결볼트의 두부에 압입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체결볼트를 풀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반사지가 끼워져 고정링으로 고정되는 반사부의 하측으로 체결볼트의 두부에 압입되어 끼워지는 캡 형상의 결합캡을 일체로 형성시킨 반사체에 관한 것으로, 결합캡을 체결볼트의 두부에 압입하여 끼워지게 하되 상기 체결볼트의 두부 저면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캡의 내측 선단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받침턱이 받쳐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체결볼트의 두부가 반사체의 결합캡에 내삽되는 형태로 끼워질 때 결합캡의 받침턱이 체결볼트의 걸림턱에 받쳐지게 함으로써 결합캡이 체결볼트의 두부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여 반사부에 의한 반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드레일의 체결볼트를 풀지 않고도 반사체를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체결볼트의 두부가 결합캡에 내삽되는 형태로 압입시키게 되면 체결볼트의 저면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캡에 형성된 받침턱이 받쳐지면서 반사체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반사체의 반사부가 측방향을 향하게 설치함으로써, 전조등 불빛이 반사부에서 반사되어 운전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고정하는 체결볼트가 고정된 상태에서 반사체의 결합캡에 체결볼트의 두부가 내삽되게 압입시킴으로써 설치가 완료되는 것으로, 체결볼트를 풀지 않고도 간단히 설치할 수 있으며, 결합캡에 형성된 반사부에 의해 넓은 면적에서 전조등의 반사가 이루어지게 되어, 시인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가드레일과 지주대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기존 가드레일과 지주대를 체결볼트로 고정시킨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체결볼트와 반사체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체결볼트와 반사체 분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체결볼트 두부에 반사체를 끼운 상태의 단면도와 요부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 반사체를 체결하기 전 일부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반사체가 체결된 상태의 일부 측단면도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을 지주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볼트에 반사체를 끼워 야간에 도로의 굴곡 상황과 차로 구분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볼트를 풀지 않고도 반사체의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반사체를 전조등 불빛에 반사되는 반사부와 체결볼트의 두부에 끼워지는 결합캡으로 구성하고, 상기 결합캡은 체결볼트의 두부가 내삽되어 끼워지게 하되 체결볼트의 두부 저면 외측으로 형성된 걸림턱에 결합캡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된 받침턱이 받쳐질 수 있도록 끼워서 고정되게 하고, 반사부는 측방향을 향하게 하여 전조등 불빛이 반사부에 끼워진 반사지에서 반사되어 운전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체결볼트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 체결볼트의 두부에 결합캡을 압입하여 끼워주는 것만으로 반사체의 설치가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결합캡에 반사부가 일체로 형성된 반사체를 설치할 때 체결볼트를 풀지 않고도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예 도면에 의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기존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 후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기존의 가드레일(2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일정간격을 갖고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주대(10)에 체결볼트(30)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체결볼트(30)는 지주대(10)를 관통한 후 너트(40)에 의해 고정이 완성되며, 체결볼트(30)의 두부(31)는 가드레일(20)의 내측에 위치되는 한편 드라이버에 의해 풀거나 조이게 되는 것은 공지의 사실이다.
이러한 체결볼트(30)을 이용하여 반사체를 고정시키는 방식은 실용신안등록 20-0220479호와 일본국 특개2001-263326호에 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드라이버로 체결볼트(30)를 풀은 후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으로 반사체의 하측 일부가 꺽인 상태로 체결볼트(30)를 고정시킴으로써 반사체의 일부가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에 의해 압착되면서 고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반사체의 고정을 위해서는 반드시 체결볼트(30)를 풀은 후 반사체를 끼운 다음 다시 조여 주어야 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반사체의 설치를 위하여 체결볼트(30)을 풀었다가 조이는 작업을 하는 것이 대단히 번거롭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체결볼트(30)를 풀지 않은 상태에서 반사체(100)의 결합캡(50)을 체결볼트(30)의 두부(31)에 압입시키는 것만으로, 반사체(100)의 설치가 완료되게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체결볼트(30)를 풀지 않고도 체결볼트(30)의 두부(31)에 반사체(100)을 끼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간편하고 빠른 시간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캡 형상을 갖고 체결볼트(30)의 두부(31)에 외삽되는 결합캡(50)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캡(50)의 상측으로 반사지(70)가 끼워져 고정링(80)으로 고정되는 반사부(60)를 일체로 형성시켜 반사체(100)를 구성하는 것으로, 상기 결합캡(50)는 내측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결합캡(50)의 선단에는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을 받치게 되는 받침턱(51)을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하며, 상기 결합캡(50)의 상측에 형성되는 반사부(60)는 내측으로 형성된 끼움홈(61)에 반사지(70)를 끼운 후 고정링(80)을 끼움홈(61)에 끼워줌으로써 반사지(70)를 고정시키는 한편 반사지(70)의 대부분이 고정링(80)의 내측을 통하여 전조등 불빛을 반사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결합캡(50)에 형성된 받침턱(51)은 저면이 평편하고 선단은 내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점차 두꺼워지는 쐐기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받침턱(51)은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33)을 저면에서 받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받침턱(51)은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과 밀착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저면은 평편한 상태가 되게 함으로써, 결합캡(50)을 체결볼트(30)에 맞추어 압입할 경우, 받침턱(51)이 외측으로 밀리면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결합캡(50)의 내측으로 내삽되고,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된 이후에는 결합캡(50)의 받침턱(51)이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에 밀착되어 받쳐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결합캡(50)은 연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결합캡(50)에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될 때 받침턱(51)의 직경이 벌어지면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되고, 그 이후에는 받침턱(51)이 원위치 되면서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을 받치도록 한다.
여기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 외측으로 걸림턱(33)이 형성되는 것은 공지된 사실로써, 체결볼트(30)로 가드레일(20)을 고정시킬 때 체결볼트(20)의 두부 저면은 가드레일(20)에 밀착되며 걸림턱(33)과 가드레일(20)은 일정 공간을 형성하게 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공간과 걸림턱(33)을 이용하여 반사체(100)을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반사체(100)는 대략 원형을 갖는 반사부(60)와 결합캡(50)이 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반사부(60)에는 반사지(70)가 끼워지는 끼움홈(61)을 형성하게 되고, 상기 끼움홈(61)에 끼워진 반사지(70)를 고정시키는 고정링(70)이 끼움홈(61)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반사부(60)의 배면은 막힌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반사지(70)는 전조등 불빛을 반사키는 것으로, 필요에 따라 색상을 달리하여 선택적인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반사체(100)를 설치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되는 형태로 끼워지게 반사체(100)의 결합캡(50)을 위치시킨 후 결합캡(50)을 체결볼트(30) 쪽으로 압입시키게 되면, 받침턱(51)이 형성된 부위가 벌어지면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결합캡(50)에 내삽되어 끼워지고, 결합캡(50)에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끼워지게 되면 받침턱(51)이 원위치 되면서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을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반사체(100)는 결합캡(50)의 받침턱(51)이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에 형성된 걸림턱(33)에 받쳐지면서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별도로 체결볼트(30)를 풀고 조이는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반사체(100)의 설치가 필요한 장소에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결합캡(50)에 내삽되게 압입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서, 결합캡(50)은 캡 형상이기 때문에 설치에 방향성이 없으나, 반사부(60)는 일측면을 향하는 반사지(70)에서 반사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반사부(60)가 측면을 향하여 전조등에 반사될 수 있도록 방향을 조절하면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체결볼트(30)를 풀지 않고도 반사체(100)의 설치가 완료되기 때문에 작업이 간편함은 물론 드라이버로 체결볼트(30)를 돌리기 위한 구조도 필요치 않으며, 본 발명은 결합캡(50)에 체결볼트(30)가 내삽될 때 받침턱(51)이 벌어지면서 내삽이 이루어진 후 받침턱(51)이 체결볼트(30)의 걸림턱(33)을 받쳐지게 함으로써 반사캡(50)의 이탈이 방지된 채로 반사체(100)의 고정이 완료된다.
본 발명의 반사체(100)를 제거하기 위해서는, 힘을 가하여 반사체(100)을 측방향으로 밀어주면 되는 것으로, 반사체(100)를 밀어서 결합캡(50)이 측방향으로 밀리게 되면, 받침턱(51)이 걸림턱(33)을 받치지 못하고 분리되면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결합캡(50)에서 빠져 나오면서 반사체(100)과 체결볼트(30)의 분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반사지(70)를 반사부(60)의 끼움홈(61)에 끼운 후 고정링(80)을 끼움홈(61)에 끼우면서 반사지(70)의 고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것으로, 반사체(100)의 반사 불빛이 필요에 따라 적색, 흰색, 녹색 등을 필요로 할 때 간단히 고정링(80)을 제거한 후 필요한 색상의 반사지(70)를 끼우고 고정링(80)을 끼워 고정시키면 되기 때문에 반사체(100)를 다양한 색으로 선택하여 빛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은 반사지(70)의 교체에 특징이 있는 한편 체결볼트(30)를 풀지 않고 반사체(100)를 끼우고 분리할 수 있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설치가 간단하고, 반사지(70)의 반사로 인하여 도로의 굴곡이나 차로를 확인하여 안전운행에 도움을 주는 한편 그라스비드 이외에 형광물질을 포함하여 반사체(100)을 제작함으로써 전조등 불빛이 없더라도 반사체(100)가 형광물질에 의해 빛나게 되므로, 야간에 보행자나 자전거 또는 농기계 등의 운전에 도움을 주게 된다.
10 : 지주대 20 : 가드레일
30 : 체결볼트 31 : 두부
33 : 걸림턱 40 : 너트
50 : 결합캡 51 : 받침턱
60 : 반사부 61 : 끼움홈
70 : 반사지 80 : 고정링
100 : 반사체

Claims (2)

  1.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되게 캡 형상의 결합캡(50)을 형성하되 상기 결합캡(50)의 선단에는 내측을 향하는 받침턱(51)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캡(50)의 상측에 일체로 세워지는 원형의 반사부(60)를 형성하되 상기 반사부(60)의 내측으로 끼움홈(61)을 형성하고,
    상기 반사부(60)의 끼움홈(61)에는 반사지(70)를 끼운 후 고정링(80)을 끼워 고정하고,
    상기 결합캡(50)의 받침턱(51)은 체결볼트(30)의 두부(31)에 외삽될 때 강제로 압입되어 벌어지면서 체결볼트(30)의 두부(31)가 내삽되면 결합캡(50)의 받침턱(51)이 원위치 되며 체결볼트(30)의 두부(31) 저면으로 끼워지면서 걸림턱(33)에 받쳐져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2. 삭제
KR1020170134663A 2017-10-17 2017-10-17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KR101853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3A KR101853084B1 (ko) 2017-10-17 2017-10-17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3A KR101853084B1 (ko) 2017-10-17 2017-10-17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3084B1 true KR101853084B1 (ko) 2018-04-27

Family

ID=6208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63A KR101853084B1 (ko) 2017-10-17 2017-10-17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308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326A (ja) * 2000-03-16 2001-09-26 Kosho Suganuma ガードレールのボルトカバー
KR20100007028A (ko) * 2008-07-11 2010-01-22 임종출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63326A (ja) * 2000-03-16 2001-09-26 Kosho Suganuma ガードレールのボルトカバー
KR20100007028A (ko) * 2008-07-11 2010-01-22 임종출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6710B1 (ko) 자동차 도로용 차선 표지병
AU2010279851B2 (en) Separable lane-control bollard assembly
KR200195882Y1 (ko) 광전달을 이용한 자동차용 도로표시장치
KR101853084B1 (ko) 가드레일 볼트용 반사체
KR200337550Y1 (ko) 베이스 일체형 가로등 커버
KR101571817B1 (ko) 표지판의 각도 조정장치
KR200394458Y1 (ko) 차로표시체
KR200390571Y1 (ko) 안전 펜스
WO2008026572A1 (fr) Poteau de balise de route de type à émission de lumière spontanée
KR200345530Y1 (ko) 차선규제봉
KR101124819B1 (ko) 반사체가 일체로 형성된 가이드레일 체결용 볼트
KR200324435Y1 (ko) 도로난간부착용 야광표지판
KR20130141231A (ko) 체결 및 고정이 용이한 표지판을 구비하는 가드레일
KR102524090B1 (ko) 축광체가 구비된 도로 차선규제봉
KR200360002Y1 (ko) 라이트와 엘이디 전구가 장착된 횡단 보도용 교통 안전표지판
US20230002982A1 (en) Road Stud
KR200389221Y1 (ko) 야간식별 표시장치
KR200262313Y1 (ko) 배너 고정 장치
KR200343192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101607276B1 (ko) Led 모듈이 구비되는 도로용 경계석
KR200347859Y1 (ko) 완충식 도로 표지병
KR200275999Y1 (ko) 가이드 레일의 반사체 설치구조
KR200364637Y1 (ko) 광고물 부착 방지판
KR200448201Y1 (ko) 입체간판용 고정구
KR100418368B1 (ko) 가이드 레일용 교통안내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