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757B1 -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757B1
KR101852757B1 KR1020170042922A KR20170042922A KR101852757B1 KR 101852757 B1 KR101852757 B1 KR 101852757B1 KR 1020170042922 A KR1020170042922 A KR 1020170042922A KR 20170042922 A KR20170042922 A KR 20170042922A KR 101852757 B1 KR101852757 B1 KR 101852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roove
opening
armrest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은호
Original Assignee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디언트오토모티브인테리어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2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60N2/793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for use as storage compart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B60R7/043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mounted on or under a sea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암레스트에 장착된 개폐노브와 가압롤러를 이용한 단순한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여부에 관계없이 암레스트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슬라이딩 이동 과정 중 의도치 않게 암레스트가 들리는 현상을 방지할 수가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Opening and closing structure of slidable console armrest}
본 발명은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정상 상태와 슬라이딩 상태에서 편리하게 암레스트의 개방이 가능토록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차량의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어 있는 암레스트 구조를 갖는 콘솔은 탑승자가 팔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암레스트를 열어 수납공간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또한 탑승자의 신체적 차이를 고려해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구조를 탑재하고 있다.
즉, 수납공간을 갖는 콘솔바디 위에 개폐플레이트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개폐플레이트에 암레스트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또한 콘솔바디 내의 수납공간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암레스트를 열어야 하는데, 원치 않는 개방을 방지하기 위해 잠금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즉 콘솔바디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는 후크가 개폐플레이트의 전방에 마련되어 있어서, 후크를 작동시켜 잠금이 해제되도록 한 후 암레스트와 개폐플레이트를 함께 들어올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하지만 종래에는 콘솔바디에 걸림되는 후크와, 후크를 작동시키는 노브가 모두 개폐플레이트에 마련되어 있어서 암레스트가 슬라이딩 되지 않고 정상 상태일 때에만 노브를 작동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암레스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시키면 개폐플레이트 전방에 마련된 노브가 가려져서 노브 작동이 쉽지 않은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05-0058574호(2005.06.17.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에서는 암레스트에 마련된 버튼을 이용하여 후크의 잠금이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암레스트의 위치에 관계없이 잠금 해제가 가능토록 하였다.
하지만 선행기술에서는 버튼과 후크가 실린더를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 구조가 복잡하고 암레스트의 슬라이딩 시 실린더 내부의 압력보다 강한 힘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암레스트의 이동에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압롤러를 이용하여 정상 상태와 슬라이딩 상태에서도 편리하게 후크부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구조를 단순화시키고 암레스트의 이동에 제약을 주지 않는 기술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는, 콘솔바디;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플레이트;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암레스트;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콘솔바디에 대한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개폐를 단속하는 후크부; 일 지점에 마련된 노브축이 상기 암레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노브축의 전방에 마련된 노브전방이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축의 후방으로 연장된 노브후방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롤러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노브; 및 회전중심인 롤러축을 가지며, 상기 롤러축의 일측은 상기 개폐노브의 롤러이동홈을 관통하고, 상기 롤러축의 타측에는 안착블록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블록이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롤러의 아래쪽에 상기 후크부가 위치하여,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전방을 들어 올리면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후방연장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개방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후방연장부에 형성된 롤러이동홈은 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홈, 상승홈 및 후방홈으로 구역이 구분되며, 상기 전방홈 및 후방홈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며, 상기 상승홈은 상기 전방홈 및 후방홈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롤러의 안착블록이 안착되는 롤러축안착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가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전방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렸을 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상승홈에 위치하면,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리더라도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누르지 못하여 잠금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후방홈에 위치하면,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렸을 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된 상태에서 함께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암레스트에 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개폐노브와, 개폐노브에 형성된 롤러이동홈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롤러를 이용하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여부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암레스트를 개방시킬 수가 있다. 즉, 정상 상태(슬라이딩 하지 않음)일 때는 물론, 완전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도 노브전방이 숨어있지 아니하고 항상 암레스트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노브전방의 작동만으로 편리하게 암레스트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과정 중 의도치 않게 암레스트가 들리는 현상을 막을 수가 있다. 즉, 일부 운전자 중에는 암레스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때 노브전방을 파지하여 앞으로 당기는 경우도 있다. 즉 암레스트를 개방시킬 의도는 없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의지만 있는 상태에서 노브전방을 앞으로 당긴 것인데, 노브전방의 작동에 따라 의도치 않게 암레스트가 위로 들어 올려진다면 놀라게 되고,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중간에는 가압롤러가 개폐노브의 상승홈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롤러와 후크부의 거리가 멀어서 노브전방을 작동시키더라도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원치 않는 암레스트 개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3은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투시도.
도4는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 투시도.
도5의 (a)는 도4에서 노브축을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이고, 도5의 (b)는 개폐플레이트에 형성된 롤러축안착홈에 가압롤러의 안착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은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정상 상태(슬라이딩 하지 않음)일 때 개방 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7은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슬라이딩 중일 때 개방을 시도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8 및 도9는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슬라이딩 완료하였을 때 개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만 발명의 요지와 무관한 일부 구성은 생략 또는 압축할 것이나, 생략된 구성이라고 하여 반드시 본 발명에서 필요가 없는 구성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2는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에서 암레스트가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측면 투시도이고, 도4는 도1에 도시된 콘솔 암레스트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전면 투시도이며, 도5의 (a)는 도4에서 노브축을 제거하고 바라본 도면이고, 도5의 (b)는 개폐플레이트에 형성된 롤러축안착홈에 가압롤러의 안착블록이 안착된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1)의 개폐 구조는 콘솔바디(10), 개폐플레이트(20), 암레스트(30), 개폐노브(40), 후크부(50) 및 가압롤러(60)를 포함한다. 먼저 콘솔 암레스트(1)은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1, 도3, 도6 내지 도9에서 좌측이 전방이고, 우측이 후방이라고 가정한다.
콘솔바디(10)는 내부에 수납공간을 가지고 있으며 상부는 개방되어 있다. 또한 콘솔바디(10)의 전방 상부에는 후크부(50)이 삽입되는 걸림홈(11)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플레이트(20)의 후방은 콘솔바디(10)의 상부 후방에서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개폐플레이트(20)의 전방이 하강하거나 상승함으로써 콘솔바디(10)의 상부를 닫거나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개폐플레이트(20)의 내측에는 개폐노브(40)가 작동할 수 있는 소정의 공간이 마련되어 있고, 전방 일 지점의 안쪽에는 상하 방향으로 길게 롤러축안착홈(23)이 형성되어 있다. 롤러축안착홈(23)에 대해서는 이후 다시 설명토록 한다.
암레스트(30)는 개폐플레이트(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며, 개폐플레이트(20)가 콘솔바디(10)에 대하여 회동할 시 함께 회동하게 된다.
개폐플레이트(20)의 전방에는 후크부(50)이 마련되어 있다. 즉 후크부(50)의 아래쪽에서 콘솔바디(10)의 걸림홈(11)을 향하여 후크(52)가 돌출되어 있고, 후크(52)에서 상부로 연장된 지점에 후크축(51)이 마련되어 있으며, 후크축(51) 양측이 개폐플레이트(20) 전방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또한 후크축(51)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어 누름부(53)가 마련되어 있으며, 누름부(53)를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후크(52)가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개폐플레이트(20)와 콘솔바디(10)의 잠금이 해제된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후크부(50)에는 후크(52)가 항상 걸림홈(11)을 향할 수 있도록 힘을 가하고 있는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부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개폐노브(40)는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되어 암레스트(30) 내에 설치된다. 즉 개폐노브(40)의 전방 일 지점에 마련된 노브축(42)이 암레스트(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노브축(42)의 전방에 형성된 노브전방(41)이 암레스트(30)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노브축(42)의 후방으로 노브후방연장부(43)가 암레스트(30)의 거의 끝 부분까지 연장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노브후방연장부(43)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으로 관통되는 롤러이동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더불어 롤러이동홈(44)은 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홈(45), 상승홈(46) 및 후방홈(47)으로 구역이 구분되는데, 각 구역은 높이에 차등을 두고 있다. 즉 전방홈(45)과 후방홈(47)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며, 상승홈(46)은 전방홈(45)과 후방홈(47)에 비하여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있다.
가압롤러(60)는 후크부(50)의 누름부(53) 위쪽에 배치된다. 가압롤러(60)는 회전중심인 롤러축(61)을 가지며, 롤러축(61)의 일측은 개폐노브(40)의 롤러이동홈(44)을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롤러축(61)의 타측에는 안착블록(62)이 마련되어 있으며, 안착블록(62)이 도5의 (a) 및 (b)와 같이 개폐플레이트(20)의 롤러축안착홈(23)에 안착된다. 여기서 롤러축안착홈(23)은 안착블록(62)에 대해서 암레스트(30)의 슬라이드 방향인 전후 방향으로는 공간이 없고 상하 방향으로만 공간이 있어서 안착블록(62)의 상하 승강만을 허용한다. 따라서 가압롤러(60)는 안착블록(62)에 의해 개폐플레이트(20)의 롤러축안착홈(23)을 따라 오직 상하 방향 이동만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콘솔 암레스트(1)의 작동 과정을 설명토록 한다. 먼저 도3은 정상 상태, 즉 암레스트(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지 않은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정상 상태일 때 암레스트(30)는 개폐플레이트(20)에 대하여 후방으로 밀려 나 있다. 따라서 가압롤러(60)는 노브후방연장부(4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전방에 위치하게 된다. 즉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롤러(60)는 높이가 낮은 전방홈(45)에 위치하고 있어서, 가압롤러(60)와 후크부(50)의 누름부(53)가 매우 가깝게 밀착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암레스트(30) 전방으로 돌출된 개폐노브(40)의 노브전방(41)을 들어올리면, 도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노브(40)가 노브축(42)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노브후방연장부(43)는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후크부(50)의 누름부(53) 위에 밀착된 상태로 대기하던 가압롤러(60)가 누름부(53)를 눌러 후크부(50) 전체가 회전하면서 콘솔바디(10)의 걸림홈(11)에 삽입되어 있던 후크(52)가 빠져나와 잠금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노브전방(41)을 들어올리는 힘의 방향 그대로 힘을 계속 가하면 도6의 (b)와 같이 암레스트(30) 전방이 콘솔바디(10) 전방으로부터 상승하여 개방이 이루어진다.
도7의 (a)는 암레스트(30)를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즉 암레스트(30)를 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시킨 것이 아니라, 중간정도만 이동시킨 것이다. 암레스트(30)가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개폐노브(40)도 함께 전방으로 이동하면, 가압롤러(60)는 개폐노브(40)의 롤러이동홈(44)에서 상승홈(46)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승홈(46)은 전방홈(45)에 비하여 위치가 높다. 따라서 가압롤러(60)는 도7의 (a) 및 (c)와 같이 후크부(50)의 누름부(53)로부터 거리가 멀어져 높이 상승한 상태가 된다. 물론 개폐노브(40)가 전후방 이동할 시, 롤러이동홈(44)에 결합되어 있는 가압롤러(60)는 안착블록(62)이 개폐플레이트(20)의 롤러축안착홈(23)에 구속된 상태로 전후방 이동은 제한된 채, 상하 방향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암레스트(30) 전방으로 돌출된 개폐노브(40)의 노브전방(41)을 들어올리면, 도7의 (b)와 같이 노브후방연장부(43)가 아래쪽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가압롤러(60)는 높이가 높은 상승홈(46)에 위치한 상태이기 때문에 노브후방연장부(43)가 하강하더라도 가압롤러(60)가 후크부(50)의 누름부(53)를 가압하지는 못한다. 즉 노브전방(41)을 작동시키더라도 암레스트(30)가 개방되지 않고 잠금 상태가 유지되는 것이다.
도8의 (a)는 암레스트(30)를 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암레스트(30)가 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면, 가압롤러(60)는 개폐노브(40)의 롤러이동홈(44) 최후방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후방홈(47)은 상승홈(46)에 비하여 낮은 높이에 위치한다. 따라서 가압롤러(60)는 도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누름부(53)에 매우 가깝게 밀착된 상태가 되며, 이 상태에서 노브전방(41)을 들어올리면 도8의 (b)와 같이 노브후방연장부(43)가 하강하게 되어 후방홈(47)에 위치하고 있던 가압롤러(60)가 후크부(50)의 누름부(53)를 눌러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도9와 같이 암레스트(30)와 개폐플레이트(20) 전체를 상승시켜 콘솔바디(10)의 수납공간을 개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딩 콘솔 암레스트(1)의 개폐 구조에 의하면, 암레스트(30)에 내에 전후방으로 길게 형성된 개폐노브(40)와, 개폐노브(40)에 형성된 롤러이동홈(44)을 따라 이동하는 가압롤러(60)를 이용하는 단순한 구조를 통해 슬라이딩 여부에 관계없이 편리하게 암레스트(30)를 개방시킬 수가 있다. 즉, 정상 상태(슬라이딩 하지 않음)일 때는 물론, 완전 슬라이딩 된 상태에서도 노브전방(41)이 숨어있지 아니하고 항상 암레스트(30) 전방으로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노브전방(41)의 작동만으로 편리하게 암레스트(30)를 개방시킬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이동 과정 중 의도치 않게 암레스트(30)가 들리는 현상을 막을 수가 있다. 즉, 일부 운전자 중에는 암레스트(30)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때 노브전방(41)을 파지하여 앞으로 당기는 경우도 있다. 즉 암레스트(30)를 개방시킬 의도는 없고 전방으로 슬라이딩 시킬 의지만 있는 상태에서 노브전방(41)을 앞으로 당긴 것인데, 노브전방(41)의 작동에 따라 의도치 않게 암레스트(30)가 위로 들어 올려진다면 놀라게 되고, 자칫 사고로 이어질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슬라이딩 중간에는 가압롤러(60)가 개폐노브(40)의 상승홈(46)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가압롤러(60)와 후크부(50)의 거리가 멀어서 노브전방(41)을 작동시키더라도 잠금 상태가 유지되어 원치 않는 암레스트(30) 개방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개폐노브(40)에도 별도의 탄성부재가 마련되어 외부의 힘이 가해지지 않았을 시 노브후방연장부(43)가 항상 상승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고, 본 발명에 대해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본 발명의 특허청구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 : 콘솔 암레스트
10 : 콘솔바디
11 : 걸림홈
20 : 개폐플레이트
23 : 롤러축안착홈
30 : 암레스트
40 : 개폐노브
41 : 노브전방
42 : 노브축
43 : 노브후방연장부
44 : 롤러이동홈
45 : 전방홈
46 : 상승홈
47 : 후방홈
50 : 후크부
51 : 후크축
60 : 가압롤러
61 : 롤러축
62 : 안착블록

Claims (2)

  1. 콘솔바디;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에서 회동되어 상기 콘솔바디의 상부를 개폐하는 개폐플레이트;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결합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딩 되는 암레스트;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전방에 마련되어 상기 콘솔바디에 대한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개폐를 단속하는 후크부;
    일 지점에 마련된 노브축이 상기 암레스트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상기 노브축의 전방에 마련된 노브전방이 상기 암레스트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노브축의 후방으로 연장된 노브후방연장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롤러이동홈이 형성되어 있는 개폐노브; 및
    회전중심인 롤러축을 가지며, 상기 롤러축의 일측은 상기 개폐노브의 롤러이동홈을 관통하고, 상기 롤러축의 타측에는 안착블록이 마련되어 상기 안착블록이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안착되어 있는 가압롤러;를 포함하되,
    상기 가압롤러의 아래쪽에 상기 후크부가 위치하여,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전방을 들어 올리면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후방연장부가 하강하면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개폐플레이트의 개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노브의 노브후방연장부에 형성된 롤러이동홈은 전방에서부터 순차적으로 전방홈, 상승홈 및 후방홈으로 구역이 구분되며, 상기 전방홈 및 후방홈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낮으며, 상기 상승홈은 상기 전방홈 및 후방홈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폐플레이트에는 상기 가압롤러의 안착블록이 안착되는 롤러축안착홈이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가 후방으로 밀려난 상태에서는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전방홈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렸을 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일정 길이만큼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상승홈에 위치하면,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리더라도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누르지 못하여 잠금 상태가 유지되며,
    상기 암레스트가 전방으로 완전히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롤러이동홈의 후방홈에 위치하면, 상기 노브전방을 들어 올렸을 시 상기 가압롤러가 상기 후크부를 눌러 잠금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암레스트가 상기 개폐플레이트에 대하여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된 상태에서 함께 개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1020170042922A 2017-04-03 2017-04-03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KR101852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22A KR101852757B1 (ko) 2017-04-03 2017-04-03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922A KR101852757B1 (ko) 2017-04-03 2017-04-03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5947A Division KR101877973B1 (ko) 2018-04-20 2018-04-20 가압롤러를 이용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757B1 true KR101852757B1 (ko) 2018-05-04

Family

ID=6219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922A KR101852757B1 (ko) 2017-04-03 2017-04-03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7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610A (ko) 2022-02-21 2023-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콘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19367B2 (en) * 2002-03-27 2004-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arm-rest console assembly
JP2010143548A (ja) * 2008-12-22 2010-07-01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0254233A (ja) * 2009-04-28 2010-11-11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4743812B2 (ja) * 2001-06-22 2011-08-10 三ツ星化成品株式会社 摺動体のサポート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摺動体の支持構造
KR20120011631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500271B1 (ko) * 2014-05-23 2015-03-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암 레스트 슬라이딩 로킹장치
KR101583952B1 (ko) *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43812B2 (ja) * 2001-06-22 2011-08-10 三ツ星化成品株式会社 摺動体のサポート部材及びそれを使用した摺動体の支持構造
US6719367B2 (en) * 2002-03-27 2004-04-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Sliding arm-rest console assembly
JP2010143548A (ja) * 2008-12-22 2010-07-01 Toyoda Gosei Co Ltd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2010254233A (ja) * 2009-04-28 2010-11-11 Kojima Press Industry Co Ltd 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20011631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500271B1 (ko) * 2014-05-23 2015-03-06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암 레스트 슬라이딩 로킹장치
KR101583952B1 (ko) * 2014-07-02 2016-01-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슬라이딩 암레스트 콘솔 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610A (ko) 2022-02-21 2023-08-2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슬라이딩 콘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1777B2 (en) System for seat-actuated head rest extension and retraction
JP5694547B2 (ja) 前後調整可能車両座席
US8033608B2 (en) Vehicle seat
KR101500271B1 (ko) 차량용 암 레스트 슬라이딩 로킹장치
KR101836472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827398B1 (ko) 차량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US20100320812A1 (en) Single motion load bearing release handle
KR101852757B1 (ko)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US10940778B2 (en) Headrest height adjustment mechanisms for child safety seats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CN108297767B (zh) 头枕调节装置、头枕组合结构、座椅主体和座椅
JP2002234369A (ja) 自動車用シート装置
KR101877973B1 (ko) 가압롤러를 이용하는 슬라이딩 가능한 콘솔 암레스트의 개폐 구조
US10682928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JP45447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JP2007168567A (ja) スライド式アームレスト
EP1997674B1 (en) Tip-up type automotive seat
US10391893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JP2014513009A (ja) メモリ装置を備えた長手方向に調整可能な車両シート
CN109398291B (zh) 一种转板自锁式安全带高度调节器
KR101337941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4260570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210058554A (ko) 자동차용 슬라이딩 암레스트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JP2008179230A (ja) スライド式アームレス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