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672B1 -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672B1
KR101852672B1 KR1020160015341A KR20160015341A KR101852672B1 KR 101852672 B1 KR101852672 B1 KR 101852672B1 KR 1020160015341 A KR1020160015341 A KR 1020160015341A KR 20160015341 A KR20160015341 A KR 20160015341A KR 101852672 B1 KR101852672 B1 KR 101852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gar
slurry
ion conductive
polymer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5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4471A (ko
Inventor
황해진
최영주
이경진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15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672B1/ko
Publication of KR20170094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4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41Polymer electrolyte composites, mixtures or blends
    • H01M8/1044Mixtures of polymers, of which at least one is ionically conducti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2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 H01M8/1025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structure of the main chain of the ion-conducting polymer having only carbon and oxygen, e.g. polyethers, sulfonated polyetheretherketones [S-PEEK], sulfonated polysaccharides, sulfonated celluloses or sulfonated 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01M8/1069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manufacturing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02E60/5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Fuel Cell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한천과 양이온 전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향상된 수소이온전도도를 가지는 한천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한천 고분자 전해질막은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PEO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두 가지 용액 또는 슬러리를 혼합하여 전해질 막을 위한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이를 건조하여 한천 기반의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막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소이온전도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저비용으로 친환경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Agar based polymer membrane for fuel cell and fabrication of the same}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한천과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이용한 새로운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안한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인하여 에너지환경 문제가 전 세계적으로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연료전지는 에너지와 환경 문제를 해결 할 수 있는 대안이 되는 기술 중 하나이며, 수소와 공기의 화학에너지를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친환경 발전 시스템이다.
연료전지는 작동되는 온도와 전해질에 따라 크게 5가지로 분류되는데, 상세하게는 알칼리 연료전지(AFC), 인산형 연료전지(PAFC), 용융 탄산염형 연료전지(MCFC),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SOFC),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PEMFC) 및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DMFC)가 있다. 그 중에서, 이동성이 우수한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 및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가 미래 전원으로서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고분자 전해질 연료 전지는 고분자 전해질막의 양면에 가스 확산성의 전극층을 배치하고, 애노드(Anode)를 연료극에, 캐소드(Cathode)를 산화극으로 향하게 하여, 고분자 전해질막을 통한 화학 반응에 의해 물이 생성되고, 이것에 의해서 생기는 반응 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것을 기본 원리로 하고 있다.
이온 전도성 고분자 전해질막의 대표적인 예로는 1960년대 초 미국 듀퐁사에서 개발한 과불소계 수소이온 교환막인 나피온(Nafion)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나피온(Nafion)막은 가격이 높아 연료전지 상용화를 지연시키며, 80℃ 이상의 온도에서 막의 탈수가 일어나 수소 이온 전도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나피온 이외에도 이와 유사한 과불소계 고분자 전해질 상용막으로서, 아사히 케미칼스(Asahi Chemicals)사의 아시플렉스-에스(Aciplex-S)막, 다우 케미칼스(Dow Chemicals)사의 다우(Dow)막, 아사히 글래스(Asahi Glass)사의 프레미온(Flemion)막 등이 있다.
종래 상용화된 과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은 내화학성, 내산화성, 우수한 이온 전도성을 가지고 있으나, 높은 가격과 제조시 발생하는 중간 생성물의 독성으로 인한 환경 문제가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과불소계 고분자 전해질막의 결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방향족환 고분자에 카르복실기, 술폰산기 등을 도입한 고분자 전해질막이 연구되고 있으며, 예를 들어, 술폰화 폴리에테르에테르 케톤(일본 공개특허 평6-93114), 술폰화 폴리이미드(미국특허 제6,245,881호) 등이 있으나, 상용성이 낮아 고분자 전해질 연료전지에 적용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저렴하면서도 친환경적이고 수소이온 전도도가 우수한 새로운 고분자 전해질막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저렴한 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소이온전도도가 우수한 PEM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한천(Agar)과 양이온 전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하여 향상된 수소이온전도도를 가지는 한천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천연고분자 한천과 이온전도성 고분자가 혼합된 복합막으로서, 한천과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중량비로 95:5 ~ 50:50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고,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PEO(polyethylene oxid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천연고분자인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슬러리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혼합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한천 기반의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막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한천에 이온전도성 고분자를 혼합함으로써 수소이온전도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주원료로 사용되는 소재가 저렴하기 때문에 저비용으로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해질막의 주재료로 천연고분자인 한천을 사용하여 친환경 공정에 의해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의 제조 공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을 전해질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셀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의 X선 회절분석 데이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의 주사전자현미경 이미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의 임피던스 스펙트럼
도 6은 비교예에 따른 Nafion막의 임피던스 스펙트럼
본 발명자들은 PEM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에 대하여 연구하던 중, 수소이온전도 특성을 가진 천연고분자인 한천(Agar)과 양이온 전도 향상에 영향을 주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물질을 혼합하여 저렴한 비용으로 우수한 수소이온전도도를 가지는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한천 기반의 고분자 전해질 막은 상용의 나피온 전해질막과 비교하여 유사한 수준의 수소이온전도도를 보였으며, 연료전지용 전해질막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한천 기반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은 수소이온전도 특성을 갖는 천연고분자인 한천, 이온전도성 고분자, 분산제, 용매로서 물 또는 친수성의 극성 유기용매를 포함한다.
한천은 해조류에서 추출된 천연 고분자이며, 복합 다당류로서 일종의 식이 섬유원이며 산업적으로는 미생물 배지의 고형제, 전기영동의 지지체로 이용된다. 한천은 점탄성을 향상시키는 agaropectin, 강도를 향상시키는 agarose로 구성되며, 30℃ 이하에서 겔화가 일어나고, 한번 겔화된 한천은 다시 물에 용해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에 사용되는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PEO(polyethylene oxid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PVDF(poly(vinylidene fluoride))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고분자 물질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한천과 복합화함으로써 양이온의 전도도를 향상시키고 막의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다.
한천과 이온전도성 고분자의 혼합 비율은 전해질막의 기계적 물성과 연료전지의 막-전극 복합체의 구조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중량비로 95:5 ~ 50:50의 비율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한천 기반의 고분자 복합 전해질막 제조 방법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두 가지 용액 또는 슬러리를 혼합하여 전해질막을 위한 복합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복합 슬러리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기포가 제거된 복합 슬러리를 건조하여 한천 기반의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 고분자 전해질막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복합 슬러리의 기포 제거는 예를 들어 진공처리하거나 소포제를 사용하여 기포를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막의 가압 단계에서 최종적인 전해질막이 30 ~ 150 ㎛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는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 용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에틸 알코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톨루엔, 클로로 벤젠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용액 또는 슬러리 제조 시 사용되는 혼합 용매로서 물 및 친수성의 극성 유기용매는 중량비로 10:90 내지 90:10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는 용매와 함께 분산제로서 HPC, CTAB, CTAC, TTAB, Triton X-100, HS-215, SDS, SPAN 80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분산제를 사용함으로써 천연고분자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등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을 균일하게 혼합시킨다.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 및 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한천(Agar) 분말을 80℃ 이상의 물에 용해시킨 한천 슬러리를 제조하고, 이온전도성 고분자로 PEO(polyethylene oxide) 분말을 물에 용해시켜 PEO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한천 슬러리와 PEO 슬러리를 혼합하였다. 한천과 PEO의 혼합 비율은 중량비로 80 : 20 이었다.
준비된 혼합 슬러리를 저진공 처리를 통해 기포를 제거하고 3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였다. 용매가 건조되면서 고분자 수지가 얇은 막 형태로 변화되었고, 제조된 한천-PEO 복합막을 24시간 동안 일축 가압하여 기포를 제거하였다.
제조된 한천-PEO 복합막의 상하부에 Pt/C 전극을 두고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도 2는 상기 한천-PEO 복합막을 전해질로 하는 연료전지 단위 셀의 사진이며, 도 3은 한천-PEO 복합막을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을 이용하여 관찰한 결과,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정질 특성을 보이고 있다. 제조된 한천-PEO 복합막의 표면을 주사전자현미경(SEM)을 이용하여 관찰한 이미지를 도 4에 도시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PEM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천-PEO 복합막을 전해질막으로 사용하여 제조한 셀의 수소이온전도도(S/cm)를 AC 임피던스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0-80℃의 온도에서 10 mV의 교류 진폭신호를 인가하여 0.1 Hz에서 1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얻은 후 셀의 옴 저항(Ohmic Resistance)을 측정하여 수소이온전도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PEM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성능과 비교하기 위하여, Dupont사에서 제조한 상용 나피온막을 전해질막으로 사용하고, 나피온막의 상하부에 각각 Pt/C 전극을 두고 핫프레스를 이용하여 연료전지 단위 셀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셀의 수소이온전도도(S/cm)를 AC 임피던스 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70-80℃의 온도에서 10 mV의 교류 진폭신호를 인가하여 0.1 Hz에서 1 MHz의 주파수 범위에서 임피던스 스펙트럼을 얻은 후 셀의 옴 저항(Ohmic Resistance)을 측정하여 수소이온전도도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6에 나타내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과와 비교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13072116-pat00001
도 5 내지 6 및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천-PEO 복합막의 수소이온전도도는 1.02×10-3 S/cm이고, 비교예의 Nafion막의 수소이온전도도인 2.60×10-3 S/cm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한천-이온전도성 고분자 복합막은 PEM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으로 사용되기에 우수한 이온 전도 성능을 보이고 있으며, 제조 비용 절감 및 친환경적 측면에서 제품의 경쟁력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5)

  1. 양이온 전도성 천연고분자 한천과 상기 한천의 양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이온전도성 고분자가 혼합된 복합막으로서,
    한천과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중량비로 95:5 ~ 50:50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고,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PEO(polyethylene oxid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2. 양이온 전도성 천연고분자인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천의 양이온 전도도를 향상시키는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를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슬러리 내의 기포를 제거하는 단계;
    혼합된 슬러리를 건조하여 한천 기반의 고분자 복합막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막을 가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이온전도성 고분자는 PEO(polyethylene oxide), EC(ethylene carbonate), DMC(dimethyl carbona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며,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는 물과 유기 용매를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되며, 상기 유기 용매는 아세톤, 에틸 알코올, 메탄올, 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톨루엔, 클로로 벤젠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천 용액 또는 슬러리와 이온전도성 고분자 용액 또는 슬러리는 용매와 함께 분산제로서 HPC, CTAB, CTAC, TTAB, Triton X-100, HS-215, SDS, SPAN 80 중에서 선택되는 한 가지 이상의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를 혼합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막은 30 ~ 150 ㎛의 두께를 가지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제조방법.
KR1020160015341A 2016-02-06 2016-02-06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KR10185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41A KR101852672B1 (ko) 2016-02-06 2016-02-06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5341A KR101852672B1 (ko) 2016-02-06 2016-02-06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71A KR20170094471A (ko) 2017-08-18
KR101852672B1 true KR101852672B1 (ko) 2018-04-27

Family

ID=5975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5341A KR101852672B1 (ko) 2016-02-06 2016-02-06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6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8507B1 (ko) 2017-07-26 2020-08-26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851834B (zh) * 2021-01-08 2022-03-18 西南石油大学 一种抗温琼脂的制备方法及应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3713B1 (ko) * 2007-03-29 2008-08-25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JP2008204647A (ja) * 2007-02-16 2008-09-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アニオン交換膜型燃料電池用の電解質膜および接着剤
KR101161236B1 (ko) * 2009-07-06 2012-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JP2015015229A (ja) * 2013-02-01 2015-01-22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ニオン伝導性材料及び電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4647A (ja) * 2007-02-16 2008-09-04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アニオン交換膜型燃料電池用の電解質膜および接着剤
KR100853713B1 (ko) * 2007-03-29 2008-08-25 한국과학기술원 연료전지용 고분자 복합막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
KR101161236B1 (ko) * 2009-07-06 2012-07-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제조방법
JP2015015229A (ja) * 2013-02-01 2015-01-22 株式会社日本触媒 アニオン伝導性材料及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4471A (ko) 2017-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4273B2 (ja) フッ素系高分子電解質膜
CN101016374B (zh) 用于燃料电池的磺化全氟环丁烷聚合电解质膜
JP6387303B2 (ja) 触媒被覆膜の調製方法
Jothi et al. An efficient proton conducting electrolyte membrane for high temperature fuel cell in aqueous-free medium
KR101223559B1 (ko) 연료 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제조 방법
CN107108781B (zh) 电解质材料、液态组合物以及固体高分子型燃料电池用膜电极接合体
KR101894554B1 (ko) 연료전지용 막-전극 계면 접착층, 이를 이용한 막-전극 접합체 및 연료전지
EP3521325A1 (en) Polymer, solid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JP5557430B2 (ja) プロトン伝導性高分子電解質膜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膜−電極接合体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US10563021B2 (en) Methods for producing liquid composition, coating liquid for catalyst layer and membrane electrode assembly
CN101346314A (zh) 新的金属(ⅲ)-铬-磷酸盐配合物及其用途
KR101852672B1 (ko) 연료전지용 한천 기반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Ma et al. The research status of Nafion ternary composite membrane
JP5189394B2 (ja) 高分子電解質膜
KR101093703B1 (ko)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막 및 그 제조방법
JP2013229325A (ja)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および燃料電池
JP4790225B2 (ja) ゲル電解質および燃料電池用電極および燃料電池並びにゲル電解質の製造方法
JP2015153573A (ja) 高分子電解質膜、膜電極接合体、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
JP3467476B2 (ja) 固体高分子電解質膜型電極構造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燃料電池
JP2009032414A (ja) 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解質膜と電解質膜−触媒層接合体と、これを用いる燃料電池、及び固体高分子形燃料電池用電極触媒層形成用積層体
KR20080041844A (ko) 연료 전지용 막-전극 어셈블리,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연료 전지용 시스템
JP2006260901A (ja) 含フッ素スルホン酸ポリマー複合膜
JP7471794B2 (ja) 高分子電解質
JP4992184B2 (ja) イオン性基を有するポリマー、高分子電解質材料、高分子電解質部品、膜電極複合体、および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7039536A (ja) イオン性基を有するポリマ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