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595B1 - 문 잠김 방지기구 - Google Patents

문 잠김 방지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595B1
KR101852595B1 KR1020170098123A KR20170098123A KR101852595B1 KR 101852595 B1 KR101852595 B1 KR 101852595B1 KR 1020170098123 A KR1020170098123 A KR 1020170098123A KR 20170098123 A KR20170098123 A KR 20170098123A KR 101852595 B1 KR101852595 B1 KR 101852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locking
ring
door handle
la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8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예담
Original Assignee
김예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예담 filed Critical 김예담
Priority to KR1020170098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25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5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3/00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 E05B63/18Locks or fastenings with special structural characteristics with arrangements independent of the locking mechanism for retaining the bolt or latch in the retracted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005Preventing accidental lock-out, e.g. by obstruction in the stri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문 잠김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방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 상기 방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 걸림 고리부; 및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문 잠김 방지기구{DEVICE FOR STOPPING DOOR CLOSING}
본 발명은, 문 잠김 방지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 잠김 방지기구에 관한 것이다.
아이를 키우는 가정에서는 갑자기 방문이 잠겨 난처했던 경험을 갖는 경우가 한두 번쯤은 있다. 특히, 방문을 열 수 있는 열쇠(key)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 안에 아이가 있는 상태로 방문이 잠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불가피하게 열쇠수리공을 불러 해결해야 하는데, 방문을 여는 시간동안 방 안에 갇힌 아이는 상당한 불안감에 처할 수 있어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 즉 방문이 임의로 잠기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도구 또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현존하는 상기 도구 또는 장치들은 구조가 복잡하기 때문에 구입비용이 많이 소요되며, 또한 사용법이 불편하거나 번거로워 실질적으로 잘 사용하지 않게 된다는 점에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문 잠김 방지기구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7-002074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2-0012604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5832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0-009526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문 잠김 방지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방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 상기 방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2 걸림 고리부; 및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김 방지기구에 의해 달성된다.
일측은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고리 결합부; 및 일측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고리 결합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 연결부의 두께가 상기 제1 고리 결합부 및 상기 제2 고리 결합부의 두께보다 얇을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는 플라스틱 원형 링(ring)일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는 플라스틱 타원형 링(ring)이며, 상기 타원형 링의 대면하는 내면에는 다수의 요철면이 형성되며, 상기 타원형 링의 외면에는 오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목적은,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탄성 몸체; 상기 탄성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되 방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 및 상기 탄성 몸체의 타측에 형성되되 상기 방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에 걸리는 선택적으로 제2 걸림 고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김 방지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상기 목적은, 방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 상기 방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에 걸리는 선택적으로 제2 걸림 고리부;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 일측은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고리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고리 결합부; 상기 제1 고리 결합부와 이웃된 상기 탄성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주름부; 상기 제2 고리 결합부와 이웃된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주름부; 및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방문의 로킹볼트를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외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볼트 가압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문고리에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내부 더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일측에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회전식 로킹 바아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식 로킹 바아의 홈부들 중 어느 하가 결합되어 상기 제1 걸림 고리부가 상기 제1 문고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로킹하는 로킹핀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김 방지기구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제품 이미지이다.
도 2는 도 1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제품 이미지이다.
도 7은 도 6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6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6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이다.
도 10은 도 6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언급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어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작용)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제품 이미지, 도 2는 도 1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 그리고 도 5는 도 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100)는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11,12)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제1 걸림 고리부(110), 제2 걸림 고리부(120), 그리고 탄성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문 잠김 방지기구(100)의 설명에 앞서 도 4 및 도 5를 참조해서 방문(10)의 구조를 먼저 살펴본다. 방문(10)은 문틀(15)의 개구를 개폐한다. 개폐의 용이성을 위해 방문(10)의 일측에는 제1 문고리(11)가 마련되고, 타측에는 제2 문고리(12)가 마련된다. 문고리(11,12)의 모양은 다양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및 제2 문고리(11,12) 사이의 방문(10)에는 로킹볼트(13)가 마련된다. 로킹볼트(13)가 문틀(15)에 형성되는 로킹홈(미도시)에 로킹됨으로써, 즉 끼워짐으로써 방문(10)이 잠길 수 있다.
한편,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방문(10)을 열 수 있는 열쇠(key)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방 안에 아이가 있는 상태로 방문(10)이 잠기면 곤란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특정 상황에서는 방문(10)이 임의로 잠기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이때는 도 4에서 도 5처럼 로킹볼트(13)가 돌출되지 않게 로킹볼트(13)를 가리면서 안쪽으로 밀어 넣으면 된다. 그러면 로킹볼트(13)가 문틀(15)에 형성되는 로킹홈(미도시)에 끼워질 수 없기 때문에 방문(10)이 잠기지 않는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100)가 제안된다.
제1 걸림 고리부(110)는 방문(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11)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부분이다. 평상 시 도 4처럼 제1 걸림 고리부(110)가 방문(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11)에 걸려 보관될 수 있다. 따라서 망실의 위험이 없고, 수시로 사용이 가능해진다.
제2 걸림 고리부(120)는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부분이다.
도 4에서 도 5처럼 제1 걸림 고리부(110)가 제1 문고리(11)에 걸린 상태에서 제2 걸림 고리부(120)를 당겨 제2 걸림 고리부(120)가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걸리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걸림 고리부(110)와 제2 걸림 고리부(120)는 플라스틱 원형 링(ring)으로 적용된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아(bar) 타입의 제1 및 제2 문고리(11,12)를 비롯하여 볼(ball) 형상의 문고리(미도시)에 걸리기에도 용이하다.
탄성 연결부(130)는 제1 걸림 고리부(110)와 제2 걸림 고리부(1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도 4에서 도 5처럼 제1 걸림 고리부(110)가 제1 문고리(11)에 걸린 상태에서 제2 걸림 고리부(120)를 당겨 제2 걸림 고리부(120)가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걸리도록 할 때, 탄성 연결부(130)가 늘어나면서 제2 걸림 고리부(120)가 제2 문고리(12)에 잘 걸릴 수 있게 한다.
제1 및 제2 걸림 고리부(110,120)와 탄성 연결부(130) 사이에는 제1 고리 결합부(141)와 제2 고리 결합부(142)가 마련된다.
제1 고리 결합부(141)는 일측이 제1 걸림 고리부(1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 연결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이고, 제2 고리 결합부(142)는 일측이 제2 걸림 고리부(12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 연결부(130)와 결합되는 부분이다.
이때, 탄성 연결부(130)의 두께가 제1 고리 결합부(141) 및 제2 고리 결합부(142)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고리 결합부(141)와 제2 고리 결합부(142)는 플라스틱 재지로 제작될 수도 있고, 아니면 탄성 연결부(130)의 양단부 영역 그 자체일 수도 있다.
이하, 문 잠김 방지기구(100)의 사용법을 설명한다.
평상 시 방문(10)을 열고 생활하거나 어른이 방 안에 들어간 상태에서는 도 4처럼 제1 걸림 고리부(110)가 방문(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11)에 걸려 보관되도록 하면 된다.
그러다가 방 안에 아이가 있는 상태에서 어른이 방 밖으로 나와 있는 등의 상황일 때, 방문(10)이 임의로 닫혀 잠기지 않도록 하려면 도 5와 같이 문 잠김 방지기구(100)를 설치하면 된다.
즉 도 4에서 도 5처럼 제1 걸림 고리부(110)가 제1 문고리(11)에 걸린 상태에서 제2 걸림 고리부(120)를 당겨 제2 걸림 고리부(120)가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걸리도록 한다. 그러면 탄성 연결부(130)가 늘어나면서 제2 걸림 고리부(120)가 제2 문고리(12)에 잘 걸릴 수 있게 된다.
한편, 제2 걸림 고리부(120)가 제2 문고리(12)에 걸릴 때, 탄성 연결부(130)가 로킹볼트(13)를 압박하기 때문에 로킹볼트(13)가 돌출되지 않게 로킹볼트(13)를 가리면서 안쪽으로 밀어 넣게 되는데, 이 상태에서는 로킹볼트(13)가 문틀(15)에 형성되는 로킹홈(미도시)에 끼워질 수 없기 때문에 방문(10)이 잠기지 않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11,12)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제품 이미지, 도 7은 도 6의 사시도, 도 8은 도 6의 평면도, 도 9는 도 6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 그리고 도 10은 도 6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200) 역시, 제1 걸림 고리부(210), 제2 걸림 고리부(220), 그리고 탄성 연결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걸림 고리부(210)와 제2 걸림 고리부(220)는 플라스틱 타원형 링(ring, 210,220)으로 마련된다. 이때, 타원형 링(210,220)의 대면하는 내면에는 다수의 요철면(211,221)이 형성된다. 요철면(211,221)으로 인해 타원형 링(210,220)이 잘 미끄러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그리고 타원형 링(210,220)의 외면에는 오목홈(212,222)이 형성된다. 오목홈(212,222)으로 인해 잡기가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11,12)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상 시 보관상태도, 그리고 도 13은 도 11의 문 잠김 방지기구의 사용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300)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사용법 및 기능은 유사한데, 구조가 약간 상이하다.
즉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300)는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탄성 몸체(330)와, 탄성 몸체(330)의 일측에 형성되되 방문(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11)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210)와, 탄성 몸체(330)의 타측에 형성되되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걸리는 선택적으로 제2 걸림 고리부(3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100)의 경우, 탄성재질로 제작되는 탄성 몸체(330)의 양단부에 고리 형태의 제1 및 제2 걸림 고리부(310,320)가 형성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제1 및 제2 걸림 고리부(310,320)는 잘 뜯기지 않도록 플라스틱의 외곽테두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11,12)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400) 역시, 방문(10)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11)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410)와, 방문(10)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12)에 걸리는 선택적으로 제2 걸림 고리부(420)와, 제1 걸림 고리부(410)와 제2 걸림 고리부(42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430)와, 일측은 제1 걸림 고리부(41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 연결부(430)와 결합되는 제1 고리 결합부(441)와, 일측은 제2 걸림 고리부(420)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탄성 연결부(430)와 결합되는 제2 고리 결합부(442)를 포함한다. 이들의 구조와 기능은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하다.
한편, 탄성 연결부(430)에는 전술한 실시예들과 달리 제1 주름부(431)와 제2 주름부(432)가 마련된다. 제1 주름부(431)는 제1 고리 결합부(441)와 이웃된 탄성 연결부(430)의 일측에 형성되는 부분이고, 제2 주름부(432)는 제2 고리 결합부(442)와 이웃된 탄성 연결부(430)의 타측에 형성되는 부분이다. 제1 주름부(431)와 제2 주름부(432)로 인해 탄성 연결부(430)가 좀 더 신장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400)에는 볼트 가압용 블록(450)이 더 마련된다. 볼트 가압용 블록(450)은 제1 주름부(431)와 제2 주름부(432)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되 방문(10)의 로킹볼트(13)를 가압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볼트 가압용 블록(450)은 천 재질이 아닌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질로 적용될 수 있ㄷ.
이러한 볼트 가압용 블록(450)의 외면에는 오목홈(451)이 형성된다. 이처럼 탄성 연결부(430)의 중앙에 볼트 가압용 블록(450)이 형성됨으로써 탄성 연결부(430)가 도 5처럼 로킹볼트(13) 영역에 둘러 배치될 때, 볼트 가압용 블록(450)이 로킹볼트(13)를 가압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로킹볼트(13)가 안쪽으로 쉽게 들어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걸림 고리부(410)의 내면에는 제1 문고리(11)에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내부 더미 홈(411)이 형성된다. 이에 반해, 제2 걸림 고리부(420)는 단순한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제1 걸림 고리부(410)에는 제1 걸림 고리부(410)가 제1 문고리(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으로서 회전식 로킹 바아(460)와 로킹핀(463)이 마련된다.
회전식 로킹 바아(460)는 제1 걸림 고리부(410)의 일측에 연결되되 일측에 다수의 홈부(461)가 형성된다. 그리고 로킹핀(463)은 제1 걸림 고리부(410)의 타측에 마련되되 회전식 로킹 바아(460)의 홈부(461)들 중 어느 하가 결합되는 장소를 이룬다.
이에, 제1 걸림 고리부(410)를 제1 문고리(11)에 걸어둔 상태에서 회전식 로킹 바아(460)를 회전시켜 회전식 로킹 바아(460)의 어느 한 홈부(461)가 로킹핀(463)에 로킹되도록 함으로써 제1 걸림 고리부(410)가 제1 문고리(11)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문 잠김 방지기구(400)가 망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가 적용되더라도 구조가 매우 단순하기 때문에 제조 또는 구입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특히 문고리(11,12)에 걸어둔 상태로 보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법이 편리해서 누구나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방문 11 : 제1 문고리
12 : 제2 문고리 13 : 로킹볼트
15 : 문틀 100 : 문 잠김 방지기구
110 : 제1 걸림 고리부 120 : 제2 걸림 고리부
130 : 탄성 연결부 141 : 제1 고리 결합부
142 : 제2 고리 결합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방문의 일측에 마련되는 제1 문고리에 선택적으로 걸리는 제1 걸림 고리부;
    상기 방문의 타측에 마련되는 제2 문고리에 걸리는 선택적으로 제2 걸림 고리부;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 연결부;
    일측은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1 고리 결합부;
    일측은 상기 제2 걸림 고리부와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탄성 연결부와 결합되는 제2 고리 결합부;
    상기 제1 고리 결합부와 이웃된 상기 탄성 연결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주름부;
    상기 제2 고리 결합부와 이웃된 상기 탄성 연결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2 주름부; 및
    상기 제1 주름부와 상기 제2 주름부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되 상기 방문의 로킹볼트를 가압하는 역할을 하며, 외면에 오목홈이 형성되는 볼트 가압용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내면에는 상기 제1 문고리에서 이탈되는 것이 저지되도록 하는 이탈방지용 내부 더미 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일측에는 다수의 홈부가 형성되는 회전식 로킹 바아가 마련되며,
    상기 제1 걸림 고리부의 타측에는 상기 회전식 로킹 바아의 홈부들 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어 상기 제1 걸림 고리부가 상기 제1 문고리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로킹하는 로킹핀이 마련되며,
    상기 제2 걸림 고리부는 원형의 링(ring)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문 잠김 방지기구.
KR1020170098123A 2017-08-02 2017-08-02 문 잠김 방지기구 KR101852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23A KR101852595B1 (ko) 2017-08-02 2017-08-02 문 잠김 방지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8123A KR101852595B1 (ko) 2017-08-02 2017-08-02 문 잠김 방지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2595B1 true KR101852595B1 (ko) 2018-06-07

Family

ID=6262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8123A KR101852595B1 (ko) 2017-08-02 2017-08-02 문 잠김 방지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259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0199A (en) * 1922-05-26 1924-12-23 Robert P Morgan Door silencer
KR970020748A (ko) 1995-10-27 1997-05-28 김태구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KR20020012604A (ko) 1999-06-16 2002-02-16 엘.아이.씨.에이. 에스.알.엘. 인체 조직의 유체 미세연마 장치
KR20100058323A (ko) 2008-11-24 201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전송 요구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에서의 중첩 문제 해결 방법
KR20100095262A (ko) 2009-02-20 2010-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지연 동기 루프 회로의 동작 방법
US20130299272A1 (en) * 2012-05-13 2013-11-14 Gwen Williams Door Closing Noise Attenuator Releasably Attachable To Door Knob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520199A (en) * 1922-05-26 1924-12-23 Robert P Morgan Door silencer
KR970020748A (ko) 1995-10-27 1997-05-28 김태구 차량용 어린이 보호대
KR20020012604A (ko) 1999-06-16 2002-02-16 엘.아이.씨.에이. 에스.알.엘. 인체 조직의 유체 미세연마 장치
KR20100058323A (ko) 2008-11-24 2010-06-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의 자동 재전송 요구를 이용한 데이터 송수신 방식에서의 중첩 문제 해결 방법
KR20100095262A (ko) 2009-02-20 2010-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지연 동기 루프 회로 및 지연 동기 루프 회로의 동작 방법
US20130299272A1 (en) * 2012-05-13 2013-11-14 Gwen Williams Door Closing Noise Attenuator Releasably Attachable To Door Knob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83187B2 (ja) 連結品を備えた取付システム
US5033168A (en) Button cover with slidable fastening member
IT202100008435A1 (it) Struttura di contenimento, in particolare per dispositivi di localizzazione e tracciamento.
US10794092B2 (en) Lock box
JPH06280845A (ja) ロック可能なu字形鉤とピン
US9961970B2 (en) Watch and band thereof
ITTO20140040U1 (it) Blocco-porta con cursore rotante
IT202000002119A1 (it) Manico amovibile, particolarmente per recipienti di cottura per cibi.
KR101852595B1 (ko) 문 잠김 방지기구
US1438264A (en) Fastener
US9226625B1 (en) Washing system
US1209615A (en) Safety coupling device for jewelry.
US2613422A (en) Resilient snap hook
US6330736B1 (en) Buckle joint
US1327534A (en) Key-ring holder
US5713226A (en) Luggage lock
US1908701A (en) Bar holding device for locks
US20180103732A1 (en) Double lock mechanism
CA1062309A (en) Extensible safety latch means for pivotable windows
JP3220916U (ja) 電子製品用コンビネーションロック
US1331933A (en) Combination-padlock
JP2016202487A (ja) 着脱可能なカバーのボタン留め具
US7559115B2 (en) Retractable luggage pull rod with rotating hook
JPH07323697A (ja) 紐付き筆記具
WO2017115203A1 (en) Snap hoo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