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2262B1 - 절단 툴 및 날붙이 - Google Patents

절단 툴 및 날붙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2262B1
KR101852262B1 KR1020160100559A KR20160100559A KR101852262B1 KR 101852262 B1 KR101852262 B1 KR 101852262B1 KR 1020160100559 A KR1020160100559 A KR 1020160100559A KR 20160100559 A KR20160100559 A KR 20160100559A KR 101852262 B1 KR101852262 B1 KR 1018522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tter
groove
pin
hole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6128A (ko
Inventor
아츠시 이무라
Original Assignee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보시 다이야몬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261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61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22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22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14Means for mounting the cutt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4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having only one moving bla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15/00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cutting by blades which move parallel to themselves
    • B23D15/06Sheet sh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35/00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 B23D35/001Tools for shearing machines or shearing devices; Holders or chucks for shearing tools cutting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4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006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2001/006Cutting members therefor the cutting blade having a special shape, e.g. a special outline, serr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Table Equipment (AREA)

Abstract

[요약] 필름상 부재의 절단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흔들림 없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절단 툴, 및, 이 절단 툴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절단 툴 (30) 은, 홀더 (31) 와, 판상의 날붙이 (32) 와, 날붙이 (32) 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핀 (33) 과, 날붙이 (32) 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 (34) 를 구비한다. 홀더 (31) 는, 날붙이 (32) 가 삽입되는 홈 (31b) 과, 핀 (33) 이 삽입되는 구멍 (31c) 을 구비한다. 날붙이 (32) 는, 날붙이 (32) 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구멍 (31c) 에 삽입된 핀 (33) 에 맞닿는 경사부 (32c) 와, 날붙이 (32) 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는 맞닿음부 (32f, 32g) 를 구비한다. 날붙이 (32) 가 홈 (31b) 에 삽입되고, 맞닿음부 (32f, 32g) 가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으며, 또한, 핀 (33) 에 경사부 (32c) 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누름 부재 (34) 에 의해서 날붙이 (32) 의 측면이 눌려 있다.

Description

절단 툴 및 날붙이{CUTTING TOOL AND CUTTER}
본 발명은 금속이나 유기 재료 등에 의해서 형성된 변형 가능한 필름상 부재를 절단하기 위한 절단 툴, 및, 이 절단 툴에 사용하는 날붙이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금속이나 유기 재료 등에 의해서 형성된 변형 가능한 필름상 부재의 절단은, 예를 들어 커터 휠을 필름상 부재에 누르면서, 커터 휠과 필름상 부재를 상대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행해졌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커터 휠을 사용하여 필름상 부재를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166169호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커터 휠에 형성된 구멍에 핀을 삽입하여 커터 휠이 홀더에 장착되기 때문에, 구멍과 핀 사이에 약간 간극이 생기면, 절단시에 커터 휠에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커터 휠의 날끝은 예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이 커터 휠에 흔들림이 발생되면, 날끝이 손상되어 절단 동작에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필름상 부재의 절단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흔들림 없이 장착할 수 있는 절단 툴, 및, 이 절단 툴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는 절단 툴에 관한 것이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은,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판상의 날붙이와, 상기 날붙이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핀과, 상기 날붙이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홀더는, 상기 날붙이가 삽입되는 홈과, 상기 홈을 관통하여 상기 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한다. 또, 상기 날붙이는, 당해 날붙이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맞닿는 경사부와, 당해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한다. 상기 날붙이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으며, 또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상기 경사부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해서 상기 날붙이의 측면이 눌려 있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에 의하면, 경사부와 핀의 맞닿음 및 맞닿음부와 홈 바닥면의 맞닿음에 의해서, 날붙이의 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날붙이가 홀더에 위치 결정된다. 또, 누름 부재에 의해서 날붙이의 면이 눌림으로써, 날붙이가 홈의 측면으로 눌리고, 날붙이의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날붙이가 홀더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날붙이는, 면 방향 및 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날붙이는, 경사부와 핀의 맞닿음 및 맞닿음부와 홈 바닥면의 맞닿음에 의해서 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멍에 핀을 통과시키는 구성과 같은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본 양태에 의하면, 확실하게 날붙이를 홀더에 장착할 수 있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절단 동작시에 상기 날붙이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 누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만일, 누름 부재에 의한 누름이 완화되어 날붙이가 변위될 수 있는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절단 동작시에 날붙이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맞닿음부가 홈의 바닥면으로 눌려도, 날붙이가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피절단면과 날끝의 각도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절단 동작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에 있어서, 상기 날붙이는, 상기 경사부의 상기 핀에 맞닿는 위치의 상측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어 상기 날붙이가 변위되면, 상기 핀이 걸어 맞추어지는 받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구성으로 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누름 부재에 의한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도, 핀이 받이부에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날붙이가 홀더로부터 탈락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은,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2 개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2 개의 맞닿음부의 양방을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게 하며, 또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상기 경사부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해서 상기 날붙이의 측면을 눌러, 상기 날붙이가 상기 홀더에 장착된다. 이렇게 하면, 하나의 맞닿음부를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맞닿음부를 홈의 바닥면에 맞닿게 하는 경우에 비해서, 맞닿음부를 덜거덕거림 없이 홈의 바닥면에 맞닿게 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보다 확실하게, 날붙이를 홀더에 위치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2 개의 맞닿음부는, 각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홈의 바닥면에 대한 각 맞닿음부의 접촉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맞닿음부를 보다 덜거덕거림 없이 홈의 바닥면에 맞닿게 하기 쉬워진다.
본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홈으로 연이어지는 구멍에 압입되고, 상기 날붙이의 측면에 맞닿는 것임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누름 부재의 장착 작업을 간이화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누름 부재로서 예를 들어 구 형상의 강구 (剛球) 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는, 홈과 상기 홈을 관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절단 툴의 홀더에, 상기 핀과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판상의 날붙이에 관한 것이다. 본 양태에 관련된 날붙이는, 당해 날붙이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맞닿는 경사부와, 당해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한다.
본 양태에 관련된 날붙이에 의하면, 상기 제 1 양태에 관련된 절단 툴에 사용함으로써, 제 1 양태에 대해서 서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상 부재의 절단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흔들림 없이 장착하는 것이 가능한 절단 툴, 및, 이 절단 툴에 사용하는 날붙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 내지 의의는,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의 설명에 의해서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단,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형태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을 실시화할 때의 하나의 예시로서,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기재된 것에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의 (a)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장치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 도 1 의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툴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의 (a),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날붙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 의 (a),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 의 (a) ∼ (c)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 의 (a),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툴의 장착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의 (a),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툴의 효과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8 의 (a) 는, 변경예에 관련된 날붙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의 (b) 는 다른 변경예에 관련된 절단 툴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는, 적절히, 서로 직교하는 X, Y, Z 축과, 상하 좌우 전후를 나타내는 화살표가 부기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들은 설명의 편의상 부기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를 전혀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절단 장치>
도 1 의 (a)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절단 장치 (1) 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의 (a) 를 참조하여, 절단 장치 (1) 는, 지지대 (11) 와, 지주 (12a, 12b) 와, 가이드 (13a, 13b) 와, 슬라이딩 유닛 (14) 과, 헤드 (2) 를 구비한다.
지지대 (11) 는, 절단 대상물인 필름상 부재 (F) 를 지지한다. 필름상 부재 (F) 는, 금속이나 유기 재료 등의 변형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필름상 부재 (F) 는, 필름상 부재 (F) 보다 경도가 높은 기판 등의 필름 지지체에 일체로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지지대 (11) 는, 도시되지 않은 이송 기구에 의해서 Y 축 방향 및 X 축 방향으로 이송된다. 지지대 (11) 는, 필름상 부재 (F) 또는 필름상 부재 (F) 가 적층된 필름 지지체를 흡착하는 구성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지주 (12a, 12b) 는, 절단 장치 (1) 의 베이스에 지지대 (11) 를 사이에 두고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13a, 13b) 는, 각각, X 축 방향으로 평행이 되도록, 지주 (12a, 12b) 사이에 가설되어 있다. 슬라이딩 유닛 (14) 은, 가이드 (13a, 13b) 에 자유롭게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13a, 13b) 에는 소정 구동 기구가 형성되어 있고, 이 구동 기구에 의해서 슬라이딩 유닛 (14) 이 X 축 방향으로 이동된다.
슬라이딩 유닛 (14) 에는 헤드 (2) 가 장착되어 있다. 헤드 (2) 에는, 필름상 부재 (F) 에 대향하도록 절단 툴 (30) (도 1 의 (b) 참조) 이 장착되어 있다. 절단 툴 (30) 에 유지된 날붙이가 필름상 부재 (F) 의 표면에 눌린 상태에서 헤드 (2) 가 X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필름상 부재 (F) 가 절단된다.
<헤드>
도 1 의 (b) 는, 실시형태에 관련된 헤드 (2)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 의 (b) 를 참조하여, 헤드 (2) 는, 승강 기구 (21) 와, 툴 유지 기구 (22) 와, 베이스 플레이트 (23) 와, 탑 플레이트 (24) 와, 보텀 플레이트 (25) 와, 서보 모터 (26) 를 구비한다.
승강 기구 (21) 는, 서보 모터 (26) 의 구동축에 연결된 원통 캠 (21a) 과, 승강부 (21b) 의 상면에 형성된 캠 폴로어 (21c) 를 구비한다. 승강부 (21b) 는, 슬라이더 (도시 생략) 를 통하여 베이스 플레이트 (23) 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스프링 (21d) 에 의해서 Z 축 정방향으로 탄성 지지되어 있다. 스프링 (21d) 의 탄성 지지에 의해서, 캠 폴로어 (21c) 는 원통 캠 (21a) 의 하면에 눌려 있다.
승강부 (21b) 는, 툴 유지 기구 (22) 에 연결되어 있다. 서보 모터 (26) 에 의해서 원통 캠 (21a) 이 회동 (回動) 하면, 원통 캠 (21a) 의 캠 작용에 의해서 승강부 (21b) 가 승강하고, 이에 수반하여 툴 유지 기구 (22) 가 승강한다. 도시되지 않은 커버가, 원통 캠 (21a), 승강부 (21b) 및 캠 폴로어 (21c) 를 덮도록, 베이스 플레이트 (23), 탑 플레이트 (24) 및 보텀 플레이트 (25) 에 장착된다. 툴 유지 기구 (22) 의 하단에 절단 툴 (30) 이 장착된다.
<절단 툴>
도 2 는, 절단 툴 (30) 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절단 툴 (30) 은, 홀더 (31) 와, 날붙이 (32) 와, 핀 (33) 과, 누름 부재 (34) 를 구비한다.
홀더 (31) 는 강자성체로 되어 있다. 홀더 (31) 는, 예를 들어, 페라이트계의 SUS 로 이루어진다. 홀더 (31) 는, 원주상의 동체부 (31a) 와, 동체부 (31a) 의 하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된 홈 (31b) 과, 동체부 (31a) 의 좌측으로부터 홈 (31b) 을 관통하여 우측면에 이르는 원형의 구멍 (31c) 과, 동체부 (31a) 의 좌측으로부터 홈 (31b) 에 이르는 원형의 구멍 (31d)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동체부 (31a) 의 전측 (前側) 에는, 측면이 절결됨으로써 경사면 (31e) 이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 (31e) 은, 전후 방향과 상하 방향으로 평행한 면내 방향으로, 수평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홈 (31b) 은, 동체부 (31a) 의 좌우 방향 중앙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홈 (31b) 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동체부 (31a) 의 전측면으로부터 후측면에 이르러 있다. 홈 (31b) 의 좌우 방향의 폭은, 날붙이 (32) 의 두께보다 약간 크다. 홈 (31b) 의 바닥면 (311) 은, 상하 방향으로 수직인 평면으로 되어 있다. 홈 (31b) 에 날붙이 (32) 가 삽입된다. 날붙이 (32) 의 구성에 대해서는, 이후 도 3 의 (a), (b) 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구멍 (31c, 31d) 은, 동체부 (31a) 의 좌측면이 평면상으로 절결되어 형성된 오목부 (31f) 로부터 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동체부 (31a) 의 우측면에도 동일하게 오목부 (31f) (도시 생략) 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2 개의 오목부 (31f) 는 좌우 대칭으로 홀더 (31) 에 형성되어 있다.
구멍 (31c) 의 직경은 핀 (33) 의 직경과 동일하다. 구멍 (31c) 은 그 우측의 단부 (端部) 에 있어서 직경이 작게 되어 있고, 핀 (33) 의 우측의 단부와 접촉한다. 구멍 (31c) 의 좌측의 단부는 모따기됨으로써, 약간 직경이 크게 되어 있다.
구멍 (31d) 의 직경은, 오목부 (31f) 의 바닥면 위치로부터 소정 깊이 위치까지는, 오른쪽으로 진행됨에 따라서 서서히 작아지고, 그 후, 일정하게 되어 있다. 직경이 일정한 구멍 (31d) 부분의 직경은, 구상의 누름 부재 (34)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구멍 (31d) 의 직경이 일정한 부분에 누름 부재 (34) 가 압입된다.
핀 (33) 은 원주 형상을 갖고,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되어 있다 핀 (33) 의 우단은 첨두 형상으로 되어 있다. 핀 (33) 의 길이는, 핀 (33) 의 우단이 구멍 (31c) 의 우단에 맞닿을 때까지 핀 (33) 을 구멍 (31c) 에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 핀 (33) 의 좌단이 오목부 (31f) 의 바닥면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누름 부재 (34) 는 구 형상을 갖고, 홀더 (31) 보다 강성이 높은 금속 재료로 되어 있다 누름 부재 (34) 는, 예를 들어, SUJ2 (고탄소크롬) 로 이루어진다. 누름 부재 (34) 의 직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누름 부재 (34) 를 구멍 (31d) 에 압입하여 날붙이 (32) 의 측면을 누른 상태에 있어서, 누름 부재 (34) 의 좌단이 오목부 (31f) 의 바닥면과 좌우 방향에 있어서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날붙이>
도 3 의 (a), (b) 는, 날붙이 (32)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 의 (a), (b) 를 참조하여, 날붙이 (32) 는, 좌우 방향의 두께가 일정한 판상의 부재의 하부에, 날끝 (32a) 과 날끝 (32b) 이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날붙이 (32) 는, 예를 들어 합금 공구강, 탄소 공구강, 초경합금 또는 소결 다이아몬드 등의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날붙이 (32) 는,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보다 경도가 낮으며, 또한 필름상 부재 (F) 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적어도 날끝 (32a 및 32b) 이 필름상 부재 (F) 에 파고 들어가는 범위에서, 마모를 방지하거나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공지된 코팅이 실시되어 있어도 된다.
날끝 (32a) 은 능선을 갖고, 날끝 (32b) 에는 날붙이 (32) 의 후측 가장자리를 향하여 폭이 넓어지는 면 (P1) (도 3 의 (b) 참조) 이 형성되어 있다. 날끝 (32b) 의 면 (P1) 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고, 날끝 (32a) 의 능선은 날끝 (32b) 으로부터 떨어진 쪽의 단부가 들어 올려지도록, 전후 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경사져 있다. 절단시에는, 날끝 (32a) 의 날끝 (32b) 측과 날끝 (32b) 이 필름상 부재 (F) 에 눌리고, 날끝 (32b) 의 면 (P1) 이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날붙이 (32) 가 필름에 대해서 상대 이동된다. 날붙이 (32) 는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보다 경도가 낮고, 또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와는 면 접촉함으로써,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를 손상시키는 경우가 없다.
또, 날붙이 (32) 의 후측 가장자리에는, 경사부 (32c) 와, 받이부 (32d) 가 형성되어 있다. 경사부 (32c) 는, 수평면으로부터 소정 각도만큼 경사진 평면이다. 경사부 (32c) 는, 상하 방향으로 완만하게 만곡된 곡면이어도 된다. 받이부 (32d) 는, 경사부 (32c) 의 상단에 이어져 있다. 받이부 (32d) 는, 도 2 에 나타내는 핀 (33) 과 대략 동일 직경인 원호상의 곡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날붙이 (32) 의 상부 가장자리 중앙에 오목부 (32e) 가 형성되고, 이로써,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가 형성되어 있다. 맞닿음부 (32f, 32g) 는 수평인 평면이고, 서로 동일한 높이로 되어 있다. 맞닿음부 (32f, 32g) 는 원호상으로 모따기됨으로써,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전후 방향의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날붙이 (32) 는, 예를 들어, 와이어 방전 가공에 의해서 잘라내어진다. 날붙이 (32) 의 경사부 (32c) 및 맞닿음부 (32f, 32g) 는, 면 정밀도가 높은 평면으로 되어 있다. 와이어 방전 가공에 의해서 날붙이 (32) 를 잘라내는 경우, 경사부 (32c) 및 맞닿음부 (32f, 32g) 의 부분은, 면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 와이어의 이동이 저속으로 설정된다.
<조립>
도 2 를 참조하여, 절단 툴 (30) 의 조립 공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핀 (33) 을 구멍 (31c) 에 삽입하여, 핀 (33) 을 동체부 (31a) 에 장착한다. 다음으로, 날붙이 (32) 를 홈 (31b) 에 삽입하여, 날붙이 (32) 의 경사부 (32c) 를 핀 (33) 에 맞닿게 하고, 또한 날붙이 (32) 의 맞닿음부 (32f, 32g) 를 홈 (3l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한다. 이 상태에서, 누름 부재 (34) 를 구멍 (31d) 에 압입하여, 날붙이 (32) 의 좌측면을 누름 부재 (34) 에 의해서 누른다. 이로써, 날붙이 (32) 의 우측면이 홈 (31b) 의 우측의 내측면에 압접된다. 이로써, 날붙이 (32) 가 홀더 (31) 에 장착된다. 그 후, 핀 (33) 이 탈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멍 (31c) 의 주변에 바늘을 박아 핀 (33) 에 대한 코킹을 행한다. 코킹은 핀 (33) 을 구멍 (31c) 에 삽입한 직후에 이루어져도 된다. 이렇게 하여 절단 툴 (30) 의 조립이 완성된다.
도 4 의 (a), (b) 는, 조립 후의 절단 툴 (30) 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 의 (a) ~ (c) 는 각각 조립 후의 절단 툴 (30) 의 구성을 나타내는 좌측면도, 정면도 및 우측면도이다.
날붙이 (32) 는 날끝 (32a, 32b) 만이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홀더 (31) 에 장착되어 있다. 날끝 (32b) 의 능선은 전후 방향으로 평행하다. 절단 동작시에는, 날끝 (32b) 이 필름상 부재 (F) 에 눌린 상태에서 절단 툴 (30) 이 전방향으로 이동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절단 툴 (30) 이, 도 1 의 (b) 의 헤드 (2) 의 툴 유지 기구 (22) 에 장착된 상태에서, 서보 모터 (26) 가 구동되고, 또한 헤드 (2) 가 도 1 의 X 축 정방향으로 보내진다. 이로써, 날끝 (32a) 의 날끝 (32b) 측과 날끝 (32b) 이 필름상 부재 (F) 에 눌리고, 날끝 (32b) 의 면 (P1) 이 지지대 (11) 또는 필름 지지체와 접촉된 상태에서 절단 툴 (30) 이 전방향으로 이동되고, 날끝 (32a) 및 날끝 (32b) 에 의해서 필름상 부재 (F) 가 절단된다.
<헤드에의 장착>
도 6 의 (a), (b) 는, 툴 유지 기구 (22) 에 대한 절단 툴 (30) 의 장착 방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의 (a), (b) 에서는, 툴 유지 기구 (22) 의 내부가 투시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툴 유지 기구 (22) 의 하단에는, 절단 툴 (30) 을 유지하는 유지부 (221) 가 형성되고, 이 유지부 (221) 에, 절단 툴 (30) 을 삽입할 수 있는 구멍 (222) 이 형성되어 있다. 구멍 (222) 의 바닥에는 자석 (224) 이 설치되고, 구멍 (222) 의 중간 위치에 핀 (223) 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절단 툴 (30) 의 홀더 (31) 는 강자성체로 되어 있다.
툴 유지 기구 (22) 에 절단 툴 (30) 을 장착하는 경우, 절단 툴 (30) 의 홀더 (31) 가 유지부 (221) 의 구멍 (222) 에 삽입된다. 홀더 (31) 의 상단이 자석 (224) 에 접근하면 홀더 (31) 가 자석 (224) 에 흡착된다. 이 때, 홀더 (31) 의 경사면 (31e) 이 핀 (223) 에 맞닿고, 홀더 (31) 가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이렇게 하여, 도 6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단 툴 (30) 이 툴 유지 기구 (22) 의 하단에 장착된다.
절단 툴 (30) 이 툴 유지 기구 (22) 에 장착된 후, 상기한 바와 같이, 헤드 (2) 가 이동되어, 필름상 부재 (F) 에 대한 절단 동작이 이루어진다.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얻어진다.
도 7 의 (a), (b) 는, 절단 툴 (30) 을 상하 방향 및 전후 방향이 평행한 평면에 의해서 좌우 방향의 중앙 위치에서 절단한 단면도이다. 편의상, 도 7 의 (a), (b) 에는, 누름 부재 (34) 가 파선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사부 (32c) 와 핀 (33) 의 맞닿음과, 맞닿음부 (32f, 32g) 와 홈 (31b) 의 바닥면 (311) 의 맞닿음에 의해서, 날붙이 (32) 의 면에 평행한 방향 (좌우 방향과 수직인 방향) 으로 날붙이 (32) 가 홀더 (31) 에 위치 결정된다. 또, 누름 부재 (34) 에 의해서 날붙이 (32) 의 측면이 눌림으로써, 날붙이 (32) 가 홈 (31b) 의 우측의 내측면으로 눌리고, 날붙이 (32) 의 면과 수직인 방향 (좌우 방향) 으로 날붙이 (32) 가 홀더 (31) 에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날붙이 (32) 는, 면 방향 및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확실하게 위치 결정된다. 이 때, 날붙이 (32) 는, 경사부 (32c) 와 핀 (33) 의 맞닿음 및 맞닿음부 (32f, 32g) 와 홈 (31b) 의 바닥면 (311) 의 맞닿음에 의해서 면 방향으로 위치 결정되기 때문에,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구멍에 핀을 통과시켜 날붙이를 위치 결정하는 구성과 같은 흔들림이 발생되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날붙이 (32) 를 홀더 (31) 에 확실하게 장착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경사부 (32c) 는, 절단 동작시에 날붙이 (32) 에 가해지는 힘이, 맞닿음부 (32f, 32g) 를 홈 (31b) 의 바닥면 (311) 으로 누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경사져 있다. 즉,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32b) 은, 절단 동작시에 상방향의 힘과 후방향의 힘을 받는다. 이 힘들에 의해서, 날붙이 (32) 는, 경사부 (32c) 가 핀 (33) 에 눌리면서, 맞닿음부 (32f, 32g) 가 홈 (31b) 의 바닥면 (311) 으로 눌리는 작용을 받는다. 따라서, 만일, 누름 부재 (34) 에 의한 누름이 완화되어 날붙이 (32) 가 변위될 수 있는 상태로 되었다고 해도, 절단 동작시에 날끝 (32b) 을 통하여 날붙이 (32) 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서, 경사부 (32c) 가 핀 (33) 에 눌리면서, 맞닿음부 (32f, 32g) 가 홈 (31b) 의 바닥면 (311) 으로 눌리고, 날붙이 (32) 가 정규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필름상 부재 (F) 와 날끝 (32a) 의 각도가 적정하게 유지된다. 따라서, 절단 동작을 적정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붙이 (32) 는, 경사부 (32c) 의 핀 (33) 에 맞닿는 위치의 상측에 있어서 경사부 (32c) 에 이어지도록, 받이부 (32d) 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써, 어떠한 요인에 의해서 누름 부재 (34) 에 의한 누름이 해제된 경우에도, 도 7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핀 (33) 이 받이부 (32d) 에 걸어 맞추어지고, 맞닿음부 (32f) 가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음으로써, 날붙이 (32) 가 홀더 (31) 로부터 탈락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 도 7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붙이 (32) 의 상부 가장자리에는,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가 형성되고, 이들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의 양방을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함으로써, 날붙이 (32) 의 위치 결정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를 바닥면 (311) 에 2 군데에서 접촉시킬 경우,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다소의 기복이 있다고 해도, 맞닿음부 (32f, 32g) 를 덜거덕거림 없이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오목부 (32e) 를 생략하고, 1 개의 맞닿음부를 날붙이 (32) 의 상부 가장자리에 직선상으로 형성하여 맞닿음부를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하는 경우를 상정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홈 (31b) 의 바닥면 (311) 이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서 약간 융기되어 있으면, 맞닿음부를 바닥면 (311) 으로 눌렀을 경우, 융기에 의해서, 맞닿음부의 길이 방향의 어느 일방의 단부가 바닥면 (311) 으로부터 들뜬 상태가 되어, 날붙이 (32) 에 면 방향의 덜거덕거림이 발생되기 쉽다. 이에 비하여,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홈 (31b) 의 바닥면 (311) 이 길이 방향의 중앙 부근에 있어서 약간 융기되어 있어도,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의 양방을 홈 (31b) 의 바닥면 (311) 으로 적정하게 누를 수 있다. 이 때문에, 날붙이 (32) 를 홈 (31b) 내의 소정 위치에 보다 확실하게 위치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 개의 맞닿음부 (32f, 32g) 는 각각 원호상으로 모따기됨으로써,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전후 방향의 폭이 좁게 되어 있다. 이로써,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대한 맞닿음부 (32f, 32g) 의 접촉 영역을 작게 할 수 있어, 맞닿음부 (32f, 32g) 가 홈 (31b) 의 바닥면 (311) 의 기복과 잘 관련되지 않게 된다. 이 때문에, 맞닿음부 (32f, 32g) 를, 보다 덜거덕거림 없이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하기가 쉬워진다.
이와 같이, 맞닿음부 (32f, 32g) 를, 보다 덜거덕거림 없이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하기 위해서는, 맞닿음부 (32f, 32g) 의 상면의 전후 방향의 폭을 가능한 한 작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8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맞닿음부 (32f, 32g) 의 상면을 생략하고, 맞닿음부 (32f, 32g) 의 상단에는 좌우 방향의 능선만이 남도록 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맞닿음부 (32f, 32g) 는, 각각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선 접촉하기 때문에, 보다 더 덜거덕거림 없이 맞닿음부 (32f, 32g) 를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한, 맞닿음부 (32f, 32g) 가 구면이어도 된다. 이렇게 하면, 맞닿음부 (32f, 32g) 를, 각각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점 접촉시킬 수 있어, 더욱 덜거덕거림 없이 맞닿음부 (32f, 32g) 를 홈 (31b) 의 바닥면 (311) 에 맞닿게 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상의 누름 부재 (34) 가 홀더 (31) 의 측면으로부터 홈 (31b) 으로 연이어지는 구멍 (31d) 에 압입되어, 날붙이 (32) 의 측면을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누름 부재 (34) 의 장착 작업을 간이하게 행할 수 있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변경예>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전혀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또, 본 발명의 실시형태도 상기 이외에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구상의 누름 부재 (34) 가 구멍 (31d) 에 압입되어, 날붙이 (32) 의 측면을 누르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지만, 도 8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원주상의 누름 부재 (34) 가 구멍 (31d) 에 압입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누름 부재 (34) 의 우단은 첨두 형상이나 구면으로 되어 있고, 구멍 (31d) 의 직경은 누름 부재 (34) 의 직경보다 약간 작게 되어 있다. 또, 구멍 (31d) 의 직경을 누름 부재 (34) 의 직경과 동일하게 설정하고, 누름 부재 (34) 를 구멍 (31d) 에 삽입한 후, 구멍 (31d) 의 둘레 가장자리를 바늘로 박아 누름 부재 (34) 에 대한 코킹을 행해도 된다. 이밖에, 누름 부재 (34) 가 둘레면에 나사산을 갖고, 구멍 (31d) 이 누름 부재 (34) 의 나사산과 서로 맞물리는 나사 홈을 갖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누름 부재 (34) 를 구멍 (31d) 에 나사 고정시킴으로써, 누름 부재 (34) 의 선단에 의해서 날붙이 (32) 의 측면이 눌린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6 의 (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자석 (224) 의 흡착력에 의해서 절단 툴 (30) 이 툴 유지 기구 (22) 에 장착되었지만, 헤드 (2) 에 절단 툴 (30) 을 장착하는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홀더 (31) 의 상부에 원주 방향으로 홈을 형성하고, 이 홈에 볼 플런저 등의 탄성체나 핀을 걸어 맞춤으로써, 절단 툴 (30) 이 툴 유지 기구 (22) 에 장착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홀더 (31) 가 볼트 등에 의해서 직접 헤드 (2) 에 고정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밖에, 홀더 (31) 의 외형이나 재질 등은, 상기 실시형태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외형이나 재질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또, 절단 툴 (30) 은, 필름상 부재 (F) 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피절단물의 절단에도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적절히 여러 가지의 변경이 가능하다.
30 : 절단 툴
31 : 홀더
31b : 홈
31c : 구멍
31d : 구멍
311 : 바닥면
32 : 날붙이
32a, 32b : 날끝
32c : 경사부
32d : 받이부
32f, 32g : 맞닿음부
33 : 핀
34 : 누름 부재

Claims (12)

  1. 홀더와,
    상기 홀더에 장착되는 판상의 날붙이와,
    상기 날붙이를 걸어 고정시키기 위한 핀과,
    상기 날붙이의 측면을 누르는 누름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날붙이가 삽입되는 홈과,
    상기 홈을 관통하여 상기 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고,
    상기 날붙이는,
    당해 날붙이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맞닿는 경사부와,
    당해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고,
    상기 날붙이가 상기 홈에 삽입되고,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으며, 또한,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상기 경사부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해서 상기 날붙이의 측면이 눌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절단 동작시에 상기 날붙이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 누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날붙이는, 상기 경사부의 상기 핀에 맞닿는 위치의 상측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에 이어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누름 부재에 의한 누름이 해제되어 상기 날붙이가 변위되면 상기 핀이 걸어 맞추어지는 받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2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맞닿음부는, 각각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상기 홀더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홈으로 연이어지는 구멍에 압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부재는 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단 툴.
  8. 홈과 상기 홈을 관통하여 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구비하는 절단 툴의 홀더에, 상기 핀과 누름 부재를 사용하여 장착되는 판상의 날붙이로서,
    당해 날붙이의 측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 삽입된 상기 핀에 맞닿는 경사부와,
    당해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상기 홈의 바닥면에 맞닿는 맞닿음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는, 절단 동작시에 당해 날붙이에 가해지는 절단 방향과 반대측의 방향의 힘이, 상기 맞닿음부를 상기 홈의 바닥면으로 누르는 방향의 힘으로서 작용하도록 경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가 상기 핀에 맞닿는 위치에 대해서 하단의 날끝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상기 경사부에 연결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날붙이가 하방향으로 변위되면 상기 핀이 걸어 맞추어지는 받이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11.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맞닿음부가, 상기 날붙이의 상부 가장자리에 2 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2 개의 맞닿음부는, 선단을 향함에 따라서 폭이 좁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붙이.
KR1020160100559A 2015-08-27 2016-08-08 절단 툴 및 날붙이 KR1018522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167381 2015-08-27
JP2015167381A JP6582743B2 (ja) 2015-08-27 2015-08-27 切断ツールおよび刃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6128A KR20170026128A (ko) 2017-03-08
KR101852262B1 true KR101852262B1 (ko) 2018-04-25

Family

ID=58209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559A KR101852262B1 (ko) 2015-08-27 2016-08-08 절단 툴 및 날붙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582743B2 (ko)
KR (1) KR101852262B1 (ko)
CN (1) CN106476054B (ko)
TW (1) TWI62520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3128536C (en) * 2018-01-05 2023-06-06 Urschel Laboratories, Inc. Knife assemblies for slicing machines and machines equipped therewith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169A (ja) 2008-01-15 2009-07-30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カッター装置
JP2015202690A (ja) 2014-04-16 2015-11-1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JP2015212016A (ja) 2014-05-01 2015-11-2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I457307B (zh) * 2005-12-01 2014-10-21 Mitsuboshi Diamond Ind Co Ltd Scribe method
JP5504631B2 (ja) * 2009-01-07 2014-05-28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カッター装置及びカッターホルダ
JP2011142236A (ja) * 2010-01-08 2011-07-21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薄膜太陽電池用の溝加工ツール及びその角度規制構造
EP2663430B1 (en) * 2011-01-11 2017-01-18 Benchmade Knife Co., Inc. Knife blade opening mechanism
DE202012005720U1 (de) * 2012-06-13 2012-08-29 Tigra Gmbh Hartmetall-Schneidklingenanordnung zum Einspannen in einer Rundaufnahme
KR101519384B1 (ko) * 2015-01-29 2015-05-13 (주) 우남테크 비닐 컷팅장치용 절단헤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6169A (ja) 2008-01-15 2009-07-30 Mitsuboshi Diamond Industrial Co Ltd カッター装置
JP2015202690A (ja) 2014-04-16 2015-11-1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JP2015212016A (ja) 2014-05-01 2015-11-26 三星ダイヤモンド工業株式会社 スクライブヘッドおよびスクライ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476054B (zh) 2019-05-31
JP6582743B2 (ja) 2019-10-02
CN106476054A (zh) 2017-03-08
TWI625209B (zh) 2018-06-01
JP2017042872A (ja) 2017-03-02
TW201707902A (zh) 2017-03-01
KR20170026128A (ko) 2017-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4421B1 (ko) 물체 유지용 유지장치
US9797925B2 (en) Probe pin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CN104227853A (zh) 刀轮保持具单元、刀轮保持具、销、刀轮及基板加工装置
JP6668749B2 (ja) ホルダジョイント
KR101205736B1 (ko) 휠 홀더 및 그 제조 방법 및 휠 홀더를 이용한 커터 휠 보지 기구
KR101852262B1 (ko) 절단 툴 및 날붙이
KR101842523B1 (ko) 스크라이브 장치 및 스크라이브 방법
JP2007069290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18058152A (ja) ワーク固定装置
JP6149261B2 (ja) クロスカット試験装置およびクロスカット方法
KR102165054B1 (ko) 스크라이빙 휠용 핀, 홀더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KR20180093861A (ko) 홀더 조인트
JP2009045855A (ja) 筆記具用クリップ
KR20130096652A (ko) 딤플 성형 버니싱 공구 및 딤플 성형 버니싱 방법
CN109574487A (zh) 刀架安装结构、刀架以及刀架接头
CN112140369A (zh) 刻划头及刻划装置
KR101211545B1 (ko) 레이저 트랙커를 이용한 마킹기구
JP2008006541A (ja) ワークバイスの口金構造
CN111745837A (zh) 刀具保持器安装单元以及刻划装置
CN110614725B (zh) 保持架单元以及刻划装置
KR20200112704A (ko) 커터 홀더 부착 유닛 및 스크라이브 장치
JP6908804B2 (ja) ローラーカッター
JP2013024649A (ja) ダイヤモンド圧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95174B2 (ja) 替刃鋸
JP2019150939A (ja) 刃物研ぎ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