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1689B1 -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1689B1
KR101851689B1 KR1020160154845A KR20160154845A KR101851689B1 KR 101851689 B1 KR101851689 B1 KR 101851689B1 KR 1020160154845 A KR1020160154845 A KR 1020160154845A KR 20160154845 A KR20160154845 A KR 20160154845A KR 101851689 B1 KR101851689 B1 KR 101851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unit
treated water
collecting
conve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48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지현
윤태범
김슬기
김정훈
이대영
이동준
배휘웅
Original Assignee
현대건설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건설 주식회사,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548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16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1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16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0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diffu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반응조 내의 처리수에 침지되고, 처리수가 통과하여 여과되도록 반응조 내에 배치되되 처리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린부, 반응조 내에 설치되어 반응조 내에 발생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기 및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부터 처리수의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처리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협잡물제거기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생물 반응조의 호기조 내 침지형 스크린부 설치를 통하여 하부 산기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기 부상력과 협잡물제거기를 통하여 스크린부의 파울링을 제어하여 스크린부 공급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고 저전력의 협잡물제거기를 통하여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Immerged screening apparatus using scraper and wastewater treatm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협잡물 제거 성능 및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 하수 및 폐수 등의 처리를 위해서 생물학적 처리 공법이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처리 공법은 공정이 안정되어 있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며 환경 친화적이라는 장점을 갖고 있다.
한편, 하수고도처리란 하수 내 부유물은 물론 총질소 및 총인 성분도 제거할 수 있는 처리 기술을 의미하며, 이러한 하수고도처리시스템에 대한 기술의 예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20호는 생물학적 반응조 및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필터링하는 여과망과 상기 여과망을 세척하기 위한 역세부를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시스템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상기한 종래의 하수고도처리시스템은 전량 스크린 방법이 아닌 반송수에 대한 여과 방법으로 반송수의 스크리닝 처리용량이 제한되어 협잡물 제거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전력소비가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5188호는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하·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반응조에 드럼스크린을 설치하고, 이러한 드럼스크린은 내측면에 200㎛의 메시 스크린이 착탈식으로 설치되어 드럼이 회전하면서 하·폐수에 포함되어 있는 협작물 제거하는 구성이 개시된 바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하·폐수 처리장치는 드럼스크린 설치에 따른 소요 면적이 증가하고, 하수전량을 스크리닝 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처리수의 압력에 의한 손실수두 문제로 처리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설치하지 못해 제거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하·폐수 처리장치는 스크린 설치 부지 소요로 인한 건축비가 증가하고, 회전식 스크리닝 적용으로 전력비가 상승하면서 유지관리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9220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395188호
본 발명은, 반응조 내 스크린을 침지시키고 처리수의 유동흐름을 제어함으로서 스크린으로 유입되는 처리수 전량을 통과시키고 수류제어를 통하여 처리수의 직각방향으로 스크린을 통과함으로써 협잡물 제거효율을 향상시키고, 스크린 공극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고 저전력으로 유지관리가 용이한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반응조 내의 처리수에 침지되고, 상기 처리수가 통과하여 여과되도록 상기 반응조 내에 배치되되 상기 처리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대면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크린부, 상기 반응조 내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 내에 발생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기 및 상기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부터 상기 처리수의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호기조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로서, 상기 호기조는, 상부가 개방된 호기조 내의 처리수에 침지되고, 상기 처리수가 통과하여 여과되도록 상기 호기조 내에 배치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반응조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 내에 발생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기와, 상기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부터 상기 처리수의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상기 호기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반응조 내 스크린부를 침지시키고 물의 흐름을 제어하여 스크린부로 유입되는 처리수 전량을 통과시킬 수 있으며, 유입되는 처리수 전량에 대한 스크리닝 및 스크리닝을 통한 미세 협잡물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둘째, 수류제어와 중력을 이용하여 스크린부의 직각 방향으로 처리수를 통과시켜 협잡물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생물반응조의 호기조 내 침지형 스크린부 설치를 통하여 하부 산기장치에서 발생되는 공기 부상력과 협잡물제거기를 통하여 스크린부의 파울링(Fouling)을 제어하여 스크린부 공급의 막힘 현상을 최소화하고 저전력의 협잡물제거기를 통하여 유지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의 작동 및 처리수와 협잡물의 이동방향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1의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에서 수집제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수집제거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수집제거부의 협잡물 수집 제거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500, 이하 '스크리닝 장치'라 한다)는 스크린부(200)와, 협잡물제거기(300)와,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크린부(200)는 상부가 개방된 반응조(100) 내의 처리수(1)에 침지되고, 상기 처리수(1)가 통과하여 여과되도록 상기 반응조(100) 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크린부(200)는, 메쉬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처리수(1)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스크린망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1)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서 상기 스크린부(200)는 전후좌우 방향으로 각각 유동하는 처리수(1)의 흐름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 되도록 상기 반응조(100)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일 실시예로 설계에 따른 상기 처리수(1)의 흐름 방향에 따라 그 배치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배치개수 등도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는 상기 반응조(100)를 순환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100) 내에 발생되는 협잡물(2)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세하게,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는, 이송유닛(310)과, 구동부(320)와, 수집제거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310)은,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와 외부를 교대로 순환 이동하고 상기 수집제거부(330)가 결합된다. 상기 이송유닛(310)은 이송컨베이어(311,312)와,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320)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를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환형으로 일부가 상기 반응조(100)에 침지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반응조(100)의 외부로 노출되어 순환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상기 반응조(100) 내 상기 처리수(1)의 유동흐름에 간섭을 하여 스크리닝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도록 상기 반응조(100)의 저면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시계방향을 따라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 일측에서 타측으로 일 방향 이동한 후 상기 반응조(100)의 외부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부로 이동하고, 상기 반응조(100)의 외부 타측에서 일측으로 타 방향 이동한 후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로 침지되도록 하부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상기 수집제거부(330)가 상기 반응조(100)의 저면을 따라 인접하여 이동하여 상기 반응조(100)의 바닥에 적층된 협잡물(2)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 저면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조(100)로 침지되기 전 상기 반응조(100)의 외부 일측 상부가 상기 반응조(10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집제거부(330)에 의하여 수집된 협잡물(2)을 상기 반응조(100)의 외부에 낙하시켜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상기 처리수(1)의 유동흐름에 미치는 영향이 최소가 되도록 하고 유동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는 띠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한 쌍으로 이루어져 각각이 환형으로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서로 이격되게 배치하여 상기 수집제거부(330)의 양측이 각각 결합되어 있다.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는 공지의 이송레일 또는 이송체인 또는 이송밸트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가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와 외부를 순환 이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를 이동시킨다.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는 상기 구동부(320)와 연결되어 회전하며, 공지의 구동롤러와, 종동롤러와, 가이드롤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구동부(320)는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를 회전시키고, 상기 제어부(400)에 의하여 구동 제어된다. 상기 구동부(32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와 축 결합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벨트 등을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반응조(100) 내의 협잡물(2)의 포함 정도 또는 상기 처리수(1)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구동부(320)를 작동제어하고, 더불어 상기 이송롤러부(313a,313b,313c,313d)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수집제거부(330)를 통한 협잡물(2)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상기 이송유닛(310)에 결합되어 상기 이송유닛(310)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의 내부와 외부를 순환 이동하고, 이동하면서 상기 반응조(100) 내 협잡물(2)을 수집하여 외부로 배출 및 제거한다.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상기 반응조(100) 내 협잡물(2)을 수집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집부(331)가 형성되어 이동에 따라 상기 반응조(100)의 협잡물(2)이 상기 수집부(331)로 수집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수집부몸체(332)와, 이탈방지부(333)를 포함한다. 상기 수집부몸체(332)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수집부(331)가 형성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반응조(100)에 침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수집부(331)가 위치하며 상기 이송유닛(310)에 결합되어 있다.
상기 수집부몸체(332)는 '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수집부몸체(332)는,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가 시계방향으로 순환 이동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몸체(332)가 반응조(100) 저면을 이동할 때 ' ㄱ'자 상태로 상기 이송컨베이어(311,312)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수집부몸체(332)는 도시된 바와 같이 ' ㄱ'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어 있으나, 이는 일 실시예로 상기한 수집부(331)의 형성이 가능하고 이동에 따라 상기 협잡물(2)을 수집부(331)로 수집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형상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 이탈방지부(333)는 상기 수집부몸체(332)의 노출단부로부터 절곡되게 형성되어 이동 시 상기 수집부(331)로 수집된 상기 협잡물(2)의 이탈을 방지한다. 상기 이탈방지부(33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집부몸체(332)의 단부에 대하여 직각되게 형성되어 반응조(10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아울러, 상기 이탈방지부(333)는 설계에 따라 너비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탈방지부(333)는, 반응조(100)의 하부에 적층된 협잡물(2)을 보다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노출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333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부(333)는 상기 협잡물(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라면 그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처리수(1) 내를 이동할 때 발생하는 유동저항을 최소화하고 이동에 따른 처리수(1) 유동을 이용하여 부유하는 협잡물(2) 등을 효과적으로 수집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집부몸체(332)와 이탈방지부(333)의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하여 협잡물(2)이 빠져나가지 못할 정도의 공극이 형성된 메쉬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부(200)의 손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상기 수집제거부(330)를 통한 협잡물(2) 수집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면을 참조하면, (a)는 상기 수집제거부(330)가 반응조(100)의 바닥 저면에 위치하고 있을 때로서 반응조(100) 하부에 적층되는 협잡물(2)이 상기 수집부(331)와 수집부몸체(332)의 측면으로 협잡물(2)이 수집됨을 나타낸다. (b)는 상기 수집제거부(330)가 반응조(100)의 외부 상부에서 이동될 때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수집된 협잡물(2)을 이탈시키지 않고 그대로 수집된 상태에서 이동함을 나타낸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수집제거부(330)는, 상기 이송유닛(310)의 이동에 의하여 상기 반응조(100)를 이동하면서 상기 수집부(331)로 협잡물(2)이 수집되고, 이렇게 수집부(331)에 협잡물(2)이 수집되면 이 상태에서 반응조(100) 외부로 이동하여 배출 제거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처리수(1)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110;도 2참조)로부터 상기 처리수(1)의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수(1)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를 작동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처리수(1)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수위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상기 처리수(1)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를 작동시키고, 작동 후 상기 처리수(1)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협잡물제거기(300)의 작동을 중지한다.
이는, 상기 반응조(100) 내 협잡물(2)이 발생하면 스크린부(200)를 폐색시키고, 이렇게 스크린부(200)가 폐색되면 반응조(100) 전체 수위 또는 스크린부(200) 근방의 수위가 상승하기 때문에, 이에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수위센서(110)로부터 수위 상승에 따른 협잡물(2) 생성정도를 파악하고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를 작동시킴으로서, 효과적인 협잡물(2) 제거가 가능하고 전기에너지의 낭비를 줄여 전력비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스크리닝 장치(500)는 유입하는 처리수(1) 전량에 대한 스크리닝을 통하여 미세 협잡물(2)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부(200)를 처리수(1)의 흐름을 협잡물(2)이 스크린부(200)의 직각 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협잡물(2) 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500)는 호기조를 포함하는 하·폐수 처리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살펴보면, 상기 하·폐수 처리장치는 호기조 내 상기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500)가 설치되고, 상기 처리수(1)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산기장치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호기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수(1)로 공기를 공급하며, 상기 산기장치에서 발생하는 공기와 상기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500)의 상기 협잡물제거기(300)를 통하여 상기 스크린부(200)의 파울링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상기 하·폐수 처리장치는 상기 스크린부(200)의 세척을 별도의 역세장치 없이 호기조의 산기장치을 그대로 이용하기 때문에 상기 스크린부(200)의 세척을 위한 추가구성 및 추가비용을 줄일 수 있어 비용저감 및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산기장치의 공기로 인한 상기 스크린부(200)의 세척에 대한 설명과 세부 구성은 공지의 기술로서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하·폐수 처리장치는 산기장치를 통하여 호기조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기 때문에 추가 설비가 불필요하며, 처리수(1)의 수위에 대응하여 협잡물제거기(300)를 간헐적으로 작동하여 저전력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반응조 110... 수위센서
200... 스크린부 300... 협잡물제거기
310... 이송유닛 311,312... 이송컨베이어
313a,313b,313c,313d...이송롤러부 320... 구동부
330... 수집제거부 331... 수집부
332... 수집부몸체 333... 이탈방지부
400... 제어부 500...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Claims (15)

  1. 상부가 개방된 반응조 내의 처리수에 침지되고, 메쉬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처리수를 통과시켜 여과하는 스크린망을 포함하고, 상기 처리수의 유동방향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반응조의 전면, 후면, 좌측면 및 우측면에 배치되는 스크린부;
    상기 반응조를 순환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 내에 발생되는 협잡물을 제거하는 협잡물제거기;
    상기 반응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하부로부터 상기 처리수에 공기를 공급하는 산기장치; 및
    상기 처리수의 수위를 감지하는 수위센서로부터 상기 처리수의 수위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처리수의 수위에 대응하여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작동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협잡물제거기는,
    상기 반응조의 내부와 외부를 교대로 순환 이동하고 수집제거부가 결합되는 이송컨베이어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구동부와 연결되어, 회전에 의하여 상기 이송컨베이어를 이동시키는 이송롤러부를 포함하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연결되어 상기 이송유닛을 이동시키고 상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 제어되는 구동부와,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반응조의 저면을 따라 인접하여 이동하여 상기 반응조의 바닥에 적층된 협잡물을 수집하도록 오목한 형상의 수집부가 형성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반응조의 내부와 외부를 순환 이동하면서 상기 수집부로 수집한 협잡물을 외부로 배출 제거하는 수집제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환형으로 일부가 상기 반응조에 침지되고, 상기 처리수의 유동흐름에 간섭하여 스크리닝 효과를 저감시키지 않도록 상기 반응조의 저면과 측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수집제거부는,
    상기 이송컨베이어에 결합되고 상기 수집부를 형성하도록 ' ┐'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며, 상기 반응조에 침지된 상태에서 이동하는 방향을 바라보도록 상기 수집부가 위치되어, 상기 반응조의 저면에 위치시 측면에 상기 협잡물이 수집되는 수집부몸체와,
    상기 수집부몸체의 양 단부에서 각각 절곡 형성되어 상기 수집부에 수집된 상기 협잡물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는,
    각각이 환형으로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수집제거부의 양측이 각각 결합하는 한 쌍의 이송레일들을 포함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는,
    노출단부로 갈수록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집제거부는,
    비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상승하여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설정된 범위에 도달하면 상기 협잡물제거기를 작동시키고, 작동 후 상기 처리수의 수위가 낮아져 상기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상기 협잡물제거기의 작동을 중지하는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0154845A 2016-11-21 2016-11-21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851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45A KR101851689B1 (ko) 2016-11-21 2016-11-21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4845A KR101851689B1 (ko) 2016-11-21 2016-11-21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1689B1 true KR101851689B1 (ko) 2018-06-04

Family

ID=62627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4845A KR101851689B1 (ko) 2016-11-21 2016-11-21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1689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0554A1 (fr) * 2001-02-01 2002-08-08 Suikenkikou Co., Ltd Systeme de filtrage sous-marin de type aeration
KR20030025950A (ko) * 2003-02-27 2003-03-29 국성산업(주)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56849Y1 (ko) * 2003-12-10 2004-07-19 김관호 부유물 제거 장치
KR20100035238A (ko) * 2008-09-26 2010-04-0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간단한 스컴제거수단을가진 슬러지수집기
KR100969220B1 (ko) 2010-05-31 201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 여과 스크린을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시스템
KR101395188B1 (ko) 2014-02-04 2014-05-15 (유)일토씨엔엠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60554A1 (fr) * 2001-02-01 2002-08-08 Suikenkikou Co., Ltd Systeme de filtrage sous-marin de type aeration
KR20030025950A (ko) * 2003-02-27 2003-03-29 국성산업(주) 배수로용 오물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356849Y1 (ko) * 2003-12-10 2004-07-19 김관호 부유물 제거 장치
KR20100035238A (ko) * 2008-09-26 2010-04-05 (주)범한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 사무소 간단한 스컴제거수단을가진 슬러지수집기
KR100969220B1 (ko) 2010-05-31 2010-07-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내부 여과 스크린을 포함하는 하수고도처리시스템
KR101395188B1 (ko) 2014-02-04 2014-05-15 (유)일토씨엔엠 분리막모듈이 구비된 오폐수 처리장치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574031B (zh) 具有多孔过滤介质的高速过滤装置及其反冲洗方法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US20070039894A1 (en) Water treatment using magnetic and other field separation technologies
US8398864B2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US20080073284A1 (en) Device and method for utilizing magnetic seeding and separation in a water treatment system
KR101219286B1 (ko) 재활용 플라스틱용 절수형 세척장치
KR102244107B1 (ko)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728525B1 (ko) 하수 처리 장치
KR101656493B1 (ko) 이송펌프를 사용하지 않는 에너지 절감형 협잡물 처리기
KR20200031792A (ko) 하·폐수용 침전 탱크 부착형 여과기
KR101664356B1 (ko) 오폐수 처리를 위한 연속식 여과 장치 및 연속식 여과 방법
KR101207999B1 (ko) 세척수 재활용 장치를 구비한 벨트 크리너 세척 시스템
JP3843359B2 (ja) ばっ気式水中スクリーンシステム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101851689B1 (ko) 협잡물제거기를 이용한 침지형 스크리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폐수 처리장치
KR101199266B1 (ko) 수처리장치
KR101262157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301717B1 (ko) 초기 우수의 연속 세척 기능을 갖는 여과시스템
KR200260031Y1 (ko) 종합수처리장치
JP2002263696A (ja) 洗浄処理装置
JP4074927B2 (ja) 洗浄処理装置
JPH0327242B2 (ko)
KR20230079590A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1824372B1 (ko)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CN207270880U (zh) 一种污水分级清理环保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