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62157B1 - 수처리용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용 여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62157B1
KR101262157B1 KR1020090091743A KR20090091743A KR101262157B1 KR 101262157 B1 KR101262157 B1 KR 101262157B1 KR 1020090091743 A KR1020090091743 A KR 1020090091743A KR 20090091743 A KR20090091743 A KR 20090091743A KR 101262157 B1 KR101262157 B1 KR 10126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water treatment
screen
filtration devic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17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34268A (ko
Inventor
배상열
Original Assignee
배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상열 filed Critical 배상열
Priority to KR10200900917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62157B1/ko
Publication of KR201100342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42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6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62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1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brus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3Accessories in which the filtering elements are moved between filtering operations ; Particular measures for removing or replacing the filtering elements; Transport systems for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80Accessories
    • B01D33/804Accessories integrally combined with devices for controlling the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3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 B08B1/32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by movement of cleaning members over a surface using rotary cleaning mem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 쌍의 벨트 스크린이 번갈아 좌우로 이동하여 슬러지를 처리하도록 하고, 한쪽 스크린이 슬러지 제거작업을 하는 동안 반대쪽 스크린은 그 위에 쌓인 슬러지가 자동으로 제거됨으로써, 스크린의 청소에 의해 슬러지 처리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뤄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슬러지, 제거장치, 벨트 스크린, 스크루 컨베이어, 호퍼

Description

수처리용 여과장치{Sludge removing apparatus for water treatment}
본 발명은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벨트 스크린의 청소에 의해 슬러지 처리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오폐수를 수처리 하지 않고 그냥 배출하는 경우 수질오염 및 환경 파괴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버리기 전에 반드시 슬러지 등 찌꺼기를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오폐수의 처리과정으로 슬러지 수집조에 각종 약품을 첨가한 후 상기 약품에 의한 응집, 침전, 탈수 과정을 통해 슬러지를 반고체 상태로 회수한 후 소각 처리하는 방법이 보편화 되어 있다.
이러한 반고체 상태의 슬러지를 회수하는 방법은 약품 처리된 오폐수를 슬러지 탈수용 스크린에서 탈수시킨 후 그 위에 흡착된 슬러지를 세정하거나, 스크린 위에 슬러지를 침전시킨 후 별도의 스크래퍼를 이용하여 긁어내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 방법은 스크린 위에 일정량의 슬러지가 쌓이면 작업성능이 저하되므로 수시로 쌓인 슬러지를 제거해줘야 하는데, 일반적으로 스크린의 청소 작업이 진행되는 동안엔 스크린이 일정시간 정지되어 슬러지 처리작업이 수행되지 못하기 때문에 수처리 효율에 한계를 갖게 되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수처리용 여과장치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벨트 스크린의 청소에 의해 슬러지 처리작업이 중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큰 슬러지와 작은 슬러지를 순차적으로 제거하여 슬러지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위와 같은 목적은 중앙의 격벽에 의해 2부분으로 나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2부분의 중앙에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측에서 공급된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한 쌍의 벨트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처리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함체의 수직판에 고정 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기어축이 결합된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벨트 스크린을 좌우 이동시키는 함체 이송부와; 상기 벨트 스크린의 일단 하부에 구비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에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루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슬러지 배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은 상기 특징 이외에, 하부에 하나 이상의 슬러지 감지센서를 가지고 상부에 일측단이 옆으로 돌출 형성된 벽체가 구비된 수직벽과; 상기 벽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에 각각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러지 제거부가 상기 함체 상측에 추가로 설 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수직벽 하측에는 일단에 입수관이 연통되고 상하 굴곡부를 갖는 입수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승하강부의 하단부에 다수의 탈수공을 갖는 집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슬러지 처리부 상측에 호퍼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일면에 따라, 상기 홈통 상부에는 상기 벨트 스크린의 일단에 밀접되게 회전브러쉬 또는 스크래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장치는, 슬러지 처리부의 한 쌍의 벨트 스크린이 좌우로 이동하여 슬러지를 처리하도록 하고, 한쪽 스크린이 슬러지 제거작업을 하는 동안 반대쪽 스크린은 그 위에 쌓인 슬러지를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스크린의 청소에 의해 슬러지 처리작업이 중단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뤄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러지 처리부 상측에 슬러지 제거부를 추가로 설치하여 큰 슬러지와 작은 슬러지가 순차적으로 제거되도록 하여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그 실시예에 의해 첨부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가 횡방향 이동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용 여과장치는, 내측에 수용공간을 갖는 하우징(10)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10) 내부에는 입수로(100)와, 상기 입수로(100)로 유입된 오폐수의 큰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제거부(200)와,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에서 제거되지 않은 작은 슬러지를 제거하는 슬러지 처리부(300)와,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와 슬러지 처리부(300)에 의해 걸러진 슬러지(A)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슬러지 배출부(400)와,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와 슬러지 처리부(300)를 통해 수처리된 오폐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로(700)가 오폐수의 이동 경로를 따라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상기 입수로(100)는 일단에 오폐수를 유입하는 입수관(500)이 연통되고, 타단부엔 유입된 오폐수가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 하측에 위치한 슬러지 처리부(300)에 낙하하도록 경사부(100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입수로(100)는 오폐수가 한쪽으로 쏠려 수압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상하로 굴곡부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는 오폐수 통과시 큰 슬러지가 걸러지도록 상기 입수로(100)의 경사부(100a)에서 일정간격으로 상기 입수 로(100)를 가로질러 일정높이의 수직벽(110)이 상향 설치되고, 상기 수직벽(110)에는 걸러진 슬러지(A)를 감지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접촉감지센서, 반사형 광센서, 반사형 초음파센서 등의 하나 이상의 슬러지 감지센서(24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241)는 바람직하게 조명의 영향을 받지 않는 접촉감지센서로 구성하고, 투과형 센서를 사용하면 상기 입수로(100)의 양측에 설치 가능하다.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에 의해 걸러지는 슬러지의 크기는 상기 수직벽(110)과 경사부(100a)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수직벽(110)의 상부에는 일측단이 상기 수직벽(110) 옆으로 돌출 형성되고 일측에 구동모터(251)를 갖는 벽체(240)가 구비되고, 상기 벽체(240)의 전면에는 상기 구동모터(251)의 길게 연장 형성된 모터축(250)이 위치하도록 횡방향의 홈부(26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홈부(260)에는 상기 구동모터(251)의 모터축(250)에 연동하여 좌우로 이동되도록 한 쌍의 제1,2 아암부(210a)(210b)가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의 일단부에는 상기 구동모터(251)의 모터축(250)에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를 좌우 이동시키는 웜기어(도시생략)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웜기어는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가 상기 구동모터(251)의 모터축(250)에 각각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솔레노이드와 같은 이격수단을 구비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는 경우에 따라 상기 벽체(240) 일측에 설치하지 않고, 상기 구동모터(251)의 모터축(250)을 대체하는 이동축을 홈부(260)에 고정 설치한 후,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에 웜기어를 개별 회전시키는 모터를 각각 설치하여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의 웜기어가 상기 이동축에 각각 결합 또는 결합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는 그 선단에 승하강부인 하나씩의 실린더(211)가 상향 설치되고, 상기 실린더(211)에는 상기 실린더(211)의 피스톤에 연결되게 승하강축(215)이 하향 설치되며, 상기 승하강축(215)의 하단부에는 상기 수직벽(110)에 걸러진 슬러지를 집어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에 버리는 집게(212a)(212b)가 각각 설치된다.
이때, 적어도 한쪽 슬러지 제거부(212b)에 집힌 슬러지가 아암부(210a)(210b) 이동시 예기치 않게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칸막이부(217)가 형성되고, 상기 집게(212a)(212b)에는 상기 집게(212a)(212b)가 서로 밀착시 그 사이에 집힌 슬러지를 눌러 남은 물기를 배출시키는 다수의 탈수공(21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아암부(210a)에 상기 제2아암부(210b)의 접촉을 감지하는 제1접촉감지센서(213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아암부(210b)에는 상기 홈부(260) 끝의 접촉을 감지하여 서로 밀착된 한 쌍의 집게부(212a)(212b)를 벌리는 제2접촉감지센서(213b)가 구비된다.
도 1, 도 2, 도 4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러지 처리부(300)는 전후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지지대(325)를 나란히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325) 위에는 중공형의 바닥부(301)와, 상기 바닥부(301)의 양측에 상향 설치된 한 쌍의 수직판(324)과, 상기 바닥부(301) 중앙에 상기 바닥부(323)을 2부분으로 나뉘도록 상향 설치된 격벽(329)으로 구성된 함체(320)가 설치된다.
상기 함체(320)의 각 수직판(324)과 격벽(329)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의 회전롤러(327)가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회전롤러(327)에는 미세한 크기의 눈을 갖는 메쉬망이나 투과성막 등의 슬러지 여과용 스크린(321)이 루프 회전 가능한 벨트 컨베이어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함체(320)의 2부분에 한 쌍의 벨트 스크린(321)이 좌우로 나란히 설치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롤러(327)는 상기 스크린(321)의 양측 단부에 기본적으로 한 개씩 설치되어 회전축의 역할을 하고, 그 중간에 추가로 설치된 회전롤러(327)는 상기 스크린(321)의 늘어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회전롤러(327) 중 적어도 하나에는 그 둘레에 루프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스크린(321)을 회전시키는 회전모터(328)가 설치되고, 이때 상기 수직벽(324)은 상기 스크린(321) 위에 투입된 오폐수가 함체(320) 밖으로 흘러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스크린(321)보다 높게 설치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회전모터(328)를 중간의 회전롤러(327)에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 회전모터(328)는 양단의 회전롤러(327) 등 어느 회전롤러(327)에 설치해도 무방하다.
이때, 상기 슬러지 처리부(300)에 의해 걸러지는 슬러지의 크기는 상기 스크린(321)의 눈 입자에 따라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01)와 스크린(321) 사이에 상기 스크린(321)의 길이방향으로 돌출된 모터축(323a)을 갖는 모터(323)가 설치되고, 상기 좌우 수직판(324)에는 상기 모터(323)의 모터축(323a)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축(323a)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함으로써 한 쌍의 스크린(321)이 번갈아 슬러지 처리 또는 스크린 청소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함체(320)를 좌우 이동시키는 웜기어(322)가 고정 설치되고, 이때 상기 격벽(329)에는 상기 웜기어(322)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323)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작동되거나, 제어부에 몇 분 간격으로 미리 설정된 시간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301)의 하부에 함체(320)를 좌우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지지체 이송수단이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 이송수단은 상기 지지대(325) 위에 레일을 형성하고 상기 바닥부(301)의 바닥에는 전후 적어도 2개 이상의 바퀴(326) 또는 슬라이더를 설치하면 될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린(321)의 일단부는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에 노출되도록 구성하며,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에는 상기 스크린(321)에 붙어있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스크린 청소수단으로서 합성수지나 금속재질로 된 회전브러쉬(330) 또는 스크래퍼가 상기 스크린(321)의 일단에 밀접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스크린 청소수단이 회전브러쉬(330)인 경우에는 상기 회전브러쉬(330)를 상기 스크린(321)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모터(도시생략)가 장착된다.
한편, 상기 슬러지 처리부(300) 상측에는 상기 입수로(100)의 경사부(100a)에서 떨어지는 오폐수를 상기 스크린(321)에 용이하게 공급하기 위해 하단에 배출공(312)를 갖는 호퍼(310)가 설치되고, 상기 호퍼(310)는 바람직하게 일측에 상기 호퍼(310)를 일정각도로 시소운동시키거나 흔들어 오폐수가 상기 스크린 위에 골고루 흩어지며 공급되도록 하는 모터(3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호퍼(310) 옆에는 상기 입수로(100)에서 낙하된 오폐수가 호퍼(310) 밖으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보조벽(230)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호퍼(310) 하측에 상기 스크린(321)을 통과한 오폐수가 떨어져 일측에 연통된 배수관(600)을 통해 배출시키는 배수로(700)가 구비되고, 상기 배수로(700)의 양측에는 상기 스크린(321)이 좌우 이동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게 떨어진 슬러지가 상기 배수로(70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격벽을 통해 분리된 슬러지 수용부(800)가 구성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부(400)는,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의 옆으로 돌출된 벽체(240) 하부와, 상기 슬러지 처리부(300)의 회전브러쉬(330) 하부에 구비되는 홈통(410)과, 상기 홈통(4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슬러지 배출관(440)을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루 컨베이어(420)로 구성된다.
위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에 의한 수처리용 여과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내지 도 5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관(500)을 통해 입수로(100)로 유입된 오폐수는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의 수직벽(110)에 큰 슬러지가 걸리면서 경사부(110a)를 거쳐 하측의 호퍼(310)로 낙하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는 수직벽(110)에 슬러지가 일정량 이상 모이면 감지센서(241)에서 발송된 슬러지 검출신호를 수신한 제어부(미도시)가 상기 한 쌍의 실린더(211)를 작동시켜 그 하부에 설치된 집게(212a, 212b)를 입수로(100) 면에 인접하게 하강시킨다.
이후, 상기 제어부는 구동모터(251)를 작동시켜 벽체(240)의 한쪽 끝에 위치한 제1아암부(210a)를 제2아암부(210b) 쪽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아암부(210a)의 하단부에 구비된 집게(212a)가 입수로(100)를 가로질러 스크래핑 작업을 실시하여 상기 수직벽(110)에 모인 슬러지를 함께 반대쪽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제1아암부(210a)의 제1접촉감지센서(213a)가 제2이동부(210')와접촉되면 상기 한 쌍의 집게부(212a)(212b) 사이에 슬러지가 집힌 상태로 상기 제어부는 제1아암부(210a)의 이동을 멈추고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의 실린더(211)를 동시에 작동시켜 그 하부의 집게(212a)(212b)를 동시에 승강시킨다.
상기 한 쌍의 집게부(212a)(212b)의 승강이 완료된 후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는 상기 제2아암부(210b)의 제2접촉감지센서(213b)가 홈부(260) 끝에 접촉될 때까지 함께 이동하게 되고, 상기 제1,2 아암부(210a)(210b)가 상기 벽체(240)의 단부인 슬러지 배출부(400) 위에 도착하면 이 중 제1아암부(210)만 역방향으로 복귀시켜 상기 집게(212a, 212b) 사이에 집혀있던 슬러지(A)가 슬러지 배출부(400)로 낙하되고, 이후 제어부는 상기 제1,2 아암부(210, 210')를 최초 설정된 위치로 각각 복귀시킨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제거부(200)를 통과한 오폐수는 상기 호퍼(310)로 투입되며 상기 호퍼(310)의 흔들림에 의해 하측에 위치한 슬러지 장치부(300)의 스크린(321) 위에 오폐수를 골고루 분산시키며 공급하게 된다.
이후, 상기 스크린(321) 위로 공급된 오폐수는 상기 스크린(321)에 작은 슬러지가 걸러지고, 수처리된 오폐수는 하측의 배수로(700)로 낙하되어 배수관(600)을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크린(321) 위에 일정량의 슬러지가 쌓이게 되면 상기 슬러지 처리부(300)의 함체(320)가 이송모터(323)에 의해 스크린 하나만큼 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슬러지 수용부(800) 위에 위치해 있던 반대쪽 스크린(321)이 호퍼(321) 하측에 위치하여 슬러지 여과작업을 수행하며, 이동된 스크린(321)은 스크린 청소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 함체(320)가 좌우 이동하는 동안에만 오폐수가 떨어지지 않도록 상기 입수관(500)의 밸브(도시생략)를 잠그면 될 것이다.
한편, 슬러지가 일정량 쌓여 슬러지 수용부(800) 쪽으로 이송된 스크린(321)은 모터(328)에 작동시켜 회전롤러(327)를 회전시키고 이에 상기 스크린(321) 위에 쌓인 슬러지가 슬러지 배출부(400) 쪽으로 모여지도록 한다.
따라서, 한쪽 스크린(321)이 슬러지 여과작업을 하는 동안에 반대쪽 스크린(321)의 일단에 모여진 슬러지는 밀접되게 설치된 회전브러쉬(330)에 의해 제거되어 그 하측의 슬러지 배출부(400)의 홈통(410)에 수집되고, 상기 홈통(410)에 수집된 슬러지는 스크루 컨베이어(420)에 의해 슬러지 배출관(440)로 이송되어 밖으 로 배출된다.
그리고, 일정시간 경과 후 청소 완료된 스크린(321)은 다시 호퍼(310) 하측으로 여과작업이 완료된 스크린(321)은 청소작업을 위해 이동되는바, 위와 같이 좌우 여과스크린(321)의 위치를 수시로 바꾸면 스크린(321)의 청소 여부와 상관없이 연속적으로 수처리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발명은 특정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가 횡방향 이동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제거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를 도시한 평면도.
도 5a 내지 도 5f는 본 발명의 수처리용 여과장치를 도시한 작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입수로 110 ; 지지벽
200 ; 슬러지 제거부 210a ; 제1아암부
210b ; 제2아암부 212a, 212b ; 집게
214 ; 탈수공 230 ; 보조벽
240 ; 벽체 241 ; 감지센서
250 ; 이동축 251, 311, 323, 328, 430 ; 모터
300 ; 슬러지 처리부 310 ; 호퍼
320 ; 지지체 321 ; 스크린
330 ; 회전브러쉬 410 ; 홈통
420 ; 스크루 컨베이어 440 ; 슬러지 배출관
500 ; 입수관 600 ; 배수관
A ; 슬러지

Claims (8)

  1. 양측에 상향 설치된 한 쌍의 수직판과 중앙의 격벽에 의해 2부분으로 나뉘고 상하부가 개방된 함체와, 상기 함체의 2부분의 중앙에 나란히 설치되고 상기 함체의 상측에서 공급된 오폐수를 여과시키는 한 쌍의 벨트 스크린으로 이루어진 슬러지 처리부와;
    양단이 각각 상기 함체의 수직판에 고정 설치되는 웜기어와 상기 웜기어에 기어축이 결합된 모터로 구성되어 상기 한 쌍의 벨트 스크린을 좌우 이동시키는 함체 이송부와;
    상기 벨트 스크린의 일단 하부에 구비되는 홈통과, 상기 홈통에 설치되어 수집된 슬러지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스크루 컨베이어로 이루어진 슬러지 배출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에 하나 이상의 슬러지 감지센서를 가지고 상부에 일측단이 옆으로 돌출 형성된 벽체가 구비된 수직벽과;
    상기 벽체에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아암부와;
    상기 한 쌍의 아암부에 각각 수직 설치되는 승하강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슬러지 제거부가 상기 함체 상측에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벽 하측에는 일단에 입수관이 연통되고 상하 굴곡부를 갖는 입수로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의 하단부에 다수의 탈수공을 갖는 집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처리부 상측에 호퍼가 추가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 상부에는 상기 벨트 스크린의 일단에 밀접되게 회전브러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통 상부에는 상기 벨트 스크린의 일단에 밀접되게 스크래퍼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함체 바닥에 다수의 바퀴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20090091743A 2009-09-28 2009-09-28 수처리용 여과장치 KR10126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43A KR101262157B1 (ko) 2009-09-28 2009-09-28 수처리용 여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1743A KR101262157B1 (ko) 2009-09-28 2009-09-28 수처리용 여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68A KR20110034268A (ko) 2011-04-05
KR101262157B1 true KR101262157B1 (ko) 2013-05-14

Family

ID=44042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1743A KR101262157B1 (ko) 2009-09-28 2009-09-28 수처리용 여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62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905B1 (ko) * 2011-06-29 2012-05-30 에스엔티코리아 주식회사 독립형 실시간 수처리장치
CN108037260A (zh) * 2017-12-14 2018-05-15 百奥森(江苏)食品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污水检测装置
KR102380293B1 (ko) * 2019-12-11 2022-03-29 대한민국 조대성 고형물 전처리장치
KR102421273B1 (ko) * 2021-07-30 2022-07-15 주식회사 그레넥스 부유 물질 분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침전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2167A1 (en) 2003-05-05 2004-11-11 Weir Robert K. Apparatus and method of particulate removal from liqui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22167A1 (en) 2003-05-05 2004-11-11 Weir Robert K. Apparatus and method of particulate removal from liqui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4268A (ko) 2011-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2157B1 (ko) 수처리용 여과장치
KR20070116591A (ko) 3차 필터
CN213912534U (zh) 一种具易于倾倒的废水处理装置
US7537689B2 (en) Tertiary filter
KR100870708B1 (ko) 여과포 상하반전 이동식 필터프레스
CN111359285A (zh) 一种过滤装置及污水处理设备和污水处理方法
KR100564250B1 (ko) 드럼스크린형 오수처리장치
JP2009045562A (ja) 濾過フイルター式スラッジ脱水処理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902816B1 (ko) 오폐수 처리용 자동 바 스크린 장치
KR20190119750A (ko) 수로 분리형 제진기
CN102921210B (zh) 一种养殖水处理用无动力自动反冲洗筛滤装置
KR100543962B1 (ko) 미세목 스크린형 협잡물처리장치
KR20120011335A (ko) 스컴 분리장치
KR200420116Y1 (ko) 협잡물 종합 처리장치
JP3762338B2 (ja) 洗浄水自動供給スクリーン
KR20230079590A (ko) 협잡물의 이송이 용이한 스크린 장치 및 스크린 장치의 이상동작 대응 방법
KR102305739B1 (ko) 슬러지 탈수기의 오수 재생 장치
CN202876475U (zh) 一种养殖水处理用无动力自动反冲洗筛滤装置
CN210448241U (zh) 一种排污控制系统
KR100840373B1 (ko) 협잡물 처리장치
KR200343484Y1 (ko) 수처리장치의 협잡물 분리 제거장치
JP3947310B2 (ja) 沈澱池
KR200414355Y1 (ko) 조목, 미세목 일체형 스크린 장치를 이용한 침사 협잡물종합처리기
JP2003094069A (ja) 汚水処理方法及び汚水処理装置
CN115228183B (zh) 传送带式水产养殖尾水处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