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4372B1 -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 Google Patents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4372B1
KR101824372B1 KR1020170175623A KR20170175623A KR101824372B1 KR 101824372 B1 KR101824372 B1 KR 101824372B1 KR 1020170175623 A KR1020170175623 A KR 1020170175623A KR 20170175623 A KR20170175623 A KR 20170175623A KR 101824372 B1 KR101824372 B1 KR 1018243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ed water
dust
water
gas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영미
Original Assignee
(주)수일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수일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수일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70175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43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43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43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며 처리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위치하여 유입구와 연통하는 제1공간부와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공간부를 구획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처리수의 수위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 격판과; 상기 처리수에 떠 있는 상태로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지지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격판의 하부를 통과하는 기체에 처리수를 접촉시켜 기체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수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부내에 구비되며 수처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유출구측으로 유도하며 기체내에 남아 있는 분진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는, 분진을 일정 용적의 공간에 가둔 상태로 강제 이송시키며 처리수를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그만큼 분진 제거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처리수의 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정상 작동하므로 수면의 높이를 정밀 제어할 필요가 없어 운전이 수월하다. 아울러, 흡착처리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시로 흡착처리부를 분해하여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어 분진 흡착 성공률이 높고 유지보수성이 좋다.

Description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Dust removal equipment for sewage sludge treatment}
본 발명은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수슬러지의 처리시 발생하는 유해 분진을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물과 접촉시켜 제거하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폐수나 하수 등을 처리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슬러지는 많은 수분을 포함하고 있어 그대로 처리하기가 곤란하므로, 통상 모래여과, 필터프레스, 진공여과기 등으로 처리하여 수분이 적은 케이크(cake)상으로 만든 후 적절히 처리된다. 과거에는, 상기 슬러지를 대부분 매립이나 소각 처리하고, 경우에 따라 해양투기를 하기도 하였는데, 이러한 방법은 환경부하가 크고 2차 오염을 야기 시키므로 현재는 법적으로 제한되고 있다.
이러한 환경적 사회적 상황에 맞추어, 슬러지 케이크를 건조 처리하기 위한 다양한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상기 건조장치는, 기본적으로, 슬러지에 열을 가하여 수분을 증발 제거하는 원리를 가지는 것이다.
슬러지 건조장치에 있어서 중요한 것은,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것 뿐 아니라, 처리 중에 발생하는 심각한 악취와 유해 분진과 가스를 적절히 처리하는 것이다. 어디까지나, 농축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가열하는 것이니 만큼, 슬러지의 건조 처리 과정 중 유해한 분진이나 가스는 물론 다량의 악취가 발생하는 것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분진이나 악취 등의 적극적 처리 문제는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개발 및 사용되고 있는 거의 모든 슬러지 건조장치는, 슬러지의 효율적인 건조에만 관심이 있고, 건조 시 발생하는 오염물질의 처리에 대해서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상황이며 효과적인 대안을 제시하지도 못하고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518151호 (하수 슬러지 - 석탄 정제 응집물의 가스화 소각 방법 및 장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613264호 (배출가스 습식 정화장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781793호 (하수슬러지 및 음식물 처리시 발생하는 악취제거 장치)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0949037호 (유기성 슬러지 처리시 발생하는 배출가스처리장치)
본 발명은 분진을 강제 이송시키며 처리수를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분진 제거효율이 뛰어나고, 처리수의 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정상 작동가능하며, 분진 흡착 성공율이 높고 유지보수성이 좋은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는,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 처리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구와 연통하는 제1공간부와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공간부를 구획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처리수의 수위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 격판과; 상기 처리수에 떠 있는 상태로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지지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격판의 하부를 통과하는 기체에 처리수를 접촉시켜 기체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력체에 지지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고 축회전 가능한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감아돌며 순환운동하는 순환벨트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상 부재로서, 상기 순환벨트의 외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순환벨트를 따라 순환운동하며, 상기 제1공간부내의 기체를 제2공간부로 몰아가는 다수의 이송탭과, 상기 구동롤러를 축회전시켜 순환벨트 및 이송탭을 순환운동 시키는 모터와, 상기 부력체에 고정된 상태로 순환벨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며, 직선 이동하는 이송탭의 상단부에 접하여 순환벨트와 이송탭과 더불어 기체를 수용하는 다수의 이송챔버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이송챔버의 내부로 처리수를 가하여 기체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처리수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다수의 배출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 형태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벽면 측으로 연장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연장단부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내벽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접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수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부내에 구비되며 수처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유출구측으로 유도하며 기체내에 남아 있는 분진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처리수유도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슬릿측으로 개방된 유도챔버와, 하우징내의 처리수를 유도챔버로 공급하여 유도챔버 내부로 공급된 처리수가 배출슬릿을 통해 낙하하여 처리수와 접하게 하는 펌프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격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도챔버의 상부에 고정되며, 수처리부의 승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는, 분진을 일정 용적의 공간에 가둔 상태로 강제 이송시키며 처리수를 반복적으로 접촉시키는 방식을 취하므로 그만큼 분진 제거효율이 뛰어나다.
또한, 처리수의 수면의 높이에 상관없이 정상 작동하므로 수면의 높이를 정밀 제어할 필요가 없어 운전이 수월하다.
아울러, 흡착처리부가 착탈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수시로 흡착처리부를 분해하여 세척 및 건조시킬 수 있어 분진 흡착 성공율이 높고 유지보수성이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흡착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한 베이스부를 별도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한 고정아암 및 연장아암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일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부력체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10)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10)는, 유입구(12a) 및 유출구(12b)을 가지며 처리수(W)를 수용하는 하우징(12)과, 상기 하우징(12)의 내부에 고정되며 유입구(12a)와 유출구(12b)를 격리하는 격판(16)과, 상기 격판(16)의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처리수(W)로부터 부력을 전달받아 처리수에 떠 있는 부력체(40)와, 상기 부력체(40)에 지지되는 수처리부(50)와, 상기 수처리부(50)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흡착부(60)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하우징(12)은, 처리할 기체, 즉 분진 등의 오염물질이 포함되어 있는 기체를 그 내부로 통과시키며, 상기 처리수(W)를 이용해 분진을 제거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하우징(12)의 사이즈는 처리 용량에 따라 달라짐은 물론이다.
상기 격판(16)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하단부를 제외한 3변이 하우징의 천장면과 내측벽에 밀폐 고정되는 고정판부(16a)와, 상기 고정판부(16a)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신축부(16b)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부(16b)는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된 주름판으로서, 그 상단부가 고정판부(16a)에 고정되어 있고, 하단부가 홀더(22a)를 통해 유도챔버(22)에 결합한다. 신축부(16b)는 유도챔버(22)의 상승 시 줄어들고 하강 시 늘어나는 부재로서 합성수지 또는 고무로 제작된다.
격판(16)은 유입구(12a)와 유출구(12b)의 사이에 위치하여, 하우징(12)의 내부공간을 제1공간부(12d)와 제2공간부(12e)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제1공간부(12d)는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한 기체가 경유하는 공간이고, 제2공간부(12e)는 격판(16)의 하단부 하부를 통과한 기체가 유출구(12b)로 이동하는 통로이다.
상기와 같이, 격판(16)에 신축부(16b)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격판(16)은 유도챔버(22)의 고도에 관계없이, 항상 유도챔버(22)와 결합한 상태를 유지한다. 격판(16)과 유도챔버(22)의 사이로 기체가 통과하지 못하는 것이다.
상기 제2공간부(12e)에 설치되는 흡착부(60)는 후술할 수처리부(50)를 통과한 기체를 그 내부 경로를 따라 유도하며, 기체에 남아 있을 수 있는 분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하우징(12)에 대해 착탈 가능하다.
즉 하우징(12)의 측부에는 상기 제2공간부(12e)를 측부로 개방하는 장착구(12c)가 마련되어 있고, 흡착부(60)가 장착구(12c)에 지지되는 것이다.
상기 흡착부(60)의 구조는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60)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그 테두리부가 상기 장착구(12c)의 테두리부에 맞추어진 상태로 고정볼트(14g)를 이용해 고정되는 지지판(14a)과, 지지판(14a)의 내향부, 즉, 격판(16)을 향하는 면에 수평으로 장착된 세 매의 흡착판(14b)을 구비한다.
상기 흡착판(14b)은 하우징(12)에 지지판(14a)을 고정한 상태로 제2공간부(12e)의 내부에서 수평을 이루며, 유출구(12b)를 향하는 기체와 접하며 기체내의 분진을 흡착 제거한다. 흡착판(14b)은 세 개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그 사이에 수평고정격판(18)을 수용한다.
상기 수평고정격판(18)은, 격판(16)의 측부에 위 아래로 나란하게 고정된 사각판으로서, 흡착판(14b)의 사이에 삽입되어 기체가 지그재그 형태로 상향유동하게 한다. 즉, 흡착판(14b)에 대한 기체의 접촉을 유도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고정격판(18)은, 지지판(14a)에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14c)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상면 및 저면에 구비되는 흡착포(14d)로 구성된다. 상기 흡착포(14d)는 기체내부에 남아 있는 분진을 흡착 제거하는 것으로서, 부직포를 적용할 수 있다.
여하튼, 상기 구성을 갖는 흡착부(14)는, 상기 고정볼트(14g)를 풀어 하우징(12)으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가령, 분진제거장치(10)의 사용이 오래되어 흡착부(14)를 떼어 청소해야 한다거나, 아니면 흡착부(14)의 수명이 다 되어 교체해야 하는 경우, 사용하던 흡착부(14)를 하우징(12)으로부터 아예 분리할 수 있는 것이다. 흡착부(14)를 세척하는 이유는 흡착포(14d)의 흡착 가능면적을 최대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부력체(40)는 처리수(W)로부터 부력을 받아 처리수(W)에 떠 있는 상태로 수처리부(50)를 수평 지지한다. 상기 부력체(40)의 구조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가령 도 7에 도시한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도 7은 도 1에 도시한 부력체(40)의 사시도이다.
상기 부력체(40)는, 속이 비어 있는 육면체 형태의 본체(40a)와, 본체(40a)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홈부(40c)를 갖는 고정부(40b)와, 본체(40a)의 상면에 고정되는 커넥터(40d)를 포함한다. 부력체(40)는 합성수지로 성형 제작된 것으로서 처리수(W)의 수면에 수평으로 떠 있는 상태로 수처리부(50)를 지지한다. 수처리부(50)는 물에 떠 있는 상태로 작동하는 것이다.
상기 부력체(4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체콘베이어(26)의 내측에 위치한다. 말하자면 후술할 기체콘베이어(26)가 부력체를 그 내측에 수용하며 부력체(40)의 부력을 받아 떠 있는 것이다.
부력체(40) 양단의 고정부(40b)는, 기체콘베이어(26)의 구동롤러(26c) 및 종동롤러(26d) 측으로 연장된 후, 홈부(40c) 내부에 구동축(26b)과 종동축(26b)을 수용한다. 부력체(40)에 의해 구동롤러(26c) 및 종동롤러(25d)의 간격이 평행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커넥터(40d)는 후술할 지지플레이트(20a)와 결합하여, 부력체(40)와 지지플레이트(20a)의 간격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커넥터(40d)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0a)가 부력체(40) 상부에서 수평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처리부(50)는 부력체(40)에 지지된 상태로 작동하여, 상기 유입구(12a)를 통해 유입된 기체를 유출구(12b)로 강제 이송시키며 처리수를 이용해 기체 내부의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기체컨베이어(26), 베이스부(20), 유도챔버(22), 순환부(32)를 포함한다.
상기 기체컨베이어(26)는, 부력체(40)의 양단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상호 평행한 구동롤러(26c) 및 종동롤러(26d)와, 구동롤러(26c)를 축회전 시키는 모터(24), 구동롤러(26c)와 종동롤러(25d)를 감아돌며 순환운동 하는 순환벨트(28)와, 순환벨트(28)의 외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된 다수의 이송탭(28a)을 포함한다. 상기 구동롤러(26c)의 구동축(26a), 종동롤러(26d)의 종동축(26b)은, 베어링을 통해 부력체의 홈부(40c) 내부에 끼워져 축회전 가능하다.
상기 이송탭(28a)은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 사각판으로서, 순환밸트(28)의 외향면에 수직으로 고정되며, 순환벨트(28)와 함께 순환운동 한다. 이송탭(28a)으로서 고무판이나 합성수지판으로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다수의 이송탭(28a)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플레이트(20a)의 하부를 통과할 때, 지지플레이트(20a)의 저면과 접하며, 다수의 이송챔버(29)를 구획한다. 말하자면 이웃하는 이송탭(28a)과 지지플레이트(20a)와 순환벨트(28)로 이루어진 공간을 만드는 것이다. 참고로 이송챔버(29)의 폭방향 양단부는 하우징(12)의 내벽면에 막혀 차단된다. 물론 이송챔버(29)가 완전한 밀봉구조를 이루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이송챔버(29)는 그 내부에 기체를 수용하며, 기체를 화살표 z 방향으로 강제 이송시키는, 이를테면 캐리어의 역할을 한다. 즉, 제1공간부(12d) 내부의 기체를 잡아 그 내부에 가둔 상태로 제2공간부(12e)로 운반하는 것이다
상기 베이스부(20)는 유도챔버(22)를 지지하는 평판형 부재로서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구성을 갖는다. 도 6은 베이스부(20)의 고정아암(20b) 및 연장아암(20c)의 결합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20)는, 상기 커넥터(40d)에 받쳐져 수평을 유지하는 지지플레이트(20a)와, 상기 지지플레이트(20a)의 네 귀퉁이부에 각각 설치되는 고정아암(20b) 및 연장아암(20c)과, 각 연장아암(20c)에 지지되는 롤러(20d)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플레이트(20a)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으로서,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서로에 대해 평행한 다수의 배수슬릿(20g)을 갖는다. 상기 배수슬릿(20g)은 유도챔버(22)로 유입한 처리수를 도 4의 화살표 s방향으로 하향 통과시켜, 처리수가 마치 폭포처럼 이송챔버(29)의 내부로 쏟아지게 한다.
상기 고정아암(20b)은 지지플레이트(20a)의 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수평 연장된 것으로서, 그 내부에 스프링(20f)과 연장아암(20c)의 일부를 수용한다. 연장아암(20c)은 고정아암(20b)에 지지된 상태로 수평 연장된 부재로서 스프링(20f)의 작용에 의해 하우징(12)의 내벽면측으로 탄력 지지된다. 아울러, 롤러(20d)는 연장아암(20c)의 단부에 구름운동 가능하게 설치된 바퀴이다. 상기 롤러(20d)는 하우징의 내벽면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방향으로 구름운동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베이스부(20)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그 양단부가 롤러(20d)에 의해 하우징의 내벽면에 탄력 지지되므로, 베이스부(20)는, 이를테면, 수평을 유지한 상태로 승하강이 가능하다. 이는, 베이스부(20)가, 처리수(W)의 수위에 관계없이 항상 수평을 유지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상기 고정아암(20b)과 연장아암(20c)과 롤러(20d)는, 지지플레이트(20a)로부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며 그 사이에 하강통로(20k)와 상승통로(20m)을 제공한다. 상기 하강통로(20k) 및 상승통로(20m)는 기체가 통과하는 통로이다.
상기 유도챔버(22)는, 지지플레이트(20a)의 상면에 고정된 부재로서 하부로 개방되어 있다. 유도챔버(22)는 순환부(32)를 통해 그 내부로 공급된 처리수를 배수슬릿(20g)으로 분배하여 배수슬릿(20g)을 통해 낙하하도록 한다.
상기 순환부(32)는, 하우징(12)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처리수를 펌핑하여 유도챔버(22)로 공급하는 것으로서 순환파이프(32b)와 펌프(32a)와 필터(32c)를 포함한다. 필터(32c)는 유도챔버(22)로 공급되는 처리부 내부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한다.
순환파이프(32b)는 하우징(12)의 하단부와 유도챔버(22)를 연결하는 파이프로서 펌프(32a)의 작동시 처리수(W)를 유도챔버(22)로 유도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순환파이프(32b)를 통과한 처리수는 유도챔버(22)의 내부로 주입되며 각 배수슬릿(20g)을 통해 화살표 s 방향으로 낙하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분진제거장치(10)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순환부(32)와 기체컨베이어(26)가 작동하는 동안, 유입구(12a)를 통해 (분진이 포함된) 기체가 유입되면, 유입기체는, 하강하여 하강통로(20k)를 통과하 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탭(28a)에 의해 포획되어 이송챔버(29)에 갇힌 상태로 화살표 z방향으로 이동한다.
기체가, 기체컨베이어(26)에 의해 지지플레이트(20a)의 하부를 통과하는 동안, 유도챔버(22) 내부로 유도된 처리수는 각 배수슬릿(20g)을 통해 하부로 쏟아지며 기체 내부의 분진을 걸러낸다. 상기 배수슬릿(20g)을 통해 낙하하는 처리수는 말하자면, 커텐의 형태를 취하며 기체 내부의 분진을 매우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상기 기체컨베이어(26)에 의해 이송되며 수처리를 마친 기체는, 기체컨베이어(26)로부터 벗어나 상승통로(20m)를 통해 상향 이동하며 흡착부(14)와 접한다. 흡착부(14)는, 유출구(12b)를 향하는 기체에 남아 있는 분진을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기체는 상기 흡착부의 흡착판(14b)과 수평고정격판(18)이 제공하는 경로를 따라 이동하며 유출구(12b)를 통해 배출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분진제거장치 12:하우징 12a:유입구
12b:유출구 12c:장착구 12d:제1공간부
12e:제2공간부 14:흡착부 14a:지지판
14b:흡착판 14c:수평플레이트 14d:흡착포
14g:고정볼트 16:격판 16a:고정판부
16b:신축부 18:수평고정격판 20:베이스부
20a:지지플레이트 20b:고정아암 20c:연장아암
20d:롤러 20f:스프링 20g:배수슬릿
20k:하강통로 20m:상승통로 22:유도챔버
22a:홀더 24:모터 26:기체컨베이어
26a:구동축 26b:종동축 26c:구동롤러
26d:종동롤러 28:순환벨트 28a:이송탭
29:이송챔버 32:순환부 32a:펌프
32b:순환파이프 32c:필터 40:부력체
40a:본체 40b:고정부 40c:홈부
40d:커넥터
W:처리수

Claims (3)

  1. 유입구 및 유출구를 구비하며 그 내부에 처리수를 수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수직으로 고정되는 것으로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사이에 위치하여, 유입구와 연통하는 제1공간부와 유출구와 연통하는 제2공간부를 구획하고, 그 하단부는 상기 처리수의 수위보다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 격판과;
    상기 처리수에 떠 있는 상태로 격판의 하부에 위치하는 부력체와;
    상기 부력체에 지지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후 격판의 하부를 통과하는 기체에 처리수를 접촉시켜 기체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상기 부력체에 지지되며 상호 평행하게 이격되고 축회전 가능한 구동롤러 및 종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와 종동롤러를 감아돌며 순환운동하는 순환벨트와,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판상 부재로서, 상기 순환벨트의 외측부에 수직으로 고정되고, 순환벨트를 따라 순환운동하며, 상기 제1공간부내의 기체를 제2공간부로 몰아가는 다수의 이송탭과, 상기 구동롤러를 축회전시켜 순환벨트 및 이송탭을 순환운동 시키는 모터와, 상기 부력체에 고정된 상태로 순환벨트의 상부에 수평으로 위치하며, 직선 이동하는 이송탭의 상단부에 접하여 순환벨트와 이송탭과 더불어 기체를 수용하는 다수의 이송챔버를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이송챔버의 내부로 처리수를 가하여 기체내의 분진을 제거하는 처리수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다수의 배출슬릿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사각판 형태의 지지플레이트와,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양단부에 구비되며 하우징의 내벽면 측으로 연장된 아암과, 상기 아암의 연장단부에 설치되며 하우징의 내벽면에 구름운동 가능하도록 접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수처리부와;
    상기 제2공간부내에 구비되며 수처리부를 통과한 기체를 유출구측으로 유도하며 기체내에 남아 있는 분진을 흡착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수유도부는;
    상기 지지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출슬릿측으로 개방된 유도챔버와,
    하우징내의 처리수를 유도챔버로 공급하여 유도챔버 내부로 공급된 처리수가 배출슬릿을 통해 낙하하여 처리수와 접하게 하는 펌프를 구비하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판은;
    일정두께를 갖는 고정판부와,
    상기 고정판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유도챔버의 상부에 고정되며, 수처리부의 승강에 따라 신축하는 신축부를 포함하는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KR1020170175623A 2017-12-20 2017-12-20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KR1018243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23A KR101824372B1 (ko) 2017-12-20 2017-12-20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623A KR101824372B1 (ko) 2017-12-20 2017-12-20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4372B1 true KR101824372B1 (ko) 2018-03-14

Family

ID=61660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623A KR101824372B1 (ko) 2017-12-20 2017-12-20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43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3063A (zh) * 2023-07-21 2023-09-29 山东蓝驰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催化循环处理工业废水的多级处理装置及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932A (ja) 2002-01-24 2003-07-29 Hiroshi Ito 集塵脱臭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0932A (ja) 2002-01-24 2003-07-29 Hiroshi Ito 集塵脱臭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813063A (zh) * 2023-07-21 2023-09-29 山东蓝驰节能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臭氧催化循环处理工业废水的多级处理装置及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740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321688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688287B1 (ko) 정화 장치를 구비한 도장 부스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KR101824372B1 (ko) 하수슬러지 처리용 분진제거장치
KR101881958B1 (ko) 플라이 포집 및 공기 여과 기능을 갖는 집진장치
KR100671844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102118229B1 (ko) 에너지 사용 감소를 위해 구획식으로 확장가능한 회전 벨트 필터
KR19980701230A (ko) 폐기가스 세정기(Scrubber for Waste Gases)
KR101772913B1 (ko) 이동식 수처리 장치
KR101216049B1 (ko) 이젝터 집진 시스템
KR101300143B1 (ko) 유동형 회절식 탈취기
KR102260160B1 (ko) 수평형 스크러버 장치
CN114699910A (zh) 一种利于填料更换除臭的生物滤池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236966B1 (ko) 악취제거장치
KR101665028B1 (ko) 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140114233A (ko) 먼지를 포집하여 배출하는 습식 집진 시스템
WO1990013347A1 (en) Separation device
JP3136640U (ja) 工場排煙の処理装置
KR100613301B1 (ko) 배출가스의 점착성 분진 제거용 롤링 필터를 구비한 습식정화장치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20180108250A (ko) 집진장치
KR102230178B1 (ko) 가압버블을 이용한 낙농업용 세정수 정화 장치
KR20170024624A (ko) 유지 제거 필터 및 이를 이용한 오수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