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740B1 - 공기 정화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740B1
KR101624740B1 KR1020150049928A KR20150049928A KR101624740B1 KR 101624740 B1 KR101624740 B1 KR 101624740B1 KR 1020150049928 A KR1020150049928 A KR 1020150049928A KR 20150049928 A KR20150049928 A KR 20150049928A KR 101624740 B1 KR101624740 B1 KR 1016247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air
case
water
photocataly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헌
Original Assignee
이성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헌 filed Critical 이성헌
Priority to KR102015004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740B1/ko
Priority to CN201580000976.1A priority patent/CN106255855A/zh
Priority to PCT/KR2015/007347 priority patent/WO2016163598A1/ko
Priority to US14/893,490 priority patent/US2018011108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7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7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by passing the gas or air or vapour over or through a liquid ba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088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A61L9/205Ultraviolet radiation using a photocatalyst or photosensit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8Absorbing units; Liquid distribu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17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wet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3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ioni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04Regenerating the washing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6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 structured demister, e.g. tortuous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47/00Details relating to the separation of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2247/10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 B01D2247/107Means for removing the washing fluid dispersed in the gas or vapours using an unstructured demister, e.g. a wire mesh demi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10Inorganic absorbents
    • B01D2252/103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20Metals or compounds thereof
    • B01D2255/207Transition metals
    • B01D2255/20707Titani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5/00Catalysts
    • B01D2255/80Type of catalytic reaction
    • B01D2255/802Photocataly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6Polluted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C02F11/127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by centrifug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8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the purification of gaseous efflu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eparation Of Particles Using Liquid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흡입되는 오염 공기로부터 분리된 슬러지가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오염 공기를 물과 혼합한 후 공기중의 슬러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광촉매 정화장치와 음이온발생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직접적인 제거와 동시에 광촉매 반응에 의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여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 정화장치 { Air cleaning devices }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정화장치는, 공기중의 부유 미립자, 세균, 유독 가스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환경 공간의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산화, 환원, 분해, 흡착, 에어 필터, 전기 집진, 세척 등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정화하는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공기 정화장치는 집진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산업 현장 또는 악취가 발생되는 축사, 작업장, 가정, 사무실, 식당 등에서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집진장치 중의 하나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96243호에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냉각 및 순환되는 냉각수에 의해 연속적으로 냉각되고, 동시에 슬러지 및 이물질의 제거가 가능하여 오염 공기의 냉각 및 공기중의 슬러지의 제거를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장기간의 사용시 집진장치의 내부에 슬러지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며, 이러한 슬러지의 처리를 위한 별도의 작업을 하여야 하게 되므로 사용상의 불편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다른 예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546111호에는 광촉매판을 나선형으로 형성시키고 발광 램프에 의해 중앙이 관통되도록 하여 광촉매판에 의해 형성된 나선형의 통로를 따라서 공기나 물이 흐르면서 광촉매판과 접촉하여 물과 공기의 오염물질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오염된 물과 공기의 정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나선형 광촉매판을 이용한 물과 공기의 정화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단순히 광촉매 반응에 의한 공기 정화만 가능할 뿐 오염물질의 직접적인 분리 제거가 불가능한 문제가 있으며, 특히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발광 램프를 추가하거나 조합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다양한 요구성능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흡입되는 오염 공기로부터 분리된 슬러지가 상기 집진 장치 내부에서 연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과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되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염 공기를 물과 혼합한 후 공기중의 슬러지와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광촉매 정화장치를 통과하도록 하여 오염물질의 직접적인 제거와 동시에 광촉매 반응에 의한 공기 정화가 가능하여 공기 정화 성능이 향상된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어 오염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동시키는 메인 송풍기; 상기 메인 송풍기의 출구측에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와 혼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된 상태의 오염공기가 연속하여 충돌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오염공기 중의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슬러지 분리 유닛;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하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공기 유동부와 하부의 슬러지 처리부로 구획하며,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물과 슬러지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 베리어 플레이트;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를 통과한 혼합 상태의 물과 슬러지가 회전되는 다공성 부재에 연속적으로 접하여 물은 통과되고 슬러지는 부착 상태로 분리시키며, 부착 상태의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 상방의 상기 케이스 상에 개구되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은 상기 메인 송풍기의 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판상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내측 영역에 물과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처리부로 낙하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과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의 일측으로 안내하는 워터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집수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급수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회전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슬러지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비산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에어 노즐과 마주보는 상기 드럼의 외측에 구비되며, 비산되는 상기 슬러지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와; 상기 슬러지 가이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에 의해 모여지는 슬러지를 스크류 방식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스크류 이송 유닛과;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과 연결되며, 이송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에어 노즐과 슬러지 가이드와 스크류 이송 유닛은 모두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크류 모터와 직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회전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의 하방에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스크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회전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수용되는 슬러지 박스; 상기 슬러지 박스와 연통되며,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 외측면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상기 슬러지 박스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노즐의 개구된 단부는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흡입 송풍기는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메인 송풍기 또는 상기 메인 송풍기와 연통되는 유로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공기 유동부의 상부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광촉매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광촉매 모듈은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다수의 광촉매 판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공기 유동부의 상부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중화처리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는 물과 슬러지가 분리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광촉매 정화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는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다수의 광촉매 판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 다수의 광촉매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는 복수의 정화부가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정화부들과 연통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들 사이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화부에는 개폐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의 외측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자외선 램프가 삽입되는 상기 광촉매 판의 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하로 적층되며, 상하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판의 단부끼리 접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 판은 중앙부가 절곡되며, 절곡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광촉매 판은 전면에 걸쳐 다수의 에어홀이 천공 형성되며, 중앙부를 따라 절곡되되, 절곡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이 서로 이웃하는 단부에는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의 적층시 상기 자외선 램프가 관통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오염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 덕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며, 회전축이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모터;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 팬의 하방에서 유동되는 오염공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와 충돌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하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공기 유동부와 하부의 슬러지 처리부로 구획하며,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물과 슬러지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 베리어 플레이트;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를 통과한 혼합 상태의 물과 슬러지가 회전되는 다공성 부재에 연속적으로 접하여 물은 통과되고 슬러지는 부착 상태로 분리시키며, 부착 상태의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흡입팬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흡입팬과 임펠러 사이의 상기 내부 모터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 모터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모터 마운트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감싸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모터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 덕트는 상기 모터 커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는, 집진장치의 하부에 슬러지를 자동 배출할 수 있는 슬러지 배출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집진장치의 구동 중 발생되는 슬러지가 자동으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슬러지 배출을 위한 별도의 조작 또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 내부의 슬러지를 지속적으로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슬러지가 상기 집진장치 내부에 과도하게 쌓여 발생되는 상기 집진장치의 성능저하 또는 2차 오염을 방지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되는 슬러지 분리 유닛에 의해 물과 혼합된 오염공기가 유동과정 중 상기 분리 유닛의 벽면에 연속적으로 부딪히게 되어 슬러지의 분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기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장치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광촉매 정화장치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서 토출 공기의 살균 성능을 보다 향상시켜, 전체적인 공기정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광촉매 정화장치를 병렬로 적층 배치하여 유동되는 공기가 모두 광촉매 판이 형성하는 유로를 지나고, 광촉매 판의 형상이 절곡되어 이웃하는 광촉매 판의 유도와 지그재그 구조로 연통되도록 하여 공기의 접촉 면적을 늘리고 살균 성능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의 도어를 개방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를 자연스럽게 교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요구되는 살균 성능에 맞추어 상기 자외선 램프를 선택 장착할 수 있게 되어 효율적인 살균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습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우측면도이다.
도 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6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8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0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공기 유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공기 유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공기 유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광촉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상기 광촉매 모듈의 요부 구성인 광촉매 판의 평면도이다.
도 18은 상기 광촉매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19는 상기 광촉매 모듈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흡입되는 공기를 오염 공기로 한정하고 있으나, 오염 물질이 포함된 증기 또는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오염 공기를 포함하는 의미이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오염 공기라 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2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좌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우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4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후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1)는 케이스(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정화를 위한 공기의 유동 및 슬러지의 분리 배출이 가능한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는 상기 집진장치(1)의 크기에 따라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는 내부에 제공되는 베리어 플레이트(11)를 기준으로 상방의 공기 유동부(12)와 하방의 슬러지 처리부(1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1)가 형성된다. 상기 배출구(101)는 별도 구비된 덕트 또는 추가의 공기 정화를 위한 다른 장치와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 즉,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상단에는 정화된 공기의 배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상부 확인창(102)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확인창(102) 중 일측의 확인창(102)은 개폐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확인창(102)의 개폐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점검 및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교환(121) 등의 서비스가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상부 확인창(102) 중 일측의 확인창(102)은 필요에 따라서 아래에서 설명할 광촉매 정화장치(60)가 연결되는 경우 개방되어 배출관(18)이 연결되어 상기 집진장치(1)에서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배출관(18)을 통해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로 유입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상부에는 필터 어셈블리(12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는 외부로 배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 및 비산수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필터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는 이물질을 걸러주는 프리 필터(121a)와, 특정 기능을 가지는 여과제가 첨가된 기능성 필터(121b)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는 상기 상부 확인창(102)의 개폐를 통해 교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하부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는 공기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하부 확인창(10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확인창(103)은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과 동일 높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개폐 가능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 상부의 외측에는 컨트롤박스(104)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박스(104)는 상기 집진장치(1)로의 전원 공급 및 상기 집진장치(1)의 동작의 설정 및 제어를 위한 것으로 외부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접근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 상부의 외측에는 메인 송풍기(10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송풍기(105)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강제 공급할 수 있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송풍기에 사용되는 임펠러와 임펠러를 수용하여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 하는 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오염공기가 흡입되는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입구는 노출되어 외기가 흡입되도록 할 수도 있고, 별도의 덕트와 연결되어 오염 공간의 공기가 상기 메인 송풍기(105)를 통해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위치와 대응하는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일측과 연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와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를 연결하는 연결 덕트(10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측,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연결 덕트(106)에는 급수 배관(15)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급수 배관(15)의 단부에는 상기 연결 덕트(106) 내측으로 물을 분사하는 급수 노즐(151)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송풍기(105)에서 토출되는 오염 공기는 상기 급수 노즐(151)에서 공급되는 물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급수 노즐(151)은 상기 연결 덕트(106)가 아닌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에 위치될 수도 있고 상기 케이스(10) 내부에 공기가 유입되는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상기 급수 배관(15)은 아래에서 설명할 급수 펌프(152)와 연결되며, 상기 급수 펌프(152)는 아래에서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와 연통되어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물이 순환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은 상기 메인 송풍기(105)와 대응하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둘레면 및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바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유동과정에서 유동 방향이 연속적으로 다수회 변경되도록 하여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에서 슬러지를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서 흡입된 공기가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는 제 1 유로부(141)와, 상기 제 1 유로부(141)보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1 유로부(141)를 통과한 공기가 다시 상방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제 2 유로부(142)와, 상기 제 제 2 유로부(142)의 개구된 상면보다 더 상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유로부(141)의 일측에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 2 유로부(142)를 통과한 냉기가 다시 하방을 향하도록 하는 제 3 유로부(1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유로부(141)와 제 2 유로부(142) 및 제 3 유로부(143)는 판상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중앙을 기준으로 상기 케이스(10)의 둘레 또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의 둘레를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메인 송풍기(105)에 의해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는 상기 제 1 유로부(141)와 제 2 유로부(142) 및 제 3 유로부(143)를 따라서 유동하게 되며, 최종적으로는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측으로 유동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는 물과 혼합된 상태로 비산되면서 상기 제 1 유로부(141)와 제 2 유로부(142) 및 제 3 유로부(143)와 부딪히게 되며, 특히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에서 물과 혼합된 상태의 오염공기는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내측면과 강하게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지나는 과정 중에 오염 공기 속의 슬러지와 기타 오염물질 중 입자가 큰 것은 공기와 분리되어 낙하되어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측을 향하여 유동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슬러지는 물과 함께 분리되어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고, 슬러지와 물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에서 상방으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를 통과한 후에 상기 배출구(101)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며, 둘레를 제외한 일부 영역이 매쉬 형상 또는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면서 낙하되는 슬러지와 물이 배출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의 하면에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를 통과한 물이 일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안내하는 워터 트레이(111)가 구비된다. 상기 워터 트레이(111)는 일측면이 개구된 서랍 형상으로 형성되며,상기 워터 트레이(111)의 개구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13)를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트레이(111)의 개구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를 통과한 물과 슬러지가 아래에서 설명할 스크류 이송 유닛(24)측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는 슬러지 배출장치(2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20)는 슬러지가 부착되는 드럼(21)과, 상기 드럼(21)에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21)에 부착된 슬러지를 분리하는 에어 노즐(22)과, 비산되는 슬러지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23)와,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에 의해 모아진 슬러지를 슬러지 박스(25)로 이동시키는 스크류 이송 유닛(2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10) 하부의 슬러지 처리부(13)에는 원통 형상의 드럼(21)이 구비된다. 상기 드럼(21)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내부 대부분의 공간을 채울 수 있도록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장착되는 드럼 모터(211)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드럼 모터(211)와 드럼(21)은 감속기(212)에 의해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2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1)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거나, 적어도 일부가 메쉬 또는 그물 망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슬러지와 혼합된 상태로 상기 드럼(21)측으로 공급되는 물은 상기 드럼(21) 표면에 형성되는 구멍을 통해서 물은 배출되고 슬러지는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흡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24)을 구동시키기 위한 스크류 모터(24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류 모터(241)는 상기 드럼 모터(211)와 별도로 구비되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드럼(21)과 스크류 이송 유닛(24)은 하나의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13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131)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서 삽입되어 상기 케이스(10) 내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램프(131)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 수용된 물에 잠겨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지속적으로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 수용된 물을 살균하게 된다.
상기 케이스(10)의 일측에는 상기 급수 배관(15)과 연결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와 연통되는 상기 급수 펌프(152)가 구비된다. 상기 급수 펌프(152)에 의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13) 내에 수용된 물은 상기 급수 배관(15)을 통해서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측 즉,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측으로 공급될 수 있으며, 지속적으로 순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면 즉,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의 형상은 라운드 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에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면과 연통되는 출수구(132)가 형성되며, 출수 밸브(133)의 선택적인 개방에 의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에 수용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0)의 하면에는 상기 집진장치(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는 캐스터(13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6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구조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에어 노즐(22)은 상기 드럼(21)의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슬러지 송풍기(221)와 연결된다. 상기 슬러지 송풍기(221)는 외기를 흡입하여 상기 드럼(21)을 향하여 공기를 송풍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에어 노즐(22)은 상기 슬러지 송풍기(221)의 출구와 연결되며 공기가 토출되는 상기 에어 노즐(22)의 단부는 상기 드럼(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 노즐(22)의 연장된 길이는 상기 드럼(21)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의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1)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내측에서 일측으로 편심되도록 배치되며, 상기 드럼(21)의 편심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드럼(21)의 외측 상부의 공간에는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와 스크류 이송 유닛(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슬러지 가이드(23)는 상기 드럼(21)의 외측면과 인접하는 위치에서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24)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 노즐(22)의 단부와 대응하는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가이드(23)는 상기 에어 노즐(22)의 단부와 대응하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에어 노즐(22)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가 비산되어 상기 슬러지 가이드(23)로 향하게 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에 의해 이동되는 슬러지들은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24)으로 향하게 된다.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24)은 상기 케이스(10)에 장착되는 스크류 모터(241)와, 상기 스크류 모터(24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 부재(242) 그리고 상기 스크류 부재(242)를 수용하는 스크류 케이스(24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부재(242)와 상기 스크류 케이스(243)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와 대응하는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류 케이스(243)와 스크류 부재(242)의 다른 일단은 상기 케이스(10)를 관통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슬러지 박스(25)까지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 부재(242)의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케이스(10) 내부의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박스(25)으로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의 동작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구동에 의해 오염된 공기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로 강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출구측에 구비된 급수 노즐(151)에 의해서 오염된 공기는 물과 혼합된 상태로 상기 케이스(10) 내측으로 유입된다.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따라 유동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벽면과 부딪히면서 유동되며, 따라서 공기중에 함유된 슬러지나 유증기 등이 물과 함께 떨어져 나가게 된다.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면서 공기와 슬러지, 물이 분리될 수 있으며, 무게가 무거운 슬러지와 물은 하방으로 낙하하게 되고, 공기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여 상기 케이스(10)의 상방으로 유동하게 된다.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공기중의 오염물 입자가 제거된 상태로 이동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를 지나면서 다시 한 번 불순물과 비산수가 필터링 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를 지나는 공기는 최종적으로 상기 배출구(101)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벽면과 부딪히게 되면서 비산되거나 버블링되면서 분리된 슬러지 또는 물은 무게에 의해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의 개구를 통과하게 된다.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를 통과한 슬러지와 물은 상기 워터 트레이(111)를 통해서 상기 슬러지 처리부(13) 측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워터 트레이(111)를 통과한 슬러지와 물은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의 반대편으로 배출되며,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으로 낙하하게 된다.
상기 드럼(21)은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드럼 모터(211)의 구동에 의해 상기 드럼(21)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낙하되는 슬러지는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부착되고, 물은 상기 드럼(21)의 통공을 통해 배출되어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에 저장된다. 상기 드럼(21)은 회전되면서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 저장된 물에 혼합된 슬러지가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램프(131)의 작동에 의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에 저장된 물은 지속적으로 살균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 저장된 물은 상기 급수 펌프(152)에 의해 상기 급수 배관(15)을 따라 상기 급수 노즐(151)로 공급되어 상기 메인 송풍기(105)에 의해 강제 송풍되는 오염 공기와 혼합될 수 있게 되며, 다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을 지나 상기 슬러지 처리부(13)로 유입되어 순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20)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슬러지가 부착된 상태에서 상기 슬러지 송풍기(2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에어 노즐(22)에서 공기가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에어 노즐(22)에서 배출되는 공기는 상기 드럼(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분사되며, 공기가 상기 드럼(21)의 통공을 통과하게 되어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가 상기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된다.
상기 드럼(21)으로부터 분리된 슬러지는 상기 에어 노즐(22)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상기 슬러지 가이드(23)로 향하게 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23)에 의해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24)으로 모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 모터(241)의 구동에 의해 상기 스크류 부재(242)가 회전하게 되며, 상기 스크류 부재(2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스크류 케이스(243)에 쌓여 있던 슬러지는 상기 스크류 부재(242)에 의해 이송되며, 상기 케이스(10) 외측의 상기 슬러지 박스(25)의 내측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박스(25)로 배출되어 쌓이게 되며, 사용자는 상기 슬러지 박스(25)에 모인 슬러지를 한꺼번에 비우거나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의 슬러지 처리부(13)의 내부에는 드럼 모터(211)에 의해 구동되는 드럼(21)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131)와 급수 펌프(152) 그리고 출수 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는 슬러지 배출장치(30)가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30)는 상기 드럼(21)과, 슬러지가 쌓이는 슬러지 박스(35)와,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 송풍기(321), 그리고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의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3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드럼(21)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내측에서 편심되도록 배치되며,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드럼(21)의 외측면에는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물은 배출되고 슬러지가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박스(35)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슬러지가 쌓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박스(35)는 흡입 송풍기(321) 및 상기 흡입 노즐(32)과 연통된다.
상기 흡입 송풍기(321)는 상기 슬러지 박스(35)의 상면과 연통되며, 상기 흡입 노즐(32)이 상기 드럼(21) 외측에 부착된 슬러지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 노즐(32)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내측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드럼(21)의 외측면과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흡입 노즐(32)은 상기 드럼(21)의 가로 방향을 따라서 길게 연장될 수 있으며, 상기 흡입 노즐(32)의 입구는 상기 드럼(21)의 가로방향 길이와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 노즐(32)의 출구는 상기 슬러지 박스(35)와 연결되며, 이때 상기 흡입 노즐(32)의 출구는 상기 슬러지 박스(35)의 상면 또는 상부와 연결되어 상기 흡입 노즐(32)을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박스(35) 내부에서 낙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에 충돌되어 공기와 물, 슬러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물과 슬러지는 낙하하여 상기 워터 트레이(111)를 통해 상기 슬러지 처리부(13)로 유입된다.
상기 드럼(21)의 회전에 의해 상기 드럼(21)의 표면에는 슬러지가 부착되며, 상기 드럼(21)의 표면에 부착된 슬러지는 상기 흡입 송풍기(32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 노즐(32)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 노즐(32)로 흡입된 슬러지는 상기 흡입 노즐(32)을 따라서 상기 슬러지 박스(35)로 유입되며, 상기 슬러지 박스(35)로 유입된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슬러지 박스(35) 내부에 쌓이게 되며, 상기 슬러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흡입 송풍기(321)를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이때, 상기 흡입 송풍기(321)의 토출 덕트(322)는 상기 메인 송풍기(105)의 배관 일측 또는 상기 연결덕트(106)와 연결될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흡입 송풍기(321)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는 재차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정화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슬러지 처리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1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의 평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의 상기 케이스(10)에는 상기 자외선 램프(131)와 급수 펌프(152) 그리고 배출 밸브(133)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공기 유동부(12)와 슬러지 처리부(13)로 구획하는 베리어 플레이트(1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에는 슬러지와 물이 하방으로 낙하되는 유입구(112)가 더 형성된다. 상기 유입구(112)는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을 기준으로 4등분 하였을 때 어느 일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중앙측과 접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의 하방에는 워터 가이드(11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워터 가이드(113)는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슬러지의 유동을 안내하는 것으로, 하방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물과 슬러지는 상기 워터 가이드(113)를 따라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상단에는 베어링(114)이 구비되며, 상기 베어링(114)에 의해 상기 워터 가이드(113)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워터 가이드(113)는 베어링(114)이 아닌 다른 구성에 의해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하단은 아래에서 설명할 스크린 모터(42)와 결합되며, 따라서, 상기 스크린 모터(42)에 의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는 슬러지 배출장치(40)가 구비된다. 상기 슬러지 배출장치(40)는 낙하되는 슬러지와 물을 분리하여 슬러지를 걸러주는 스크린(41)과, 상기 스크린(41)을 회전시키는 스크린 모터(42) 그리고, 상기 스크린(41)상의 슬러지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부재(43) 그리고, 상기 흡입부재(43)와 연결된 슬러지 박스(44) 및 흡입 송풍기(4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스크린(41)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메쉬 또는 망상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41)을 통해 물은 통과되고 슬러지는 상기 스크린(41)의 상면에 남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41)은 상기 케이스(10)의 수평방향 거리와 대응하는 직경을 가지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하단과 고정 결합되어 상기 스크린(41)의 하방에 구비되는 스크린 모터(42)의 회전시 상기 워터 가이드(113)와 함께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모터(42)는 모터 프레임(42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상에 고정되며, 상기 케이스(10)의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크린 모터(42)의 회전 축은 상기 스크린(41)의 중앙부 또는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중앙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모터(42)와 상기 스크린(41) 사이에는 감속기(422)가 더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41)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스크린(41)은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중앙부가 개구된 플레이트(411)와, 상기 스크린(41)의 개구된 중앙부를 가로지르고 상기 스크린 모터(42)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411)의 내경과 외경의 둘레를 따라 더 형성되는 스크린 프레임(4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프레임(412)은 상기 스크린(41)의 내경을 따라 형성되는 이너 프레임(412a)과 상기 스크린(41)의 외경을 따라 형성되는 아우터 프레임(412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 프레임(412a)은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단부를 수용하게 되며, 상기 이너 프레임(412a)과 상기 워터 가이드(113)를 관통하는 결합부재(412c)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이너 프레임(412a)과 상기 워터 가이드(113)의 하단은 용접 또는 접착 등의 방식으로 서로 결합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412b)은 상기 케이스(10)에 고정되는 스크린 브라켓(413)의 절곡된 단부를 수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아우터 프레임(412b)과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의 단부는 서로 고정되는 구조가 아니라 상대 운동 가능하게 서로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크린(41)이 회전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 상기 아우터 프레임(412b)의 내측에는 상기 스크린(41)의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마찰계수를 낮출 수 있는 코팅 또는 추가의 패드 등이 더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41)은 상기 스크린 프레임(412)에 의해 상기 워터 가이드(113)와 결합 고정되고,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아우터 프레임(412b)과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의 단부는 고정된 상태가 아니므로 상대 운동 가능하게 되며, 상기 스크린(41) 및 워터 가이드(113)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은 상기 케이스(10)의 베리어 플레이트(11)의 하면에 고정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은 상기 스크린(41)의 위치까지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는 상기 스크린(41)을 향하여 절곡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은 상기 케이스(10)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부재(43)와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케이스(10)의 내부 일부 구간에서는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스크린(41)의 상부 일측에는 차단판(46)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단판(46)은 상기 유입구(112)의 하단에서 하방으로 상기 스크린(41)까지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워터 가이드(113)와 상기 스크린 브라켓(413)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유입되는 슬러지와 물이 상기 흡입부재(43) 측으로 직접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흡입부재(43)는 상기 스크린(41)의 상방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박스(44)와 연통된다. 상기 흡입부재(43)의 일단은 상기 스크린(41)의 상면과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상기 흡입부재(43)의 입구는 넓게 형성되어 상기 스크린(41) 상면의 슬러지의 흡입이 용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박스(44)는 상기 케이스(10)의 외부에 구비되며, 슬러지가 쌓일 수 있도록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 박스(44)는 상기 흡입 송풍기(45) 및 상기 흡입부재(43)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으로 유입된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에 충돌되어 공기와 물, 슬러지가 분리되며, 분리된 물과 슬러지는 상기 유입구(112)를 통해 낙하하여 상기 슬러지 처리부(13)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물과 슬러지는 상기 워터 가이드(113)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크린(41)에 도달하게 되며, 상기 차단판(46)에 의해 상기 흡입부재(43)로 바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41)에 도달된 물과 슬러지는 상기 스크린(41)에 의해 물은 상기 스크린(41)을 통과하여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하부에 집수되고, 슬러지는 상기 스크린(41)에 남겨지게 된다.
상기 스크린(41)에 남겨진 슬러지는 상기 스크린(41)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흡입부재(43)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스크린(41)상의 슬러지가 상기 흡입부재(43)의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흡입 송풍기(45)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부재(43)로 흡입된다. 상기 흡입부재(43)로 흡입된 슬러지는 상기 흡입부재(43)를 따라서 상기 슬러지 박스(44)로 유입되며, 상기 슬러지 박스(44)로 유입된 슬러지는 자중에 의해 낙하되어 슬러지 박스(44) 내부에 쌓이게 되며, 상기 슬러지와 분리된 공기는 상기 흡입 송풍기(45)를 통해 외부로 토출되며, 토출되는 공기는 전술한 실시예에서의 연결 덕트(106)와 연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는 공기 유동부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공기 유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그리고, 도 13은 상기 공기 유동부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집진 장치(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 플레이트(1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상부의 공간이 공기 유동부(12)로 정의된다.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상부에는 필터 어셈블리(121)가 구비되며,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의 하방에는 내부 모터(51)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 모터(51)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물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방수 구조를 가지는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모터(51)는 외부의 오염 공기의 흡입 및 강제 유동을 위한 것으로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 상의 모터 마운트(52)에 장착된다. 상기 모터 마운트(52)에 장착되는 상기 내부 모터(51)의 회전축(511)은 상하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축(511)의 상단에는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팬(53)이 장착되고, 회전축(511)의 하단에는 임펠러(54)가 구비된다.
상기 임펠러(54)는 직경이 상기 흡입팬(53) 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하방으로 유동되는 물과 혼합된 오염공기가 상기 임펠러(54)의 날개와 부딪히면서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54)는 흡입된 공기를 강제 유동시킴과 동시에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가 부딪혀 비산됨으로써 상기 오염 공기 중의 슬러지와 물을 공기와 분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마운트(52)의 상면에는 상기 내부 모터(51)와 상기 흡입팬(53)을 수용하는 원통형상의 모터 커버(55)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 커버(55)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어 오염공기가 상기 모터 커버(55)의 상면을 통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모터 커버(55)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 커버(55)를 관통하여 연장되며, 오염된 공기와 혼합되는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 배관(56)이 연장된다
상기 급수 배관(56)은 상기 흡입팬(53) 하방의 상기 내부 모터(51)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하방으로 물을 배출하여 상기 흡입팬(53)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 공기와 물이 혼합된 상태로 하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 마운트(52)를 포함하여 상기 모터 커버(55)까지 수용하는 상부 케이스(58)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케이스(58)는 상기 케이스(10)를 관통하는 오염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 덕트(57)와 연통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 케이스(58)는 상부가 밀폐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오염 공기는 상기 유입 덕트(57)를 통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58)의 내측으로 유입되며, 다시 상기 모터 커버(55)의 상면을 통해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상부 케이스(58)의 하단은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11)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임펠러(54)의 측방의 적어도 일부는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임펠러(54)를 통해 분리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내부 모터(51)의 구동에 의해 상기 흡입팬(53)이 회전하여 상기 유입 덕트(57)를 통해서 오염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유입되는 오염 공기는 상기 상부 케이스(58)와 상기 모터 커버(55)를 통과하여 하방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동 과정 중에 상기 급수 배관(56)을 통해서 급수되는 물과 혼합된다.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는 하방으로 강제 유동하게 되며, 유동과정 중에 상기 임펠러(54)와 부딪히게 되어 비산된다. 따라서 상기 임펠러(54)에 의해 공기와, 슬러지 그리고 물이 분리될 수 있으며, 분리된 공기는 상기 임펠러(54)의 측방으로 유동되어 상기 상부 케이스(58)의 하단을 통과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상부 케이스(58)의 외측으로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상기 임펠러(54)에 의해 분리된 슬러지와 물은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낙하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의 내측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슬러지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13)에서 상기 케이스(10)의 외측으로 배출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공기 유동부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공기 유동부의 구조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집진 장치(1)는 상기 케이스(10)의 내부를 구획하는 베리어 플레이트(11)에 의해 상기 케이스(10) 상부의 공간이 공기 유동부(12)로 정의된다.
상기 공기 유동부(12)의 하부에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이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14)의 상방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 상방의 공간에는 광촉매 모듈(16)이 장착된다. 상기 광촉매 모듈(16)은 일정간격으로 다수개가 연속 배치되는 광촉매 판(161)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161)을 관통하는 자외선 램프(16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161)은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판상의 소재로 상기 필터 어셈블리(12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케이스(10) 상면의 배출구(101)를 통과하기 전에 통과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161)은 통과되는 공기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도록 적절한 개수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광촉매 판(161)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며, 이때 절곡되는 각도는 대략 5°-15°사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광촉매 판(161)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시 상기 광촉매 판(161)과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판(161) 전반에 걸쳐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천공된 에어 홀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판(161)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홀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유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웃하는 광촉매 판(161)과의 접촉 등을 통해서 전체적인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광촉매 반응이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자외선 램프(162)는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161)을 관통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162)가 켜지게 되면, 상기 광촉매 판(161)에서 활발한 광촉매 반응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촉매 판(161)을 통과하는 공기는 탈취 및 살균될 수 있으며, 신선한 공기의 상태로 상기 배출구(101)로 유입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출구(101)의 일측에는 음이온 발생기(17)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음이온 발생기(17)의 동작에 의해 상기 배출구(101)를 통과하는 공기가 재차 중화처리될 수 있게 되어 한층 더 정화된 상태의 공기가 상기 배출구(101)를 통해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는 광촉매 정화장치의 구조만 다를 뿐 다른 구조는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조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자 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공기 정화장치의 정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집진장치(1)에는 광촉매 정화장치(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집진장치(1)의 구성은 전술한 실시예들의 집진장치(1)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집진장치(1)의 케이스(10)에는 배출관(18)이 형성되며, 상기 배출관(18)은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배출관(18)은 상기 집진장치(1)와 광촉매 정화장치(60)를 상부에서 서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상기 집진장치(1)에서 슬러지와 오염물질들이 분리된 공기는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의 상부로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는 바닥부를 형성하는 베이스(64)와, 상기 베이스(64)의 상면에 각각 구비되며,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고 광촉매 모듈(70)이 수용되는 정화부(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부(63)는 요구되는 공기정화 성능에 따라서 적어도 1개 이상으로 그 개수가 결정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과 이해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정화부(63)가 제 1 정화부(61)와 제 2 정화부(62)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베이스(64)는 상기 집진장치(1)의 케이스(10)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64)의 바닥에는 상기 케이스(10) 바닥에 제공되는 캐스터(134) 와 동일한 캐스터(134)가 구비되어 상기 집진장치(1)의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64)는 내부에 소정의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 1 정화부(61)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베이스(64)를 경유하여 상기 제 2 정화부(62)로 유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64)의 상면에는 각각 상기 제 1 정화부(61) 및 제 2 정화부(62)와 연통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화부(63)는 다수의 광촉매 모듈(70)이 적층되는 구조를 가지며, 다수의 광촉매 모듈(70)은 상기 정화부(63)의 일면을 개폐할 수 있는 도어(65)를 통해서 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도어(65)를 개방하여 상기 정화부(63) 내의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적층 개수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65)의 개폐를 통해서 상기 광촉매 모듈(70)을 구성하는 자외선 램프(72)의 개수를 원하는 개수로 간편하게 조절할 수도 있게 된다.
상기 제 1 정화부(61)는 상기 케이스(10)와 연결되어 하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 유동되는 공기는 적층된 형태의 상기 다수의 광촉매 모듈(70) 전체를 지나 상기 베이스(64)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정화부(62)는 상기 베이스(64)와 연결되어 상방으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로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에도 유동되는 공기는 적층된 형태의 상기 다수의 광촉매 모듈(70) 전체를 지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안내하게 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광촉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17은 상기 광촉매 모듈의 요부 구성인 광촉매 판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8은 상기 광촉매 모듈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광촉매 모듈(70)은, 일정 간격으로 연속 배치되는 다수의 광촉매 판(71)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71)을 관통하는 자외선 램프(7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광촉매 판(71)은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점등시 광촉매 반응이 활발하게 일어 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양면에 이산화티탄 코팅과 같은 광촉매 반응이 가능한 코팅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판(71)은 상기 정화부(63)의 내측을 채울 수 있도록 상기 정화부(63)의 폭과 대응하는 폭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광촉매 판(71)은 대략 사각형의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광촉매 모듈(70)을 구성하는 다수의 상기 광촉매 판(71)은 모두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판(71)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동일 방향으로 절곡되는 형상을 가지게 된다. 즉, 상기 광촉매 판(71)은 중앙을 기준으로 양측이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광촉매 판(71)의 절곡되는 각도는 대략 5°-15°사이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광촉매 판(71)이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시 상기 광촉매 판(71)과의 접촉이 원활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판(71) 전반에 걸쳐서 공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천공된 에어 홀(713)이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도 18에서와 같이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판(71)에 의해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유동되는 공기는 상기 에어 홀(713)을 통해 이웃하는 다른 유로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이웃하는 광촉매 판(71)과의 접촉 등을 통해서 전체적인 접촉 면적을 증대시켜 광촉매 반응이 보다 활발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광촉매 판(71)의 중앙에는 자외선 램프(72)가 관통 장착될 수 있는 램프 장착홀(711)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 장착홀(711)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광촉매 판(71)의 절곡된 중앙을 따라서 3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판(71)의 양측단에는 상기 광촉매 모듈(70)이 적층될 때 서로 접하여 상기 자외선 램프(72)가 장착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을 형성하는 램프 장착홈(712)이 형성된다. 상기 램프 장착홈(712) 또한 각 단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으며,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광촉매 판(71)의 양측단에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램프(72)는 다수의 광촉매 판(71)을 관통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자외선 램프(72)는 상기 램프 장착홀(711) 및/또는 램프 장착홈(712)에 장착될 수 있으며, 하나의 자외선 램프(72)가 모든 상기 광촉매 판(71)을 관통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이때, 상기 광촉매 모듈(70)에 장착되는 자외선 램프(72)의 개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결정될 수 있으며, 상기 다수의 램프 장착홀(711)과 램프 장착홈(712) 중 원하는 위치에 상기 자외선 램프(72)를 장착할 수 있다.
즉,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의 정화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상기 램프 장착홀(711)과 램프 장착홈(712)에 장착되는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수를 늘리고,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의 정화 성능을 낮추기 위해서는 상기 램프 장착홀(711)과 램프 장착홈(712)에 장착되는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수를 줄이게 된다.
이처럼, 사용자에 의해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장착과 탈거를 결정 및 조작할 수 있으며, 이를 용이하기 위해서 상기 정화부(63)에는 도어(65)가 개방되고,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자외선 램프(72)는 상기 도어(65)의 개방시 그 단부가 노출되어 용이하게 장착 및 탈거 작업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적층 장착시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모듈(70)간의 상기 광촉매 판(71)은 서로 접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가 이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외선 램프(72)가 장착될 수 있는 구멍을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장착과 분리 또한 상기 도어(65)의 개방을 통해 가능하게 되며, 상기 광촉매 모듈(70)은 상기 도어(65)가 개방된 상태에서 상기 정화부(63)의 내외측으로 삽입 및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도 19는 상기 광촉매 모듈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집진장치(1)의 케이스(10)를 통과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공기는 상기 정화부(63)를 따라 유동하게 되며, 상기 정화부(63) 내부의 광촉매 모듈(70)을 지나면서 살균될 수 있게 된다.
상세히, 상기 정화부(63)의 일단에서 상기 정화부(63)를 따라서 유동되는 공기는 연속 적층되는 상기 광촉매 모듈(70)을 차례로 지나게 된다. 이때, 서로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모듈(70)의 상기 광촉매 판(71)은 그 단부가 서로 접하여 연속되는 통로를 만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정화부(6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는 모든 광촉매 판(71)과 접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특히 상기 광촉매 판(71)의 중앙부가 절곡되어 있는 형상을 가지고 있어, 유동되는 공기는 유동 방향이 계속해서 지그재그 형상으로 바뀌게 되며 이때 마다 상기 광촉매 판(71)과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동작에 의한 상기 광촉매 판(71)의 광촉매 반응이 상기 정화부(63)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를 효과적으로 살균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살균된 공기는 상기 정화부(63)를 지나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화부(63)가 복수개로 구성되는 경우 상기 정화부(63)를 따라서 공기가 연속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한층 더 향상된 정화 성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는 이러한 특성을 고려하여 상기 정화부(63)의 개수를 설정할 수 있으며, 각 정화부(63)에 수용되는 광촉매 모듈(70)과 상기 자외선 램프(72)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60)는 상기 집진장치(1)와 별도로 구성되어 단독운전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상기 정화부(63)의 일측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별도의 통로와 송풍기를 설치할 수 있게 된다.

Claims (33)

  1. 외관을 형성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와 연통되어 오염공기를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동시키는 메인 송풍기;
    상기 메인 송풍기의 출구측에 제공되며, 상기 케이스 내측으로 유입되는 오염 공기와 혼합되는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물과 혼합된 상태의 오염공기가 연속하여 충돌하는 유로를 형성하여 오염공기 중의 물과 슬러지를 분리시키는 슬러지 분리 유닛;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하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공기 유동부와 하부의 슬러지 처리부로 구획하며,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물과 슬러지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 베리어 플레이트;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를 통과한 혼합 상태의 물과 슬러지가 회전되는 다공성 부재에 연속적으로 접하여 물은 통과되고 슬러지는 부착 상태로 분리시키며, 부착 상태의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 상방의 상기 케이스 상에 개구되는 상기 배출구와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사이에는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은 상기 메인 송풍기의 출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판상의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은 상기 케이스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에는 상기 슬러지 분리 유닛의 내측 영역에 물과 슬러지가 상기 슬러지 처리부로 낙하되기 위한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의 하면에는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과 슬러지를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의 일측으로 안내하는 워터 트레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집수되는 물을 순환시키는 급수 펌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회전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의 내측에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슬러지 송풍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분사하여 상기 드럼의 외측면에 부착된 슬러지를 비산시키는 에어 노즐과;
    상기 에어 노즐과 마주보는 상기 드럼의 외측에 구비되며, 비산되는 상기 슬러지를 안내하는 슬러지 가이드와;
    상기 슬러지 가이드의 하방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가이드에 의해 모여지는 슬러지를 스크류 방식으로 수평 이동시키는 스크류 이송 유닛과;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과 연결되며, 이송되는 슬러지를 저장하는 슬러지 박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에어 노즐과 슬러지 가이드와 스크류 이송 유닛은 모두 상기 드럼의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이송 유닛은,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스크류 모터와 직결되며, 나선 형상으로 형성되어 슬러지를 이송하는 회전되는 스크류 부재와;
    상기 스크류 부재의 하방에서 상기 스크류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스크류 케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러지 배출 장치는,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회전되며, 외측면에 다수의 구멍이 형성되는 드럼과;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서 이송되는 슬러지가 수용되는 슬러지 박스;
    상기 슬러지 박스와 연통되며, 상기 드럼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드럼 외측면에 부착되는 슬러지를 흡입하는 흡입 노즐;
    상기 슬러지 박스와 연통되며, 상기 흡입 노즐에 흡입력을 제공하는 흡입 송풍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노즐의 개구된 단부는 상기 드럼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송풍기는 배출되는 공기가 상기 메인 송풍기 또는 상기 메인 송풍기와 연통되는 유로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연통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의 상부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광촉매 모듈이 구비되며,
    상기 광촉매 모듈은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다수의 광촉매 판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동부의 상부에는 배출되는 공기를 중화처리하기 위한 음이온 발생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는 물과 슬러지가 분리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광촉매 정화장치가 더 구비되며,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는 이산화티탄이 코팅된 다수의 광촉매 판과 상기 다수의 광촉매 판을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외선 램프로 구성되는 다수의 광촉매 모듈이 상하 방향으로 병렬배치되는 정화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정화장치에는 복수의 상기 정화부가 병렬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정화부들과 연통되며, 상기 복수의 정화부들 사이의 공기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베이스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정화부에는 개폐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의 외측 단부가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도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기 도어의 개방시 상기 자외선 램프가 삽입되는 상기 광촉매 판의 면이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5. 제 2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은 상하로 적층되며, 상하 이웃하는 상기 광촉매 판의 단부끼리 접하여 공기의 유동 경로가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판은 전면에 걸쳐 다수의 에어홀이 천공 형성되며,
    중앙부를 따라 절곡되되, 절곡된 중앙부를 기준으로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7.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광촉매 판에는 중앙부를 따라 개구되어 상기 자외선 램프가 관통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장착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8. 제 25 항에 있어서,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이 서로 이웃하는 단부에는 각각 함몰 형성되어, 상기 다수의 상기 광촉매 모듈의 적층시 상기 자외선 램프가 관통 삽입되는 홀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램프 장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29. 외관을 형성하며,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오염공기가 공급될 수 있도록 하는 유입 덕트;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제공되며, 회전축이 상하로 연장되는 내부 모터;
    상기 회전축의 상단에 연결되어 오염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팬;
    상기 흡입 팬의 하방에서 유동되는 오염공기에 물을 공급하는 급수 배관;
    상기 회전축의 하단에 연결되어, 하방으로 이동되는 물과 혼합된 오염 공기와 충돌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의 하방에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 공간을 상부의 공기 유동부와 하부의 슬러지 처리부로 구획하며, 오염공기로부터 분리된 물과 슬러지가 통과되는 통로가 형성된 베리어 플레이트;
    상기 슬러지 처리부에 구비되며,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를 통과한 혼합 상태의 물과 슬러지가 회전되는 다공성 부재에 연속적으로 접하여 물은 통과되고 슬러지는 부착 상태로 분리시키며, 부착 상태의 분리된 슬러지를 상기 케이스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슬러지 배출 장치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는 상기 흡입팬의 직경보다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31.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 배관은 상기 흡입팬과 임펠러 사이의 상기 내부 모터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측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32.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터는 상기 베리어 플레이트에 장착되는 모터 마운트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33.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모터를 감싸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모터 커버가 구비되며,
    상기 유입 덕트는 상기 모터 커버의 내측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KR1020150049928A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장치 KR1016247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28A KR101624740B1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장치
CN201580000976.1A CN106255855A (zh) 2015-04-08 2015-07-15 空气净化装置
PCT/KR2015/007347 WO2016163598A1 (ko) 2015-04-08 2015-07-15 공기 정화장치
US14/893,490 US20180111080A1 (en) 2015-04-08 2015-07-15 Air purify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9928A KR101624740B1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4740B1 true KR101624740B1 (ko) 2016-05-26

Family

ID=56104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928A KR101624740B1 (ko) 2015-04-08 2015-04-08 공기 정화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80111080A1 (ko)
KR (1) KR101624740B1 (ko)
CN (1) CN106255855A (ko)
WO (1) WO20161635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425A (zh) * 2017-03-13 2017-08-18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消毒设备
KR101982856B1 (ko) * 2018-05-16 2019-05-29 주식회사 워터리유즈 악취 저감장치
CN110081534A (zh) * 2019-05-22 2019-08-02 曹顺山 一种空气净化器除尘装置
CN118009604A (zh) * 2024-04-08 2024-05-10 青岛松灵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分离型结构污泥冷却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1328B1 (ko) * 2015-05-11 2015-09-18 오문섭 습식형 공기청정기
CN106731381B (zh) * 2016-12-22 2018-12-28 江苏华升面粉有限公司 一种用于面粉厂的便携式水过滤吸尘装置
CN106621626B (zh) * 2016-12-22 2018-12-28 江苏华升面粉有限公司 一种用于面粉厂的水过滤吸尘装置
CN106693565A (zh) * 2017-03-09 2017-05-24 北京东方新星石化工程股份有限公司 除尘装置及浆液搅拌系统
CN108499318B (zh) * 2018-04-04 2020-10-13 丛伟 分径式洗涤塔
CN108554089B (zh) * 2018-05-16 2021-01-19 南通东净环保设备有限公司 除尘器
CN108939902A (zh) * 2018-06-22 2018-12-07 合肥净龙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持久型空气快速净化装置
CN111482081B (zh) * 2020-04-23 2021-09-24 四川旅游学院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CN112387047A (zh) * 2020-11-09 2021-02-23 章忠 一种无尘化生产车间用家具生产用除尘收集系统
CN112547611B (zh) * 2020-11-28 2022-01-11 广东省佳洁农业集团有限公司 具有可循环型光触媒补充结构的农产品保鲜装置
RU206843U1 (ru) * 2021-04-13 2021-09-2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узбасский региональный горный центр охраны труда" (ООО "Горный-ЦОТ")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эрозольной дезинфекции закрытых помещений
RU2759169C1 (ru) * 2021-08-06 2021-11-09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Диак" Рециркулятор воздуха
CN113769320B (zh) * 2021-10-22 2022-05-17 江西科技学院 用于对矿物掺合料中污染物进行降解的光催化装置
CN114471035A (zh) * 2022-03-08 2022-05-13 杨玉祥 一种建筑施工现场环境保护用高效粉尘处理设备
CN115400533B (zh) * 2022-08-23 2023-06-30 天津绿菱气体有限公司 一种羰基硫尾气回收利用的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643B1 (ko) 2004-12-09 2006-07-25 이승현 복합 공기 청정기
KR101296243B1 (ko) 2013-06-27 2013-08-13 이성헌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
KR101296799B1 (ko) 2012-12-12 2013-08-14 이성헌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1302510B1 (ko) 2012-07-17 2013-09-03 주식회사 진우통상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56513B (zh) * 2014-05-19 2015-07-08 东南大学 基于碳黑纳米流体的空气细颗粒净化装置及流体制备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4643B1 (ko) 2004-12-09 2006-07-25 이승현 복합 공기 청정기
KR101302510B1 (ko) 2012-07-17 2013-09-03 주식회사 진우통상 오존수 발생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1296799B1 (ko) 2012-12-12 2013-08-14 이성헌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101296243B1 (ko) 2013-06-27 2013-08-13 이성헌 공기 정화용 습식 집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62425A (zh) * 2017-03-13 2017-08-18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消毒设备
CN107062425B (zh) * 2017-03-13 2020-02-14 山东佳星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室内空气净化消毒设备
KR101982856B1 (ko) * 2018-05-16 2019-05-29 주식회사 워터리유즈 악취 저감장치
CN110081534A (zh) * 2019-05-22 2019-08-02 曹顺山 一种空气净化器除尘装置
CN118009604A (zh) * 2024-04-08 2024-05-10 青岛松灵电力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分离型结构污泥冷却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111080A1 (en) 2018-04-26
WO2016163598A1 (ko) 2016-10-13
CN106255855A (zh) 2016-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4740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551328B1 (ko) 습식형 공기청정기
JP7163494B2 (ja) 空気清浄機
KR102031772B1 (ko) 공기 청정기
JP5422049B2 (ja) 湿式空気浄化装置
KR101296799B1 (ko) 공기 정화장치용 습식 집진장치
KR20180020663A (ko) 공기청정기
CN111918710A (zh) 具有水粒子碰撞扩散结构的湿法集尘空气净化装置
KR20150107346A (ko) 공기 정화장치
KR20170003286A (ko) 공기정화기를 갖는 버스정류장
KR101580458B1 (ko) 공기순환장치
KR100807152B1 (ko) 오염된 공기의 정화 장치
KR100671844B1 (ko) 습식 공기청정기의 수조
KR20190119861A (ko) 고온 및 저온 냉각방식을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102214470B1 (ko)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KR101697901B1 (ko) 적층식 광촉매 공기 정화기
KR20160015083A (ko) 공기 청정기
KR101160622B1 (ko) 수막형 공기정화시스템
KR20120051887A (ko) 공기청정기
JP2005164069A (ja) 空気清浄システムおよび空気清浄装置
KR102454132B1 (ko) 공기순환기
KR100640733B1 (ko) 흡입형 습식 공기청정기
KR100622690B1 (ko) 순환형 필터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KR20170055689A (ko) 공기살균 청정기
KR101715034B1 (ko) 공기정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