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47B1 - 디지털 프린팅 머신 - Google Patents

디지털 프린팅 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47B1
KR101849947B1 KR1020160152713A KR20160152713A KR101849947B1 KR 101849947 B1 KR101849947 B1 KR 101849947B1 KR 1020160152713 A KR1020160152713 A KR 1020160152713A KR 20160152713 A KR20160152713 A KR 20160152713A KR 101849947 B1 KR101849947 B1 KR 1018499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medium
winding roller
winding
roll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2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호
Original Assignee
(주)디지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지아이 filed Critical (주)디지아이
Priority to KR1020160152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16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 B41J15/165Means for tensioning or winding the web for tensioning continuous copy material by use of redirecting rollers or redirecting nonrevolving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0Platen adjustments for varying the strength of impression, for a varying number of papers, for wear or for alignment, or for print gap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015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for treating before, during or after printing or for uniform coating or laminating the copy material before or after printing
    • B41J11/00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 B41J11/0022Curing or drying the ink on the copy materials, e.g. by heating or irradiating using convection means, e.g. by using a fan for blowing or sucking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9/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41J29/38Drives, motors, controls or automatic cut-off devices for the entire printing mechanism
    • B41J29/393Devices for controlling or analysing the entire machine ; Controlling or analysing mechanical parameters involving printing of test patter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8/00Winding webs
    • B65H18/08Web-winding mechanisms
    • B65H18/10Mechanisms in which power is applied to web-roll spindle
    • B65H18/103Reel-to-reel type web winding and unwind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0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 B65H23/04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 B65H23/16Registering, tensioning, smoothing or guiding webs longitudinally by weighted or spring-pressed movable bar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7Dry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3/00Power transmission; Driving means
    • B65H2403/40Toothed gearings
    • B65H2403/41Rack-and-pinion, cogwheel in cog rail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6/00Means using fluid
    • B65H2406/10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 B65H2406/12Means using fluid made only for exhausting gaseous medium producing gas blast
    • B65H2406/121Fa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1Length
    • B65H2511/112Length of a loop, e.g. a free loop or a loop of dance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1/00Dimensions; Position; Numbers; Identification; Occurrences
    • B65H2511/10Size; Dimensions
    • B65H2511/14Diameter, e.g. of roll or pack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3/00Dynamic entities; Timing aspects
    • B65H2513/10Speed
    • B65H2513/11Speed angu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801/00Application field
    • B65H2801/03Image reproduction devices
    • B65H2801/15Digital printing machines

Landscapes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으로,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쇄 완료된 출력매체를 와인딩(winding)하는 와인딩롤러,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출력매체의 양에 따라 와인딩롤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구동모터의 가동력을 조절하는 부하가변신호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출력매체에 외접되는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매체의 감김량을 검출 후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값을 설정함으로써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상관없이 와인딩롤러의 설정 회전 속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출력매체의 감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프린팅 머신{DIGITAL PRINTING MACHINE}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출력매체에 외접되는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매체의 감김량을 검출 후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값을 설정함으로써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상관없이 와인딩롤러의 설정 회전 속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출력매체의 감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디지털 제어부에서 원하는 출력신호를 디지털화 한 후 잉크를 분사하는 헤드(Head)에 자주(마젠타; M), 노랑(엘로우;Y), 청록(시안;C), 블랙 외 추가로 잉크를 공급하여 색을 출력매체에 덧칠함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도안을 그려내도록 하는 최신의 프린팅장치이다.
특히,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기술계산의 도시, 일기도, 지도, 통계도표, 설계도면, 컴퓨터아트의 작성, 실사출력 등에 활용되며, 출력매체를 사용하되 이 출력매체는 주로 폭보다는 길이가 월등히 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일정한 봉에 권취시킨 상태로 유통 및 판매 사용되는 것이다.
특히, 리와인딩롤러에서 인출되어 늘어져 있는 상태의 출력매체에는 별도의 텐션바가 삽입되면, 텐션바의 자중에 의해 그 출력매체에 일정한 장력을 부여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장력으로 긴장된 상태로 디지털 프린팅 머신에 공급되므로 그 공급장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인쇄장치의 장력 조절장치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1185494호(발명의 명칭: 장력 조절 장치)에 제안되어있다.
기존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와인딩롤러는 감기는 출력매체의 감김양에 따라 회전을 위한 부하가 커지게 되거나 작아지게 됨에 따라, 일정한 부하로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에 의해, 출력매체의 장력이 가변됨으로써, 인쇄불량 또는 감김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출력매체에 외접되는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매체의 감김량을 검출 후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값을 설정함으로써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상관없이 와인딩롤러의 설정 회전 속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출력매체의 감김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와인딩롤러(rewinding roller)와 와인딩롤러(winding roller)를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전측에 배치함으로써 출력매체의 풀림과 감김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쇄 후 이송되는 출력매체와 접한 채 열을 가하는 히팅유닛을 구비하여 출력매체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키고, 히팅유닛 이후의 출력매체에 송풍하여 건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킴과 아울러 펴 줌으로써 감김 불량을 방지하고자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쇄 완료된 출력매체를 와인딩하는 와인딩롤러;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의 양에 따라,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력을 조절하는 부하가변신호발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가변신호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딩롤러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 상기 와인딩롤러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상기 서포트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구름롤러를 양측에 구비하여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를 누르는 롤봉; 및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따라 상기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를 조절하는 감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가변신호발생부는, 상기 서포트부재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는 랙기어부재; 및 상기 구름롤러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와 기어 결합되며 상기 롤봉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는 피니언기어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변위센서부재; 상기 변위센서부재에 상기 롤봉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봉의 둘레면에 접하는 롤베어링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동일 측에 상기 와인딩롤러와 리와인딩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리와인딩롤러에서 인쇄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매체는 텐션봉에 의해 장력을 유지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출력매체에 의한 상기 텐션봉의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리와인딩롤러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본체는, 인쇄 완료 후 상기 와인딩롤러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출력매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매체에 접하여 열을 가하는 히팅유닛 및 상기 출력매체와 유격된 채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구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은 종래 기술과 달리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출력매체에 외접되는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출력매체의 감김량을 검출 후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의 부하값을 설정함으로써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상관없이 와인딩롤러의 설정 회전 속도를 유지시킴에 따라 출력매체의 감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리와인딩롤러(rewinding roller)와 와인딩롤러(winding roller)를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전측에 배치함으로써 출력매체의 풀림과 감김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인쇄 후 이송되는 출력매체와 접한 채 열을 가하는 히팅유닛을 구비하여 출력매체의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히팅유닛 이후의 출력매체에 송풍하여 건조시간을 더욱 단축시킴과 아울러 펴 줌으로써 감김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부하가변신호발생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텐션봉의 위치에 따른 리와인딩롤러의 리와인딩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텐션봉의 승하강 이동 안내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부하가변신호발생부의 작동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텐션봉의 위치에 따른 리와인딩롤러의 리와인딩 상태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의 텐션봉의 승하강 이동 안내 구조를 보인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프린팅 머신(100)은 본체(110), 리와인딩롤러(130), 와인딩롤러(140), 구동모터(180) 및 부하가변신호발생부(20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100)의 외형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그리고, 본체(110)는 출력매체(2)에 인쇄하기 위해 인쇄유닛(120)을 구비한다. 이때, 인쇄유닛(120)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고, 본체(110)의 상측에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본체(110)는 출력매체(2)를 인쇄유닛(120) 측으로 공급하기 위해 감긴 출력매체(2)를 리와인드(rewind)하는 리와인딩롤러(rewinding roller,13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하고, 인쇄 완료된 출력매체(2)를 와인드(wind)하는 와인딩롤러(winding roller,140)를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다.
이때, 본체(110)는 동일 측에 리와인딩롤러(130)와 와인딩롤러(140)를 각각 배치함으로써, 출력매체(2)의 감김과 풀림 상태를 육안으로 동시에 확인 가능하고, 부피를 줄일 수 있다.
편의상, 리와인딩롤러(130)와 와인딩롤러(140)는 본체(110)의 후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한다. 이로 인해, 본체(110)는 전측에서 인쇄 작업 설정 등을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와인딩롤러(140)는 구동모터(180)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되며 이송되는 출력매체(2)를 감는다.
이때, 와인딩롤러(140)는 출력매체(2)의 감김량에 따라 하중이 달라지게 되고, 이로 인해, 구동모터(180)에 가해지는 부하값이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부하가변신호발생부(200)는 와인딩롤러(140)에 감기는 출력매체(2)의 양에 따라, 와인딩롤러(140)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구동모터(180)의 가동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와인딩롤러(140)는 출력매체(2)를 장력을 유지한 채 펴서 감을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부하가변신호발생부(200)는 서포트부재(210), 롤봉(220), 랙기어부재(240), 피니언기어부재(250) 및 감지부(230)를 포함한다.
서포트부재(210)는 본체(110)의 양측에 배치되고, 와인딩롤러(140)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그리고, 서포트부재(210)는 상호 대향하는 방향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물론, 서포트부재(210)는 다양한 형상 및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롤봉(220)은 와인딩롤러(140)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서포트부재(210)를 따라 이동되는 구름롤러(222)를 양측에 구비한다.
그래서, 롤봉(220)은 자중에 의해 와인딩롤러(140)에 감기는 출력매체(2)를 누르는 역할을 한다. 이로 인해, 롤봉(220)은 출력매체(2)가 와인딩롤러(140)에 펴진 상태로 감기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물론, 롤봉(220)은 직경 및 재질에 한정하지 않는다.
이때, 롤봉(220)은 서포트부재(210)를 따라 급격히 이동 가능함에 따라, 출력매체(2)는 장력 변화로 인해 감김 불량이 발생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랙기어부재(240)와 피니언기어부재(250)가 구비된다.
랙기어부재(240)는 서포트부재(210) 각각의 내측에 형성된다. 이때, 랙기어부재(240)는 와인딩롤러(140)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때, 랙기어부재(240)가 서포트부재(210) 내측에서 설정 각도로 기울어지게 배치될 경우, 서포트부재(210)는 설치 각도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리고, 피니언기어부재(250)는 구름롤러(222)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랙기어부재(240)와 기어 결합된 채 랙기어부재(24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즉, 피니언기어부재(250)가 랙기어부재(240)를 따라 이동됨에 따라, 롤봉(220)은 급격한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감지부(230)는 와인딩롤러(140)에 감기는 출력매체(2)의 감김량에 따라 롤봉(220)의 위치를 감지하여, 와인딩롤러(140)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80)의 부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감지부(230)는 변위센서부재(232), 샤프트(234) 및 롤베어링부재(236)를 포함한다.
변위센서부재(232)는 본체(110)의 내부 어느 일측 또는 양측에 고정 설치된다. 편의상, 변위센서부재(232)는 본체(110)의 내부 일측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샤프트(234)는 변위센서부재(232)에 롤봉(220) 측으로 연장된다.
아울러, 롤베어링부재(236)는 샤프트(234)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롤봉(220)의 둘레면에 접한다.
이로 인해, 변위센서부재(232)는 롤봉(220)의 위치에 따른 샤프트(234)의 기울기를 통해 와인딩롤러(140)에 감기는 출력매체(2)의 양을 감지한 후, 구동모터(180)의 부하값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샤프트(234)가 상부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승시, 변위센서부재(232)는 이를 감지 후 구동모터(180)가 전압을 상승(부하값 증가)시켜 와인딩롤러(140)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증대시키도록 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한편, 리와인딩롤러(130)에서 인쇄 측으로 공급되는 출력매체(2)는 텐션봉(150)에 의해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텐션봉(150)은 승하강안내부(170)에 의해 급격한 상하 이동이 방지된다.
승하강안내부(170)는 하우징(172), 직선안내기어부재(174) 및 회전안내기어부재(176)를 포함한다.
하우징(172)은 본체(110)에 고정 설치되는데, 축 방향이 바닥에 수직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직선안내기어부재(174)는 하우징(172)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고, 하우징(172)의 축 방향으로 배치된다.
아울러, 회전안내기어부재(176)는 텐션봉(150)의 일측 또는 양측에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그래서, 회전안내기어부재(176)가 직선안내기어부재(174)를 따라 구름 회전됨에 따라, 텐션봉(150)은 출력매체(2)의 처짐 여부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 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는 출력매체(2)에 의한 텐션봉(150)의 상승을 감지하여 리와인딩롤러(130)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재(160)를 구비한다.
즉, 리와인딩롤러(130)가 구동원에 의해 회전 정지시, 이송되는 출력매체(2)는 처진 상태에서 당겨지게 됨에 따라, 텐션봉(150)은 직선안내기어부재(174)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감지센서부재(160)가 상승되는 텐션봉(150)을 감지시, 구동원은 해당 신호를 전달받아 리와인딩롤러(130)를 회전시키도록 작동한다. 이로 인해, 리와인딩롤러(130)는 설정 회전량만큼 회전됨에 따라, 출력매체(2)는 처지게 되면서, 텐션봉(150)은 직선안내기어부재(174)를 따라 설정 거리만큼 안정적으로 하강하게 된다.
특히, 인쇄유닛(120)이 작동시에, 출력매체(2)는 이송 정지된다. 이때, 리와인딩롤러(130)가 회전되며 출력매체(2)를 공급하여 처짐 유도함으로써, 출력매체(2)는 인쇄 완료 후 안정적으로 이송되도록 장력을 유지한 채 대기하게 된다.
또한, 본체(110)는 인쇄 완료 후 와인딩롤러(140) 측으로 이동되는 출력매체(2)를 건조시키기 위해 출력매체(2)에 접하여 열을 가하는 히팅유닛(192)을 구비할 수 있다. 히팅유닛(192)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아울러, 본체(110)는 히팅유닛(192)에 의해 일차적으로 건조된 후 와인딩롤러(140) 측으로 이송되는 출력매체(2)와 유격된 채 송풍하는 송풍유닛(194)을 구비할 수 있다.
송풍유닛(194)은 출력매체(2)를 이차적으로 건조시키는 역할을 하고, 이송되는 출력매체(2)를 펴 주는 역할을 한다. 물론, 송풍유닛(194)은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출력매체 100: 디지털 프린팅 머신
110: 본체 120: 인쇄유닛
130: 리와인딩롤러 140: 와인딩롤러
150: 텐션봉 160: 감지센서부재
170: 승하강안내부 180: 구동모터
192: 히팅유닛 194: 송풍유닛
200: 부하가변신호발생부 210: 서포트부재
220: 롤봉 230: 감지부
232: 변위센서부재 234: 샤프트
236: 롤베어링부재 240: 랙기어부재
250: 피니언기어부재

Claims (6)

  1. 본체; 상기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인쇄 완료된 출력매체를 와인딩하는 와인딩롤러;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 및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의 양에 따라, 상기 와인딩롤러의 회전속도를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가동력을 조절하는 부하가변신호발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하가변신호발생부는, 상기 본체의 양측에 배치되고, 상기 와인딩롤러 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서포트부재; 상기 와인딩롤러에 나란하게 배치되고, 대응되는 상기 서포트부재를 따라 이동되는 구름롤러를 양측에 구비하여 자중에 의해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를 누르는 롤봉;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의 감김량에 따라 상기 롤봉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와인딩롤러를 회전시키는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를 조절하는 감지부; 상기 서포트부재 각각의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와인딩롤러 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랙기어부재; 및 상기 구름롤러 각각의 둘레면에 형성되어, 상기 랙기어부재와 기어 결합되어 상기 랙기어부재를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롤봉의 급격한 이동을 방지하는 피니언기어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 설치되는 변위센서부재; 상기 변위센서부재에 상기 롤봉 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가장자리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롤봉의 둘레면에 접하는 롤베어링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변위센서부재는 상기 롤봉의 위치에 따른 상기 샤프트의 기울기를 통해 상기 와인딩롤러에 감기는 상기 출력매체의 양을 감지한 후 상기 구동모터의 부하값을 제어하도록 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동일 측에 상기 와인딩롤러와 리와인딩롤러가 배치되고,
    상기 리와인딩롤러에서 인쇄 측으로 공급되는 상기 출력매체는 텐션봉에 의해 장력을 유지하며,
    상기 본체는 상기 출력매체에 의한 상기 텐션봉의 상승을 감지하여 상기 리와인딩롤러의 풀림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센서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인쇄 완료 후 상기 와인딩롤러 측으로 이동되는 상기 출력매체를 건조시키기 위해, 상기 출력매체에 접하여 열을 가하는 히팅유닛 및 상기 출력매체와 유격된 채 송풍하는 송풍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20160152713A 2016-11-16 2016-11-16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18499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713A KR101849947B1 (ko) 2016-11-16 2016-11-16 디지털 프린팅 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2713A KR101849947B1 (ko) 2016-11-16 2016-11-16 디지털 프린팅 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47B1 true KR101849947B1 (ko) 2018-04-19

Family

ID=62087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2713A KR101849947B1 (ko) 2016-11-16 2016-11-16 디지털 프린팅 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4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488A (zh) * 2019-09-24 2019-12-10 嘉兴远盛数码纺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数码印花机的放卷装置
KR20210158471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먹지 이송량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날인기
EP3984759A1 (en) * 2020-10-13 2022-04-20 Ricoh Company, Ltd. Tension applying device,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2468A (ja) * 2006-05-15 2007-11-22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装置、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2010076876A (ja) * 2008-09-25 2010-04-08 Seiko Epson Corp ターゲッ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101594401B1 (ko) * 2015-09-17 2016-02-26 코스테크 주식회사 인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2468A (ja) * 2006-05-15 2007-11-22 Mimaki Engineering Co Ltd 印刷装置、搬送装置、及び印刷方法
JP2010076876A (ja) * 2008-09-25 2010-04-08 Seiko Epson Corp ターゲット搬送装置及び記録装置
KR101594401B1 (ko) * 2015-09-17 2016-02-26 코스테크 주식회사 인쇄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50488A (zh) * 2019-09-24 2019-12-10 嘉兴远盛数码纺织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数码印花机的放卷装置
KR20210158471A (ko) * 2020-06-24 2021-12-31 주식회사 케이에스팩 먹지 이송량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날인기
KR102376735B1 (ko) 2020-06-24 2022-03-21 (주)케이에스팩 먹지 이송량 자동조정이 이루어지는 날인기
EP3984759A1 (en) * 2020-10-13 2022-04-20 Ricoh Company, Ltd. Tension applying device,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11577532B2 (en) 2020-10-13 2023-02-14 Ricoh Company, Ltd. Tension applying device, sheet conveyance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947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EP2703325B1 (en) Medium feed device, method for controlling medium feed device, and recording device
US7399132B2 (en) Digital textile printer
US10597248B2 (en) Medium feeding apparatus
US9427990B2 (en) Tension module for wide format inkjet printers
JP5899686B2 (ja) 帯状媒体巻出巻取装置及び記録装置
JP6077881B2 (ja) 布帛の印刷方法、及び布帛用の印刷装置
US10315444B2 (en) Printing device
JP4538658B2 (ja) メディア巻き取り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メディア巻き取り方法
KR101867782B1 (ko) 종이 코팅 장치
JP6919297B2 (ja) 搬送装置及び印刷装置
CN217172660U (zh) 一种印刷机用收卷装置
KR20170096536A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테이크업장치
JPH11208987A (ja) 延反機
JP5083341B2 (ja) フィルム搬送装置
KR100677969B1 (ko) 회전 엠보싱 및 금박 인쇄장치
JP2018149718A5 (ko)
CN113353684A (zh) 一种印刷机收放料装置
KR102112472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2021743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
KR102592898B1 (ko) 인쇄용 미디어롤의 권취 및 인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12474B1 (ko) 출력매체용 언와인더의 텐션 유지장치
JP2017075041A (ja) 印刷装置
JP2007161409A (ja) アキューム装置
KR101210697B1 (ko) Ac모터를 이용한 위치 제어장치의 구동수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