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54B1 - 중첩 지그 장치 - Google Patents

중첩 지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54B1
KR101849654B1 KR1020150095118A KR20150095118A KR101849654B1 KR 101849654 B1 KR101849654 B1 KR 101849654B1 KR 1020150095118 A KR1020150095118 A KR 1020150095118A KR 20150095118 A KR20150095118 A KR 20150095118A KR 101849654 B1 KR101849654 B1 KR 101849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ig
terminal case
terminal
cas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5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4575A (ko
Inventor
문덕열
Original Assignee
문덕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덕열 filed Critical 문덕열
Priority to KR10201500951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54B1/ko
Publication of KR20170004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4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6Work supports, e.g. adjustable steadies
    • B24B41/068Table-like supports for panels, sheet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24B9/005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for mass 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의 특정면을 덮는 제3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그에서 상기 특정면에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제1 착탈부가 마련될 수 있다.

Description

중첩 지그 장치{JIG}
본 발명은 단말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에는 내부 기기의 보호와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케이스가 마련된다.
단말기 케이스의 내면은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종 전자 기기에 대면되고, 단말기 케이스의 외면은 외부 환경에 대면된다.
이러한 단말기 케이스를 제조하는 공정에는 케이스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거나, 케이스에 잘못 도색된 페인트를 박리시키는 공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들 공정을 위해서는 단말기 케이스를 지지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42793호에는 휴대폰의 4측면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 공정이 개시되고 있지만, 단말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방안은 언급되지 않고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42793호
본 발명은 단말기 케이스를 지지하는 지그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의 특정면을 덮는 제3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그에서 상기 특정면에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제1 착탈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의 특정면을 덮는 제3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의 가공시 훼손이 예상되는 특정면을 보호할 수 있다.
아울러, 제3 지그는 프레임, 손잡이, 홀 지그 등 다양한 부재에 착탈되는 제1 착탈부를 포함하므로, 범용성이 높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3은 단말기 케이스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수용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수용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9는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역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지그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지그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제2 연결 지그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중간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가 적용된 케이스 연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제3 지그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8은 손잡이가 장착된 제3 지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9는 제1 착탈부가 마련된 제3 지그와 관통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에 도시된 지그 장치는 제1 방향을 따라 적층되는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하는 지그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를 적층하는 것은 특정 가공 수단의 1회 공정을 통해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를 가공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일예로, 단말기 케이스(10)의 표면을 매끄럽게 연마하거나, 단말기 케이스(10)에 잘못 도색된 페인트를 박리하는 케이스 연마 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스 연마 장치는 사포로 단말기 케이스(10)를 문지르는 방식 또는 연마제를 분사하는 샌드 블라스트 방식을 이용해 단말기 케이스(10)를 연마할 수 있다.
작업 속도를 개선하기 위해, 케이스 연마 장치의 1회 공정에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투입될 수 있다. 그런데,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별도의 지지 수단 없이 서로 적층된 상태로 투입된다면, 사포로부터 가해진 압력 또는 연마제의 분사 압력에 의해 각 단말기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기 쉽다.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면 각 단말기 케이스(10)마다 연마 상태가 달라지므로 균일한 가공 결과물이 획득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는 지그 유니트에 의해 해소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에는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면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적층된 상태에서도 가공 대상이 되는 가공면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적층되는 제1 방향은 가공면의 연장 방향과 동일한 것이 좋다.
일예로, 단말기 케이스(10)의 가공면이 외측면 ⓐ, ⓑ, ⓒ, ⓓ라면, 외측면 ⓐ, ⓑ, ⓒ, ⓓ의 공통된 연장 방향인 z축이 제1 방향이 될 수 있다.
일예로, 서로 직교하는 x축, y축, z축을 갖는 xyz 공간에서 제1 방향은 z축이고, 제2 방향은 x축이며, 제3 방향은 y축일 수 있다.
도 1에서 외측면 ⓓ는 제1 방향 및 제3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른 외측면도 모두 공통적으로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10)는 제1 방향으로 적층되는 것이 좋다.
제1 방향으로 적층된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각 단말기 케이스(10)는 서로 정렬될 필요가 있다.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정렬을 위해 지그 유니트에는 제1 지그 및 제2 지그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지그는 제1 방향의 수직 방향 상으로 각 단말기 케이스(10)를 동일한 위치에 정렬시킬 수 있다. 일예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방향 및 제3 방향으로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위치가 다르면 각 단말기 케이스(10)는 서로 정렬될 수 없다. 제1 지그에 따르면,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제2 방향 위치와 제3 방향 위치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지그는 제1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1 방향 위치와 제3 방향 위치를 합하여 평면 위치라 정의할 때,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위치는 제1 지그에 의해 정렬될 수 있다. 그러나, 각 단말기 케이스(10)가 제1 지그에 의해 정렬된 위치에서 회동한다면 가공 단계에서 요구하는 정렬 상태를 만족하기 어렵다. 제2 지그에 따르면, 평면 위치 상으로 정렬이 완료된 각 단말기 케이스(10)의 회동이 제한되므로 완전한 정렬 상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 지그와 제2 지그에 의해 각 단말기 케이스(10)가 정렬된 상태로 적층된 경우라도, 가공 공정에 사용되는 연마제 또는 파티클이 가공면이 아닌 다른 면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지그 유니트는 제3 지그(310)를 포함할 수 있다.
가공면이 아닌 다른 면은 단말기 케이스(10)의 가공면으로부터 이격된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면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그(310)는 중간면을 덮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중간면을 덮는 제3 지그(310)는 가공면에 해당하는 외측면을 가공하는 가공 수단으로부터 중간면을 보호할 수 있다.
제1 지그, 제2 지그 및 제3 지그(310)는 별도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각 지그가 별도로 형성된 경우를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지그 유니트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를 관통하는 관통 지그(320)를 포함할 수 있다.
관통 지그(320)는 제1 지그에 해당하는 것으로, 각 단말기의 평면 위치를 동일하게 정렬할 수 있다.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제1 방향 상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까지 적층될 때, 관통 지그(32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거리 이상으로 형성된 막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관통 지그(320)의 단부에는 단말기 케이스(10)가 관통 지그(32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321)가 착탈될 수 있다. 관통 지그(320)에 관통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에는 관통 홀이 마련될 수 있는데, 스토퍼(321)의 직경은 관통 홀의 직경보다 클 수 있다.
착탈 가능한 스토퍼(321)는 관통 지그(320)의 양단 또는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을 따라 적층된 단말기 케이스(10)에는 제3 지그(31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제3 지그(310)는 각 단말기 케이스(10)마다 설치될 수 있다. 특정 단말기 케이스(10)가 다른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면을 밀폐시킬 정도로 다른 단말기 케이스(10)에 밀착된다면,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된 단말기 케이스(10)에만 제3 지그(310)가 적용되도 무방하다. 제3 지그(310)에 따르면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는 서로 중첩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는 제3 지그(310)가 설치된 상태에서 관통 지그(320)에 끼워지거나, 단독으로 관통 지그(320)에 끼워질 수 있다. 후자의 경우, 해당 단말기 케이스(10)의 다음으로 관통 지그(320)에 끼워진 제3 지그(310)가 해당 단말기 케이스(10)에 설치될 수 있다.
제3 지그(310)가 적용되는 경우, 단말기 케이스(10)는 제3 지그(310)에 덮이는 중간면이 스토퍼(321)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관통 지그(320)에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설사 특정 단말기 케이스(10)에 제3 지그(31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321)가 장착되더라도, 스토퍼(321)를 빼낸 후 제3 지그(310)를 용이하게 특정 단말기 케이스(10)에 설치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위치와 제2 위치 중 한 곳에 배치되는 단말기 케이스(10)에만 제3 지그(310)가 적용되는 경우를 가정한다. 그리고, 관통 지그(320)의 제1 위치 측 단부에는 스토퍼(321)가 착탈되고, 관통 지그(320)의 제2 위치 측 단부에는 착탈 가능한 스토퍼(321)가 없는 경우를 가정한다.
제3 지그(310)에 덮이는 중간면이 스토퍼(321)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단말기 케이스(10)가 관통 지그(320)에 끼워지는 경우라면, 제1 위치의 단말기 케이스(10)에만 제3 지그(31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3 지그(31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토퍼(321)가 설치되더라도, 스토퍼(321)를 해제하면 바로 제3 지그(310)가 설치될 단말기 케이스(10)가 위치하므로 용이하게 제3 지그(310)를 설치할 수 있다.
만약, 제3 지그(310)에 덮이는 중간면이 스토퍼(321)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단말기 케이스(10)가 관통 지그(320)에 끼워지는 경우라면, 제2 위치의 단말기 케이스(10)에만 제3 지그(310)가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관통 지그(320)에 각 단말기 케이스(10)를 끼운 후 제3 지그(310)가 설치되지 않은 것이 파악되면, 스토퍼(321) 및 관통 지그(320)에 끼워진 모든 단말기 케이스(10)를 관통 지그(320)로부터 빼낸 후에 제3 지그(310)를 설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제3 지그(31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면을 덮는 요소로, 단말기 케이스(10)에 따라 그 형상이 결정될 수 있다.
도 2는 단말기 케이스(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사시도가 개시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는 금속이 포함된 메탈 영역(20)과 합성 수지가 포함된 수지 영역(30)이 일면에 함께 마련된 것일 수 있다.
휴대폰, 노트북 등 휴대용 단말기의 케이스는 각종 충격으로부터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사용상 편의를 고려한 그립(grip)감, 내부식성, 미려한 외관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에는 페인트가 도색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에서 페인트가 도색되는 도색면이 하나의 재질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재질에 적합한 퍼티(putty)를 칠한 후 퍼티 상에 페인트를 도색하는 것으로 도색 공정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도색된 단말기 케이스(10)의 도색 상태는 도색 두께, 평탄도 등에서 초기 설계치를 용이하게 만족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 케이스(10)에 메탈 재질이 포함될 경우, 도색 공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가 메탈 재질을 포함한다 하더라도, 앞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가 하나의 메탈 재질만으로 이루어진다면 별다른 문제가 없을 수 있다. 그러나, 단말기 케이스(10)를 메탈로만 구성하기 어려운 경우가 존재할 수 있다.
스마트폰 등의 이동 통신 단말기의 경우, 무선 통신을 위해 케이스는 전파가 통과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케이스가 모두 메탈로 구성된다면, 엘레베이터 내에서 무선 통신이 불가능한 원리와 유사하게 해당 단말기의 무선 통신 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 장애를 해소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에는 전파가 통과하는 소위, 전파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전파 구멍을 그대로 두면 외부 이물질이 단말기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전파 구멍은 전파를 방해하지 않는 합성 수지 재질로 덮일 수 있다. 이에 따르면, 해당 단말기 케이스(10)의 일면에는 금속이 포함된 메탈 영역(20)과 합성 수지가 포함된 수지 영역(30)이 함께 마련될 수 있다. 수지 영역(30) 또는 메탈 영역(20)에는 단말기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이 설치되는 카메라 홀(31), 조명등이 설치되는 조명 홀(33), 스피커가 설치되는 스피커 홀(35) 등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카메라 홀(31), 조명 홀(33), 스피커 홀(35) 등은 관통 지그(320)가 관통되는 관통 홀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관통 지그(320)가 통과하기 위한 별도의 홀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므로, 단말기 케이스(10)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메탈 영역(20)과 수지 영역(30)이 함께 존재하는 면에 페인트를 칠할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먼저, 메탈과 합성 수지가 함께 포함된 단말기 케이스(10)는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열팽창의 차이로 인해 평탄도가 훼손되기 쉽다.
특히, 메탈 영역(20)과 수지 영역(30)의 경계 ⓚ에는 버(burr)가 형성되므로, 평탄도의 훼손이 더욱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10)에서 메탈 영역(20)과 수지 영역(30)이 공존하는 면은 가공 수단에 의해 연마될 필요가 있다.
한편, 단말기 케이스(10)의 외측면 역시 매끄럽게 연마되거나, 페인트의 박리가 요구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의 외측면이 가공 대상인 경우 단말기 케이스(10)는 메탈 또는 수지 중 한가지의 재질만 포함해도 무방하다.
단말기 케이스(10)의 외측면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사각형 형상의 단말기 케이스(10)에서 외측면은 ⓐ, ⓑ, ⓒ, ⓓ 4개가 존재한다.
도 3은 단말기 케이스(10)를 나타낸 다른 개략도이다. 도 3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저면 사시도가 개시된다.
단말기 케이스(10)에서 제1 방향을 연장되는 외측면을 제외한 면을 중간면이라 칭할 때, 단말기 케이스(10)에는 중간면과 외측면에 의해 형성된 수용 공간(50)이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중간면에서 도 2와 같이 외부에 대면되는 면을 중간 가공면이라 칭하고, 중간면에서 도 3과 같이 수용 공간에 대면되는 면, 즉 중간 가공면의 반대면을 보호면이라 칭하기로 한다.
수용 공간(50)에는 단말기를 구성하는 각종 회로 부품, 배터리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이들 회로 부품 또는 배터리 간의 전기 간섭 문제, 쇼트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보호면에는 절연층(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면에는 회로 부품 등이 설치된 모듈에 나사 체결되는 나사 구멍이 마련될 수 있다. 이들 절연층(40) 또는 나사 구멍은 중간 가공면 또는 외측면의 가공시 보호될 필요가 있다.
제3 지그(31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면, 구체적으로 보호면을 덮는 것으로, 절연층(40) 또는 나사 구멍 등을 보호할 수 있다. 물론, 특정 단말기 케이스(10)의 보호면을 덮는 제3 지그(310)는 특정 단말기 케이스(10)에 적층되는 다른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 가공면도 덮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3 지그(3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3 지그(31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수용 공간(50)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3 지그(310)에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삽입 돌기(311)가 마련될 수 있다.
삽입 돌기(311)는 단말기 케이스(10)에 마련된 카메라 홀 등의 관통 홀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 지그(310)는 단말기 케이스(10)에 견고하게 끼워질 수 있다.
삽입 돌기(311)에 의하면 단말기 케이스(10)에서 관통 지그(320)가 통과할 수 있는 관통 홀이 막힐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삽입 돌기(311)에는 관통 지그(320)가 관통하는 지그 홀(313)이 마련될 수 있다.
제3 지그(310)가 없다면, 관통 지그(32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관통 홀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관통 지그(320)에 인가된 외부 충격에 의해 관통 홀이 훼손될 수 있다. 그러나, 삽입 돌기(311) 및 지그 홀(313)에 따르면 관통 지그(320)가 관통 홀에 접촉하는 대신 지그 홀(313)에 접촉되므로, 관통 지그(320)와 관통 홀의 접촉으로 인해 유발되는 관통 홀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관통 지그(320)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위치가 정렬될 수 있으나, 회전 자유도가 제한되기 어렵다.
회전 자유도를 제한하기 위해 지그 유니트는 제2 지그에 해당하는 수용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 지그에는 관통 지그(320)에 지지된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되는 수용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수용 홈을 형성하는 내벽은 단말기 케이스(10)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단말기 케이스(10)에 접촉된 내벽이 단말기 케이스(10)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하도록, 수용 홈에는 적어도 2개의 내벽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 케이스(10)는 2개의 내벽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2개의 내벽은 서로 평행하며, 제1 방향 및 제1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방향 상으로 수용 홈의 단부에는 관통 지그(320)가 삽입되는 삽입 홈이 마련될 수 있다. 삽입 홈에 의해 관통 지그(320)의 유동이 제한되므로, 가공 과정에서 단말기 케이스(10)가 흔들리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수용 홈의 입구는 개방된 상태이므로, 수용 홈에 수용된 단말기 케이스(10)의 외측면 중 하나는 수용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이렇게 외부에 노출된 외측면은 연마 장치 등에 의해 연마될 수 있으며, 해당 외측면을 제외한 다른 외측면 및 중간면은 수용 지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에는 수용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될 필요가 있는 외측면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그런데, 이들 각 외측면의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수용 홈의 규격이 다른 복수의 수용 지그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일예로, 단말기 케이스(10)가 4개의 외측면 ⓐ, ⓑ, ⓒ, ⓓ를 갖는 사각형 형상이라면, 길이가 같은 외측면 ⓑ와 ⓓ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1 수용 지그(330), ⓐ와 ⓒ를 노출시키기 위한 제2 수용 지그(340)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1 수용 지그(33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수용 지그(330)에는 제1 수용 홈(33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수용 홈(331)의 일단에는 관통 지그(320)가 삽입되는 제1 삽입 홈(333)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수용 홈(331)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제4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제1 수용 홈(331)에는 제4 외측면 ⓓ과 동일한 길이의 제2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도 1의 상태대로 단말기 케이스(10)가 제1 수용 지그(330)에 삽입될 때 제4 외측면 ⓓ가 노출된다면, 도 1의 상태에서 관통 지그(320)를 중심으로 180도 회전시키면 제1 수용 지그(330)에 삽입시 제2 외측면 ⓑ가 노출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제1 수용 홈(331)의 입구로부터 제1 삽입 홈(333)의 단부까지의 거리 L1은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4 외측면 ⓓ까지의 길이 이상이고,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2 외측면 ⓑ까지의 길이 이상일 수 있다.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4 외측면 ⓓ까지의 길이와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2 외측면 ⓑ까지의 길이 중에서 상대적으로 긴 길이를 L2라 할 때, L1은 L2 이상일 수 있다.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4 외측면 ⓓ까지의 길이와 관통 지그(320)로부터 제2 외측면 ⓑ까지의 길이가 차이나는 것은, 단말기 케이스(10)의 관통 홀이 일측에 치우쳐 형성되기 때문이다.
관통 지그(32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에 기형성된 관통 홀을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기 케이스(10)가 도 1과 같은 정자세일 때의 관통 지그(320)의 위치(도면에서는 x축 위치)와, 도 6과 같이 180도 회전한 자세일 때의 관통 지그(320)의 위치는 서로 달라질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18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로, 단말기 케이스(10)가 어떤 자세를 취하더라도 제1 삽입 홈(333)에 관통 지그(320)가 삽입될 수 있도록 L1은 L2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한편, 도 1의 정자세 상태에서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자세로 단말기 케이스(10)는 제1 수용 지그(330)에 삽입될 수 없다. 90도 회전한 자세는 제1 외측면 ⓐ 또는 제3 외측면 ⓒ를 노출하기 위한 것으로, 이때의 단말기 케이스(10)는 별도로 마련된 제2 수용 지그(34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제2 수용 지그(34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수용 지그(340)에는 제2 수용 홈(341)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수용 홈(341)의 일단에는 관통 지그(320)가 삽입되는 제2 삽입 홈(343) 및 제3 삽입 홈(345)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수용 홈(341)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제3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제2 수용 홈(341)에는 제3 외측면과 동일한 길이의 제1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제2 삽입 홈(343)에는 제3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제2 수용 홈(341)에 삽입될 때의 관통 지그(320)가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삽입 홈(343)에는 도 8과 같은 자세를 갖는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8은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정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때, 정방향은 반시계 방향일 수 있다.
도 8을 살펴보면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하는 관통 지그(320)가 y축 방향 상으로 좌측에 치우친 상태가 된다. 제2 삽입 홈(343)은 y축 방향으로 도 8의 관통 지그(3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지그 유니트가 역방향으로 90도 회전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때, 역방향은 시계 방향일 수 있다.
제3 삽입 홈(345)에는 제1 외측면 ⓐ가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제2 수용 홈(341)에 삽입될 때의 관통 지그(320)가 삽입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삽입 홈(345)에는 도 9와 같은 자세를 갖는 단말기 케이스(1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9에는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하는 관통 지그(320)가 y축 상으로 우측에 치우친 상태가 개시된다. 제3 삽입 홈(345)은 y축 상으로 도 9의 관통 지그(320)가 배치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관통 지그(320) 및 수용 지그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10)는 정렬된 상태로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 케이스(10)에서 하나의 외측면만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된 외측면을 제외한 다른 면은 수용 지그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일예로, 수용 지그에 수용된 단말기 케이스(10)는 연마제가 분사되는 연마 장치로 유입될 수 있다. 해당 연마 장치는 외부로 노출된 외측면을 연마하기 위해 연마제를 고속을 분사할 수 있다. 이렇게 분사된 연마제가 해당 외측면이 아닌 다른 곳을 타격하면 곤란한다. 그러나, 수용 지그에 의하면 연마 대상이 되는 외측면을 제외한 다른 면이 보호되므로 별다른 문제가 없다.
다만, 복수의 외측면을 가공하기 위해 복수의 수용 지그가 필요하고, 수동으로 단말기 케이스(10)의 자세를 바꿔줄 필요가 있다.
가공면을 제외한 부분을 보호할 필요성이 낮은 경우 단말기 케이스(10)의 자세는 회전 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변할 수 있다.
일예로, 사포로 가공면을 연마하는 연마 장치의 경우 사포에 접촉되지 않는 면은 외부에 노출되더라도 사포에 의해 훼손되지 않는다.
이 경우, 단말기 케이스(10)에 마련된 복수의 외측면이 각각 사포에 대면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가 회전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단말기 케이스(10)의 모든 외측면은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모든 외측면이 외부에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위치를 정렬하고, 회전 자유도를 제한하는 지그가 필요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지그 유니트는 중간면을 지지하는 중간 지그(3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중간 지그(350)는 앞에서 설명된 제1 지그와 제2 지그의 기능을 겸하기 위해 관통 돌기(351), 연결 홈(35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간 지그(350)의 제1 면에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단말기 케이스(10)를 관통하는 관통 돌기(351)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관통 돌기(351)가 단수로 마련되면, 앞에서 살펴본 관통 지그(320)에서와 같이 단말기 케이스(10)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하기 어렵다. 그러나, 중간 지그(350)의 제1 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단말기 케이스(10)를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 돌기(351)가 마련되면 단말기 케이스(10)의 회전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중간 지그(350)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 가공면 또는 보호면에 대면 설치되는 것만으로, 제1 지그와 제2 지그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지그(350)를 나타낸 평면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중간 지그(35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살펴보면, 제1 면에 복수의 관통 돌기(351)가 마련되고 있다. 이때의 관통 돌기(351)는 단말기 케이스(10)에 형성된 복수의 관통 홀에 각각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위치를 정렬하기 위해 관통 돌기(351)의 돌출 길이는 단말기 케이스(10)의 두께보다 길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단말기 케이스(10)를 관통한 관통 돌기(351)는 단말기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렇게 단말기 케이스(10)로부터 돌출된 관통 돌기(351)의 단부는 다른 중간 지그(350)에 끼워질 수 있다. 그리고, 다른 중간 지그(350)에 마련된 관통 돌기(351)는 또다른 중간 지그(350)에 끼워지고, 이런 식으로 반복되면 각 중간 지그(350)의 사이에 개재되는 단말기 케이스(10)는 평면 위치가 정렬되며, 회전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다른 중간 지그(350)의 관통 돌기(351)가 끼워지도록 중간 지그(350)의 제2 면에는 홈 형상의 연결 홈(352)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평면 위치의 정렬을 위해 관통 돌기(351)와 연결 홈(352)은 평면상으로 동일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홈(352)에는 다른 중간 지그(350)의 관통 돌기(351)가 삽입될 수 있다.
중간 지그(350)에서 단말기 케이스(10)에 대면 접촉되는 제1 면 및 제2 면 중 적어도 하나에는 댐핑부(355, 357)가 마련될 수 있다. 댐핑부(355, 357)는 고무 등의 탄성 재질을 포함함으로써, 중간 지그(350)와의 충돌이나 마찰에 의한 단말기 케이스(10)의 훼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그(350)에는 제1 방향을 따라 흘러내리는 유체가 통과하는 배수 홀(359)이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사포를 이용한 연마 과정에서 연마 장치는 파티클의 제거를 위해 단말기 케이스(10)에 세척액을 뿌릴 수 있다. 이때의 세척액은 배수 홀(359)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지그(350)의 가장자리에는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 턱(353)이 마련될 수 있다. 해당 걸림 턱(353)은 단말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 꽉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걸림 턱(353)에 의하면 중간 지그(350)에 지지된 단말기 케이스(10)와 중간 지그(350) 간의 상대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지그 유니트는 중간 지그(350) 및 연결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지그(350)는 제1 방향 상으로 서로 이격된 제1 위치와 제2 위치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중간 지그(350)는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 방향을 따라 단말기 케이스(10)를 적층할 수 있다.
연결 지그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에 배치되는 지그로, 중간 지그(350) 또는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연결 지그에는 연결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연결부는 제1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 O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수단에 연결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위치(도 10의 상측)에는 제1 연결 지그(360)가 마련되고, 제2 위치(도 10의 하측)에는 제2 연결 지그(37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연결 지그(360)에 마련된 제1 연결부(368)는 회전 수단에 마련된 가압부(213)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제2 연결 지그(370)에 마련된 제2 연결부(376)는 회전 수단에 마련된 회전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13은 제2 연결 지그(370)의 저면 사시도이다.
일예로, 회전부(210)에 제1 방향으로 돌출된 2개의 설치 돌기(211)가 마련된다면, 제2 연결부(376)는 위 설치 돌기가 삽입되는 2개의 홈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중간 지그(350)는 자력을 이용해서 단말기 케이스(10)의 평면 위치를 정렬하고, 단말기 케이스(10)의 회전 자유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를 구성하는 다른 중간 지그(3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단말기 케이스(10)가 자석의 자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 비자성체인 경우, 중간 지그(350)에서 평면상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는 복수의 영구 자석(354)이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중간 지그(350)가 제1 방향으로 적층되면, 서로 이웃한 복수의 중간 지그(350)는 복수의 영구 자석(354)에 의해 평면 위치가 정렬되고, 회전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중간 지그(350)의 사이에 단말기 케이스(10)가 개재되면 단말기 케이스(10) 역시 중간 지그(350)와 마찬가지로 평면 위치가 정렬되고, 회전 자유도가 제한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지그 장치가 적용된 케이스 연마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케이스 연마 장치는 챔버(400), 샌딩 유니트, 지지 유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챔버(400)는 샌딩 유니트 및 지지 유니트가 수용되는 공간이 마련되며, 챔버(400) 외부의 파티클이 챔버(400) 내부로 유입되거나, 챔버(400) 내부의 파티클이 챔버(400)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샌딩 유니트에는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에는 연마부(90)가 착탈되는 이동 부재(19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동 부재(190)는 제1 모듈(110)에 의해 제1 방향(z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은 제2 모듈(120)에 의해 제2 방향(x축)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모듈(110)에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이동 부재(19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1 가이드부(111), 제1 캠부(113), 제1 캠부(113)와 이동 부재(190)를 연결하는 제1 연결축(115)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모듈(110)에는 제1 가이드부, 제1 캠부가 지지되는 제1 지지부(117)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캠부(113)가 회전하면, 제1 연결축(115)에 연결된 이동 부재(190)는 제1 가이드부(111)를 따라 제1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2 모듈(120)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지지부(117)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2 가이드부(미도시), 제2 캠부(123), 제2 캠부(123)와 제1 지지부(117)를 연결하는 제2 연결축(125), 제2 가이드부와 제2 캠부가 지지되는 제2 지지부(127)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캠부(123)가 회전하면, 제2 연결축(125)에 연결된 제1 지지부(117)는 제2 가이드부를 따라 제2 방향으로 왕복 운동할 수 있다.
제2 모듈(120)을 구성하는 제2 지지부(127)는 챔버(40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샌딩 유니트에 설치된 이동 부재(190)는 제3 방향(y축)으로 일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 유니트(200)에는 챔버(400)에 마련된 제3 가이드부(233)에 의해 이동이 가이드되는 이동부(230), 이동부(230) 상에 설치되고 제1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회전부(21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동부(230)에는 챔버(400)에 설치되고 제3 방향(y축)을 따라 연장되는 제3 가이드부(233), 제3 가이드부(233)를 따라 제3 방향으로 이동하는 몸체부(231)가 마련될 수 있다.
회전부(210)는 자체적으로 제1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는 회전 자유도를 가지며, 제3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몸체부(231)에 의해 y축 자유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회전부(210)에는 지그 유니트의 하단에 배치된 제2 연결 지그(370)의 제2 연결부(376)에 착탈되는 설치 돌기(211)가 마련될 수 있다.
지지 유니트(200)에는 지그 유니트의 상단에 배치된 제1 연결 지그(360)의 제1 연결부(368)에 착탈되고, 제1 방향으로 지그 유니트를 가압하는 가압부(213)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가압부(213)는 에어 실린더 등의 액추에이터(215)에 의해 제1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가압부(213)는 지그 유니트가 회전부(210)에 장착되면 아래로 하강해서 지그 유니트를 가압할 수 있다. 가압부(213)에 의해 지그 유니트가 지지 유니트(200)에 고정되면, 회전부(210)와 이동부(230)가 동작하고, 지그 유니트에 마련된 단말기 케이스(10)(10)의 측면이 연마부(90)에 의해 연마될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10)의 연마가 완료되면 이동부(230)는 단말기 케이스(10)(10)가 연마부(90)로부터 떨어지는 거리까지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가압부(213)는 위로 상승해서 지그 유니트에 인가된 압력을 해제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회전부(210)로부터 지그 유니트를 떼어내고, 연마가 요구되는 단말기 케이스(10)(10)가 수용된 다른 지그 유니트를 회전부(210)에 장착할 수 있다. 지그 유니트의 교체가 완료되면, 다시 가압부(213), 회전부(210), 이동부(230)가 동작하여 새로운 단말기 케이스(10)(10)에 대한 연마 작업이 다시 수행될 수 있다.
연마부(90)에 의해 연마가 이루어지면, 연마부(90) 또는 단말기 케이스(10)(10)로부터 박리된 파티클이 발생되는데 이때의 파티클이 단말기 케이스(10)(10)에 붙으면 곤란하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케이스 연마 장치에는 연마부(90) 또는 단말기 케이스(10)(10)의 가공면을 향해 세척액을 뿌리는 세척 유니트(500)가 마련될 수 있다.
샌딩 유니트(100) 및 세척 유니트(500)는 파티클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기 위해 단말기 케이스(10)(10)의 연마 과정뿐만 아니라, 지그 유니트의 교체 과정에서도 지속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 가공면이 노출되도록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 1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6에 도시된 지그 장치는 단말기 케이스(10)의 특정면, 구체적으로 보호면을 덮는 제3 지그(3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제3 지그(310)에서 특정면에 대면하는 면의 반대면에는 다른 부재에 착탈되는 제1 착탈부(317, 318, 319)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의 다른 부재는 제3 지그(310)를 지지하는 프레임(490), 손잡이(4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착탈부에 의해 제3 지그(310)가 다른 부재에 장착되면, 보호면의 반대면인 중간 가공면은 외부에 노출되고, 연마 장치 등에 의해 가공될 수 있다.
제1 착탈부가 착탈되는 다른 부재에는 제1 착탈부에 착탈되는 착탈 수단이 포함될 수 있다.
제1 착탈부와 착탈 수단 간의 착탈 방식은 다양할 수 있다.
일예로, 제1 착탈부는 다른 부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착탈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다른 부재에 마련된 착탈 수단은 위 착탈 돌기가 삽입되는 착탈 홈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이와 반대로, 제1 착탈부가 착탈 홈을 포함하고, 착탈 수단이 착탈 돌기를 포함해도 무방하다.
제3 지그(310)는 직사각형 등과 같이 상하 대칭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제3 지그(310)를 다른 부재에 장착할 때 정자세로 장착하거나 반대 자세로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단말기 케이스(10)의 관통 홀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위로 치우친 제3 지그(310)의 자세가 정자세일 때, 반대 자세는 제3 지그(310)가 제1 방향을 축으로 180도 회전한 자세로 삽입 돌기가 아래로 치우친 자세일 수 있다.
단말기 케이스(10)의 가공시 모든 단말기 케이스(10)의 자세는 일정한 것이 유리하므로, 제3 지그(310)는 특정 자세, 예를 들어 정자세로만 다른 부재에 장착되는 것이 좋다.
특정 자세로만 다른 부재에 장착되도록, 제1 착탈부는 평면상으로 제3 지그(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비대칭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비대칭적'의 의미는 특정 자세의 제3 지그(310)를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켰을 때, 회전 과정에서 특정 자세의 제1 착탈부 형상과 동일한 형상이 나타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제1 착탈부가 착탈되는 다른 부재의 착탈 수단 역시 평면상으로 제1 착탈부와 동일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비대칭적 형상의 제1 착탈부는 오로지 정자세에서만 해당 착탈 수단에 장착될 수 있다.
일예로,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제3 지그(310)를 지지하는 판 형상의 프레임(49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레임(490)에는 제1 착탈부에 착탈되는 제2 착탈부(410, 42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때, 제1 착탈부는 프레임(490)을 향해 돌출된 제1 착탈 돌기(319) 및 제2 착탈 돌기(317)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착탈 돌기(319)와 제2 착탈 돌기(317)는 서로 다른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제1 착탈 돌기(319)의 평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으며, 제2 착탈 돌기(317)의 평면 형상은 선형 또는 직사각형일 수 있다.
그리고, 제2 착탈부는 제1 착탈 돌기(319)만 삽입되는 제1 착탈 홈(410)과 제2 착탈 돌기(317)만 삽입되는 제2 착탈 홈(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지그(310)는 오로지 제1 착탈 홈(410)에 제1 착탈 돌기(319)가 배치되고, 제2 착탈 홈(420)에 제2 착탈 돌기(317)가 배치되는 자세로만 프레임(490)에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490)의 면적은 복수의 제3 지그(310)가 배치될 정도로 클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490)에는 제2 착탈부가 열과 행을 맞춰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제3 지그(310)는 도 1과 같이 프레임(490) 상에 행과 열을 맞춰 장착될 수 있다.
프레임(490)과 제3 지그(310)가 일체로 형성된 비교 실시예에 따르면, 도 1과 같이 관통 지그에 지지된 단말기 케이스(10)를 덮기가 어렵다. 또한, 단말기 케이스(10)의 종류가 바뀌면, 바뀐 단말기 케이스(10)에 대응되는 종류의 제3 지그(310)가 필요하다. 그러나, 프레임(490)과 제3 지그(310)가 일체로 형성되면 제3 지그(310) 뿐만 아니라 프레임(490)도 교체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지그 장치에 따르면, 프레임(490)은 그대로 두고 제3 지그(310)만 다른 종류로 교체하면 되므로 자원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이를 위해 제3 지그(310)는 복수 종류로 마련되고, 제3 지그(310)에 마련된 제1 착탈부는 제3 지그(310)의 종류와 상관없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왜냐하면, 프레임(490)에 마련된 제2 착탈부는 변함없이 일정하기 때문이다.
도 1과 같이 프레임(490)이 마련되면, 사용자는 먼저 프레임(490)의 제2 착탈부에 제3 지그(310)를 장착할 수 있다. 견고한 장착이 요구될 경우 제3 지그(310)에 마련된 나사 홀(316)을 통해 제3 지그(310)를 프레임(490)에 나사 결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레임(490)에도 나사 홀(430)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른 제3 지그(310)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이다.
도 17에 도시된 제3 지그(310)는 앞의 도 1 등에서 설명된 제3 지그(310)와 다르게 제1 착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의 제1 착탈부는 서로 다른 부재에 마련된 착탈 수단에 호환될 수 있다.
일예로, 제1 착탈부에는 제3 착탈 돌기(318)가 마련될 수 있다. 제3 착탈 돌기(318)는 제1 부재에 마련된 착탈 수단 및 제2 부재에 마련된 착탈 수단에 모두 착탈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제3 착탈 돌기(318)는 도 16의 프레임(490)에 마련된 제2 착탈 홈(420)에 착탈되는 요소로, 도 17에 도시된 손잡이(480)에도 착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그 장치는 제1 착탈부에 착탈되는 손잡이(4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손잡이(480)에는 제1 착탈부에 착탈되는 제3 착탈부(481)가 마련될 수 있다.
일예로, 제3 착탈부(481)는 제3 착탈 돌기(318)에 끼워지는 홈 또는 홀을 포함할 수 있다.
이렇게 손잡이(480)가 장착된 제3 지그(310)는 도 18과 같이 이용될 수 있다.
도 18은 손잡이(480)가 장착된 제3 지그(3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8에 도시된 지그 장치는 홀 지그를 포함할 수 있다.
홀 지그(590)에는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 가공면에 대면되는 수용 홀(510)이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홀 지그에 마련된 각 수용 홀에 단말기 케이스(10)를 끼울 수 있다. 아래에서 위로 분사되는 연마제를 이용해 단말기 케이스(10)의 중간 가공면이 연마되도록, 홀 지그는 중간 가공면이 아래를 향하도록 단말기 케이스(10)를 지지할 수 있다.
비록, 연마제가 아래에서 위를 향해 분사된다 하더라도, 연마제가 보호면으로 유입되면 곤란하므로, 연마제에 대해 보호면을 소위 마스킹 처리하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때의 마스킹 수단 또는 보호 수단으로 제3 지그(310)가 이용될 수 있다. 그런데, 단말기 케이스(10)의 보호면에 제3 지그(310)를 덮는 과정에서 판 형상의 제3 지그(310)를 집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제3 지그(310)에는 손잡이(480)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손잡이(480)는 제3 지그(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착탈될 수 있다. 손잡이(480)가 제3 지그(310)에 일체로 형성된 비교 실시예의 경우, 해당 제3 지그(310)는 홀 지그에서만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해당 제3 지그(310)는 손잡이(480)를 분리한 후 다시 앞의 프레임(490) 등에 적용될 수 있으므로 범용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1 착탈부가 마련된 제3 지그는 도 1의 관통 지그(320)가 마련된 지그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제1 착탈부가 마련된 제3 지그와 관통 지그를 포함하는 지그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위치에 배치된 단말기 케이스(10)에만 제3 지그(310)가 설치되고 있다. 따라서, 제1 착탈부가 제1 착탈 돌기(319) 등의 돌기를 포함하더라도 별다른 무리없이 제3 지그(310)는 단말기 케이스(10)를 덮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단말기 케이스 20...메탈 영역
30...수지 영역 31...카메라 홀
33...조명 홀 35...스피커 홀
90...연마부 110...제1 모듈
111...제1 가이드부 113...제1 캠부
115...제1 연결축 117...제1 지지부
120...제1 모듈 121...제2 가이드부
123...제2 캠부 125...제2 연결축
127...제2 지지부 190...이동 부재
210...회전부 211...설치 돌기
213...가압부 215...액추에이터
230...이동부 231...몸체부
233...제3 가이드부 310...제3 지그
311...삽입 돌기 313...지그 홀
316, 430...나사 홀 317...제2 착탈 돌기
318...제3 착탈 돌기 319...제1 착탈 돌기
320...관통 지그 321...스토퍼
330...제1 수용 지그 331...제1 수용 홈
333...제1 삽입 홈 340...제2 수용 지그
341...제2 수용 홈 343...제2 삽입 홈
345...제3 삽입 홈 350...중간 지그
351...관통 돌기 352...연결 홈
353...걸림 턱 354...영구 자석
355, 357...댐핑부 359...배수 홀
360...제1 연결 지그 368...제1 연결부
370...제2 연결 지그 376...제2 연결부
400...챔버 410...제1 착탈 홈
420...제2 착탈 홈 480...손잡이
481...제3 착탈부 490...프레임
500...세척 유니트 510...수용 홀
590...홀 지그

Claims (6)

  1. 제1 방향을 따라 복수의 단말기 케이스가 적층될 때,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특정면을 덮는 제3 지그;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복수로 적층된 각 단말기 케이스에 형성된 관통 홀을 관통하는 관통 지그;
    상기 관통 지그에 지지된 복수의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삽입되는 수용 홈이 마련된 수용 지그;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지그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관통 홀에 삽입되는 삽입 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삽입 돌기에는 상기 관통 지그가 관통하는 지그 홀이 마련되고,
    상기 삽입 돌기는 상기 관통 지그가 관통하는 상기 단말기의 케이스의 관통 홀을 대신해서 상기 관통 지그에 접촉되고,
    상기 제1 방향 상으로 상기 수용 홈의 단부에는 복수의 상기 단말기 케이스를 관통한 상기 관통 지그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 홈이 마련되며,
    상기 관통 지그와 함께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수용 홈의 내벽으로 인해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자유도가 제한되고,
    상기 관통 지그와 함께 상기 수용 홈에 수용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측면 중 하나는 상기 수용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상기 수용 홈의 입구를 통해 외부에 노출된 상기 단말기 케이스의 외측면 중 하나는 연마 장치의 연마 대상이 되는 지그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 지그로부터 상기 단말기 케이스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관통 지그의 일단에 착탈되는 스토퍼;를 포함하고,
    상기 단말기 케이스는 상기 제3 지그에 덮이는 상기 특정면이 상기 스토퍼에 대면되는 방향으로 상기 관통 지그에 끼워지는 지그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095118A 2015-07-03 2015-07-03 중첩 지그 장치 KR101849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8A KR101849654B1 (ko) 2015-07-03 2015-07-03 중첩 지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5118A KR101849654B1 (ko) 2015-07-03 2015-07-03 중첩 지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75A KR20170004575A (ko) 2017-01-11
KR101849654B1 true KR101849654B1 (ko) 2018-04-18

Family

ID=57833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5118A KR101849654B1 (ko) 2015-07-03 2015-07-03 중첩 지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5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88B1 (ko) * 2005-04-07 2006-09-07 원상용 휴대폰 케이스의 후처리용 지그체 구조
JP2008307612A (ja) * 2007-06-12 2008-12-25 Konica Minolta Opto Inc 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及び磁気記録媒体
KR101453666B1 (ko) * 2013-04-12 2014-10-23 김태형 에지 그라인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2793B1 (ko) 2012-05-31 2013-12-19 윤국영 휴대폰 테두리에 부가 장착되는 금속성 휴대폰 케이스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0388B1 (ko) * 2005-04-07 2006-09-07 원상용 휴대폰 케이스의 후처리용 지그체 구조
JP2008307612A (ja) * 2007-06-12 2008-12-25 Konica Minolta Opto Inc 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の製造方法、情報記録媒体用ガラス基板及び磁気記録媒体
KR101453666B1 (ko) * 2013-04-12 2014-10-23 김태형 에지 그라인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4575A (ko) 2017-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85108B2 (en) Film adhering mechanism
EP2781987B1 (en) Casing of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TWI491449B (zh) Painting and shielding fixture and painting method
US20100314147A1 (en) Power tool
KR101785583B1 (ko) 형상 가공 지그 장치
EP0929209A2 (en) Method of supporting printed circuitboard and method of mounting electric components
KR101849654B1 (ko) 중첩 지그 장치
KR101892521B1 (ko) 방향 전환 지그 장치
TW202236501A (zh) 工作夾台組合件
CN108231633A (zh) 用于引线框架的蚀刻保护治具及引线框架的蚀刻方法
KR20160047857A (ko) 웨이퍼 트레이, 웨이퍼 트레이 조립 지그 및 조립 방법
CN203367242U (zh) 蚀刻置具
CN212330374U (zh) 一种平面夹具
CN112654150B (zh) 电路板的制作方法及其所制成的电路板结构
CN210413588U (zh) 用于锣板切割的pcb板托盘
KR101251932B1 (ko) 캐리어 플레이트
KR101665629B1 (ko) 모바일 기기 카메라 부품의 코팅 지그
CN109746718B (zh) 一种用于固定待加工器件的加工治具
KR100897306B1 (ko) 인쇄회로기판용 진공흡착 툴링 블록
JP2007044830A (ja) シート基板保持治具
CN217591248U (zh) 镀膜夹具
CN113084704B (zh) 抛光治具以及抛光装置
KR20140121998A (ko) 보호테이프캐리어와 보호테이프 부착용 지그
CN219246661U (zh) 晶圆碎片调试夹具
CN212601302U (zh) 一种喷砂遮蔽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