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168B1 - 금속 열처리장치 - Google Patents

금속 열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168B1
KR101848168B1 KR1020160150595A KR20160150595A KR101848168B1 KR 101848168 B1 KR101848168 B1 KR 101848168B1 KR 1020160150595 A KR1020160150595 A KR 1020160150595A KR 20160150595 A KR20160150595 A KR 20160150595A KR 101848168 B1 KR101848168 B1 KR 1018481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heating
metal plate
contac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창영
Original Assignee
오창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창영 filed Critical 오창영
Priority to KR1020160150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1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2Roll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56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in a horizontal straight p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0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of multiple-track type; of multiple-chamber type; Combinations of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3005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30Details, accessories, or equipment peculiar to furnaces of these types
    • F27B9/40Arrangements of controlling or monitor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2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with special arrangements for preheating or cooling the charge
    • F27B2009/124Coo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처리를 위한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및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가열수단으로 유입시키거나 가열된 금속판재를 상기 냉각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접촉모에 의해 금속판재와 점접촉시킴에 따라,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판재를 가열시킴은 물론, 용체화된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이송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냉각 시, 금속판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금속 열처리장치{Cooling apparatus for heat treatment of metals}
본 발명은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열처리를 위한 가열과 냉각 과정을 거치되, 가열에 의해 용체화된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되도록 이송시켜 수명을 연장시키고, 이송된 금속판재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냉각시켜 제품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열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처리는 가열이나 냉각 등의 조작을 적당한 속도로 하여 그 재료의 특성을 개량하는 조작으로 온도에 의해서 존재하는 상의 종류나 배합이 변하는 재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열처리 재료 중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합금은 가볍고(비중 2.7) 내식성이 좋으며, 재질에 따라 철강에 버금가는 고강도의 금속으로 자동차, 항공기, 전기전자생산설비 등의 산업전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LCD, PDP 등의 디스플레이가 대형화됨에 따라 이를 생산하는 설비에 다량으로 사용되는 알루미늄판도보다 크고 두께가 두꺼운 판형상과 고강도의 기계적성질이 요구되고 있다.
열처리형 알루미늄 합금판은 철강과 달리, 가열후 급랭하는 용체화처리 후 목표강도의 60~70%로 나타나며, 저온에서 적정시간을 유지하는 시효처리를 거쳐야 목표강도로 올라가는 특성이 있다.
종래 열처리장치는 등록번호 제10-1033956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용체화로(이하, "가열수단"이라 함.)와 담금질장치(이하, "냉각수단"이라 함.)이 구성되되,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된 금속판재를 냉각수단으로 이송 후, 엘리베이터에 의해 냉각탱크부로 하강시켜 냉각시키고 있다.
이러한 종래 열처리장치는 이송시, 외부 공기와 접촉되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가열수단과 냉각수단의 간격을 최소화시켰으며, 제1롤러 컨베이어와 제2롤러 컨베이어에 의해 금속판재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열처리장치의 제1롤러 컨베이어와 제2롤러 컨베이어는 복수의 롤러가 배열되는 것으로, 각 롤러는 금속판재와의 선접촉하되, 외주를 따라 롤링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금속판재가 가열수단에서 가열될 경우, 용체화 처리되어 표면 일부가 각 롤러의 외주면에 붙게 되고, 이를 반복할 경우, 롤러의 표면이 손상됨은 물론, 금속판재의 표면 역시, 파손되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은 롤러의 교체주기를 앞당겨 모든 공정을 정지시키는 주기를 앞당기는 것으로, 생산성을 저하시킴이 당연하며, 금속판재 역시, 표면이 파손되어 불량율을 증가시킴에 따라,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또한 엘리베이터에 의해 냉각탱크부로 하강시켜 금속판재를 냉각시킬 경우, 급극한 온도차에 의해 표면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으로, 금속판재의 두께가 비교적 얇거나 특히 알루미늄일 경우, 그 변형이 더욱 증가되어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금속판재를 열처리하되, 용체화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이송시킴은 물론, 금속판재와 롤러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켜 손상을 최소화시키고, 냉각 시, 금속판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열처리를 위한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및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가열수단으로 유입시키거나 가열된 금속판재를 상기 냉각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여 금속판재를 가열시킴은 물론, 이송접촉모에 의해 용체화된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이송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냉각 시, 금속판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금속 열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열처리를 위한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및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가열수단으로 유입시키거나 가열된 금속판재를 상기 냉각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접촉모에 의해 금속판재와 점접촉시킴에 따라,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열수단은, 내부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된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로 열처리하고자 하는 금속판재를 유입시키기 위한 가열유입부,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열배출부, 및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챔버에 구비되어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가열공간부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가열공간부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출입팬, 상기 가열공간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공간부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와 출입팬을 제어하는 가열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에 거치된 금속판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금속판재를 상기 가열공간부에 위치시켜 가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승강프레임,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봉, 및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가열공간부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승강구동부에 의해 동시에 승강되고, 상기 승강봉은 각 쌍의 승강프레임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른 쌍들의 승강프레임에 구비된 동일 높이의 승강봉들과 함께 금속판재의 하측을 지지하며,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에 설치된 승강봉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금속판재를 한 번에 거치시켜 한 번에 가열시킨다.
그리고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가열챔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승강구동봉, 상기 승강구동봉과 상기 승강프레임을 연결하며, 상기 승강구동봉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권취 또는 풀리는 승강연결부, 및 상기 승강구동봉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모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봉은, 상기 가열챔버의 금속판재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승강구동봉, 및 상기 수평승강구동봉과 직교되도록 상기 가열챔버의 상단부 각 양측에 구비되는 한 쌍의 제2수평수승강구동봉,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승강구동봉의 회전력을 상기 각 제2수평승강구동봉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가 포함된다.
그리고 금속판재와 접촉되도록 복수의 승강접촉모를 갖고, 상기 승강봉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승강접촉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승강접촉유닛은, 상기 승강봉에 구비되는 승강접촉프레임, 및 상기 승강접촉프레임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판재와 접촉되는 승강접촉모,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력전달부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베벨기어, 웜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이다.
또한, 상기 냉각수단은, 내부에 냉각공간부가 형성된 냉각챔버,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로 냉각하고자 하는 금속판재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각유입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에서 냉각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배출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에 위치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복수의 냉각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냉각챔버로 유입시키거나 냉각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이송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는, 상기 냉각챔버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유입부 방향으로 구비되어 유입되는 용체화된 금속판재를 1차 냉각시키는 제1냉각부, 및 상기 냉각챔버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냉각배출부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기 제1냉각부를 거쳐 1차 냉각된 금속판재를 2차 냉각시키는 제2냉각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냉각부는 제2냉각부보다 높은 압력으로 냉각수를 분사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수저장부, 상기 냉각챔버에 구비되는 복수의 냉각노즐, 및 상기 냉각수저장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냉각노즐에 의해 냉각수는 미스트형태로 분사되며, 분사된 냉각수는 하측으로 떨어져 상기 냉각수저장부로 저수된다.
또한,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이송수단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 복수의 제1냉각노즐, 및 상기 냉각이송수단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복수의 제2냉각노즐,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이송수단에 의해 금속판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각 냉각노즐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각도조절부, 상기 냉각이송수단에 의해 금속판재의 이송속도를 측정하는 속도센서, 및 상기 속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도조절부를 제어하여 각 냉각노즐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노즐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공급부는, 상기 냉각수저장부와 각 노즐을 연결하는 냉각수공급관, 및 상기 냉각수공급관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펌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수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조절부는, 냉각수를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한 저온부,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구비되어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저수된 냉각수를 상기 저온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저온조절배출펌프, 상기 저온부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저온조절공급펌프, 및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저온조절배출펌프와 저온조절공급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기 위한 온도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수위조절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수위조절부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수탱크,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구비되어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 상기 냉각수저장부에 저수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탱크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위조절배출펌프, 상기 냉각수탱크에 저장된 냉각수를 상기 냉각수저장부로 이송시키기 위한 수위조절공급펌프, 및 상기 수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위조절배출펌프와 수위조절공급펌프를 제어하여 상기 냉각수저장부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수위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수단은, 금속판재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 복수 개 구비되는 이송봉, 상기 복수의 이송봉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연결부, 상기 복수의 이송봉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복수의 이송봉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 및 상기 금속판재와 접촉되도록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상기 이송봉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이송접촉유닛,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접촉유닛은, 상기 이송봉에 구비되는 접촉프레임, 및 상기 접촉프레임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판재와 접촉되는 이송접촉모,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접촉프레임은, 상기 이송봉의 외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다.
그리고 상기 접촉프레임은, 일단부를 따라 고정턱,이 돌출형성되고, 타단부는 상기 고정턱에 대응되도록 고정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송봉에 감길 경우, 일단부의 고정턱이 타단부의 고정홈에 안착되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접촉프레임은, 링형상으로, 상기 이송봉에 끼워진다.
그리고 상기 접촉프레임은, 링형상으로, 상기 이송봉에 끼워지기 위한 제1접촉프레임, 및 링형상으로, 상기 제1접촉프레임의 외측으로 고정되고, 외주를 따라 상기 이송접촉모가 설치되는 제2접촉프레임,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접촉프레임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제1설치턱이 각각 돌출되고, 상기 제2접촉프레임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상기 제1접촉프레임의 각 제1설치턱 사이에 거치된 후, 접합된다.
그리고 이송접촉장치는, 상기 이송봉에 복수 개 구비되되, 인접한 다른 접촉프레임과 밀착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이송접촉장치는, 상기 이송봉에 복수 개 구비되되, 상호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위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촉프레임은, 프레임고정부에 의해 상기 이송봉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고정부는, 상기 이송봉의 일단부에 구비되는 제1고정부, 상기 이송봉에 위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에 걸려진 하나 이상의 접촉프레임을 고정시키도록 상기 이송봉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고정부를 이송봉에 고정시키기 위한 프레임고정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접촉프레임을 이송봉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이송고정키,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고정키는, 상기 이송롤러에 형성되는 고정키홈, 및 상기 고정키홈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링에 돌출형성되는 고정키돌기,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이송고정키는, 상기 이송롤러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제1고정키면, 및 상기 제1고정키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촉링에 형성되는 제2고정키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이송접촉모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다수 회 굴곡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송연결부는, 스프라켓과 연결체인 또는 복수의 연결기어 또는 풀리와 연결벨트 중 어느 하나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금속 열처리장치에 의하면, 금속판재를 가열시킴은 물론, 용체화된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이송시킬 수 있어 수명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냉각 시, 금속판재의 변형을 최소화시킬 수 있어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열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가 더 구비된 열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접촉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고정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고정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금속 열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가열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가 더 구비된 열처리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각수단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수단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접촉유닛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고정키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고정키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 열처리장치(10)는 가열수단(100)과 냉각수단(200) 및 이송수단(500)을 포함한다.
가열수단(100)은 열처리를 위한 금속판재(1)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금속판재(1)를 가열하여 용체화시킨다.
그리고 냉각수단(200)은 가열수단(100)에서 가열된 금속판재(1)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용체화된 금속판재(1)를 냉각시킨다.
이송수단(500)은 복수의 이송접촉모(560)를 갖고, 금속판재(1)를 가열수단(100)으로 유입시키거나 가열된 금속판재(1)를 냉각수단(200)으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금속 열처리장치(10)는 이송수단(500)의 이송접촉모(560)에 의해 금속판재(1)와 점접촉시킴에 따라, 금속판재(1)의 손상을 최소화시킨다.
또한, 용체화된 금속판재(1)가 이송접촉모(560)의 단부에만 접촉되어 이송봉(510)과의 선접촉 또는 면접촉되지 않아 이송봉(510)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열수단(100)은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가열챔버(110)와 가열유입부(120), 가열배출부(130) 및 가열부(300)를 포함한다.
가열챔버(110)는 내부에 가열공간부(112)가 형성되고, 가열유입부(120)는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로 열처리하고자 하는 금속판재(1)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가열배출부(130)는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에서 가열된 금속판재(1)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가열부(300)는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를 가열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를 위한, 가열부(300)는 히터(310)와 출입팬(320), 온도센서(330) 및 가열제어부(340)를 포함한다.
히터(310)는 가열챔버(110)에 구비되어 금속판재(1)를 가열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그리고 출입팬(320)은 가열공간부(110)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가열공간부(110)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온도센서(330)는 가열공간부(110)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되고, 가열제어부(340)는 온도센서(330)의 신호를 수신하여 가열공간부(110)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도록 히터(310)와 출입팬(320)을 제어한다.
또한 이송수단(500)에 거치된 금속판재(1)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600)가 더 포함되고, 승강부(600)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금속판재(1)를 가열공간부(112)에 위치시켜 가열시킨다.
이러한 승강부(6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프레임(610)과 승강봉(620), 승강구동부(630)로 구성된다.
승강프레임(610)은 한 쌍으로,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이격된된다.
그리고 승강봉(620)은 한 쌍의 승강프레임(610)에 구비되며, 승강구동부(630)는 한 쌍의 승강프레임(610)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한 쌍의 승강프레임(610)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가열공간부(112)를 따라 복수 개 구비되어 승강구동부(630)에 의해 동시에 승강된다.
또한 승강봉(620)은 각 쌍의 승강프레임(610)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되되,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른 쌍들의 승강프레임에 구비된 동일 높이의 승강봉들과 함께 금속판재(1)의 하측을 지지한다.
이러한 한 쌍의 승강프레임(610)에 설치된 승강봉(620)의 개수에 따라, 복수의 금속판재(1)를 한 번에 거치시켜 한 번에 가열시킬 수 있어 열처리량과 열처리시간 단축에 의한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승강구동부(630)는 승강구동봉(640)과 승강연결부(632) 및 승강구동모터(634)로 구성된다.
승강구동봉(640)은 가열챔버(11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승강연결부(632)는 승강구동봉(640)과 승강프레임(610)을 연결하며, 승강구동봉(64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에 의해 권취 또는 풀린다.
승강구동모터(634)는 승강구동봉(640)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켜 승강프레임(610)을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승강구동봉(640)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승강구동봉(642)과 제2수평수승강구동봉(644)으로 구성된다.
수평승강구동봉(642)은 가열챔버(110)의 금속판재(1) 이송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제2수평수승강구동봉(644)은 한 쌍으로, 수평승강구동봉(642)과 직교되도록 가열챔버(110)의 상단부 각 양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승강구동봉(642)의 회전력을 각 제2수평승강구동봉(644)으로 전달하기 위한 회전력전달부(646)가 더 포함된다.
이 회전력전달부(646)는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달하도록 베벨기어, 웜기어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비되며, 회전력을 직교되는 방향으로 전달할 수 있는 구조라면 어떤 것이던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또한 금속판재(1)와 접촉되도록 복수의 승강접촉모(654)를 갖고, 승강봉(620)에 구비되어 금속판재(1)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승강접촉유닛(650),을 포함한다.
이 승강접촉유닛(650)은 승강접촉프레임(652)과 승강접촉모(654)로 구성된다.
승강접촉프레임(652)은 승강봉(620)에 구비되고, 승강접촉모(654)는 승강접촉프레임(652)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판재(1)와 접촉된다.
이러한 승강접촉유닛(650)은 승강봉(620)에 복수 개 구비되되, 상호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며, 승강봉(620)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거치된 금속판재(1)가 이송수단(500)의 이송봉(510) 높이와 동일하게 위치되면, 이송수단(500)에 의해 금속판재(1)가 용이하게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승강부(600)에 의해 거치된 다른 금속판재(1) 역시, 동일한 방법으로 순차적으로 이송된다.
또한 냉각수단(200)은 도 5에서 냉각챔버(210)와 냉각유입부(220), 냉각배출부(230), 냉각부(400) 및 냉각이송수단(700)으로 구성된다.
냉각챔버(210)는 내부에 냉각공간부(212)가 형성되고, 냉각유입부(220)는 냉각챔버(210)의 냉각공간부(212)로 냉각하고자 하는 금속판재(1)를 유입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냉각배출부(230)는 냉각챔버(210)의 냉각공간부(212)에서 냉각된 금속판재(1)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냉각부(400)는 냉각챔버(210)의 냉각공간부(212)에 위치된 금속판재(1)를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냉각이송수단(700)은 복수의 냉각이송접촉모(760)를 갖고, 금속판재(1)를 냉각챔버(210)로 유입시키거나 냉각된 금속판재(1)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냉각이송수단(700)은 후술되는 이송접촉유닛(54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이송접촉유닛(540)의 기술로 냉각이송수단(700)의 설명을 대신한다.
여기서, 냉각부(400)는 제1냉각부(402)와 제2냉각부(404)로 구성된다.
제1냉각부(402)는 냉각챔버(2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냉각유입부(220) 방향으로 구비되어 유입되는 용체화된 금속판재를 1차 냉각시킨다.
그리고 제2냉각부(404)는 냉각챔버(210)의 중간부를 기준으로, 냉각배출부(230) 방향으로 구비되어 제1냉각부(402)를 거쳐 1차 냉각된 금속판재를 2차 냉각시킨다.
이러한 제1냉각부(402)는 제2냉각부(404)보다 높은 압력으로 냉각수를 분사한다.
이에, 가열수단(100)에 의해 용체화된 금속판재(1)를 단계별로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냉각부(400)는 냉각수저장부(410)와 냉각노즐(420) 및 냉각수공급부(430)를 포함한다.
냉각수저장부(410)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냉각노즐(420)은 냉각챔버(210)에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냉각수공급부(430)는 냉각수저장부(410)의 냉각수를 냉각노즐(420)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각 냉각노즐(420)에 의해 분사되는 냉각수는 미스트형태로 분사되며, 분사된 냉각수는 하측으로 떨어져 냉각수저장부(410)로 저수된다.
이러한 냉각노즐(420)은 제1냉각노즐(422)과 제2냉각노즐(424)로 구성된다.
제1냉각노즐(422)은 냉각이송수단(700)을 기준으로, 상측에 복수 개 위치되고, 제2냉각노즐(424)은 냉각이송수단(700)을 기준으로, 하측에 복수 개 위치된다.
이와 같은, 냉각노즐(420)은 냉각이송수단(700)에 의해 금속판재(1)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냉각부(400)는 각도조절부(440)와 속도센서(450) 및 노즐제어부(460)를 더 포함한다.
각도조절부(440)는 각 냉각노즐(420)의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되고, 속도센서(450)는 냉각이송수단(700)에 의해 금속판재(1)의 이송속도를 측정한다.
또한 노즐제어부(460)는 속도센서(450)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도조절부(440)를 제어하여 각 냉각노즐(420)의 분사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냉각부(200)로 이송되는 금속판재(1)의 이송속도에 따라 미스트(mist)형태의 냉각수의 분사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그리고 냉각수공급부(430)는 냉각수공급관(432)과 공급펌프(434)로 구성된다.
냉각수공급관(432)은 냉각수저장부(410)와 각 냉각노즐(420)을 연결하고, 공급펌프(434)는 냉각수공급관(432)을 통해 냉각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냉각수저장부(41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수조절부(480)가 더 포함된다.
이 냉각수조절부(480)는 저온부(481)와 온도센서(482), 저온조절배출펌프(483), 저온조절공급펌프(484) 및 온도제어부(485)로 구성된다.
저온부(481)는 냉각수를 저온으로 냉각시키기 위해 구비되며, 공조장치의 냉매를 이용하여 냉각수를 저온으로 냉각시킨다.
그리고 온도센서(482)는 냉각수저장부(410)에 구비되어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저온조절배출펌프(483)는 냉각수저장부(410)에 저수된 냉각수를 저온부(481)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되고, 저온조절공급펌프(484)는 저온부(481)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저장부(41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온도제어부(485)는 온도센서(482)의 신호를 수신하여 저온조절배출펌프(483)와 저온조절공급펌프(484)를 제어하여 냉각수저장부(410)에 저장된 냉각수의 온도를 저온으로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냉각수저장부(410)에 저장된 냉각수의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냉각수조절부(470)가 더 포함된다.
이 냉각수조절부(470)는 냉각수탱크(471)와 수위센서(472), 조절배출펌프(473), 조절공급펌프(474) 및 수위제어부(475)로 구성된다.
냉각수탱크(471)는 냉각수가 저장되고, 수위센서(472)는 냉각수저장부(410)에 구비되어 수위를 측정한다.
그리고 조절배출펌프(473)는 냉각수저장부(410)에 저수된 냉각수를 냉각수탱크(471)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조절공급펌프(474)는 냉각수탱크(471)에 저장된 냉각수를 냉각수저장부(41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수위제어부(475)는 수위센서(472)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절배출펌프(473)와 조절공급펌프(474)를 제어하여 냉각수저장부(410)의 수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수단(500)은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봉(510)과 이송연결부(520), 이송구동부(530) 및 이송접촉유닛(540)을 포함한다.
이송봉(510)은 금속판재(1)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에 복수 개 구비된다.
그리고 이송연결부(520)는 복수의 이송봉(510)을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송구동부(530)는 이송연결부(520)에 의해 연결된 복수의 이송봉(510)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복수의 이송봉(510)을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이송접촉유닛(540)은 금속판재(1)와 접촉되도록 복수의 이송접촉모(560)를 갖고, 이송봉(51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금속판재(1)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이송수단(500)에 의하면, 금속판재(1)를 가열챔버(110)의 가열공간부(112)로 유입시킨 후, 하측을 지지하여 가열시키고, 가열된 금속판재(1)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때, 이송접촉유닛(540)의 이송접촉모(560)에 의해 용체화된 금속판재(1)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킨 상태로 지지 및 이송시킬 수 있어 금속판재(1)에 형성되는 자국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이에, 가열 시, 발생될 수 있는 불량율을 최소화시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송연결부(520)는 스프라켓과 연결체인 또는 복수의 연결기어 또는 풀리와 연결벨트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되어 이송구동부(530)의 회전력을 각 이송롤러(510)로 전달하여 금속판재(1)를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접촉유닛(540)은 접촉프레임(550)과 이송접촉모(560)로 구성된다.
접촉프레임(550)은 이송봉(510)에 구비되고, 이송접촉모(560)는 접촉프레임(550)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판재(1)와 접촉된다.
여기서, 이송접촉모(560)는 금속재질로 형성되되, 다수 회 굴곡 형성된다.
이에, 금속판재(1)의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함은 물론, 자국을 최소화하여 이송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접촉프레임(550)은 이송봉(510)의 외주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감긴다.
이 접촉프레임(550)은 한 번 이상 감기는 것으로, 상호 접하도록 밀착되어 감기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감기게 형성된다.
이러한 접촉프레임(550)은 탄성을 갖고, 고열에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제작되는 것으로, 일 실시 예로, 스프링강으로 제작된다.
그리고 접촉프레임(550)은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봉(510)에 위치된다.
여기서, 프레임고정부(580)는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 및 프레임고정부재(586)로 구성한다.
제1고정부(582)는 이송봉(510)의 일단부에 구비되고, 제2고정부(584)는 이송봉(510)에 위치되어 제1고정부(582)에 걸려진 하나 이상의 접촉프레임(550)을 고정시키도록 이송봉(5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고정부재(586)는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이송봉(510)에서 제2고정부(584)를 분리시킨 상태에서 이송접촉유닛(540)의 접촉프레임(550)을 이송봉(510)의 외주를 따라, 나선형으로 감되, 일단부가 제1고정부(582)에 접하도록 위치시킨다.
접촉프레임(550)을 다 감은 후,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의 타단부에 설치하되, 감겨진 접촉프레임(550)의 타단부를 일단부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프레임고정부재(586)를 이용하여 이송봉(510)에 고정시킨다.
이에, 이송봉(510)에 감긴 접촉프레임(550)이 풀려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접촉프레임(550)은 고정턱(592)과 고정홈(594)이 더 구비되어 감겨진 상태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고정턱(592)은 접촉프레임(550)의 일단부를 따라 돌출형성되고, 고정홈(594)은 고정턱(592)에 대응되도록 접촉프레임(550)의 타단부에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턱(592)과 고정홈(594)은 이송봉(510)에 감길 경우, 접촉프레임(550) 일단부의 고정턱(592)이 접촉프레임(550) 타단부의 고정홈(594)에 안착되어 쉽게 풀리는 것을 방지한다.
물론, 고정턱(592)과 고정홈(594)은 반대로 형성되거나 하나 이상 형성되어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550')은 링형상으로, 이송봉(510)에 끼워진다.
이러한 접촉프레임(550')을 갖는 이송접촉유닛(540')은 링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송봉(510)에 끼워지되,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된다.
복수 개 구비되는 이송접촉유닛(540')은 인접하는 다른 이송접촉유닛(540')과 접하도록 배열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접촉프레임(550')은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봉(510)에 위치된다.
여기서, 프레임고정부(580)는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 및 프레임고정부재(586)로 구성한다.
제1고정부(582)는 이송봉(51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2고정부(584)는 이송봉(510)에 위치되어 제1고정부(582)에 걸려진 하나 이상의 접촉프레임(550')을 고정시키도록 이송봉(5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고정부재(586)는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이송접촉유닛(540')의 접촉프레임(550')을 이송봉(510)에 하나 이상 끼운다.
그 후,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위치시켜 프레임고정부재(586)에 의해 이송봉(5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접촉프레임(550')을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이송고정키(570)를 포함한다.
이 이송고정키(570)는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로 구성된다.
고정키홈(572)은 이송봉(510)에 형성되고, 고정키돌기(574)는 고정키홈(572)에 대응되도록 접촉프레임(550')에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은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되어 금속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실시 예의 이송고정키(570')는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키면(572')은 이송봉(510)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고정키면(574')은 제1고정키면(572')에 대응되도록 접촉프레임(550')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은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되어 금속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또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또 다른 실시 예의 접촉프레임(550")은 제1접촉프레임(552")과 제2접촉프레임(554")으로 구성된다.
제1접촉프레임(552")은 링형상으로, 이송봉(510)에 끼워지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접촉프레임(554")은 링형상으로, 제1접촉프레임(552")의 외측으로 고정되고, 외주를 따라 이송접촉모(560")가 설치된다.
제1접촉프레임(552")의 양단부는 외측으로 제1설치턱(553")이 각각 돌출되고, 제2접촉프레임(554")은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접촉프레임(552")의 각 제1설치턱(553") 사이에 거치된 후, 접합된다.
여기서, 제1접촉프레임(552")과 제2접촉프레임(554")은 용접에 의해 접합됨이 바람직하며, 제2접촉프레임(554")을 제1접촉프레임(552")에 접합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느 것이던 사용 가능함이 당연하다.
이러한 이송접촉유닛(540")은 이송봉(510)에 하나 이상 구비되는 것으로, 복수 개 구비되는 이송접촉유닛(540")은 인접하는 다른 이송접촉유닛(540")과 접하도록 배열되거나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그리고 제1접촉프레임(552")은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봉(510)에 위치된다.
여기서, 프레임고정부(580)는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 및 프레임고정부재(586)로 구성한다.
제1고정부(582)는 이송봉(510)의 일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제2고정부(584)는 이송봉(510)에 위치되어 제1고정부(582)에 걸려진 하나 이상의 접촉프레임(550')을 고정시키도록 이송봉(510)의 타단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프레임고정부재(586)는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에 고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프레임고정부(580)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을 고정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에서 분리한 상태에서, 이송접촉유닛(540")을 이송봉(510)에 하나 이상 끼운다.
그 후, 제1고정부(582)와 제2고정부(584)를 이송봉(510)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위치시켜 프레임고정부재(586)에 의해 이송봉(510)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이송접촉유닛(540")을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시키기 위한 이송고정키(570)를 포함한다.
이 이송고정키(570)는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로 구성된다.
고정키홈(572)은 이송봉(510)에 형성되고, 고정키돌기(574)는 고정키홈(572)에 대응되도록 접촉프레임(550")에 돌출형성된다.
다시 말해, 고정키돌기(574)는 제1접촉프레임(552")에 형성된다.
이러한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은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되어 금속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고정키홈(572)과 고정키돌기(574)는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한편, 다른 실시 예의 이송고정키(570')는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으로 구성된다.
제1고정키면(572')은 이송봉(510)에 평평한 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외주의 일부에 형성된다.
그리고 제2고정키면(574')은 제1고정키면(572')에 대응되도록 접촉프레임(550")에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제2고정키면(574')은 제1접촉프레임(552")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에 의해 이송접촉유닛(540")은 이송봉(510)과 함께 회전되어 금속판재(1)를 이송시킬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제1고정키면(572')과 제2고정키면(574')은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고, 복수 개 형성될 수도 있음이 당연하다.
10 : 금속 열처리장치 100 : 가열수단
110 : 가열챔버 120 : 가열유입부
130 : 가열배출부 200 : 냉각수단
210 : 냉각챔버 220 : 냉각유입부
230 : 냉각배출부 300 : 가열부
400 : 냉각부 500 : 이송수단
510 : 이송롤러 520 : 이송연결부
530 : 이송구동부 540 : 이송접촉유닛
550 : 접촉프레임 560 : 이송접촉모
570, 570' : 이송고정키 600 : 승강부
700 : 냉각이송수단

Claims (10)

  1. 열처리를 위한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
    상기 가열수단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수단; 및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가열수단으로 유입시키거나 가열된 금속판재를 상기 냉각수단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가열수단은,
    내부에 가열공간부가 형성된 가열챔버;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로 열처리하고자 하는 금속판재를 유입시키기 위한 가열유입부;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서 가열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가열배출부; 및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를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부;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수단에 거치된 금속판재를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 구비되되, 일정 간격 이격된 한 쌍의 승강프레임;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에 구비되는 승강봉; 및
    상기 한 쌍의 승강프레임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에 의해 하나 이상의 금속판재를 상기 가열공간부에 위치시켜 가열시키고,
    상기 이송수단의 이송접촉모에 의해 금속판재와 점접촉시킴에 따라, 금속판재의 손상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2. 삭제
  3. 제1항에서, 상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챔버에 구비되어 금속판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
    상기 가열공간부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거나 가열공간부의 내부 공기를 배출시키기 위한 출입팬;
    상기 가열공간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가열공간부의 온도를 일정온도로 유지하도록 상기 히터와 출입팬을 제어하는 가열제어부;를 포함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단은,
    내부에 냉각공간부가 형성된 냉각챔버;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로 냉각하고자 하는 금속판재를 유입시키기 위한 냉각유입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에서 냉각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배출부;
    상기 냉각챔버의 냉각공간부에 위치된 금속판재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부; 및
    복수의 냉각이송접촉모를 갖고, 금속판재를 냉각챔버로 유입시키거나 냉각된 금속판재를 배출시키기 위한 냉각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부는,
    냉각수가 저장된 냉각수저장부;
    상기 냉각챔버에 구비되는 복수의 냉각노즐; 및
    상기 냉각수저장부의 냉각수를 상기 냉각노즐로 공급하기 위한 냉각수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각 냉각노즐에 의해 냉각수는 미스트형태로 분사되며, 분사된 냉각수는 하측으로 떨어져 상기 냉각수저장부로 저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이송수단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된 복수의 제1냉각노즐; 및
    상기 냉각이송수단을 기준으로, 하측에 위치된 복수의 제2냉각노즐;을 포함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노즐은,
    상기 냉각이송수단에 의해 금속판재가 이송되는 방향으로 일정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은,
    금속판재의 이송방향으로 배열되도록 가열챔버의 가열공간부에 복수 개 구비되는 이송롤러;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를 연결하여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이송연결부;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회전시켜 복수의 이송롤러를 동시에 이동시키기 위한 이송구동부; 및
    상기 금속판재와 접촉되도록 복수의 이송접촉모를 갖고, 상기 이송롤러 중 어느 하나 이상에 구비되어 금속판재와의 접촉면적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이송접촉부;를 포함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접촉부는,
    상기 이송롤러에 끼워지기 위한 접촉링;
    상기 접촉링에 복수 개 구비되어 금속판재와 접촉되는 이송접촉모; 및
    상기 접촉링을 해당 이송롤러와 함께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이송고정키;를 포함하는 금속 열처리장치.
KR1020160150595A 2016-11-11 2016-11-11 금속 열처리장치 KR1018481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595A KR101848168B1 (ko) 2016-11-11 2016-11-11 금속 열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595A KR101848168B1 (ko) 2016-11-11 2016-11-11 금속 열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168B1 true KR101848168B1 (ko) 2018-04-12

Family

ID=61969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595A KR101848168B1 (ko) 2016-11-11 2016-11-11 금속 열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16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458B1 (ko) 2018-08-28 2019-01-18 이재철 금속제품 열처리장치
WO2021153805A1 (ko) * 2020-01-28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성로
KR20220077199A (ko) * 2020-11-30 2022-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분사노즐에 의한 열처리 냉각성능 향상 장치
KR102613472B1 (ko) 2023-04-25 2023-12-14 (주)대성열처리 열처리 작업용 금속부재 공급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79B1 (ko) * 2007-06-28 2008-05-15 송호정 소음 및 진동방지용 고온 철강롤러
JP2011231360A (ja) * 2010-04-27 2011-11-17 Jfe Steel Corp 厚鋼板の誘導加熱方法
KR20120073521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냉각 방법
KR20140077249A (ko) * 2012-12-12 2014-06-2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대의 강판 평탄화 장치
KR101486906B1 (ko) * 2014-01-29 2015-02-04 주식회사 하이스텐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79B1 (ko) * 2007-06-28 2008-05-15 송호정 소음 및 진동방지용 고온 철강롤러
JP2011231360A (ja) * 2010-04-27 2011-11-17 Jfe Steel Corp 厚鋼板の誘導加熱方法
KR20120073521A (ko) * 2010-12-27 2012-07-05 주식회사 포스코 판재 냉각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판재 냉각 방법
KR20140077249A (ko) * 2012-12-12 2014-06-24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대의 강판 평탄화 장치
KR101486906B1 (ko) * 2014-01-29 2015-02-04 주식회사 하이스텐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0458B1 (ko) 2018-08-28 2019-01-18 이재철 금속제품 열처리장치
WO2021153805A1 (ko) * 2020-01-28 2021-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소성로
KR20220077199A (ko) * 2020-11-30 2022-06-09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분사노즐에 의한 열처리 냉각성능 향상 장치
KR102499088B1 (ko) * 2020-11-30 2023-02-15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회전분사노즐에 의한 열처리 냉각성능 향상 장치
KR102613472B1 (ko) 2023-04-25 2023-12-14 (주)대성열처리 열처리 작업용 금속부재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168B1 (ko) 금속 열처리장치
US8152935B2 (en) Vacuum carburization method and vacuum carburization apparatus
KR100755273B1 (ko) 라운드 바를 위한 연속 열처리 장치
KR101169709B1 (ko) 강관 열처리 장치
JP5579153B2 (ja) ガラス強化装置
KR20120082137A (ko) 고주파 열처리 장치
JP2014237886A (ja) 熱処理設備及び熱処理方法
CN112135917A (zh) 用于对金属带进行浸涂的方法
TWI441117B (zh) And a substrat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flat panel display
JP6776214B2 (ja) 熱処理装置
JP6691088B2 (ja) 熱処理装置
JP5571415B2 (ja) 連続熱処理装置
JP2011127187A (ja) 棒鋼の熱処理方法および急冷装置
JP6721466B2 (ja) 熱処理装置
KR101904611B1 (ko) 금속 열처리용 이송접촉유닛 및 이를 이용한 금속 열처리용 이송장치
KR200318436Y1 (ko) 피디피 페이스트막 소성용 연속소성로
JP5765684B2 (ja) 熱処理方法
KR101477261B1 (ko) 상부 이동형 강화유리 제조 장치
KR20110054854A (ko)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US11286535B2 (en) Heat treatment equipment and heat treatment method
CN111705207A (zh) 一种传送带用不锈钢带的热处理装置及热处理矫平方法
KR101661670B1 (ko) 열처리용 급속냉각장치
JP2854517B2 (ja) 円筒形プラスチック製品の熱処理装置
KR102639801B1 (ko) 판유리 제조 장치
JPH042687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