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6906B1 -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 Google Patents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6906B1
KR101486906B1 KR20140011753A KR20140011753A KR101486906B1 KR 101486906 B1 KR101486906 B1 KR 101486906B1 KR 20140011753 A KR20140011753 A KR 20140011753A KR 20140011753 A KR20140011753 A KR 20140011753A KR 101486906 B1 KR101486906 B1 KR 1014869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quenching
heating
gas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11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20140011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6906B1/ko
Priority to CN201580006489.6A priority patent/CN105940123B/zh
Priority to PCT/KR2015/000870 priority patent/WO201511578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69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69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62Quenching device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8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particular articles not mentioned below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s In General, Especially Conveying And Coo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에서 가열된 소재를 급랭시키는 급랭부와, 상기 급랭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서냉시키는 서냉부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와 가열부 그리고 급랭부 및 서냉부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는 열처리 후의 후처리 공정이 없으며, 가열 후 곧바로 급랭하기 때문에 소재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히, SSC13 고유의 광택이 유지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Continuance-complex-equipment for solution and surface-bright heat treatment of stainless casting}
본 발명은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소재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에서 가열된 소재를 급랭시키는 급랭부와, 상기 급랭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서냉시키는 서냉부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와 가열부 그리고 급랭부 및 서냉부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금속을 단련시키기 위해서는 열처리 공정이 필요하며, 고용화 처리는 강(鋼)의 합금 성분을 고용체로 용해하는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충분한 시간 동안 유지한 다음 급랭하여 합금 성분의 석출(析出)을 저해함으로써 상온에서 고용체의 조직을 얻는 열처리를 말한다.
일반적인 고용화 처리는 1150℃ 부근에서 가열해서 전기로에서 일정 시간을 두고 꺼내서 물에 급랭을 하고 있다.
이때, 표면이 산화하여 숏 브라스팅해서 산처리하고, 상태에 따라 2차 숏브라스팅, 산처리하는 공정이 이어진다.
숏 블라스트는 주조한 후 주물 표면에 붙어 있는 모래를 떨어내어 깨끗이 하는 장치로서, 숏 또는 그릿이라고 하는 금속 또는 비금속의 미세한 입자를 매분 약 2,000 회전의 고속으로 회전시켜 모래가 녹아 붙은 주물에 투사하면 원심력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주물 표면이 깨끗해진다.
숏 또는 그릿 대신 모래를 사용한 샌드블라스트(sand blast)보다 10분의 1정도의 시간으로 작업을 끝낼 수가 있다.
특히, 스테인리스강 고용화 열처리는(solution treatment of austenite stainless steel , -鋼 固溶化熱處理) 오스테나이트계(系) 스테인리스(SSC13 등)강이나 고(高) 망간강 등을 고용화 온도에서 수냉(水冷)하여 완전한 오스테나이트 조직을 얻기 위한 고용화 열처리를 말한다.
또한, 광휘 열처리(bright heat treatment)는 광택이 나는 강의 표면을 그대로 갖도록 강의 산화 탈탄을 방지하면서 하는 열처리를 총칭해서 하는 말이다.
광휘 열처리는 적당한 환원성 또는 중성 분위기로 내지 진공로 중에서 가열, 냉각해서 행한다.
여기에는 광휘 담금질, 광휘 풀림 등이 있다.
그리고 소둔(annealing , 燒鈍)은 뜨임이라고 하며, 철을 가열하여 서서히 냉각시켜 연하게 만드는 공법으로서, 입자가 미립화하여 조직이 치밀하고 인장강도, 항복점, 신율 등이 증가되는 공법이다.
이러한 광휘열처리 및 소둔법에 관한 종래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758488호(광휘소둔 시스템의 냉각 블로워 속도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광휘소둔 시스템에서 냉각대의 냉각 블로워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냉각 블로워 내의 수소 함유량을 검출하는 수소함유량 검출부; 상기 수소함유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소 함유량에 따른 냉각 블로워 속도(S1)를 계산하는 속도계산부; 상기 수소함유량 검출부에서 검출된 수소 함유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결과에 따라 상기 속도계산부에서 계산된 냉각 블로워 속도(S1)와 운전자가 사전에 입력한 냉각 블로워 속도(S2) 중 선택적으로 출력하되, 상기 검출된 수소 함유량이 상기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속도계산부에서 계산된 냉각 블로워 속도(S1)을 출력하고, 상기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운전자가 입력한 냉각 블로워 속도(S2)를 출력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로부터 출력되는 냉각 블로워 속도로 상기 냉각 블로워를 구동하는 구동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휘소둔시스템의 냉각 블로워 속도 제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다른 종래문헌으로는 등록특허공보 제0964904호(소둔로용 가열장치)에 강판을 가열하도록 가열대의 내측 상/하부에 설치된 복수개의 버너와, 상기 각 버너에서 서로 다른 열량의 화염이 발생되도록 가스 및 연소공기를 공급하는 제 1 공급부 및 제 2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공급부는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 1 가스 공급관 및 제 1 연소공기 공급관과, 상기 제 1 가스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1 가스 밸브 및 제 1 가스 조절밸브와, 상기 제 1 가스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양을 표시하는 제 1 가스용 유량계와, 상기 제 1 연소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1연소공기 밸브 및 제 1 연소공기 조절밸브와, 상기 제 1 연소공기 밸브 및 제 1 연소공기 조절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양을 표시하는 제 1 연소공기용 유량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 공급부는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는 제 2 가스 공급관 및 제 2 연소공기 공급관과, 상기 제 2가스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가스 밸브 및 제 2 가스 조절밸브와, 상기 제 2 가스 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가스양을 표시하는 제 2 가스용 유량계와, 상기 제2 연소공기 공급관을 통하여 공급되는 연소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한 제 2 연소공기 밸브 및 제 2연소공기 조절밸브와, 상기 제 2 연소공기 밸브 및 제 2 연소공기 조절밸브를 통하여 공급되는 연소 공기양을 표시하는 제 2 연소공기용 유량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 공급부는 300계 스테인레스를 가열할 수 있는 제어범위로 구성되고, 제 2 공급부는 400계 스테인레스를 가열할 수 있는 제어범위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둔로용 가열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반 광휘 열처리로에서는 급랭이 되지 않아서 고용화율이 낮으며, 그 기계만으로 주조품 표면에 물기가 묻으면 금방 산화되므로 제품불량을 야기하기도 하며, 스테인리스 주조품을 대기중에 광휘 열처리하면 그 표면에 탄화 스케일이 생성되고, 열처리 후 산세나 광택을 필요로 하므로 후처리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테인리스를 고온 가열한 직후에 급랭시켜 고용화 및 소재표면이 산화되는 단점을 해결하고, 기존 광휘 소둔로에서 번갈아 하였던 숏 블라스트 및 산처리 공정을 없앤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광휘 열처리를 겸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수단으로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는 소재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도입부와, 상기 도입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가열하는 가열부와, 상기 가열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에서 가열된 소재를 급랭시키는 급랭부와, 상기 급랭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에서 이송되어진 소재를 서냉시키는 서냉부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와 가열부 그리고 급랭부 및 서냉부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는 열처리 후의 후처리 공정이 없으며, 가열 후 곧바로 급랭하기 때문에 소재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며, 특히 SSC13 고유의 광택이 유지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정면 개요도.
도 2는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평면 개요도.
도 3은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가열부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급랭부의 정면 개요도.
도 5은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급랭부의 단면 개요도.
도 6은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서냉부의 측면 개요도.
도 7은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따른 소재의 온도변화 그래프.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는 소재(S)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도입부(100)와; 상기 도입부(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1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상기 가열부(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소재(S)를 급랭시키는 급랭부(300)와; 상기 급랭부(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3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서냉시키는 서냉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100)와 가열부(200) 그리고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S)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S)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급랭부(300)는 급랭부 본체(310)와, 상기 급랭부 본체(310)의 내부에 내포되어 내부로 소재(S)가 이송되는 머플(320)과, 상기 머플(320)의 외부를 둘러싸며 내부로 냉각가스가 이동하는 냉각노즐(330)과, 상기 급랭부본체(310)와 머플(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냉각수(340)가 담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급랭부 본체(310)의 상부에는 냉각팬(350)이 설치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급랭부(300)의 입구 측에는 가열부(200) 및 외부와의 열차단을 위하여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360)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하,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방법을 첨부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정면 개요도이며, 도 2는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평면 개요도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장치는 소재(S)가 투입되는 도입부(100)와; 상기 도입부(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1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상기 가열부(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소재(S)를 급랭시키는 급랭부(300)와; 상기 급랭부(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3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서냉시키는 서냉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100)와 가열부(200) 그리고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S)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S)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특징이다.
즉, 도입부(100)를 통해 소재(S)투입 후 가열부(200)와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의 순으로 열처리를 연속적으로 완료하는 것으로, 소재(S)를 가열부(200)에서 1100∼1200℃ 사이에서 고온 가열하여 급랭부(300)에서 10분 내에 600℃ 이하로 급랭시켜 고용화 처리 및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한 후, 서냉부(400)에서 서서히 냉각시켜 소재(S)의 경도를 유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가열부(200)와 급랭부(300)산소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지면으로부터 되도록 상부 측에 위치하도록 하기에 가열부(200)로 소재(S)가 이송되는 도입부(100)는 상부로 상승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내부로 산소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질소가스로 형성된 입구커튼(110)을 설치하고, 가열부(20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소각장치(120)를 설치하여 산소가 연소되도록 하였다.
즉, 상기 소각장치(120)는 토오치와 같이 불꽃을 형성시키는 장치로서 결국 외부공기와 내부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가열부의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열부(200)는 내부벽면이 내화벽돌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는 세라믹 울(Ceramic wool)로 형성되어 있다.
내화벽돌은 관용의 몰타르에 의해 조적되게 된다.
그리고 외부벽면은 내화벽돌로부터 이격되어 내부벽면과 외부벽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가지는 가열부에서 소재는 1100∼1200℃까지 고온 가열하여 고용화 처리된다.
도 4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급랭부의 정면 개요도이며, 도 5는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급랭부의 단면 개요도이다.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급랭부(300)는 외부와의 열전도 차단을 위하여 급랭부본체(310)와 내부 머플(320) 사이의 공간에는 냉각수(340)가 담수되고, 또한 내부로 냉각수가 이동하는 냉각노즐(3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머플(320)의 외부를 냉각노즐(330)로서 감고, 다시 냉각노즐(330)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 급랭부본체(310) 사이에 격벽(도면부호 미도시)을 설치하여 격벽과 급랭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냉각수(340)가 담수되게 된다.
이때, 냉각노즐(330)은 관용의 라디에터용 파이프로서 동 또는 알루미늄을 사용한다.
머플(320)의 외부에 직접 냉각수(340)가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은 머플(320) 내에 냉각수(340)가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며, 냉각수(340)가 직접 머플(320)에 접촉하면 머플표면에 이슬이 맺힘으로써 머플(320)의 효율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머플(320)은 노 안에서 가열하거나 굽고 있는 물체에 열복사나 화학작용이 직접 미치지 못하게 막아 놓은 네모난 통을 가리키는 단어이다.
또한, 상기 급랭부본체(310)의 상부에는 냉각팬(350)을 설치하여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 냉각노즐(330)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급랭부(300)의 머플(320)의 내부에는 질소가 충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질소가스가 충진되면 산소가 제거되므로 산화반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급랭부(300)의 입구 측에는 가열부(200) 및 외부와의 열차단을 위하여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360)을 형성하여 머플(3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질소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또한, 상기 급랭부본체(310)의 상부에는 냉각팬(350)을 설치하여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 냉각수(340)에 기포가 형성되면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였다.
한편, 상기 급랭부(300)의 머플(320)의 내부에는 질소가 충진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알려진 바와 같이 질소가스가 충진되면 산소가 제거되므로 산화반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특히, 상기 급랭부(300)의 입구측에는 가열부(200) 및 외부와의 열차단을 위하여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360)을 형성하여 머플(320)의 내부에 충진되어 있는 질소가 외부로 반출되는 것을 방지하였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랭부(300)에는 머플(320)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질소가스를 냉각노즐(330)이 존재하는 공간에 보충해주도록 예비가스투입구(37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열부(200)와 급랭부(3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AX가스와 질소가스가 투입되는 가스투입구(I)를 마련하였다.
AX가스는 변성가스(Converted Gas) 중 흡열형 가스(Endo Gas)의 한 종류로서, 원료가스와 적당량의 공기를 가해서 고온(900∼1000℃)으로 유지한 촉매에 의해서 변성한 것으로, 침탄 또는 광휘 열처리에 이용되고 있다.
변성가스는 가스의 성분을 실용에 알맞게 바꾼 가스를 일컫으며, 발열형(X가스)과 흡열형(Endo)의 두 가지가 있다.
도 6은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의 서냉부의 측면 개요도이다.
서냉부(400)는 급랭부(300)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며, 긴 공간 내부에서 소재가 서냉되게 된다.
특히, 서냉부(400)는 급랭부(300)와 달리 비교적 길게 형성되기 때문에 하나의 단품으로 제작하기 에는 무리이기에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서냉부본체(410)를 길게 연결하여 체결한 것으로, 서냉부본체(410)의 양단에는 관용의 플랜지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였으며, 후단에 위치하는 서냉부본체(410)에는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420)을 형성하였으며, 소재(S)가 배출되는 출구 측에도 가스로 이루어진 출구커튼(450)을 형성하였다.
출구커튼(450)으로 사용되는 가스도 질소를 사용한다.
급랭부(300)와 서냉부(400)에는 냉매가스와 냉각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보충해주는 냉각수 및 가스보충장치(380, 4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AX가스가 불안정하여 폭발과 같이 이상발생시 AX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폭구(43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방폭구(430)는 안전변으로서 압력증가 발생시 압축스프링에 의해 닫혀 있는 개폐수단을 자동으로 개방시킴으로써 내부에 충전된 AX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작동하는 관용의 장치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그리고 냉각수 및 가스보충장치(380, 440)도 역시 냉각수와 냉각가스의 양을 감지하는 센서와 센서에 의해 냉각수와 냉각가스를 보충해주도록 구성된 관용의 장치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구성에서 도입부(100)와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는 하부에 롤러(R)를 장착하여 상기 도입부(100)와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를 지지하는 베이스(도면부호 미기재)의 상면에 설치된 레인(L)을 따라 쉽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7은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따른 소재의 온도변화 그래프이다.
스테인리스 주조품은 1100∼1200℃ 사이의 고온에서 10분 내에 600℃ 이하로 급랭할 때,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10분 내에 600℃ 이하로 떨어지지 않으면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효과는 미비하다.
도 7은 SSC13를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의해 소재의 온도변화를 나타낸 일 실시 예이다.
도 7에 도시된 그래프에서 (a)는 가열부(200)를, (b)는 급랭부(300)를 (c)는 서냉부(400)를 도시한 것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복합장치에서 소재(S)가 가열부(200)에서 1150℃까지 상승하여 10분간 유지되며,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소재(S)는 급랭부(300)에서 5분 정도에 450℃까지 냉각되어 서냉부(400)로 이동하여 서서히 냉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열부(200) (a)는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a1)과 상승한 온도가 유지되는 구간(a2)으로 나누어져 있다.
소재(S)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 및 동작제어는 당업자에게 널리 알려진 관용의 수단이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는 열처리 후의 후처리 공정이 없으며, 가열 후 곧바로 급랭하기 때문에 소재의 표면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여 특히, SSC13 고유의 광택이 유지되는 등의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도입부 200. 가열부 300. 급랭부
400. 서냉부
S. 소재 R. 롤러 L. 레일
I. 가스투입구
110. 입구커튼 120. 소각장치
310. 급랭부 본체 320. 머플 330. 냉각노즐
340. 냉각수 350. 냉각팬 360. 열차단커튼
370. 예비가스투입구 380. 온도관리열전대
410. 서냉부 본체 420. 열차단커튼 430. 방폭구
440. 온도관리열전대 450. 출구커튼

Claims (4)

  1. 소재(S)가 투입되어 이송되는 도입부(100)와; 상기 도입부(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도입부(1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가열하는 가열부(200)와; 상기 가열부(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가열부(200)에서 가열된 소재(S)를 급랭시키는 급랭부(300)와; 상기 급랭부(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급랭부(300)에서 이송되어진 소재(S)를 서냉시키는 서냉부(400);로 구성되되, 상기 도입부(100)와 가열부(200) 그리고 급랭부(300) 및 서냉부(400)는 동일한 이송수단을 통해 소재(S)를 이동하도록 이루어져 소재(S)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것이 특징인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랭부(300)는 급랭부본체(310)와; 상기 급랭부본체(310)의 내부에 내포되어 내부로 소재(S)가 이송되는 머플(320)과; 상기 머플(320)의 외부를 둘러싸며 내부로 냉각가스가 이동하는 냉각노즐(330)과; 상기 급랭부본체(310)와 머플(3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냉각수(340)가 담수되는 것으로,
    상기 급랭부본체(310)의 상부에는 냉각팬(350)이 설치되어 급격한 온도변화에 따라 냉각노즐(330)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거나 냉각수(340)에 기포가 형성되면 형성된 이슬과 기포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고,
    상기 급랭부(300)의 입구측에는 가열부(200) 및 외부와의 열차단을 위하여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360)이 구성되되,
    상기 가열부(200)와 급랭부(300)는 산소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하여 지면으로부터 상부에 위치하도록 가열부(200)로 소재(S)가 이송되는 도입부(100)는 상부로 상승하도록 설치되며, 또한 도입부(100)의 내부로 산소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질소가스로 형성된 입구커튼(110)을 설치하고, 가열부(20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불꽃을 형성시키는 소각장치(120)를 설치하여 산소가 연소되도록 하며,
    상기 급랭부(300)에는 머플(320)의 냉각효율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질소가스를 냉각노즐(330)이 존재하는 공간에 보충해주도록 예비가스투입구(370)가 형성되고,
    상기 가열부(200)와 급랭부(300)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흡열형 AX가스와 질소가스가 투입되는 가스투입구(I)가 형성되며,
    또한, 상기 서냉부(400)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어 있는 다수개의 서냉부본체(410)를 연결하여 출구 측인 후단이 하부를 향하도록 체결하는 것으로, 각각의 서냉부본체(410)의 양단에는 플랜지가 형성되어 서로 체결이 용이하도록 하고, 서냉부본체(410)의 출구 측에는 질소로 이루어진 열차단커튼(420)을 형성하여 산소와의 접촉을 차단하고,
    머플(320)의 외부를 냉각노즐(330)로서 감고, 다시 냉각노즐(330)이 설치되어 있는 공간과 급랭부본체(310) 사이에 격벽을 설치하여 격벽과 급랭부본체(31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냉각수(340)가 담수되어,
    냉각수(340)가 직접 머플(320)에 접촉하지 않아 머플(320)의 표면에 이슬이 맺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머플(320)의 효율을 증가시키며, 냉각수(340)가 머플(320)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고,
    급랭부(300)와 서냉부(400)에는 냉매가스와 냉각수의 양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보충해주는 냉각수 및 가스보충장치(380, 440)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AX가스가 불안정하여 폭발과 같이 이상발생시 AX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방폭구(430)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특징인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20140011753A 2014-01-29 2014-01-29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KR1014869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753A KR101486906B1 (ko) 2014-01-29 2014-01-29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CN201580006489.6A CN105940123B (zh) 2014-01-29 2015-01-28 不锈钢铸件固溶化以及表面光亮热处理方法与装置
PCT/KR2015/000870 WO2015115780A1 (ko) 2014-01-29 2015-01-28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11753A KR101486906B1 (ko) 2014-01-29 2014-01-29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86906B1 true KR101486906B1 (ko) 2015-02-04

Family

ID=5258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40011753A KR101486906B1 (ko) 2014-01-29 2014-01-29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69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168B1 (ko) * 2016-11-11 2018-04-12 오창영 금속 열처리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04A (ko) * 2001-06-19 2002-12-31 대한열기 주식회사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 시스템
US20060175316A1 (en) 2005-02-07 2006-08-10 Guy Smith Vacuum muffle quench furnace
KR20090054492A (ko) * 2007-11-27 2009-06-01 박상건 열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404A (ko) * 2001-06-19 2002-12-31 대한열기 주식회사 배치형 브레이징 퍼니스 시스템
US20060175316A1 (en) 2005-02-07 2006-08-10 Guy Smith Vacuum muffle quench furnace
KR20090054492A (ko) * 2007-11-27 2009-06-01 박상건 열처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8168B1 (ko) * 2016-11-11 2018-04-12 오창영 금속 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3313B1 (ko) 소둔 및 산세 방법
CA2961428C (en) Method for production of a nitrided packaging steel
AU2007218345B2 (en) Metal heat treating methods and devices
CN104878179B (zh) 一种用于发电厂耐热钢带的生产工艺
JP5348902B2 (ja) アルミニウム溶解炉及びアルミニウム鋳造システム
WO1996017215A1 (fr) Procede de chauffage non oxidant et appareil afferent
KR101486909B1 (ko)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방법
JP5209921B2 (ja) 熱処理方法及び熱処理設備
CN101709364A (zh) 金属热处理可控缓冷装置及智能在线监控系统
CN101979190A (zh) 一种粉末冶金制品连续脱脂、烧结、淬火、回火多功能炉
ATE542924T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reduziertem metall
KR101486906B1 (ko) 스테인리스 주조품 고용화 및 표면 광휘 열처리 연속복합장치
ES2252515T3 (es) Procedimiento para mejorar el perfil de temperatura de un horno.
CN100465302C (zh) 三段式可控气氛热处理炉
JP2000144241A (ja) 連続装入式加熱炉内での加熱方法及び連続装入式加熱炉
CN105940123B (zh) 不锈钢铸件固溶化以及表面光亮热处理方法与装置
JP6237459B2 (ja) 鋼管の熱処理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る軸受用鋼管の製造方法
KR101561151B1 (ko) 내부식성이 있는 얇은 두께의 중공형의 주물 오스테나이트 스테인리스 스틸 피팅 제품 및 그 제조방법
US3623714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 furnace
US20040140024A1 (en) Method for enhancing the metallurgical quality of products treated in a furnace
CN2729616Y (zh) 密封箱式多用炉
KR100885884B1 (ko) 소둔로의 가스혼입 방지장치
US376421A (en) Edwin d
GB902674A (en) System for baking carbonaceous products or the like
Sverdlin Types of Heat Treating Furna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