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4854A -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4854A
KR20110054854A KR1020090111646A KR20090111646A KR20110054854A KR 20110054854 A KR20110054854 A KR 20110054854A KR 1020090111646 A KR1020090111646 A KR 1020090111646A KR 20090111646 A KR20090111646 A KR 20090111646A KR 20110054854 A KR20110054854 A KR 201100548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loy
unit
vehicle
heating
heat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1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석
Original Assignee
(주)동성에너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성에너텍 filed Critical (주)동성에너텍
Priority to KR10200901116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4854A/ko
Publication of KR201100548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48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2Rolls; Roll arrang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25Supports; Baskets; Containers; Cover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62Heat-treating apparatus with a cooling or quenching 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4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aluminium or alloys based there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unnel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제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교차안내유닛과; 단일층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다수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유닛과; 상기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동시에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조립체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1가열유닛과; 상기 제1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 및 저장된 물을 공기 중에 분사하거나 에어(AIR)를 분사하도록 분수 노즐과 연결된 펌프인 분수 펌프를 구성하여 와류(渦流)를 발생시키는 냉각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회전시켜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2가열유닛과; 상기 제2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적층 상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단일층 상태로 언로딩하여 이송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열처리, 용체화, 시효처리, 연속,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 냉각

Description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Heat treatment apparatus and Continuous heat treatment method of automobile aluminium alloy}
본 발명은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냉각유닛을 구성함에 있어 내에 와류(渦流)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유닛의 하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합금은 알루미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합금을 일컫는 것으로, 용도에 따라 여러 종류의 알루미늄합금이 개발되어 있으며, 가볍고 내식성과 내열성이 뛰어난 이점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알루미늄합금은 다른 원소의 첨가와 그것에 의한 중간상의 시효석출에 의해 고강도화가 가능하며, 시효석출을 위한 열처리는 용체화(溶體化)처리 및 시효처리로 이루어진다.
용체화처리는, 응고시에 정출(晶出)한 비(非)평형상(相)을 고온으로 고용화 시키고, 그다음 담수(湛水) 탱크에 알루미늄합금을 잠수시켜 수냉(水冷)함으로써 상온에서 균일한 고용체를 얻는 열처리이다.
이러한, 흐르는 물이 아닌 상기 담수(湛水)이기 때문에 장시간 냉각을 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용체화처리에 뒤따르는 시효처리는, 비교적 저온으로 유지하여, 고용시킨 원소를 중간상으로 석출시켜 경화시키는 것이며, 이들의 열처리에 의해 알루미늄합금의 기계적 특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알루미늄합금의 용체화처리 및 시효처리는 공기를 열매체로 하는 터널로(爐) 등의 분위기로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분위기로는 승온시간이 느리고 분위기로 내부의 온도 편차가 커서 열처리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용체화처리 및 시효처리시에 요구되는 열처리온도가 상이하므로 시효처리 대기 중인 알루미늄합금 제품의 보관 공간이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며, 공간활용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승온시간이 느린 이유로 용체화처리 시간이 지연되면 알루미늄합금의 조직이 조대화(粗大化)되어 알루미늄합금의 강도 및 연성(延性)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용체화 및 시효처리가 연속적으로 실시하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냉각유닛을 구성함에 있어 내에 와류(渦流)가 발생할 수 있도록 상기 냉각유닛의 하부에서 물을 분사하는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일층으로 연속 안내되어 온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다수층으로 적층하여 대량으로 용체화 및 시효처리하고, 이때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 변화에 따라 버너의 화염크기를 자동으로 조절함과 분사 노즐을 통해 자동 냉각함으로써 적층된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가 고른 품질을 가질 수 있도록 한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열처리 장치는,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제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교차안내유닛과; 단일층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다수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유닛과; 상기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동시에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조립체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1가열유닛과; 상기 제1가열유닛에 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 및 저장된 물을 공기 중에 분사하거나 에어(AIR)를 분사하도록 분수 노즐과 연결된 펌프인 분수 펌프를 구성하여 와류(渦流)를 발생시키는 냉각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회전시켜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2가열유닛과; 상기 제2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적층 상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단일층 상태로 언로딩하여 이송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수 노즐은,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입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수 노즐(612)은, 상부 중공 원기둥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중공부를 덮기 위해 원형의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동일한 고무재질의 원형 돌출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에어(AIR)의 압력에 의해 텐션(Tension) 스냅(Snap)되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은,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다수 층으로 적층하는 적층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제1가열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1 가열단계와; 상기 제1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 분수 노즐 및 분수 펌프을 구성하여 와류(渦流)를 발생하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방향전환유닛에 장입한 후 회전시켜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단계와; 이송 방향이 전환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제2가열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와; 가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이송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수 노즐은,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입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수 노즐(612)은, 상부 중공 원기둥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중공부를 덮기 위해 원형의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동일한 고무재질의 원형 돌출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에어(AIR)의 압력에 의해 텐션(Tension) 스냅(Snap)되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에 따르면, 용체 및 시효 처리가 연속적으로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열처리를 위한 대기 공간을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으며, 연속적인 열처리로 인한 생산성 및 안전성 향상을 극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용체화처리 및 시효처리 사이에 냉각단계가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냉각유닛을 구비하였다.
또한, 분사 노즐에 의해 냉각유닛 내에서 와류(渦流)가 발생할 수 있어 적층된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빠른 시간내에 냉각을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른 품질을 가질 수 있게 되므로 불량율이 감소하게 되고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이고,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이송유닛 및 교차안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b 는 제1이송유닛 및 교차안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적층유닛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b 는 적층유닛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b 는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c 는 제1가열유닛 내부에 설치된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d 는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5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b 는 냉각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5c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의 펌프 와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방향전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 는 방향전환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2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b 는 제2가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언로딩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8b 는 언로딩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면과 같이, 열처리 장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자동 이송하여 용체처리 및 시효처리가 연속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으로 형성된 자동차용 휠(wheel)이 적용되었다.
상기 열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을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 경로에 따라 순서대로 설명한다.
상기 열처리 장치는,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100)과; 상기 제1이송유닛(100)에서 제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교차안내유닛(200)과; 단일층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다수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유닛(300)과; 상기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동시에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조립체(400)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1가열유닛(500)과; 상기 제1가열유닛(500)에서 가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 제(W)를 유냉, 수냉, 공냉 중 하나 이상 방법으로 냉각하기 위한 다수 냉각조(660)를 구비한 냉각유닛(600)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층된 상태로 회전시켜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유닛(700)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2가열유닛(800)과; 상기 제2가열유닛(800)에서 가열된 적층 상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단일층 상태로 언로딩하여 이송하는 언로딩유닛(9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성요소들의 상세 설명에 앞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 경로를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우선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1이송유닛(10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송되며, 이때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세로방향으로 단일층 상태로 나열되어 이송된다.
상기 제1이송유닛(100)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송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교차안내유닛(200)에 의해 좌측 방향 즉, 제1이송유닛(100)에 의해 안내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4개씩 안내되어 4열로 정렬된다.
이후 4열로 정렬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상기 적층유닛(300) 내부로 안내되고 상기 적층유닛(300)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본 발명의 실시에에서 3층으로 적층하게 된다.
3층으로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다수 롤러조립체(400) 중 하나인 제1롤러조립체(400a)를 경유하여 상기 제1가열유닛(500) 내부로 장입된다.
상기 제1가열유닛(500) 내부에 4열 3층으로 정렬되어 장입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1가열유닛(500) 내부에서 가열되어 용체화(soluting)처리되며, 이 후 다수 롤러조립체(400) 중 하나인 제2롤러조립체(400b)를 경유한 후 냉각유닛(600)에 의해 냉각된다.
이때 상기 냉각유닛(600)은 3층으로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1행씩 제공받아 냉각하게 되며, 상기 다수 롤러조립체(400) 중 하나인 제3롤러조립체(400c)로 이송하게 된다.
상기 제3롤러조립체(400c)를 경유한 3층 1행의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방향전환유닛(700) 내부로 동시에 실어져 시계방향으로 90°회전하게 되며, 이후 제4롤러조립체(400d)로 이송된다.
상기 제4롤러조립체(400d)를 경유한 3층 1행의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2가열유닛(800) 내부로 장입되어 시효(aging)처리되며, 제5롤러조립체(400e)를 통해 제2가열유닛(800) 내부에서 외부로 인출된다.
이후 3층 1행 상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언로딩유닛(900)에 의해 단일층으로 나열되어 우측 방향으로 이송됨으로써, 상기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용체화 및 시효 처리는 연속적으로 실시가 가능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여 상기 1이송유닛 및 교차안내유닛의 상세 구성을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이송유닛(100) 및 교차안내유닛(200)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b는 제1이송유닛(100) 및 교차안내유닛(2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제1이송유닛(100)은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도 2a에서 볼 때 좌측 방향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 부품의 하중을 지지하고 프레임을 형성하는 제1이송프레임(120)과, 상기 제1이송프레임(120)의 상부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상태로 회전하는 다수 롤러(140)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이송모터(도 2b의 도면부호 160)와, 상기 이송모터(160)의 회전동력을 상기 롤러(140)에 전달하는 힘전달부재(18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롤러(140)는 다수개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이 힘전달부재(180)와 접촉하여 이송모터(160)의 회전동력을 제공받게 되며, 나머지 롤러(140)들은 풀리, 벨트 등에 의해 둘러져 동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롤러(140) 상측에 안착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이송모터(160)의 회전에 의해 좌측 방향으로 직선 운동하여 제1이송유닛(100)의 길이 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제1이송유닛(100) 내부에는 교차안내유닛(200)이 구비된다. 상기 교차안내유닛(200)은 도 2a에서 볼 때 좌측으로 이송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이송유닛(100)이 동작하지 않을 때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와 선택적으로 접촉하여 이송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교차안내유닛(200)은,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안내모터(220)와, 다수 부품을 지지하는 교차프레임(230)과, 상기 교차프레임(23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높이조절실린더(240)와, 상기 교차프레임(230)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40)의 길이가 신장될 때 상기 안내모터(220)로부 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송하는 이송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40)는 하면이 고정되어 상부의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되며,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40)의 상부는 교차프레임(230)과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높이조절실린더(240)의 길이가 변화하게 되면 상기 교차프레임(230)의 높이 역시 변화하게 된다.
상기 교차프레임(23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교차프레임(230)에 결합된 이송부(260)도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게 되며, 이때 상기 안내모터(220)는 교차프레임(230)의 하면에 결합 고정되어 교차프레임(230)과 동시에 상승 및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이송부(260)의 최상측에는 폐루프를 그리며 회전하는 체인(268)이 위치하고, 체인(268)의 상면은 높이조절실린더(240)의 높이 변화에 따라 상기 롤러(140)의 상측으로 선택적으로 돌출하여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바닥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을 강제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안내모터(220)의 회전력은 탄성부재(261)에 의해 이송축(262) 및 종동풀리(도 2b의 도면부호 264)에 전달되고, 상기 종동풀리(264)는 도 2b의 상부 좌/우측에 위치한 유성기어(266)와 체인(268)에 의해 역삼각형 모양으로 배치되어 연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안내모터(220)가 회전하여 발생한 회전동력은 탄성부재(261)에 의해 종동풀리(264)에 전달되어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종동풀리(264)의 회전에 따라 상기 체인(268)은 유성기어(266)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체인(268)은 상면이 수평하게 유지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도 2b에서 볼 때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체인(268)은 높이조절실린더(240)의 길이 신장에 따라 상기 롤러(140) 사이의 틈으로 상승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와 선택적으로 접촉하게 되며, 상기 교차안내유닛(200)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적층유닛(300)에 유입되어 적층된다.
이하 상기 적층유닛(3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적층유닛(300)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는 적층유닛(300)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적층유닛(300)은 교차안내유닛(200)에서 단일층으로 보내진 4열1행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3층으로 적재하는 것으로, 3개의 적층롤러(310)가 세로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고, 각각의 적층롤러(310) 좌측에는 낙하방지스토퍼(3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적층유닛(300)은 프레임을 형성하는 적층프레임(330)과, 상기 적층프레임(330) 내부로 유입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승강 및 하강에 의해 적층하는 승강수단(340)과, 상기 적층롤러(310) 및 낙하방지스토퍼(320)를 포함하여 구 성된다.
상기 적층프레임(330)은 지면으로부터 하방향으로 함몰된 도피부(H) 상측에 설치되며, 세로로 긴 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적층프레임(330)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유입 및 유출이 가능하도록 좌/우가 개방되며, 4열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동시에 유입될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수단(340)은 적층롤러(310)와 낙하방지스토퍼(320)가 설치된 상태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적층롤러(310) 상면에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안착되고, 상기 적층롤러(310) 상면에 안착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좌측 방향으로 낙하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낙하방지스토퍼(320)는 적층롤러(310)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승강수단(340)의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승강수단(340)은, 상기 적층롤러(310) 및 낙하방지스토퍼(320)가 설치되는 승강프레임(341)과, 상기 승강프레임(341)의 상/하 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레일(342)과, 회전동력을 발생하는 승강모터(344)와, 상기 승강모터(344)의 회전동력을 승강프레임(341)에 전달하여 승강프레임(341)을 승/하강하기 위한 와이어(345)와, 상기 와이어(345)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도르레(3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일은 적층프레임(330) 내부 좌/우측에서 세로로 길게 고정되며, 하단부는 상기 도피부(H)의 바닥까지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적층롤러(310)는 도피부 내부로 수용 가능하며, 이때 상기 차 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상/하 방향으로 평행하게 위치하는 3개의 적층롤러(310) 상면에 안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341)은 승강레일(342)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하는 것으로, 승강프레임(341)의 상하단 좌/우측에는 승강롤러(343)가 구비된다.
상기 승강롤러(343)는 승강레일(342)을 따라 구름운동하여 승강프레임(341)의 직선 왕복 운동이 가능하도록 돕게 된다.
상기 승강프레임(341)의 좌측부에는 와이어결합프레임(347)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결합프레임은 승강프레임(341)과 결합 고정되며 상기 적층프레임(33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결합프레임의 상단에는 와이어(345)의 일단부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모터(344)가 회전하여 와이어(345)를 권취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345)는 승강도르레(346)에 의해 하방향으로 늘어진 상태에서 상기 와이어프레임(347)을 상방향으로 끌어올리게 되고, 이와 함께 상기 승강프레임(341)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실은 상태에서 승강롤러(343)와 승강레일(342)의 작용에 의해 상승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3개의 층으로 구성된 적층롤러(310) 중 최상층에 위치한 적층롤러(310)는 상기 승강프레임(341)이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일부가 도피부 내부로 수용되었을 때 상기 제1이송유닛(100)의 상면과 동일한 평면상에 놓이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승강프레임(341) 내측에는 낙하방지스토퍼(320)가 구비된다. 상 기 낙하방지스토퍼(320)는 적층롤러(310)에 안착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일방향 이동을 간섭하고 이러한 간섭을 선택적으로 해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낙하방지스토퍼(320)는 스톱모터(322)와, 스톱모터로부터 회전동력을 제공받아 회전하는 회전축(324)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회전축과 동시에 회전하며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외면 상부를 선택적으로 간섭하는 스토퍼(3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톱모터는 회전 동력을 발생하여 상기 회전축에 제공하며, 이를 위해 상기 회전축의 우측단(도 3b에서 볼 때) 외주면에는 벨트 등의 동력전달부재가 둘러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에는 다수 스토퍼가 축결합되어 있다. 즉, 상기 회전축에는 한 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마다 두 개씩의 스토퍼가 접촉할 수 있도록 8개의 스토퍼가 결합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토퍼는 회전축의 회전시에 동시에 회전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외면과 선택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하는 측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대략 "ㄱ"형상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한편, 상기 적층유닛(300)의 좌측에는 도 3a와 같이 롤러조립체(400)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조립체(400)는 동일한 형상의 다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일정 길이 이송을 담당하게 된다.
즉, 상기 제1가열유닛(500), 냉각유닛(600), 방향전환유닛(700) 및 제2가열 유닛(800)은 한 쌍의 롤러조립체(400) 사이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롤러조립체(400)를 통해 제1가열유닛(500), 냉각유닛(600), 방향전환유닛(700) 및 제2가열유닛(800)을 경유한 후 다시 롤러조립체(400)를 따라 이송된다.
도 1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롤러조립체(400)는 적층유닛(300)과 제1가열유닛(500) 사이에 위치한 제1롤러조립체(400a)와, 제1가열유닛(500)과 냉각유닛(600) 사이에 위치한 제2롤러조립체(400b)와, 방향전환유닛(700)과 제2가열유닛(800) 사이에 위치한 제3롤러조립체(400c)와, 제2가열유닛(800)과 언로딩유닛(900) 사이에 위치한 제4롤러조립체(400d)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조립체(400)는 회전 가능한 다수의 롤러(R)가 3층으로 배열되며, 하부에는 롤러조립체(400)가 좌/우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강제하는 이송실린더(420)가 구비된다.
즉, 상기 이송실린더는 좌/우 방향으로 선택적인 길이 신장이 가능하며, 상기 이송실린더의 일단은 상기 롤러조립체(400)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이송실린더의 길이 신축에 따라 상기 롤러조립체(400)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재한 상태로 좌/우로 이송됨으로써, 적재유닛 또는 제1가열유닛(500)에 근접(도 3a의 경우)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제1가열유닛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4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정 면도이고, 도 4b 는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c 는 제1가열유닛 내부에 설치된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d 는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제1가열유닛(500)은, 적층유닛(300)에서 적층되고 롤러조립체(400)를 경유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내부에 수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알루미늄합금제(W)를 용체화(soluting)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1가열유닛(500)은, 도면과 같이, 상기 제1가열유닛(500)은 알루미늄합금제(W)를 가열하기 위한 제1가열로(510)와,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제1열공급기(520)와,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의 열을 선택적으로 배기하기 위한 제1환풍기(530)와, 상기 제1가열로(510)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1가열로도어(540)와,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에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이송하기 위한 제1가열로이송기(550)와, 상기 제1가열로이송기(550)를 따라 3층 4열로 배열되어 이송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세로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1가열로정렬기(5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가열로(510)는 제1가열로도어(5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의해 내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제1열공급기(520)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열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가열로이송기(550)의 작동이 정지되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1환풍기(530) 역시 작동하지 않고 정지하여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공급기(520)는 엘엔지(LNG) 또는 엘피지(LPG)를 점화하여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에 화염을 발생함으로써 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열공급기(520)는 제1가열로(510) 내부에 장입되는 다수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에 고르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1버너(5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 제1버너(52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 제1버너(522)는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질 수 있도록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에서 제1가열로도어(540)가 위치한 좌/우측부는 제1가열로(510) 내부 중앙보다 상대적으로 열손실이 크므로 제1가열로도어(540)에 가깝게 설치된 제1버너(522)에는 보다 많은 연료가스를 공급하여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 우측(도 4b 참조)에는 제1가열로센서(512)가 구비된다. 상기 제1가열로센서(512)는 제1가열로(510) 내부 공간의 상/하부 온도를 측정하여 제1열공급기(520)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대가 적용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로센서(512)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제1가열로(510) 내부 공간의 높이에 따른 온도 차이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주센서(514)와, 제1보조센서(516)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주센서(514)를 통해 제1가열로(5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1보조센서(516)는 동작을 중지하고 있다가, 제1주센서(514) 파손시에 제1보조센서(516)를 동작시켜 제1가열로(51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센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제1가열로도어(540)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 실린더(C)의 길이 신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열처리 조건에 따라 동시에 개방 또는 차폐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가열로이송기(550)는 다수 롤러(R)가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모터(M)의 회전력이 체인이나 밸트 등의 힘전달부재(F)에 의해 롤러(R)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좌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의 좌측 및 중앙에는 제1가열로정렬기(56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1가열로정렬기(560)는 제1가열로이송기(550)를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서로 다른 속도로 이송될 때 각각의 층에 위치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정지시켜 정렬한 후 좌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1가열로정렬기(560)는 각각의 롤러(R)를 따라 이송하는 3개 층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 중 어느 하나의 층이라도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이송되지 않고 누락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 제1가열로정렬기(560)의 구성을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여 상세 히 살펴보면, 상기 제1가열로정렬기(560)는 대략 "ㄱ" 모양의 측면 형상을 가지는 다수 정렬대(562)와, 상기 다수 정렬대(562)와 축결합되어 지지하는 회전봉(564)과, 선택적으로 길이가 신장되는 정렬실린더(566)와, 상기 정렬실린더(566)의 상부 일측과 회전봉(564)에 결합되어 정렬실린더(566)의 길이 신축에 따라 회전봉(564)을 회전시키는 연결대(568)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도 4b의 도면부호 569)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렬대(562)는 회전봉(564)이 회전시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외면 상부와 선택적으로 접촉함으로써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이 제한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봉(564)은 제1가열로(510)를 좌/우(도 4d 참조)로 가로질러 양단부가 외측으로 노출되며, 좌측단에는 연결대(568)가 결합된다. 상기 연결대(568)는 하부 좌측면이 정렬실린더(56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우측 상/중/하부에는 커넥터(565)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커넥터(565)의 상단부는 회전봉(564)과 끼움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정렬실린더(566)가 도 4d와 같은 상태에서 길이가 신장하게 되면, 상기 연결대(568)는 상방향으로 들어올려지며, 이때 상기 커넥터(565)는 회전하여 회전봉(564)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봉(564)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정렬대(562)도 같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정렬대(562)가 회전하게 되면, 정렬대(562)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 사이의 접촉이 해지되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이 가능하게 되며,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도 4a와 같이 제1가열로(510) 내부 좌측에서 부터 3층 4열로 배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제1가열로정렬기(560)의 동작에 의해 제1가열로(510) 내부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배열되면 상기 제1가열로도어(540)를 차폐하고 제1열공급기(520)를 이용하여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열공급기(520)에 의해 제1가열로(510) 내부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제1환풍기(530)를 동작시켜 배기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5a 내지 도 5c 를 참조하여 냉각유닛(600)의 구성을 살펴본다.
도 5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b 는 냉각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고, 5c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의 펌프와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냉각유닛(600)의 좌/우측에는 제2롤러조립체(400b) 및 제
3롤러조립체(400c)가 구비되며, 상기 제1가열유닛(500) 내부에서 가열되어 장출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2롤러조립체(400b) 상면을 따라 좌측으로 이동하여 상기 냉각유닛(60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3층 4열 1행으로 배열되어 냉각유닛(600) 내부로 유입된다.
여기서, 상기 냉각유닛(600)은, 상기 제1가열유닛(500)에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660)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611), 분수 노즐(612) 및 분수 펌프(621)을 구성하여 와류 (渦流)를 발생시킨다. 이때, 상기 분수 유출관(611)은, 하부에 일정거리 이격하여 분수 노즐(612)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분수 펌프(621)은, 저장된 물을 공기 중에 분사하거나 에어(AIR)를 분사하도록 상기 분수 노즐(612)과 연결된 펌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는 도시된 분수 펌프(622,623)는, 냉각조(660) 내에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잠수하는 수량 증가에 따라 상기 물 또는 상기 에어(AIR)의 분사 압력을 상승할 경우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분수 노즐(612)은, 상기 분수 펌프(621)에 의해 상기 냉각조(660)로 상기 물 또는 상기 에어(AIR)가 분사할 경우, 분출 압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입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상기 분수 노즐(612)은, 상부 중공 원기둥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613)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분수 노즐(612)은, 상기 분수 펌프(621)에 의해 중공부를 따라 먼저, 에어(AIR)를 분출하여 상기 덮개(613)가 힌지 개방되고, 그 다음으로 물을 분사하게 된다. 이해를 돕기 위한 일예로, 간호사가 피스톤을 누르면 주사약을 담은 주사기에서 에어(AIR)를 배출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덮개(613)는, 상기 중공부를 덮기 위해 원형의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동일한 고무재질의 원형 돌출부재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덮개(613)는,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에어(AIR)의 압력에 의해 텐션(Tension) 스냅(Snap)되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분수 유출관(611)은, 모래 시계 형상으로 형성하여 하부측(631) 중공부에 상기 분수 노즐(612)이 유입하고, 상부측(632) 중공 내주면에 나사선이 형성된다. 상기 나사선에 의해 물이 소용돌이를 발생하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에 와류(渦流) 충돌된다.
이하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의 구성을 첨부된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방향전환유닛(700)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b는 방향전환유닛(700)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은 롤러조립체(4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며, 상단부를 기준으로 하부가 90°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의 우측에서 좌측 방향으로 장입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방향전환유닛(700)의 90°시계방향 회전 후에 제4롤러조립체(400d)에 장입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의 상세 구성을 살펴보면,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은 크게 롤러조립체(400)와 유사한 형상을 가지고 내부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적층된 상태로 장입될 수 있도록 한 적재프레임(720)과, 상기 적재프레임(720)의 회전을 안내하기 위한 부채꼴 형상의 회전안내프레임(740)과, 상기 적재안내프레임 내부에 장입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외부로 낙하하지 않도록 제한하는 낙하방지대(760)와, 상기 적재프레임(720)이 구름 작용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강제하는 구름수단(78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적재프레임(720)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4열3층으로 적재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단부에는 방향전환축(722)이 구비된다.
상기 방향전환축(722)은 회전안내프레임(740)의 우측 상부 일측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적재프레임(720)의 회전을 안내하며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적재프레임(720)의 저면에는 바퀴(724)가 다수 구비되며, 상기 바퀴(724)는 회전안내프레임(740)에 구비된 곡선레일(742)을 따라 구름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곡선레일(742)은 동일한 곡률을 갖도록 2개로 구성되며, 두개의 곡선레일(742)은 동심원을 이루는 2개의 원에 겹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상기 적재프레임(720)은 곡선레일(742)을 따라 바퀴(724)가 구름운동할 때 방향전환축(722)을 기준으로 90°범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적재프레임(720)에는 구름수단(780)이 구비된다. 상기 구름수단(780)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다수 적재되어 무거운 적재프레임(720)을 회전모터(782)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 바퀴(724)와 체인으로 연결하여 구동하거나, 별도의 구름부재(도시되지 않음)를 더 구비하고, 이러한 구름부재에 회전동력을 제공하여 적재프레임(720)이 회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적재프레임(720)의 내부 좌측에는 낙하방지대(760)가 구비된다. 상기 낙하방지대(760)는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외면과 접촉함으로써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낙하가 방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전술 한 제1가열로정렬기(560)와 같이 실린더(C)의 힘을 이용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일방향 이동을 간섭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며, 전술한 낙하방지스토퍼(320)와 같이 모터의 회전동력을 이용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일방향 이동을 간섭할 수도 있다.
상기 낙하방지대(760)의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방향전환유닛(700)에 의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4롤러조립체(400d) 내부로 장입되며, 이후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2가열유닛(800) 내부로 장입되어 가열된다.
상기 제2가열유닛(800)의 상세 구성을 첨부된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2가열유닛(800)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7b는 제2가열유닛(800)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과 같이, 상기 제2가열유닛(800)은, 방향전환유닛(700)에서 방향이 전환된 후 제4롤러조립체(400d)를 경유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내부에 수용하여 가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시효(aging)처리하기 위한 구성이다.
이를 위해 상기 제2가열유닛(800)은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가열하기 위한 제2가열로(810)와,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에 열을 공급하기 위한 제2열공급기(820)와,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의 열을 선택적으로 배기하기 위한 제2환풍기(830)와, 상기 제2가열로(810)의 출입구를 선택적으로 차폐하는 제2가열로도 어(840)와,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에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이송하기 위한 제2가열로이송기(850)와, 상기 제2가열로이송기(850)를 따라 3층 4열로 배열되어 이송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세로 방향으로 정렬하는 제2가열로정렬기(8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가열로(810)는 제2가열로도어(840)의 상/하 방향 움직임에 의해 내부가 선택적으로 차폐되며, 상기 제2열공급기(820)로부터 열을 제공받아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열처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가열로이송기(850)의 작동이 정지되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상방향으로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제2환풍기(830) 역시 작동하지 않고 정지하여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의 열이 외부로 소실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열공급기(820)는 엘엔지(LNG) 또는 엘피지(LPG)를 점화하여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에 화염을 발생함으로써 열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열공급기(820)는 제2가열로(810) 내부에 장입되는 다수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에 고르게 열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수의 제2버너(8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다수 제2버너(822)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 제2버너(822)는 발열량이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발열량을 가질 수 있도록 연료가스의 공급량을 조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예컨대,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에서 제2가열로도어(840)가 위치한 좌/우 측부는 제2가열로(810) 내부 중앙보다 상대적으로 열손실이 크므로 제2가열로도어(840)에 가깝게 설치된 제2버너(822)에는 보다 많은 연료가스를 공급하여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가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 우측(도 4b 참조)에는 제2가열로센서(도 7b의 도면부호 812)가 구비된다. 상기 제2가열로센서는 제2가열로(810) 내부 공간의 상/하부 온도를 측정하여 제2열공급기(820)의 발열량을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 열전대가 적용되었다.
그리고, 상기 제2가열로센서는 다수개로 구비되어 제2가열로(810) 내부 공간의 높이에 따른 온도 차이를 측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주센서(814)와, 제2보조센서(816)로 구성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2주센서(814)를 통해 제2가열로(810)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2보조센서는 동작을 중지하고 있다가, 제2주센서(814) 파손시에 제2보조센서(816)를 동작시켜 제2가열로(810) 내부의 온도를 지속적으로 센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한 쌍의 제2가열로도어(840)는 세로 방향으로 고정된 실린더(C)의 길이 신축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열처리 조건에 따라 동시에 개방 또는 차폐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선택적으로 개방될 수도 있다.
상기 제2가열로이송기(850)는 다수 롤러(R)가 좌/우 방향으로 평행하게 이격 배치되고, 모터(M)의 회전력이 체인이나 밸트 등의 힘전달부재(F)에 의해 롤러(R)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좌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의 좌측 및 중앙에는 제2가열로정렬기(860)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는 제2가열로이송기(850)를 따라 좌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서로 다른 속도로 이송될 때 각각의 층에 위치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동일한 수직선 상에 정지시켜 정렬한 후 좌측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는 각각의 롤러(R)를 따라 이송하는 3개 층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 중 어느 하나의 층이라도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이송되지 않고 누락되었을 때 이를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는 앞서 설명한 제1가열로정렬기(560)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의 동작에 의해 제2가열로(810) 내부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배열되면 상기 제2가열로도어(840)를 차폐하고 제2열공급기(820)를 이용하여 가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열공급기(820)에 의해 제2가열로(810) 내부가 미리 설정된 온도 이상으로 높아지면 상기 제2환풍기(830)를 동작시켜 배기하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언로딩유닛(900)의 구성을 살펴본다.
상기 언로딩유닛(900)은 제2가열유닛(800)에서 가열된 후 장출되고 상기 제5롤러조립체(400e)에 의해 이송된 3층4열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단일층 1열로 언로딩하기 위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언로딩유닛(900)은 전술한 적층유닛(300)과 교차안내유닛(200) 및 제1이송유닛(100)을 조합한 구성을 가지며, 반대의 작용을 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언로딩유닛(900)은 3층4열로 적재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언로딩수단(920)과, 상기 언로딩수단(920)으로부터 단일층 4열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수단(940)과, 상기 인출수단(940)이 인출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이송유닛(9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2가열유닛(800)에서 가열된 후 장출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5롤러조립체(400e)를 지나 언로딩수단(920) 내부에 장입되며, 이때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3층4열1행이 동시에 장입된다. 물론 상기 언로딩수단(920) 내부에는 적층유닛(300)에 구비된 낙하방지스토퍼(32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정지수단(922)이 구비되어 언로딩수단(920) 내부에 장입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선택적으로 간섭함으로써 낙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언로딩수단(920)은 3층으로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상승시킨 다음 하강하면서 맨 아래에 위치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부터 우측 방향 즉, 인출수단(940) 상면으로 인출하게 되며, 상기 인출수단(940) 상면으로 인출된 단일층 1열의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2이송유닛(960)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 로 이송된다.
이하 첨부된 도 9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이다.
도면과 같이, 차량용 알루미늄합급제를 연속적으로 열처리하는 방법은,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S100)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단계(S200)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층유닛(300) 내부로 장입하여 다수 층으로 적층하는 적층단계(S300)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제1가열유닛(500)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S400)와, 가열된 알루미늄합금제(W)를 냉각유닛(600)을 이용하여 유냉, 수냉, 공냉 중 하나 이상의 냉각방법으로 냉각하는 냉각단계(S500)와,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적층된 상태로 방향전환유닛(700)에 장입한 후 회전시켜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단계(S600)와, 이송 방향이 전환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제2가열유닛(800)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S700)와, 가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이송단계(S800)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송단계(S100)는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롤러(140)의 구름 작용으로 이송하는 과정으로, 도 12a와 같이 상기 롤러(140) 상면에 4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안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후 상기 교차안내유닛(200)을 이용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을 제1이송유닛(100)의 이송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이송단계(S200)가 실시된다.
상기 제2이송단계(S200)가 실시됨에 따라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도 3a에서 볼 때 좌측방향으로 이송하게 되며, 상기 적층유닛(300) 내부로 단일층 4열씩 장입되어 3층으로 적층된다(적층단계:S300).
보다 세부적으로는, 상기 승강프레임(341)이 하측으로 내려와 도피부(H) 내부에 일부가 수용된 상태에서 최상측에 위치한 적층롤러(310)의 상측부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장입되고,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낙하방지스토퍼(320)에 의해 좌측방향 이송이 제한되어 정지하게 된다.
이런 상태에서 상기 승강모터(344)의 회전동력에 의해 와이어(345)가 귄취되고, 상기 와이어(345)가 권취됨에 따라 승강프레임(341)이 상방향으로 승강되었을 때 두번째 및 세번째 적층롤러(310) 상면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순차적으로 장입함으로써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3층 적층단계(S300)가 완료된다.
상기 적층단계(S300) 이후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3층으로 적층된 상태로 상기 제1롤러조립체(400a)에 의해 좌측방향으로 인출되며, 상기 제1가열단계(S400)가 실시된다.
상기 제1가열단계(S400)는 제1가열로도어(540)가 상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가열로(510)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롤러조립체(400a)를 경유한 3층 4열의 차량용 알 루미늄합금제(W)를 순차적으로 장입하고, 상기 제1가열로(510) 내부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도 4a와 같이 장입되었을 때 제1가열로도어(540)를 차폐한 후, 상기 제1열공급기(520)를 이용하여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가열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제1가열단계(S400) 중에서, 상기 제1가열유닛(500) 내부를 이동하는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각각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시에 선택적으로 이송되며, 다수회 반복한 후 가열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가열단계(S400)는 제1열공급기(520)에 엘엔지(LNG)를 공급하여 화염을 발생시켰으며, 45분간 급속 승온하여 제1가열로(510) 내부의 온도가 545℃가 되도록하고 165분간 가열하여 용체화(soluting)처리하였다.
이때 제1가열로(510) 내부의 온도는 제1가열로센서(512)에 의해 지속적으로 측정되며, 상기 제1환풍기(530)는 제1가열로(510) 내부에 요구되는 온도와 대비하여 58% 온도까지 승온시에 동작하도록 설정된다.
즉 상기 제1환풍기(530)는 제1가열로(510) 내부의 온도가 350 ~400℃에 도달하기 전에는 작동하지 않으며, 이로써 상기 제1가열로(510)의 열손실이 최소화되어 급속한 가열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제1가열단계(S400)가 완료되면 냉각단계(S500)가 실시된다. 상기 냉각단계(S500)는 제1가열유닛(500)에서 용체화처리된 후 장출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제2롤러조립체(400b)를 경유한 후 냉각유닛(600)의 롤러프레임(641)에 안착되고, 냉각조(660)에 담긴 물 또는 기름에 잠김(도 5B 참조)으로써 급냉하 는 과정이다.
이때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온도는 35℃까지 냉각된다.
이후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3롤러조립체(400c)를 경유한 후 방향전환유닛(700)에 의해 이송 방향이 전환된다(방향전환단계:S600).
즉,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도 6a와 같이 적재프레임(720)이 제3롤러조립체(400c)에 근접한 상태에서 적재프레임(720) 내부에 장입되고, 상기 적재프레임(720)은 회전모터(782)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에 의해 바퀴(724)의 구름운동에 따라 방향전환축(722)을 기준으로 90°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적재프레임(720)은 도 6b와 같이 제4롤러조립체(400d)와 근접한 상태가 되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이송 방향이 전환되며, 이후 상기 제4롤러조립체(400d)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낙하방지대(760)는 적재프레임(720)이 회전하는 동안에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외면을 간섭하여 낙하를 방지하게 되며, 상기 방향전환유닛(700)은 한 쌍의 롤러조립체(400) 사이에서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하게 된다.
상기 방향전환단계(S600) 이후에는 제2가열단계(S700)가 실시된다. 상기 제2가열단계(S700)는 이송 방향이 전환되어 제4롤러조립체(400d)를 따라 이송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를 제2가열유닛(800)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과정이다.
즉, 상기 제2가열단계(S700)에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제2가열로이송기(850) 상면을 따라 이송되며, 그 중간에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에 의해 간섭 되어 일시적으로 이송이 중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2가열로센서(812)는 제2가열로정렬기(860)에 의해 간섭되어 이송이 정지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3개 층 모두에 위치하는지를 감지하게 되며, 도 7a와 같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누락되지 않고 세로로 3개가 모두 정렬되었을 때 상기 제2가열로정렬기(860)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간섭을 해지하여 좌측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허용하게 된다.
즉, 상기 제2가열단계(S700) 중에서, 상기 제2가열유닛(800) 내부를 이동하는 다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서로 다른 높이에 위치한 각각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시에 선택적으로 이송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이 다수회 반복되면, 상기 제2가열로(810) 내부에는 도 7a와 같이 3층 4열 다수행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정렬되며, 이렇게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제2가열로도어(840)는 제2가열로(810) 내부를 차폐한 후 제2열공급기(820)에 연료를 공급하여 가열하게 된다(제2가열단계:S700).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가열단계(S700)는 30분간 가열하여 160℃가 되도록 하고, 114분간 160℃를 유지하여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시효(aging)처리되도록 하였다.
이후 상기 가열로도어(840)를 개방하고 제2가열로이송기(850)를 작동시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가 제5롤러조립체(400e)로 이송되도록 한다.
이후 상기 제3이송단계(S800)가 실시된다. 상기 제3이송단계(S800)는 제5롤러조립체(400e)를 따라 우측방향(도 8a참조)으로 이송하는 3층4열의 차량용 알루미 늄합금제(W)를 언로딩수단(920)을 이용하여 동시에 수용하고, 3층으로 수용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높이를 변화시켜 상기 인출수단(940)을 이용하여 인출한 후, 상기 제2이송유닛(960)을 이용하여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것을 반복 실시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제3이송단계(S800)가 완료되면,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는 1열의 단일층으로 나열되며, 상기와 같은 다수 단계를 연속적으로 실시함에 따라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W)의 연속 열처리는 완료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 구성도.
도 2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이송유닛 및 교차안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2b 는 제1이송유닛 및 교차안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3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적층유닛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b 는 적층유닛 및 롤러조립체를 나타낸 측면도.
도 4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4b 는 제1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4c 는 제1가열유닛 내부에 설치된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d 는 제1가열로이송기 및 제1가열로정렬기를 나타낸 측면도.
도 5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5b 는 냉각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5c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냉각유닛의 펌프와 노즐을 나타낸 평면도.
도 6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방향전환유닛을 나타낸 평면도.
도 6b 는 방향전환유닛의 작동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제2가열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7b 는 제2가열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8a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의 일 구성인 언로딩유닛을 나타낸 정면도.
도 8b 는 언로딩유닛을 나타낸 측면도.
도 9 는 본 발명에 의한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을 나타낸 공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제1이송유닛 120. 제1이송프레임
140. 롤러 160. 이송모터
180. 힘전달부재 200. 교차안내유닛
220. 안내모터 230. 교차프레임
240. 높이조절실린더 260. 이송부
261. 탄성부재 262. 이송축
264. 종동풀리 266. 유성기어
268. 체인 300. 적층유닛
310. 적층롤러 320. 낙하방지스토퍼
330. 적층프레임 340. 승강수단
341. 승강프레임 342. 승강레일
343. 승강모터 345. 와이어
346. 승강도르레 347. 와이어프레임
400. 롤러조립체 400a. 제1롤러조립체
400b. 제2롤러조립체 400c. 제3롤러조립체
400d. 제4롤러조립체 400e. 제5롤러조립체
500. 제1가열유닛 510. 제1가열로
512. 제1가열로센서 514. 제1주센서
516. 제2보조센서 520. 제1열공급기
522. 제1버너 530. 제1환풍기
540. 제1가열로도어 550. 제1가열로이송기
560. 제1가열로정렬기 562. 정렬대
564. 회전봉 565. 커넥터
566. 정렬실린더 568. 연결대
569. 감지센서 600. 냉각유닛
611. 분수 유출관 612. 분수 노즐
613. 덮개 621. 분수 펌프
622,623. 분수 펌프 631. 하부측
632. 상부측 660. 냉각조
700. 방향전환유닛 720. 적재프레임
722. 방향전환축 724. 바퀴
740. 회전안내프레임 742. 곡선레일
760. 낙하방지대 780. 구름수단
782. 회전모터 800. 제2가열유닛
810. 제2가열로 812. 제2가열로센서
814. 제2주센서 816. 제2보조센서
820. 제2열공급기 830. 제2환풍기
840. 제2가열로도어 850. 제2가열로이송기
860. 제2가열로정렬기 900. 언로딩유닛
920. 언로딩수단 940. 인출수단
960. 제2이송유닛 C. 실린더
F. 힘전달부재 H . 도피부
M . 모터 R. 롤러
W. 알루미늄합금제 S100. 제1이송단계
S200. 제2이송단계 S300. 적층단계
S400. 제1가열단계 S500. 냉각단계
S600. 방향전환단계 S700. 제2가열단계
S800. 제3이송단계

Claims (6)

  1.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길이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유닛과;
    상기 제1이송유닛에서 제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직선 왕복운동에 의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안내하는 교차안내유닛과;
    단일층으로 이동하는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다수층으로 적층하는 적층유닛과;
    상기 적층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동시에 이송하는 다수의 롤러조립체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1가열유닛과;
    상기 제1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 및 저장된 물을 공기 중에 분사하거나 에어(AIR)를 분사하도록 분수 노즐과 연결된 펌프인 분수 펌프를 구성하여 와류(渦流)를 발생시키는 냉각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회전시켜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유닛과;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가열하는 제2가열유닛과;
    상기 제2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적층 상태의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단일층 상태로 언로딩하여 이송하는 언로딩유닛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 노즐은,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입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 노즐은,
    상부 중공 원기둥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중공부를 덮기 위해 원형의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동일한 고무재질의 원형 돌출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에어(AIR)의 압력에 의해 텐션(Tension) 스냅(Snap)되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
  4. 단일층으로 나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1이송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이송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다수 층으로 적층 하는 적층단계와;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제1가열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1가열단계와;
    상기 제1가열유닛에서 가열된 상기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냉각하기 위해 상기 냉각조의 하부에서 상향하는 다수개의 분수 유출관, 분수 노즐 및 분수 펌프을 구성하여 와류(渦流)를 발생하는 냉각단계와;
    냉각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적층된 상태로 방향전환유닛에 장입한 후 회전시켜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전환단계와;
    이송 방향이 전환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제2가열유닛 내부로 장입하여 가열하는 제2가열단계; 및
    가열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를 교차하는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3이송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 노즐은,
    단면이 사다리꼴이고, 입체적으로 중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수 노즐은,
    상부 중공 원기둥 부분을 밀폐하기 위한 덮개를 더 구비하되,
    상기 덮개는,
    상기 중공부를 덮기 위해 원형의 플라스틱 부재로 형성하며,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저면에는 상기 중공부의 크기와 동일한 고무재질의 원형 돌출부재로 형성하고, 상기 플라스틱 부재의 일측에 장착된 상기 에어(AIR)의 압력에 의해 텐션(Tension) 스냅(Snap)되는 힌지스프링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처리 장치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KR1020090111646A 2009-11-18 2009-11-18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KR201100548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46A KR20110054854A (ko) 2009-11-18 2009-11-18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1646A KR20110054854A (ko) 2009-11-18 2009-11-18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4854A true KR20110054854A (ko) 2011-05-25

Family

ID=44363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1646A KR20110054854A (ko) 2009-11-18 2009-11-18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485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20B1 (ko) * 2015-10-20 2017-01-03 (주)경남금속 알루미늄 선재 열처리 장치
CN112538597A (zh) * 2020-10-19 2021-03-23 东莞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铝合金壳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74662A (zh) * 2022-05-12 2022-07-22 重庆骏诚机械有限公司 一种热处理件用放置箱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320B1 (ko) * 2015-10-20 2017-01-03 (주)경남금속 알루미늄 선재 열처리 장치
CN112538597A (zh) * 2020-10-19 2021-03-23 东莞长盈精密技术有限公司 铝合金壳体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774662A (zh) * 2022-05-12 2022-07-22 重庆骏诚机械有限公司 一种热处理件用放置箱
CN114774662B (zh) * 2022-05-12 2024-03-26 重庆骏诚机械有限公司 一种热处理件用放置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5733B1 (ko) 물품 반송 설비
CN1057744C (zh) 汽车车身表面处理装置
KR101943928B1 (ko) 물품 반송 설비
EP3266696B1 (en) Lng tank container transport ship, and transport method using same
US9555974B2 (en) Surface treatment plant for motor vehicle bodies
US20130199893A1 (en) Conveyor unit and conveyor system for conveying vehicle bodies and plant for machining vehicle bodies
KR100994860B1 (ko) 자동차휠의 연속 열처리 장치
CN111575644B (zh) 一种渗锌系统
US20140083819A1 (en) Apparatus for conveying and plant for surface-treating articles
US3857501A (en) Apparatus for loading containers with cargo
KR20110054854A (ko) 열처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알루미늄합금제의 연속 열처리 방법
KR101848168B1 (ko) 금속 열처리장치
US10280014B2 (en) Plants for the immersion treatment of bodyworks
US6902051B2 (en) Workpiece treatment system and conveyor assembly
CN101275214B (zh) 连续渗碳炉
KR100991166B1 (ko) 고압가스용기의 자동담금질장치
KR100977671B1 (ko) 자동차용 부품의 연속 열처리 장치
KR102536219B1 (ko) 고압 유체저장용기의 연속 열처리시스템
KR102022117B1 (ko) 산세·피막 처리장치
KR100824690B1 (ko) 분말융착식 폴리에틸렌피복 이형관 삼중 코팅장치
KR20100046344A (ko) 코일 터닝이 가능한 코일 카
JP2020073840A (ja) 熱処理炉
CN118414291A (zh) 运输设备、用于处理工件的处理设备和方法
CN209871522U (zh) 抽油杆自动喷涂打包生产线
JP2900281B2 (ja) 移動槽台車のトラバー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