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125B1 -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 Google Patents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125B1
KR101848125B1 KR1020150084409A KR20150084409A KR101848125B1 KR 101848125 B1 KR101848125 B1 KR 101848125B1 KR 1020150084409 A KR1020150084409 A KR 1020150084409A KR 20150084409 A KR20150084409 A KR 20150084409A KR 101848125 B1 KR101848125 B1 KR 1018481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pattern
bezel
pattern
curing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4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7535A (ko
Inventor
최국현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150084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125B1/ko
Publication of KR20160147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7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1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1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1/00Inking and printing with a printer's forme
    • B41M1/26Printing on other surfaces than ordinary pa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3/00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 B41M3/003Printing processes to produce particular kinds of printed work, e.g. patterns on optical devices, e.g. lens elements; for the production of optic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7/00After-treatment of prints, e.g. heating, irradiating, setting of the ink, protection of the printed stoc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에 따르면 광학 밀도가 우수하면서도 표면의 평탄도가 매우 우수한 베젤 패턴을 얻을 수 있어 베젤 패턴 위에 전극 등의 배선을 인쇄/증착하였을 때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베젤과 인쇄/증착된 전극 사이에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METHOD FOR FORMING A BEZEL PATTERN, A BEZEL PATTERN FORMED THEREBY AND PANEL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본 발명은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기판에 관한 것이다.
터치패널 베젤(bezel) 형성 공정은 기존에는 대부분 강화 유리 위에 스크린 프린팅(screen printing) 방식으로 인쇄되어 왔으며, 인쇄된 잉크는 고온의 열처리를 통해 경화하여 베젤의 물리적 특성을 확보하는 방식으로 제조되었다. 그러나,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기 위해 플라스틱 필름을 사용할 경우 이러한 기재들은 내열 특성이 미흡하기 때문에 열처리에 의한 경화보다는 빛 에너지를 통하여 경화하는 자외선 경화방식으로 원하는 패턴을 비접촉 방식으로 단시간 내에 형성할 수 있는 잉크젯 프린팅 방식으로 베젤을 형성하는 방법이 더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베젤은 1 ㎛ 내지 30 ㎛ 두께로 인쇄되는데 잉크젯 인쇄기술을 적용할 경우 잉크의 점도가 수십 cP 이하로 낮으므로 10 ㎛ 이상의 높은 패턴 형성 시 패턴 경계 너머로 잉크가 넘치는 현상이 발생하기 쉬워 잉크 넘침을 방지하기 위해 인쇄 직후 경화하는 방식을 적용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때 잉크 방울이 완전히 퍼지지 않아 패턴부 표면이 매우 거칠게 형성되며 간혹 핀홀 (pinhole) 불량이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전극을 증착/인쇄할 경우 거친 표면으로 인하여 전극이 단락 되거나 전기적 성능의 균일성이 미흡할 수 있으며 잉크가 완전히 퍼지지 않아 잉크가 얇게 도포된 부분에서 차광이 충분하지 않아 베젤부에 빛 샘 현상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9035호에서 1도 인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의 베젤 패턴 형성 방법에 대해 기재하고 있으나, 제 1도 인쇄 시 생긴 빈 공간 및 인쇄 직후 경화로 완전히 퍼지지 않은 잉크 방울 때문에 베젤 패턴의 최상단부가 여전히 충분히 매끄럽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4-0009035호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선명한 패턴 경계부 및 미세 패턴부를 형성하면서도 거친 표면으로 인한 표면의 불량과 전극의 단락을 막기 위해 최 상단부 표면을 매끄럽게 구현하기 위하여 2도 이상 인쇄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베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 센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 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후 1차 경화하여 1차 경화된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이후 베젤 패턴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n도(n은 2 내지 4의 정수) 잉크젯 프린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이후 베젤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레벨링하여 경화 수축을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이후 베젤 패턴을 2차 경화하여 2차 경화된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을 제공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디스플레이 또는 터치센서 기판용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터치센서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베젤 패턴의 형성 시 광학 밀도가 우수하면서도 표면의 평탄도가 매우 우수한 베젤 패턴을 얻을 수 있어 베젤 패턴 위에 전극 등의 배선을 인쇄/증착하였을 때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베젤과 인쇄/증착된 전극 사이에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베젤"은 시계, 디스플레이 장치, 터치 센서 장치 등 각종 장치에 포함되는 테두리부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베젤 패턴"은 상기 베젤 부분에 형성되는 패턴을 말한다.
본 발명은 하기 a) 내지 d) 단계를 포함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에 대한 것이다.
이하에서 각 단계 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베젤 패턴의 형성를 위하여 a) 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후 1차 경화하여 1차 경화된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기판으로 유리, 필름, 종이, 플라스틱 등의 통상의 기술자가 선택 가능한 다양한 기재를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팅은 비접촉식 패터닝 기술로 수십 ㎛의 액적(drop)을 원하는 위치에 형성하여 패턴을 제작할 수 있으며, 다른 인쇄기술과는 달리 잉크소모가 적고, 공정 수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 1도 잉크젯 프린팅은 360 DPI 내지 1440 DPI로 프린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60 DPI 이하로 인쇄할 경우 해상도가 미흡하여 선명도가 떨어질 수 있고, 1440 DPI 이상으로 인쇄할 경우 인쇄 시간이 지나치게 오래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시 액적과 액적 사이의 가로 또는 세로의 간격은 1 내지 250 ㎛로 조절된다. 또한, 인쇄 횟수를 조절하여 기판에 형성되는 베젤의 높이가 1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40 ㎛가 되도록 한다.
이러한 잉크젯 프린팅 시 잉크의 점도가 수십 cP 이하로 낮아서 10 ㎛ 이상의 높은 베젤 형상 구현을 위하여 과량의 잉크를 도포할 경우 패턴 경계 너머로 잉크가 넘치는 현상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인쇄 직후 1차 경화를 도입하여 잉크 토출 직후 또는 동시에 베젤에 약한 자외선 에너지를 조사하여 베젤을 경화시켜 높은 베젤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라도 잉크 넘침 현상으로 인해 패턴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1차 경화로 인하여 잉크 방울이 퍼지지 않아 빈 공간과 요철(凹凸)이 발생하게 된다. 이 요철은 후속 인쇄 시 잉크가 넘치는 현상을 방지하며 잉크가 경계 부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1차 경화는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후 5초 이내에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초 이내에 수행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1차 경화를 5초 이후에 수행하는 경우 인쇄 정밀도 수준이 저하된다.
1차 경화 시 메탈 할라이드 램프, UV LED 램프, 고압 수은 램프 등을 이용하며 바람직하게는 360 nm 내지 410 nm 파장의 UV LED 램프를 이용한다. 1차 경화 시 빛 에너지의 세기는 5 mJ/cm2 내지 40 mJ/cm2인 것이 바람직하다. 빛 에너지의 세기가 5 mJ/cm2 미만일 경우 경화가 진행되지 않고 40 mJ/cm2 를 초과할 경우 경화가 지나치게 진행되어 레벨링(leveling)을 방해하며 경화수축 현상의 발생을 유발할 수 있다.
1차 경화 이후 생긴 빈 공간을 채워서 베젤 표면을 더욱 평평하게 만들어 광학밀도 및 표면의 평탄도가 우수한 베젤 형상을 얻기 위하여 본 발명은 b) 상기 1차 경화 이후 베젤 패턴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n도(n은 2 내지 4의 정수) 잉크젯 프린팅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총 잉크젯 프린팅 횟수는 2 내지 4 회가 바람직하다.
4 회를 초과하여 프린팅하는 경우에는 프린팅 공정 시간이 지나치게 길어져 경제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 n도 잉크젯 프린팅은 360 DPI 내지 2880 DPI로 프린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60 DPI 이하로 인쇄할 경우 패턴의 두께가 너무 낮아 광학 밀도가 미흡할 수 있고, 2880 DPI 이상으로 인쇄할 경우 두께가 지나치게 높아져 패턴이 넘치거나 전극 인쇄/증착 시 단선을 유발할 수 있다.
n(2 내지 4의 정수)도 잉크젯 프린팅 시 액적과 액적 사이의 가로 또는 세로의 간격은 1 ㎛ 내지 250 ㎛로 조절된다. 또한, 인쇄 횟수를 조절하여 기판에 형성되는 베젤의 높이가 1 ㎛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 ㎛ 내지 40 ㎛가 되도록 한다. 1 ㎛ 미만으로 인쇄될 경우 패턴의 두께가 너무 얇아 광학 밀도가 미흡한 단점이 있고, 100 ㎛ 이상으로 인쇄할 경우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져 패턴이 넘치거나 전극 인쇄/증착 시 단선을 유발하는 단점이 있다.
그 다음으로, 2차 경화 전에 c) 레벨링하여 경화 수축을 제거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하여 n도 잉크젯 프린팅을 한 이후 바로 경화하면 경화 수축이 발생할 수 있다. 경화수축은 베젤의 표면을 거칠게 할 뿐만 아니라 베젤의 성능으로서 요구되는 표면경도 및 부착력을 상당히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레벨링 과정이 요구된다. 상기 c) 레벨링하는 단계는 5초 내지 3분 간 또는 60초 내지 3분 간 진행될 수 있다.
이후 d) 상기 레벨링하는 단계를 거친 베젤 패턴을 2차 경화하여 2차 경화된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차 경화는 레벨링된 베젤에 1 mJ/cm2 내지 10000 mJ/cm2 의 강한 빛 에너지를 가하여 베젤을 완전히 경화시키는 단계이다.
2차 경화 단계에서 빛 에너지의 세기가 1 mJ/cm2 미만이면 경화가 완전하게 진행되지 않아 베젤의 물리적 특성을 확보할 수 없고, 빛 에너지의 세기가 10000 mJ/cm2 를 초과하는 경우 기재의 변형을 유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광원으로 메탈 할라이드 램프, UV LED 램프, 고압 수은 램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UV LED 램프를 사용한다.
2차 경화는 레벨링 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레벨링 이전에 2차 경화를 수행하는 경우 표면 거칠기가 불량하고, 잉크가 퍼지지 않아 광학 밀도 또한 불량한 단점이 있다.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100 ㎛일 수 있다.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광학밀도는 0.3 내지 5 이며, 필요에 따라, 0.5 내지 4일 수 있다. 이 경우 베젤 패턴에 의한 차폐특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광학밀도가 5를 초과할 경우에는 UV 경화 감도 저하를 야기할 수 있으며, 이 광학밀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투입되는 차광재료의 함량이 증가되어 패턴 형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거칠기(Ra)는 1 nm 내지 50 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 내의 거칠기를 갖는 베젤 위에 전극 등의 배선을 인쇄/증착하였을 때 단선을 방지할 수 있고 매끄러운 표면으로 인하여 베젤과 인쇄/증착된 전극 사이에 부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잉크젯 프린팅 직후 짧은 시간 내에 퍼짐이 일어나서, 우수한 도막 특성을 나타내며, 경화되어 우수한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적용시에는 잉크젯 프린팅과 동시에 경화가 가능하도록 잉크젯 헤드 바로 뒤에 UV-램프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경화 도즈량이 1 mJ/㎠ 내지 10000 mJ/㎠, 바람직하게는 50 mJ/㎠ 내지 3000 mJ/㎠이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360 nm 내지 410 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경화된다.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일 예로 25 ℃에서 1 cP 내지 50 cP, 더욱 바람직하게는 공정 온도에서 2 cP 내지 30 cP 이하의 점도를 가짐으로써 잉크젯 공정에 적합하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잉크는 기재에 대한 접착력 및 코팅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은 상기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베젤 패턴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또는 터치센서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는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 장치(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LCD-TFT) 및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 중 어느 하나에 사용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비한정적인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 예시로써,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표시되었고, 더욱이 특허 청구범위 기록과 균등한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을 함유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비교예에서 함유량을 나타내는 "%" 및 "부"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질량 기준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베젤 패턴 형성 방법
(1)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세정된 LCD 글라스 기판에 14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720 DPI로 프린팅하였다.
(2) 1차 경화
상기 (1)단계 후 1초 이내에 경화시켰다.
(3) 제 2도 잉크젯 프린팅
42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잉크를 720 DPI로 프린팅하였다.
(4) 레벨링
이어 60초 간 상온에서 레벨링을 진행하였다.
(5) 2차 경화
상기 (4)단계 실시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함으로써 베젤을 제조하였다. 자외선 조사기는 395 nm 파장의 UV-LED 램프를 사용하였으며, 조도는 UV 기준 500 mW/㎝2, 1회 이송 당 80 mJ/cm2의 광량으로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노광하였다. UV 램프의 조도 측정은 EIT 사(社)의 power puck-2를 이용하여 UV-LED 램프에서 10 mm 위치의 값을 측정하였다. 매 조사 후 베젤 패턴의 경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라텍스 장갑을 착용한 후, 눌러보아 압흔 및 tack감을 관찰하였으며, 완전히 경화된 베젤을 얻었다.
실시예 2.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1)단계 및 (3)단계에서 1080 DPI로 프린팅, (3)단계에서 14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잉크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1)단계에서 1080 DPI로 프린팅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2)단계 및 (3)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5)단계에서 2차 경화 시 (4)단계 실시 후 1초 이내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1)단계에서 1440 DPI로 프린팅한 것 및 (3) 내지 (5)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1)단계에서 1440 DPI로 프린팅한 것 및 (2) 내지 (3) 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세정된 LCD 글라스 기판에 14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720 DPI로 제 1도 프린팅하였다. 그 후 60초 간 레벨링을 실시하였다. 레벨링 후 자외선을 조사하여 1차 경화를 실시하였다. 42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720 DPI로 제 2도 프린팅하였다. 이후 60초 동안 레벨링을 실시하였고, 레벨링 후 2차 경화를 실시하였다. 자외선 조사기는 395 nm 파장의 UV-LED 램프를 사용하였으며, 조도는 UV 기준 500 mW/㎝2, 1회 이송 당 80 mJ/cm2의 광량으로 경화가 완료될 때까지 반복하여 노광하였다. UV 램프의 조도 측정은 EIT 사의 power puck-2를 이용하여 UV-LED 램프에서 10mm 위치의 값을 측정하였다. 매 조사 후 베젤 패턴의 경화 여부를 판별하기 위해 라텍스 장갑을 착용한 후, 눌러보아 압흔 및 tack감을 관찰하였으며, 완전히 경화된 베젤을 얻었다.
비교예 6. 베젤 패턴 형성 방법
상기 (1)단계에서 1080 DPI로 프린팅한 것, 42 pL의 잉크젯용 자외선 잉크를 사용한 것 및 (3) 내지 (5)단계를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베젤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6에서 변화된 조건을 하기 표 1에 간략하게 나타내었다.
인쇄횟수 잉크부피(pL)
(제 1도/
제 2도 인쇄)
DPI
(제 1도/
제 2도 인쇄)
경화방법
(1차/2차 경화)
레벨링 여부
실시예 1 2 14/42 720/720 1초 이내/60초 후 O
실시예 2 2 14/14 1080/1080 1초 이내/60초 후 O
실시예 3 2 14/42 1080/720 1초 이내/60초 후 O
비교예 1 1 -/14 -/720 -/60초 후 O
비교예 2 2 14/42 720/720 1초 이내/1초 이내 X
비교예 3 1 42/- 1440 1초 이내/- X
비교예 4 1 -/42 -/1440 -/60초 후 O
비교예 5 2 14/42 720/720 60초 후/60초 후 O(2회)
비교예 6 1 42/- 1080/- 1초 이내/- X
실험예: 물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비교예 1 내지 6에서 제조한 베젤에 대해 그 두께, 광학 밀도, 거칠기 및 원형 인쇄정밀도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두께 및 표면 거칠기
Tencor 사(社) Alpha step을 이용하여 기재와 패턴의 단차를 측정하며 표면을 스캔하여 Ra 값을 읽었다.
실험예 2. 광학 밀도
1구 LED lamp를 이용하여 패턴 부에 밀착하여 패턴 반대편에서 빛의 샘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실험예 3. 원형 인쇄 정밀도
육안 및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패턴 경계부의 균일도를 관찰하였다.
두께 (㎛) 광학밀도 거칠기(Ra, nm) 원형 인쇄정밀도
실시예 1 26.2 15.7
실시예 2 26.4 16.4
실시예 3 31.5 15.6
비교예 1 8.9 X 8.0
비교예 2 27.3 X 250.3
비교예 3 37.5 190.3 X
비교예 4 37.2 12.3 X
비교예 5 26.7 21.06
비교예 6 27.5 230.7 X
* X: 불량, : 보통, : 양호, : 우수

* 원형 인쇄 정밀도-우수(): 10 ㎛ 내 /양호(): 10~15 ㎛/보통():15~20 ㎛/불량(X):20 ㎛ 이상)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 내지 3에 의해 제조된 베젤 패턴의 경우 광학 밀도가 매우 우수하고, 표면 거칠기, 인쇄 정밀도도 매우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에 반해, 비교예 1의 경우 14 pL의 잉크 부피로, 720 DPI로 인쇄하고 레벨링 시간을 두어 인쇄 정밀도 및 표면 거칠기는 매우 우수하나 두께가 너무 얇아 광학 밀도가 불량하였다. 비교예 2의 경우 제 1도와 제 2도 인쇄시 동시경화를 진행하여 인쇄 정밀도는 우수하나 표면 거칠기 Ra=250 nm로 불량하며 잉크가 퍼지지 않아 광학 밀도 또한 불량하였다. 비교예 3의 경우 37 ㎛ 이상으로 패턴이 형성되었고 인쇄와 동시에 경화되어 잉크가 퍼지지 않아 빈 공간이 발생하였고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표면 거칠기 Ra=190 nm 이상으로 불량하였고, 인쇄 정밀도는 42 pL을 사용하여 패턴 경계부에서 계단현상이 발생하여 불량하였다. 비교예 4의 경우 37 ㎛ 이상으로 두꺼운 패턴이 형성되고 레벨링이 진행되어 광학 밀도와 표면 거칠기 Ra=12.3 nm로 우수하였으나 패턴이 넘쳐 인쇄 정밀도가 불량하였다. 비교예 5의 경우 광학 밀도와 표면 거칠기 Ra=21.06 nm로 우수하였으나 제 1도 인쇄시 잉크가 고정되지 않아 패턴이 넘쳐 인쇄정밀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다. 비교예 6의 경우 인쇄와 동시에 경화되어 잉크가 퍼지지 않아 빈 공간이 발생하였고 레벨링이 이루어지지 않아 표면 거칠기 Ra=230 nm 이상으로 불량하였으며, 인쇄 정밀도는 42 pL을 사용하여 패턴 경계부에서 계단현상이 발생하여 불량하였다.
위와 같은 결과로 보아, 2도 이상 인쇄, 1차 경화 및 2차 경화 수행 및 레벨링 수행에 의하여 형성된 베젤 패턴이 가장 우수한 물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비교예 5의 결과로 보아, 1도 인쇄 후 5초 이내에 1차 경화를 수행하여 형성된 베젤 패턴이 가장 좋은 물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22)

  1. a) 기판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액적 간격 1 ㎛ 내지 250 ㎛로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후 1차 경화하여, 요철이 형성된 1차 경화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 이후 베젤 패턴에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n도(n은 2 내지 4의 정수) 잉크젯 프린팅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 이후 베젤 패턴이 형성된 기판을 레벨링(leveling)하여 경화 수축을 제거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 이후 베젤 패턴을 2차 경화하여, 2차 경화 베젤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1차 경화는 제 1도 잉크젯 프린팅 후 5초 이내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n도 잉크젯 프린팅은 액적 간격을 1 ㎛ 내지 250 ㎛로 프린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b)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4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5초 내지 3분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c)단계는 60초 내지 3분 간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높이는 1 ㎛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광학밀도는 0.3 내지 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단계 수행 후 베젤 패턴의 거칠기(Ra)는 1 nm 내지 50 n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경화는 빛 에너지 50 mJ/㎠ 내지 3000 mJ/㎠의 세기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d)단계의 경화를 위한 광원은 메탈 할라이드 램프, UV LED 램프 및 고압 수은 램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경화 도즈량이 1 mJ/㎠ 내지 10000 mJ/㎠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는 360 nm 내지 410 nm의 파장 범위의 자외선을 흡수하여 경화되는 것을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경화성 잉크의 점도는 25 ℃에서 1 cp 내지 50 c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19. 청구항 1의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디스플레이 기판용 베젤 패턴.
  20. 청구항 1의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에 의해 형성된 터치센서 기판용 베젤 패턴.
  21. 청구항 19의 디스플레이 기판용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22. 청구항 20의 터치센서 기판용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터치센서 기판.
KR1020150084409A 2015-06-15 2015-06-15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KR1018481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09A KR101848125B1 (ko) 2015-06-15 2015-06-15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4409A KR101848125B1 (ko) 2015-06-15 2015-06-15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35A KR20160147535A (ko) 2016-12-23
KR101848125B1 true KR101848125B1 (ko) 2018-05-28

Family

ID=57736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4409A KR101848125B1 (ko) 2015-06-15 2015-06-15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0090B1 (ko) 2017-12-14 2021-06-03 주식회사 엘지화학 폴더블 디스플레이의 자외선 경화형 블랙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형성방법
KR102333186B1 (ko) 2018-08-17 2021-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KR102284638B1 (ko) 2018-08-17 2021-07-30 주식회사 엘지화학 필름 인쇄 가능한 자외선 경화형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베젤패턴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베젤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기판
KR102506827B1 (ko) * 2019-02-01 2023-03-06 주식회사 엘지화학 연속 다층 인쇄를 통한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KR102316322B1 (ko) 2020-03-12 2021-10-25 주식회사 한솔케미칼 패드 프린팅 공정 적용이 가능한 무용제형 자외선 경화형 블랙잉크 조성물
CN113625832B (zh) * 2021-08-09 2024-05-28 京东方杰恩特喜科技有限公司 显示面板的制作方法、电子设备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381534B2 (en) 2012-07-11 2016-07-05 Lg Chem, Ltd. Method for forming bezel pattern of display substr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7535A (ko) 201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8125B1 (ko)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KR100617338B1 (ko) 마이크로구조체 형성 및 정렬 방법
KR101703166B1 (ko)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 이를 이용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기판
CN102308670B (zh) 有机电致发光显示器的修复方法
KR101874158B1 (ko) 베젤 패턴의 형성 방법, 이에 따라 형성된 베젤 패턴 및 베젤 패턴을 포함하는 기판
US10723900B2 (en) UV curable ink for inkjet, method for manufacturing a bezel using the same, a bezel pattern using the same method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bezel pattern
CN108431748B (zh) 使用喷墨印刷形成边框图案的方法
US20150331154A1 (en) Optical element and display device
KR102563456B1 (ko) 막형성방법 및 막형성장치
KR102142750B1 (ko) 기판의 접착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디스플레이용 기판
CN105904863A (zh) 一种导光板印刷工艺
JPH08292442A (ja) 液晶基板の欠陥修正方法および欠陥修正装置
CN101013219B (zh) 制备滤色器的黑矩阵的方法
KR101480708B1 (ko) 측면강화코팅된 정전용량 터치센서의 제조방법
KR101730224B1 (ko) 잉크젯용 자외선 경화성 잉크를 이용한 미세 패턴부가 선명한 베젤의 제조방법, 이에 따라 제조한 배젤 패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소자
US20080099429A1 (en) Methods for repairing patterned structures of electronic devices
CN102555508B (zh) 印刷物制造方法、印刷物制造装置以及印刷物
JP2006350121A (ja) カラーフィルタの欠陥修正方法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の欠陥修正装置
KR0128816B1 (ko) 액정표시장치 및 액정표시장치의 결함수정방법
JP2004077904A (ja) カラーフィルタの製造方法
JP2004013133A (ja) カラーフィルタの欠陥修正方法
JP2020054950A (ja) インクジェット印刷物、及びその製造方法
US20160288419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three-dimensional object
JP2010097068A (ja) パターン修正方法およびパターン修正装置
KR102260326B1 (ko) 양자점 경화 처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양자점 도포 처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