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318B1 -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 - Google Patents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318B1 KR101847318B1 KR1020167013522A KR20167013522A KR101847318B1 KR 101847318 B1 KR101847318 B1 KR 101847318B1 KR 1020167013522 A KR1020167013522 A KR 1020167013522A KR 20167013522 A KR20167013522 A KR 20167013522A KR 101847318 B1 KR101847318 B1 KR 1018473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plate portion
- vertical direction
- plate
- vibra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4—Bilge ke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B63B13/02—Ports for passing water through vessels' s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9/00—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 B63B39/06—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 B63B2039/067—Equipment to decrease pitch, roll, or like unwanted vessel movements; Apparatus for indicating vessel attitude to decrease vessel movements by using foils acting on ambient water effecting motion dampening by means of fixed or movable resistance bodies, e.g. by bilge keels
-
- B63B2731/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로 부체 본체의 동요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수상에 부유하는 부체 본체의 동요 저감 장치이다. 동요 저감 장치는, 부체 본체의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되어,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부체 본체와 일부가 겹쳐지고, 일부가 겹쳐지지 않는 판부와, 판부와 부체 본체를, 부체 본체와 판부의 사이에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가지며, 부체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부체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의 방향이, 부체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방향보다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의 수류가 빨라지는 유로를 형성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체 본체의 동요를 저감하는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에 관한 것이다.
바다나 호수 등의 수상에 각종 시설을 설치하는 경우, 바닥에 지주를 묻어 설치하는 방법이나 수상에 부체를 띄우는 방법이 있다. 수상에 부체를 띄우는 경우, 부체는, 수면의 파(波)에 의하여 동요하게 된다.
이에 대하여, 특허문헌 1에는, 부체에 발생하는 동요를 저감하는 장치로서, 부체 본체의 하부에 연결 부재를 통하여 동요 저감 부재를 배치하고, 당해 동요 저감 부재를 해저로부터 소정 거리 이내에 매달아 내리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수상에 떠오르는 부체 본체의 적어도 파 상측에, 그 부체 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간한 판을 마련하고, 판과 부체 본체의 사이에, 관통부를 형성하는 동요 저감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3에는, 부체 본체로부터 소정 간격 이간한 판을, 면적이 가장 큰 면을 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및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동요 저감 장치를 이용함으로써, 부체 본체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지만, 장치가 커지거나, 동요의 저감 효과가 작은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이며, 간단한 구조로 부체 본체의 동요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요 저감 장치는, 수상에 부유하는 부체 본체의 동요 저감 장치로서, 상기 부체 본체의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판부와, 상기 판부와 상기 부체 본체를, 상기 부체 본체와 상기 판부의 사이에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부체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의 방향이, 상기 부체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방향보다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의 수류가 빨라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체 본체의 흘수를 d로 하고,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하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부체 본체와 상기 판부의 거리를 s로 한 경우, 0.05≤b/d≤0.5이며, 또한 0.01≤s/d≤0.2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는,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이 0˚ 이상 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하고,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을 θ 로 하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부체 본체의 단부면과 상기 판부의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의 거리를 x0으로 한 경우, 0≤x0≤b×sinθ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는,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인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가장 큰 면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는 제2 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판부의 가장 큰 면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h로 하고, 상기 제1 판부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한 경우, 0<h/b≤1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는,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상기 부체 본체와 일부가 겹쳐지고, 일부가 겹쳐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과 평행인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판부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부체는, 상기 중 어느 하나에 따른 동요 저감 장치와, 상기 동요 저감 장치가 설치된 부체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부체 본체는, 바닥면의 바깥 가장자리가 복수의 변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상기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동요 저감 장치는, 상기 부체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부체 본체의 바닥면보다 하측에 배치한 판부에 의하여, 부체 본체와 판부의 사이에 불가역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 본체를 미는 방향의 물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부체 본체를 당기는 방향으로 물의 흐름이 발생한 경우 중 어느 경우에도, 그 힘을 상쇄하는 방향의 힘을 작용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조로 부체 본체의 동요를 효율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동요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요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계측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4는,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0은, 동요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동요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계측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에 관한 실시형태를 도면에 근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형태에 의하여 이 발명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 하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구성요소에는, 당업자가 치환 가능하며 또한 용이한 것, 혹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포함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부체는, 부잔교, 부유 창고, 부유 주차장, 작업선, 석유 생산 플랫폼, 해상 풍차의 토대 등, 다양한 수상에 뜨는 구조물이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체(10)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를 갖는다. 부체 본체(12)는, 수면(W)에 대하여 뜨는 구조물이다. 부체 본체(12)는, 예를 들면, 외면이 강판에 의하여 형성되고, 내부에 밀폐된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부체 본체(12)는, 내부의 공간에 공기가 충전된 상태로 함으로써, 비중을 물보다 가볍게 하여, 수면(W)에 대하여 뜬다. 또, 부체 본체(12)는, 구조물의 전체를,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물체로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의 부체 본체(12)는, 바닥면(연직 방향 하측의 면)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이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부체 본체(12)의 바깥 가장자리에 마련되어 있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4개의 저감 유닛(20)을 구비한다. 4개의 저감 유닛(20)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4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저감 유닛(20)은, 판부(22)와, 판부(22)와 부체 본체(12)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는, 대응하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변의 연재(延在)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판 형상의 부재이며, 면적이 가장 큰 면(표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 평행한 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판부(22)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변의 대략 전역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다. 즉, 판부(22)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변과 대략 동일하고, 변의 연재 방향에 있어서 겹쳐지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판부(22)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 있어서, 부체 본체(12)의 바닥면보다 소정 거리 하측에 떨어져 배치되어 있다. 또, 판부(22)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직 방향(수면(W)에 직교하는 방향)에서 본 경우,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지 않는 상태가 된다. 즉, 판부(22)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근방에 배치되고, 일부가 부체 본체(12)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접속부(24)는, 봉상의 부재이며, 판부(22)를 부체 본체(12)에 대하여 고정한다. 접속부(24)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변의 연재 방향으로 복수 마련되어 있고, 판부(22)를 복수 개소에서 부체 본체(12)에 대하여 고정하고 있다. 또, 접속부(24)와 접속부(24)의 사이에는 간격이 있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이상과 같은 구성이며, 접속부(24)에 의하여 판부(22)가 부체 본체(12)와의 사이에 간격이 있는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또, 판부(22)는, 상술한 바와 같이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동요 저감 장치(14)의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또한, 도 3 및 도 4는, 복수의 저감 유닛(20) 중, 하나의 저감 유닛(20)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다른 저감 유닛(20)도 동일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부체(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체 본체(12)를 미는 방향의 파, 이른바 미는 파(50)가 부체 본체(12)에 충돌한 경우, 부체 본체(12)에는, 파 강제력 모멘트(52)가 작용한다. 이 때, 동요 저감 장치(14)는, 미는 파(50)에 의하여 이동하는 수류(54)의 일부가, 판부(22)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56)가 된다. 이 수류(56)는, 미는 파(50)에서 밀려나온 고속류가 됨으로써, 부체 본체(12)의 판부(22)의 근방 바닥면에는, 바닥면의 다른 부분보다 압력이 낮은 영역이 발생한다. 이로써, 동요 저감 장치(14)는, 미는 파(50)측의 면의 저감 유닛(20)의 근방에, 파 강제력 모멘트(52)를 상쇄하는 방향의 힘인 상쇄력(58)을 발생시킨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상쇄력(58)을 발생시킴으로써, 미는 파(50)가 부체 본체(12)에 작용한 경우에 부체 본체(12)에 발생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부체(10)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부체 본체(12)를 당기는 방향의 파, 이른바 당기는 파(60)가 부체 본체(12)에 작용한 경우, 부체 본체(12)에는, 파 강제력 모멘트(62)(파 강제력 모멘트(52)와는 반대 방향의 힘)이 작용한다. 이 때, 동요 저감 장치(14)는, 당기는 파(60)에 의하여 이동하는 수류의 일부가, 판부(22)와 부체 본체(14)의 바닥면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64)가 되고, 나머지의 수류가, 판부(22)의 바닥면을 돌아 들어가는 수류(66)가 된다. 즉, 부체 본체(12)로부터 판부(22)측을 향하는 수류의 경우, 판부(22)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이 겹쳐져 있는 영역의 사이가 좁은 공간이 되어, 수류가 통과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물이 흐르기 어려움), 수류(64)와 수류(66)가 형성된다. 이로써, 당기는 파(60)에서 부체 본체(12)로부터 판부(22)측을 향하는 수류는, 동요 저감 장치(14)의 근방에서 저항이 증가하여, 부체 본체(12)의 판부(22)의 근방 바닥면에, 바닥면의 다른 부분보다 압력이 증가하는 영역이 발생한다. 이로써, 동요 저감 장치(14)는, 당기는 파(60)측의 면의 저감 유닛(20)의 근방에, 파 강제력 모멘트(62)를 상쇄하는 방향의 힘인 상쇄력(68)을 발생시킨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상쇄력(68)을 발생시킴으로써, 당기는 파(60)가 부체 본체(12)에 작용한 경우에 부체 본체(12)에 발생하는 힘을 작게 할 수 있다.
부체(10)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있고, 또한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일부가 겹쳐지게 배치된 판부(22)를 마련함으로써, 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 판부(2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방향에 의하여, 수류의 거동이 상이한 불가역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로써, 미는 파(50)가 작용한 경우와, 당기는 파(60)가 작용한 경우에 부체 본체(12)에 다른 방향의 모멘트를 발생시킬 수 있어, 미는 파(50), 당기는 파(60)에 의해 작용하는 파 강제력 모멘트(52, 62)를 상쇄력(58, 68)으로 적합하게 저감할 수 있다. 또, 부체(10)는, 동요 저감 장치(14)로 효율적으로 동요를 저감할 수 있는 점에서, 부체 본체(12)에 장착하는 장치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4)는, 판부(22)를 접속부(24)로 고정한 간단한 구조로,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이로써, 간단한 구조로 효과적으로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판부(22)의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는 영역을 적정한 비율로 함으로써, 미는 파(50)가 발생한 경우의 수류(56)와, 당기는 파(60)가 발생한 경우의 수류(64, 66)를 적절한 밸런스로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당기는 파(60)가 발생한 경우에, 판부(22)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사이를 수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어, 상쇄력(68)을 적합하게 발생시킬 수 있다.
동요 저감 장치(14)는, 판부(22)와 부체 본체(12)의 거리를 적정 범위로 함으로써, 미는 파(50)가 발생한 경우의 수류(56)와, 당기는 파(60)가 발생한 경우의 수류(64, 66)를 적절한 밸런스로 발생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는 파(50)가 발생한 경우, 압축된 수류(56)를 적절한 속도의 수류로 할 수 있고, 당기는 파(60)가 발생한 경우, 판부(22)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사이를 수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상태로 할 수 있다. 즉, 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 판부(22)의 사이에, 부체 본체(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의 방향이, 부체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방향보다 수류가 통과하기 쉬운 유로(물이 흐르기 쉬운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 판부(22)의 사이에 있어서, 부체 본체(12)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의 방향이, 부체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방향보다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상(바닥면 부근)의 수류가 빨라진다. 이로써, 상쇄력(58, 68)을 적합하게 발생시켜,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보다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여기에서, 부체(10) 및 동요 저감 장치(14)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 5에서 도 10을 이용하여, 부체(10) 및 동요 저감 장치(14)의 변형예인 다른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 변형예에 있어서, 부체(10) 및 동요 저감 장치(14)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부체(10a)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a)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a)는, 복수의 저감 유닛(20a)을 갖는다. 저감 유닛(20a)은, 판부(22a)와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a)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부(22a)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체 본체(12)(부체 본체(12)의 중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 판부(22a)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동요 저감 장치(14a)는, 판부(22a)를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는 것으로도 판부(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판부(22a)는, 판부(22a)를, 부체 본체(1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미는 파 시에 판부(22a)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고,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a)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도 6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6에 나타내는 부체(10b)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b)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b)는, 2개의 저감 유닛(20)을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b)는, 부체 본체(12)의 4변 중 대향하는 2개의 변에만 저감 유닛(20)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같이, 동요 저감 장치(14b)는, 부체 본체(12)의 바깥 가장자리의 전역에 마련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의 변 중에서 선택적으로 동요 저감 장치(14b)를 마련해도 된다. 또, 변형예에서는, 4변 중 대향하는 2변으로 했지만, 3변이어도 되고 1변이어도 되며 대향하지 않는 2변이어도 된다.
도 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부체(10c)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c)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c)는, 4개의 저감 유닛(20c)을 갖는다. 저감 유닛(20c)은, 2개의 판부(22c)와 판부(22c)와 부체 본체(12)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2개의 판부(22c)는, 부체 본체(12)의 변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즉, 2개의 판부(22c)는, 부체 본체(12)의 변의 상이한 위치와 겹쳐져 배치되어 있다. 판부(22c)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부체(10c)는, 부체 본체(12)의 한 변에 대하여 배치하는 동요 저감 장치(14c)의 판부(22c)를 복수로 분할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변형예에서는 하나의 저감 유닛(20c)의 판부를 2개의 판부(22c)로 했지만, 판부의 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저감 유닛은, 판부를 3개 이상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8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부체(10d)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d)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d)는, 4개의 저감 유닛(20d)을 갖는다. 저감 유닛(20d)은, 판부(22d)와 판부(22d)와 부체 본체(12)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d)는, 부체 본체(12)의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판부(22d)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부체 본체(12)에 설치되어 있는 변보다 짧다. 따라서, 판부(22d)는, 부체 본체(12)의 변을 따른 방향에 있어서, 부체 본체(12)의 변의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본 변형예의 판부(22d)는, 부체 본체(12)의 변의 중심을 포함하는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판부(22d)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부체(10d)는, 부체 본체(12)의 한 변에 대하여 배치하는 동요 저감 장치(14d)의 판부(22d)를 부체 본체(12)보다 짧게 해도, 상기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는, 부체 본체의 변에 대하여, 판부를 적정한 범위에서 배치함으로써, 파 강제력 모멘트에 대한 상쇄력을 적합한 크기로 할 수 있고,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부체(10e)는, 부체 본체(12a)와, 동요 저감 장치(14e)를 갖는다. 부체 본체(12a)는,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의 외주가 원형이 되는 원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다. 동요 저감 장치(14e)는, 부체 본체(12a)의 바닥면의 원형 바깥 가장자리의 일부에 배치된 저감 유닛(20e)을 갖는다. 본 변형예의 동요 저감 장치(14e)는, 2개의 저감 유닛(20e)이 원형 바깥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저감 유닛(20e)은, 링의 일부를 절취한 형상(부채형 형상)의 판부(22e)와 판부(22e)와 부체 본체(12a)를 접속하는 접속부(24)를 갖는다.
도 10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0에 나타내는 부체(10f)는, 부체 본체(12b)와, 동요 저감 장치(14f)를 갖는다. 부체 본체(12b)는,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의 외주가 팔각형이 되는 다각 기둥 형상의 구조물이다. 동요 저감 장치(14f)는, 부체 본체(12b)의 바닥면의 팔각형 바깥 가장자리 8변의 각각에 배치된 저감 유닛(20f)을 갖는다. 저감 유닛(20f)은, 판부(22f)와 판부(22f)와 부체 본체(12b)를 접속하는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f)는, 부체 본체(12)의 변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동요 저감 장치를 설치하는 부체 본체의 형상은 바닥면이 직사각형이 되는 직육면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에 적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는 부체(10g)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g)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g)는, 복수의 저감 유닛(20g)을 갖는다. 저감 유닛(20g)은, 판부(22g)와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g)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져 있는 제1 판부(70)와, 제1 판부(70)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연결되어,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2 판부(72)를 갖는다. 즉, 판부(22g)는, 각도가 상이한 2매의 판이 연결되어 있다. 또, 제1 판부(70)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체 본체(12)(부체 본체(12)의 중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 판부(22g)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동요 저감 장치(14g)는, 판부(22g)로서,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판부(70)와, 제2 판부(70)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뻗은 제2 판부(72)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판부(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판부(22g)는, 제1 판부(70)를, 부체 본체(1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미는 파 시에 판부(22g)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고,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g)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2 판부(72)에 의하여,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g)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또, 판부(22g)는, 제1 판부(70)와 제2 판부(72)를 조합함으로써, 판부(22a)의 경우보다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12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나타내는 부체(10h)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h)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h)는, 복수의 저감 유닛(20h)을 갖는다. 저감 유닛(20h)은, 판부(22h)와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저감 유닛(20h)은, 저감 유닛(20a)을 부체 본체(12)의 중심측으로 이동시켜, 판부(22h)가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는 것 이외에는 저감 유닛(20a)과 동일한 구조이다.
동요 저감 장치(14h)는, 판부(22h)가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지는 배치로 해도, 판부(22h)를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하여, 판부(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동요 저감 장치(14h)는, 판부(22h)를, 부체 본체(1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임으로써, 미는 파 시에 판부(22h)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를 보다 많게 할 수 있고,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h)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 본체(12)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4h)는, 판부(22h)가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지는 배치로 함으로써, 선박(선체)이나 부체 등의 부유물(80)을 부체 본체(12)에 접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동요 저감 장치는, 불가역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판부가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지는 배치로 해도 되지만, 판부의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는 배치로 함으로써, 동요의 저감 효과를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3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나타내는 부체(10i)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i)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i)는, 복수의 저감 유닛(20i)을 갖는다. 저감 유닛(20i)은, 판부(22i)와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i)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1 판부(90)와,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판부(92)를 갖는다. 판부(22i)는, 각도가 상이한 2매의 판이 연결되어 있다. 판부(22i)는, 제1 판부(90)와 제2 판부(92)의 연결부가 접속부(24)와 연결되어 있다. 제1 판부(90)는, 연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가 접속부(24)에 접속되어 있다. 제2 판부(92)는, 부체 본체(12)의 중심측의 단부가 접속부(24)와 접속되어 있다. 또, 판부(22i)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부(90)는,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다. 제2 판부(92)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동요 저감 장치(14i)는, 판부(22i)로서,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1 판부(90)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판부(92)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판부(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부(90)보다,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i)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나타내는 부체(10j)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j)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j)는, 복수의 저감 유닛(20j)을 갖는다. 저감 유닛(20j)은, 판부(22j)와 복수의 접속부(24)를 갖는다. 판부(22j)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제1 판부(94)와, 제1 판부(94)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연결되고,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판부(96)를 갖는다. 즉, 판부(22j)는, 각도가 상이한 2매의 판이 연결되어 있다. 또, 제2 판부(96)는, 부체 본체(12)의 중심측의 단부가 제1 판부(94)와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판부(94)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체 본체(12)(부체 본체(12)의 중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판부(94)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다. 또, 판부(22j)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이 점은, 판부(22)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부(94)는, 모두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다. 제2 판부(96)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동요 저감 장치(14j)는, 판부(22j)로서,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제1 판부(94)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제2 판부(96)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판부(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판부(94)보다, 당기는 파 시에, 판부(22j)와 부체 본체(12)의 사이에 유입되는 수류의 저항을 보다 크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판부는, 불가역 유로를 형성할 수 있으면 되고,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의 판 형상 부재를 조합할 수 있다. 또, 각도가 상이한 복수의 판부를 조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5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동요 저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어느 동요 저감 장치도 판부와 판부를 부체 본체에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는 구조로 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5에 나타내는 부체(10k)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4k)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4k)는, 복수의 저감 유닛(20k)을 갖는다. 저감 유닛(20k)은, 유로(101)와 회동(回動)부(102, 104)를 갖는다. 유로(101)는, 부체 본체(12)의 측면과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개구가 형성되어, 부체 본체(12)의 측면과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을 연결하고 있다. 유로(101)는, 부체 본체(12)의 측면으로부터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을 향함에 따라 유로 면적이 좁아지고 있다.
회동부(102)는, 유로(101)의 부체 본체(12)의 측면의 개구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 회동부(102)는, 개구의 연직 방향 하측을 기점으로 하여, 판 형상의 부재를 회동시킨다. 회동부(102)는, 판 형상의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유로(101)를 개방하고, 판 형상의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유로(101)를 폐쇄한다.
회동부(104)는, 유로(101)의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개구 근방에 마련되어 있다.회동부(104)는, 개구의 부체 본체(12)의 단부 근방측을 기점으로 하여, 판 형상의 부재를 회동시킨다. 회동부(104)는, 판 형상의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유로(101)를 폐쇄하고, 판 형상의 부재를 수직 방향으로 배치함으로써, 유로(101)를 개방한다.
동요 저감 장치(14k)는, 유로(101)가, 미는 파 시에 수류가 통과하기 쉽고, 당기는 파 시에 수류가 통과하기 어려운 불가역 유로가 된다. 이와 같이, 부체 본체(12)에 유로를 형성하는 것으로도, 동요 저감 장치(14)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유로(101)는, 부체 본체(12)의 측면으로부터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을 향함에 따라 유로 면적을 좁게 함으로써, 미는 파 시에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4k)는, 회동부(102, 104)의 판 형상의 부재가 수류를 유도하는 핀(fin)이 된다. 또한, 동요 저감 장치(14k)는, 회동부(102, 104)에 의하여, 유로(101)를 개폐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10k)는, 동요의 저감이 불필요한 경우, 예를 들면, 부체(10k)를 목적지에 설치하기 위하여 이동(항행)시키는 경우에는, 회동부(102, 104)로 유로(101)를 폐쇄함으로써, 이동 시의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7은,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부체의 동요 저감 장치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는 부체(110)는, 부체 본체(12)와, 동요 저감 장치(114)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14)는, 저감 유닛(120)을 갖는다. 저감 유닛(120)은,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의 하나의 변에 배치되어 있다.
저감 유닛(120)은, 판부(122)와 복수의 접속부(124)를 갖는다. 판부(122)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배치되어 있는 부체 본체(12)의 변(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이 길이 방향이 되는 판이다. 판부(122)는,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가 접속부(124)에 접속되어 있다. 접속부(124)는, 배치되어 있는 부체 본체(12)의 변(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124)는, 판부(122)와 부체 본체(12)에 고정되어, 판부(122)를 부체 본체(12)에 고정하고 있다.
판부(122)는, 각도가 상이한 2매의 판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판부(122)는,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가 접속부(124)와 접속하는 제1 판부(130)와, 제1 판부(130)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연결되는 제2 판부(132)를 갖는다. 본 실시형태의 제1 판부(130)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소정 각도 경사져 있다. 제2 판부(132)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직교한다. 또, 제1 판부(130)는,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 있어서, 부체 본체(12)(부체 본체(12)의 중심)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져 있다. 또, 판부(122)는,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지고, 일부가 부체 본체(12)와 겹쳐져 있지 않다.
동요 저감 장치(114)는, 판부(122)로서, 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진 제1 판부(130)와, 제1 판부(130)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연직 방향으로 뻗은 제2 판부(132)를 마련하는 것으로도, 판부(122)와 동일한 수류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는, 동요 저감 장치(14g)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동요 저감 장치(114)는, 부체 본체(12)에 설정되어 있는 흘수선으로부터 부체 본체(12)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즉 바닥면)까지의 거리인 부체 본체(12)의 흘수를 d로 하고, 배치되어 있는 부체 본체(12)의 변(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에 직교하는 면에 있어서의 가장 큰 면의 길이인, 판부(122)의 접속부(124)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한 경우, 0.05≤b/d≤0.5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판부(122)의 접속부(124)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은, 동요 저감 장치(114)와 같이 각도가 상이한 제1 판부(130)와 제2 판부(132)를 갖는 경우, 제1 판부(130)의 폭이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는,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부체 본체(12)와 판부(122)의 거리를 s로 한 경우, 0.01≤s/d≤0.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폭(b)과 거리(s)와 흘수(d)의 관계를 상기 범위로 함으로써, 부체 본체(12)와 판부(122)의 사이에서 물이 통과하는 범위를 적절한 크기로 할 수 있고, 판부(122)의 주위를 통과하는 수류를 원하는 수류로 할 수 있다. 이로써,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영역에서의 수류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어, 미는 파 시에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는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되어,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는, 판부(122)의 접속부(124)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인 제1 판부(130)의 면적이 가장 큰 면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 (θ) 을 0˚ 이상 9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판부(130)를 수평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했지만, 제1 판부(130)를 수평 방향(θ=90˚)으로 해도 된다. 또, 제1 판부(130)를 연직 방향(θ=0˚)으로 해도 된다.
각도(θ)를 0˚ 이상 90˚ 이하로 함으로써, 판부(122)와 부체 본체(12)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를 원하는 수류로 할 수 있다. 즉,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영역에서의 수류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어, 미는 파 시에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는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는,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부체 본체(12)의 단부면과 판부(122)의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의 거리를 x0으로 한 경우, 0≤x0≤b×sinθ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x0을 0보다 크게 하여,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판부(122)는, 부체 본체(12)와 일부가 겹쳐지고, 일부가 겹쳐지지 않는 배치로 했지만, x0을 0으로 하여,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판부(122)가 부체 본체(12)와 접하는 배치로 해도 된다.
판부(122)를 부체 본체(12)에 대하여 상기 범위에서 배치함으로써, 판부(122)와 부체 본체(12)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를 원하는 수류로 할 수 있다. 즉,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영역에서의 수류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고, 미는 파 시에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상(부체 본체(12)의 바닥면과 판부(122)의 사이 중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부근)을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는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는, 제2 판부(132)의 가장 큰 면의 연직 방향의 길이(높이)를 h로 한 경우, 0<h/b≤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판부(132)를 상기 범위의 크기로 함으로써, 판부(122)와 부체 본체(12)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를 원하는 수류로 할 수 있다. 즉,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영역에서의 수류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어, 미는 파 시에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는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동요 저감 장치(114)는, 판부(122)가 제2 판부(132)를 갖는 형상으로 했지만,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이 판부(122)가 제2 판부(132)를 갖지 않는, 즉 h=0이 되는 형상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도 판부(122)와 부체 본체(12)의 사이를 통과하는 수류를 원하는 수류로 할 수 있다. 즉, 부체 본체(12)의 바닥면 영역에서의 수류를 적합하게 형성할 수 있어, 미는 파 시에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를 보다 빠르게 하고, 당기는 파 시에는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을 흐르는 수류가 보다 흐르기 어렵게 된다. 이로써, 동요를 보다 저감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폭(b)과 길이(h)의 관계는, 0=h/b=1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의 동요 저감 장치(114)는, 저감 유닛(120)을 1개 구비하는 경우로서 설명하지만,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복수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에서, 도 19는, 다른 실시형태의 부체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9에 나타내는 부체(160)는, 부체 본체(112)와 요동 저감 장치(162)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62)는, 부체 본체(112)의 바닥면(바깥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2개의 변의 각각에 저감 유닛(120)을 배치하고 있다. 부체(160)와 같이, 부체 본체(112)의 바깥 가장자리의 대향하는 2개의 변의 각각에 저감 유닛(120)을 배치해도 된다.
다음으로, 도 20 내지 도 22를 이용하여, 동요 저감 장치의 계측 결과의 일례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은, 각각 동요 저감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계측 결과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계측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동요 저감 장치를 갖는 실시예 1, 실시예 2에 대하여, 계측을 행했다. 또, 비교를 위하여, 동요 저감 장치를 구비하지 않는, 즉 부체 본체만을 구비하는 경우에 대해서도 계측을 행했다.
실시예 1은, 도 20에 나타내는 부체(110a)로 계측을 행했다. 도 20에 나타내는 부체(110a)는, 동요 저감 장치(114a)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14a)는, 저감 유닛(120a)을 갖는다. 저감 유닛(120a)은, 판부(122a)와 복수의 접속부(124)를 갖는다. 판부(122a)는, 제1 판부(130a)와 제2 판부(132a)를 갖는다. 판부(122a)는, 상술하는 거리(x0)가 0이며, 각도(θ)가 90˚ 미만이 된다. 즉, 제1 판부(130a)는, 수평 방향(부체 본체(12)의 바닥면)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또, 동요 저감 장치(114a)는,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인, 0.05≤b/d≤0.5, 0.01≤s/d≤0.2, 0˚≤θ≤90˚, 0≤x0≤b×sinθ, 0≤h/b≤1 의 전부를 충족시키고 있다. 접속부(124a)는, 배치되어 있는 부체 본체(12)의 변(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124a)는, 판부(122a)와 부체 본체(12)에 고정되어, 판부(122a)를 부체 본체(12)에 고정하고 있다.
실시예 2는, 도 21에 나타내는 부체(110b)에서 계측을 행했다. 도 21에 나타내는 부체(110b)는, 동요 저감 장치(114b)를 갖는다. 동요 저감 장치(114b)는, 저감 유닛(120b)을 갖는다. 저감 유닛(120b)은, 판부(122b)와 복수의 접속부(124)를 갖는다. 판부(122b)는, 1매의 판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제2 판부를 구비하지 않는다. 판부(122b)는, 상술하는 거리(x0)가 0보다 크고, 각도(θ)가 90˚ 미만이 된다. 또, 길이(h)가 0이 된다. 상기 형상의 동요 저감 장치(114b)는, 상술한 바람직한 범위인, 0.05≤b/d≤0.5, 0.01≤s/d≤0.2, 0˚≤θ≤90˚, 0≤x0≤b×sinθ, 0≤h/b≤1 의 전부를 충족시키고 있다. 접속부(124b)는, 배치되어 있는 부체 본체(12)의 변(바깥 가장자리)의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배치되어 있다. 접속부(124b)는, 판부(122b)와 부체 본체(12)에 고정되어, 판부(122b)를 부체 본체(12)에 고정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실시예 1, 2 및 비교예의 부체를, 수면에 띄우고, 파를 발생시킨 경우에 부체 본체에 발생하는 경사(롤각)의 진폭을 계측했다. 계측 결과를 도 22에 나타낸다. 도 22는, 규칙파 시험의 결과이며, 부체 롤각이 커지는 파 주기에서의 디바이스 유무에 의한 진폭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도 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2의 부체는, 부체의 동요를 저감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10 부체
12 부체 본체
14 동요 저감 장치
20 저감 유닛
22 판부
24 접속부
W 수면
12 부체 본체
14 동요 저감 장치
20 저감 유닛
22 판부
24 접속부
W 수면
Claims (11)
- 수상에 부유하는 부체 본체의 동요 저감 장치로서,
상기 부체 본체의 연직 방향 하측에 배치된 판부와,
상기 판부와 상기 부체 본체를, 상기 부체 본체와 상기 판부의 사이에 물이 흐르는 상태로 접속하는 접속부를 갖고,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과의 사이에, 상기 부체 본체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의 방향이, 상기 부체 본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의 방향보다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 상의 수류가 빨라지는 유로를 형성하는 동요 저감 장치로서,
상기 부체 본체의 흘수를 d로 하고,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하며, 수직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부체 본체와 상기 판부의 거리를 s로 한 경우, 0.05≤b/d≤0.5이고, 또한 0.01≤s/d≤0.2이고,
상기 판부는, 면적이 가장 큰 면이, 상기 부체 본체의 바닥면에 대하여 상기 부체 본체로부터 멀어짐에 따라 연직 방향 하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경사져 있는 부분을 포함하고, 연직 방향에서 본 경우, 상기 부체 본체와 일부가 겹쳐지고, 일부가 겹쳐지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 저감 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이 0˚ 이상 9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 저감 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하고, 상기 판부의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의 면적이 가장 큰 면과 수직 방향이 이루는 각을 θ로 하며, 수평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부체 본체의 단부면과 상기 판부의 연직 방향 상측의 단부의 거리를 x0으로 한 경우, 0≤x0≤b×sin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 저감 장치. -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판부는, 상기 접속부와 접속하고 있는 부분인 제1 판부와, 상기 제1 판부의 연직 방향 하측의 단부에 접속되고, 가장 큰 면이 연직 방향과 평행이 되는 제2 판부를 가지며,
상기 제2 판부의 가장 큰 면의 연직 방향의 길이를 h로 하고, 상기 제1 판부의 면적이 가장 큰 면의 폭을 b로 한 경우, 0<h/b≤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요 저감 장치. -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동요 저감 장치와,
상기 동요 저감 장치가 설치된 부체 본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부체 본체는, 바닥면의 바깥 가장자리가 복수의 변으로 형성되고,
상기 동요 저감 장치는, 복수의 상기 변 중, 적어도 한 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 청구항 5 에 있어서,
상기 동요 저감 장치는, 상기 부체 본체의 바깥 가장자리의 전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체.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3273153 | 2013-12-27 | ||
JPJP-P-2013-273153 | 2013-12-27 | ||
PCT/JP2014/084422 WO2015099093A1 (ja) | 2013-12-27 | 2014-12-25 | 動揺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74657A KR20160074657A (ko) | 2016-06-28 |
KR101847318B1 true KR101847318B1 (ko) | 2018-04-09 |
Family
ID=53478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7013522A KR101847318B1 (ko) | 2013-12-27 | 2014-12-25 |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JP (1) | JP6196687B2 (ko) |
KR (1) | KR101847318B1 (ko) |
CN (1) | CN105764790B (ko) |
WO (1) | WO2015099093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FR3054522B1 (fr) * | 2016-07-26 | 2019-04-05 | IFP Energies Nouvelles | Support flottant comportant un flotteur et une plaque d'amortissement avec section variable avec la profondeur |
CN108516062A (zh) * | 2017-02-27 | 2018-09-11 | 林昌亿 | 稳定性好的船 |
US10953963B2 (en) | 2017-07-10 | 2021-03-23 | Cefront Technology As | Offshore vessel for production and storage of hydrocarbon products |
KR102128795B1 (ko) * | 2018-07-03 | 2020-07-01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부유식 구조물 및 선체 계류용 조립체 |
CN113386916B (zh) * | 2020-08-13 | 2024-08-16 | 蒋知秋 | 一种牵引绳固定的海上风电用防浪底座 |
CN114906289A (zh) * | 2022-05-31 | 2022-08-16 |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 一种漂浮式平台和漂浮式光伏发电系统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8691A (ja) * | 2002-07-24 | 2004-02-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浮体の動揺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 |
JP2012066671A (ja) * | 2010-09-22 | 2012-04-05 |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 動揺低減装置および浮体 |
Family Cites Families (1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697091B2 (ja) * | 1998-11-18 | 2005-09-21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浮体の動揺低減装置 |
JP4358456B2 (ja) | 2000-05-16 | 2009-11-04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浮体の動揺低減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浮体 |
JP2004161203A (ja) * | 2002-11-15 | 2004-06-10 | National Maritime Research Institute | 浮体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 |
JP2004268683A (ja) * | 2003-03-06 | 2004-09-30 | Mitsubishi Heavy Ind Ltd | 係留システム |
JP4798573B2 (ja) | 2004-10-04 | 2011-10-19 | 株式会社アイ・エイチ・アイ マリンユナイテッド | 浮体構造物の動揺低減装置 |
CN101481010A (zh) * | 2008-01-09 | 2009-07-15 | 林友根 | 一种减轻船舶摇动并能产生推力的装置 |
KR101164085B1 (ko) * | 2009-09-15 | 2012-07-12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해양구조물의 횡동요 저감 장치 |
CN201834187U (zh) * | 2010-07-26 | 2011-05-18 | 上海派恩科技有限公司 | 一种减摇鳍电液控制系统 |
JP2012096601A (ja) * | 2010-10-29 | 2012-05-24 | Mitsubishi Heavy Ind Ltd | 浮体の動揺低減装置 |
KR101302986B1 (ko) * | 2010-12-17 | 2013-09-03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 |
JP5638380B2 (ja) * | 2010-12-20 | 2014-12-10 | 三菱重工業株式会社 | 動揺低減装置及び揺れ低減浮体 |
CN102219045A (zh) * | 2011-04-21 | 2011-10-19 | 广东工业大学 | 一种轮船减摇装置 |
CN102602510B (zh) * | 2011-12-15 | 2015-07-22 | 深圳市海斯比船艇科技股份有限公司 | 抗撞减摇型单体船 |
-
2014
- 2014-12-25 WO PCT/JP2014/084422 patent/WO2015099093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25 CN CN201480064330.5A patent/CN105764790B/zh active Active
- 2014-12-25 KR KR1020167013522A patent/KR10184731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25 JP JP2015555029A patent/JP6196687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058691A (ja) * | 2002-07-24 | 2004-02-26 | Mitsubishi Heavy Ind Ltd | 浮体の動揺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 |
JP2012066671A (ja) * | 2010-09-22 | 2012-04-05 | Nippon Steel Engineering Co Ltd | 動揺低減装置および浮体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764790A (zh) | 2016-07-13 |
JPWO2015099093A1 (ja) | 2017-03-23 |
KR20160074657A (ko) | 2016-06-28 |
WO2015099093A1 (ja) | 2015-07-02 |
JP6196687B2 (ja) | 2017-09-13 |
CN105764790B (zh) | 2018-07-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7318B1 (ko) | 동요 저감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부체 | |
US7500440B2 (en) | Roll motion damping device for a floating body | |
WO2012057112A1 (ja) | 浮体の動揺低減装置 | |
ES2895353T3 (es) | Placa de elevación con características mejoradas | |
KR102423560B1 (ko) | 유동 거동을 제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포노닉 재료 | |
JP2017101674A (ja) | 波力発電機 | |
JP6966393B2 (ja) | 係留システム | |
KR101019051B1 (ko) | 해양 플랫폼의 동요 감쇠장치 | |
JP2010247646A (ja) | 浮体式洋上風力発電における浮体式構造物とその係留方法 | |
KR101693422B1 (ko) | 부유식 해상공항 | |
JP5638380B2 (ja) | 動揺低減装置及び揺れ低減浮体 | |
US2972233A (en) | Wave breaking device | |
JP5577206B2 (ja) | 動揺低減装置および浮体 | |
KR101162441B1 (ko) | 부유식 구조물 | |
US9151008B1 (en) | Wave break device | |
JP2005239157A (ja) | 浮体の動揺低減装置 | |
JP2016147635A (ja) | 動揺低減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浮体 | |
JP6138212B2 (ja) | 浮式消波装置 | |
JPH06108416A (ja) | 消波装置付き浮桟橋 | |
TWI747476B (zh) | 彈性浮體裝置 | |
JP2024115001A (ja) | 係留システム | |
JP7100317B2 (ja) | 越波抑制装置 | |
JP2004225284A (ja) | 浮体構造 | |
JPH02136413A (ja) | 大水深浮消波堤 | |
JPH07279125A (ja) | 浮き桟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