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142B1 -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142B1
KR101847142B1 KR1020170177530A KR20170177530A KR101847142B1 KR 101847142 B1 KR101847142 B1 KR 101847142B1 KR 1020170177530 A KR1020170177530 A KR 1020170177530A KR 20170177530 A KR20170177530 A KR 20170177530A KR 101847142 B1 KR101847142 B1 KR 101847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uction heating
heating furnace
rod
discharge
cool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7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봉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성인덕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성인덕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성인덕션
Priority to KR1020170177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52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 C21D9/525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wires; for strips ; for rods of unlimited length for wire, for rod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1/00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 C21D1/34Methods of heating
    • C21D1/42Induction he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0006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 C21D9/0018Details, accessories not peculiar to any of the following furnaces for charging, discharging or manipulation of char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5Process efficienc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Induction Heating (AREA)
  • Heat Treatment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료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감아 보관토록 하고, 상기 소재배출봉을 회전롤에서 풀때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유도가열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apparatus for discharge of material and method for discharge materials using the same in induction heater}
본 발명은 재료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 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감아 보관토록 하고, 상기 소재배출봉을 회전롤에서 풀때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유도가열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길이가 긴 파이프 또는 환봉과 같은 막대형상의 봉 상의 재료에 대해서 경도와 강도 등의 기계적 성질을 증대시키거나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을 위하여 열처리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표면의 열처리방법으로는 다양한 방법이 있는데, 봉의 경우 소재를 일정한 속도로 이송하면서 표면에 화염 또는 고주파의 전자기파를 조사하여 가열하여 열처리 방법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특허 제1113526호에 봉의 열처리 장치 기술이 제시되고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열처리대상인 봉들을 적치하여 순차 연속공급하는 스텝피더(10); 상기 스텝피더(10)로부터 공급된 봉을 한쪽 방향으로 일정한 속도로 수평 이송시키는 이송장치(20); 상기 이송장치(20)에 의해 이송된 봉을 정해진 위치로 안내하는 안내부(30); 상기 안내부(30)를 거쳐 온 봉을 회전시키면서 진행시키는 것으로서,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의 회전이송장치(40);상기 회전이송장치(40)에 의해 회전하면서 진행되는 봉을 고주파 전자기파로 가열시키는 가열부(50); 그리고 상기 가열부(50)에서 가열된 봉을 냉각시키는 냉각부(60);를 포함하여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열처리 장치는 단봉을 열처리 할 경우 일정길이의 단봉을 유도가열로의 내측에 연속하여 투입함으로써 단봉이 다른 단봉을 밀게되는 구성으로 열처리 작업이 완료된 단봉을 순차로 배출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처리 장치는, 하루일과가 끝나거나 휴식시간중 가열된 단봉이 유도가열로의 내측에 그대로 위치토록 되어 작업시작시 다시 한번 가열하여야 하여 원가를 상승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소재를 배출할 경우 가열부의 길이에 대응되는 봉을 구비하여 배출작업을 수행하여야 하여 보관 및 작업이 번거롭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소재배출봉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최소의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토록 하고, 작업의 종료시 소재를 완벽하게 배출하여 소재의 낭비를 방지토록 하며, 소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소재의 열처리가 가능토록 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원가를 절감토록 하며, 재가열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와 시간낭비를 없애 원가를 절감할 수 있도록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재료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감아 보관토록 하고, 상기 소재배출봉을 회전롤에서 풀때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그리고, 상기 소재배출봉은, 냉각수단을 갖는 선단배출봉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은 선단배출봉에 연결되면서 회전롤에 연결되는 외부로 부터 냉각수가 순환토록 설치되는 냉각수관을 통하여 지지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더하여, 상기 소재배출봉은, 연결봉이 힌지 또는 볼을 통하여 연결되면서 그 내측에 냉각수관이 연결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상기 유도가열로의 입구측에 설치되는 재료투입부; 및, 상기 재료투입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재료를 유도가열로에 순차로 공급하는 공급봉이 구비되면서 재료를 일정거리만큼 이송토록 이송수단이 구비되는 재료투입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로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권취토록 설치하고, 상기 소재배출봉은 냉각수단을 갖는 선단배출봉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봉은 선단배출봉에 연결되면서 회전롤에 연결되는 외부로 부터 냉각수가 순환토록 설치되는 냉각수관을 통하여 지지토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재료투입부는,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에 대하여 폭 조절이 가능토록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내측에 핸들의 회전시 양쪽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되는 양측의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진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재료투입부는, 지지블럭에 설치되면서 모터로서 이동되는 복수의체인으로 이루어진 접지부가 스프링이 개재되는 밀착판을 통하여 가변토록 설치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를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재배출봉의 길이를 최소화 하여 최소의 공간에서 설치가 가능하고, 작업의 종료시 소재를 완벽하게 배출하여 소재의 낭비를 방지하며, 소재의 직경에 상관없이 다양한 크기를 갖는 소재의 열처리가 가능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설치가 가능함은 물론 유지보수가 용이하게 원가를 절감하며, 재가열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와 시간낭비를 없애 원가를 절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1은 종래의 열처리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장치의 소재배출방법을 도시한 동작순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재배출봉의 연결상태도이다.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처리 장치의 소재배출방법을 도시한 동작순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에에 따른 소재배출봉의 연결상태도이며, 도4 및 도5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유도가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재료(M)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100)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L)를 갖는 소재배출봉(200)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300)에 감아 보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소재배출봉(200)의 길이가 회전롤(300)에서 풀려질 때 전체길이(L)에 해당되는 동작길이(L1) 이상을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100)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토록 한다.
더하여, 상기 소재배출봉(200)은, 냉각수단을 갖는 선단배출봉(210)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봉(230)으로 이루어진다.
계속하여, 상기 연결봉(230)은, 선단배출봉(210)의 후단에 다절형상을 갖도록 연속하여 연결되면서 회전롤(300)에 연결되어 회전롤에 구비되는 냉각수공급관을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가 순환토록 설치되는 냉각수관(400)을 통하여 지지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냉각수단은 복수의 냉각수관을 통하여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간으로 이루어진다.
더하여, 상기 연결봉(230)은, 내경이 관통되는 형상으로 그 내측에 냉각수관이 삽입되면서 각각의 연결봉이 힌지(250) 또는 볼(270)을 통하여 연결토록 설치되는 다절 형상으로 이루어져도 좋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및 선단배출봉은 내구성을 위하여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화성을 갖는 금속 또는 세라믹재로 이루어져도 좋다.
한편, 본 발명 유도가열장치(6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610)와 상기 유도가열로(61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재료를 유도가열로(610)에 순차로 공급토록 재료투입부(650)가 일체로 설치된다.
더하여, 상기 재료투입부(650)의 일측에 운전 정지시 유도가열로 내측의 소재를 배출토록 소재배출봉(200)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소재배출봉(200)은, 상기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 이상을 갖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배출봉(200)은,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용이하게 권취토록 설치된다.
계속하여, 상기 재료투입부(650)는,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에 대하여 폭 조절이 가능토록 간격조절수단(620)이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수단(620)은, 핸들(621)의 회전시 양쪽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가이드바(623)을 따라 이동토록 내측에 가이드바에 대응되는 기어를 갖는 양측의 지지블럭(625)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재료투입부(650)는, 지지블럭(625)에 설치되면서 모터(미도시)로서 구비되는 복수의 체인(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접지부(642)가 스프링(644)이 개재되는 밀착판(646)을 통하여 가변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100) 내측에 재료(M)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를 수행하고, 열처리된 소재(M)는 후에 투입되는 재료에 의해 배출토록 된다.
이때, 상기 유도가열로(100)는 소재의 열처리 온도에 따라 복수개가 직렬로 배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연속적인 열처리가 수행토록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열처리 작업의 종료시 재료의 투입이 종료되면 열처리를 위하여 투입되는 소재를 유도가열로(100)의 내측에서 소재배출봉(200)에 의해 배출토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소재배출봉(200)은,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100)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L) 이상을 갖도록 형성되면서 다절로 이루어져 회전롤(300)에 감길수 있도록 함으로써 최소의 공간에서 보관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소재배출봉(200)의 길이는 회전롤(300)에서 풀려질 때 유도가열로의 전체길이(L)에 해당되는 동작길이(L1) 이상을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100)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상기 소재배출봉(200)은, 냉각수단을 갖는 금속재의 선단배출봉(210)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면서 목재로 이루어진 복수의 연결봉(230)으로 이루어져 최소의 비용으로 제작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선단배출봉의 소재에 직접 접촉되는 구성으로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내측에 냉각수의 유동이 가능토록 되어 일정 온도이상으로 가열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연결봉및 선단배출봉은 내구성을 위하여 목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내화성을 갖는 금속 또는 세라믹재로 이루어져도 좋다.
계속하여, 상기 연결봉(230)은, 선단배출봉(210)의 후단에 다절 형상을 갖도록 연속하여 연결되면서 회전롤(300)에 연결되어 회전롤에 구비되는 냉각수공급관(450)을 통하여 외부로 부터 유입되는 냉각수가 순환토록 설치되는 냉각수관(400)을 통하여 지지토록 설치되어 회전롤에 용이하게 감겨 지도록 하면서 펼쳐질 때 일정한 길이를 형성하도록 된다.
더하여, 상기 연결봉(230)은, 내경이 관통되는 형상으로 그 내측에 냉각수관이 삽입되면서 각각의 연결봉이 힌지(250) 또는 볼(270)을 통하여 연결되어도 회전롤에 용이하게 감기도록 된다.
한편, 본 발명 유도가열장치(6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100)와 상기 유도가열로(100)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재료를 유도가열로(100)에 순차로 공급토록 재료투입부(650)가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재료를 연속투입하면서 열처리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재료투입부(650)에는 모터 및 스프라켓휠로서 구동되는 복수의 체인으로 이루어지면서 모터의 회전시 체인이 이동하는 이송수단이 구비되어 체인이 재료를 저면 또는 측면에서 접촉지지하여 각각의 재료를 용이하게 순차 공급토록 한다.
계속하여, 상기 재료투입부(650)는, 간격조절수단(620)이 더 구비되어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에 대하여 폭 조절이 가능토록 됨으로써 다양한 크기의 재료를 열처리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간격조절수단(620)은, 핸들(621)의 회전시 양쪽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가이드바(623)을 따라 이동토록 설치되는 양측의 지지블럭(625)으로 이루어져 핸들의 회전시 양측의 지지블럭이 내측 및 외측으로 각각 이동하여 재료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 조절이 가능토록 된다.
또한, 상기 재료투입부(650)는, 지지블럭(625)에 설치되면서 모터(미도시)로서 구비되는 복수의 체인(미도시)으로 이루어진 접지부(642)가 스프링(644)이 개재되는 밀착판(646)을 통하여 가변토록 설치되어 투입되는 재료에 적절한 밀착력을 제공하여 이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100...유도가열로 200...소재배출봉
210...선단배출봉 230...연결봉
300...회전롤 400...냉각수관
610...유도가열로 630...재료투입부
644...스프링

Claims (6)

  1. 재료가 순차로 투입되면서 열처리되는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 이상을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감아 보관토록 하고,
    핸들의 회전시 양쪽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되는 양측의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진 간격조절수단이 구비된 재료투입부를 따라 재료의 크기에 대응하여 폭조절을 하여 재료를 일정거리만큼 이송토록 하며,
    상기 소재배출봉이 회전롤에서 풀려 질 때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 이상을 갖도록 하여 유도가열로에 삽입되는 재료를 배출토록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봉은, 냉각수단을 갖는 선단배출봉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봉은, 선단배출봉에 연결되면서 회전롤에 연결되어 외부로 부터 냉각수가 순환토록 설치되는 냉각수관을 통하여 회전롤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배출봉은, 선단에 선단배출봉이 설치되면서 그 후방에 연결되는 각각의 연결봉이 힌지 또는 볼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봉의 내측에 냉각수관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 방법.
  4.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도가열로, 상기 유도가열로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재료를 유도가열로에 순차로 공급하는 공급봉이 구비되면서 재료를 일정거리만큼 이송토록 이송수단이 구비되는 재료투입부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로 전체길이에 해당되는 길이를 갖는 소재배출봉을 다절로 형성하여 회전롤에 권취토록 설치하고, 상기 소재배출봉은 냉각수단을 갖는 선단배출봉과 그 후단에 일정간격을 갖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봉은 선단배출봉에 연결되면서 회전롤에 연결되는 외부로 부터 냉각수가 순환되는 냉각수관을 통하여 지지토록 설치되고,
    상기 재료투입부는, 투입되는 재료의 크기에 대하여 폭 조절이 가능토록 간격조절수단이 더 구비되며, 상기 간격조절수단은 내측에 핸들의 회전시 양쪽에서 서로 다른 피치를 갖는 가이드바를 따라 이동토록 설치되는 양측의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5. 삭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재료투입부는, 지지블럭에 설치되면서 모터로서 구동되는 복수의 체인으로 이루어진 접지부가 스프링이 개재되는 밀착판을 통하여 가변토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KR1020170177530A 2017-12-21 2017-12-21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KR101847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30A KR101847142B1 (ko) 2017-12-21 2017-12-21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7530A KR101847142B1 (ko) 2017-12-21 2017-12-21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142B1 true KR101847142B1 (ko) 2018-04-09

Family

ID=619783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7530A KR101847142B1 (ko) 2017-12-21 2017-12-21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1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03B1 (ko) * 2018-08-10 2020-01-21 주식회사 흥국 유도 가열로의 푸시아웃 바
KR20220033203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용 시편장입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758U (ko) * 1981-03-25 1982-09-29
KR101611786B1 (ko) * 2015-02-06 2016-04-12 황길섭 금속봉의 유도 가열 및 회전 확산 장치
JP2017133059A (ja) * 2016-01-27 2017-08-03 第一熱処理工業株式会社 鋼管の冷却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54758U (ko) * 1981-03-25 1982-09-29
KR101611786B1 (ko) * 2015-02-06 2016-04-12 황길섭 금속봉의 유도 가열 및 회전 확산 장치
JP2017133059A (ja) * 2016-01-27 2017-08-03 第一熱処理工業株式会社 鋼管の冷却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8503B1 (ko) * 2018-08-10 2020-01-21 주식회사 흥국 유도 가열로의 푸시아웃 바
KR20220033203A (ko) * 2020-09-09 2022-03-16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용 시편장입장치
KR102463035B1 (ko) * 2020-09-09 2022-11-03 주식회사 포스코 소둔로용 시편장입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142B1 (ko) 유도가열로의 소재배출장치 및 방법
KR100755273B1 (ko) 라운드 바를 위한 연속 열처리 장치
US3953247A (en) Method for heat treatment of material to be worked on, especially of aluminium or magnesium alloys
KR101169709B1 (ko) 강관 열처리 장치
EP2217538B1 (en) Method of heating a glass panel
KR101240349B1 (ko) 유도가열을 통한 단봉의 열처리방법 및 장치
JP5544168B2 (ja) 展延済鋼製品の熱処理方法
RU2634541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терм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шаров
KR100670158B1 (ko) 수평 이송식 고주파 열처리장치
KR20180041393A (ko) 철재 유도가열 가공시스템
CS205071B2 (en) Device for heat treatment of material
KR20150029354A (ko) 유도가열을 이용한 열처리 장치
US4628615A (en) Process and installation for the heat treatment of cylindrical bodies, especially pipes
US6036485A (en) Annealing furnace
US1872713A (en) Apparatus for heat treating objects
CN205152270U (zh) 一种银基纤料光亮处理用分区退火炉
US4403954A (en) Apparatus for heat-treating pipes
JP2021134034A (ja) 誘導加熱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490630B1 (ko) 선재코일 균일냉각장치
US3230596A (en) Equipment for burning refractory products
KR101307442B1 (ko) 봉상 소재의 선단 가열방법 및 장치
CN203212607U (zh) 一种细长管材热处理炉
CN212362855U (zh) 一种铜棒预热炉
KR102522556B1 (ko) 냉각수 자켓을 이용한 멀티 열처리 냉각시스템
US2496914A (en) Heating furn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