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924B1 -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924B1
KR101845924B1 KR1020160143831A KR20160143831A KR101845924B1 KR 101845924 B1 KR101845924 B1 KR 101845924B1 KR 1020160143831 A KR1020160143831 A KR 1020160143831A KR 20160143831 A KR20160143831 A KR 20160143831A KR 101845924 B1 KR101845924 B1 KR 1018459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crew
coupling means
lock pin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38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언
김기영
오서연
권병석
Original Assignee
(주)세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바 filed Critical (주)세바
Priority to KR10201601438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9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9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9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8Supports or connecting means for 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9/00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F16L19/005Joints in which sealing surfaces are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comprising locking means for the threaded me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7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 G01F15/07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 G01F15/0755Integration to give total flow, e.g. using mechanically-operated integrating mechanism using electrically-operated integrating means involving digital counting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유량계에 형성된 연결관과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을 서로 나사결합시킨 나사결합수단에 락핀을 설치하여 나사결합수단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구속함으로써, 외부충격이나 지속적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나사결합수단의 조임이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연결관과 배관의 체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디지털 유량계에 형성된 연결관과,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나사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결합수단에는 나사결합수단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핀(Lock-Pin)이 결합되며, 상기 락핀의 일측은 나사결합수단외의 일측의 부품에 걸려 결합되어, 나사결합수단의 풀림 회전을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A pipe locking structure of a digital flowmeter}
본 발명은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유량계에 배관을 나사 결합시킨 나사결합수단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에 관한 것이다.
유량계란, 기체나 액체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계측기(기계적 구성)이다.
이러한 유량계는,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이나 위치 또는 사용자의 사용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그 구성을 변경하여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관로에 설치되는 유량감지기를 통하여 유체의 유량 변화를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 유량계의 형태를 살펴보면, 순간지시(유체가 흘러가는 그 순간의 유량값)와 적산지시(유체가 흘러가서 쌓인 누적 유량값)을 보여주는 두 가지 형태로 크게 구분된다.
또한, 기계적인 지시형 또는 그 기계적인 지시형에 전자부분이 부가된 시그
널형, 경보접점형, 출력형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된다.
최근에는 상술된 다양한 종류의 유량계의 장점을 취하면서도 그 정밀도가 높은 통합형 유량계로서 디지털 유량계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디지털 유량계는 전자식 유량계, 와류식 유량계, 터빈식 유량계 등 다양하다.
전자식 유량계는 패러데이(Faraday)의 전자기 유도 원리를 이용하는 것으로, 유동하는 전도성 유체의 유속과 가해준 자기장에 수직인 방향으로 유속과 자기장의 세기에 비례하여 생성되는 유도기전력으로부터 액체의 평균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와류식 유량계는 유체의 유동내에 직각으로 놓여진 물체(와류발생체)의 하류에는 유속과 비례한 주파수의 와류가 발생하는데 이 와류 주파수를 세라믹 피에조 센서(Ceramic Piezo Sensor)로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터빈식 유량계는 유량계 내부에 유속에 비례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수를 센서를 통해 감지하여 유량을 측정하는 계측기이다.
밸브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는 부품으로 에어로 on/off 제어하는 오토밸브와 핸들을 직접 조작하여 유량을 제어하는 매뉴얼밸브가 있다.
도 1은 디지털 유량계(10)가 적용된 유량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도로써, 이를 참조하면, 일반적으로 배관(20)에 의해 디지털 유량계(10)로 유체가 입출력되면 디지털 유량계(100)에서는 유량을 검출하여 컨트롤러(30)로 출력하고, 컨트롤러(30)에서는 디지털 유량계(10)로부터 입력된 유량에 따라 밸브(40)를 동작시켜 유체의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유량의 관리가 이루어진다.
이하, 첨부된 도 2를 참조하여 상기한 디지털 유량계의 밸브구조에 대하여 간략하게 살펴보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밀성을 유지하는 연결부재(미도시) 및 이를 포함하는 디지털 유량계의 밸브(4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유체가 흐를수 있도록 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41)과, 하우징(41)의 유로에 연결되는 연결관(42)과, 상기 연결관(42)에 배관(20)을 연결하여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결합너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배관(20)과 연결관(42) 간에 결합매개체는 결합너트(50)로 제공되고, 결합너트(50)를 이용해 배관(20)과 연결관(42)의 이음 부위를 조임으로써, 밸브(41)에 배관(20)이 결합되는 것이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밸브구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었다.
기계의 진동 또는 유속 및 여러 외부환경 요인에 의해 결합너트(50)가 풀릴 수 있으며, 상기 결합너트(50)가 조금이라도 풀리게 되면 연결관(42)과 배관(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여 그 틈을 통해 기체나 유체가 누출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여러 요인들에 의해 결합너트(50)가 결합회전 방향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풀릴 수 있으므로, 유체 누출에 대해 각별히 신경써야 하는 관리에 대한 번거로움이 야기되었던 것이다.
나아가, 유체 누출에 따른 2차 사고를 야기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8188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유량계의 연결관과 배관을 나사결합시킨 나사결합수단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여, 연결관과 배관의 체결력이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나사결합수단 풀림에 따른 유체 누출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디지털 유량계의 밸브와 배관 연결구조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디지털 유량계에 형성된 연결관과,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나사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결합수단에는 나사결합수단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핀(Lock-Pin)이 결합되며, 상기 락핀의 일측은 나사결합수단외의 일측의 부품에 걸려 결합되어, 나사결합수단의 풀림 회전을 구속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연결관의 둘레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나사결합수단에는 상기 연결관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결합수단의 둘레에는 락핀의 타측이 걸려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결합부는 복수의 치차(齒車)로 형성되고, 락핀에는 상기 치차에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연결관에는 락핀의 일측이 걸려 구속되는 구속수단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속수단은 연결관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핀의 일측은 상기 구속수단에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끼움 결합되는 끼움체결편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디지털 유량계의 연결관에 나사결합수단을 이용해 배관을 나사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나사결합수단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락핀이 마련됨으로써, 상기 나사결합수단은 락핀에 간섭되어 진동 및 여러 요인이 발생하더라도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이 방지된다.
이에 따라, 연결관과 배관 사이의 누출 방지를 지속적으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나사결합수단의 둘레에는 치차(齒車)로 구성된 결합부가 형성되고, 락핀에는 상기 결합부에 맞물릴 수 있는 결합돌기가 형성됨으로써 나사결합수단이 회전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락핀에는 바(bar)타입의 구속수단에 벌어지면서 끼움 결합되는 끼움체결편이 형성됨으로써, 나사결합수단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락핀 설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디지털 유량계가 적용된 유량관리시스템에 대한 개념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를 나타낸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가 일반적인 배관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의 락핀과 나사결합수단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는 디지털 유량계의 연결관에 배관을 나사 결합시킨 것에 있어서, 나사결합수단의 풀림회전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에 따라, 밸브에 결합된 배관의 결합력이 오랫동안 유지될 수 있으므로, 나사풀림에 따른 유체의 누출 문제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는 밸브바디(100)와, 연결관(200)과, 배관(300)과, 나사결합수단(400)과, 락핀(5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밸브바디(100)는 유체의 흐름을 제어하며, 유체가 흐르는 관로를 형성하는 하우징(110)과 상기 하우징(110)을 통해 흐르는 유량을 계측하는 디지털 계측기(120)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110)의 내부에는 유체가 관로를 통하게 하거나 관로를 차단시키기 위한 가동부(미도시)가 설치된다.
다음으로, 연결관(200)은 배관(300)과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하우징(110)의 양측에 마련된다.
상기 연결관(200)은 하우징(110)의 관로와 통하며, 유체가 하우징(110) 내로 유입되는 유입관(210)과 하우징(110)으로부터 유체가 배출되는 배출관(2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연결관(200)의 둘레에는 나사결합수단(400)과의 결합을 위한 수나사(230)가 형성된다.
이때, 수나사(230)는 연결관(2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수나사(230)와 연결관(200) 간에는 직경차로 인해 단차가 발생하게 된다.
다음으로, 배관(300)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를 제공하며, 하우징(110) 양측의 각 연결관(200)에 연결된다.
상기 배관(300)과 연결관(200)의 결합은 1차 결합으로서, 연결관(200)의 단부와 배관(300)의 단부는 서로 압입이 되어 결합될 수 있으며, 상호 간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 조립될 수도 있다.
이때, 연결관(200)에 연결된 배관(300)의 단부는 수나사산(230)에 밀착이 되는데, 수나사산(230)은 연결관(200)으로의 배관 삽입이 과도하게 이루어지지 않도록 스토퍼 역할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나사결합수단(400)은 연결관(200)에 1차 결합된 배관(300)을 밸브바디(100)에 완전히 결합시키는 것으로서,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실질적인 결합을 위한 매개체이다.
나사결합수단(400)은 배관(300)과 연결관(200)이 결합된 부위를 감싼 후, 수나사산(230)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나사결합수단(400)에는 수나사산(230)에 대응되는 암나사산(미도시)이 형성된다.
이때, 나사결합수단(4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00)이 통과되도록 양측이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그의 둘레에는 결합부(410)가 형성된다.
결합부(410)는 락핀(500)의 결합을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부와 홈부가 연이어 형성된 치차(齒車)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즉, 결합부(410)는 나사결합수단(400)이 풀림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구속하기 위한 락핀(500)이 결합되는 부위인데, 나사결합수단(400)의 둘레 방향으로 치차로 형성됨에 따라 락핀(500)에 치차 여러 군데가 걸려 나사결합수단(400)의 회전을 구속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락핀(Lock-Pin)(500)은 나사결합수단의 회전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락핀(500)은 나사결합수단(400)과, 나사결합수단(400)을 제외한 부품에 걸쳐 결합됨으로써, 나사결합수단(400)의 회전을 구속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락핀(500)의 일단부는 연결관(200) 측에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락핀(500)의 타단부는 나사결합수단(400)의 결합부(4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락핀(500)의 일단부가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구속수단(L)이 설치되는데 상기 구속수단(L)은 락핀(500)의 일단부가 걸려 결합될 수 있는 구성이면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락핀(500)의 일단부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상향으로 수직 돌출된 바(bar)형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며, 구속수단(L)의 위치는 연결관(200)의 상부인 것을 예로 한다.
구속수단(L)의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형태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락핀(500)의 일단부가 고정될 수 있게 한 구성이면 무방하다.
이때, 바 형태의 구속수단(L) 높이는 연결관(200)의 수나사(230)보다 높게 형성된다.
한편, 락핀(5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와 끼움체결편(5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510)는 나사결합수단(400)의 곡률을 따라 호(arc)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몸체(510)에는 치차로 이루어진 결합부(410)에 맞물릴 수 있도록 결합돌기(511)가 형성된다.
결합돌기(511)는 치차에 대응되는 돌부와 홈부로 구성되며, 치차와 동일하게 대응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즉, 결합돌기(511)는 몸체(510)의 양측과 가운데 부위에만 형성되어, 치차에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끼움체결편(520)은 결합부(410)에 맞물려 있는 몸체(510)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구속수단(L)에 끼움 결합되는 부위로서, 몸체(510)로부터 외측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이때, 끼움체결편(520)의 돌출 길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결합수단(400)이 연결관(200)의 수나사(230)에 나사 결합되었을 때, 구속수단(L)에 끼움될 수 있는 길이로 이루어진다.
상기 끼움체결편(520)은 구속수단(L)을 향해 수평 방향으로 끼움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속수단(L)을 향해 개구된 개구홈(52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끼움체결편(520)은 구속수단(L)의 간섭에 의해 개구홈(521)이 벌어지면서 구속수단(L)과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디지털 유량계의 밸브바디(100)가 제공되고, 밸브바디(100)에 형성된 연결관(200)에 배관(300)을 1차로 결합시킨다.
이때,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연결관(200)과 배관(300) 사이에는 씰링부재가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연결관(200)에 배관(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나사결합수단(400)을 이용해 연결관(200)에 배관(300)을 완전히 결합시킨다.
이를 위해, 나사결합수단(400)을 이동하여 연결관(200)의 수나사(230)에 나사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나사결합수단(400)의 체결력에 의해 연결관(200)에 배관(300)은 압착된 상태로 결합됨으로써, 기밀 유지가 이루어진 상태로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나사결합수단(400)을 이용해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결합이 완료되면, 락핀(500)을 이용해 나사결합수단(400)의 회전을 구속시킨다.
이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락핀(500)의 결합돌기(511)를 나사결합수단(400)의 결합부(410)에 맞물리게 결합시킨 후, 끼움체결편(520)에 구속수단(L)을 삽입하여 락핀(500)의 설치를 완료한다.
이와 같이 끼움체결편(520)의 개구홈(521)에 구속수단(L)이 배치되어 있고, 락핀(500)의 결합돌기(511)는 나사결합수단(400)의 결합부(410)에 맞물려 있으므로 나사결합수단(400)의 회전은 구속이 될 수 있다.
즉, 나사결합수단(400)에 풀림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상기 나사결합수단(400)은 락핀(500)에 걸려 있고, 락핀(500)은 구속수단(L)에 걸려 결합된 상태이므로 나사결합수단(400)의 회전은 발생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따라, 나사결합수단(400)이 풀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결합상태가 지속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연결관(200)과 배관(300)의 기밀 유지력은 지속될 수 있어 유체가 누출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한편, 전술한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구조는 디지털 유량계외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관(300)끼리 연결되는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는 배관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구조에 있어서, 다양하게 접목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락핀(500)의 결합돌기(511)와 나사결합수단(400)의 결합부(410) 간에 체결력을 보강하여 구성할 수 있다.
즉, 결합돌기(511)와 치차(齒車)(410) 간에 억지 끼움식으로 맞물려 결합되는 구성이지만, 몸체(510)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오랜 시간 후에는 몸체(510)의 양측이 치차(41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될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치차(410)와 결합돌기(511)간 체결력을 보강할 수 있는 구성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하며, 이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제시한다.
이때,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병기하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락핀(500)에 형성된 결합돌기(51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510)로부터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511)의 양측면은 경사지게 형성이 된다.
그리고, 결합돌기(511)가 맞물리는 나사결합수단(400)의 결합부(410)는 돌부와 홈부가 연이어 형성되며, 상기 홈부의 형태는 결합돌기(511)에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홈부 역시, 하방으로 갈수록 점점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므로, 홈부의 상부 폭은 좁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결합돌기(511)와 결합부(410) 간에 결합은 나사결합수단(400)의 일측에서 결합돌기(511)가 결합부(410)에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바람직한 실시예처럼, 결합돌기(511)와 결합부(410)가 상방에서 맞물리는 것이 아니라, 결합돌기(511)가 결합부(410)의 일측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결합돌기(511)의 경사면이 결합부(410)의 경사진 홈부에 걸려 간섭될 수 있으므로, 오랜 시간 후에도 결합돌기(511)가 결합부(410)로부터 상방으로 이탈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는 연결관과 배관을 나사 결합시킨 나사결합수단에, 나사결합수단의 풀림 회전을 방지하는 락핀을 더 마련한 기술적 특징이 있다.
즉, 연결관과 배관의 체결이 이루어진 후에는 외부충격이나 지속적 진동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나사결합수단의 조임이 느슨해지거나 풀리는 일이 없이 최초 체결 상태를 장기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유체의 누출 방지가 장기간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밸브바디 110 : 하우징
120 : 계측기 200 : 연결관
210 : 유입관 220 : 유출관
230 : 수나사 300 : 배관
400 : 나사결합수단 410 : 결합부(치차)
500 : 락핀 510 : 몸체
511 : 결합돌기 520 : 끼움체결편
521 : 개구홈

Claims (5)

  1. 디지털 유량계에 형성된 연결관과, 유체의 관로를 형성하는 배관은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나사결합수단을 통해 서로 나사 결합되고,
    상기 나사결합수단에는 나사결합수단이 풀림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핀(Lock-Pin)이 결합되며,
    상기 락핀의 일측은 나사결합수단외의 일측의 부품에 걸려 결합되어, 나사결합수단의 풀림 회전을 구속시키며,
    상기 연결관의 둘레에는 수나사가 형성되고, 나사결합수단에는 상기 연결관의 수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되며,
    상기 나사결합수단의 둘레에는 락핀의 타측이 걸려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복수의 치차(齒車)로 형성되고,
    락핀에는 상기 치차에 맞물려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관에는 락핀의 일측이 걸려 구속되는 구속수단이 마련되되,
    상기 구속수단은 연결관으로부터 수직으로 상향 돌출된 바(bar)의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락핀의 일측은 상기 구속수단에 수평 방향으로 벌어지면서 끼움 결합되는 끼움체결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나사결합수단은 배관이 통과되도록 양측이 관통된 관통홀을 형성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락핀은,
    나사결합수단의 외주면 곡률을 따라 호(arc)형태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되 결합부의 치차에 맞물리도록 돌부와 홈부가 저면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끼움체결편으로 구성되되,
    상기 끼움체결편은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향해 돌출 형성되며, 구속수단을 향해 개구된 개구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43831A 2016-10-31 2016-10-31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KR1018459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831A KR101845924B1 (ko) 2016-10-31 2016-10-31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3831A KR101845924B1 (ko) 2016-10-31 2016-10-31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924B1 true KR101845924B1 (ko) 2018-04-05

Family

ID=619776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3831A KR101845924B1 (ko) 2016-10-31 2016-10-31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9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624A (zh) * 2019-03-29 2019-05-31 海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下流量计的卡爪式抱合对接机构
US11313710B2 (en) * 2019-07-15 2022-04-26 Turek Holding GmbH Fastening adapter for a sensor
KR102567882B1 (ko) * 2022-11-28 2023-08-17 주식회사 티지에프 오·폐수 받이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27624A (zh) * 2019-03-29 2019-05-31 海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下流量计的卡爪式抱合对接机构
CN109827624B (zh) * 2019-03-29 2023-12-08 海默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水下流量计的卡爪式抱合对接机构
US11313710B2 (en) * 2019-07-15 2022-04-26 Turek Holding GmbH Fastening adapter for a sensor
KR102567882B1 (ko) * 2022-11-28 2023-08-17 주식회사 티지에프 오·폐수 받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924B1 (ko) 디지털 유량계의 배관 락킹 구조
US7363824B2 (en) Flow sensor
US8480883B2 (en) Pipe coupling with integrated filter and flow detector
US20110017325A1 (en) Three-valves manifold for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 meter
US20040250629A1 (en) Flowmeter
KR20120090263A (ko) 정밀한 압력 및 유량 조절이 가능한 콘 밸브
JP6579586B2 (ja) 流量制御ユニット
US8714028B2 (en) Insertion vortex fluid flow meter with adjustable geometry
EP2350574B1 (en) Vortex flowmeter body with a groove in the backward facing surface
US7980127B1 (en) Flow meter
KR940007793Y1 (ko) 유체 유량계
JP4764793B2 (ja) 弁体変位検出機能付き弁および同機能付き逆止弁
US20200249057A1 (en) Vortex Flowmeter
AU2010278667B2 (en) A flow diverter
KR20090127551A (ko) 일자형 니플
JP2009063546A (ja) ガスメータ取付ユニット
CN215984696U (zh) 一种塑封的小流量涡街传感器
AU697697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quantity of flow and the rate of flow of a fluid inside a pipeline
JP3345466B2 (ja) 渦流量計
JP2005043060A (ja) 渦流量計
JP2579214Y2 (ja) ガス圧力測定用プラグ
JP2006098318A (ja) 渦流量計
RU68123U1 (ru) Датчик расхода
JP2003329212A (ja) 蒸気減温装置
JP2007248370A (ja) 積算流量計の逆流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