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27551A - 일자형 니플 - Google Patents

일자형 니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27551A
KR20090127551A KR1020080053591A KR20080053591A KR20090127551A KR 20090127551 A KR20090127551 A KR 20090127551A KR 1020080053591 A KR1020080053591 A KR 1020080053591A KR 20080053591 A KR20080053591 A KR 20080053591A KR 20090127551 A KR20090127551 A KR 20090127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band fixing
fastening
ban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3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66739B1 (ko
Inventor
김태형
서갑수
박진용
Original Assignee
금호정공(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정공(주) filed Critical 금호정공(주)
Priority to KR1020080053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73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7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75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7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7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0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 F16L33/207Undivided rings, sleeves or like members contracted on the hose or expanded in the hose by means of tools; Arrangements using such members only a sleeve being contracted on the hose

Abstract

본 발명은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질의 고정체 관로와, 유연한 재질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일자형 니플에 관한 것으로, 보조 밀착부(133)가 외경 확대되어서 밴드 고정부(131)와 단을 이루므로, 밴드 고정부(131)에 의해서 한쪽으로 쏠린 호스(20) 부분이 외경 확대된 보조 밀착부(133)에 의해 강제적으로 직경 확대되면서 고르게 펼쳐지게 되고, 또한 보조 밀착부(133)가 가압부(110)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어, 보조 밀착부(133)를 감싸는 호스(20) 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직경 복원되면서 보조 밀착부(133)에 틈새없이 고르게 밀착되므로, 외부 공기가 호스(20) 내부로 유입되거나, 호스(20) 내부의 압력매질(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동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는 더 이상 발생되지 않게 된다.
일자형 니플, 외부 공기, 차단

Description

일자형 니플{Nipple}
본 발명은 관로 연결을 위한 일자형 니플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질의 고정체 관로와, 유연한 재질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데 주로 사용되는 일자형 니플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관로 연결을 위한 니플은 적용 대상의 모양과 재질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것들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이들 중에서도 금속과 같은 단단한 재질의 고정체 관로와, 유연한 재질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는데 사용되는 일자형 니플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자형 니플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의하면, 종래 일자형 니플(100)은, 별도의 공구와 맞물려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는 가압부(110)와 ; 가압부(110)의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체(10)의 체결부(11)에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체 체결부(120) 및; 가압부(110)의 다른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 로 연장되어, 호스(20)에 압입되는 호스 체결부(130)를 포함하는 구조를 이룬다.
상기 일자형 니플(100)에는 가압부(110)와 고정체 체결부(120) 및 호스 체결부(130)를 관통하면서, 고정체 체결부(120)와 호스 체결부(130)로 개구되는 통로(100a,100b)가 형성된다.
상기 호스 체결부(130)는, 외면이 호스(20)에 감싸여서 밴드 클램프(30)를 매개로 호스(20)와 압착 고정되는 밴드 고정부(131)와 ; 밴드 고정부(131)의 자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131)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131)와 상호 단을 이루되, 자유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호스 밀착부(132)로 구성된 구조를 이룬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종래 일자형 니플(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체(10)의 통로(100a)에 연통되어서 외부로 개구된 체결부(11)에 일자형 니플(100)의 고정체 체결부(120)를 맞댄 후, 스패너 등의 공구를 매개로 가압부(110)에 토크를 가하여 고정체(10)의 체결부(120)에 일자형 니플(100)의 고정체 체결부(120)를 나사산 결합한다.
이후, 상기 호스(20)에 일자형 니플(100)의 호스 체결부(130)가 압입되도록, 호스(20)를 호스 체결부(130)에 맞대어 압력을 가한다.
이후, 타이 밴드(혹은 타이 바아) 등의 밴드 클램프(30)를 매개로 호스(20)를 호스 체결부(130)에 조여서 고정한다.
한편, 상기 호스(20)를 호스 체결부(130)로 밀어부쳐서 밴드 고정부(131)와 호스 밀착부(132)가 호스(20)에 압입되도록 한 후, 밴드 고정부(131)를 감싸고 있는 호스(130)의 외면에 밴드 클램프(30)를 감싸 조이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20)가 밴드 클램프(30)에 의해 조여지면서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틈새(G1)가 형성되어, 고정체(10)의 통로(10a) → 일자형 니플(100)의 통로(100a) → 일자형 니플(100)의 통로(100b) → 호스(20)의 통로(20a)로 유동체가 유동되면, 외부 공기가 틈새(G1)를 통해서 호스(2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초래된다.
그러나, 종래 일자형 니플(100)은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이 강구되지 못하여, 유동체의 유속이 빠를수록 외부 공기의 유입량이 증가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밴드 고정부(131)의 외면에 밀착 돌기(131a)를 형성하여, 가압부(110)쪽 호스(20) 선단부가 밀착 돌기(131a)에 의해 직경 확대되면서 쏠림 현상이 없어지도록 하였지만,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착 돌기(131a)로 인한 틈새(G2)가 발생되어, 외부 공기가 틈새(G2)와 틈새(G1)를 통해서 호스(20)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호스가 긴밀하게 밀착 고정되어서, 외부 공기가 호스 내부로 유입되거나, 호스 내부의 압력 매질(기체 또는 액체 등의 유동체)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 일자형 니플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별도의 공구와 맞물려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는 가압부와, 가압부의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체의 체결부에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체 체결부 및, 가압부의 다른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호스에 압입되는 호스 체결부를 포함하고 ; 가압부와 고정체 체결부 및 호스 체결부를 관통하면서, 고정체 체결부와 호스 체결부로 개구되는 통로가 형성되는 일자형 니플에 있어서, 상기 호스 체결부는, 외면이 호스에 감싸여서 밴드 클램프를 매개로 호스와 압착 고정되는 밴드 고정부와 ; 밴드 고정부의 자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와 상호 단을 이루되, 자유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호스 밀착부 및 ; 밴드 고정부의 가압부쪽 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와 상호 단을 이루되, 가압부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 밀착부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밀착부가 외경 확대되어서 밴드 고정부와 단을 이루므로, 밴드 고정부에 의해서 한쪽으로 쏠린 호스 부분이 외경 확대된 보조 밀착부에 의해 강제적으로 직경 확대되면서 고르게 펼쳐지게 되고, 또한 보조 밀착부가 가압부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어, 보조 밀착부를 감싸는 호스 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직경 복원되면서 보조 밀착부에 틈새없이 고르게 밀착되므로, 외부 공기가 호스 내부로 유입되거나, 호스 내부의 압력매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등의 문제는 더 이상 초래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5 및 도 6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니플(100)은, 별도의 공구와 맞물려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는 가압부(110)와, 가압부(110)의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체(10)의 체결부(11)에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체 체결부(120) 및, 가압부(110)의 다른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호스(20)에 압입되는 호스 체결부(130)를 포함하고 ; 가압부(110)와 고정체 체결부(120) 및 호스 체결부(130)를 관통하면서, 고정체 체결 부(120)와 호스 체결부(130)로 개구되는 통로(100a,100b)가 형성되는 구조를 이룬다.
여기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호스 체결부(130)는, 외면이 호스(20)에 감싸여서 밴드 클램프(30)를 매개로 호스(20)와 압착 고정되는 밴드 고정부(131)와 ; 밴드 고정부(131)의 자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131)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131)와 상호 단을 이루되, 자유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호스 밀착부(132) 및 ; 밴드 고정부(131)의 가압부(110)쪽 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131)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131)와 상호 단을 이루되, 가압부(110)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 밀착부(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니플(100)의 사용 상태를 설명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체(10)의 체결부(11)에 일자형 니플(100)의 고정체 체결부(120)를 맞댄 후, 스패너 등의 공구를 매개로 가압부(110)에 토크를 가하여 고정체(10)의 체결부(120)에 일자형 니플(100)의 고정체 체결부(120)를 나사산 결합한다.
이후, 상기 호스(20)를 호스 체결부(130)의 자유단을 이루는 호스 밀착부(132)에 맞댄 후, 호스(20)를 가압부(110)쪽으로 밀어부쳐서, 호스 체결부(130)를 구성하는 밴드 고정부(131)와 호스 밀착부(132) 및 보조 밀착부(133)가 호 스(20)에 압입 되도록 한다.
이후, 타이 밴드(혹은 타이 바아) 등의 밴드 클램프(30)로 밴드 고정부(131)를 감싸고 있는 호스(20) 부위의 외주면을 감싸 조여서, 밴드 클램프(30)를 매개로 호스(20)가 호스 체결부(130)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밀착부(133)가 외경 확대되어서 밴드 고정부(131)와 단을 이루므로, 밴드 고정부(131)에 의해서 한쪽으로 쏠린 호스(20) 부분이 외경 확대된 보조 밀착부(133)에 의해 강제적으로 직경 확대되면서 고르게 펼쳐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조 밀착부(133)가 가압부(110)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이 축소되므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 밀착부(133)를 감싸는 호스(20) 부분이 어느 한쪽으로 쏠리지 않고 자연스럽게 직경 복원되면서 보조 밀착부(133)에 틈새없이 고르게 밀착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10)의 통로(10a) → 일자형 니플(100)의 통로(100a) → 일자형 니플(100)의 통로(100b) → 호스(20)의 통로(20a)로 유동체가 빠르게 유동되더라도, 외부 공기가 틈새(G1)를 통해 호스(20) 내부로 유입되는 일은 초래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니플(100)은 호스 체결부(130)와 호스(20)간의 기밀성이 향상되므로, 호스(20) 내부의 압력매질이 외부로 유출되는 문제도 방지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보다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예로, 본 실시예의 경우, 일자형 니플(100)의 재질은 합성 수지로 하였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금속이나 세라믹 등과 같은 공지의 어떠한 것도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일자형 니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일자형 니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니플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일자형 니플의 사용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2에 대한 대응도,
도 7은 도 6의 C-C선 단면도로서, 도 4에 대한 대응도이다.
- 첨부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용어 설명 -
10 ; 고정체, 10a ; 통로,
11 ; 체결부, 20 ; 호스,
20a ; 통로, 30 ; 밴드 클램프,
31 ; 헤드부, 32 ; 밴드부,
100 ; 일자형 니플, 100a, 100b ; 통로,
110 ; 가압부, 120 ; 고정체 체결부,
130 ; 호스 체결부, 131 ; 밴드 고정부,
132 ; 호스 밀착부, 133 ; 보조 밀착부,
G1, G2 ; 틈새.

Claims (1)

  1. 별도의 공구와 맞물려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토크가 가해지는 가압부(110)와, 가압부(110)의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고정체(10)의 체결부(11)에 나사산 결합되는 고정체 체결부(120) 및, 가압부(110)의 다른 한쪽 선단으로부터 동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호스(20)에 압입되는 호스 체결부(130)를 포함하고 ; 가압부(110)와 고정체 체결부(120) 및 호스 체결부(130)를 관통하면서, 고정체 체결부(120)와 호스 체결부(130)로 개구되는 통로(100a,100b)가 형성되는 일자형 니플에 있어서,
    상기 호스 체결부(130)는, 외면이 호스(20)에 감싸여서 밴드 클램프(30)를 매개로 호스(20)와 압착 고정되는 밴드 고정부(131)와 ; 밴드 고정부(131)의 자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131)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131)와 상호 단을 이루되, 자유 선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호스 밀착부(132) 및 ; 밴드 고정부(131)의 가압부(110)쪽 선단에 배치되고, 밴드 고정부(131)보다 외경 확대되어 밴드 고정부(131)와 상호 단을 이루되, 가압부(110)쪽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외경 축소되어 경사면을 이루는 보조 밀착부(133)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자형 니플.
KR1020080053591A 2008-06-09 2008-06-09 일자형 니플 KR1009667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91A KR100966739B1 (ko) 2008-06-09 2008-06-09 일자형 니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3591A KR100966739B1 (ko) 2008-06-09 2008-06-09 일자형 니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7551A true KR20090127551A (ko) 2009-12-14
KR100966739B1 KR100966739B1 (ko) 2010-06-29

Family

ID=4168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3591A KR100966739B1 (ko) 2008-06-09 2008-06-09 일자형 니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7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0351B2 (en) 2013-03-11 2016-10-18 Hanon Systems Crimp fitting having reversed barbs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8552B1 (ko) 2014-12-30 2019-11-25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유로 검사 기능을 구비한 니플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66191A (en) * 1985-10-25 1987-05-19 The Gates Rubber Company High pressure hose and coupling
DE3818281A1 (de) * 1988-03-10 1989-09-21 Schwaebische Huettenwerke Gmbh Abgasfilter
US5037143A (en) * 1989-09-15 1991-08-06 Dayco Products, Inc. Hose construction, coupling therefor and methods of making the same
KR20060081626A (ko) * 2005-01-10 2006-07-13 김칠현 걸림턱 개폐식 압착공구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470351B2 (en) 2013-03-11 2016-10-18 Hanon Systems Crimp fitting having reversed barbs
KR102292190B1 (ko) * 2020-11-18 2021-08-20 박득재 합성수지제 가요전선관과 금속제 가요전선관 체결용 이종 커플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6739B1 (ko) 2010-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65876B1 (en) Apparatus for connecting a pressure gauge to a pipe
US20220299134A1 (en) Fitting device for making connection tube that can fine position adjustment of the tube
KR100966739B1 (ko) 일자형 니플
KR20130052967A (ko) 파이프 연결구
KR200395248Y1 (ko) 파이프 커플링의 고무밴드 구조
JP2012122533A (ja) ホース接続具及びシャワーホース用継手構造
KR100555145B1 (ko) 상수도관 연결구조
KR101392564B1 (ko) 호스 연결구
KR100966738B1 (ko) 엘자형 니플
KR200432862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432656B1 (ko) 파이프연결구
JP2002048416A (ja) 浴槽配管接続装置
ITBS20000058A1 (it) Raccordo a compressione per tubi
KR200424785Y1 (ko) 소방호스 인서트 어셈블리
WO2018155493A1 (ja) ノズル装置およびノズルユニット
KR101397464B1 (ko) 배관 연결기구
US7014217B2 (en) Pipe connector
JP2000161553A (ja) 管継手
CN106764142A (zh) 一种水管接头及水管安装结构
KR100312159B1 (ko) 관이음구
ITMI20040322U1 (it) Dispositivo per la connessione ad un rubinetto e simili di condotti per fluidi in pressione
KR20140066325A (ko) 기밀 유지 기능을 가지는 밸브
KR200255541Y1 (ko) 볼밸브의 유체파이프 연결장치
KR20040061757A (ko) 커플링용 콜레트 장력장치
KR200220138Y1 (ko) 배관 연결용 이음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