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892B1 -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 Google Patents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892B1
KR101845892B1 KR1020160080255A KR20160080255A KR101845892B1 KR 101845892 B1 KR101845892 B1 KR 101845892B1 KR 1020160080255 A KR1020160080255 A KR 1020160080255A KR 20160080255 A KR20160080255 A KR 20160080255A KR 101845892 B1 KR101845892 B1 KR 1018458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windshield
lifting body
container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300A (ko
Inventor
김무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0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89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1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8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8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가 개시된다.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는,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와, 상부 데크의 측면에서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와,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부재와, 제1 지지대에 설치되며 방풍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방풍부재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승강기와, 제2 지지대에 설치되어 방풍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방풍부재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승강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WINDPROOF APPARATUS FOR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컨테이너선에 컨테이너를 안정적으로 적재하도록 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선은 다수의 화물 운송용 컨테이너를 적재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특화된 선박이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에는, 일반적으로 선미 가까이에 거주구(deck house)가 설치되고, 거주구의 상단에는 네비게이션 데크(navigation deck)가 마련된다.
그리고, 네비게이션 데크에는 측면 장애물 확인을 위해 컨테이너선의 양현쪽으로 돌출된 브리지 윙(bridge wing)이 설치된다.
또한, 컨테이너선의 갑판 아래에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수납하기 위한 화물창들이 마련되고, 갑판 상에는 다수의 컨테이너를 고정시키기 위한 래싱(lashing) 장치가 설치된다.
갑판 상에 적재되는 컨테이너들은 전방의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 선수쪽으로 가면서 점차 낮은 높이로 적재된다.
그런데, 컨테이너선의 갑판 상에는 다수의 컨테이너가 높은 높이로 적재되고 바람의 영향을 직접 받게 되므로 견고한 래싱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바, 바람의 영향에 따라 컨테이너를 적정 높이로 안정적으로 적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테이너선에 적재된 컨테이너에 불어오는 바람의 영향을 최소한으로 하여, 안정적인 컨테이너 적재가 가능한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와, 상부 데크의 측면에서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와,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부재와, 제1 지지대에 설치되며 방풍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방풍부재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승강기와, 제2 지지대에 설치되어 방풍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방풍부재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승강기를 포함한다.
승강기는, 제1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래부재와, 제1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도르레부재와, 제1 도르레부재와 제2 도르래부재의 사이에 연결되며 일단은 방풍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방풍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르레부재 및 제2 도르래부재가 측면에 돌출되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과,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 손잡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회전봉에는 와이어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승강기는,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부재와,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손잡이와, 스크류부재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방풍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 손잡이를 제2 지지대에 고정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는, 스크류부재에 치합되는 제1 승강 바디와, 제1 승강 바디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방풍부재에 연결 와이어로 연결되어, 제1 승강 바디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 바디 및 제1 승강 바디를 제2 승강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승강 바디의 내부에는 제1 승강 바디에 가압되는 가압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지지대에는 제2 승강바디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부가 돌출될 수 있다.
방풍부재는, 플렉시블 재질(FLEXIBLE MATERIAL)로 형성되어 제1 지지대와 제2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컨테이너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여, 바람에 의해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모멘트(MOMENT)를 줄이는 것이 가능한 바, 컨테이너의 적재 수량을 증대시키고 고중량 컨테이너의 적재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방풍부재가 상부 데크에 근접되게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방풍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미사용 상태에서 방풍부재가 회전봉에 감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부재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가 슬라이더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방풍부재가 상부 데크에 근접되게 위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100)는,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11)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10)와, 상부 데크(11)의 측면에서 제1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20)와,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부재(40)와, 제1 지지대(10)에 설치되며 상기 방풍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방풍부재(40)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승강기(16)와, 제2 지지대(20)에 설치되어 방풍부재(40)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방풍부재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승강기(30)를 포함한다.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11) 상에는 복수개의 컨테이너(13)가 다단으로 적층된 상태로 적재될 수 있다. 이러한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11)의 측면에는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1 지지대(10)는 상부 데크(11)에서 컨테이너(13)가 적재되는 위치의 가장자리 측면에서 돌출되게 설치된다. 제1 지지대(10)는 컨테이너(13)의 최대 적재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부 데크(11)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지대(10)의 상부 및 하부 각각에는 브라켓부재(10)가 돌출될 수 있다.
브라켓부재(10)에는 제1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회전봉(12)이 설치될 수 있다.
회전봉(12)은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회전 작동되는 것으로, 회전 중심 위치에는 제1 회전 손잡이(14)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회전 손잡이(14)를 파지한 상태에서 회전시키면 회전봉(12)의 선택적인 회전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봉(12)이 설치되는 것은 방풍부재(40)를 미사용시 회전봉(12)의 둘레에 감도록 하는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회전봉(12)의 측면에는 제1 승강기(16)가 설치된다.
제1 승강기(16)는, 제1 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레부재(16a)와, 제1 지지대(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도르레부재(16b)와, 제1 도르레부재(16a)와 제2 도르래부재(16b)의 사이에 연결되어 일단은 방풍부재(40)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방풍부재(40)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6c)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르레부재(16a)는 제1 지지대(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방풍부재(40)의 하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6c)의 일부분이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도르레부재(16b)는 제1 지지대(10)의 상부에 설치되어 방풍부재(40)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16c)의 일부분이 감기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와이어부재(16c)는 제1 도르레부재(16a)와 제2 도르레부재(16b)에 감긴 상태에서 방풍부재(4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와이어부재(16c)를 당기는 경우, 방풍부재(40)는 상부 데크(11)의 상측에서 선택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회전봉(12)에는 와이어부재(16c)를 고정하는 와이어 고정부재(12a)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부재(16c)는 와이어 고정부재(12a)에 의해 위치 고정되는 것이 가능한 바, 방풍부재(40)의 높이 조절된 상태의 고정이 가능하다.
이러한 와이어 고정부재(12a)는 고리 타입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와이어부재(16c)를 매듭으로 고정할 수 있다.
제2 지지대(20)는 상부 데크(11)의 측면에서 제1 지지대(10)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지지대(20)는 컨테이너(13)의 최대 적재 높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상부 데크(11)에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지지대(20)는 제1 지지대(10)와 동일 형상의 동일 높이로 상부 데크(11)에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제2 지지대(20)에는 제2 승강기(30)의 설치를 위한 베이스부(21)와 상부 지지대(23)가 돌출될 수 있다.
베이스부(21)는 제2 지지대(20)의 하부에 돌출되게 설치되고, 상부 지지대(23)는 제2 지지대(20)의 상부에 돌출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부(21)에는 삽입홈이 형성되어 제2 지지대(20)의 하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지지대(20)에는 제2 승강기(30)가 설치된다.
제2 승강기(30)는, 제2 지지대(2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부재(31)와, 스크류부재(31)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손잡이(33)와, 스크류부재(31)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방풍부재(40)의 타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더(35)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부재(31)는 일단은 상부 지지대(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타단은 베이스부(21)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부재(31)의 회전 중심 위치에는 제2 회전 손잡이(33)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2 회전 손잡이(33)를 회전시켜 스크류부재(31)를 선택적으로 회전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부재(31)의 회전 작동에 의해 슬라이더(35)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참조 번호 33a는 제2 회전 손잡이를 고정하는 걸림부재를 말한다.
슬라이더(35)는, 스크류부재(31)에 치합되는 제1 승강 바디(35a)와, 제1 승강 바디(35a)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방풍부재(40)에 연결 와이어(41)로 연결되는 제2 승강 바디(35b)와, 제1 승강 바디(35a)를 제2 승강 바디(35b)에 고정하는 고정부재(35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승강 바디(35a)는 스크류부재(31)의 외표면에 치합된 상태로, 스크류부재(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제2 승강 바디(35b)는 제1 승강 바디(35a)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승강 바디(35b)는 내부에 설치 공간이 형성되는 바, 설치 공간에 제1 승강 바디(35a)가 삽입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승강 바디(35b)의 설치 공간의 내벽면에는 복수개의 가압 돌기(35c)가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바디(35a)는 상승 또는 하강 작동 과정에서 가압 돌기(35c)를 가압하는 바, 제2 승강 바디(35b)와 제1 승강 바디(35a)는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한편, 제2 승강 바디(35b)의 내부에는 고정부재(35d)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부재(35d)는 슬라이더(35)의 상승 또는 하강 작동 과정에서 제1 승강 바디(35a)와 제2 승강 바디(35b)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볼트 결합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제2 승강 바디(35b)의 외표면에는 방풍부재(40)가 연결 와이어(41)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승강 바디(35b)에는 외표면의 둘레를 따라 인입홈이 형성된 감김 돌부(36)가 돌출되는 바, 제2 승강 바디(35b)의 회전 작동에 따라 연결 와이어(41)의 감김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방풍부재(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사이에 탄성력을 갖는 플렉시블 재질로 설치되어, 제1 지지대(10)와 제2 지지대(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방풍부재(40)는 상승 또는 하강 작동에 따라 컨테이너(13) 방향으로 불어오는 바람을 차단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바람에 의해 컨테이너에 작용하는 모멘트(MOMENT)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여, 컨테이너(13)의 적재 수량을 증대시키고, 고중량의 컨테이너(13)의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작동을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부재(40)는 상부 데크(11)에 근접된 상태인 최초 상태에서 컨테이너(13)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방풍부재가 상승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아. 제1 승강기(16) 및 제2 승강기(30)의 작동에 의해 방풍부재(40)는 상부 데크(11)에 적재된 컨테이너(13)의 상측 부분에 위치하도록 상승된다. 따라서, 컨테이너(13)에 불어오는 바람은 방풍부재(40)에 의해 차단되는 바, 컨테이너(13)를 안정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의 미사용 상태에서 방풍부재가 회전봉에 감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풍부재(40)는 미사용 상태에서 제1 회전 손잡이(14)의 회전 작동에 의해 회전봉(12)에 감길 수 있다. 따라서, 컨테이너(13)의 하역 작업 등의 작업 과정에서 방풍부재(40)로 인한 설비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풍부재에 연결된 연결 와이어가 슬라이더의 외표면에 감긴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35)의 회전에 따라 연결 와이어(41)의 연결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다. 따라서, 방풍부재(40)의 설치된 길이의 조절이 적절하게 가능하게 된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제1 지지대 10a..브라켓부재
11...상부 데크 12...회전봉
13...컨테이너 14...제1 회전 손잡이
16...제1 승강기 16a..제1 도르레부재
16b..제2 도르레부재 16c..와이어부재
20...제2 지지대 21...베이스부
23...상부 지지대 30...제2 승강기
31...스크류부재 33...제2 회전 손잡이
35...슬라이더 35c..가압돌기
35d..고정부재 36...감김돌부
40...방풍부재 41...연결 와이어

Claims (10)

  1. 컨테이너선의 상부 데크에서 컨테이너의 적재 위치의 측면에 설치되는 제1 지지대;
    상기 상부 데크의 측면에서 상기 제1 지지대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설치되는 제2 지지대;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사이를 연결하면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설치되는 방풍부재;
    상기 제1 지지대에 설치되며 상기 방풍부재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기 방풍부재의 일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1 승강기; 및
    상기 제2 지지대에 설치되어 상기 방풍부재의 타측에 연결되어 상기 방풍부재의 타측을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제2 승강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기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부에 설치되는 제1 도르래부재와, 상기 제1 지지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2 도르레부재와, 상기 제1 도르레부재와 상기 제2 도르래부재의 사이에 연결되며 일단은 상기 방풍부재의 하부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방풍부재의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르레부재 및 상기 제2 도르래부재가 측면에 돌출되며 상기 제1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을 회전시키는 제1 회전 손잡이가 설치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봉에는 상기 와이어부재를 고정하는 고정부재가 설치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기는,
    상기 제2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스크류부재;
    상기 스크류부재를 회전시키는 제2 회전 손잡이; 및
    상기 스크류부재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며 상기 방풍부재의 타측이 연결되는 슬라이더;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 손잡이를 상기 제2 지지대에 고정하는 걸림부재가 설치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스크류부재에 치합되는 제1 승강 바디;
    상기 제1 승강 바디의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외표면에는 상기 방풍부재에 연결 와이어로 연결되어, 상기 제1 승강 바디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되는 제2 승강 바디; 및
    상기 제1 승강 바디를 상기 제2 승강 바디에 고정하는 고정부재;
    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승강 바디의 내부에는 상기 제1 승강 바디에 가압되는 가압 돌기가 돌출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대에는 상기 제2 승강바디의 하부가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베이스부가 돌출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풍부재는, 플렉시블 재질(FLEXIBLE MATERIAL)로 형성되어 상기 제1 지지대와 상기 제2 지지대의 사이에 설치되는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KR1020160080255A 2016-06-27 2016-06-27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KR1018458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55A KR101845892B1 (ko) 2016-06-27 2016-06-27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55A KR101845892B1 (ko) 2016-06-27 2016-06-27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0A KR20180001300A (ko) 2018-01-04
KR101845892B1 true KR101845892B1 (ko) 2018-04-05

Family

ID=60998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55A KR101845892B1 (ko) 2016-06-27 2016-06-27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8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93B1 (ko) 2012-09-20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497492B1 (ko) 2013-11-21 2015-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에어 스포일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8893B1 (ko) 2012-09-20 2014-03-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의 공기저항 감소장치
KR101497492B1 (ko) 2013-11-21 2015-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 에어 스포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00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293317B (zh) 稳定设备
US9815413B2 (en) Vehicle cargo carrier device
US3215294A (en) Loading accessory for a motorcar roof
US5078364A (en) Carriage lock mechanism for portable cable hoist
US8196362B1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a storage bin hatch
US9290241B2 (en) Vessel comprising a crane
KR20180074859A (ko) 향상된 제진성능을 가지는 항만 컨테이너 크레인
KR101845892B1 (ko) 컨테이너선의 방풍 장치
JP4541678B2 (ja) 搭載艇揚降装置
KR20220166686A (ko) 모바일 리프터
JP2010155529A (ja) モバイルデッキ支持装置
US1730128A (en) Grab
CN204096955U (zh) 一种皮卡吊
WO2012036615A1 (en) Device at a hoistable loading deck for a cargo ship
JP6335034B2 (ja) 荷受台昇降装置
NO345329B1 (en) A lifting element connection device
EP2604548B1 (en) Transportable unit with a lifting arrangement for lifting the unit
CN214093817U (zh) 一种搬运设备的支撑装置
KR101616837B1 (ko) 계류장치
KR101261897B1 (ko) 높이 조절가능한 짐칸을 구비한 운송장치
KR20190054726A (ko) 크레인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KR101555835B1 (ko) 차량용 크레인 및 이의 운용 방법
KR101799116B1 (ko) 로로선의 카데크 어셈블리
JP5865697B2 (ja) クレーン
CA2491715C (en) Lifting lug for tanks and the li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