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588B1 -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 Google Patents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588B1
KR101845588B1 KR1020150049242A KR20150049242A KR101845588B1 KR 101845588 B1 KR101845588 B1 KR 101845588B1 KR 1020150049242 A KR1020150049242 A KR 1020150049242A KR 20150049242 A KR20150049242 A KR 20150049242A KR 101845588 B1 KR101845588 B1 KR 10184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s
cell
culture
erythroid
erythrocy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9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6797A (ko
Inventor
백은정
이은미
Original Assignee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50116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6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6Animal cells or tissues; Human cells or tissues
    • C12N5/0602Vertebrate cells
    • C12N5/0634Cells from the blood or the immune system
    • C12N5/0641Erythrocy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5/00Undifferentiated human, animal or plant cells, e.g. cell lines; Tissues; Cultivation or maintenance thereof; Culture media therefor
    • C12N5/0062General methods for three-dimensional cul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25Stem cell factor [SCF], c-kit ligand [KL]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10Growth factors
    • C12N2501/14Erythropoietin [EPO]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20Cytokines; Chemokines
    • C12N2501/23Interleukins [IL]
    • C12N2501/2303Interleukin-3 (IL-3)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1/00Active agents used in cell culture processes, e.g. differentation
    • C12N2501/30Hormones
    • C12N2501/38Hormones with nuclear receptors
    • C12N2501/39Steroid horm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3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connective tissue cells; generic mesenchyme cells, e.g. so-called "embryonic fibroblasts"
    • C12N2502/1311Osteocytes, osteoblasts, odontob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3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connective tissue cells; generic mesenchyme cells, e.g. so-called "embryonic fibroblasts"
    • C12N2502/1323Adult fibroblas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02/00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 C12N2502/13Coculture with; Conditioned medium produced by connective tissue cells; generic mesenchyme cells, e.g. so-called "embryonic fibroblasts"
    • C12N2502/1352Mesenchymal stem cells
    • C12N2502/1358Bone marrow mesenchymal stem cells (BM-MSC)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21/00Culture proces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hydrostatic pressure, flow or shear forc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2531/00Microcarri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ll Biology (AREA)
  • Immu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Apparatus Associated With Microorganisms And Enzym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사용함으로써 가장 효율적으로 적혈구계 세포를 인 비트로 확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In vitro Expansion of Erythroid Cells}
본 발명은 적혈구계 세포를 인 비트로 환경에서 확장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급속한 노령화와 의료적 수요의 증가로 인하여 수혈용 혈액의 공급이 부족해진 반면 혈액제제의 사용량은 증가하였다. 또한 광우병, 신종플루, 말라리아, 에이즈 등 질병의 창궐로 인해 감염으로부터 안전한 혈액에 대한 요구도 증가하였다. 이로 인해 국내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수혈에 필요한 혈액의 부족으로 환자 수술 및 치료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 향후 혈액 부족은 더욱 심각해져서, 2030년에는 국내 혈액필요량의 55.5%가 부족할 것이라고 예측되고 있다(한국보건사회연구원 자료, 2005년). 게다가 수혈로 인하여 발생될 수 있는 수혈전파감염은 수혈자에게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며 이를 사전에 발견하기 위한 검사 및 시스템에 막대한 비용이 쓰이고 있지만 감염을 완벽히 검출해 낼 수 없다[1]. 이러한 요인들로 인하여 체외에서 생산된 안전한 적혈구의 개발 필요성이 증가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연간 약 210만 유닛(unit)의 적혈구 제제가 사용되며 이는 한 unit 당 2×1012 세포가 있다고 계산하면 약 4×1018 이상의 세포가 필요하다. 미국에서만 연간 적혈구 수혈을 대치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3×1019 세포가 필요하다고 한다(15-million units of 2×1012 cells each). CHO 세포같이 잘 연구된 동물세포의 배양을 위해서는 가장 큰 바이오리액터(bioreactor)가 20,000 L 부피에 최대 5×107/mL 농도의 세포로 운영할 수 있다. 이 농도라면 필요한 적혈구 생산을 위해 현 최고 기술로는 이론상 30,000 회분(batch) 배양이 필요하다고 한다[2]. 즉, 기존의 정치 배양(static culture), 현탁 배양(suspension culture), 고정층 반응기(fixed bed reactor), 공기리프트 반응기(airlift reactor)와 같은 배양 조건(cultivation condition)에서 고안된 동물세포배양법이라면 천문학적인 숫자의 세포와 그에 버금가는 배지와 공간이 필요한 적혈구 배양에서는 현실적으로 적용이 불가능하다. 공간면에서 가장 효율적인 배양법은 세포끼리 서로 뭉쳐있는(packing) 형태로 배양하는 것이지만, 아직 적혈구 생산을 위해 적아세포를 이런 방법을 배양해 보고된 바가 없다.
본 연구팀은 적혈구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성숙된 적혈구 전구 세포(erythroid progenitor cell)를 물리적으로 접촉하게 만든 세포 고밀도 조건에서 적혈구계 세포가 세포성숙, 탈핵률, 세포생존도 및 세포이형성(myelodysplasia) 면에서 더 좋은 효과를 보임을 매개된 부착-관련 신호(adhesion-related signal)와 함께 증명한 바 있다[3]. 또한 이를 3D로 확장해 적혈구계 세포를 튜브에 적층하여 배양하는 방법도 적혈구 생산에 효과적임을 보여준 바 있다. 다른 이전 연구들에서도 2D 플레이트 배양이나 3D 생물반응기(bioreactor)에서 전체 배지 볼륨당 세포의 농도를 높이는 시도가 있었지만, 3D에서 세포를 적층시켜 직접적인 접촉을 유도한 것이 최초로 시도된 것이다.
골수 내에서는 적혈구 세포들끼리 서로 입체적으로 밀착하여 적혈구 모세포섬(erythroblastic island)이란 공간을 만들어 성숙 및 증식하게 된다. 또한, 골수 내 이런 조혈공간이 얇은 뼈 골격 기둥(bony trabeculae) 내에서 구획되어 세포가 눌리는 것을 막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런 골수 내 환경에 착안하여 적혈구계 세포들끼리 배양하기 적절한 적층규모를 확인하였고, 이를 지지할수 있는 공극의 크기와 생체 적합한(biocompatible) 다양한 재질 내에서 배양하여 다공성 구조체의 적절한 공극의 규모 및 재질의 적합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3차원 적층 패킹 배양으로 인한 세포의 괴사를 줄이고 신선한 배지 공급을 위해 스핀 필터내에 세포를 적층함으로 세포 배양동안 배지의 교환 및 공급을 원활이 하여, 적혈구의 대량생산을 위한 최적화에 성공하였다. 이는 보고된 바 없는 방법으로서, 배양 공간과 배지량을 최소화 하여 인간 골수내에서와 같이 적혈구를 생산하기 위한 획기적인 방법이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자들은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공성 구조체 내에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경우,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이 달성될 수 있고 그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 비트로 환경에서 적혈구계 세포를 확장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 배양하는 방법을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적혈구계 세포를 인 비트로 확장할 수 있음을 규명하였다.
본 명세서 상의 "적혈구계 세포"는 적혈구 전구세포(erythroid progenitor cell)로부터의 성숙과정에 있는 세포들을 포함하며, 적혈구 전구세포는 다양한 소스, 예컨대 말초혈액, 제대혈 또는 골수로부터 얻을 수 있다. 적혈구 전구세포로서의 CD34+세포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세포 분리 방법, 예컨대 CD34+항체를 이용하는 면역자기-비드 분리방법에 따라 분리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CD34+세포는 제대혈로부터 유래된 세포일 수 있다. 적혈구 전구세포는 다음과 같은 단계로 이루어진 적혈구 형성 과정(erythropoiesis)를 거쳐 성숙한 적혈구(erythrocyte)로 분화한다: (a) 조혈모세포(hematopoietic stem cell)에서 전적아세포(proerythroblast)로 분화하는 단계; (b) 전적아세포에서 호염기성 적아세포(basophilic erythroblast)로 분화하는 단계; (c) 호염기성 적아세포에서 다염기성 적아세포(polychromatophilic erythroblast)로 분화하는단계; (d) 다염기성 적아세포에서 정염성 적아세포(orthochromatic erythroblast)로 분화하는 단계; (e) 정염성 적아세포에서 다염성 적혈구(polychromatic erythrocyte)로 분화하는 단계; 및 (f) 다염성 적혈구에서 적혈구(erythrocyte)로 분화하는 단계. 본 발명은 성숙단계의 적혈구(erythrocyte) 단계(d, e, f 단계)에 있는 세포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 상에서 "적혈구 전구세포(erythroid progenitor cell)"는 성숙이 끝난 적혈구를 제외한 적혈구 형성 과정에 포함된 모든 세포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이란 적혈구계 세포를 충분히 적층 가능한 높이의 배양용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튜브를 사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가라앉혀 적층되도록 하여 배양하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 상의 "다공성 구조체"는 수 마이크로미터 단위 내지 수 밀리미터 단위 크기의 공극을 다수 포함하는, 세포 배양을 돕기 위한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그 형태 및 크기에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발명의 실시 형태 및 규모에 따라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폴리에틸렌, 실리카, 셀룰로오스, DEAE-덱스트란, 유리, 폴리스티렌 플라스틱, 아크릴아마이드 또는 콜라겐을 포함하는 물질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세포 배양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소재를 적절히 선택하여 활용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마이크로캐리어" 또는 "스캐폴드" 구조체이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캐리어는 대략 100 μm 내지 수 mm 정도 직경을 갖는 세포 배양을 위한 다공성 지지 구조체를 의미하고, 대략 30-500 μm 정도의 공극을 포함한다. 다수의 마이크로캐리어 단위체의 집합을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에 이용함으로써 배양 규모를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한 Cytopore, Cytoline 1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캐폴드는 대략 수십에서 수백 μm 크기의 공극을 포함하는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 구조체로서, 다수의 단위 구조체의 집합을 이용하는 마이크로캐리어와는 달리, 배양 규모에 맞추어 직경과 높이가 조절된 일체형의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스캐폴드는 공극 사이즈가 대략 10 μm 내지 1 mm 정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μm 내지 600 μm, 더 바람직하게는 30 μm 내지 500 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50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μm 내지 400 μm 정도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캐폴드는 소재에 대한 특별한 제한이 없고, 금속, 세라믹, 합성고분자 및/또는 천연고분자에서 선정한 소재를 자유롭게 이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콜라겐, 실크(Silk), 알지네이트(Alginate), PE(polyethylene), PLA(poly(lactic acid)), PGA(poly(glycolic acid)), PLA 및 PGA 공중합체, PTFE(polytetrafluoroethylene), PVC(polyvinylchloride), PDMS(polydimethylsiloxane), PCL(polycaprolactone), PU(polyurethane), 알루미나(alumina), 수산화아파타이트(hydroxyapatite), 니켈, 티타늄, 코발트-크롬 합금 및/또는 스테인레스 스틸을 이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스캐폴드의 예로써 Honeycomb(KOKEN, Tokyo, Japan) 또는 Biomerix 3D (Biomerix, Fremont, CA)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구조체 자체가 다공성을 내포하는 구성 뿐만 아니라, 구조체 자체가 공극을 내포하지는 않지만, 구조체를 구성하는 소 단위체의 집합 형태에 있어서, 소 단위체 간의 갭(gap)이 발생되고, 상기 갭이 다공성 구조체의 공극과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 가능한 구조체를 포함한다. 이는 매크로 다공성 구조체가 구조체의 소 단위체 자체에 공극을 내포하는 특성과 상반되지만, 소 단위체 간의 갭이 상기 공극과 같은 역할을 하여 유사한 적혈구계 세포의 적층 패킹 배양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30 μm 내지 1500 μm의 갭이 생기기에 충분한 크기의, 소재의 제한이 없는 비드(beads)를 이용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용한 마이크로캐리어 디스크(micro carrier disk)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30-1500 μm 크기 분포를 갖는 공극을 포함한다. 30-1500 μm 크기 분포를 갖는 공극을 '포함한다'는 것은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크기의 공극이 배제되지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30-1500 μm의 공극 크기는 본 발명의 적혈구계 세포의 확장에 바람직한 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의 공극의 크기 분포를 나타내고, 부분적으로 해당 범위를 벗어나는 크기의 공극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 공극은 모두 동일 또는 유사 크기로 형성된 공극일 수 있으며, 30-1500 μm 범위 내의 다양한 크기의 공극이 혼재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공극 크기의 하한은 적혈구계 세포가 공극 내부로 유입되어 3D 적층환경을 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크기를 의미하며, 상기 공극 크기의 상한은 골수 환경과 유사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설정된 것이다. 상기 공극의 크기분포는 바람직하게 30-1000 μm, 더 바람직하게 30-700 μm,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30-500 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50-500 μm 크기분포를 갖는다. 가장 바람직한 공극 크기분포를 갖는 경우, 적혈구계세포의 3차원 적층 패킹에 의한 우수한 배양효과가 극대화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다공성 구조체는 매크로다공성(macroporous) 마이크로캐리어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마이크로캐리어"는 대략 100 μm 내지 수 mm 정도 크기를 갖는 세포 배양을 위한 지지 구조체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마이크로 캐리어는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며, 포함하는 공극의 직경에 따라, 매크로다공성(macroporous), 메조다공성(mesoporous), 마이크로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로 구분할 수 있다. 매크로다공성 구조체는 공극의 평균 직경이 대략 50 μm 이상이고, 메조다공성의 경우에는 대략 2-50 μm, 그리고 마이크로다공성의 경우에는 대략 2 μm 이하인 것을 말한다. 본 발명의 매크로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는 평균 직경이 대략 50 μm 이상인 다수의 공극을 포함하는 마이크로캐리어를 의미한다. 본 발명자들은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을 위하여 매크로다공성 캐리어를 이용함이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매크로다공성 캐리어를 적혈구계 세포 배양에 이용하는 경우, 매크로다공성 캐리어의 공극의 크기가 적혈구계 세포가 3차원 적층 패킹 배양되기에 충분한 정도로 크고, 지나치게 큰 규모로 적층되어 세포의 눌림, 기체 또는 영양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현상 등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상기 기체 또는 영양 교환 효율은 본 발명의 마이크로캐리어 자체의 유동성에 의해 극대화 된다. 유동성이 없이 고정된 대규모 구조체에 배양하는 경우에 비하여 마이크로캐리어를 이용하는 경우, 적혈구계 세포의 3차원 적층 패킹 배양 환경을 유지하면서도, 구조체 자체의 유동성에 의해 기체 또는 영양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적혈구계 세포의 3차원 적층 패킹 배양에 있어서, 배양 규모를 확장하여 단위 바닥면적당 적혈구계 세포 수를 확장하는 경우에도 마이크로 캐리어의 공극 구조 제공을 통해 적정한 세포 적층 규모를 유지할 수 있어,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 규모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양에 이용되는 배지는 동물세포의 배양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지를 이루는 기본배지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배지, 예컨대 Eagle's MEM[Eagle's minimum essensial medium, Eagle, H. Science 130:142(1959)], α-MEM[Stanner, C.P. et al., NAT. New Biol. 230:52(1971)], Iscove's MEM[Iscove, N. et al., J. Exp. Med. 147:923(1978)], 199 medium[Morgan et al., Proc. Soc. Exp. BioMed., 73:1(1950)], CMRL 1066, RPMI 1640[Moore et al., J. Amer. Med. Assoc. 199:519(1967)], F12[Ham, Pro. Natl. Acad. Sci. USA 53:288(1965)], F10[Ham, R.G. Exp. Cell Res. 29:515(1963)], DMEM[Dulbecco's modification of Eagle's medium, Dulbecco, R. et al., virology 8:396(1959)], DMEM 및 F12의 혼합물[Barnes, D. et al., Anal. Biochem. 102:225(1980)], Way-mouth's MB752/1[Waymouth, C. J. Natl. Cancer Inst. 22:1003(1959)], 이스코브 변형 둘베코 배지(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이스코브 변형 피셔 배지 또는 이스코브 변형 이글 배지, McCoy's 5A [McCoy, T. A., et al, Pro. soc. Exp. Bio. Med. 100:115(1959)], MCDB의 시리즈 [Ham, R.G et al., In Vitro 14:11(1978)], AIM-V 배지, 및 이의 변형배지를 포함한다. 배지의 상세한 설명은 R. Ian Freshney, Culture of Animal Cells, A Manual of Basic Technique, Alan R. Liss, Inc., New York에서 알 수 있으며, 상기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배지는 적혈구 전구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시키기 위해 SCF(stem cell factor), IL-1, IL-3, IL-4, IL-5, IL-11, GM-CSF(granulocyte 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M-CSF(Macrophage Colony-Stimulating Factor), G-CSF(granulocyte-colony stimulating factor) 및 EPO(erythropoieti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최소 하나의 성분을 추가적으로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배지는 전적아세포에서 호염기성 적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에서 하이드로코티손, SCF, IL-3 및 EPO를 포함하며; 호염기성 적아세포에서 다염기성 적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에서 SCF, IL-3 및 EPO를 포함하고; 다염기성 적아세포에서 정염성 적아세포로 분화시키는 단계에서 EPO를 포함하며; 정염성 적아세포에서 다염성 적혈구(즉, 망상적혈구)로 분화시키는 단계(즉, 탈핵 단계)에서는 사이토카인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은 지속적인 유동(flow)에 의한 전단 응력이 인가되는 배지 내에서 이루어진다. 본 명세서에서의 "지속적인 유동"은 규칙적이거나 불규칙적인 주기로, 또는 연속적으로 배지에 대한 교반 또는 교환이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적층 패킹된 배양 세포층의 내부로 산소를 비롯한 필수생장요소들이 원활히 공급되어 세포 확장을 돕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을 위한 지속적인 유동은 교반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교반은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자석 교반기를 통한 교반일 수 있으며, 스피너 플라스크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동은 교반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은 1-50 rpm의 교반에 의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동은 1-40 rpm, 더 구체적으로 5-35 rpm, 보다 더 구체적으로 5-30 rpm의 교반에 의해 형성된다. 더욱 높은 rpm으로 교반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배양 세포에 가해지는 전단 응력이 너무 커져 세포들 간의 적층 구조가 무너지고, 세포들 간의 3차원 접촉 효과가 감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배양은 지속적인 유동에 의한 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로부터의 적혈구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배지 내부에 포함되는 필터 내에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는 마이크로캐리어와 적혈구계 세포가 받는 전단응력에 의한 3차원 적층 패킹 배양 환경에 대한 변화를 최소화시키고, 배지의 원활한 유동을 가능하게 하여, 효과적인 세포 확장에 도움을 준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필터는 메쉬(Mesh) 크기가 1-8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필터의 메쉬 크기는 1-5 μm, 더 구체적으로 2-5 μm, 보다 더 구체적으로 3-4 μm이다. 적혈구의 평균 직경에 비하여 작은 메쉬 크기를 갖는 필터를 이용함으로써, 적혈구가 마이크로구조체의 공극으로부터 이탈하여 배지 내에서 부유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배지의 유동(flow)에 의한 효과를 배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적혈구계 세포는 조혈모세포에서 벗어나 적혈구 계열로 분화된 세포이며, 특히 성숙과정이 거의 완료되어가고 있는 적혈구계 세포로서, 바람직하게는 최종 성숙(terminal maturation) 단계에 진입한 것을 포함한다. 이러한 최종 성숙(terminal maturation) 단계 말에 적혈구의 탈핵(enucleation) 과정이 이루어진다. 최종 성숙 단계에 진입한 적혈구계 세포는 조혈모세포와는 세포의 특성 및 성장 환경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다공성 마이크로구조체 내에서의 3D 적층 패킹 배양에 의한 우수한 배양 효과는 조혈모세포에서 벗어나 적혈구 계열로 분화된 세포, 더 나아가 최종 성숙 단계에 진입한 세포에 대하여 발휘된다. 적혈구계 세포 3D 적층 패킹 배양에 있어서, 적층 규모를 적정 수준 이상 증가시키는 경우, 세포 눌림, 기체 또는 영양 교환 효율 저하 등이 발생하여 세포 배양 효율이 감소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은 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를 적혈구계 세포의 3D 적층 패킹 배양에 최초로 도입함으로써, 적정 수준의 적층 규모 이상으로 적혈구계 세포를 밀집 배양하면서도, 마이크로캐리어의 공극을 통해 원활히 세포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적층 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3D 배양된 적혈구계 세포는 DLC 1(Deleted in Liver Cancer 1), ICAM-4(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4) 및 VLA-4(Very Late Antigen-4) 중 하나 이상의 접착 관련 유전자를 발현한다. 이러한 접착-관련 유전자 발현에 의해 세포간 신호교환 활성이 증가함으로써 적혈구계 세포의 생산율이 높아질 수 있다. 상기 DLC 1, ICAM-4 및/또는 VLA-4 단백질은 배지에 인위적으로 첨가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있어서, 본발명의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는 중간엽줄기세포, 골아세포,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 단구(monocyte), 대식세포(macrophage) 및 조직구(histiocy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적혈구계 세포와 혼합하여 공배양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 골아세포,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 단구(monocyte), 대식세포(macrophage) 및 조직구(histiocyte)는 골수의 성분을 이루는 세포들로서, 본 발명의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 환경을 골수 내 환경과 유사하게 하기 위해 이용되었고, 본 발명자들은 골수의 성분을 이루는 세포들과 적혈구계 세포를 공배양 하는 경우, 적혈구계 세포의 성숙이 원활이 일어나도록 한다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 골아세포,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 단구(monocyte), 대식세포(macrophage) 및 조직구(histiocyte)로부터 2 이상의 성분이 선택되는 경우, 혼합 비율에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바람직하게는 체내 환경과 유사한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중간엽줄기세포, 골아세포, 내피 세포(endothelial cell), 단구(monocyte), 대식세포(macrophage) 및 조직구(histiocyte)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과 상기 적혈구계 세포는 1:10 내지 2:1의 세포 수 비율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비는 체내 환경과 유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비율이지만,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을 위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적혈구계 세포의 함량을 적절하게 높인 범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을 제공한다.
(b) 본 발명에 따르면 적혈구 전구세포로부터 적혈구의 인 비트로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c) 본 발명에 따르면 적혈구계 세포의 밀집 배양 규모를 손쉽게 확장하면서도, 마이크로캐리어의 공극을 통해 원활히 세포 배양이 이루어질 수 있는 적층 규모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d) 본 발명에 따르면 임상-등급의 적혈구를 인 비트로 배양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도 1은 2D 플레이트 배양, 2D 고농도 배양, 매크로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 유형의 Cytoline 1을 이용한 적혈구계 세포 적층 패킹 배양, Cytopore를 이용한 적혈구계 세포 적층 배양, Biomatrix 3D, Honeycomb를 이용한 적혈구계 세포의 적층배양, 배지 순환 조건을 위한 스피너 플라스크, 교반기 및 원통형으로 제작한 스핀 필터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를 2D 플레이트, 3D 세포 적층 배양하고 1일, 2일 후 Wright-Giemsa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별표시는 탈핵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를 나타내며, 화살표는 정염성 적아세포(×200)를 나타낸다.
도 2의 B는 도 2의 A와 관련하여 각 조건에서의 세포 성숙 및 적혈구 생산비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은 정염성 적아세포 세포를 2D 플레이트, 3D 고농도 패킹 배양시 배양 농도를 달리하여 1일, 2일 배양 후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3의 A는 정염성 적아세포의 Wright-Giemsa 염색 결과를 나타내며, 적색 별표는 탈핵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 청색 화살표는 정염성 적아세포, 흑색 화살표는 골수성 세포, 백색 별표는 탈핵 진행중인 세포(x200), 흑색 별표는 세포내 형성이상증(dysplasia)세포를 나타낸다. 도 3의 B는 도 3의 A와 관련하여 세포 성숙 정도 및 적혈구 생산율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의 a는 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인 Cytopore와 Cytoline 1을 SEM으로 찍은 사진(좌측)과 세포를 넣어 배양한 것(가운데), 튜브(위쪽 넓은 부분의 직경이 6.5 mm)에 넣어 배양하는 모습(우측)을 나타낸다. 도 4의 b의 좌측 도는 스핀필터를 원통형으로 만든 것(직경 6.5 mm, 높이 15 mm)이고, 우측 도는 원통형 스핀필터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107 세포/ml 농도로 12웰 안의 배지에 넣어서 키운 것을 나타낸다.
도 5는 Cytopore을 사용하여 1 일, 2일, 3 일간 배양한 경우 생존한 적혈구계 세포를 나타낸다.
도 6은 Cytoline 1을 사용하여 적층 배양 한 경우에 생존한 세포를 나타낸다.
도 7은 Cytoline 1을 사용하여 배양 1일, 2일 후 세포 성숙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동시에 진행한 다른 제대혈 유래 케이스 2의 경우 적층 후 1일까지 비교하였는데, 정염성 적아세포는 대조군에서 39%, 실험군 II에서 94.1%로 세포 성숙이 매우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Cytoline 1을 넣고 3D 적층 배양 시 세포간의 접촉이 증가하며, 세포 성숙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확인 하였다(참조: 도 8, 9).
도 10의 A는 적아세포를 스피너 플라스크에 넣어 가라앉힌 후 마이크로캐리어 없이 RPM 25로 돌리면서 배양한 것을 2D 플레이트 배양한 것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의 B는 배양 기간에 따른 세포 성숙 단계를 나타낸다.
도 11은 스피너 플라스크 내에서 Cytopore를 이용하여 세포를 배양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2는 스피너 플라스크 내에서 Cytoline 1을 이용하여 3D 배양한 경우의 세포성숙 단계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도 13은 Cytoline 1 및 필터를 이용하여 RPM 0 및 RPM 25의 유동(flow) 조건에서 세포를 배양하여 Wright-Giemsa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다. 빨간별표는 탈핵된 적혈구 세포, 파란 화살표는 정염성 적아세포, 검은 별표는 죽은 세포, 검은 화살표는 다염성 적아세포(×200)를 나타낸다.
도 14는 도 13의 조건에서의 세포 성숙 단계를 나타낸다.
도 15는 도 13과 다른 제대혈 케이스로 적혈구 생성 효과를 비교한 것을 나타낸다.
도 16 내지 18은 적혈구계 세포를 2D 고농도, 3D 고농도 패킹 배양하여 세포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내고, 구체적으로 도 16은 세포 Wright-Giemsa 염색 결과를 나타내며, 빨간 별표는 탈핵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 검은 별표는 죽은 세포, 검은 화살표는 미성숙 적혈구 세포(immature erythroid cell), 나머지 모든 세포는 정염성 적아세포 세포(×200)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6의 조건에서 세포 성숙 단계를 나타낸다.
도 18은 다양한 재질 및 다양한 공극 사이즈의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한 적혈구계 세포의 배양 실험 결과를 나타낸다. 좌측은 다공성 구조체내에서 세포를 배양한 후 수거한 성숙된 적혈구계 세포의 군집(pellet)을 나타내며, 우측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낸다.
도 19는 적혈구계 세포를 2D 고농도, 3D 적층 패킹 배양한 세포의 Wright-Giemsa 염색 결과를 나타낸다. 빨간 별표는 탈핵된 적혈구를 나타내고; 배율은 200X; 스케일 바는 50 μm 이다.
도 20은 다양한 다공성 구조체 상에서 적혈구계 세포 배양시 세포의 성숙 정도를 비교한 그래프를 나타낸다.
도 21은 3D 적층 패킹 배양(3일간) 동안 적혈구 생성 마커(ICAM-4, GATA-1, Hb-beta, Hb-gamma)와 접착-관련 신호(DLC 1, ICAM-4)를 qPCR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2는 체외에서 생산한 적혈구의 기능 검사에서 건강한 공여자의 말초혈과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3은 적혈구계 세포의 3D 적층 패킹 배양에 이용 가능한 다양한 구조체들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4는 부착세포인 MSC와 골아세포(osteoblast)를 먼저 다공성 구조체에 넣고 부착되기를 기다렸다가, 3시간 후 적혈구계 세포를 추가로 넣어 실험한 군(윗줄 3h; 실험 A군)이며, 위 세 종류의 세포를 동시에 넣은 후 192시간 동안 공배양(아래줄 mix;실험 B군) 한 후 세포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5는 3D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 대식세포와 단핵 백혈구 세포를 포함하는 골수 세포와 적혈구계 세포를 72시간 동안 공배양하는 것을 통해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 입체적 상호작용을 유발하여 적혈구계 세포의 성숙 및 최종 적혈구 세포의 생산에 미치는 효과를 실험으로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좌측은 48시간 배양하여 구조체 내부의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한 사진이며, 우측은 48시간, 72시간 배양하여 세포를 염색한 결과이다(검은색 화살표는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 빨간 화살표는 성숙 적혈구계 세포; 흰 별표는 대식세포; 나머지세포는 단핵세포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실험방법
실시예 1: 세포배양 및 계수
면역자성 마이크로비드 분리법(immunomagnetic microbead selection method) 및 EasySep CD34 분리키트(StemCell Technologies)를 사용하여 건강한 기증자의 제대혈로부터 CD34+ 세포를 분리하였다. CD34+ 세포들은 일부는 분리 후 바로 배양에 이용되고, 냉동상태로 보관하다가 해동하여 사용되기도 하였다. 이 세포들은 17일 동안 기질 및 혈청이 없는 조건에서 배양하였다[3, 4].
여러 가지 사이토카인을 CD34+ 세포의 분화 및 증식을 위해 첨가하였다. 0일에서 7일까지, 세포들을 1 μM 하이드로코르티손(Sigma), 100 ng/ml 줄기세포인자(SCF; R&D Systems), 10 ng/ml 인터루킨 (IL)-3(R&D Systems), 그리고 6 IU/ml 에리쓰로포이에틴(EPO; Calbiochem)으로 보충된 배지에서 배양하였다. 7일에서 13일까지 50 ng/ml SCF, 10 ng/ml IL-3 및 3 IU/ml EPO를 첨가한 배지에서 염기성 적아세포(basophilic erythroblast)를 배양하였다. 13일부터 17일까지는 2 IU/ml EPO를 첨가하였다[3, 4]. 17일경 다염성 적아세포(polychromatic erythroblast)와 정염성 적아세포(orthochromatic erythroblast)가 50% 이상이 되었을 때 3D 비교실험에 들어갔다. 배양 17일 때, 3D 배양시는 2 IU/ml EPO, 5% 제대혈 플라즈마 유래 혈청(cord blood plasma derived serum)을 첨가하였다[5].
배지는 2일마다 교체하였다. 세포들을 CO2 인큐베이터(Sanyo)에서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트리판 블루 염색으로 생존한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고, 세포손상여부(cell integrity) 및 성숙정도를 Wright-Giemsa 염색(Sigma-Aldrich) 후 각 군마다 맹검법(blinded manner)으로(세포를 계수하는 연구자는 세포 배양조건이 무엇인지 모르게 함) 두 숙련된 연구자가 최소 400개의 세포들을 계수하여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적혈구 세포의 영상화
세포를 세포원심분리기(Cellspin, Hanil Science Industrial)를 이용해 슬라이드에 도말 후 Wright-Giemsa 염색(Sigma-Aldrich) 후 성숙 단계 마다 세포 성숙단계 및 세포이형성증(myelodysplasia)과 세포손상여부 등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3: 2D plate 배양, 3D 적층 세포 배양
배양 15-17일경, 후반 성숙단계(terminal maturation)에 이른 적혈구계 세포(다염성-/정염성-적아세포)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조건으로 나누어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6-well에 2D 플레이트 배양으로서 1x106 세포/mL 농도로 배양하였다. 실험군은 튜브에 2x107 세포/mL로 세포를 넣어 자연적으로 적층되게 한 후 튜브를 세워서 배양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기본 배지는 플라즈마-유래 혈청 5%를 첨가하여 배양하였다[5].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수와 생존율을 확인하고,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4: 3D 배양시기 결정
적층 배양을 시작하기에 적절한 적아세포의 성숙시기를 알기 위해 염기성 적아세포가 50% 이상 남아 있을 때(배양 13일경)와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가 50% 이상일 때 적층배양에 들어갔다.
실시예 5: 2D 플레이트 배양, 3D 100 μl, 200 μl 적층 배양
세포수가 증가하면 영양소가 세포 적층 부분 안으로 확산해 가기 어렵거나 CO2나 락테이트 같은 독성 대사물질(toxic metabolite)이 바깥쪽으로 빠져나오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를 적층 배양시 적절한 적층 규모를 확인하기 위해 각 조건에서 적혈구의 생성률과 탈핵률(enucleation rate)을 비교하였다. 대조군은 6-well에 1x106 세포/mL로 배양하고, 실험군 I은 1x107 세포/ml의 세포를 튜브에 넣어 세포를 가라앉혀 적층시킨 후 배양하고, 실험군 II는 2x107 세포/2 ml의 세포를 넣어 2배 부피의 세포 적층 규모로 배양 한다. 사용한 튜브는 상기 실험군 I 및 II의 세포가 충분히 쌓여 3D 적층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배양액은 동일하며,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수와 생존율을 확인하고,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6: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의 2D, 3D 적층 배양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의 적층규모를 키우기 위해 입체적으로 골수내 골격(bony trabeculae) 환경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골수내 골격 공간과 비슷한 직경 및 공간으로 이루어진 재질 중 인체에 적용 가능한 재질을 찾아 비교하였다. 첫번째 사용 재질은 100% 셀룰로오스로 만들어진 Cytopore(GE healthcare)이며 평균 공극 크기 30 μm, 밀도 1.03 g/ml, 입자직경 200-280 μm, 유효 표면 영역(1.1 m2/g, 부피 40 ml/g의 다공성 캐리어였다. 두번째 재질 Cytoline 1(GE healthcare)은 폴리에틸렌과 실리카로 만들어졌으며 공극의 크기 1-400 μm, 밀도 1.32 g/ml, 침강 속도 120-220 cm/분, 길이 1.7-2.5 cm, 두께 0.4-1.1 cm, 표면 영역 0.3 m2/g 이상으로 골수 골격 내 공간과 유사하였다.
3D 실험군에 대한 대조군은 위의 2D 플레이트 조건과 같았다. 실험군 I은 튜브에 Cytopore를 넣고, 실험군 II는 Cytoline 1을 넣은 후(참조: 도 4), 여기에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를 넣고 1x107 세포/ml로 적층하여 배양하였다. 최종 성숙단계에 이를 때까지 배양하며, 24시간과 48시간 동안 배양하여, 세포수와 생존율을 확인하고,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7: 스피너 플라스크 내의 3D 적층
우선 성숙단계의 세포가 3D 적층상황에서 세포가 눌리지 않고 약한 유동(flow)의 전단 응력(shear stress)에 견디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 대조군은 위와 동일시하며, 실험군은 Cytoline 1에 1.0x107 cell/ml로 넣은 후 스피너 플라스크에 넣어 배양하였다. 일반적으로 충전층 바이오리액터(packed bed bioreactor)에서 세포들은 움직일 수 없게 고정화(immobilized)되지만, 본 실험에서 적아세포는 부착세포(adherent cell)가 아닌 부유세포에 가까우므로 공극 공간 안에 들어가 있었다 하더라도 일부는 배지 유동(media flow)에 의해 마이크로캐리어 밖으로 나와 배지에 부유(floating)하게 된다.
적아세포는 유체의 유동에 의한 전단 응력에 매우 약하다는 것을 여러 RPM 조건에서 확인 실험을 하였다. 따라서, 바이오리액터를 돌리는 최저속도인 RPM 25로 전단 응력을 최소화하여 최종 성숙 단계까지 배양하여, 24시간 단위로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을 트리판 블루로 염색하여 살아 있는 세포의 수를 확인 하고,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8: 스피너 플라스크에서의 Cytopore 및 Cytoline 1을 이용한 3D 적층
골수 내 상황을 고려한 스케일-업 배양을 위해 큰 부피의 대량의 세포 적층에도 아래 세포가 눌리지 않고 배지가 원활히 교환되는 조건을 알아보고자 스피너 플라스크에 Cytopore 혹은 Cytoline 1을 넣고 배양 하였다. 대조군의 조건은 위와 동일하며, 실험군은 스피너 플라스크에 1x107 cell/ml로 넣고 배양하였다. 24시간 단위로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을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9: 스피너 플라스크에서의, Cytoline 1을 이용한 스핀 필터 내의 3D 배양(배지 교환)
In vitro 골수내 환경 재현을 위한 더 적합한 3D 적층배양용 다공성 구조체로 Cytoline 1을 선택하였다. 적혈구계 세포가 부착 세포가 아니기 때문에 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 안에 들어가도 고정되어 있지 않고, 일부가 캐리어 밖으로 나와 현탁액(suspension) 상태로 돌아다니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경우 세포의 상호간 접촉이 되지 않으므로, 공극 내에서 적층하여 키우면서도 배지의 교환이 원활하도록 원통형으로 만든 스핀 필터 안에 캐리어와 세포를 가두고 배양기 가운데 고정시켜 배양하였다. 일반적으로 바이오리액터에 사용되는 8 μm 필터는 공극 직경이 넓어, 가장 작은 세포에 속하는 적혈구계 세포가 쉽게 빠져나왔다. 따라서 필터 메쉬 크기(mesh size)가 3 μm로 작은 스핀 필터에 가두어 놓고 배양액이 서서히 교환되게 세포를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위와 동일하며, 실험군 I은 스핀 필터로 세포를 1x107 세포/ml 농도로 가두어 놓고 Cytoline 1과 함께 정지상태에서(RPM 0) 배양하였다. 실험군 II는 RPM 25로 흔들어주며(shaking) 배양하였다. 24시간마다 대조군과 실험군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10: 2D 고농도 배양, Cytoline 1을 이용한 3D 적층 배양
위 실험들을 통해, 2D 플레이트 배양보다 3D 적층 세포 배양시 세포 생존율이나 세포 성숙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다공성 구조체를 사용하여 3D 적층 배양의 세포생존율이 낮으나, 세포 성숙도가 월등히 높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in vitro 골수 환경의 재현의 결과라 할 수 있으며, 높은 농도의 조건에서 최종 성숙단계인 적혈구 세포의 생성을 위한 획기적인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전에 2D 플레이트에서도 일반적인 세포 농도보다 플레이트 바닥에 세포가 서로 접촉할 수 있을 만큼 세포를 많이 넣어 배양하면 세포 생존율이나 세포 성숙이 더 잘됨을 발표한 바 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2D 플레이트에서 고농도 배양과 비교해 3D 배양시 접촉정도가 더 많아져 적혈구 생성이 잘 되는지와 적층 시 배지교환 등에 문제가 없는지 알기 위해 비교실험을 하였다. 배양액은 동일하며 대조군은 2D 플레이트 24-웰에 1x106 세포/ml를 넣어 고밀도로 배양하였다. 실험군 I은튜브에 1x107 세포/ml를 넣어 Cytoline 1과 배양하였다. 또한 실험군 II는 스핀 필터 안에 1x107 세포/ml의 세포를 Cytoline 1과 함께 배양하였다. 24시간 단위로 대조군과 실험군 각각을 트리판 블루로 염색하여 살아 있는 세포의 수를 확인 하고, Wright-Giemsa 염색법을 사용하여 세포의 성숙 단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11: 다공성 구조체의 선정을 위한 추가 실험
적혈구 세포의 최종 성숙(terminal maturation) 단계에 이른 세포를 3D 다공성 구조체(매크로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 스캐폴드)에 고밀도 적층 배양하여 배양 효과를 확인하였다. 3D 다공성 구조체는 세포의 상호작용을 자극하기 위한 수많은 다공을 갖고 있으며, 체내 골수 내 골격의 다공성을 재현할 수 있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는 재질로서 적합한 구조체의 선별을 위해 공극 크기(pore size)와 골격의 모양 및 재질성분을 다양하게 하여 실험해 적용 가능성 여부를 확인 하였다. 각 재질의 공극 크기(μm)와 재질은 표 1에 기재하였다. 대조군은 6-웰에 2D 플레이트 배양으로서 1x106 세포/mL 농도로 배양하였다.
종류 재질 공극 크기(μm) 직경(mm) 밀도(g/ml)

매크로다공성 마이크로캐리어
Cytopore 100% Cellulose matrix 30 0.2-0.28 1.03
Cytoline 1 Polyethylene, Silica 10-400 1.7-2.5 1.3

스캐폴드
Honeycomb 100% bovine collagen 200-400 6(직경) x 2(높이)
Biomerix 3D Biostable poly-urethane 250-500 5(직경) x 2(높이)
성숙 단계에 이른 적혈구계 세포를 1x107 세포/mL의 농도로 각각의 다공성 구조체에 넣어 스핀 필터 안에 넣고 3일간 배양 하였다. 신선한 배지를 전체 배지의 반을 매일 교환해 주었으며, 세포의 상태를 Wright- Giemsa 염색을 통해 확인 하였다.
실시예 12: 배양 세포의 산소 운반능 측정
3D 스캐폴드에서 적층 패킹 배양하여 생산된 최종 적혈구를 Hemox analyzer(TCS Scientific)를 사용하여 산소 평형 커브(Oxygen equillibrium curves)를 정상인의 말초혈액을 대조군으로 하여 비교 측정하였다.
실시예 13: 적혈구계 세포 3D 배양을 위한 구조체 선정을 위한 추가실험
적혈구 세포의 배양에 적합한 공극 크기와 재질을 결정하기 위해 다양한 3D구조체를 이용하여 세포 적층 실험을 진행하였다. 세포 내 골격 구조를 재현하기 위한 500 μm 이내의 공극 구조와 골수 구성 세포들을 지지해 줄 수 있기에 충분한 강도를 가지고 있는 재질, 그리고, 세포들의 배양 후 수거에 용이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구조체를 선정하기 위해 3D-프린트된 스캐폴드, 마이크로캐리어, 공극이 없는 디스크 유형, 금속 재질(Ni, Stainless steel)로 나누어 실험을 진행하였다. 대조군과 실험군의 세포의 농도와 배양 배지의 조건은 앞의 실험 조건과 동일하다. 표 2는 다양한 3D 구조체의 사양을 나타낸다.
유형 성분 공극 크기
(μm)
직경
(직경 x 높이)
3D 프린트된 스캐폴드 3D 프린트된 스캐폴드 폴리카프로락톤 500 8 mm x 2 mm
마이크로 캐리어 디스크 피브라셀 마이크로캐리어 디스크(Fibracel -micro carrier disk) 폴리프로필렌 지지체를 갖는 폴리에스터 매쉬 - 6 mm x 0.1 mm
금속 구조
니켈 구조 니켈 ~ 500 8 mm x 1.5 mm
스테인리스 강 구조 금속 합금 ~ 500 8 mm x 1.5 mm
실시예 14: 골수 성분 세포들과의 공배양 효과의 확인
인체의 조혈과정이 활발히 일어나고 있는 골수내 공간을 모방한 3D 구조체내에 골수 성분의 세포들과 적혈구계 세포를 공 배양함으로 실제 골수내 적혈구 모세포섬(erythroid island)을 재현하여 세포의 성숙이 원활이 일어나도록 하였다. 중간엽줄기세포 (Mesenchymal stem cells, MSC), 골아세포 (Osteoblast), 성숙한 적혈구계세포를 일정한 비율을 유지하며(MSC: 골아세포: 성숙 적혈구계세포=2:1:10), 192시간 동안 공배양하여 2D 플레이트 배양과 비교하였다. 세 종류의 세포를 공배양하기 적합한 기본 배지 조건으로 Stem line II와 Dulbecco Modified Eagle Medium low glucose 배지를 9:1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으며, 배지 교환은 전체 배지양의 일부만 매일 교환 하였다. 이후 유동 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로 세포의 개체군(population)(골수 세포에 대한 CD45, 적혈구계 세포에 대한 CD71, MSC에 대한 CD51 및 CD90)을 확인 하였다. 배양의 최적의 조건 확립을 위해 실험에 다양성을 두어, 구성 세포들을 모두 동시에 배양하거나 혹은 MSC와 골모세포(osteoblast)를 먼저 배양한 후 3시간 뒤 적혈구계 세포를 공배양하는 조건으로 나누어 진행 하였다.
실험 결과
1. 호염기성/다염성 적아세포의 적층 효과 (2D plate 배양, 3D 세포 적층 배양)
제대혈에서 분리한 조혈모세포를 적아세포의 배양용 배지에 13-17일간 분화시켜 호염기성/다염성 적아세포가 50% 이상이 될 때 세포를 고농도로 적층하였다. 대조군은 플레이트에서 배양하였으며, 실험군은 2x107 세포/ml 농도로 튜브에 적층하여 1일, 2일 때 적혈구세포의 성숙 정도 및 생존도를 관찰하였다(참조: 도 2A). 2D 플레이트에서와는 달리 3D 튜브법에서는 적혈구계 세포들이 골수내 적혈구 모세포섬(erythroid island)과 유사하게 세포 간에 밀접한 접촉을 유지하며 배양되었다(참조: 도 2A). 배양 1일, 2일 후 대조군은 정염성 적아세포가 38.5%, 57.8% 관찰되었지만, 3D 적층한 실험군에서는 50.9%, 49.6%가 관찰되었다(참조: 도 2B). 탈핵한 적혈구는 대조군(13.7%, 7.5%)보다 3D 적층배양에서 적혈구가 증가하였다(20.6%, 25.2%). 2일에 정염성 적아세포 비율이 대조군보다 실험군에서 감소한 이유는 탈핵이 더 많이 되어 적혈구가 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또한, 배양환경이 좋지 않아 핵이 제대로 분열되지 못하고 쪼개지거나 한 세포질 내에 여러 개의 핵이 남아 있는 세포이형성증(myelodysplasia)이 1일과 2일에 대조군(5.1%, 6.1%)과 실험군(2.3%, 3.1%)에서 각각 감소하였다. 따라서, 3D 적층배양에서 감소하여 배양 환경이 세포 성숙과 적혈구 생산에 더 적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정염성 적아세포 세포 적층 규모
위의 실험에서 2D 플레이트 세포 배양보다 3D 고농도 적층 세포 배양이 in vivo 골수 환경의 재현으로 세포간의 접촉을 증가시켜 세포 성숙에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3D 고농도 적층 배양시 최적의 세포 적층규모를 찾기 위해 성숙 단계에 이른 적아세포를 2D 플레이트 배양 대조군과 실험군 I, II를 비교하였다. 실험군 I은 세포를 1x107 세포/ml 농도로 3D 적층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 좁은 튜브에 넣어 쌓아 배양하고, 실험군 II는 2x107 세포/ml로 쌓아 배양하였다. 배양 1일, 2일 후 정염성 적아세포는 대조군에서 40.7%, 22.6%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I에서는 43.3%, 23.1%, 실험군 II에서는 36.0%, 18.2%로 관찰되었다. 실험군 I의 조건이 3D 적층 배양시 세포 성숙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참조: 도 3A, 3B). 탈핵 효과로 인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는 배양 1, 2일에 대조군(16.1%, 22.6%)보다 실험군 I, II가 각각 (23.8%, 46.1%), (23.0%, 30.1%)로 적층시 탈핵된 적혈구가 더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군 I이 II보다 적층에 대한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 하였다. 또한, 세포이형성증이 2일 때 대조군과 실험군 I, II에서 각각 3.8%, 2.7%, 2.6%로 적층시 더 감소하였다. 세포 생존도는 실험군 I, II가 대조군에 비해 1일 때 4.6%, 5.4% 증가하였고, 2일 때 5.7%, 5.9% 더 증가하였다(참조: 도 3B).
3. 다공성 구조체에서 3D 적층 배양
성숙 단계에 이른 세포를 in vitro 골수내 골격 환경을 재현하여 세포를 배양하기 위해, 성숙 단계에 이른 적아세포를 대조군과 Cytopore 및 Cytoline 1에서 배양한 것을 비교하였다(참조: 도4).
Cytopore의 경우 배양 1 일, 2일, 3 일 관찰 결과 대조군보다 적혈구계 세포의 생존율이 낮았다. 이는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공극의 공간이 세포접촉과 배지 순환을 유발하기에 너무 작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참조: 도 5).
Cytoline 1의 경우 적층배양시 세포 성숙이 효율적이어서(참조: 도 6), 1일, 2일 후 정염성 적아세포가 대조군에서는 (38.3%, 15.6%)가 관찰되었으며, Cytoline 1 케이스 1에서는 (67.5%, 14.1%)로 관찰되었다. 또한 탈핵 후 적혈구는 대조군(6.1%, 7.2%)보다 Cytoline 1의 케이스 1, 케이스 2 각각 (26.9%, 80.0%)로 적층 시 적혈구가 매우 증가하였다. 또한, 세포이형성증이 대조군과 Cytoline 1에서 각각 (26.9%, 4.0%), (2.8%, 0.0%)로 감소하였다(참조: 도 7). 동시에 진행한 다른 제대혈 유래 케이스 2의 경우 적층 후 1일까지 비교하였는데, 정염성 적아세포는 대조군에서 39%, 실험군 II에서 94.1%로 세포 성숙이 매우 크게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Cytoline 1을 넣고 3D 적층 배양 시 세포간의 접촉이 증가하며, 세포 성숙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확인 하였다(참조: 도 8, 9).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의 경우 살아있는 세포는 적혈구계 세포가 아니라 다른 계열 세포이므로 의미가 없어 비교하지 않았다.
4. 적아세포의 스피너 플라스크에서 공극 없이 배양효과 비교
스피너 플라스크에서 성숙 단계에 이른 다염성/정염성 적아세포가 약한 유동의 전단 응력(유체역학적 손상)에 견디는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하였다(참조: 도 10A). 스터링(Stirring) RPM 25로 전단 응력을 최소화하여 4일까지 배양하였고, 이 속도에서 세포는 거의 뜨지 않고 바닥에서 가라앉아 있었다. 대조군은 정염성 적아세포가 24시간마다 (9.1%, 5.9%, 46.2%, 41.6%)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I에서는 (35.0%, 12.8%, 36.0%, 12.8%)가 관찰 되었다(참조: 도 10B). 또한 적혈구 생성율도 대조군에서 (0.0%, 2.7%, 5.8%, 3.4%), 실험군 I에서 (6.5%, 9.0%, 26.0%, 59.3%)로 스피너 플라스크에서 더 효과가 좋았다. 따라서, Cytoline 1에 넣어 스피너 플라스크 배양도 세포성숙 및 적혈구 생성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단 응력으로 인해 세포 생존율이 대조군보다 낮고 적혈구의 형태를 잘 유지하고 있지 않아 배지의 전단 응력으로부터 공극 안에서 배양하는 것이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참조: 도 10A).
5. 스피너 플라스크에서 Cytopore에 배양
큰 부피에서 세포 눌림과 전단 응력을 줄이기 위해 3D 적층 스피너 플라스크 배양시 Cytopore, Cytoline 1을 각각 넣어 배양하였다. Cytopore의 경우 스피너 플라스크 내에서도 앞선 실험 결과와 마찬가지로 성숙한 적혈구계 세포가 증가하지 않아 적혈구계 세포 배양에 적합하지 않음을 재차 확인하였다(참조: 도 11).
6. 스피너 플라스크에서 Cytoline 1에 배양
대조군은 정염성 적아세포 (11.8%, 3.9%, 34.7%)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은 (34.1%, 9.7%, 3.1%)관찰되었다. Cytoline 1을 넣고 3D 적층 스피너 플라스크 배양 시 세포간의 접촉이 증가하며, 세포 성숙이 더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참조: 도 12). 탈핵 효과로 인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는 배양 1, 2, 3일에 각각 대조군(0%, 2.3%, 4.2%)보다 실험군에서(12.2%, 32.3%, 90.6%) 탈핵된 적혈구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Cytoline 1 내에서 적층 효과를 유지하면서 전단 유동에 영향을 덜 받아 최종 단계인 적혈구 세포의 생산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스피너 플라스크 내에서 스핀필터 및 Cytoline 1을 이용한 3D 배양 및 교반 속도(shaking RPM)에 따른 효과 비교
세포가 마이크로캐리어 밖으로 빠져나와 적층되지 않고 배지 유동에 의한 전단 응력을 받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스핀 필터(3 μm)에 마이크로캐리어와 세포를 가두어 적층효과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배양액이 서서히 교환되게 실험을 진행 하였다. 실험군 I은 스핀 필터로 세포를 가두고 Cytoline 1과 함께 배양하며 전단 응력을 고려하여, RPM 0으로 하고, 실험군 II는 RPM 25로 흔들어주며(shaking) 배지교환이 보다 원활하게 하였다. 배양 1 일, 2일 후 대조군은 정염성 적아세포 (51.4%, 64.2%)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I에서는 (66.4%, 70.0%), 실험군 II에서는 (63.2%, 59.4%)관찰되었다. 탈핵 적혈구는 대조군(8.6%, 10.7%)보다 실험군 I, II에서 각각 (15.0%, 25.6%), (25.5%, 32.3%)로 대조군 보다 탈핵된 적혈구가 증가하였고, 대조군 II에서 더 높았다. 또한, 세포이형성증이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I, II에서 각각 배양 1일에 5.7%, 1.0%, 2.0%로 감소하였다(도 13 내지 15). 스핀 필터에 세포 찌꺼기가 끼는 현상은 관찰되지 않았다. 즉,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해 적층효과를 유지하면서, 스핀 필터를 이용해 배지 유동에 의한 전단 응력을 줄이면서도 배양액의 원활한 교환을 유도한 것이 세포의 성숙 및 적혈구 세포 생산에 가장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8. 2D 고 농도, Cytoline 1을 이용한 3D 적층 배양
본 발명자들은 실험결과를 재차 입증하기 위해, 결과가 좋았던 실험을 재현하였다. 대조군은 2D 플레이트 배양으로 고농도로 배양하며, 실험군 I은 튜브에 Cytoline 1을 넣어 3D 적층 배양하며, 실험군 II는 스핀 필터 안에 Cytoline 1과 함께 세포를 3D 적층 배양 했다. 배양 1 일, 2일 후 대조군은 정염성 적아세포 (60.0%, 66.7%)가 관찰되었으며, 실험군 I에서는 (45.1%, 56.5%), 실험군 II에서는 (31.7%, 44.3%)관찰되었다. 실험군의 조건이 3D 적층 배양 시 세포성숙에 더 효과적으로 진행됨을 확인하였다(조: 도 16 내지 18). 탈핵 효과로 인한, 최종 성숙 적혈구 세포는 대조군(7.2%, 24.2%)보다 실험군 I, II가 각각 (22.5%, 43.5%), (24.4%, 50.4%)로 대조군보다 탈핵된 적혈구가 증가하였다. 그리고 실험군에서 세포간 접촉이 증가하였으며, 따라서 적층에 대한 효과가 증대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이형성증이 대조군과 실험군 I, II에서 각각 (2.0%, 1.0%), (4.2%, 0.0%), (0.0%, 1.7%)로 감소하였다(참조: 도 16 내지 18).
9. 다공성 구조체의 선정
3일간 배양되는 동안 적혈구로의 성숙이 대조군보다 3D 다공성 구조체에서 더 진행되었고, 헤모글로빈이 축적되어 세포 펠릿이 더 붉은색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또한 1일 배양시에는 Cytoline 1이 다른 스캐폴드보다 눈에 띄게 붉은색의 세포 펠렛(pellet)을 나타내었으나, 배양일이 경과하면서 Bioemrix 3D, Honeycomb 스캐폴드에서도 배양된 세포의 펠렛이 붉은색을 띄는 것을 확인 하였다. 구조체에 따라 세포의 성숙 속도가 다를 수 있기는 하지만, 모든 3D 적층 패킹 배양 환경에서 적혈구 생산이 효율적이고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도 19는 세포 염색 사진 (좌측), 도 20은 세포 성숙 정도를 나타낸다. 특히, Biomerix 3D, Honeycomb 스캐폴드에 배양된 세포의 경우 배양일이 지날수록 세포의 생존율(참조: 도 18, 우측)도 대조군보다 증가하였으며, 배양 4일째에 Biomerix 3D의 세포 염색(참조: 도 19)에서 탈핵된 적혈구의 수가 더 증가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고밀도 적층 배양(3일 동안) 세포와 배양 전(0h) 세포를 비교하여 세포 신호전달을 확인 하였다. 적아세포 접착-관련 마커(erythroblast adhesion-related markers)인 DLC-1(deletion in liver cancer-1)과 ICAM-4(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4),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 GATA-1과 적혈구 세포 성숙 마커(erythroid cell maturation markers)인 Hb-beta와 Hb-gamma의 mRNA 발현을 확인 하였다(참조: 도 21). 배양 1일에 DLC-1의 mRNA 발현량은 0h 대조군보다 Biomerix 3D에서 253.2배 증가 하였으며, ICAM-4의 mRNA 발현량은 104.9배 증가 되었다. GATA-1 mRNA 발현률은, 배양 2일경, Biomerix 3D에서 배양한 적혈구계 세포에서 9.1배 증가 하였으며, Hb-beta의 mRNA 발현률은, 배양 3일째, Biomerix 3D에서 313.0배, Honeycomb 스캐폴드에서 298.2배로 크게 증가 되었다. Hb-gamma mRNA 발현률 또한 배양 3일째, Biomerix 3D 스캐폴드에서 203.3배 증가 되는 것을 확인 하였다. 따라서 성숙된 적혈구계 세포가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 적층되어 배양됨으로 세포간의 접촉이 증가 하여 세포 접착력(cell adhesion), 세포 성숙을 매우 효과적으로 증진 시키는 것을 확인 하였다.
10. 배양 세포의 산소 운반능 측정
도 22의 좌측 도는 세포 펠릿이 배양한 성숙한 적혈구이다. 배양한 성숙 적혈구 세포의 O2 운반 능력이 대조군과 유사함을 확인하였다(p50=20.8, p50=25.8; 생산한 적혈구, 대조군)(참조: 도 22).
11. 골수 성분 세포들과의 공배양 효과의 확인
적혈구계 세포를 골수 성분 세포들과 공배양한 결과 두 조건의 세포 개체군(population)이 달랐으며, 구성된 모든 세포를 동시에 3D 구조체에 넣어 배양하는 것이 적혈구계 세포의 분화에 더 도움이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참조: 도 24).
도 24는 다공성 구조체에 골수 내 세포인 중간엽줄기세포(mesenchymal stem cells, MSC) 및 골아세포(osteoblasts)와 성숙된 적혈구계 세포를 공배양한 결과이다. 실험 A군에서는 부착세포인 MSC와 골아세포를 먼저 다공성 구조체에 넣고 부착되기를 기다렸다가, 3시간 후 적혈구계 세포를 추가로 넣어 배양하였으며, 실험B군에서는 상기 세종류 세포를 동시에 넣은 후 192시간 동안 공배양하였다. 동시에 배양된 실험 B군의 경우는 192시간 후 MSC를 나타내는 CD51+CD90+의 퍼센트가 2D배양보다 3D배양에서 3.1%증가되어 유지 되었고,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를 나타내는 CD45+CD71+는 16.0% 증가 되었으며, 성숙한 적혈구 세포를 나타내는 CD45-CD71+도 대조군과 비슷하였다. 적혈구계 세포를 부착세포보다 나중에 넣은 실험 A군의 경우 192시간 후 MSC를 나타내는 세포 마커인 CD51+CD90+ 세포의 퍼센트가 2D배양보다 3D배양에서 0.7%정도 낮았으나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를 나타내는 CD45+CD71+가 21.4% 높아 적혈구계 세포를 3D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 유지, 증식 시키는데 효과적임을 확인 하였다. 또한 골수 내에서는 적혈구 세포들끼리 서로 입체적으로 밀착하여 적혈구 모세포섬(erythroblastic island)이란 공간을 만들어 성숙 및 증식하게 된다. 골수 내에서 적혈구 모세포섬은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가 성숙되기 위해 대식세포와 긴밀하게 상호작용하는 중요한 공간이다. 마찬가지로, 3D 다공성 구조체내에도 대식세포와 단핵 백혈구를 세포를 포함하는 골수 세포와의 공배양을 통해 적혈구계 세포의 성숙 및 최종 적혈구 세포의 생산을 극대화 시킬수 있는지를 실험으로 확인 하였다. 3D 스테인리스 강(Stainless steel) 다공성 구조체에 골수 단핵세포(Bone marrow mononuclear cells, BM MNC)를 1x108 세포/mL의 농도로 세포를 넣고 3 μm의 스핀필터로 감싸 7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실험군). 2D 대조군의 조건과 배양 배지 및 배지 교환 조건은 위와 동일하였다. 24시간 간격으로 다공성 구조체내에서 세포들이 밀착되어 3D 적층을 형성하는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참조: 도 25, 좌측). 또한 동일한 시간 간격으로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 세포간의 입체적 상호작용으로 인한 적혈구계 세포의 성숙을 Wright-Giemsa 염색을 통해 확인 하였다(참조: 도 25, 우측). 배양 48시간에는 2D 대조군에 비해 3D 실험군에서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가 눈에 띄게 관찰되었다(검은색 화살표는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이고, 나머지 세포는 단핵세포 및 대식세포를 나타낸다). 배양 72시간에도 대조군 보다 실험군에서 성숙 적혈구계 세포와 대식세포의 모습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검은색 화살표는 미성숙 적혈구계 세포; 빨간 화살표는 성숙 적혈구 세포; 흰 별표는 대식세포를 나타낸다). 이는 3D 다공성 구조체 내에서도 골수 세포들 끼리 입체적 상호작용이 적혈구계 세포의 성숙에 중요한 역할을 함을 보여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 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참고문헌
1. Lowe K. Blood substitutes: from chemistry to clinic, Journal of materials chemistry 2006; 16: 4189-4196.
2. Timmins NE, Nielsen LK. Blood cell manufacture: current methods and future challenges. Trends in Biotechnology 2009; 27: 415-422.
3. Choi HS, Lee EM, Kim HO et al. Autonomous control of terminal erythropoiesis via physical interactions among erythroid cells. Stem Cell Res 2013; 10: 442-453.
4. Kim HO, Baek EJ. Red blood cell engineering in stroma and serum/plasma-free conditions and long term storage. Tissue Eng Part A 2012; 18: 117-126.
5. Baek E.J., Kim H.S., Kim J.H. et al. Stroma-free mass production of clinical grade red blood cells by using poloxamer 188 as a RBC survival enhancer. Transfusion 2009.

Claims (12)

  1. 다공성 구조체를 이용하여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양은 교반에 의해서 형성되는 지속적인 유동(flow)에 의한 전단 응력이 인가되는 배지 내에서 이루어지고,
    상기 적혈구계 세포는 다염성 적아세포(polychromatophilic erythroblast) 및 정염성 적아세포(orthochromatic erythroblast)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되는 최종 성숙(terminal maturation) 단계에 진입한 세포이며,
    상기 배양은 배지 내부에 포함되고, 적혈구의 평균 직경보다 작은 메쉬 크기를 갖는 필터 내에서 이루어지며,
    상기 다공성 구조체는 30-500 ㎛ 크기 분포를 갖는 공극을 포함하고,
    상기 유동은 1-50 rpm의 교반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필터는 메쉬(Mesh) 크기가 1-8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3차원 적층 패킹 배양된 적혈구계 세포는 DLC-1(Deleted in Liver Cancer-1), ICAM-4(Intercellular Adhesion Molecule-4) 및 VLA-4(Very Late Antigen-4) 중 하나 이상의 접착 관련 유전자를 발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삭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혈구계 세포를 3차원 적층 패킹(packing) 배양하는 단계는 중간엽줄기세포 및 골아세포를 적혈구계 세포와 혼합하여 공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삭제
KR1020150049242A 2014-04-07 2015-04-07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KR1018455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1320 2014-04-07
KR1020140041320 2014-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6797A KR20150116797A (ko) 2015-10-16
KR101845588B1 true KR101845588B1 (ko) 2018-04-05

Family

ID=542880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9242A KR101845588B1 (ko) 2014-04-07 2015-04-07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73455B2 (ko)
EP (1) EP3130668B1 (ko)
KR (1) KR101845588B1 (ko)
CN (1) CN106414722B (ko)
WO (1) WO20151565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00565B (zh) 2015-10-07 2021-10-29 善威生物私人有限公司 血液制备和图谱分析
EP3393482A4 (en) * 2015-12-22 2019-08-21 Sangui Bio Pty. Ltd THERAPEUTIC PROCEDURES USING ERYTHROCYTES
CN110366597B (zh) 2016-12-20 2024-03-29 善威生物私人有限公司 用蛋白酶抑制剂进行血液图谱分析
KR102196527B1 (ko) * 2017-12-21 2020-12-31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혈구계 세포 배양 중 적혈구를 수거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GB201818045D0 (en) 2018-11-05 2018-12-19 Nhs Blood & Transplant Method for producing erythroid cells
CN111358810B (zh) * 2020-02-28 2020-12-29 广州市天河诺亚生物工程有限公司 一种用于辅助贫血治疗的复合物及其制备方法
WO2021228832A1 (en) 2020-05-11 2021-11-18 Erytech Pharma Red cell extracellular vesicles (rcevs) containing cargoes and methods of use and production thereof
KR20220023550A (ko) * 2020-08-21 2022-03-02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혈구의 체외 생산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0874A (ja) * 2010-09-15 2012-04-2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擬微小重力環境下での三次元組織構築方法
JP2012520672A (ja) * 2009-03-20 2012-09-10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マイクロキャリアー上の多能性(pluripotent)および多分化能(multipotent)細胞の培養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61998B1 (en) * 1998-06-25 2002-03-26 Hemosol Inc. Efficient culture of stem cells for the production of hemoglobin
US7247477B2 (en) * 2002-04-16 2007-07-24 Technion Research & Development Foundation Ltd. Methods for the in-vitro identification, isolation and differentiation of vasculogenic progenitor cells
CN1238495C (zh) * 2003-12-31 2006-01-25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生物工程研究所 动物细胞多孔微载体固定化高效培养方法及其培养基
CN100529062C (zh) * 2004-04-09 2009-08-19 华东理工大学 三维立体培养和诱导骨髓间充质干细胞成软骨细胞的方法
JP5419076B2 (ja) 2008-05-15 2014-02-19 旭化成メディカル株式会社 血小板の誘導方法
JP5639058B2 (ja) * 2008-09-03 2014-12-10 メソブラスト,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造血前駆細胞の増殖
EP2443230B1 (en) * 2009-06-18 2017-07-26 Takara Bio Europe AB 3D CULTURING SYSTEMS FOR GROWTH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PLURIPOTENT STEM (hPS) CELLS
KR101341558B1 (ko) * 2011-11-18 2013-12-16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고밀도 배양을 이용한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방법
KR101438533B1 (ko) * 2012-03-30 2014-09-17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방법
GB201212960D0 (en) 2012-07-20 2012-09-05 Common Services Agency Erythroid production
KR101447902B1 (ko) * 2013-11-14 2014-10-1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0672A (ja) * 2009-03-20 2012-09-10 エージェンシー フォー サイエンス,テクノロジー アンド リサーチ マイクロキャリアー上の多能性(pluripotent)および多分化能(multipotent)細胞の培養
JP2012080874A (ja) * 2010-09-15 2012-04-26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 Technology 擬微小重力環境下での三次元組織構築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Tissue Eng. Regen. Med. 5(2):112-119(2011.0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0668A1 (en) 2017-02-15
US20170037373A1 (en) 2017-02-09
KR20150116797A (ko) 2015-10-16
US10273455B2 (en) 2019-04-30
WO2015156586A1 (ko) 2015-10-15
EP3130668A4 (en) 2017-08-16
CN106414722A (zh) 2017-02-15
CN106414722B (zh) 2020-01-03
EP3130668B1 (en) 2019-07-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588B1 (ko) 적혈구계 세포의 인 비트로 확장
JP4523169B2 (ja) 造血幹細胞および/または前駆細胞を維持および増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Mortera-Blanco et al. Long-term cytokine-free expansion of cord blood mononuclear cells in three-dimensional scaffolds
Bagley et al. Extended culture of multipotent hematopoietic progenitors without cytokine augmentation in a novel three-dimensional device
EP2686420B1 (en) Megakaryocyte and platelet production from stem cells
Masters Animal cell culture: a practical approach
Li et al. Human cord cell hematopoiesis in three-dimensional nonwoven fibrous matrices: in vitro simulation of the marrow microenvironment
US2010023313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intenance and Expansion of Hematopoietic Stem Cells From Mononuclear Cells
WO2014039938A1 (en) Spherical multicellular aggregates with endogenous extracellular matrix
JPH10295369A (ja) 造血幹細胞の製造方法
CN113957048A (zh) 一种利用脐带血单个核细胞生产自然杀伤细胞的方法
PT106225B (pt) Processo de expansão ex vivo de células estaminais em biorreactor
CN107864627A (zh) 包含粘附基质细胞的方法和组合物
CN115927164B (zh) 一种血管化肿瘤类器官的培养方法及应用
Hashemi et al. Comparison of the ex vivo expansion of UCB-derived CD34+ in 3D DBM/MBA scaffolds with USSC as a feeder layer
JP2009296889A (ja) 造血幹細胞の培養方法
US20170240860A1 (en) Method of producing erythrocytes
CN114591910B (zh) 一种利用低氧三维环境培养的间充质干细胞富集脐血造血干细胞的方法
CN109182268B (zh) 脐动脉内皮细胞在构建造血干细胞微环境中的用途
JP2008237136A (ja) ヒト造血細胞の培養方法
KR101880676B1 (ko) 조혈모세포 또는 전구 세포의 체외 확대 성장을 위한 스캐폴드 어셈블리, 상기 스캐폴드 어셈블리를 이용하는 조혈모세포 또는 전구 세포의 체외 확대 성장을 위한 관류형 생물 반응기 및 생물 반응 시스템
JP2004024089A (ja) 細胞培養器材及び細胞培養培地及び細胞培養キット及び細胞培養方法
CN111849862B (zh) 一种鱼类高脂存储肝细胞分离和培养方法
TWI780516B (zh) 胞毒t細胞培養方法
US20210403868A1 (en) Device for cell culture and cell culturing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