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877B1 -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 Google Patents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877B1
KR101844877B1 KR1020160040297A KR20160040297A KR101844877B1 KR 101844877 B1 KR101844877 B1 KR 101844877B1 KR 1020160040297 A KR1020160040297 A KR 1020160040297A KR 20160040297 A KR20160040297 A KR 20160040297A KR 101844877 B1 KR101844877 B1 KR 101844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esent
paper
coat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0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2753A (ko
Inventor
문윤영
Original Assignee
문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윤영 filed Critical 문윤영
Priority to KR1020160040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87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3/0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 D06B3/10Passing of textile materials through liquids, gases or vapour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impregnating of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564Polyureas, polyurethanes or other polymers having ureide or urethane links; Precondensation products forming them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3Footwear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Treatment And Processing Of Natural Fur Or Leather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코팅 공정, 세탁 공정 및 건조 공정 등을 통해 내구성과 인장강도가 우수하고, 백화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찢어지거나 박리되지 않는 한지가죽원단을 제조할 수 있는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하면, 항균성 및 소취성을 가질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한 한지가죽원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Method Of Manufacturing Adhesive Korean Paper And Fabric, And Fabric Manufactured Thereby}
본 발명은 직물에 관한 것으로서, 코팅과 세탁을 반복하여 내구성과 인장강도가 강화되도록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에 관한 것이다.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는 항균성, 소취성, 원적외선 등의 좋은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한지를 활용한 원단이 의류용 원단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한지를 이용하여 제작된 한지가죽이라고 불리우는 원단은 내구성이나 인장강도에 있어서 동물가죽보다 약한 면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한지가죽은 의류용 원단이나 구두용 원단으로는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기존의 한지가죽은 구기면 흰색으로 변질되는 백화현상이 나타나고 잡아당기면 찢어지거나 원단이 박리되는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원단을 구기더라도 흰색으로 변질되지 않게 하기 위한(백화현상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원단을 잡아당기면 찢어지거나 박리되지 않게 하기 위한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은,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한지를 준비하는 단계;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원단 또는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지와 상기 준비된 원단 또는 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결과물에 수성코팅제 또는 유성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수성코팅제 또는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결과물을 세탁하는 단계; 및 상기 세탁된 결과물을 건조하여 제1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이 일 양상에 따른 직물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직물에 유성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건조하여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상온에서 대략 24시간을 건조하여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대략 1시간 내지 2시간을 건조하여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원단은, 닥나무에서 뽑은 닥실 및 펄프실 중 어느 하나를 위사(緯絲)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경사(經絲)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른 한지와 원단 또는 부직포를 합지한 직물은,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직물 제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백화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박리되거나 찢어지지 않는 한지가죽원단을 제조할 수 있으므로 동물가죽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제품을 본 발명에 의한 한지가죽원단으로 대체할 수 있다. 기존의 한지가죽으로 호칭되는 원단들은 잡아당기면 찢어지는 경우가 빈발하여 의류용이나 구두용으로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차내장재로도 사용할 수 없었으나,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되는 직물은 이러한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친환경 원단을 제조할 수 있어 인체에도 이롭고 환경적으로도 전혀 해를 끼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한지의 원료인 닥나무를 재배함으로써 탄소배출권 관련하여서도 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항균성과 소취성이 매우 우수한 한지가죽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닥나무실로 짠 원단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닥나무실로 짠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원단과 한지를 합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원단과 한지를 합지한 원단에 코팅제를 처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탁공정을 마친 직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모든 공정처리가 완료된 한지가죽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KOTITI 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지양말의 시험성적서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 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먼저,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한지를 준비하고[S100],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원단 또는 부직포 원단을 준비한다[S110].
상기 S100 단계에서 준비되는 한지의 예를 들면, 25gr/sq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한지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보다 더 얇거나 두꺼운 한지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S110 단계에서 준비되는 원단의 예를 들면, 닥나무에서 뽑은 닥실을 위사(緯絲)로 하고 펄프실을 경사(經絲)로 하여 직조된 원단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닥실을 경사로 하고 상기 펄프실을 위사로 하여 직조된 원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여기서, 펄프실이란, 닥나무 껍질을 섬유질로 만든 것을 말한다.
도 2는 닥나무실로 짠 원단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닥나무실로 짠 원단에 접착제를 도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에서 도포되는 상기 수성접착제의 예를 들면, 수성폴리우레탄과 수성 무광 또는 유광 라미네이팅 코팅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최종 결과물로서 구두용 원단을 생산하는 경우,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에서 유성접착제가 한지 및 원단(또는 부직포)에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S100 단계 및 상기 S110 단계에서 각각 도포되는 상기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는 그 종류가 서로 같을 수도 있고 다를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S100 단계에서 준비된 한지와 상기 S110 단계에서 준비된 원단 또는 부직포를 합지한다[S120].
상기 S120 단계에서, 상기 한지와 상기 원단(또는 부직포)는 접착제를 사용하여 수작업으로 또는 합지기계를 이용하여 합지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원단과 한지를 합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S120 단계의 수행에 의해 합지된 결과물에 수성코팅제 또는 유성코팅제를 도포한다[S130].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원단과 한지를 합지한 원단에 코팅제를 처리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S130 단계의 수행에 의한 결과물을 세탁한다[S140].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탁공정을 마친 직물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상기 S140 단계에서 세탁된 결과물을 건조하여 제1 직물을 제조한다[S150].
상기 S150 단계의 예를 들면, 상기 S140 단계의 결과물을 12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자연 건조하거나, 건조 기계에서 45~90℃ 정도의 온도에서 자연 건조하듯이 건조시킬 수 있다. 건조 기계에서는 대략 1시간 내지 2시간 동안 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직물은, 마치 한지를 원단에 심은 것 같은 느낌을 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의 흐름도이다. 이하 필요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상기 제1 직물에 유성코팅제를 도포한다[S200].
상기 S200 단계에서 사용되는 유성코팅제의 예를 들면, 유성 건식 폴리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S200 단계의 수행에 의한 결과물을 건조하여 제2 직물을 제조한다[S210]. 상기 S210 단계의 건조 방식은, 도 1의 상기 S150 단계에서의 건조 방식과 동일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모든 공정처리가 완료된 한지가죽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3은 KOTITI 시험연구원에서 실시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한지양말의 시험성적서이다. 도 9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직물(시험성적서는 한지양말을 시료로 하였음)은 항균성 및 소취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직물은, 박리되거나 찢어지지 않고 백화현상이 일어나지 않는 식물가죽원단으로서 동물가죽을 완벽하게 대체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6)

  1.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한지를 준비하는 단계;
    수성접착제 또는 유성접착제가 도포된 원단 또는 부직포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한지와 상기 준비된 원단 또는 부직포를 합지하는 단계;
    상기 합지된 결과물에 수성코팅제 또는 유성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수성코팅제 또는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결과물을 세탁하는 단계;
    상기 세탁된 결과물을 건조하여 제1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직물에 유성코팅제를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건조하여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상온에서 12시간 내지 24시간을 건조하여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건조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유성코팅제가 도포된 제1 직물을 1시간 내지 2시간을 건조하여 상기 제2 직물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5.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닥나무에서 뽑은 닥실 및 펄프실 중 어느 하나를 위사(緯絲)로 하고 나머지 하나를 경사(經絲)로 하여 직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6. 제 1 항, 제 3 항 및 제 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KR1020160040297A 2016-04-01 2016-04-01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KR101844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97A KR101844877B1 (ko) 2016-04-01 2016-04-01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0297A KR101844877B1 (ko) 2016-04-01 2016-04-01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53A KR20170112753A (ko) 2017-10-12
KR101844877B1 true KR101844877B1 (ko) 2018-05-18

Family

ID=60140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0297A KR101844877B1 (ko) 2016-04-01 2016-04-01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8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05B1 (ko) 2020-08-25 2021-03-18 김병훈 한지를 이용한 의류의 제조방법
KR102635830B1 (ko) 2023-05-19 2024-02-14 신진호 한지 신발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025B1 (ko) * 2021-11-29 2022-06-23 이장호 한지를 활용한 친환경 자동차용 내장원단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08B1 (ko) 2001-01-12 2003-05-12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KR101419896B1 (ko) * 2014-01-22 2014-07-15 이미정 한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지
KR101524417B1 (ko) * 2014-12-11 2015-05-29 한원물산 주식회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롤 상태의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3808B1 (ko) 2001-01-12 2003-05-12 장남용 워시아웃 기법을 이용한 표면소재 제조방법 및 그의방법으로 제조된 표면소재
KR101419896B1 (ko) * 2014-01-22 2014-07-15 이미정 한지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한지
KR101524417B1 (ko) * 2014-12-11 2015-05-29 한원물산 주식회사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롤 상태의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8705B1 (ko) 2020-08-25 2021-03-18 김병훈 한지를 이용한 의류의 제조방법
KR102635830B1 (ko) 2023-05-19 2024-02-14 신진호 한지 신발류 제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753A (ko)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4417B1 (ko) 대량생산이 용이하도록 롤 상태의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방법
JP6956066B2 (ja) シルク性能衣服及び製品、並びにこれらを製造する方法
KR101844877B1 (ko) 한지와 원단을 합지한 직물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직물
CN103767197B (zh) 一种超大点羊绒粘合衬的制备工艺
CN106715122A (zh) 表皮材料和表皮材料的制造方法
JP2022512030A (ja) イミテーションレザーとして用いる層複合体、層複合体の製造方法、及び層複合体の使用方法
KR101266009B1 (ko) 통기성, 방수성 및 투습성이 우수한 이중직 직물타입 인조피혁의 제조방법
KR101217164B1 (ko) 저융점사를 이용한 광택소재 직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34033B1 (ko) 천연섬유원단을 이용한 가죽 질감을 갖는 섬유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가죽 질감을 갖는 섬유원단
KR101888221B1 (ko) 섬유 직물의 제조 방법 및 섬유 직물
KR101453331B1 (ko) 종이원단 제조방법
US20230265606A1 (en) Method for producing a finished leather substitute
KR20180043464A (ko) 가죽이 합지된 형태의 한지 종이원단의 제조방법
US257607A (en) alexander paekes
AR020942A1 (es) Un compuesto no tejido para su empleo como un revestimiento interior entre un material de recubirimiento y la estructura de un articulo moldeado, un proceso para la produccion de dicho compuesto no tejido, un articulo moldeado que comprende a dicho compuesto no tejido y un metodo para la fabricacion
KR20080042309A (ko) 투습방수용 코팅조성물, 이를 이용한 건식무공형투습방수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820915A (zh) 一种纺织面料的生产方法
WO1998023809A1 (en) Fibrous products and their production
KR100822370B1 (ko) 투습방수 폴리우레탄 필름의 제조방법
JP2015132043A (ja) 繊維布帛の製造方法及び繊維布帛
KR102559428B1 (ko) 대마섬유를 이용한 친환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106257B1 (ko) 나노코팅 한지가죽 원단의 제조방법
KR102490924B1 (ko) 천연한지 원사를 직조한 천연섬유를 활용한 비건섬유로 이루어진 적층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69220B1 (ko) 친환경 복합섬유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JPS61108771A (ja) 鞄材用基布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