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293B1 -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293B1
KR101844293B1 KR1020160067427A KR20160067427A KR101844293B1 KR 101844293 B1 KR101844293 B1 KR 101844293B1 KR 1020160067427 A KR1020160067427 A KR 1020160067427A KR 20160067427 A KR20160067427 A KR 20160067427A KR 101844293 B1 KR101844293 B1 KR 101844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cap
upper cap
clutch plat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7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5463A (ko
Inventor
박종진
Original Assignee
경도기술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도기술산업(주) filed Critical 경도기술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67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293B1/ko
Publication of KR201701354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54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50Road surface markings; 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35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 E01F9/547Kerbs or road edgings specially adapted for alerting road users illuminat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5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 E01F9/669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means for fixing for fastening to safety barrier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9/00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 F21S9/02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 F21S9/03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Systems employing lighting devices with a built-in power supply the power supply being a battery or accumulator rechargeable by exposure to ligh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1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motorways, e.g. integrated with sound barrie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72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in street ligh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부착하여 점멸과 같은 동작으로 야간 운전시 중앙분리대를 표시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는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10)을 지지하며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0)과 상기 상부캡(1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태양광충전부(30) 및 상기 태양광충전부(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발광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20)은 클러치결합부(60)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기술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표시장치{THE INDICATION DEVICE FOR MEDIAN STRIP}
본 발명은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부착하여 점멸과 같은 동작으로 야간 운전시 중앙분리대를 표시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도와 같은 도로에는 통행하는 차량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 중앙선에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이러한 중앙분리대는 도로의 굴곡형태와 같은 진행방향에 따라 설치되기 때문에 시야가 어두운 야간의 경우 운전자로 하여금 중앙분리대와의 추돌 사고 등을 일으키게 된다.
이는 도로의 굴곡진 부분에서 차량이 고속으로 진행할 경우 착시현상 등에 의해 사고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중앙분리대의 일부분에 반사경 또는 반사판을 부착하여 차량의 헤드라이트에 의해 반사되는 빛을 통하여 차량의 진행방향 또는 중앙분리대를 표시해주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반사경 또는 반사판의 경우 차량의 헤드라이트가 도달하지 못할 경우 인식이 안되거나, 차량의 헤드라이트 불빛이 도달했을 경우에도 차량의 속도에 의해 운전자가 늦게 인식할 경우 중앙분리대와의 충돌 사고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발광수단을 구비하는 표시장치가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그중 대표적인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310581호(태양에너지를 이용한 엘이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이하 '선행기술'이라 함)는 도로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의 상부에 태양에너지를 구동원으로 작동되는 엘이디 표시장치를 설치하여 야간이나 악천후에서도 중앙분리대를 정확하면서도 쉽게 표시하고, 나타낼 수 있도록 하므로서 중앙분리대의 미확인에 따른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토록 함은 물론,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중앙분리대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직육면체형상으로 형성되어 내면 또는 외면 중 적어도 어느 한 면에 미세한 선 또는 원형의 홈또는 이들로 인하여 일정 형상으로 표시된 신호표시부(12)가 형성되고, 좌, 우측면의 일정위치에 엘이디 설치공(13)이 형성되며, 4면의 테두리가 알루미늄판(16)으로 마감되어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식별판(11a)(11b)과; 상기 식별판(11a)(11b)의 좌,우측면에 형성되는 엘이디 설치공(13)에 삽입 설치되는 엘이디(14)와; 상기 식별판(11a)(11b)에서 엘이디(14)로부터 발광되는 빛을 집중하기 위해 부착 또는 코팅 형성되는 반사체(15)와; 상기 한 쌍의 식별판(11a)(11b) 가로측 상부에 고정 설치되어 한 쌍의 식별판(11a)(11b)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 유지시키면서 전원부를 내장할 수 있도록 구성된 함체(17)과; 함체(17) 상부에 설치되는 솔라판(solar plate : 23)과; 상기 함체(17)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솔라판(23)으로부터 공급되는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전원제어기(22); 및 그 전원제어기(22)와 연결설치되어 발생되는 전기를 축전하기 위한 축전지(21)로 이루어진 전원장치(20)로; 구성되어 이루어지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기술들이 단순히 발광수단만을 구비하여 도로의 특성 및 사정에 상관없이 설치되어 운전자가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하거나,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발광부재의 각도 및 방향 조절이 용이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한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10)을 지지하며 상부캡(1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0)과 상기 상부캡(1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태양광충전부(30) 및 상기 태양광충전부(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발광부(4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태양광충전부(30)는 태양의 일주궤적에 따라 광량을 최대한 집적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타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발광부(4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캡에 회전축(41)으로 힌지결합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20)은 클러치결합부(60)를 이용하여 회동되도록 결합되도록 하는데, 상기 클러치결합부(6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클러치핀홀(61a)이 형성되는 클러치링(61)과 상기 클러치링(61)에 내삽되어 지지되는 베어링(62)과 상기 베어링(62)에 일부분이 내삽되어 지지되며 회전하는 축을 구비하는 수클러치판(63)과 수클러치판(63)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클러치판(65) 및 상기 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구비하는 클러치핀(64)으로 구성되고, 하부캡(20)의 상측에 암클러치판(65)을 체결볼트(66)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암클러치판(65)의 일측에 탄성부재(67)를 구비하여,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하부캡(20)의 하단부에는 중앙분리대의 지주의 크기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형태로 형성되는 확장결합캡(50) 또는 자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을 보다 잘 달성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발광부재의 각도 및 방향 조절이 용이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설치장소의 특성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60)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클러치(60)의 동작을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당업자가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표시장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전개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는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10)을 지지하며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0)과 상기 상부캡(1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태양광충전부(30) 및 상기 태양광충전부(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발광부(40)로 구성되며,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20)은 클러치결합부(60)로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캡(20)의 하단부에는 중앙분리대의 지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확장결합캡(50)이 더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상부캡(1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태양광충전부(30)는 태양광을 이용하여 전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솔라셀(미도시)과 솔라셀로부터 발생된 전력을 저장하는 충전지(미도시)를 내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태양광충전부(30)는 태양의 일주궤적에 따라 광량을 최대한 집적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타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평편상에 배치된 솔라셀의 경우 태양의 궤적이 변화될 경우 광량 저하로 인하여 충전효율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와 같은 태양광충전부(30)의 양측에 배치되는 발광부(4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어 진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태양광충전부(30)를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발광부(40)는 각각의 경사방향이 반대측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에 대응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차량의 진행방향으로 발광부(40)가 향하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식별력을 최대한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발광부(40)는 고휘도의 LED를 광원으로 하여 점멸 동작 등을 시행하기 때문에 소량의 전원만으로도 동작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발광부(40)의 중심부는 상부캡에 회전축(41)으로 힌지결합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상부캡(10)의 상측에 형성되는 수용공간에 발광부(40)가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상부캡(10)의 수용공간의 측면에 형성되는 홀(42)에 회전축(41)이 삽입되어 발광부(40)를 지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광부(40)를 회전축(41)을 중심으로하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설치 장소의 도로 경사도에 따라 차량운전자에게 시각적으로 최적의 효과를 나타나게 하기 위하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운전자가 발광부(40)의 조명이 가장 밝게 보이는 각도를 설정하여 이를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20)은 클러치결합부(60)를 이용하여 회동되도록 결합되는데, 설치 장소에 따라 상부캡(10)을 회전시켜 도로측을 향하도록 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클러치결합부(6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클러치핀홀(61a)이 형성되는 클러치링(61)과 상기 클러치링(61)에 내삽되어 지지되는 베어링(62)과 상기 베어링(62)에 일부분이 내삽되어 지지되며 회전하는 축을 구비하는 수클러치판과 상기 수클러치판(63)과 수클러치판(63)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클러치판(65) 및 상기 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구비하는 클리치핀(64)으로 구성되고, 체결볼트(66)를 이용하여 하부캡(20)의 상측에 암클러치판(65)을 체결하여 결합한다.
또한, 상기 암클러치판(65)의 일측에는 탄성부재(67)가 구비되어, 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에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는 클러치결합부(60)의 상측에 구비되는 상부캡(10)이 일정구간 회동한 후 클러치가 동작하여 잠기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캡(10)과 결속되어 있는 클러치결합부(60)가 일측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하부캡(20)에 체결되어 있는 암클러치판(65)는 회전하지 않고, 상부캡(10)에 결합되어 있는 수클러치(63) 및 락킹링(61)이 회전하게 되고, 일정거리 이상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핀(64)이 암클러치판(65)에 의해 가압되어 클러치핀홀(61a)로부터 이격되어 회전한 후, 암클러치판(65)가 일정거리 이상 회전하게 되면, 클러치핀(64)에 가해지던 압력이 해소되며, 클러치핀(64)의 탄성에 의해 클러치핀홀(61a)에 삽입되며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하단부에 배치되는 탄성부재(67)에 의해 암클러치판(65)는 다시 수클러치(63)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상부캡(10)이 회전되더라도, 외부 충격에 의해 자의적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캡(20)의 하단부에는 중앙분리대의 지주의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확장결합캡(50)이 더 구비되는데, 하측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확장결합캡(50)을 대신하여 하부캡(20)의 하단부에는 자성체(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어 금속성 시설물에 자력으로 부착할 수 도 있다.
이는 현장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의 지주의 직경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현장상황에 따라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본 발명의 중앙분리대 표시장치를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상부캡 20 : 하부캡
30 : 태양광충전부 40 : 발광부
41 : 회전축 42 : 홀
50 : 확장결합캡 60 : 클러치결합부
61 : 클러치링 62 : 베어링
63 : 수클러치판 64 : 클러치핀
65 : 암클러치판 66 : 체결볼트
67 : 탄성부재

Claims (6)

  1.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를 표시하는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부캡(10);과
    상기 상부캡(10)을 지지하며 상부캡(10)이 회동될 수 있도록 하단부에 결합되는 하부캡(20);과
    상기 상부캡(10)의 상단부 중앙에 형성되는 태양광충전부(30); 와
    상기 태양광충전부(30)의 양측에 형성되는 발광부(40) 및
    상기 상부캡(10)과 하부캡(20)은 클러치결합부(60)를 이용하여 회동되도록 결합되되,
    상기 클러치결합부(60)는 외주면에 복수개의 클러치핀홀(61a)이 형성되는 클러치링(61)과 상기 클러치링(61)에 내삽되어 지지되는 베어링(62)과 상기 베어링(62)에 일부분이 내삽되어 지지되며 회전하는 축을 구비하는 수클러치판(63)과 수클러치판(63)의 일측에 결합되어 내측에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암클러치판(65) 및 상기 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의 사이에 위치하며 탄성력을 구비하는 클러치핀(64)으로 구성되고, 하부캡(20)의 상측에 암클러치판(65)을 체결볼트(66)를 이용하여 체결하며, 암클러치판(65)의 일측에 탄성부재(67)를 구비하여,수클러치판(63)과 암클러치판(65)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광충전부(30)는 태양의 일주궤적에 따라 광량을 최대한 집적할 수 있도록 상측방향으로 볼록한 타원형의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40)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되, 상부캡에 회전축(41)으로 힌지결합되어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캡(20)의 하단부에는 중앙분리대의 지주의 크기에 따라 적용할 수 있도록 하측방향으로 진행할 수록 직경이 커지는 다단형태로 형성되는 확장결합캡(50) 또는 자성체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KR1020160067427A 2016-05-31 2016-05-31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KR101844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7A KR101844293B1 (ko) 2016-05-31 2016-05-31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7427A KR101844293B1 (ko) 2016-05-31 2016-05-31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63A KR20170135463A (ko) 2017-12-08
KR101844293B1 true KR101844293B1 (ko) 2018-04-02

Family

ID=60920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7427A KR101844293B1 (ko) 2016-05-31 2016-05-31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29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0124B1 (ko) * 2019-01-23 2019-06-20 주식회사 미래 전기 생산이 가능한 친환경 도로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06Y1 (ko) * 2006-03-10 2006-06-07 김동현 도로용 회전 반사판
KR101166560B1 (ko) * 2012-01-16 2012-07-19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태양광 led를 이용한 회전 발광 휀스 및 델리네이터
JP6049602B2 (ja) * 2013-12-19 2016-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8006Y1 (ko) * 2006-03-10 2006-06-07 김동현 도로용 회전 반사판
KR101166560B1 (ko) * 2012-01-16 2012-07-19 주식회사 웨스트라인 태양광 led를 이용한 회전 발광 휀스 및 델리네이터
JP6049602B2 (ja) * 2013-12-19 2016-12-21 三菱電機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5463A (ko) 2017-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8672B1 (ko) 추적형 태양광 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0966026B1 (ko) 태양열을 이용한 엘이디 교통안전 표지판
KR101084721B1 (ko) 화초형상을 가지는 태양광 발전 가로등
CN205299367U (zh) 路灯
CN206093861U (zh) 一种太阳能led路灯
KR20160004245U (ko) 추적형 태양광 에너지 및 풍력을 이용한 가로등
KR101844293B1 (ko) 중앙분리대 표시장치
CN206711400U (zh) 一种移动式交通信号灯
CN209114356U (zh) 一种通信工程用警示装置
CN210133025U (zh) 一种节能型充电桩
CN204853311U (zh) 一种一体化追光太阳能路灯
KR101263447B1 (ko) 솔라판넬이 설치된 도로안내 표시장치
CN203298167U (zh) 免维护智能化太阳能导标灯
CN202744978U (zh) 一种减速带
CN210886995U (zh) 一种易于拆卸的高速公路养护作业用车辆指引装置
CN201865062U (zh) 一种具有阳光追随装置的太阳能路标
CN204845371U (zh) 一种会发光的汽车轮毂
JP2001263220A (ja) 防眩板自体を回転風車とする風力発電機付き防眩板装置。
CN211710629U (zh) 一种新能源汽车车载充电装置
CN202370743U (zh) 具有发光功能的风车装置及具有发光功能的风力发电装置
CN102677610B (zh) 便携式可充电易摆放发光轮廓标
KR20110128381A (ko) 풍력과 태양광전지를 이용한 길안내 중앙분리대
CN206202013U (zh) 立式防雨电动车充电管理站
KR200453268Y1 (ko) 쏠라 볼라드
CN210716733U (zh) 一种照明灯云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