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86B1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3386B1 KR101843386B1 KR1020160105778A KR20160105778A KR101843386B1 KR 101843386 B1 KR101843386 B1 KR 101843386B1 KR 1020160105778 A KR1020160105778 A KR 1020160105778A KR 20160105778 A KR20160105778 A KR 20160105778A KR 101843386 B1 KR101843386 B1 KR 1018433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member
- dust
- pressure
- air
- amou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8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provided with safety means
- B01D46/0086—Filter condition indica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는,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는,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정화장치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이해된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정화장치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이물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정화장치에는, 공기 청정기 또는 에어컨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필터에는 이물이 퇴적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퇴적된 이물의 양이 많아지면 필터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필터에 이물이 많이 퇴적되었다고 판단될 때 상기 필터를 청소 또는 교체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 필터는 공기 정화장치의 내부에 설치되므로, 사용자는 육안으로 필터의 상태를 쉽게 확인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필터의 상태 또는 수명을 산출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과 관련된, 선행문헌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 (공개일자) : 10-2009-0035375 (2009년 4월 9일)
2. 발명의 명칭 : 공기청정기의 필터 수명 산출방법
상기 선행문헌에는, 오염도에 따라 필터를 통과하는 바람의 양과 먼지의 양이 서로 다르다는 점을 이용하여 공기청정기의 필터의 수명을 산출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의 필터 수명 산출방법이 개시된다.
다만, 상기 선행문헌에 의하면, 필터에 의해 필터링 된 먼지의 양을 감지하기 위하여 먼지 감지부, 즉 먼지센서가 필요하게 된다.
상기 먼지 센서의 경우, 공기 중 포함된 먼지가 상기 먼지 센서로 충분히 유입되어야 하며, 상기 먼지 센서로 유입되는 기류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저속을 형성하여야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다. 만약, 먼지가 먼지 센서로 충분히 유입되지 않거나, 상기 기류의 속도가 너무 빠른 경우 먼지 센서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공기 유로 관점에서, 먼지 센서의 최적의 위치를 결정하여야 하고, 상기 먼지 센서 주변의 구조물이 필터를 향하는 메인유동과 먼지 센서로 유입되는 먼지유동을 방해하지 않도록 최적의 형상으로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술을 구현하는 것은 쉽지 않고, 설계를 위한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게다가, 상기 먼지센서는 상대적으로 고가의 부품으로서 이해된다.
따라서, 먼지량을 정확하게 감지하면서, 간단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에 대한 개발이 요구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먼지 (또는 이물)의 양을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의 압력값과 기준챔버에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른 한편으로,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에서의 온도값 변화에 기초하여 배출유로에서의 유량 감소여부를 결정하고, 그에 따라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한편으로, 필터부재의 흡입유로에서의 압력값과 배출유로에서의 압력값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을 감지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결정된 필터부재의 먼지 퇴적량에 기초하여, 사용자에게 필터부재의 상태정보 또는 필터부재의 교체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공기 정화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는,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공기의 유동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된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기준챔버의 압력의 차이값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부재에 먼지가 퇴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상기 기준챔버의 압력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흡입유로의 압력의 차이값을 감지하는 압력 감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필터부재에 먼지가 퇴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상기 흡입유로의 압력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먼지량이 설정량 이상인 것으로 인식되면,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을 가이드 하는 메세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 또는 음성 출력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2개의 지점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가 포함된다.
상기 유량 감지부에는, 상기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포함된다.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량이 결정된다.
상기 결정된 공기의 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먼지의 양을 결정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된다.
다른 측면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에는, 기준챔버의 압력과,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측의 압력 차이가 감지되는 단계 및 상기 감지된 압력 차이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이물의 양이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퇴적된 이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이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된다.
상기 결정된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세척 또는 교체에 관한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공기 정화장치의 흡입부 내측에 필터부재가 구비되어, 상기 공기 정화장치로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을 용이하게 필터링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부재를 통과한 공기가 유동하는 배출유로에서의 압력값과, 공기의 유속에 영향을 받지 않는 기준챔버에서의 압력값의 제 1 차이값과, 미리 저장된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먼지센서 없이도 상기 먼지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배출유로의 2개의 지점에서의 온도를 감지하고, 상기 온도의 차이값과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감소된 공기유량을 계산할 수 있고, 상기 감소된 공기유량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먼지센서 없이도 상기 먼지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필터부재로 흡입되는 공기가 유동하는 흡입유로에서의 압력값과, 상기 배출유로에서의 압력값의 제 1 차이값과, 미리 저장된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으므로 별도의 먼지센서 없이도 상기 먼지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상기 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필터부재에 퇴적된 이물의 양을 결정할 수 있고, 상기 결정된 이물의 양에 따라 필터부재의 상태정보 또는 필터부재의 교체 알림정보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에서의 압력강하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공기 유속별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효율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흡입측과 배출측에서의 차압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에서의 압력강하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공기 유속별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효율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흡입측과 배출측에서의 차압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는 실내공간의 공기를 정화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일례로 공기 청정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케이스(11)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11)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30) 및 공기가 배출되는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흡입그릴(32)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흡입그릴(32)의 사이에는, 상기 흡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토출그릴(42)이 포함되며, 상기 다수의 토출그릴(42)의 사이에는, 상기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다수의 패널이 포함된다. 상세히, 상기 다수의 패널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전면부를 형성하는 전면패널(12)이 포함된다. 상기 전면패널(12)에는 상기 흡입부(3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을 개방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면패널(12)은 상기 케이스(11)의 하부를 중심으로 전방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의 양측에는, 상기 전면패널(12)의 개방을 위하여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파지부(12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닫힐 때, 상기 전면패널(12)의 상단부는 상면패널(16)의 하단부에 맞춰질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되면, 상기 전면패널(12)의 후측에 설치되는 필터 부재(110)가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분리하거나, 상기 필터부재(110)를 상기 전면패널(12)의 후측에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전면패널(12)의 측방에 배치되며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측면부를 형성하는 측면패널(14)이 더 포함된다. 상기 측면패널(14)은 상기 전면패널(12)의 양측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후면부를 형성하는 후면패널(18)이 더 포함된다. 상기 후면패널(18)은 상기 전면 패널(12)을 바라보도록 연장되며, 상기 양측의 측면패널(14)의 후단부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상면부를 형성하는 상면패널(16)이 더 포함된다. 상기 상면패널(16)은 상기 양측의 측면패널(14) 및 후면패널(18)의 상단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16)에는, 상기 토출부(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패널(16)에는, 공기 정화장치(10)의 작동에 관한 정보 또는 필터부재(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20)가 구비된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상기 필터부재(110)의 잔여수명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교체시기 알림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에는,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저면을 구성하며, 상기 측면패널(14)의 하측에 결합되는 베이스(13)가 더 포함된다. 상기 베이스(13)는 지면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는, 공기 중 이물 또는 먼지를 걸러내기 위한필터부재(110)가 설치된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10)에는, 소정의 전압을 인가하여 하전된 입자를 집진극에 포집하는 전기 집진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베이스(13)의 상측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필터부재(110)는 대략 사각 패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상기 필터부재(11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필터파지부(1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 패널(12)의 흡입부(30)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면서 정화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의 출구측에는, 송풍팬(60)이 배치된다. 일례로, 상기 송풍팬(60)은 축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반경방향으로 토출하는 원심팬 또는 시로코팬(siroco fan)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여 후방으로 유동하는 공기는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면서,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송풍팬(6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제공하는 팬모터(61)가 더 포함된다. 상기 팬모터(61)는 상기 송풍팬(60)의 중앙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후면패널(18)의 내측면에는, 상기 팬모터(61)를 지지하는 모터지지부(18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와 상기 팬모터(6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11)의 내부를 송풍실과 포집실로 구획하는 배리어(65)가 포함된다. 상기 배리어(65)는 상기 베이스(13)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면패널(16)에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리어(65)에는,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에 대응되는 위치에, 전후방으로 개구된 팬 유입부(65a)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팬(60)의 흡입측 단부는 상기 팬 유입부(65a)를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팬 유입부(65a)를 경유하여, 상기 송풍팬(60)으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60)을 통과하여 상방으로 유동한 공기는, 상기 상면패널(16)에 구비되는 토출부(40)를 통하여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의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공간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구비되는 컨트롤 박스(2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박스(25)는 상기 디스플레이부(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상기 케이스(11)의 내부에는, 상기 필터부재(110)가 설치되는 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25)가 설치되는 공간을 구획하는 구획 플레이트(12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전면패널(12)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배리어(65)의 전방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패널(12)이 개방될 때,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는 상기 전면패널(12)과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가 삽입되는 필터삽입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는 상기 필터삽입부(112)에 삽입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며, 상기 베이스(13)에 놓여지는 필터지지부(111)에 안착될 수 있다.
상기 구획 플레이트(120)에 의하여,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이 발생하는 케이스(11)의 하부공간과, 상기 컨트롤박스(25)가 설치되는 상부공간은 효과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럭도이다.
도 2,3 및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D)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흡입측에 형성되는 흡입유로(115) 및 상기 필터부재(110)의 배출측에 형성되는 배출유로(116)가 포함된다. 상기 흡입유로(115)를 유동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거쳐 정화되고, 상기 배출유로(116)를 거쳐 상기 송풍팬(6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공기압력과 기준챔버(171)에서의 압력의 차이값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150)가 포함된다. 상기 압력감지부(150)를 "차압 센서"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기준챔버(171)는 상기 흡입유로(115) 또는 배출유로(116)에서의 공기 유동에 영향을 받지 않는 대기압이 형성되는 소정의 챔버로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기준챔버(171)는 상기 필터부재(11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챔버(171)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배리어(65)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116)와 연통하는 제 1 연결유로(16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유로(163)는 상기 배출유로(116)로부터 상기 압력 감지부(150)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공기압력은 상기 제 1 연결유로(163)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는 상기 제 1 연결유로(163)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값을 제 1 입력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기준챔버(171)와 연통하는 제 2 연결유로(173)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연결유로(173)는 상기 기준챔버(171)로부터 상기 압력 감지부(150)로 연장된다. 상기 기준챔버(171)의 공기압력은 상기 제 2 연결유로(173)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는 상기 제 2 연결유로(173)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값을 제 2 입력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는 상기 제 1 연결유로(163)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과 상기 제 2 연결유로(173)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의 차이값을 결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출력신호로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압력 감지부(150)와 상기 컨트롤 박스(25)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제어 연결선(180)이 더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컨트롤 박스(25)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압력 감지부(15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상기 제어 연결선(180)을 통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압력 감지부(150)에서 결정된 압력의 차이값(이하, 제 1 차이값)과 비교될 수 있는 기준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부(210)가 더 포함된다.
상기 기준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에 먼지(D)가 퇴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과 상기 기준챔버(171)의 미리 설정된 압력의 차이값(이하,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는 공기 정화장치(10)의 제조단계에서 다수의 실험을 통하여 결정되어, 상기 메모리부(210)에 기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는, 공기 정화장치(10)에서 조절 가능한 송풍 강도별로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일례로, 송풍량이 "약", "중" 및 "강"인 경우에 대하여, 상기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에 먼지가 퇴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 2 차이값은 상대적으로 작은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기준챔버(171)의 압력은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보다 약간 클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필터부재(110)에 먼지가 상당량 퇴적된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은 작아질 수 있다. 즉, 공기가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먼지에 의하여 압력손실이 발생되며, 이에 따라 상기 기준챔버(171)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간에 차이값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차이값은 상기 제 2 차이값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결국,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이 설정비율 이하가 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먼지가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것으로 인식되어, 상기 필터부재(11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 데 제한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청소 또는 교체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소정의 메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2 차이값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제 1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대적으로 많은 먼지가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것으로 인식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20)에 소정의 메세지를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공기 정화장치(10)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음성 출력부(2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필터부재(110)의 상태에 관한 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상기 필터부재(110)의 잔여수명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교체시기 알림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에서의 압력강하량의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공기 유속별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효율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10)의 전원이 켜지고 운전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팬(60)이 구동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S11).
상기 흡입부(3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면서 먼지의 수집이 이루어진다. 상기 먼지(D)의 집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먼지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게 되고, 상기 흡입유로(115)에서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 차이는 증가하게 된다.
달리 말하면,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공기 압력은 감소하게 된다.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 감소는, 상기 필터부재(110) 자체의 압력손실 및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D)에 의한 압력손실에 기인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 강하량은 점점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 1 차이값은 점점 커질 수 있다(S12).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은 상기 제 1 연결유로(163)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로 전달된다. 그리고, 기준챔버(171)내의 압력은 상기 제 2 연결유로(173)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감지부(150)는 상기 기준챔버(171)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의 차이값, 즉 제 1 차이값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13).
상기 제 1 차이값과,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의 먼지량이 계산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이 많아질수록,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은 작아지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과,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먼지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이 결정되면,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다(S14).
상기 필터부재(110)의 퇴적된 먼지량이 결정되면, 상기 먼지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에 먼지가 퇴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을 100%라 한다면, 퇴적되는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효율은 낮아질 것이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을 직접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을 바로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S15).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이 설정효율 이하가 되거나, 상기 잔여수명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상기 필터부재(110)의 잔여수명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세척 또는 교체시기 알림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16).
도 7을 참조하면,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은 점점 감소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할수록, 즉 송풍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효율이 감소하는 기울기는 더욱 커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를 제안한다.
도 5에서는,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에 기초하여 먼지량을 결정하고,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을 결정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상기 제 2 차이값을 고려하지 않고, 상기 제 1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먼지량을 계산하고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을 결정하는 것으로 작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3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들은 먼지량 감지장치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제 1 실시예의 설명과 도면부호를 원용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에는,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D)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116)의 2개의 지점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150a)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량 감지부(150a)에는, 다수의 센서(151a,153a) 및 상기 다수의 센서(151a,153a)의 일측에 배치되며 소정의 열을 발생시키는 히터(155a)가 포함된다.
상기 다수의 센서(151a,153a)에는, 제 1 센서(151a) 및 제 2 센서(153a)가 포함된다. 상기 제 1,2 센서(151a,153a)에는, 온도센서가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히터(155a)에 의하여 발생되는 열에 의하여 변화되는 공기유동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센서(151a)는 상기 배출유로(116)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센서(151a)는, 상기 제 2 센서(153a)보다 상기 필터부재(110)에 더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2 센서(151a, 153a)는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55a)는, 상기 배출유로(116)에서, 상기 제 1,2 센서(151a,153a)의 사이에 배치되며, 배출유로(116)를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센서(151a)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히터(155a)를 지나기 이전에, 공기 유동의 온도를 감지한다. 그리고, 상기 제 2 센서(153a)는, 상기 히터(155a)를 지난 이후의 공기 유동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한 공기는 상기 제 1 센서(151a)로부터 상기 제 2 센서(153a)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유동하며, 이 과정에서 상기 제 1,2 센서(151a,143a) 사이에 위치한 상기 히터(155a)로부터 열을 제공받는다.
만약,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적어 상기 배출유로(116)를 유동하는 공기유량이 많거나 공기의 유속이 높으면, 상기 히터(155a)에서 발생되는 열은 상기 제 2 센서(153a) 측으로 상대적으로 많이 작용하며, 상기 제 1 센서(151a)측에는 상대적으로 적게 작용할 것이다.
반면에,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적어 상기 배출유로(116)를 유동하는 공기유량이 적거나 공기의 유속이 낮으면, 상기 제 2 센서(153a) 측으로 작용하는 히터(155a)의 열은 상대적으로 줄어들고, 상기 제 1 센서(151a) 측에 작용하는 히터(155a)의 열은 상대적으로 증가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제 1,2 센서(151a,153a)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값으로부터 공기유량을 계산할 수 있다. 상기 온도의 차이값이 크면 공기유량은 많고, 상기 온도의 차이값이 적으면 공기유량은 적은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기준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기준정보에는, 상기 감지된 온도의 차이값과 비교될 기준 차이값 및 그에 매핑된 공기유량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공기유량에 매핑되는 먼지량에 관한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2 센서(151a,153a)에서 감지되는 온도의 차이값에 관한 정보와,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배출유로(116)를 유동하는 공기유량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결정된 공기유량으로부터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D)의 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10a)의 전원이 켜지고 운전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팬(60)이 구동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S21).
상기 흡입부(3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면서 먼지의 수집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히터(155a)가 구동되기 시작한다(S22).
설정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설정시간은, 상기 히터(155a)의 구동 후, 설정온도로 가열되기까지 경과되는 시간값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S23).
상기 설정시간이 경과되었으면, 상기 제 1,2 온도센서(151a,153a)를 통하여 상기 배출유로(116)의 2개의 지점에서 온도가 감지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2 온도센서(151a,153a)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값을 결정한다(S24).
상기 차이값과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감소된 공기유량이 계산될 수 있다. 즉,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D)의 양이 많아질수록 상기 필터부재(110)의 저항력이 커지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배출유로(116)를 유동하는 공기의 양이 적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1,2 온도센서(151a,153a)에서 감지된 온도의 차이값은 감소되며, 상기 감소된 온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상기 기준정보의 매핑된 공기유량 정보가 이용될 수 있다(S25).
상기 감소된 공기유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의 퇴적된 먼지량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필터부재(110)의 퇴적된 먼지량이 결정되면, 상기 먼지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이 결정될 수 있다(S26,S27).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이 설정효율 이하가 되거나, 상기 잔여수명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상기 필터부재(110)의 잔여수명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세척 또는 교체시기 알림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28).
도 10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 중, 필터부재의 먼지량을 감지하는 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개략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을 보여주는 플로우 챠트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의 운전과정에서, 먼지량에 따라 필터부재의 흡입측과 배출측에서의 차압 변화를 보여주는 실험 그래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기(10b)에는, 상기 흡입유로(115)와 연통하는 제 1 연결유로(163b)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연결유로(163b)는 상기 흡입유로(115)로부터 압력 감지부(150b)로 연장된다. 상기 흡입유로(115)에서의 공기압력은 상기 제 1 연결유로(163b)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b)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b)는 상기 제 1 연결유로(163b)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값을 제 1 입력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116)와 연통하는 제 2 연결유로(173b)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제 2 연결유로(173b)는 상기 배출유로(116)로부터 상기 압력 감지부(150b)로 연장된다. 상기 배출유로(116)의 공기압력은 상기 제 2 연결유로(173b)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b)에 작용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b)는 상기 제 2 연결유로(173b)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값을 제 2 입력신호로 인식할 수 있다.
상기 압력 감지부(150b)는 상기 제 1 연결유로(163b)로부터 전달되는 압력과 상기 제 2 연결유로(173b)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의 차이값을 결정하고, 상기 차이값을 출력신호로 출력하며, 출력된 신호는 제어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공기 정화장치(10)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공기 청정기(10b)의 전원이 켜지고 운전시작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송풍팬(60)이 구동하여 공기 유동이 발생된다(S31).
상기 흡입부(30)를 통하여 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필터부재(110)를 통과하면서 먼지의 수집이 이루어진다. 상기 먼지(D)의 집진이 이루어짐에 따라, 먼지는 공기 유동을 방해하게 되고, 상기 흡입유로(115)에서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 차이는 증가하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량이 많아질수록, 상기 배출유로(116)에서의 압력 강하량은 점점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흡입유로(115)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의 차이값(차압)은 점점 커지도록 변화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흡입유로(115)에서의 압력은 상기 제 1 연결유로(163b)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b)로 전달된다. 그리고, 배출유로(163b)의 압력은 상기 제 2 연결유로(173b)를 통하여 상기 압력 감지부(150b)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압력 감지부(150b)는 상기 흡입유로(115)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6)의 압력의 차이값, 즉 제 1 차이값을 결정하여 상기 제어부(200)로 전달한다(S33).
상기 제 1 차이값, 및/또는 상기 메모리부(210)에 저장된 제 2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의 먼지량이 계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차이값은, 상기 필터부재(110)에 먼지가 퇴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흡입유로(115)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115)의 압력의 차이값으로서 이해되며, 일반적으로 상기 제 2 차이값은 상기 제 1 차이값보다 작을 것이다.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이 많아질수록, 상기 제 1 차이값은 커지므로,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은 작아지게 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과, 상기 비율에 대응하는 먼지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이 결정되면,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의 양이 많아질수록, 상기 제 1 차이값은 점점 커지게 될 것이다. 이 때,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상기 제 1 차이값과, 상기 차이값에 대응하는 먼지량이 매핑되어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200)는, 상기 제 1 차이값이 결정되면,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먼지량을 계산할 수 있다(S34).
상기 필터부재(110)의 퇴적된 먼지량이 결정되면, 상기 먼지량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110) 고유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한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이 결정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을 직접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을 바로 계산할 수도 있을 것이다(S35).
상기 필터부재(110)의 효율이 설정효율 이하가 되거나, 상기 잔여수명이 설정값 이하가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20) 또는 상기 음성 출력부(230)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된 이물(먼지)의 양에 관한 정보, 상기 필터부재(110)의 잔여수명에 관한 정보 또는 상기 필터부재(110)의 세척 또는 교체시기 알림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S36).
상기한 다양한 실시예에 의하면, 먼지량 감지장치를 통하여 상기 필터부재(110)에 퇴적되는 먼지(D)의 양을 용이하게 결정하여, 사용자에게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을 가이드 해줄 수 있으므로, 필터부재의 관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10 : 공기 정화장치 11 : 케이스
20 : 디스플레이부 30 : 흡입부
40 : 토출부 60 : 송풍팬
110 : 필터부재 115 : 흡입유로
116 : 배출유로 150 : 압력감지부
163 : 제 1 연결유로 171 : 기준챔버
173 : 제 2 연결유로 200 : 제어부
210 : 메모리부 230 : 음성 출력부
20 : 디스플레이부 30 : 흡입부
40 : 토출부 60 : 송풍팬
110 : 필터부재 115 : 흡입유로
116 : 배출유로 150 : 압력감지부
163 : 제 1 연결유로 171 : 기준챔버
173 : 제 2 연결유로 200 : 제어부
210 : 메모리부 230 : 음성 출력부
Claims (16)
-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 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부재;
상기 흡입부와 필터부재 사이의 흡입유로;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 의하여 감지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먼지의 양이 결정되고,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흡입유로 및 배출유로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기준챔버의 압력과,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감지부가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 감지부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상기 기준챔버의 압력의 제 1 차이값을 감지하고,
상기 제 1 차이값과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먼지량이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재에 먼지가 퇴적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상기 기준챔버의 미리 설정된 압력의 제 2 차이값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이값에 대한 상기 제 2 차이값의 비율이 설정비율 이하가 되면, 상기 필터부재의 청소 또는 교체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차이값이 설정값 이상이 되면, 상기 필터부재의 청소 또는 교체 메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 - 삭제
- 공기의 흡입을 가이드 하는 흡입부;
상기 흡입부의 출구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먼지를 포집하는 필터부재;
상기 흡입부와 필터부재 사이의 흡입유로;
상기 필터부재의 출구측에 형성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동압력 또는 유동량을 감지하는 먼지량 감지장치가 포함되며,
상기 먼지량 감지장치에는,
상기 배출유로의 2개의 지점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양을 감지하는 유량 감지부가 포함되고,
상기 유량 감지부에는,
상기 배출유로에 설치되어, 유동되는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며 공기의 유동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온도센서; 및
상기 복수의 온도센서의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유로를 유동하는 공기에 열을 제공하는 히터가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 - 삭제
- 송풍팬이 구동되어, 필터부재에 이물이 퇴적되는 단계;
대기압을 형성하는 기준챔버의 압력과, 상기 필터부재의 배출유로측의 압력 차이가 감지되는 단계;
상기 감지된 압력 차이와, 메모리부에 저장된 기준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에 퇴적된 이물의 양이 결정되는 단계; 및
상기 퇴적된 이물의 양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이 결정되는 단계가 포함되고,
상기 기준챔버는 흡입유로 및 배출유로에서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정보에는,
상기 필터부재에 이물이 퇴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과 상기 기준챔버의 압력차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된 필터부재의 효율 또는 잔여수명에 기초하여,
상기 필터부재의 세척 또는 교체에 관한 알림 메세지가 출력되는 단계가 더 포함되는 공기 정화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778A KR101843386B1 (ko) | 2016-08-19 | 2016-08-19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778A KR101843386B1 (ko) | 2016-08-19 | 2016-08-19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819A KR20180020819A (ko) | 2018-02-28 |
KR101843386B1 true KR101843386B1 (ko) | 2018-05-14 |
Family
ID=61401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778A KR101843386B1 (ko) | 2016-08-19 | 2016-08-19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338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18262A (ko) | 2018-04-10 | 2019-10-18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공기 정화 장치 |
KR101973371B1 (ko) | 2018-05-09 | 2019-05-24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공기 정화 장치 |
KR20190136474A (ko) | 2018-05-31 | 2019-12-10 | 주식회사 이엠따블유 | 촉매 필터 모듈 |
KR102507708B1 (ko) | 2021-08-19 | 2023-03-08 | (주)케스피온 | 공기 정화 장치 |
KR102467530B1 (ko) | 2021-08-19 | 2022-11-16 | (주)케스피온 | 백금 촉매 필터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장치 |
-
2016
- 2016-08-19 KR KR1020160105778A patent/KR101843386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819A (ko) | 2018-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43386B1 (ko) |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287511B1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DK3119260T3 (en) | Method of cleaning a filter of a vacuum cleaner and vacuum cleaner | |
KR102379628B1 (ko) | 공기조화기 및 이를 이용한 먼지농도 표시방법 | |
JP2009074788A (ja) | 空気調和機 | |
KR20170035481A (ko) | 차량용 공기청정 시스템 | |
KR20200056092A (ko) | 공기 청정기 및 공기청정기의 제어방법 | |
KR20170031988A (ko) |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210004550A (ko) | 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00089197A (ko) | 공기조화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985531B1 (ko) | 필터 어셈블리,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2017080707A (ja) | 空気清浄機 | |
KR100651306B1 (ko) | 먼지센서를 구비한 공기청정기의 방법 | |
JP2015232433A (ja) | 空気清浄機 | |
KR100544875B1 (ko) | 필터교환시기를 확인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 | |
KR100748170B1 (ko) | 공기청정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0602697B1 (ko) | 공기 청정기 | |
JPH09225251A (ja) | 空気清浄機 | |
JP5817776B2 (ja) | 電界生成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空気調和機、空気清浄機、送風機 | |
JPH0674520A (ja) | 空気調和機 | |
JP6701741B2 (ja) | 空気清浄機 | |
JP5880422B2 (ja) | 空気清浄機 | |
KR102629817B1 (ko) | 공기조화기 | |
JPH09313853A (ja) | 空気清浄機 | |
JP6007401B2 (ja) | 空気清浄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