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14B1 -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14B1
KR101841614B1 KR1020170126840A KR20170126840A KR101841614B1 KR 101841614 B1 KR101841614 B1 KR 101841614B1 KR 1020170126840 A KR1020170126840 A KR 1020170126840A KR 20170126840 A KR20170126840 A KR 20170126840A KR 101841614 B1 KR101841614 B1 KR 101841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piece
conveyor belt
sponge
seat
fee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미
Original Assignee
이종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미 filed Critical 이종미
Priority to KR10201701268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04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essing technique, e.g. using action of vacuum or fluid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9/00Layout of apparatus or plants, e.g. modular laminat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41/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or monitoring lamination processes; Safety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미네이팅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자동으로 작업 대상물을 배치하고, 배치된 작업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가를 검사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 수율을 높이며 제조 비용을 낮추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LAMINATING APPRATUS FOR VEHICLE SHEE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 대상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으며, 공급된 작업 대상물이 컨베이어 벨트 상에 정확하게 안착되었는지를 판독하는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라미네이팅(Laminating)이란 접착수지와 열을 이용하여 동종 또는 다른 종류의 종이, 필름, 원단 등을 합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라미네팅의 한 종류로서, 차량의 좌석 등에 사용되는 가죽시트는 일정 크기로 구비된 가죽부재의 배면측에 스폰지와 같은 쿠션재가 라미네이팅된 것으로, 대개 일정 형상으로 미리 가공된 판상의 가죽부재를 접착테이프 등으로 가고정한 상태에서 이송수단에 의해 연속적으로 공급하고, 가죽부재의 이송방향 일측에서 가열수단에 의해 일면이 용융된 스폰지와 같은 충전재를 가압롤러에 의해 상호 압착한 후에, 상기 쿠션재를 가죽부재의 형상에 따라 절단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내지 공정(등록실용신안 제20-0346633호 참조)은 작업자가 수동으로 일일이 작업 대상물인 천연 가죽을 켄베이어 벨트 상에 배치했기에 공정 시간이 길고 제조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어왔다. 또한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배치된 천연 가죽이 후공정이 가능하도록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가를 검사하는 장치 내지 공정이 제공되지 않아 불량 라미네이팅 제품이 생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라미네이팅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자동으로 작업 대상물을 배치하고, 배치된 작업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가를 검사하는 라미네이팅 장치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라미네이팅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자동으로 작업 대상물을 배치하고, 배치된 작업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가를 검사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 수율을 높이며 제조 비용을 낮추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는, 컨베이어 이송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벨트,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 롤러 및 공급된 간지를 회수하는 간지 회수 롤러를 포함하는 간지 공급 장치, 작업 대상물을 흡착하고 흡착된 작업 대상물을 간지 상으로 안착시키는 흡착부재 및 흡착부재를 컨베이어 벨트 쪽으로 선회시키는 선회봉을 포함하는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의 흡착을 위해 작업 대상물을 전달하는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 안착된 작업 대상물이 서로 겹쳐진 경우 및 구겨진 경우를 포함하는 불량 안착 여부를 판독하는 안착 판독 센서, 안착 판독 센서의 판독 결과 불량 안착으로 판명되면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을 흡착한 후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 및 판독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에 가열 장치로 표면이 용융된 스펀지를 공급하는 스펀지 공급 롤러 및 용융된 스펀지를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스펀지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라미네이팅 공정에 있어서 컨베이어 벨트 상에 자동으로 작업 대상물을 배치하고, 배치된 작업 대상물이 정상적으로 배치되었는가를 검사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제품 수율을 높이며 제조 비용을 낮추는 라미네이팅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작업 대상물 공급부 및 안착 판독부를 나타낸 간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흡착부재가 작업 대상물을 흡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안착 판독 센서의 작업 대상물 판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스펀지 공급부를 나타낸 간략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간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작업 대상물 공급부 및 안착 판독부를 나타낸 간략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흡착부재가 작업 대상물을 흡착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안착 판독 센서의 작업 대상물 판독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스펀지 공급부를 나타낸 간략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200)는 컨베이어 벨트(20), 간지 공급 장치,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50),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 안착 판독 센서(120),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110) 및 스펀지 공급 장치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20)는 적어도 한 쌍의 컨베이어 이송 롤러(23, 25)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벨트로서, 작업 대상물(40)을 후술하는 작업 공간인 스펀지 공급 장치 쪽으로 이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 대상물(40)은 자동차 시트용 천연 가죽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라미네이팅을 수행할 수 있는 대상이면 그 제한이 없을 수 있다.
한편, 컨베이어 벨트(20)에는 컨베이어 이송 롤러(23, 25)에 추가하여 보조 롤러(165)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보조 롤러(165)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0)의 이동 경로가 조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로 조정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0)의 하부에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다른 장비 내지 장치를 위치시킬 수 있다.
간지 공급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20) 상으로 간지(10)를 공급하는 장치로서, 간지 공급 롤러(150) 및 공급된 간지(10)를 회수하는 간지 회수 롤러(155)를 포함할 수 있다. 간지 공급부(A)에 위치한 간지 공급 롤러(150) 및 간지 보조 롤러(160)의 작동에 의해 간지(10)는 컨베이어 벨트(20) 상에 배치되고, 컨베이어 벨트(20)의 작동으로 간지(10) 상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40)과 함께 이송되고, 이후 간지 회수 롤러(155)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간지(10)는 작업 대상물(40)에 대한 라미네이팅 작업 과정 중에 후술하는 가열 장치(130)에 의해 스펀지(30)가 용융된 후, 용융물이 컨베이어 벨트(20) 또는 롤러에 묻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간지(10)의 폭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되도록 하여, 간지(10)의 배치 시 간지(10)에 의해 컨베이어 벨트(20)가 커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서는 간지(10)의 폭은 컨베이어 벨트(20)의 폭보다 좁을 수도 있다. 간지(10)로서 사용하는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는, 용융된 스펀지(30)가 묻지 않도록 하고 묻어 있는 경우에는 제거가 용이하도록 스펀지 부착 방지층이 형성될 수 있다.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50)는 작업 대상물(40), 즉 천연 가죽을 컨베이어 벨트(20)에 배치된 간지(10) 상에 안착시키는 장치이다. 이를 위해 천연 가죽을 흡착하고 흡착된 천연 가죽을 간지(10) 상으로 안착시키는 흡착부재(70) 및 흡착부재(70)를 컨베이어 벨트(20) 쪽으로 선회시키는 선회봉(8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 대상물 공급부(B)에는 흡착부재(70) 및 선회봉(80)을 포함하는 안착장치가 있으며, 이 안착장치는 컨베이어 벨트(20)의 한 쪽 측면 또는 양 쪽 측면 모두에 있을 수 있다. 후술하는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에 의해 천연 가죽이 작업 공간으로 전달된 후, 흡착부재(70)는 흡착판(60)을 이용하여 천연 가죽을 흡착하며, 이후 흡착부재(70)가 연결된 선회봉(80)이 컨베이어 벨트(20) 쪽으로 선회(E)하여 천연 가죽을 간지(10) 상으로 안착시킬 수 있다. 한편, 흡착판(60)은 구동부에 의해 상하 이동이 가능하므로 작업 공간으로 제공된 천연 가죽 및 간지(10)의 높이에 맞춰 상하 이동하면서 천연 가죽을 흡착 및 탈착할 수 있다.
종래에는 천연 가죽을 공급하기 위해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으로 간지(10) 상에 천연 가죽을 배열하였기에 공정 시간이 오래 걸리고 추가 인력이 필요하여 시간 및 비용 상의 문제점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경우는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50)를 사용함에 따라 자동으로 간지(10) 상에 천연 가죽을 배치할 수 있게 되어 공정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추가 인력이 필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는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50)의 흡착을 위해 천연 가죽을 작업 대상물(40) 공급 장치에 전달하는 장치로서, 이러한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는 컨베이어 벨트(90)일 수 있다.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가 컨베이어 벨트(90)일 경우 작업 대상물(40)은 컨베이어 벨트(90)를 따라 이송되어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의 작업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90)는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40)이 흡착판(60) 아래 위치하면 정지하여 흡착판(60)이 작업 대상물(40)을 흡착하도록 하거나, 다르게는 컨베이어 벨트(90)의 이송 속도와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50)의 공급 속도를 조절하여 컨베이어 벨트(90)는 정지하지 않고 계속적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안착 판독 센서(120)는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이 간지(10) 상에 불량 안착되어 이후 작업을 수행할 수 없는지 여부를 판독하는 센서이다. 이러한 안착 판독 센서(120)는 안착 판독부(C)에 위치한 지지 구조(10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지지 구조(100)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수직바(bar)와 이러한 수직바를 연결하는 크로스바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안착 판독 센서(120)는 크로스바에 설치될 수 있다. 간지(10) 상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을 이송하는 컨베이어 벨트(20)는 수직바 사이로 그리고 크로스바 하부로 이동하고, 이때 크로스바에 설치된 안착 판독 센서(120)는 지나가는 작업 대상물(40)의 안착 상태를 판독한다.
이러한 안착 판독 센서(120)는 표면 형상 측정 센서일 수 있고, 작업 대상물(40)의 면적 및 외곽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측정을 통해 작업 대상물(40)의 불량 안착 여부를 판독할 수 있다. 한편, 불량 안착의 경우는 이웃하는 작업 대상물(40)이 서로 겹쳐진 경우(도 4(b) 참조) 및 작업 대상물(40)이 구겨진 경우(도 5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웃하는 작업 대상물(40)이 서로 겹쳐진 불량 안착의 경우, 안착 판독 센서(120)는 불량 안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작업 대상물(40)의 면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안착 판독 센서(120)는 간지(10) 상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의 면적을 측정한 후 측정 면적값과 기입력된 작업 대상물(40)의 실제 면적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날 경우 불량 안착으로 판독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하나의 작업 대상물(40)의 실제 면적이 S라 할 때 이웃하는 두개의 실제 면적값은 2S가 되는 반면에(도 4(a) 참조), 이웃하는 작업 대상물(40)이 서로 겹쳐질 경우는 이웃하는 두개의 작업 대상물(40)의 측정 면적값은 겹쳐진 부분의 면적인 K만큼 감소분이 생겨 2S보다 작아진다(도 4(b) 참조). 이렇게, 작업 대상물(40)의 측정 면적값과 실제 면적값이 차이가 날 경우 안착 판독 센서(120)는 불량 안착으로 판독한다.
또한, 이웃하는 작업 대상물(40)이 서로 겹쳐진 불량 안착의 경우, 안착 판독 센서(120)는 불량 안착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작업 대상물(40)의 둘레 형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안착 판독 센서(120)는 간지(10) 상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의 둘레 형상을 측정한 후 측정 형상과 기입력된 작업 대상물(40)의 실제 형상을 비교하여 차이가 날 경우 불량 안착으로 판독할 수 있다.
다시 도 4를 통해,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나의 작업 대상물(40)의 실제 둘레 형상이 사각형이라 할 때 이웃하는 두개의 작업 대상물(40)의 실제 형상은 두개의 사각형 형상이 되는 반면에(도 4(a) 참조), 이웃하는 작업 대상물(40)이 서로 겹쳐질 경우는 이웃하는 두개의 작업 대상물(40)의 둘레 형상은 겹쳐진 부분이 존재하므로 두개의 사각형이 아니라 하나의 오목 팔각형 형상이 된다(도 4(b) 참조). 이렇게, 작업 대상물(40)의 측정 형상과 실제 형상이 차이가 날 경우 안착 판독 센서(120)는 불량 안착으로 판독한다.
다음으로, 도 5를 통해, 작업 대상물(40)이 구겨진 불량 안착의 경우를 살펴보면, 제대로 펼쳐진 작업 대상물(40)의 길이가 a라면 구겨진 작업 대상물(40)의 길이는 a보다 작은 b가 되는바, 작업 대상물(40)의 측정 면적값과 실제 면적값이 차이가 나게 되고, 또한 작업 대상물(40)의 측정 형상과 실제 형상에 차이가 나게 된다. 그 결과 안착 판독 센서(120)는 이런 경우 불량 안착으로 판독한다.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110)는 안착 판독 센서(120)의 판독 결과 불량 안착으로 판명되면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을 흡착한 후 컨베이어 벨트(20)로부터 제거하는 장치이다(도 2 참조).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110)는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을 흡착하기 위해 흡착판을 구비한 흡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흡착부재는 안착 판독 센서(120)가 설치된 지지 구조(100)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작업 대상물(40) 제거 장치는 흡착부재가 지지 구조(100)에 매달리도록 하며 길이가 상하 방향으로 조절되는 지지봉 및 지지봉이 지지 구조(100) 상에서 수평 이동하도록 하는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 하에서, 안착 판독 센서(120)가 불량 안착을 판독한 후에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110)에 제거 명령을 전달하면, 구동 장치 및 지지봉의 상하 이동을 통해 흡착부재가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40)로 이동하고, 이후 흡착부재는 작업 대상물(40)을 흡착한 후에 외측으로 이동하여 흡착한 작업 대상물(40)을 외부로 제거할 수 있다.
스펀지 공급 장치는 간지(10) 상에 안착된 작업 대상물(40)에 가열 장치(130)로 표면이 용융된 스펀지(30)를 공급하여 작업 대상물(40)과 스펀지(30)가 일체를 이루어 라미네이팅이 수행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구체적으로, 정상 안착으로 판독된 작업 대상물(40)이 컨베이어 벨트(20)를 따라 스펀지(30) 공급부(D)로 이송되며, 동시에 스펀지 공급 롤러(33)는 가열 장치(130)로 표면이 용융된 스펀지(30)를 이송되는 작업 대상물(40) 쪽으로 공급하고, 이후 가압 롤러(35)는 용융된 스펀지(30)를 작업 대상물(40)에 대하여 가압함으로써 라미네이팅을 수행한다.
한편, 가열 장치(130)로는 히팅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를 사용함으로써 모든 제품에 스펀지(30)의 용융 정도를 일정하게 하여 제품의 품질을 균일하게 할 수 있으나 히터의 종류에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라미네이팅 작업 이후, 작업 대상물(40), 스펀지(30) 및 간지(10)는 간지 회수 롤러(155)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회수된 작업 대상물(40), 스펀지(30) 및 간지(10)는 추가 작업에 대비하여 보관될 수 있다. 아울러 간지(10) 상에 묻어있는 스펀지(30)는 별도 작업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설명하였으며,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의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라미네이팅 장치는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가 컨베이어 벨트(90)가 아닌 작업 대상물 수납 용기(140)이다. 이 작업 대상물 수납 용기(140)에는 미리 작업 대상물(40)이 수납되어 있으며, 작업 대상물(40)을 수납한 작업 대상물 수납 용기(140)는 수동 또는 자동으로 작업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간지 20, 90: 컨베이어 벨트
23, 25: 컨베이어 이송 롤러 30: 스펀지
33: 스펀지 공급 롤러 35: 가압 롤러
40: 작업 대상물 50: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
60: 흡착판 70: 흡착부
80: 선회봉 100: 지지 구조
110: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 120: 안착 판독 센서
130: 가열 장치 140: 작업 대상물 수납 용기
150: 간지 공급 롤러 155: 간지 회수 롤러
160, 165: 보조 롤러 200: 라미네이팅 장치

Claims (3)

  1. 컨베이어 이송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 롤러 및 공급된 상기 간지를 회수하는 간지 회수 롤러를 포함하는 간지 공급 장치;
    작업 대상물을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간지 상으로 안착시키는 흡착부재 및 상기 흡착부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쪽으로 선회시키는 선회봉을 포함하는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
    상기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의 흡착을 위해 상기 작업 대상물을 전달하는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
    안착된 상기 작업 대상물이 서로 겹쳐진 경우 및 구겨진 경우를 포함하는 불량 안착 여부를 판독하는 안착 판독 센서;
    상기 안착 판독 센서의 판독 결과 불량 안착으로 판명되면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을 흡착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 및
    판독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에 가열 장치로 표면이 용융된 스펀지를 공급하는 스펀지 공급 롤러 및 용융된 스펀지를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스펀지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판독 센서는 표면 형상 측정 센서로서, 안착된 작업 대상물의 면적을 측정한 후 측정값과 기입력된 면적값을 비교하여 차이가 날 경우 불량 안착으로 판독하는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2. 컨베이어 이송 롤러에 의해 무한궤도를 형성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 상으로 간지를 공급하는 간지 공급 롤러 및 공급된 상기 간지를 회수하는 간지 회수 롤러를 포함하는 간지 공급 장치;
    작업 대상물을 흡착하고 흡착된 상기 작업 대상물을 상기 간지 상으로 안착시키는 흡착부재 및 상기 흡착부재를 상기 컨베이어 벨트 쪽으로 선회시키는 선회봉을 포함하는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
    상기 작업 대상물 공급 장치의 흡착을 위해 상기 작업 대상물을 전달하는 작업 대상물 전달 장치;
    안착된 상기 작업 대상물이 서로 겹쳐진 경우 및 구겨진 경우를 포함하는 불량 안착 여부를 판독하는 안착 판독 센서;
    상기 안착 판독 센서의 판독 결과 불량 안착으로 판명되면 불량 안착된 작업 대상물을 흡착한 후 상기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제거하는 작업 대상물 제거 장치; 및
    판독이 완료된 작업 대상물에 가열 장치로 표면이 용융된 스펀지를 공급하는 스펀지 공급 롤러 및 용융된 스펀지를 작업 대상물에 대하여 가압하는 가압 롤러를 포함하는 스펀지 공급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안착 판독 센서는 표면 형상 측정 센서로서, 안착된 작업 대상물의 둘레 형상을 측정한 후 측정 형상과 기입력된 형상을 비교하여 차이가 날 경우 불량 안착으로 판독하는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 벨트에는 컨베이어 벨트의 이동 경로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보조 롤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는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20170126840A 2017-09-29 2017-09-29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KR101841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40A KR101841614B1 (ko) 2017-09-29 2017-09-29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40A KR101841614B1 (ko) 2017-09-29 2017-09-29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7451A Division KR101918126B1 (ko) 2018-01-22 2018-01-22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작업 대상물의 안착 상태를 판독하는 안착 판독 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614B1 true KR101841614B1 (ko) 2018-03-23

Family

ID=61911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40A KR101841614B1 (ko) 2017-09-29 2017-09-29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50B1 (ko) * 2013-01-16 2014-10-06 조영자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7350B1 (ko) * 2013-01-16 2014-10-06 조영자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087277B (zh) 烫朴系统
KR101228379B1 (ko) 가죽시트 라미네이팅 방법
KR101192828B1 (ko) 라미네이팅 장치 및 방법
CN110803365A (zh) 一种用于保护片生产加工的自动组装设备
US20140238611A1 (en) Apparatus for adhering a soft slab and a covering material together
JP2018117769A (ja) 被縫製物搬送装置
KR101841614B1 (ko)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
JP4762116B2 (ja) シート供給装置
KR101918126B1 (ko) 자동차 시트용 라미네이팅 장치에서 작업 대상물의 안착 상태를 판독하는 안착 판독 센서
KR20130037149A (ko) 천연가죽 라미네이팅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가죽 시트
CN206173602U (zh) 缝纫机布料自动对边装置
CN115490063B (zh) 一种基于负压固定布料的智能制造用纺织设备
JP3021253U (ja) 包装装置
CN210063485U (zh) 一种全自动压胶喷码扫码数据采集系统一体机
KR101502571B1 (ko) 섬유원단 이송용 클램프
KR101352545B1 (ko) 폴리백 제조장치
JP6932380B2 (ja) 箔押し機用給排紙方法および装置
KR101962809B1 (ko) 마스크팩 포장시스템
JPH07115426B2 (ja) 帯状部材の貼付け方法および装置
JP2685955B2 (ja) 表皮材の取出し装置
JP4440791B2 (ja) フィルムロールの自動交換システム
JP2000140466A (ja) ミシンの生地折り重ね装置
KR200354059Y1 (ko) 롤형 원단 포장장치의 센터포장기용 가압식 원단이송장치
KR101495894B1 (ko) 가죽과 스폰지의 라미네이팅 장치
JPH06218845A (ja) タイヤ成形機における材料継目調整片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