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99B1 -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99B1
KR101841499B1 KR1020160082621A KR20160082621A KR101841499B1 KR 101841499 B1 KR101841499 B1 KR 101841499B1 KR 1020160082621 A KR1020160082621 A KR 1020160082621A KR 20160082621 A KR20160082621 A KR 20160082621A KR 101841499 B1 KR101841499 B1 KR 101841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ene
olefin
thermoforming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149A (ko
Inventor
우승건
우재홍
박은영
임성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무진
한국신발피혁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무진, 한국신발피혁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무진
Priority to KR102016008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99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45Anti-settl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10Encapsulated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1Polyolefin, e.g.rubber
    • C09J7/243Ethylene or propylene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EtBC)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EtOC) 중 하나가 혼합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층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아세테이트(va)함량이 22 내지 35인 중량부인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층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50 내지 80중량부로,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2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쇼어 경도가 40 내지 65A이고,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쇼어 경도는 80 내지 95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개시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층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층이 저밀도폴리에틸렌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하나가 선택 혼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저밀도폴리에틸렌이 가지는 내열성과 이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준의 경도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이 내열성, 접착성 및 성형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리사이클시 이형 소재의 박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그 경도 상승에 따른 질감과 감성적 촉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Olefin base complex film for thermoforming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에틸렌과 초산비닐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얻어지는 중합체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copolymer, EVA)는 초산비닐 모노머의 함유량이 증가하면 그 밀도가 증가하지만 그 결정화도는 저하되어 유연성이 증대되는 특성이 있다.
저함량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내충격성이 우수하여 중포장재, 라미네이트 필름의 접착제 등에 이용되고, 10 내지 20% 정도 함량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샌달이나 구두창 등의 발포성형품이나 농업용필름, 업무용 스트레치 필름 등 연질염화 비닐과 같은 용도에 쓰이며, 고농도의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접착제의 원료로 이용된다.
위와 같이 각종 산업용 소재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을 단독으로 사용하면, 그 접착성은 우수해지나, 그 내열성이 낮아지게 되고, 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을 열 성형용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형소재, 부직포 등을 함께 사용하여야 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구조에 의하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에 함께 사용되었던 이형소재는 향후 리사이클시 박리하여 제거해주어야 해서, 환경 오염 문제가 발생되고, 그 박리에 소요되는 비용이 큰 문제가 있고,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필름과 함께 부직포가 사용되면, 그 경도가 올라가게 되어 질감과 감성적 촉감이 저하되어 그 기능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들의 극복을 위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내열필름 등이 개발되어지고 있지만, 여전히 그 내열성 개선에 큰 진척이 있지는 못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 10-1243090호, 등록일자: 2013.03.07., 발명의 명칭: 제전성 수지 조성물, 제전·점착성 수지 조성물, 점착 필름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리사이클시 이형 소재의 박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그 경도 상승에 따른 질감과 감성적 촉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EtBC)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EtOC) 중 하나가 혼합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접착층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아세테이트(va)함량이 22 내지 35인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상기 지지층 100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80중량부로,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상기 지지층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며,
삭제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쇼어 경도가 40 내지 65A이고,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쇼어 경도는 80 내지 95A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제조방법은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와,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발포제 중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팽창하는 저온 팽창 발포제를 제 1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로 형성하는 단계; 저밀도폴리에틸렌과,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상기 발포제 중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팽창하는 고온 팽창 발포제를 제 2 마스터 배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터 배치와 상기 제 2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 상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층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층이 저밀도폴리에틸렌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하나가 선택 혼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저밀도폴리에틸렌이 가지는 내열성과 이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준의 경도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이 내열성, 접착성 및 성형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리사이클시 이형 소재의 박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그 경도 상승에 따른 질감과 감성적 촉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모습을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100)은 접착층(120)과, 지지층(110)을 포함한다.
상기 접착층(120)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층(110) 상에 형성된다.
상기 접착층(120)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아세테이트(va)함량이 22 내지 35인 중량부인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층(110)은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EtBC)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EtOC) 중 하나가 선택 혼합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110)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50 내지 80중량부로,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2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고,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쇼어 경도가 40 내지 65A가 된다.
또한,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100)의 쇼어 경도는 80 내지 95A가 된다.
상기와 같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상기 접착층(120)을 지지하는 상기 지지층(110)이 저밀도폴리에틸렌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하나가 선택 혼합되어 형성됨으로써, 저밀도폴리에틸렌이 가지는 내열성과 이형성을 유지하면서도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수준의 경도를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100)이 내열성, 접착성 및 성형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리사이클시 이형 소재의 박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그 경도 상승에 따른 질감과 감성적 촉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층(110)과 상기 접착층(120)에 각각 발포제를 0.5 내지 1.5중량부 첨가하여,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100)의 비중을 0.65 내지 0.85로 경량화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포제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코폴리머 타입 물질로 구성되는 캡슐형 발포제로,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제는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팽창하는 저온 팽창 발포제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팽창하는 고온 팽창 발포제로 구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열성형용 올리핀계 필름의 일면은 무광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접착력의 저하 문제를 유발하는 블로킹(blocking)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100)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와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팽창하는 저온 팽창 발포제를 펠렛(pellet) 형태의 제 1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로 형성한다.
또한, 저밀도폴리에틸렌과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팽창하는 고온 팽창 발포제를 펠렛 형태의 제 2 마스터 배치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마스터 배치와 상기 제 2 마스터 배치의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각 물질의 계량이 정확해지고, 분산이 좋아지며, 작업 중의 흩날림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제 1 마스터 배치와 상기 제 2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지지층(110)을 형성한다.
그 후, 상기 지지층(110) 상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층(120)을 형성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하면, 리사이클시 이형 소재의 박리 문제가 발생되지 아니하면서도 그 경도 상승에 따른 질감과 감성적 촉감 저하가 방지될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110 : 지지층
120 : 접착층

Claims (5)

  1.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에 있어서,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VA)를 포함하는 접착층; 및
    저밀도폴리에틸렌(LDPE)에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EtBC)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EtOC) 중 하나가 혼합된 지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는 상기 접착층 100중량부에 대해 비닐아세테이트(va)함량이 22 내지 35인 중량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저밀도폴리에틸렌은 상기 지지층 100중량부에 대해 50 내지 80중량부로,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상기 지지층 100중량부에 대해 2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며,
    상기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상기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되어진 하나는 쇼어 경도가 40 내지 65A이고,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쇼어 경도는 80 내지 95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과 상기 접착층에 각각 발포제를 0.5 내지 1.5중량부 첨가하여, 상기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비중을 0.65 내지 0.85로 경량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아크릴로니트릴계 코폴리머 타입 물질로 구성되는 캡슐형 발포제로,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블로킹 방지를 위해 상기 열성형용 올레핀계 필름의 일면은 무광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5. 에틸렌 부텐 코폴리머와 에틸렌 옥텐 코폴리머 중 선택된 하나와,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발포제 중 상대적으로 저온에서 팽창하는 저온 팽창 발포제를 제 1 마스터 배치(master batch)로 형성하는 단계;
    저밀도폴리에틸렌과, 팽창 온도가 서로 다른 2종 이상의 발포 성분이 함유된 상기 발포제 중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팽창하는 고온 팽창 발포제를 제 2 마스터 배치로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마스터 배치와 상기 제 2 마스터 배치를 혼합하여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층 상에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를 포함하는 접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의 제조방법.
KR1020160082621A 2016-06-30 2016-06-30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KR101841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21A KR101841499B1 (ko) 2016-06-30 2016-06-30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621A KR101841499B1 (ko) 2016-06-30 2016-06-30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49A KR20180003149A (ko) 2018-01-09
KR101841499B1 true KR101841499B1 (ko) 2018-05-04

Family

ID=6100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621A KR101841499B1 (ko) 2016-06-30 2016-06-30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4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37757A (zh) * 2019-07-11 2019-11-12 昆山博益鑫成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新型热减粘胶黏剂及热减粘保护膜的制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12B1 (ko) 2012-10-17 2013-05-16 도영에이치에스 주식회사 고온 성형용 단열 필름,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912B1 (ko) 2012-10-17 2013-05-16 도영에이치에스 주식회사 고온 성형용 단열 필름, 이를 이용한 진공 단열재 및 진공 단열재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인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149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70291968A1 (en) Polyolefin resin foam sheet and adhesive tape
CA2509900A1 (en) Release composition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US11345788B2 (en) Porous sheet, and porous composite
CN104231962A (zh) 粘合片
CN104802497A (zh) 使用网格状胶粘剂的层压工艺
KR101841499B1 (ko) 열 성형용 올레핀계 복합필름 및 그 제조방법
CN106133879A (zh) 切割片用基材膜、具备该基材膜的切割片及该基材膜的制造方法
US20200189253A1 (en) Laminated foam sheet and molded article thereof
CN106463371B (zh) 切割片用基材膜及切割片
US20200353713A1 (en) Decorative sheet
JP7377723B2 (ja) ダイシングテープ用基材フィルム
JP2011162761A5 (ko)
JP6921742B2 (ja) 独立気泡発泡シート、及び表示装置
WO2012057347A1 (ja) 樹脂組成物、架橋発泡体、履き物用部材および履き物
CN110382647A (zh) 层叠膜、图像显示装置用层叠体及图像显示装置
JP6928730B2 (ja) ダイシングテープ用基材フィルム
JP6906114B2 (ja) 靴底用部材、靴、及び、靴底用部材の製造方法
US20170273407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footwear stiffeners
JP7084188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樹脂発泡シート、及び粘着テープ
JP4311973B2 (ja) ポリオレフィン系ストレッチフィルム
KR101510670B1 (ko) Img 진공성형용 자동차 내장재 시트
JP4369311B2 (ja) 軟質フィルムおよびその用途
JP2004027149A (ja) 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JP6967423B2 (ja) 積層体、弾性フィルムの製造方法、弾性フィルム
US20220281205A1 (en) Decorative she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