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438B1 -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 Google Patents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438B1
KR101841438B1 KR1020170124205A KR20170124205A KR101841438B1 KR 101841438 B1 KR101841438 B1 KR 101841438B1 KR 1020170124205 A KR1020170124205 A KR 1020170124205A KR 20170124205 A KR20170124205 A KR 20170124205A KR 101841438 B1 KR101841438 B1 KR 101841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bag
opening
backflow
valv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4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천혜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와이
Priority to KR1020170124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438B1/ko
Priority to PCT/KR2017/011949 priority patent/WO2019066125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404Details or parts
    • A61F5/4405Valves or valv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luid inlets or out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44Devices worn by the patient for reception of urine, faeces, catamenial or other discharge; Portable urination aids; Colostomy devices
    • A61F5/451Genital or anal recepta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은 도뇨관(A)과 이어지는 소변유입부(102)와, 배뇨관(B)과 이어지는 소변배출부(103)를 형성하고 내부에 소변저장공간(101)을 구비하여 소변이 모아지는 유린백(10)과; 상기 도뇨관(A)과 소변유입부(102) 사이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이 도뇨관(A)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부(20)와; 상기 배뇨관(B)에 상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20)를 통해 유린백(10)에 소변이 용이하게 모여지고,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 역류에 따른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Urine bag for urine storage with backflow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은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린백에 소변이 용이하게 모여지고,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여 소변 역류에 따른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한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에 관한 것이다.
유린백(Urine bag)이란 중등도의 수술을 받은 환자, 혹은 전신마취로 인하여 배뇨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환자, 요양병원의 노인, 재활환자들의 배뇨를 돕기 위한 소변 주머니를 말한다.
즉, 유린백은 사용자의 방광에 도뇨관을 삽입하여 설치하고, 도뇨관의 하단에 유린백을 연결 설치함으로써, 방광으로부터 배출되는 소변이 도뇨관을 통해 유린백으로 보내어져 저장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종래의 유린백은 도뇨관과 단순 연결된 주머니 형태로 구성됨으로써, 유린백을 착용한 사용자들이 이동하거나 심하게 움직이는 경우, 누워있는 경우 등에 있어서, 유린백에 저장된 소변이 역류하여 도뇨관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게 되는데, 이처럼 소변이 도뇨관으로 역류하여 사용자의 방광으로 유입되면, 그로 인한 요로감염 등 2차 감염질환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유린백의 역류에 따른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역류방지를 위한 잠금장치 등을 구비한 유린백이 개발된 바 있으나, 종래기술의 잠금장치를 구비한 유린백의 경우에, 사용자가 소변을 볼 때 마다 잠금장치를 열었다가, 소변을 보고 난 후에는 잠금장치를 다시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사용자가 실수로 잠금장치를 잠금 상태에서 소변을 보는 경우에, 인체에서 배출되는 소변이 유린백 내부로 들어가지 못하고, 역류하거나 도뇨관에 머물게 되면서, 잠금장치가 없는 종래의 유린백과 같이 요로감염 등을 유발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잠금장치의 열고 잠그는 데 따른 불편을 해소하기 위하여 잠금장치를 열어두고 사용하는 경우에는 잠금장치가 없는 유린백과 마찬가지로 소변의 역류를 막을 수 없어서, 요로감염 등의 2차 감염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1701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를 구비함으로써, 소변의 역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한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역류방지부의 막힘을 방지하는 플러싱부를 구비함으로써, 역류방지부의 개폐기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간소한 구조를 통해 제조원가를 낮추어 우수한 경제성을 가지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은 내부에 소변저장공간(101)을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소변이 배출되는 도뇨관(A)과 이어지는 소변유입부(102)를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저장된 소변을 배출하는 배뇨관(B)과 이어지는 소변배출부(103)를 형성한 유린백(10)과;
상기 도뇨관(A)과 소변유입부(102) 사이에 설치하여 도뇨관(A)을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배뇨압에 비례하여 자동 개폐되는 개폐막(204)을 구비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이 도뇨관(A)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부(20)와;
상기 배뇨관(B)에 상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유린백(10)은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로 된 동일한 형상의 앞판과 뒤판을 겹친 후,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파우치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파우치 상부에는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로접착부(104)를 형성하여,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상부에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손잡이공(105)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공(105) 상부에는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공간부(106)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106) 내부에 심재(107)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하부에 형성된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결한 격막(108)을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는 유린백(10)의 소변배출부(103)에 일단부가 연결된 배뇨관(B)의 타단부를 끼워서 보관하는 관거치부(10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부(20)는 탄성 소재를 이용해 튜브 형태의 역류방지체(201)를 형성하되, 상기 역류방지체(201)의 상하부에는 도뇨관(A)과 유린백(10) 간에 호스로 연결하기 위한 상, 하부연결부(202, 203)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연결부(20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이어지는 개구부(204a)를 하단부에 형성한 얇은 주머니 형태로 된 개폐막(20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연결부(202)를 통해 소변이 유입될 때 발생하는 배뇨압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204a)가 자동으로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막(204)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앞, 뒤판을 겹쳐 양측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가까운 상부는 가로 폭이 좁고, 상부연결부(202)와 먼 하부는 가로 폭이 넓은 상협하광의 외곽선 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는 파형의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체(201)는 내측 상부 공간보다 내측 하부 공간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하부 공간에는 역류방지체(201)를 구성하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접착부(205)를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역류방지부(20) 상부에는 고착에 의해 폐쇄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개폐 가능하도록 펌핑 작용을 통해 개폐막(204) 쪽으로만 압력을 공급하는 플러싱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러싱부(30)는 의료용 라텍스 소재를 이용해 볼 형태의 펌프체(301)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체(301)의 상부와 하부에는 펌프체(301) 내부에 연통되는 호스연결부(301a, 301b)를 형성하여 상부 호스연결부(301a) 내부에는 상기 펌프체(301)의 펌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펌프체(301)의 하부 호스연결부(301b)로만 작용하게 하는 밸브체(302)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체(302)는 중공부(302a)를 형성한 관체의 내주면 상측에는 환상돌부(302b)를 형성하고, 관체의 내주면 하측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돌부(302c)를 형성하며, 상기 환상돌부(302b)와 걸림돌부(302c) 간에는 상기 중공부(302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압력 작용 방향에 따라 상기 환상돌부(302b) 또는 걸림돌부(302c)에 선택적으로 밀착하여 중공부(302a)를 개폐하는 개폐볼(30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1a)를 형성하고, 양 측벽에는 내향으로 안내돌편(401b)을 돌출 형성하며, 내면에는 가압부(401c)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1d)를 돌출 형성한 제1밸브본체(401)와; 내면에는 상기 제1밸브본체(401)의 가압부(401c)와 대향하는 가압부(402a)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2b)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안내돌편(401b)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제1가압수단(4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3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가압부(403b)를 돌출 형성하며, 양 측벽 내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홈(403c)을 형성한 제2밸브본체(403)와; 롤러 형태로 되어 상기 안내홈(403c)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403c)에 끼워지는 축부(404a)를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요철부(404b)를 형성한 제2가압수단(404)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밸브(40)는 평면상 집게 형태로 된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 내측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배뇨관(B)의 주벽을 파지하는 배뇨관파지부(405a)를 형성하되, 제3밸브본체(405)의 일단부 내측에는 걸림돌편(405b)을 형성하고, 제3밸브본체(405)의 타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편(405b)이 끼워지는 걸림홈부(405c)를 형성하여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은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를 통해 유린백에 소변이 용이하게 모여지고,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 역류에 따른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개폐막의 밀착력을 이용한 역류방지부의 고착 시, 플러싱부의 펌핑을 통해 압력을 가하여 개폐막의 고착을 간편하게 해소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역류방지부의 개폐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조가 간소하여 저렴한 제조원가로 생산 가능함으로써 경제성이 우수한 이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유린백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부 정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부의 개방 상태 측면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부의 폐쇄 상태 측면 단면도.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막의 개구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나)는 개폐막의 개구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다)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막의 개구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라)는 개폐막의 개구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부 정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역류방지부 측면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부를 구비한 역류방지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부 정면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부 일반 상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플러싱부 펌핑 상태 단면도.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배출밸브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구성과 작용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함에 있어서, 다음의 설명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부분'과 '제2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 기재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은 도뇨관(A)과 이어지는 소변유입부(102)와, 배뇨관(B)과 이어지는 소변배출부(103)를 형성하고 내부에 소변저장공간(101)을 구비하여 소변이 모아지는 유린백(10)과; 상기 도뇨관(A)과 소변유입부(102) 사이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이 도뇨관(A)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부(20)와; 상기 배뇨관(B)에 상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20)를 통해 유린백(10)에 소변이 용이하게 모여지고,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 역류에 따른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유린백(10)은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로 된 동일한 형상의 앞판과 뒤판을 겹친 후,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파우치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파우치 상부에는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로접착부(104)를 형성한다.
그리하여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상부에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손잡이공(105)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공(105) 상부에는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공간부(106)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106) 내부에 심재(107)를 삽입 설치한다.
또한,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하부에 형성된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결한 격막(108)을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는 유린백(10)의 소변배출부(103)에 일단부가 연결된 배뇨관(B)의 타단부를 끼워서 보관하는 관거치부(109)를 더 구비한다.
상기 유린백(10)은 소변이 모아지도록 의료용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로 된 앞판과 뒤판을 겹친 후, 가장자리를 따라서 초음파 접착하여 두께가 얇은 파우치 형태로 형성한다.
상기 유린백(10)의 소재는 가볍고 유연하면서도 질겨 취급이 용이하며,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구조적 안정성을 가짐으로써, 의료용으로 사용이 허가된 반투명 또는 불투명한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유린백(10) 취급의 편의성을 위하여 유린백(10) 상부의 소정 위치에서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로접착부(104)를 형성하여 유린백(10)을 두 개의 공간부로 구획한다.
그리하여 가로접착부(104)의 상부에는 유린백(10)의 걸어두거나, 들어서 운반하는데 사용하는 손잡이공(105)을 형성하되,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로 된 유린백(10)의 특성 상, 취급 중 찢어짐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잡이공(105)의 가장자리를 따라서 별도로 초음파 접착을 하여 손잡이공(105)의 구조적 강도를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손잡이공(105) 상부에는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공간부(106)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106) 내부에 합성수지재로 된 환봉 형태의 심재(107)를 삽입 설치함으로써, 소변저장공간(101)에 소변이 담긴 유린백(10)을 상기 손잡이공(105)을 이용해 걸어서 보관하거나, 손잡이공(105)을 이용해 운반할 때, 소변저장공간(101)에 담긴 소변의 무게에 따른 수직하중을 손잡이공(105) 바로 위에 설치된 심재(107)가 버텨줌으로써 소변의 무게가 손잡이공(105)에 가해지면서 손잡이공(105)이 찢어지거나 늘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격막(108)은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하부에 형성되는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다수를 형성한다. 즉, 유린백(10)을 구성하는 앞판과 뒤판을 초음파 접착을 통해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결하여 형성하되, 가로 방향으로 적어도 2개 이상을 형성한다.
따라서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다량의 소변이 모여진 상태에서 유린백(10)을 들어 운반하거나, 사용자가 유린백(10)을 착용하고 이동할 때,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여진 소변의 출렁임이나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을 억제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타인으로부터의 민망함을 느끼지 않도록 한다.
상기 관거치부(109)는 하방으로 입구가 형성되어 상방으로 경사지게 유린백(10) 하부 일측에 돌출 형성함으로써, 유린백(10)의 소변배출부(103)에 일단부가 연결된 배뇨관(B)의 타단부를 끼워서 보관할 수 있도록 있게 되어, 유린백(10)의 제조 후 포장이나, 취급 보관 시 배뇨관(B)을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함과 동시에 배뇨관(B)의 취급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역류방지부(20)는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도뇨관(A)과 소변유입부(102) 사이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이 도뇨관(A)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하여 의료용 라텍스 소재를 이용해 튜브 형태의 역류방지체(201)를 형성한다.
상기 튜브 형태로 된 역류방지체(201)는 세로로 긴 튜브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생산의 용이성 및 취급의 편의성,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의료용 라텍스 소재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의료용 합성수지로 제조하는 것도 가능함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역류방지체(201)의 상하부에는 도뇨관(A)과 유린백(10) 간에 호스로 연결하기 위한 상, 하부연결부(202, 203)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연결부(20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이어지는 개구부(204a)를 하단부에 형성한 얇은 주머니 형태로 된 개폐막(204)을 일체로 형성한다.
상기 개폐막(204)은 얇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앞, 뒤판을 겹쳐 양측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가까운 상부는 가로 폭이 좁고, 상부연결부(202)와 먼 하부는 가로 폭이 넓은 상협하광의 외곽선 형상으로 형성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4와 같이 도뇨관(A)과 연결되는 상기 역류방지체(201)의 상부연결부(202)를 통해 소변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소변의 배뇨압이 개폐막(204) 내부에 작용하면서 상대적으로 밀착력이 낮은 개폐막(204)의 상부에서부터 배뇨압에 의해 벌어지기 시작하여 최종적으로 개폐막(204)의 하부가 벌어지면서 초음파접착에 의해 양측이 일체로 된 개폐막(204) 하단부의 개구부(204a)가 개방되어 소변이 역류방지체(201) 내부로 유입된 후, 역류방지체(201)의 하부연결부(203)와 호스로 연결된 유린백(10)으로 소변이 공급되어 유린백(10) 내부에 소변이 모이게 된다.
한편, 도뇨관(A)을 통한 소변 유입이 완료되면, 얇은 주머니 형태로 된 개폐막(204)이 자체적으로 가지는 소재적 특성인 탄성과 더불어, 개폐막(204) 양측 가장자리를 일체화 한 초음파 접착에 따른 개폐막(204) 앞, 뒤판 간에 상호 착용하는 밀착력에 의해 첨부도면 도 5와 같이 개폐막(204)의 앞, 뒤판이 자연스럽게 밀착되면서 개구부(204a)가 폐쇄된다.
아울러, 소변이 개폐막(204)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소변에 의해 젖은 각 개폐막(204)의 내면은 소변에 함유된 수분 즉, 물 분자가 가지는 응집력과 부착력에 의해 밀착되면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 사이로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닫힌 상태에서는 개폐막(204)의 외부에서 압력이 작용하더라도, 개폐막(204)을 구성하는 앞, 뒤판 간 부착력을 더 강화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개구부(204a)가 임의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협하광 형태로 된 개폐막(204)의 형상에 따라 넓은 밀착 면적을 가지는 개구부(204a)는 개폐막(204)을 구성하는 앞, 뒤판 간 밀착력이 더 강하기 때문에 유린백(10) 내부에 모여진 소변이 유린백(10)과 역류방지체(201) 간을 연결하는 호스를 통해 역류방지체(201) 내부로 역류하더라도, 역류한 소변의 압력에 의해 개구부(204a)가 벌어지지 않게 되어 유린백(10)에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첨부도면 도 6의 (가)는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의 실시 예에 따른 개폐막의 개구부가 닫힌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나)는 개폐막의 개구부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인데, 마찰면적에 따른 개구부(204a) 밀착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첨부도면 도 6의 (다)와 같이 개구부(204a)의 단면을 파형으로 형성함으로써 개구부(204a)의 가로 폭이 도 6의 (가)와 동일한 폭을 가지더라도 파형 단면을 가지는 (다)의 표면적이 더 넓기 때문에 상기 개폐막(204)간 밀착력을 더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역류방지부(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도 7 내지 도 8과 같이 역류방지체(201)는 상기 개폐막(204)이 형성되는 역류방지체(201)의 내측 상부 공간보다 내측 하부 공간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하부 공간에는 역류방지체를 구성하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접착부(205)를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함으로써, 배뇨압에 의해 개방되는 개구부(204a)의 닫힘을 유도한다.
즉, 배뇨압에 의해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벌어질 때, 개폐막(204)을 구성하는 앞, 뒤판이 상기 연결접착부(205)에 의해 협소해진 역류방지체(201)의 내벽과의 간섭에 의해 과도하게 벌어지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배뇨압이 해소되면 개폐막(204)을 구성하는 앞, 뒤판 간의 탄성에 의한 개구부(204a)의 닫힘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상기 역류방지부(20)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첨부도면 도 9 내지 도 10과 같이 상기 역류방지부(20) 상부에는 고착에 의해 폐쇄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개폐 가능하도록 펌핑 작용을 통해 개폐막(204) 쪽으로만 압력을 공급하는 플러싱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플러싱부(30)는 의료용 라텍스 소재를 이용해 볼 형태의 펌프체(301)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체(301)의 상부와 하부에는 펌프체(301) 내부에 연통되는 호스연결부(301a, 301b)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펌프체(301)의 상부에 형성된 호스연결부(301a) 내부에는 상기 펌프체(301)의 펌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펌프체(301)의 하부에 형성된 호스연결부(301b)로만 작용하게 하는 밸브체(302)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체(302)는 중공부(302a)를 형성한 관체의 내주면 상측에는 환상돌부(302b)를 형성하고, 관체의 내주면 하측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돌부(302c)를 형성하며, 상기 환상돌부(302b)와 걸림돌부(302c) 간에는 상기 중공부(302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압력 작용 방향에 따라 상기 환상돌부(302b) 또는 걸림돌부(302c)에 선택적으로 밀착하여 중공부(302a)를 개폐하는 개폐볼(302d)을 구비한다.
즉, 상기 플러싱부(30)의 펌프체(301)는 상하부에 각각 하스연결부를 형성하여 상부의 호스연결부(301a)는 도뇨관(A)에 연결하고, 하부의 호스연결부(301b)는 역류방지부(20)의 상부연결부(202)에 연결한다.
따라서 첨부도면 도 9와 같이 도뇨관(A)을 통해 소변이 유입되면, 유입되는 소변의 배뇨압에 따라 밸브체(302)의 중공부(302a) 내부에 삽입된 개폐볼(302d)이 걸림돌부(302c)에 걸리게 되는데, 밸브체(302)의 내주면에 방사형으로 형성된 걸림돌부(302c) 간에 간격부가 존재하기 때문에 그 간격부를 통해 소변이 통과함으로써 도뇨관(A)을 통해 유입되는 소변이 역류방지부(20)를 통과하여 유린백(10)에 모여지게 된다.
한편,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소변의 점성이 높은 경우가 있는데, 이러한 사용자가 장시간 소변을 보지 않게 되면, 역류방지부(20) 내부에 설치된 얇은 합성수지 필름 소재로 된 두 장으로 된 개폐막(204)의 밀착면이 점성 높은 소변에 의해 고착되어 사용자의 배뇨압에도 불구하고 개폐막(204)의 개방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가능성이 있는데 플러싱부(30)를 이용해 고착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를 개방되게 한다.
즉, 첨부도면 도 10과 같이 상기 볼 형태로 된 펌프체(301)를 엄지와 검지 두 손가락을 이용해 가볍게 누르면, 펌프체(301)의 내부 공간이 압축되면서 펌프체(301) 내부 공기가 펌프체(301)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된 호스연결부(301a, 301b) 방향으로 방출된다.
이때, 펌프체(301)의 상부에 형성된 호스연결부(301a) 내부에 설치된 밸브체(302) 내부의 개폐볼(302d)이 펌프체(301) 내부에서 방출되는 공기 압력에 의해 밸브체(302)의 내주면 상부에 형성된 환상돌부(302b)에 걸리면서 밸브체(302)의 중공부(302a) 상측이 개폐볼(302d)에 의해 막히기 때문에 펌프체(301)의 압축에 의해 발생하는 공기압력은 펌프체(301)의 하부에 형성된 호스연결부(301b)로 집중된다.
따라서 펌프체(301)의 하부 호스연결부(301b)에 연결된 역류방지부(20)의 상부연결부(202)를 통해 개폐막(204) 내부로 압축된 공기 압력이 공급됨에 따라서 점성 높은 소변에 의해 고착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공기 압력에 의해 개방됨으로써 플러싱부(30)의 간단한 작동만으로도 역류방지부(20) 내의 개폐막(204)의 고착을 해소함으로써 배뇨압에 의해 자동 개폐되면서 유린백(10)에 소변이 모여지게 함과 동시에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역류를 방지하는 역류방지부(2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출밸브(40)는 상기 배뇨관(B)에 상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기 위하여 배뇨관(B)이 끼워지는 배뇨관삽입부를 구비한 밸브본체와, 배뇨관(B)의 주벽을 외부에서 압박하여 배뇨관(B)의 내경부를 폐쇄하는 가압수단을 구비한다.
첨부도면 도 13 내지 15는 상기 배출밸브(40)의 다양한 실시 예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도면 도 13은 상기 배출밸브(40)의 제1실시 예로서, 도면과 같이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1a)를 형성하고, 양 측벽에는 내향으로 안내돌편(401b)을 돌출 형성하며, 내면에는 가압부(401c)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1d)를 돌출 형성한 제1밸브본체(401)와, 내면에는 상기 제1밸브본체(401)의 가압부(401c)와 대향하는 가압부(402a)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2b)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안내돌편(401b)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제1가압수단(402)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배뇨관삽입부(401a)에 배뇨관(B)이 끼워진 상태에서 그립부(402b)를 이용해 제1가압수단(402)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함에 따라 배뇨관삽입부(401a)를 통과하는 배뇨관(B)의 주벽이 제1밸브본체(401)와 제1가압수단(402) 내면의 각 가압부(401c, 402a)에 의해 압박되어 배뇨관(B)의 내경부 단면적의 크기가 조절된다.
즉, 제1가압수단(402)의 위치에 따라서 제1밸브본체(401)와 제1가압수단(402) 내면의 각 가압부(401c, 402a)가 최대한 근접하면, 각 가압부(401c, 402a)에 의해 배뇨관(B)의 주벽이 최대한 압박되면서 배뇨관(B)의 내경부가 완전 폐쇄됨으로써,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소변이 안정적으로 모일 뿐만 아니라,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임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제1가압수단(402)의 위치에 따라서 제1밸브본체(401)와 제1가압수단(402) 내면의 각 가압부(401c, 402a)가 최대한 멀어지면, 각 가압부(401c, 402a)에 의한 배뇨관(B)의 압박이 해소되면서, 배뇨관(B)의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배뇨관(B)의 내경부가 최대로 확대됨에 따라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배출된다.
첨부도면 도 14는 상기 배출밸브(40)의 제2실시 예로서, 도면과 같이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3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가압부(403b)를 돌출 형성하며, 양 측벽 내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홈(403c)을 형성한 제2밸브본체(403)와, 롤러 형태로 되어 상기 안내홈(403c)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403c)에 끼워지는 축부(404a)를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요철부(404b)를 형성한 제2가압수단(404)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배뇨관삽입부(403a)에 배뇨관(B)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안내홈(403c)을 따라 제2가압수단(404)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하면, 배뇨관삽입부(403a)를 통과하는 배뇨관(B)의 주벽이 제2밸브본체(403)의 내면으로 돌출 형성된 가압부(403b)와, 상기 롤러 형태로 된 제2가압수단(404)의 외주면에 의해 압박되어 배뇨관(B)의 내경부 단면적의 크기가 조절된다.
즉, 제2가압수단(404)의 위치에 따라서 제2밸브본체(403)의 가압부(403b)와, 제2가압수단(404)의 외주면이 최대한 근접하면, 배뇨관(B)의 주벽이 최대한 압박되면서 배뇨관(B)의 내경부가 완전 폐쇄됨으로써,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소변이 안정적으로 모일 뿐만 아니라,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임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 제2가압수단(404)의 외주면에는 요철부(404b)를 형성함으로써 배뇨관(B)의 주벽을 압박하는 과정에서 마찰력을 높여 미끄러짐을 방지한다.
반면, 제2가압수단(404)의 위치에 따라서 제2밸브본체(403)의 가압부(403b)와 제2가압수단(404)의 외주면이 최대한 멀어지면, 배뇨관(B)의 압박이 해소되면서, 배뇨관(B)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배뇨관(B)의 내경부가 최대로 확대됨에 따라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배출된다.
첨부도면 도 15는 상기 배출밸브(40)의 제3실시 예로서, 도면과 같이 평면상 집게 형태로 된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 내측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배뇨관(B)의 주벽을 파지하는 배뇨관파지부(405a)를 형성하되, 제3밸브본체(405)의 일단부 내측에는 걸림돌편(405b)을 형성하고, 제3밸브본체(405)의 타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편(405b)이 끼워지는 걸림홈부(405c)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배뇨관삽입부(405a) 사이에 배뇨관(B)이 끼워진 상태에서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를 내측을 가압하여 일측 단부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돌편(405b)이 타측 단부에 형성된 걸림홈부(405c)에 끼워지게 하면,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에서 각각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도뇨관(A)을 파지하는 배뇨관파지부(405a) 간의 간격이 최소화되면서 배뇨관(B)의 주벽이 최대한 압박되어 배뇨관(B)의 내경부가 완전 폐쇄됨으로써,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소변이 안정적으로 모일 뿐만 아니라,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임의 배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반면, 제3밸브본체(405) 일단부의 걸림돌편(405b)이 제3밸브본체(405)의 타단부에 형성된 걸림홈부(405c)에서 이탈하도록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를 강제로 벌리면, 평면상 집게 형태로 형성된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는 합성수지 소재가 가진 탄성에 의해 양단부가 소정 간격으로 벌어지면서, 각 단부 내측에 형성된 배뇨관파지부(405a) 간의 간격이 벌어짐에 따라 배뇨관파지부(405a)에 의한 배뇨관(B)의 압박이 해소되면서, 배뇨관(B) 소재가 가지는 탄성에 의해 배뇨관(B)의 내경부가 확대되어 유린백(10)의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모인 소변이 배뇨관(B)을 통해 배출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은 배뇨압에 따라 자동 개폐되는 역류방지부(20)를 통해 유린백(10)에 소변이 용이하게 모여지고, 모여진 소변이 도뇨관(A)을 통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소변 역류에 따른 감염질환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플러싱부(30)를 통해 역류방지부(20)의 고착을 방지함으로써 역류방지부(20)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배출밸브(40)를 통해 배뇨관(B)의 개폐를 간편하게 조절함으로써, 유린백(10) 내부에 소변을 모으거나, 유린백(10) 내부에 모인 소변을 배출하는 것이 용이하게 되는 등 기능성과 사용 편의성이 우수한 장점을 있다.
A: 도뇨관 B: 배뇨관
10: 유린백 101: 소변저장공간
102: 소변유입부 103: 소변배출부
104: 가로접착부 105: 손잡이공
106: 공간부 107: 심재
108: 격막 109: 관거치부
20: 역류방지부 201: 역류방지체
202: 상부연결부 203: 하부연결부
204: 개폐막 205: 연결접착부
30: 플러싱부 301: 펌프체
302: 밸브체 40: 배출밸브
401: 제1밸브본체 402: 제1가압수단
403: 제2밸브본체 404: 제2가압수단
405: 제3밸브본체

Claims (11)

  1. 내부에 소변저장공간(101)을 형성하되, 상부 일측에는 사용자의 소변이 배출되는 도뇨관(A)과 이어지는 소변유입부(102)를 형성하고, 하부 일측에는 상기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 저장된 소변을 배출하는 배뇨관(B)과 이어지는 소변배출부(103)를 형성한 유린백(10)과;
    상기 도뇨관(A)과 소변유입부(102) 사이에 설치하여 도뇨관(A)을 통해 유입되는 소변의 배뇨압에 비례하여 자동 개폐되는 개폐막(204)을 구비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이 도뇨관(A)으로 역류하는 것을 억제하는 역류방지부(20)와;
    상기 배뇨관(B)에 상에 설치하여 유린백(10)에 저장된 소변의 배출을 제어하는 배출밸브(40)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역류방지부(20)는 탄성 소재를 이용해 튜브 형태의 역류방지체(201)를 형성하되, 상기 역류방지체(201)의 상하부에는 도뇨관(A)과 유린백(10) 간에 호스로 연결하기 위한 상, 하부연결부(202, 203)를 각각 형성하고,
    상부연결부(202)의 내측 하부에는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이어지는 개구부(204a)를 하단부에 형성한 얇은 주머니 형태로 된 개폐막(204)을 일체로 형성하여 상부연결부(202)를 통해 소변이 유입될 때 발생하는 배뇨압에 의해서 상기 개구부(204a)가 자동으로 개폐되게 하되,
    상기 개폐막(204)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된 앞, 뒤판을 겹쳐 양측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일체로 형성하되, 상기 상부연결부(202)와 가까운 상부는 가로 폭이 좁고, 상부연결부(202)와 먼 하부는 가로 폭이 넓은 상협하광의 외곽선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역류방지체(201)는 내측 상부 공간보다 내측 하부 공간을 좁게 형성하고, 상기 내측 하부 공간에는 역류방지체를 구성하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접착부(205)를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린백(10)은 합성수지 비닐필름 소재로 된 동일한 형상의 앞판과 뒤판을 겹친 후, 가장자리를 초음파 접착하여 파우치 형태로 형성하되,
    상기 파우치 상부에는 상기 앞판과 뒤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연결하는 가로접착부(104)를 형성하여,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상부에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손잡이공(105)을 형성하고,
    상기 손잡이공(105) 상부에는 가장자리가 별도로 초음파 접착된 공간부(106)를 형성하여 그 공간부(106) 내부에 심재(107)를 삽입 설치하며,
    상기 가로접착부(104)의 하부에 형성된 소변저장공간(101) 내부에는 앞판과 뒤판을 세로 방향으로 길게 연결한 격막(108)을 가로 방향 일정 간격으로 다수 형성하며,
    하부 일측에는 유린백(10)의 소변배출부(103)에 일단부가 연결된 배뇨관(B)의 타단부를 끼워서 보관하는 관거치부(109)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막(204)은 하단부에 파형 단면을 가지는 개구부(204a)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역류방지부(20) 상부에는 고착에 의해 폐쇄된 개폐막(204)의 개구부(204a)가 개폐 가능하도록 펌핑 작용을 통해 개폐막(204) 쪽으로만 압력을 공급하는 플러싱부(3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30)는 의료용 라텍스 소재를 이용해 볼 형태의 펌프체(301)를 형성하고, 상기 펌프체(301)의 상부와 하부에는 펌프체(301) 내부에 연통되는 호스연결부(301a, 301b)를 형성하여 상부 호스연결부(301a) 내부에는 상기 펌프체(301)의 펌핑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이 펌프체(301)의 하부 호스연결부(301b)로만 작용하게 하는 밸브체(302)를 구비하되,
    상기 밸브체(302)는 중공부(302a)를 형성한 관체의 내주면 상측에는 환상돌부(302b)를 형성하고, 관체의 내주면 하측에는 방사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걸림돌부(302c)를 형성하며, 상기 환상돌부(302b)와 걸림돌부(302c) 간에는 상기 중공부(302a)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면서, 압력 작용 방향에 따라 상기 환상돌부(302b) 또는 걸림돌부(302c)에 선택적으로 밀착하여 중공부(302a)를 개폐하는 개폐볼(302d)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1a)를 형성하고, 양 측벽에는 내향으로 안내돌편(401b)을 돌출 형성하며, 내면에는 가압부(401c)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1d)를 돌출 형성한 제1밸브본체(401)와;
    내면에는 상기 제1밸브본체(401)의 가압부(401c)와 대향하는 가압부(402a)를 돌출 형성하고, 외면에는 그립부(402b)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안내돌편(401b)을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되는 제1가압수단(40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수직으로 배뇨관삽입부(403a)를 형성하고, 내면에는 가압부(403b)를 돌출 형성하며, 양 측벽 내면에는 세로 방향으로 경사지게 안내홈(403c)을 형성한 제2밸브본체(403)와;
    롤러 형태로 되어 상기 안내홈(403c)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양 측면에는 상기 안내홈(403c)에 끼워지는 축부(404a)를 돌출 형성하고, 외주면에는 요철부(404b)를 형성한 제2가압수단(40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밸브(40)는 평면상 집게 형태로 된 제3밸브본체(405)의 양단부 내측면에는 내향으로 돌출되어 배뇨관(B)의 주벽을 파지하는 배뇨관파지부(405a)를 형성하되, 제3밸브본체(405)의 일단부 내측에는 걸림돌편(405b)을 형성하고, 제3밸브본체(405)의 타단부 내측에는 상기 걸림돌편(405b)이 끼워지는 걸림홈부(405c)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KR1020170124205A 2017-09-26 2017-09-26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KR101841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5A KR101841438B1 (ko) 2017-09-26 2017-09-26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PCT/KR2017/011949 WO2019066125A1 (ko) 2017-09-26 2017-10-27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4205A KR101841438B1 (ko) 2017-09-26 2017-09-26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438B1 true KR101841438B1 (ko) 2018-03-23

Family

ID=61912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4205A KR101841438B1 (ko) 2017-09-26 2017-09-26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1438B1 (ko)
WO (1) WO2019066125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80A (ko) * 2018-11-09 2020-05-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소변 채집 장치
KR20210052768A (ko) 2019-10-31 2021-05-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대 및 탈부착이 용이한 유린백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1648A1 (en) * 1980-11-17 1982-05-27 Wilhelmus A Haan Urine collecting device
WO2000016721A1 (en) * 1998-09-24 2000-03-30 Broden Bengt Inge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urine or other bodily fluids
JP2007195601A (ja) * 2006-01-24 2007-08-09 Alcare Co Ltd 排液、吸引および排液吸引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89626A (en) * 1985-03-13 1986-05-20 Bioresearch Inc. Hose clamp
JP2579432Y2 (ja) * 1992-06-19 1998-08-27 株式会社トップ 医療用尿バッグ
US5330437A (en) * 1993-11-12 1994-07-19 Ethicon Endo-Surgery Self sealing flexible elastomeric valve and trocar assembly for incorporating same
KR20090084308A (ko) * 2008-01-31 2009-08-05 이두용 수액 공급속도 조절기
KR20150025046A (ko) * 2013-08-28 2015-03-10 정서희 절환성이 뛰어나고 풀림방지와 함께 시간예측이 용이한 수액조절장치
KR101883494B1 (ko) * 2014-10-08 2018-08-30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배액주머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2001648A1 (en) * 1980-11-17 1982-05-27 Wilhelmus A Haan Urine collecting device
WO2000016721A1 (en) * 1998-09-24 2000-03-30 Broden Bengt Inge Device for the collection of urine or other bodily fluids
JP2007195601A (ja) * 2006-01-24 2007-08-09 Alcare Co Ltd 排液、吸引および排液吸引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780A (ko) * 2018-11-09 2020-05-1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소변 채집 장치
KR102161351B1 (ko) 2018-11-09 2020-09-29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의료용 소변 채집 장치
KR20210052768A (ko) 2019-10-31 2021-05-11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휴대 및 탈부착이 용이한 유린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66125A1 (ko) 2019-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26654B2 (en)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US11207206B2 (en) Fluid removal device
JP5043090B2 (ja) 人排泄物収集パウチ
JP4245810B2 (ja) 人間の排泄物収集用バッグ
US20230020563A1 (en) Fluid removal device
US9445934B2 (en) Catheter collection and drainage device and system
US6419664B1 (en) Drainable collection bag for human body wastes
KR101841438B1 (ko) 역류방지기능을 가진 소변저장용 유린백
JP2005530534A (ja) 排出通路開閉具を備える体液収集用バッグ
JP4562338B2 (ja) 人体排泄物用のドレン可能な収集袋
CN115335012A (zh) 可变配合式流体收集设备、系统和方法
US20150374534A1 (en) Urine collection apparatus
US20210085513A1 (en) System for applying a stoma cover
JP2007195601A (ja) 排液、吸引および排液吸引装置
KR20170046870A (ko) 물, 전등이 불필요한 소변기
KR101406822B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구
JP3845700B2 (ja) 逆流防止機能を有する排泄物収容装具
JP4206439B2 (ja) 嵌合装置及び同嵌合装置を備える排泄物収容装具
KR20200022720A (ko) 생리혈 배출이 용이한 삽입형 생리컵
KR101067798B1 (ko) 여성용 소변 보조기구
WO2022012729A1 (en) Device for a male urinary incontinence device
KR20170060209A (ko) 휴대용 소변기
JP3181907U (ja) 携帯用の小便器
JPH0677713U (ja) 蓄尿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